KR100381412B1 -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 - Google Patents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412B1
KR100381412B1 KR10-2000-0064112A KR20000064112A KR100381412B1 KR 100381412 B1 KR100381412 B1 KR 100381412B1 KR 20000064112 A KR20000064112 A KR 20000064112A KR 100381412 B1 KR100381412 B1 KR 10038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uxiliary tank
tank
pipe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080A (ko
Inventor
이원인
Original Assignee
이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인 filed Critical 이원인
Priority to KR10-2000-006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41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2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건물의 급수관을 변화하여 한번 사용하고 난 후의 재사용 가능한 물을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별도로 오버플로우(overflow)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를 구비하므로서 비교적 맑은 물은 재사용 가능하게 하여 절수효과를 극대화하고 특히 보조물탱크의 물은 자체적인 정화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옥상의 메인물탱크(10)의 물을 각층의 세면대(11)와 개수대(12) 및 변기(13)에 공급할 수 있게 한 구조에 있어서, 각층에는 별도로 개수대(12)와 세면대(11)의 물을 집수관(21)을 통해 집수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20)를 각각 연결 설치하며, 상기 각층의 보조물탱크(20)에는 재사용관(22)을 각 변기(13)측으로 연결하고, 상기 보조물탱크(20)의 타측에는 오버플로우관(25)을 배관하여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 자동으로 단계별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며,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부터 남는 물은 상층의 보조물탱크(20)로 역류 이동가능하게 펌핑관(24)을 설치하되, 상기 각 펌핑관(24)을 따라 물을 상부로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펌핑수단(23)을 연결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structure water saving system}
본 발명은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節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층건물에 배관되어 있는 기존의 급수관을 변화하여 한번 사용하고 난 후의 재사용 가능한 물을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별도로 오버플로우(overflow)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를 구비하므로서 비교적 맑은 물은 재사용 가능하게 하여 절수효과를 극대화하고 특히 보조물탱크의 물은 자체적인 정화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다층건물에는 주로 옥상(屋上)에 대형의 메인물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물탱크와 배관되는 급수관은 세면대와 개수대 및 변기측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어 한번 사용하고 나면 배수관을 통해 정화조를 거치거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메인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은 급수관을 따라 각각 밸브를 작동함에 따라 개방되는 세면대와 개수대 및 변기측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세면대에 물이 필요할 경우는 세면대에 설치된 밸브를 작동하게 되면 메인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세면대측으로 공급이 되어 세면을 할 수 있고, 씽크대를 이루는 개수대의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개수대에 물이 공급되어 각종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으며, 용변후에 변기의 밸브를 작동하면 상기 메인물탱크의 물이변기측으로 공급되어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건축구조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의 옥상에 설치되는 메인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각각의 밸브를 개폐함에 따라 직접적으로 연결된 급수관을 따라 필요한 물이 공급되고,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 오수나 폐수 등은 배관의 연결에 따라 그대로 정화조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汚水)나 폐수(廢水) 중 변기세척용 폐수 등의 경우는 별도의 정화조를 경유하므로서 최종 배출되는 것이 당연하나, 세면대나 개수대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맑은 오수 등의 경우는 바로 배출하게 되면 물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실제 재활용이 가능한 비교적 청정(淸淨)의 오수 역시 별도의 여과공정없이 바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자연환경 및 하천 등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세면대나 개수대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경우는 약간의 침전시간을 부가하거나 응집제 또는 침전제를 투입하면 정화된 청정수를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침전시간을 부가하지 못하고 바로 배수관을 통해 배수구측으로 곧바로 배수되므로 자연환경이나 하천 등의 오염도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층건물의 급수구조을 개선하여 변기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경우는 바로 배수관을 통해 배수하여 별도의 정화조 등을 거치므로서 기존의 경우와 같이 배수하고, 세면대나 개수대 등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맑은 물은 별도의 재활용관을 따라 보조물탱크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보조물탱크에서 적정의 시간동안 침전이 가능하도록 침전시간을 부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보조물탱크에 응집제 등을 투여하므로서 1차적인 정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필요할 경우 변기측으로 연결된 재사용관을 따라 공급되게 하여 맑은 물이 필요없는 변기세척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무분별한 배수로 인한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에 따른 과정 및 절수구조에 대한 사용방법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플로우챠트를 토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절수구조의 레이아웃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물탱크 11 : 세면대
12 : 개수대 13 : 변기
14 : 급수관 15 : 배수관
16 : 배수구
20 : 보조물탱크 21 : 집수관
22 : 재사용관 23 : 펌핑수단
24 : 펌핑관 25 : 오버플로우관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메인물탱크(10)의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급수관(14)을 각층의 세면대(11)와 개수대(12) 및 변기(13)와 연결하고, 각층의 급수관(14)은 배수관(15)과 배수구(16)를 통해 배수될 수 있게 한 일반적인 구조에 있어서, 각층에는 별도로 개수대(12)와 세면대(11)의 물을 집수관(21)을 통해 집수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20)를 각각 연결 설치한다.
상기 각층에 설치된 보조물탱크(20)에는 별도의 재사용관(22)을 배관하여 각 변기(13)측으로 연결하고, 상기 보조물탱크(20)의 타측에는 오버플로우관(25)을 배관하여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 자동으로 단계별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며,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부터 남는 물은 상층의 보조물탱크(20)로 역류 이동가능하게 펌핑관(24)을 설치하되, 상기 각 펌핑관(24)을 따라 물을 상부로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펌핑수단(23)을 연결한다.
상기 펌핑수단(23)은 하층의 보조물탱크(20)의 물이 많을 경우 불필요한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비어있는 상층의 보조물탱크(20)에 물을 충만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한편으로는 상층의 보조물탱크(20)의 물이 많을 경우 하층의 보조물탱크(20)측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의 구조에 있어서, 보조물탱크(20)에는 개수대(12)와 세면대(11)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저장하는 용도인 바, 보조물탱크(20)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하여 침전에 의한 자체적인 정화를 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침전제나 응집제 등을 투입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다층건물에 배관되어 있는 기존의 급수관(14)을 변화하여 변기(13)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별도의 배수관(15)을 통해 배수구(16)를 통해 정화조(도시생략)를 거치므로서 정화한 후 배출될 수 있게 하고, 개수대(12)와 세면대(11)에서 발생하는 한번 사용하고 난 후의 재사용 가능한 물을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별도로 오버플로우관(25)을 통해 간이로 저장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20)를 구비하므로서 비교적 맑은 물은 재사용 가능하게 하고, 남는 물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펌핑관(24)의 펌핑수단(23)을 가동하므로서 절수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특히 보조물탱크(20)의 물은 자체적인 정화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과정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층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메인물탱크(10)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관(14)을 각층의 세면대(11)와 개수대(12) 및 변기(13)에 연결하여 기존의 구조로 사용하고, 상기 변기(13)에서 용변후 별도의 밸브를 작동하면 상기 용변시에 발생되는 폐수는 배수관(15)을 통해 별도로 설치된 정화조를 통해 정화가 된다.
한편 개수대(12)와 세면대(11)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맑은 물은 기존의 경우와 같이 배수관(15)을 통해 바로 배출하지 않고 집수관(21)을 통해 보조물탱크(20)측으로 이동되어 집수가 된다.
즉, 개수대(12)와 세면대(11)의 경우는 주로 세척용으로 사용하는 바, 이러한 경우는 물이 폐수와 같이 재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고 비교적 양호한 오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오수는 바로 배출을 하지 않고 집수관(21)을 통해 일차적으로 각층의 보조물탱크(20)측으로 집수한다.
이와 같이 집수된 오수는 상기 보조물탱크(20)에서 적정의 시간을 체류하게 되므로 비중이 물보다 높은 이물질들은 보조물탱크(20)에서 체류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침전이 되어 일차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물탱크(20)의 자체 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보조물탱크(20)의 내부에 별도의 침전제나 응집제 등의 약품을 투입하므로서 침전 또는 응집의 효율성을 일층 극대화하여 세면대(11)와 개수대(12)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정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정화된 물이 보조물탱크(20)에 집수되면 재사용관(22)을 통해 변기(1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변기(13)에 사용되는 물은 메인물탱크(1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와 같이 정화된 보조물탱크(20)에 집수된 물을 사용하므로서 과도하게 소모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기존의 변기(13)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폐수는 배수관(15)을 통해 별도의 정화조를 거치므로서 정화가 이루어지고, 재사용이 가능한세면대(11)와 개수대(12)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맑은 오수는 집수관(21)을 통해 보조물탱크(20)로 집수하여 침전을 유도하므로서 자체적인 일차 침전이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응집제나 침전제를 투입하므로서 정화된 맑은 물을 생산하여 재사용관(22)을 통해 변기(13)와 연결하므로서 변기(13)의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정화된 보조물탱크(20)의 물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층의 보조물탱크(20)와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층의 물 사용량이 증대할 경우 보조물탱크(20)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자연현상으로 오버플로우관(25)을 통해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 각각 이동되게 배관되어 있으므로 각층의 보조물탱크(20)에는 항상 물이 가득차게 되고,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상층 보조물탱크(20)의 물은 부족한데 하층의 보조물탱크(20)의 물이 남을 경우는 측방에 별도로 구비된 펌핑수단(23)을 작동하므로서 하층의 보조물탱크(20)에 저장된 물을 상층의 보조물탱크(20)측으로 강제역류로 이동하여 전체적인 각층에 마련된 보조물탱크(20)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층의 보조물탱크(20)에는 물이 항상 균일하게 공급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조물탱크(20)의 정화된 물은 다른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사용관(22)을 통해 변기(13)측으로 연결하므로서 비교적 맑은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경우와 같이 한번 사용하고 난 후의 재활용 가능한 물을 버리지 않고 변기(13)측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절수효과가 뛰어나고, 특히 다량의 오염된 물을 바로 배출하지 않고보조물탱크(20)에 저장하여 적정의 시간을 체류하게 되므로 1차적인 침전에 의한 정화를 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보조물탱크(20)의 내부에 응집제나 침전제 등을 투입하므로서 정화를 촉진하여 단시간에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부족한 물은 별도의 펌핑수단(23)을 통해 펌핑관(24)으로 상측의 보조물탱크(20)로 공급할 수 있으며, 특정층의 보조물탱크(20)에 물이 많을 경우는 자연적으로 오버플로우관(25)을 통해 하층으로 이동하여 각층의 보조물탱크(20)에는 항상 정화된 물이 충만하게 되므로 변기(13)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충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메인물탱크(10)에 연결된 급수관(14)을 통해 공급되는 물중의 일부를 바로 버리지 않고 별도의 보조물탱크(20)에 적정의 시간동안 체류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인 정화를 하고 필요할 경우 인위적으로 정화하여 변기(13)의 사용시 재사용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오수를 한꺼번에 배수하는 경우와 같이 하천을 오염하는 염려를 배제하므로서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보조물탱크(20)의 경우 자체적인 침전이나 응집제 또는 침전제 등의 투입으로 인해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주기적으로 보조물탱크(20)를 청소하게 되면 항상 정화된 양질의 재사용가능한 물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물탱크(20)에 침전된 음식쓰레기 등의 경우는 전량 수거하여 탈취기나 파쇄기 및 탈수기를 통해 입자상으로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각종 식물재배용 퇴비나 가축사육용 사료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옥상의 보조물탱크(20)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사용이 가능한 정화된 물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변기(13)의 밸브를 작동하게 되면 메인물탱크(10)의 물은 그대로 있고 보조물탱크(20)의 물이 변기(13)를 세척하게 되고, 이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배수관(15)을 통해 배수구(16)측으로 이동되어 별도의 정화조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다층건물의 급수구조을 개선하여 변기(13)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경우는 바로 배수하여 별도의 정화조 등을 거치므로서 기존의 경우와 같이 배수하고, 세면대(11)나 개수대(12) 등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맑은 물은 별도의 재사용관(22)을 따라 보조물탱크(20)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보조물탱크(20)에서 적정의 시간동안 침전이 가능하도록 침전시간을 부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보조물탱크(20)에 응집제 등을 투여하므로서 1차적인 정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필요할 경우 변기(13)측으로 연결된 재사용관(22)을 따라 공급되게 하여 맑은 물이 필요없는 변기(13)세척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물의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무분별한 배수로 인한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부가함은 물론이고, 특히 보조물탱크(20)에서 남는 물은 오버플로우관(25)을 통해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 자동 이송되게 하고 반대로 하층의 물이 많을 경우는 별도의 펌핑수단(23)을 작동하므로서 펌핑관(24)을 따라 상층의 보조물탱크(20)에 집수되게 하여 물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정화된 물을 적소에 사용가능하게 되므로 각종 다층건물의 절수구조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분별한 폐수나 오수의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에 대한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2)

  1. 옥상에 설치된 메인물탱크(10)를 급수관(14)을 통해 각층의 세면대(11)와 개수대(12) 및 변기(13)와 연결하고, 각층의 급수관(14)은 배수관(15)과 배수구(16)를 통해 배수될 수 있게 한 일반적인 구조에 있어서, 각층에는 별도로 개수대(12)와 세면대(11)의 물을 집수관(21)을 통해 집수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20)를 각각 연결 설치하며, 상기 각층의 보조물탱크(20)에는 재사용관(22)을 각 변기(13)측으로 연결하고, 상기 보조물탱크(20)의 타측에는 오버플로우관(25)을 배관하여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 자동으로 단계별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며, 하층의 보조물탱크(20)로부터 남는 물은 상층의 보조물탱크(20)로 역류 이동가능하게 펌핑관(24)을 설치하되, 상기 각 펌핑관(24)을 따라 물을 상부로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펌핑수단(23)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건물의 절수구조.
  2. 삭제
KR10-2000-0064112A 2000-10-31 2000-10-31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 KR100381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112A KR100381412B1 (ko) 2000-10-31 2000-10-31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112A KR100381412B1 (ko) 2000-10-31 2000-10-31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80A KR20010016080A (ko) 2001-03-05
KR100381412B1 true KR100381412B1 (ko) 2003-04-26

Family

ID=1969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112A KR100381412B1 (ko) 2000-10-31 2000-10-31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744A (ko) * 2001-11-21 2003-05-27 박연수 물의 효율적인 이용방법 및 그 장치
KR100761769B1 (ko) * 2006-11-23 2007-10-01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이동식 간이 화장실용 급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253A (ko) * 1999-01-13 1999-07-05 박호용 다가구주택의오수재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253A (ko) * 1999-01-13 1999-07-05 박호용 다가구주택의오수재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80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259008A (en) Waste water collection and recycling system: waste water collected in two compartment settling tank
KR100381412B1 (ko) 다층건물(多層建物)의 절수구조(節水構造)
KR100673818B1 (ko)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CN1445419A (zh) 多功能全方位收集废水过滤再利用的节水装置及其系统
CN207959332U (zh) 一种建筑给排水系统
CN108265780A (zh) 共享废水再利用
JP2012158971A (ja) 公衆トイレに於ける汚物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201148663Y (zh) 一种专用于粪便池冲洗的节水控制系统
KR200447584Y1 (ko) 이동식 오수처리 화장실
CN101899857A (zh) 座便器生活废水自动处理技术
CN2435434Y (zh) 家用废水净化利用装置
KR19990046253A (ko) 다가구주택의오수재사용방법
KR100670930B1 (ko) 재활용수 저장 양변기 시스템
CN2558699Y (zh) 废水转换冲厕装置
CN108661123A (zh) 一种厨房污水回收系统
CN215331718U (zh) 一种节能型车载移动环保厕所
KR102541113B1 (ko) 샤워수 재활용 공급장치
KR200284972Y1 (ko) 2개 이상의 배수구멍 등을 둔 수조
CN2734847Y (zh) 卫生间用节水装置
KR100730911B1 (ko) 절수식 세면대
CN113931262B (zh) 住宅生活废水生物净化自动回收利用系统
CN219072349U (zh) 一种施工现场废水回收利用装置
CN102943509A (zh) 模块化同层排水节水装置
CN219240688U (zh) 一种使用屋面净化雨水冲厕系统
KR100531181B1 (ko) 하수와 오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