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402B1 -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402B1
KR100379402B1 KR10-2001-0024061A KR20010024061A KR100379402B1 KR 100379402 B1 KR100379402 B1 KR 100379402B1 KR 20010024061 A KR20010024061 A KR 20010024061A KR 100379402 B1 KR100379402 B1 KR 10037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hannel
audio
digital
p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929A (ko
Inventor
김인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4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Abstract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 및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소정 디지털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함과 동시에 타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와,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선국된 방송신호 및 검색된 타 채널의 방송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해당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선국된 채널 방송신호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소정 디지털 채널선택에 따른 비디오/오디오신호를 신속하게 출력하여 영상 출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 audio/video of digital TV}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티브이 채널 선국시 그에 따른 비디오/오디오신호를 화면상에 신속하게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 티브이의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티브이 방송은 엠펙(MPEG)규격을 따르고 있으며, 방송용 엠펙 규격인 엠펙 투(MPEG-2)는 시스템, 비디오, 오디오 규격이 각각 따로 있고 이의 시스템 규격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이라고 하는 시간 다중화된 신호형에 관한 규정이다.
그리고 상기 패킷의 시작부분에 헤더가 있으며, 상기 헤더 내에는 PID(Packet Identifier)번호가 들어있다.
여기서 상기 PID 번호는 현재 패킷이 비디오 패킷인지 오디오 패킷인지 기타 부가정보 패킷인지를 나타내 주는 식별번호이고, 시간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규격은 압축된 영상, 음성 신호열에 관한 규정으로 영상, 음성, 기타 부가정보는 시간 다중화되어 여러 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실려서 전송되고 이들은 PID 번호로 식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로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으로 해당 RF채널을 선국하고,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 티브이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동기검출부(11)와, 상기 동기검출부(11)에서 선국된 신호가 디지털 트랜스포트 스트림인지 여부에 따라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정정부(Forward Error Correction)(12)와, 상기 오류정정부(12)에서 오류 정정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역다중화부(13)와, 상기 역다중화부(13)에서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 처리하는 비디오 디코더부(15)와,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15)에서 디코딩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CRT(도시생략)로 전송하는 비디오 표시부(16)와, 사용자의 디지털 채널선택에 따른 신호가 선국되도록 상기 동기검출부(11)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동기검출부(11)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CRT의 화면에 정상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역다중화부(13), 비디오 디코더부(15) 및 비디오 표시부(16)를 제어하는 마이컴(1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마이컴(14)은 상기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 중 사용자의 디지털 채널번호 선택에 따른 채널신호가 선국되도록 동기검출부(11)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검출부(11)는 상기 안테나(10)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의 동기신호 유무를 판별하여 디지털 티브이 신호(DTV)의 유무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를 상기 마이컴(14)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검출부(11)는 상기 동기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마이컴(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 중 소정 채널신호를 선국하고 이를 오류정정부(12)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오류정정부(12)는 상기 동기검출부(11)에서 전송되는 채널신호가 디지털 트랜스포트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디지털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면,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오류를 정정하여 역다중화부(13)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오류정정부(12)는 상기 디지털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아니면, 이에 따른 정보를 상기 마이컴(14)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부(13)는 오류 정정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스트림을 각각의 디코더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부(15)로 전송되어 디코딩 처리된다.
그리고 비디오 표시부(16)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15)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CRT(도시생략)로 전송하여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마이컴(14)은 사용자가 소정의 디지털 채널번호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판단 결과(S10), 사용자가 소정의 디지털 채널번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지털 채널번호에 따른 채널신호를 선국한다(S11).
이어서 상기 선국된 채널신호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한다(S12).
그리고 상기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PID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PID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을 재배열한다(S13).
이어서 상기 재배열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각각의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각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CRT(도시생략)를 통해 출력한다(S14).
또한, 사용자가 채널변경시 상기와 같은 동일한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채널 변경시마다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아날로그 채널방송 출력시간에 비해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신호 출력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각 디지털 티브이 채널에 대한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디지털 채널 선택시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화면상에 신속하게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을 선국하여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한 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소정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채널의 비디오/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선택된 채널 이외의 타 채널에 대한 비디오/오디오 PID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를 갱신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 및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소정 디지털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함과 동시에 타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와,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선국된 방송신호 및 검색된 타 채널의 방송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해당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선국된 채널 방송신호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5는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하나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메모리(도시생략)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디지털 채널 선택에 따른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즉시 추출하여 그에 따른 비디오/오디오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본 발명의 마이컴(140)은 종래 기술에서 상술한 마이컴(14)과 상이하게 동작된다.
이하, 본 발명의 마이컴(140) 동작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마이컴(140)은 사용자가 자동채널을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상기 판단 결과(S100), 사용자가 자동채널을 설정하였으면,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국한다(S110).
그리고 상기 선국된 각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부(130)를 통해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한다(S120).
여기서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가 엠펙 2 시스템 규격에 따른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이면, 상기 역다중화부(130)는 상기 선국된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Program Map Table의 PID정보를 갖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테이블 정보가 포함된 스트림을 추출하고 추출된 스트림의 데이터를 상기 마이컴(14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역다중화부(13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테이블을 구성하고, 이어 디지털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들어있는 프로그램 번호정보를 갖는 PMT(Program Map Table)테이블을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역다중화부(13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갖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테이블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마이컴(140)은 PAT 및 PMT 테이블을 통해 디지털 스트림 내 프로그램의 개수, 각 프로그램의 비디오/오디오 PID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도시생략)에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가 PSIP 디지털 스트림일 경우에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역다중화부(130)를 통해 전송되는 0x1FFB PID를 갖는 스트림들 중 VCT(Virtual Channel Table)테이블을 찾아 현재 입력되는 스트림이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스트림인지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PSIP 스트림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 서비스 각각의 특정 성분 테이블로 구성된 집합체라 할 수 있으며, PSIP 패킷은 입력되는 디지털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 0x1FFB의 PID를 갖는 스트림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PSIP 스트림의 테이블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정보를 구성하는 STT(System Time Table)와, 지역별 등급정보를 구성하는 RRT(Rating Region Table)와, 각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구성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의 PID 정보를 갖는 MGT(Master Guide Table)와, RF채널 내의 실제 디지털채널에 대한 정보(채널개수, 비디오/오디오 PID 등)를 구성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VCT 테이블을 분석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채널번호의 실제 채널번호인 Major-Minor 채널번호를 알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현재 입력되는 디지털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PSIP 스트림으로 구분되면, 상기 마이컴(140)은 EIT 테이블을 구성하는 스트림을 찾아 EIT 테이블을 구성하고 이어 상기 VCT 테이블의 채널번호를 추출하여 현재 선택된 디지털 채널번호의 실제 채널번호인 Major-Minor 채널번호를 추출한다.
즉,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역다중화부(130)를 통해 역다중화되어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을 입력받아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도시생략)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S130).
또한,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현재 선택된 디지털 채널번호의 실제 채널번호인 Major-Minor 채널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결국, 사용자의 자동채널 설정에 따라 모든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데이터, 비디오/오디오 PID정보 및 실제 채널번호를 저장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디지털 티브이 채널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상기 판단 결과(S140), 사용자가 소정의 디지털 채널을 선택하였으면, 상기 마이컴(14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신호를 선국함과 동시에 선국된 채널 이외의 타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한다(S150).
그리고 상기 현재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상기 판단 결과(S160), 상기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부(150) 및 오디오 디코더부(도시생략)를 통해 각각 디코딩 처리하고(S190), 이를 CRT(도시생략)를 통해 출력한다(S200).
이때, 상기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즉시 디코딩하여 출력함으로써 해당 채널에 따른 영상 출력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60), 상기 현재 선택된 디지털 채널에 해당되는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선국된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역다중화부(130)를 통해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순차적으로 검색되는 각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역다중화부(130)를 통해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한다(S170).
여기서 방송국에서 소정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임의로 변경할 경우 해당 채널에 따른 변경된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결국, 소정 디지털 채널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채널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변경되었음을 판단하고 해당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단계(S17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4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상기와 같은 신호 처리동작을 반복 수행함과 동시에 타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 PID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킴으로써 기 저장된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갱신시킨다.
이어서 상기 분리된 각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PID정보를 검출하여 이전에 저장된 해당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재 저장하고, 이어 상기 검출된 PID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저장한다(S180).
그리고 상기 선국된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 처리하는 단계(S19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아날로그 디지털 겸용 티브이에 적용할 경우, 아날로그 채널방송 시청시 내부적으로 마이컴(도시생략)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도시생략)를 통해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에 대한 최신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기 저장된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갱신시킨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겸용 티브이는 모든 디지털 채널에 따른 최신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소정 채널선택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항상 신속하게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에 해당되는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따른 비디오/오디오신호를 상기 저장된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디코딩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채널의 영상 출력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소정 디지털 채널선택에 따른 비디오/오디오신호를 신속하게 출력하여 영상 출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아날로그 디지털 겸용 티브이인 경우에 대하여 아날로그 채널방송을 시청하는 동안 기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채널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PID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시킴으로써 모든 디지털 채널에 따른 영상 출력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을 선국하여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한 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소정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채널의 비디오/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선택된 채널 이외의 타 채널에 대한 비디오/오디오 PID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메모리를 갱신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2.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 및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소정 디지털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함과 동시에 타 채널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디지털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선국된 방송신호 및 검색된 타 채널의 방송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해당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국된 채널 방송신호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 및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자동채널 모드를 설정하면, 모든 디지털 티브이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국하는 단계와,
    상기 선국된 각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PID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검출된 PID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된 방송신호 및 검색된 타 채널의 방송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해당 각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선국된 채널신호 트랜스포트 스트림 및 상기 검색된 소정 채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부가정보 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각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PID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채널의 이전 비디오/오디오 PID정보가 각각 갱신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 PID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상기 메모리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방법.
KR10-2001-0024061A 2001-05-03 2001-05-03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379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061A KR100379402B1 (ko) 2001-05-03 2001-05-03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061A KR100379402B1 (ko) 2001-05-03 2001-05-03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929A KR20020084929A (ko) 2002-11-16
KR100379402B1 true KR100379402B1 (ko) 2003-04-10

Family

ID=2770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061A KR100379402B1 (ko) 2001-05-03 2001-05-03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08B1 (ko) * 2002-10-01 200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tv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KR100725928B1 (ko) * 2004-12-09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0278B1 (ko) * 2004-12-22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서의 비디오 수신속도개선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6615B1 (ko) * 2005-08-29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전환 제어 방법
KR100800895B1 (ko) 2006-02-06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채널 변경 속도를 향상시키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13976B1 (ko) * 2006-05-19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콘텐츠의 출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297191B1 (ko) * 2006-10-04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정보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0842262B1 (ko) * 2006-11-16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서비스 또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의 방송 채널전환 가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5316B1 (ko) * 2012-08-23 2013-11-08 주식회사 리버스톤미디어 비상 텔레비전 방송용 부호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엔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268A (ko) * 1995-12-19 1997-07-31 배순훈 텔레비전의 자동채널탐색장치
KR19980045092A (ko) * 1996-12-09 1998-09-15 김광호 디지탈 위성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KR19990075212A (ko) * 1998-03-18 1999-10-15 구자홍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10153A (ko) * 1998-07-30 2000-02-1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정보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268A (ko) * 1995-12-19 1997-07-31 배순훈 텔레비전의 자동채널탐색장치
KR19980045092A (ko) * 1996-12-09 1998-09-15 김광호 디지탈 위성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KR19990075212A (ko) * 1998-03-18 1999-10-15 구자홍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10153A (ko) * 1998-07-30 2000-02-1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정보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929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624B1 (ko) 텔레비전 수신기의 언어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31147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제어 장치 및 방법
US7594253B2 (en) Autoprogramming for digital television
KR100499039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설정방법
KR100308037B1 (ko) 디지털티브이의eit분석방법
US200401898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elevision channels
JP2004364318A (ja) Mpeg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論理的複合チャネル・マッピング
KR100631500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장치
KR100379402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US20090235314A1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269370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6108B1 (ko)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87901B1 (ko) 디지털 지상파수신기의 채널정보 제공 방법
KR20000045149A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채널 검색방법
KR20000014413U (ko) 디지탈 티브이 수신 장치
KR101341454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70009249A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자동채널변경방법
KR20030043140A (ko) 디지탈방송수신장치 및 그 자동채널서치방법
KR20030030433A (ko)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프로그램정보 수신방법
KR100502007B1 (ko)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검색 방법
KR20000034379A (ko) 디지탈 티브이 수신 시스템의 피에스아이피 정보 갱신 방법
EP2312836A2 (en) Broadcast receiver and multi-screen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100633076B1 (ko)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JP2002344906A (ja) 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受信装置
KR20080053691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 시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