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473B1 -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473B1
KR100378473B1 KR10-2000-0076898A KR20000076898A KR100378473B1 KR 100378473 B1 KR100378473 B1 KR 100378473B1 KR 20000076898 A KR20000076898 A KR 20000076898A KR 100378473 B1 KR100378473 B1 KR 10037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transmission power
base station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630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7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4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IF 블록에서 1 FA의 디지털 IF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IF 블록에서 1 FA 디지털 IF 신호의 송신 전력을 일정한 레벨로 제어해 줌으로써 기지국 커버에이지 및 핸드 오프를 보다 더 세밀하게 조정하여 인접 지역과 기지국 영역 설정이 용이하도록 해줌과 동시에, 디지털 감쇄 회로를 이용해줌으로써 시스템의 성능 및 품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전력 제어가 가능해 진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ING BTS TRANSMISSION OF POWER}
본 발명은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F 블록에서 1 FA의 디지털 IF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IMT-2000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커버에이지 및 핸드 오프를 조정하는 것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에 따라 그 영역이 유동성을 갖게된다. 이렇듯 기지국간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는 커버에이지 및 핸드 오프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 때, RF 블록에서는 광대역 신호로 결합된 3 FA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송신 전력 이득 조절을 하나,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세밀한 송신 전력 제어가 필요하다.
먼저, 기지국 IF 블록은 채널카드로부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각 FA 마다 디지털 가산(I/Q 채널을 합침)하여 1 FA 디지털 IF 신호로 변조시킨다. 그러면, 믹싱 출력부는 상기 기지국 IF 블록으로부터 1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가산한 후 디지털 가산된 3 FA 디지털 IF 신호를 3 FA 아날로그 IF 신호로 변조시켜 RF 블록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RF 블록은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출력하고, 기지국 커버에이지 및 핸드 오프를 조정하기 위해 송신 전력을 제어함에 있어 RF 블록에서 아날로그 감쇄기 또는 증폭기의 이득을 가변저항기 등을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아날로그 처리하는 RF 블록에서 3 FA 아날로그 IF 신호가 합쳐진 송신 전력을 제어하게 됨으로 각 FA 별로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없고 3 FA 전체적인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종전의 아날로그 방식의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신뢰성 및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IMT-2000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데 세밀하게 조정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IF 블록에서 1 FA 디지털 IF 신호의 송신 전력을 일정한 레벨로 제어해 줌으로써 기지국 커버에이지 및 핸드 오프를 보다 더 세밀하게 조정하여 인접 지역과 기지국 영역 설정이 용이하도록 해줌과 동시에, 디지털 감쇄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 및 품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전력 제어가 가능해 지는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디지털 기저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기저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채널카드, 디지털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은 후 3FA 아날로그 IF 신호로 변환하여 RF 블록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IF 블록으로 이루어진 기지국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IF 블록은, 최초로 운용자로부터 송신 전력 디폴트 값을 입력받으면 이에 상응한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이 후 상기 RF 블록으로부터 송신 전력 값을 입력받으면 이에 상응한 그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 장치;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에 상응한 이득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득 제어 회로; 및
상기 이득 제어 회로로부터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채널카드로부터 3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아 그 1FA 디지털 IF 신호의 송신 전력을 각각 보상하여 상기 RF 블록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이득 감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중 디지털 이득 감쇄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 처리 장치 200 : 이득 제어 회로
300 : 디지털 이득 감쇄부 310 : 이득 조정기
320 : 이득 보상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100), 이득 제어 회로(200), 및 디지털 이득 감쇄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0)는 최초 운용자로부터 송신 전력 디폴트 값을 입력받은 후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상기 이득 제어 회로(200)로 출력하는 한편, RF 블록으로부터 송신 전력 값을 입력받은 후 그 송신 전력 값을 판단하여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상기 이득 제어 회로(2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0)는 최초 운용자로부터 송신 전력 디폴트 값을 입력받은 후 상기 RF 블록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송신 전력 값을 입력받아 동작하고, 또한 운용자가 임의로 송신 전력 값을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송신 전력 변경 값의 입력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득 제어 회로(20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에 상응한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이득 감쇄부(300)는 상기 이득 제어 회로(200)로부터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채널카드로부터 1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1 FA 디지털 IF 신호의 송신 전력을 보상하여 RF 블록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조정기(310), 및 이득 보상기(32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이득 조정기(310)는 상기 이득 제어 회로(200)로부터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득 값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이득 조정기(310)는 0.5dB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며 설정에 따라 그 이하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득 보상기(320)는 상기 이득 조정기(310)로부터 이득 값을 입력받으면 그 이득 값 만큼의 송신 전력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로, 중앙 처리 장치(100)는 전력 제어 초기 상태로 이득을 0dB로 설정하는 한편, 송신 전력 상태를 초기화한다(S1).
그러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0)는 RF 블록으로부터 송신 전력 값을 입력받은 후 송신 전력의 제어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2).
이어서,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송신 전력에 제어 요구가 없으면(NO), 다시 제 2 단계(S2)로 진행하는 한편, 송신 전력에 제어 요구가 있으면(YES),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0)는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이득 제어 회로(200)로 전송한다(S3).
그러면, 상기 이득 제어 회로(20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송신 전력 제어신호의 대한 송신 전력의 변화량 만큼의 이득 신호를 디지털 이득 감쇄부(300)로 전송한다(S4).
이어서, 상기 디지털 이득 감쇄부(300)는 상기 이득 제어 회로(200)로부터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이득 제어신호에 대해 소정의 단위로 이득 값을 보상하여 RF 블록으로 전송한다(S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의하면, IMT-2000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IF 블록에서 디지털 신호에 대해 감쇄 또는 증폭을 함으로써 기지국의 커버에이지 및 핸드 오프 조정을 더욱 더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디지털 기저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채널카드, 디지털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은 후 3FA 아날로그 IF 신호로 변환하여 RF 블록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IF 블록으로 이루어진 기지국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IF 블록은, 최초로 운용자로부터 송신 전력 디폴트 값을 입력받으면 이에 상응한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이 후 상기 RF 블록으로부터 송신 전력 값을 입력받으면 이에 상응한 그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 장치;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에 상응한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득 제어 회로; 및
    상기 이득 제어 회로로부터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채널카드로부터 3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아 그 1FA 디지털 IF 신호의 송신 전력을 각각 보상하여 상기 RF 블록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이득 감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득 감쇄부는, 상기 이득 제어 회로로부터 이득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에 상응한 이득 값을 출력하는 이득 조정기; 및
    상기 이득 조정기로부터 이득 값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1 FA 디지털 IF 신호의 이득 값 만큼 송신 전력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이득 보상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3. 삭제
KR10-2000-0076898A 2000-12-15 2000-12-15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10037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98A KR100378473B1 (ko) 2000-12-15 2000-12-15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98A KR100378473B1 (ko) 2000-12-15 2000-12-15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30A KR20020046630A (ko) 2002-06-21
KR100378473B1 true KR100378473B1 (ko) 2003-03-29

Family

ID=2768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98A KR100378473B1 (ko) 2000-12-15 2000-12-15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4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550A (ko) * 1997-01-11 1998-10-15 김광호 송신기지국에서 송신 출력 조정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550A (ko) * 1997-01-11 1998-10-15 김광호 송신기지국에서 송신 출력 조정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30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0422B1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apparatus
KR100259680B1 (ko) 무선 주파수 송신기용 전력 제어 회로
CA2086541C (en) Power amplifier satura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3078216B2 (ja) 基地局選択方法
KR100341069B1 (ko) 송신기에서의송신전력와수신기에서의감쇠의동적제어
US6693974B2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using adjacent channel power profile and method of operation
EP1210768B1 (en) Adaptive rf amplifier prelimiter
US5752172A (en) Distributed transmitter output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radio telephone
KR100305764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 순방향 전력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11952B1 (ko) Cdma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JPH11330870A (ja) 増幅器線形化装置の適応制御方法
JP2002290263A (ja) 無線通信装置
JP2006500875A (ja) Wcdma携帯端末において電力増幅器の動作基点を最適化する方法
KR100378473B1 (ko)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장치
US7365599B2 (en) Glitch-free controllable RF power amplifier
US6701157B2 (en) Transmitter circuit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in-band noise in point to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s
JPH072837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2877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국부발진 증폭기 전압제어를 통한무선신호 송수신 장치
KR100326321B1 (ko) 무선가입자접속장치의 송수신 신호 전력레벨 제어 방법
KR100659199B1 (ko) 씨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회로 및 방법
KR100417823B1 (ko) 휴대용무선단말기초기송신전력설정장치및방법
JPH0771011B2 (ja) 無線通信装置
KR20010068979A (ko) 개선된 코드분할다중접속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송신장치
KR100357531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수신 이득 제어 방법
JP2006512828A (ja) モバイルハンドセットの送信電力のための制御手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