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444B1 -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444B1
KR100378444B1 KR10-2001-0013063A KR20010013063A KR100378444B1 KR 100378444 B1 KR100378444 B1 KR 100378444B1 KR 20010013063 A KR20010013063 A KR 20010013063A KR 100378444 B1 KR100378444 B1 KR 100378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client
job
server system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968A (ko
Inventor
정동회
Original Assignee
지아이에스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아이에스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아이에스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4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단위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작업 수행 모듈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이 있을 경우,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간 세션을 연결하는 작업 대기 모듈과, 상기 작업 대기 모듈에 의해 서버 시스템과 세션이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준비 작업을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임시 저장하는 큐잉부와, 상기 큐잉부에서 준비 작업이 완료된 작업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을 선택한 후, 해당 작업이 상기 작업 수행 모듈에 의해 처리되도록 관리하는 다수개의 작업 관리 모듈과, 상기 작업 관리 모듈의 생성과, 종료를 관리하는 모듈 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 내용을 저장하고, 해당 작업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작업 수행 모듈 및 작업 관리 모듈에게 할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가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과, 그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작업 수행 모듈 및 작업 관리 모듈에 의해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의 작업 요청을 병렬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서버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처리 결과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lient's demand of the server system}
본 발명은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동시에 작업을 요청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서버 시스템 및 그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경우,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시스템 측에 각각 설치된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에 의해 관리되는 소켓으로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서버 시스템 측의 소켓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열어두고,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을 경우,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클라이언트와 접속한 후, 그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작업 결과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서버 시스템에 접속한 임의의 한 클라이언트가 서버 시스템과 접속된 상태에서 다운(down)될 경우, 서버 시스템이 유휴(idle) 상태에 빠지게 되어 다른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 시스템을 독점하게 될 경우, 다른 클라이언트들의 경우 그 클라이언트의 작업이 종료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 시스템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 모듈 및 멀티-큐를 설정하고, 그 멀티-큐에 의해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동시에 작업을 요청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서버 시스템 및 그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클라이언트 200 : 서버 시스템
210 : 작업 대기 모듈 220 : 큐잉(Queuing)부
230 : 메모리부 240 : 작업 관리 모듈
250 : 모듈 관리자 260 : 작업 수행 모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통신망을 구성하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단위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작업 수행 모듈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이 있을 경우,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간 세션을 연결하는 작업 대기 모듈과, 상기 작업 대기 모듈에 의해 서버 시스템과 세션이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준비 작업을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임시 저장하는 큐잉부와, 상기 큐잉부에서 준비 작업이 완료된 작업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을 선택한 후, 해당 작업이 상기 작업 수행 모듈에 의해 처리되도록 관리하는 다수개의 작업 관리 모듈과, 상기 작업 관리 모듈의 생성과, 종료를 관리하는 모듈 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 내용을 저장하고, 해당 작업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작업 수행 모듈 및 작업 관리 모듈에게 할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가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통신망에서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 모듈 및 멀티-큐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메모리 할당 및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1 과정과,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와 서버 시스템간 세션을 연결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설정된 멀티-큐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분석하여, 각 작업들간 우선 순위를 부여한 후, 해당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 처리를 수행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사전 처리가 완료된 작업을 해당 작업 처리 모듈에 의해 처리하고, 그 처리 상태를 별도의 관리 모듈에 의해 관리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처리된 작업 수행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 후, 해당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 시스템(200)은 작업 대기 모듈(210), 큐잉(Queuing)부(220), 메모리부(230), 작업 관리 모듈(240), 모듈 관리자(250), 작업 수행 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작업 대기 모듈(210)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신뢰 시간 이내에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이 수신되기를 대기한다. 이러한 작업 대기 모듈(210)은 일반적으로 리슨 쓰레드(Listen Thread)라 명명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이 있을 경우,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간 세션(session)을 연결한다.
이 때, '세션'이란 통신상에서 사용자와 컴퓨터, 또는 두 대의 컴퓨터들 간의 활성화된 접속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클라이언트와 서버 시스템간 1대 1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하나의 접속 라인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각 서버 시스템은 그 시스템의 처리 용량에 의거하여 접속 가능한 세션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연결 폭주를 방지하여, 이로 인해 서버 시스템이 다운되는 방지하기 위함이다.
큐잉(Queuing)부(220)는 작업 대기 모듈(210)에 의해 서버 시스템과 세션이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준비 작업을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임시 저장하는 장소로서, 슬립-큐(sleep-queue)(221), 레디-큐(ready-queue)(222), 워크-큐(work-queue)(223)를 포함하는 멀티-큐로 구성된다.
슬립-큐(221)는 세션이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이 가장 먼저 거치게 되는 큐로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작업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요청 작업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 스케쥴에 의한 수행 방법을 결정한다.
레디-큐(222)는 슬립-큐(221)에서 결정된 우선 순위에 의거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을 선택하여 해당 작업을 위해 필요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각 작업마다 필요한 전처리는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작업,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파일을 로딩하는 작업, 해당 데이터를 서버에서 작업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 들이 있을 수 있다.
워크-큐(223)는 레디-큐(222)에서 전처리가 완료된 작업들이 상기 작업 관리 모듈에 의해 선택될 때까지 상기 전처리가 완료된 작업들을 임시 저장한다.
상기 큐들(221, 222, 223)은 각기 다른 스케쥴링 방식에 의해 다음 단으로넘어가기 위한 작업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메모리부(230)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 내용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보조 자료들을 저장하는 한편, 해당 작업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 수행 모듈(260) 및 작업 관리 모듈(240)에게 할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즉, 서버 시스템(200)은 작업 수행 모듈(260)이나 작업 관리 모듈(240)을 생성할 때, 메모리부(230)의 가용 영역을 확인한 후, 메모리부(230)의 가용 영역이 해당 모듈(작업 수행 모듈(260) 또는 작업 관리 모듈(240))을 동작시킬 때 필요한 메모리 영역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 모듈을 생성한다.
상기 메모리 영역은 일반적으로 세션과 작업의 단위를 큐로 관리하여, 작업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큐 영역과, 쓰레드와 프로세스간 빠른 데이터 교환을 위해 다수개의 쓰레드와 프로세스에게 공통적으로 개방되는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영역과, 작업의 진행과 처리 결과에 대한 이력을 기록하는 작업 기록 영역(Log Buffer)과, 워크-쓰레드(Work-Thread)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워크-쓰레드 작업 영역으로 세분된다.
이 때, 워크-쓰레드 작업 영역은 다수개의 워크-쓰레드별로 각각 할당되어 해당 워크-쓰레드의 작업 결과를 기록하는데, 새로운 워크-쓰레드를 더 추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워크-쓰레드 작업 영역 중 가용 영역을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 관리 모듈(240)은 워크-큐(223)에 저장된 작업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을 선택한 후, 해당 작업이 작업 수행 모듈(260)에 의해 처리되도록 관리하는장치로서, 하나의 서버 시스템 내에서 다수개가 운용된다. 이러한 작업 관리 모듈(240)은 일반적으로 워크-쓰레드(work-thread)라 명명하며, 각 작업들의 진행상황을 감시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자원을 관리한다.
모듈 관리자(250)는 작업 관리 모듈(240)의 생성과, 종료를 관리하는 모듈로서, 워크-큐(223)에 저장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대기중인 작업 관리 모듈(240)의 수가 부족한 경우 메모리부(230)의 처리 용량을 확인 한 후, 작업 관리 모듈(240)을 새로이 생성하고, 작업 관리 모듈(240)에서 관리하는 작업의 진행 상태에 의거하여 작업 관리 모듈(240)의 존속 여부를 관리한다. 즉, 작업 관리 모듈(240)에서 관리중인 작업이 종료되었거나, 중단된 경우 해당 작업 관리 모듈(240)을 중지시킨다. 이 때, 해당 작업 관리 모듈(240)이 점유하던 시스템 자원(예컨대, 메모리 영역)도 동시에 해제된다.
작업 수행 모듈(260)은 서버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단위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프로세스(Process)라 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통신망에서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다수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 모듈 및 멀티-큐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메모리 할당 및 초기화를 수행한다(s202). 이 때, 설정되는 작업 모듈은 작업 대기 모듈(210), 작업 관리 모듈(240)이 있으며, 멀티-큐는 슬립-큐(221), 레디-큐(222), 워크-큐(223)가있다.
그리고, 작업 대기 모듈(210)에 의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대기하다가(s204),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클라이언트와 서버 시스템 간 세션을 연결한다(s206, s208). 이 때, 세션의 의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세션이 연결되었으면, 우선,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분석하여, 각 작업들간 우선 순위를 부여한 후, 해당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 처리를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데, 그 세부적인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s210), 해당 작업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s212), 상기 요청 작업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 스케쥴에 의한 수행 방법을 결정하는 서비스 초기화를 수행한다(s214). 이상의 과정(s210 내지 s214)은 슬립-큐(221)에서 수행된다.
한편, 레디-큐(222)는 슬립-큐(221)의 내용 중 상기 과정(s212)에서 결정된 우선 순위에 의거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을 선택한 후, 해당 작업을 위해 필요한 전처리를 수행한다(s216). 그리고, 레디-큐(222)에서 전처리가 완료된 작업은 워크-큐(223)에 임시 저장되어, 작업 관리 모듈(240)에 의해 선택되기를 기다린다(s218).
그러면, 모듈 관리자(250)는 대기중인 작업 관리 모듈(240)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s220), 대기중인 작업 관리 모듈(240)이 있을 경우 워크-큐(223)에 임시 저장된 작업과 대기중인 작업 관리 모듈(240)을 연결한다(s224). 즉, 대기중인작업 관리 모듈(240)의 관리하에 해당 작업이 작업 수행 모듈(260)과 연결되어 처리되도록 제어한다(s226).
한편, 상기 확인(s220) 결과 대기중인 작업 관리 모듈(240)이 없을 경우 모듈 관리자(250)는 메모리부(230)의 가용 영역을 확인하여 새로운 작업 관리 모듈(240)을 생성한 후(s222), 그 작업 관리 모듈(240)과 워크-큐(223)에 임시 저장된 작업을 연결하여(s224) 해당 작업이 처리되도록 한다(s226).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그 처리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 후(s228), 서비스를 종료한다(s230). 즉, 해당 클라이언트와 서버 시스템간 연결된 세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운영되는 차량 항법 시스템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다. 이때, 차량 항법 시스템은 GPS 위성(10)과, GPS 위성(10)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량(20)과, 무선 인터넷망(30)(기지국(31), 인터넷 게이트웨이(32), 인터넷(33) 포함)과, 차량항법 및 지리정보 제공 서버(40)로 구성되는데, 각 차량들에게 무선 인터넷망(30)을 이용하여 차량 항법 및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항법 및 지리정보 제공 서버(40)가 서버 시스템이 되고, 그 차량항법 및 지리정보 제공 서버(40)로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차량(20)들이 클라이언트가 된다.
따라서, 차량항법 및 지리정보 제공 서버(40)는 다수개의 차량(20)으로부터 차량항법 또는 지리정보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을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이러한 시스템의 예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항법 시스템 이외에도 많은 예가 가능하다. 즉,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서버 시스템에 다수개의 작업 모듈 및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 내용을 순차적으로 관리하는 멀티-큐를 구성하고, 그 멀티-큐에 의해 다수의 클라이언트들 각각의 요청 작업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한 클라이언트가 서버 시스템과 접속된 상태에서 다운(down)될 경우, 서버 시스템이 유휴(idle) 상태에 빠지게 되어 다른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 시스템을 독점하게 될 경우, 다른 클라이언트들의 경우 그 클라이언트의 작업이 종료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단점을 해결하였다.
따라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동시에 작업을 요청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서버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처리 결과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통신망을 구성하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에 대한 단위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작업 수행 모듈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이 있을 경우,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간 세션을 연결하는 작업 대기 모듈과,
    상기 작업 대기 모듈에 의해 서버 시스템과 세션이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준비 작업을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임시 저장하는 큐잉부와,
    상기 큐잉부에서 준비 작업이 완료된 작업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을 선택한 후, 해당 작업이 상기 작업 수행 모듈에 의해 처리되도록 관리하는 다수개의 작업 관리 모듈과,
    상기 작업 관리 모듈의 생성과, 종료를 관리하는 모듈 관리자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 내용을 저장하고, 해당 작업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작업 수행 모듈 및 작업 관리 모듈에게 할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가지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부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작업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요청 작업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 스케쥴에 의한 수행 방법을 결정하는 슬립-큐(Sleep-queue)와,
    상기 슬립-큐에서 결정된 우선 순위에 의거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을 선택하여 해당 작업을 위해 필요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레디-큐(Ready-queue)와,
    상기 레디-큐에서 전처리가 완료된 작업들이 상기 작업 관리 모듈에 의해 선택될 때까지 상기 전처리가 완료된 작업들을 임시 저장하는 워크-큐(Work-queu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관리자는
    상기 워크-큐에 저장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대기중인 작업 관리 모듈의 수가 부족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의 처리 용량을 확인한 후, 상기 작업 관리 모듈을 새로이 생성하고, 상기 작업 관리 모듈에서 관리하는 작업의 진행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 관리 모듈의 존속 여부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
  4.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통신망에서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 모듈 및 멀티-큐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메모리 할당 및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1 과정과,
    클라이언트의 작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와 서버 시스템간 세션을 연결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설정된 멀티-큐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작업을 분석하여, 각 작업들간 우선 순위를 부여한 후, 해당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 처리를 수행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사전 처리가 완료된 작업을 해당 작업 처리 모듈에 의해 처리하고, 그 처리 상태를 별도의 관리 모듈에 의해 관리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처리된 작업 수행 결과를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 후, 해당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클라이언트가 작업에 요청한 작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작업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요청 작업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 스케쥴에 의한 수행 방법을 결정하는 제3-1 과정과,
    상기 제3-2 과정에서 결정된 우선 순위에 의거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을 선택하여 해당 작업을 위해 필요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제3-2 과정과,
    상기 제3-2 과정에서 전처리가 완료된 작업들이 상기 작업 관리 모듈에 의해 선택될 때까지 상기 전처리가 완료된 작업들을 임시 저장하는 제3-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01-0013063A 2001-03-14 2001-03-14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처리 방법 KR100378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063A KR100378444B1 (ko) 2001-03-14 2001-03-14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063A KR100378444B1 (ko) 2001-03-14 2001-03-14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968A KR20020072968A (ko) 2002-09-19
KR100378444B1 true KR100378444B1 (ko) 2003-04-10

Family

ID=2769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63A KR100378444B1 (ko) 2001-03-14 2001-03-14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981B1 (ko) * 2003-05-13 2012-01-20 이온빔 어플리케이션스 에스.에이. 멀티-룸 입자 빔 처치 설비에서의 자동 빔 할당 방법 및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61B1 (ko) * 2012-11-16 2014-10-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기적 메시지 기반 대량 병렬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981B1 (ko) * 2003-05-13 2012-01-20 이온빔 어플리케이션스 에스.에이. 멀티-룸 입자 빔 처치 설비에서의 자동 빔 할당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968A (ko)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254A (en) Method to manage concurrent execution of a distributed application program by a host computer and a large plurality of intelligent work stations on an SNA network
US785395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 workload off-loading across multiple data centers
US9122529B2 (en) Dynamic job processing based on estimated completion time and specified tolerance time
US8239868B2 (en) Computer system, servers constituting the same, and job execu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Elmroth et al. A grid resource broker supporting advance reservations and benchmark-based resource selection
US6195682B1 (en) Concurrent server and method of operation having client-server affinity using exchanged client and server keys
US8621031B2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nnection pools in communication networks
KR100509794B1 (ko)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작업들의 실시간 처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JP3301648B2 (ja) サービス・アクセス・ポイントに接続を分散する通信制御システム
US20030131285A1 (en) Automated system that tests software on multiple computers
US80247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off-loading user queries to a task manager
US20070255835A1 (en) Resource reservation for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systems
US11838384B2 (en) Intelligent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US7085831B2 (en) Intelligent system control agent for managing jobs on a network by managing a plurality of queues on a client
US8458702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user space up-calls on java virtual machine before/after garbage collection
US72193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rminating process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CN111163140A (zh) 资源获取和分配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7657590B2 (en) Load balancing system and method
US20090132582A1 (en) Processor-server hybrid system for processing data
EP1611523B1 (en) Controlling usage of system resources by a network manager
KR100378444B1 (ko) 서버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 시스템의처리 방법
TWI296387B (en) Scheduling method for remote object procedure call and system thereof
CN111709723A (zh) Rpa业务流程智能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7043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mand oriented network resource management
CN106790632B (zh) 一种流数据的并发传输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