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177B1 -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177B1
KR100378177B1 KR10-2002-0048938A KR20020048938A KR100378177B1 KR 100378177 B1 KR100378177 B1 KR 100378177B1 KR 20020048938 A KR20020048938 A KR 20020048938A KR 100378177 B1 KR100378177 B1 KR 100378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group
recording
additional audi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810A (ko
Inventor
문성진
오영남
정태윤
강정석
박판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417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8985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1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72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기록재생방법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록 및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수장의 정지화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이를 관리하는 정지화 그룹 정보와 정지화가 기록된 후 부가되는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이를 관리하는 오디오 그룹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대용량의 정지화 및 이에 부가되는 2차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최소한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시는 각각의 정지화 단위로 표시 및 편집할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의 에프터 레코딩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for still image}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A/V)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화 및 이에 부가되는 2차 오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및 기록재생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록 및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 특히, DVD(Digital Versatile Disc) 디스크상에 A/V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데 있어서, 특히 동영상에서의 각 정보와 동영상 데이터의 연결 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다루기 위한 PGC(Program Chain) 정보(11), VOB(Video Object) 정보들로 되어 있는 동영상 정보(12), 실제로 압축된 A/V 데이터가 VOB 단위로 기록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파일(13)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용어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화를 상, 하편으로 나누어 녹화했다고 하면, 영화 전체는 PGC가 되고, 상편, 하편은 각각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그램을 다시 여러개의 작은 단위인 셀로 분리하여 정의할 수 있고, 각각의 셀 정보는 일정한 분량의 실제 동영상 데이터 파일을 나타내는 하나의 VOB 전체를 지정할 수도 있고, VOB의 일부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셀은 재생시 억세스의 기본 단위로 이용되며, 프로그램과 PGC는 결국 복수의 셀의 연결에 관한 정보에 불과하다.
또한, 실제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파일상에 VOBU(Video Object Unit)라는 단위로 세분화되어 기록되어 있으므로 VOB 정보는 이 VOBU 데이터를 위한 정보들(VOBU #1, VOBU #2,...)로 이루어지고, 이 VOB 정보에 의해 동영상 데이터 파일상의 VOB 데이터를 지정하게 된다. 여기서, VOB 데이터는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랜덤 억세스의 단위로 이용되고, VOBU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비디오의 경우 하나의 GOP(Group of Picture)를 기준으로 하고, 오디오는 비디오에 해당되는 것을 모아서, 즉, A/V 데이터를 섹터 단위로 다중화하여 VOBU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는 동화에 대한 것으로, 실제 데이터의 구성 단위는 일정한 시간의 동영상 데이터인 VOB이고, A/V 신호의 동기나 부호화 방법등이 모두 VOB 단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정지화의 경우는 구성 단위가 정지화 한 장이므로 정지화 한 장이 하나의 VOB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셀 구조를 하나의 VOB를 지정하도록 하면 정지화 한 장마다 셀이 필요한 구조가 된다. 이렇게 되면 기록되는 정지화가 많아질수록 부가되는 정보가 급격히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록 가능한 디스크에는 소정 횟수 이상을 기록하게 되면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기록 가능한 횟수의 제한이 있는 데, 이러한 횟수 제한과 신속한 데이터의 억세스를 위하여 모든 정보 데이터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의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이용하는 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화인 경우정보의 양이 커지게 되면 모든 정보 데이터를 읽는 데도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일정한 크기의 메모리에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도 없으며, 이에 따라 대용량의 정지화를 기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의 정지화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정지화를 복수 개수로 그룹화하여 이를 관리하는 정지화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지화를 위한 비디오 정보 또는 원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를 위한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로 되어 있는 정지화 그룹 정보를 기록 비트스트림의 기록 순서대로 만들어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지화 데이터에 부가되는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정지화를 복수개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정지화 그룹 정보와 재생에 관련된 셀 정보를 기록하고, 이들 정보에 따라 정지화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지화를 위한 비디오 정보 또는 원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를 위한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로 되어 있는 정지화 그룹 정보와 재생에 관련된 셀 정보를 기록하고, 이들 정보에 따라 정지화 또는 원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지화 그룹 정보, 에프터 레코딩을 위한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와 재생에 관련된 셀 정보를 기록하고, 이들 정보에 따라 정지화, 정지화와 원오디오 또는 정지화와 2차 오디오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정지화를 복수개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정지화 그룹 정보, 정지화 그룹 정보와는 별도의 에프터 레코딩을 위한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와 재생에 관련된 셀 정보를 기록하고, 이들 정보에 따라 정지화, 정지화와 원오디오 또는 정지화와 2차 오디오를 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복수의 정지화 데이터를 갖는 제1 영역, 정지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복수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 및 제1 영역에서의 정지화 데이터와 제2 영역에서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제3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기록 및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상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A/V)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복수의 정지화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복수의 정지화를 소정의 최대 개수 이내로 그룹화하여 이를 위한 정지화 그룹 정보와 재생에 관련된 재생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정지화가 기록된 후 원하는 정지화에 부가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별도의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최대 개수 이내로 그룹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와 정지화 그룹 정보에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부가 오디오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시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재생 정보에 따라 재생하고자 하는 정지화 그룹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된 정지화 그룹 정보에 따라 원하는 정지화 위치를 계산해서 계산된 위치의 정지화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및 독출된 정지화 그룹 정보에 부가 오디오 그룹을 가리키는 정보가 존재하면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에 따라 해당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위치를 계산해서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 방법은 복수의 정지화 데이터를 갖는 제1 영역, 정지화 데이터에 해당하는 복수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 제2 영역 및 제1 영역에서의 정지화 데이터와 제2 영역에서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3 영역에서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1 영역에서의 정지화 데이터와 이 정지화 데이터에 부가된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기록 및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상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A/V)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정지화 데이터를 기록 매체상의 제1 영역에, 정지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영역에 기록되도록 신호 처리하는 기록 처리기 및 제1 영역에서의 정지화 데이터와 제2 영역에서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와 재생 순서와 관련된 재생 정보를 발생하여 제3 영역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시스템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제3 영역에서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1 영역에서의 정지화 데이터와 이 정지화 데이터에 부가된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신호 처리하는 재생 처리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동영상에서의 각 정보와 동영상 데이터와의 연결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정보 구조의 구성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지 영상에서의 각 정보와 정지화 데이터와의 연결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데이터와 이 정지화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데이터에 부가된 2차 오디오 데이터와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셀 정보와 정지화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셀 정보, 정지화 그룹 정보와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그룹 정보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정지화 맵 테이블의 구조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맵을 위한 비디오 맵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비디오 맵과 연결되는 원오디오 맵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정지화 2차 오디오 일반 정보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정지화 2차 오디오 맵 테이블의 구조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정지화 2차 오디오 맵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이다.
도 18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정지화를 위한 셀 정보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기록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를 기록한 후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재생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및 기록재생방법과 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정보 구조의 구성 예로서, PGC 정보, 동영상 정보, 정지화 정보로 구성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는 하나의 정보 파일 또는 정보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PGC 일반 정보에는 PGC 내의 프로그램 수등의 정보가 들어 있다. 프로그램 일반 정보에는 프로그램내의 셀 수 등의 정보가 들어 있다. 셀 정보는 동영상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VOB를 지정하도록 되어 있고, 정지화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VOB가 아닌 정지화 VOB 그룹(정지화 그룹이라고 약칭함)을 지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동영상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정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정지화 정보의 정지화 일반 정보에는 정지화 그룹 정보의 개수 등이 들어 있고, 정지화 2차 오디오 일반 정보에는 정지화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의 개수 등이 들어 있다.
도 3은 정지 영상에서의 각 정보와 정지화 데이터 연결 구조를 보이고 있다.즉, 데이터 파일상에 한 장의 VOB 단위로 기록되어 있는 정지화의 경우는 복수의 정지화 VOB를 묶어서 정지화 그룹으로 관리하고, PGC 정보(21)내의 셀 정보는 하나의 VOB가 아닌 정지화 그룹 정보(22)를 지정한다. 또한, 정지화에 오디오를 부가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정지화를 기록하는 것에 연속하여 오디오를 기록함으로써 재생시 재생 헤드의 서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정지화와 동시에 기록된 오디오를 원오디오라고 하며, 원오디오는 정지화 그룹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정지화라 함은 단순히 비디오 데이터 파트만이 있는 정지화와 원오디오 데이터 파트가 비디오 데이터 파트와 같이 공존하는 정지화를 모두 나타낸다.
이렇게 정지화를 그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얻는 이득은 상술한 셀 정보의 개수가 줄어드는 것 이외에 정지화 정보도 줄어든다. 예를 들어, 정지화 그룹내의 비디오 부호화 속성이나 원오디오 부호화 속성을 같게 하여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로 하여 공통 정보로 저장한다. 각 정지화마다 정지화 데이터 파일에서의 위치를 나타내어야 하는 데, 그룹으로 하지 않을 경우는 각각의 정지화 시작 위치를 나타내어야 하지만 그룹으로 할 경우에는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에 해당 정지화 그룹이 파일내에서 기록되는 시작 위치를 저장하고, 각 정지화를 위한 정보로는 각각의 크기(size)만을 기록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정지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량(즉, 바이트수)이 파일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량보다 적으므로 전체 정보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정지화용 파일(23)에 정지화와 원오디오를 기록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지화에 대해서는 별도의 2차 오디오를 부가할 수 있다. 이때, 원오디오 데이터는 그대로 두고, 2차 오디오 데이터용 파일(24) 또는 정지화용 파일(23)내의 별도의 공간에 2차 오디오만을 모아 기록한다. 2차 오디오를 위한 관리 정보도 정지화와 마찬가지로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데 그 개념은 동일하다. 즉, 오디오 부호화 등의 속성이 같은 복수의 2차 오디오를 묶어 2차 오디오 그룹(GAOB)으로 한 다음 공통 정보를 2차 오디오 그룹 일반 정보로 하여 기록하고 각각의 2차 오디오 데이터(AOB)를 위해서는 각각의 크기 정보만을 기록하면 된다. 2차 오디오 그룹 일반 정보에는 2차 오디오 그룹의 오디오 데이터가 시작하는 위치가 포함된다. 이렇게 특정한 정지화에 부가된 2차 오디오에 대한 연결정보(굵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는 정지화 그룹 정보(GVOB #1, GVOB #2,...)내에 존재하게 된다. 즉, 정지화 그룹 정보에 존재하는 2차 오디오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와 해당 2차 오디오 그룹내의 2차 오디오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룹내의 특정한 정지화의 기록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에 있는 정지화 그룹 데이터의 시작 위치와 찾고자 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더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특정한 2차 오디오의 기록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2차 오디오 그룹 일반 정보에 있는 2차 오디오 그룹 데이터의 시작 위치와 찾고자 하는 2차 오디오 데이터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더하면 된다.
정지화 그룹의 경우에는 비디오 파트와 원오디오 파트가 하나의 파일 또는 공간에 연속하여 기록되므로 이들 데이터 크기를 포함한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도 실제 비디오 데이터, 원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비트스트림 순서대로 기록된다. 2차 오디오 그룹의 경우에는 2차 오디오 데이터만 있으므로 2차 오디오 정보만이 실제 2차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비트 스트림 순서대로 기록된다.
따라서, 도 3에서는 원오디오가 부가될 수도 있는 정지화용 파일(23), 정지화에 부가되는 2차 오디오 데이터용 파일(24), 셀 정보(21)와 정지화 정보(22)를 위한 정보 파일로 존재하지만, 이 2차 오디오 데이터는 2차 오디오 데이터용 파일(24)에 기록되지 않고 정지화용 파일(23)의 별도의 영역에 기록될 수 있고, 정지화용 파일(23)을 제1 영역, 2차 오디오 데이터용 파일(24)를 제2 영역, 셀 정보(21)과 정지화 정보(22)를 포함하는 정보 파일을 제3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 영역은 논리적인 영역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로서, 기록 가능하고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를 이용하여 A/V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의 기능은 크게 기록과 재생으로 나눌 수 있다.
기록시, AV 코덱(110)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A/V 신호를 소정의 압축 체계(scheme)에 의해 압축 부호화하고, 압축된 데이터에 대한 크기 정보를 제공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120)는 AV 코덱(110)으로부터 공급되는 A/V 데이터를 받아서 ECC(Error Correction Code) 처리를 위한 부가 데이터를 부가하고, 소정의 변조 체계에 의해 변조 등을 수행한다. 고주파 증폭기(RF AMP로 표기되어 있음: 130)는 DSP(1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데이터를 광학 신호로 변환한다. 픽업부(140)는 디스크를 구동시키며, RF AMP(130)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디스크에 기록하며, 포커싱 및 트래킹을 행하기 위한 엑튜에이터를 내장하고 있고 있다. 서보부(150)는 RF AMP(130)와 시스템 콘트롤러(160)로부터 서보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받아서 안정된 서보를 수행한다.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시스템 콘트롤러(16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면서 그룹 단위로 정지화가 디스크상에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기록되는 정지화에 대하여 별도의 정보도 기록하는 데, 기록되는 정지화 및 원오디오의 기록 순서대로 정지화의 데이터 크기, 원오디오의 데이터 크기, 원오디오의 재생 시간 등의 각 정지화에 대한 정보와 각 정지화 그룹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으로 정지화 그룹 정보를 구성하여 정지화 데이터를 그룹 단위로 관리한다. 또한, 정지화에 2차 오디오를 부가하는 경우에는 부가되는 2차 오디오를 별도의 파일이나 정지화와 같은 파일의 다른 영역에 기록하고, 기록된 2차 오디오에 대한 데이터의 크기, 재생 시간등의 정보와 각 2차 오디오 그룹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으로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를 구성하여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그룹 단위로 관리하고, 각 정지화에 대한 정보에는 부가된 2차 오디오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이러한 정보들과 함께 재생 순서에 관련된 정보인 셀 정보를 기록하는 데, 셀 정보에는 기록된 정지화 그룹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기록된 정지화 및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재생시, 픽업부(14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디스크로부터 광학 신호를 픽업하고, 이 광학 신호로부터 데이터가 추출된다. RF AMP(130)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서보를 행하기 위한 서보 신호와 변조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DSP(120)는 RF AMP(130)로부터 공급되는 변조된 데이터를 변조시 사용한 변조 체계에 대응하여 복조하고, ECC를 수행하여 오류를 수정하고 부가 데이터를 제거한다. 서보부(150)는 RF AMP(130)와 시스템 콘트롤러(160)로부터 서보 제어에 필요한정보를 받아서 안정된 서보를 수행한다. AV 코덱(110)은 DSP(12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된 A/V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A/V 신호를 출력한다. 시스템 콘트롤러(160)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처리하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면서,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셀 정보 및 정지화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정지화만, 정지화 + 원오디오 또는 정지화 + 2차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하여 시스템 전체를 제어한다.
즉, 특정한 정지화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셀 정보로부터 재생할 정지화가 있는 정지화 그룹 정보를 얻고, 이 정지화 그룹 정보에서 정지화 데이터의 크기 정보등을 얻고, 원오디오가 있는 경우에는 원오디오의 데이터 크기 및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얻어서 원하는 데이터만을 재생하게 된다. 또한 정지화에 2차 오디오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지화 그룹 정보에서 가리키는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에서 2차 오디오의 데이터 크기 및 재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2차 오디오를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기록시의 AV 코덱(110), DSP(120), RF 증폭기(130), 픽업부(140)는 기록 처리기로 지칭될 수 있고, 재생시의 AV 코덱(110), DSP(120), RF 증폭기(130), 픽업부(140)는 재생 처리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데이터와 정지화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으로서, 각 정지화 그룹(GVOB로 표기되어 있음) 정보(201)에는 속성(attributes)이 같은 복수장(예로서 최대 64장)의 정지화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 각 정지화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장의 정지화수는 최대 정지화수 이내에서 정해진다. 하나의 정지화 그룹 정보(202)에는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와 각각의 정지화에 대한 정보로서 이루어지며, 기록되는 비트스트림 순서대로 비디오 파트 또는 비디오 파트와 오디오 파트로 이루어진 정지화 데이터(203)를 위한 정보이다.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에는 해당 정지화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가 주어진다.
또한, 각각의 정지화를 위한 정보로서 원오디오가 존재하는 정지화 정보는 비디오 파트를 위한 비디오 파트 정보와 오디오 파트를 위한 오디오 파트 정보로 이루어진 맵 정보로 존재하고, 이때 하나의 정지화에 대한 비디오 맵과 오디오 맵은 동일한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가지며, 비디오 파트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비디오 파트 정보만으로 구성된 맵으로 존재한다. 여기서, 하나의 VOB에는 한 장의 정지화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에 부가된 2차 오디오 데이터와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으로서, 각 2차 오디오 그룹(Audio Object Group: GAOB로 표기되어 있음) 정보(211)에는 복수의 정지화를 위한 그룹 단위로 기록되어 있는 2차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하나의 2차 오디오 그룹에 대한 2차 오디오 그룹 정보(212)는 해당하는 2차 오디오 그룹 시작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2차 오디오 그룹 일반 정보와 2차 오디오 데이터 순서에 따른 오디오 맵들로 구성된다. 각 2차 오디오 맵에는 정지화의 2차 오디오 파트로 이루어진 2차 오디오 데이터(213)를 위한 정보가 기록되며, 여기에는 2차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가 포함된다.
도 7은 재생 순서와 관련된 표시에 관한 논리적인 단위인 셀에 대한 정보(재생 정보라고 지칭될 수 있음), 정지화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으로서, 셀 정보는 정지화 그룹의 식별 정보(GVOB_ID), 해당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 재생 시작 식별 정보(START VOB_ID)와 정지화 재생 끝 식별 정보(END_VOB_ID)를 포함하며, 이 셀 정보는 정지화 그룹 전체에 해당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재생하기 원하는 정지화 그룹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2차 오디오 데이터는 정지화 데이터와는 별도의 공간에 저장되는 데, 이것은 별도의 파일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정지화 데이터와 같은 파일내의 별도의 영역에 저장될 수도 있다.
2차 오디오 데이터가 정지화 데이터와는 별도의 파일에 저장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화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GVOB #1,#2,#3가 하나의 파일을 구성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GAOB #1,#2,#3가 하나의 파일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실제의 정지화 또는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하게 된다.
또한, 2차 오디오 데이터와 정지화 데이터를 함께 하나의 파일로 구성할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GVOB #1,#2,#3, GAOB #1,#2,#3이 모두 하나의 파일을 구성하는 것이 된다. 물론 이렇게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기록 순서에 따라 각각의 GVOB, GAOB가 혼합되어 예를 들어 GVOB #1, GVOB #2, GAOB #1, GVOB #3, GAOB #2, GAOB #3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GVOB들을 묶어서 배치하고 GAOB들도 묶어서 배치하여 하나의 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정지화에 부가되는 오디오가 원오디오 뿐만 아니라 별도 영역에 기록되는 2차 오디오 그룹내의 원하는 2차 오디오를 지정하기 위하여, 셀 정보, 정지화 그룹 정보,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으로서, 셀 정보는 정지화 그룹의 식별 정보(GVOB_ID), 해당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 재생 시작 식별 정보(START VOB_ID)와 정지화 재생 끝 식별 정보(END VOB_ID)를 포함하며, 정지화 그룹(GVOB #i)에 대한 그룹 정보내의 비디오 파트 정보에는 정지화에 부가되는 2차 오디오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 즉,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GAOB_ID)와 해당 2차 오디오 그룹내의 2차 오디오(AOB) 식별 정보(AOB_ID)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화 그룹 GVOB #i 의 정지화 # 2를 위한 비디오 파트 정보에는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인 GAOB #j와 GAOB #j 내에서 두 번째 오디오 맵이라는 식별 정보 #2가 존재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그룹 정보의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 정지화 그룹 정보에는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와 정지화 맵 테이블로 구성되고, 픽쳐 크기, 영상 부호화 모드와 같은 정지화 속성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로서, 이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에는 정지화용 파일에서 정지화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GVOB_ID, 정지화용 파일에서 해당 정지화 그룹내의 첫 번째 정지화 데이터가 시작되는 시작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GVOB_S_ADR,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의 개수를 나타내는 GVOB_Ns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 GVOB_ID는 정지화용 파일내에서 정지화 그룹마다 유일한것으로 명시적으로 기록되어질 수도 있고, 정지화 그룹 순서대로 #1,#2,...등으로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정지화 맵 테이블의 구조의 예로서, n개의 맵으로 구성되는 맵은 두가지 맵이 있는 데, 하나는 비디오 파트를 위한 비디오 맵(VMAP)이고, 다른 하나는 정지화에 존재하는 원오디오 파트를 위한 오디오 맵(AMAP)이다. 맵의 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화용 파일에서 기록 비트스트림의 데이터 순서와 같다. 따라서, 정지화가 비디오만 있는 경우는 비디오 맵만 있고, 원오디오가 같이 있는 경우는 비디오 맵과 오디오 맵이 같이 기록되는 데,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하는 하나의 맵으로 볼 수 있다.
도 12는 비디오 맵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로서, 해당 맵의 타입을 나타내며, 비디오 파트를 위한 비디오 맵인 경우 2진수로 "0"인 MAP_TY, 이 비디오 파트를 위한 식별 정보(VOB_ID)를 포함하고, 이 VOB_ID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1에서 64까지를 나타내고, 또한, VOB_ID는 명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고, 기록된 순서대로 #1,#2,#3,...으로 암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맵에는 비디오 파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V_PART_SZ, 2차 오디오 그룹의 식별 정보이고 이 정지화의 2차 오디오가 존재하면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의 값은 존재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그 값은 "0"인 GAOB_ID, 이 정지화의 2차 오디오가 존재하면 2차 오디오 그룹내에서 식별 정보를 나타내며, 존재하지 않으면 그 값이 "0"인 2차 오디오 식별 정보(AOB_ID)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VOB_ID와 V_PART_SZ는 정지화 위치 정보로 지칭될 수 있고, GAOB_ID와 AOB_ID는 2차 오디오 연결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3은 오디오 맵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로서, 해당 맵의 타입을 나타내며, 오디오 파트를 위한 오디오 맵인 경우 2진수로 "1"인 MAP_TY, 오디오의 재생시간을 나타내는 A_PBTM, 오디오 파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A_PART_SZ 등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의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 정지화 2차 오디오 그룹에는 정지화 2차 오디오 일반 정보와 정지화 2차 오디오 맵 테이블이 포함되고, 정지화 2차 오디오 속성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정지화 2차 오디오 그룹 일반 정보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로서, 2차 오디오용 파일에서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GAOB_ID, 2차 오디오용 파일에서 해당 2차 오디오 그룹내의 첫 번째 2차 오디오 데이터가 시작되는 시작 어드레스(2차 오디오 그룹의 위치 정보라고 지칭될 수 있음)를 나타내는 GAOB_S_ADR, 2차 오디오 그룹내에 포함되어 있는 2차 오디오의 개수를 나타내는 GAOB_Ns 등을 포함한다. 이 GAOB_ID는 명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고, 기록된 순서대로 암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16은 2차 오디오 파트를 위한 n개의 2차 오디오 맵으로 구성되는 2차 오디오 맵 테이블의 구조의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2차 오디오 맵의 상세 내용의 예를 보인 테이블로서, 2차 오디오 그룹내에서 특정한 2차 오디오를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내며, 이값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1에서 64를 나타낼 수 있는 AOB_ID, 2차 오디오 재생시간을 나타내는 A_PBTM, 섹터수등으로 2차 오디오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A_PART_SZ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AOB_ID는 명시적으로 기록될 수도 있고, 그룹내에서의 순서대로 #1,#2,#3,..등으로 암시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8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재생 정보인 셀 정보의 상세 내용을 보인 테이블로서, 정지화 그룹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S_GVOB_ID, 해당 정지화 그룹내에서 재생 시작 정지화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S_VOB_ID와 재생 끝 정지화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E_VOB_ID 등을 포함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기록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로서, 정지화와 원오디오를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정지화만 기록할 것인지 또는 정지화와 동시에 원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것인지를 설정한다(S101 단계). 정지화 그룹 정보를 생성해서 그룹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정지화 그룹내 정지화 수를 "0"으로 설정하고, 정지화용 파일내 정지화 그룹 시작 위치를 기록한다(S102 단계). 사용자로부터 정지화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해서(S103 단계),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화용 파일에 정지화를 기록하면서 비디오 맵내에 기록되는 정지화를 위한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정지화 그룹 정보내 정지화 수를 하나 증가시키고, 비디오 맵내에 정지화 크기 정보를 기록한다(S104 단계).
사용자 설정이 정지화와 동시에 원오디오를 기록하는 모드인지를 판단해서(S105 단계), 사용자 설정이 정지화와 원오디오를 기록하는 모드이면 정지화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정지화용 파일에 해당 정지화에 연속하여 기록하면서 정지화 그룹 정보 내의 오디오 맵에 오디오 크기 정보를 기록한다(S106 단계).
기록된 정지화 수가 하나의 그룹(예로서 최대 64장)을 구성하는지를 판단해서(S107 단계), 하나의 그룹 정보가 구성되면 다른 정지화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S102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정지화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S103 단계로 진행한다.
S105 단계에서 사용자 설정이 정지화만 기록하는 모드이면 S106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다음 정지화를 기록하기 위해서 S107 단계로 진행하고, S103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정지화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록을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해서(S108 단계), 기록을 종료할 것으로 판단되면 셀 정보를 기록한 후 종료한다(S109 단계). 여기서, 셀 정보는 초기값으로 모든 정지화 그룹마다 하나씩 생성되어 모든 정지화가 재생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를 기록한 후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를 생성해서,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내 오디오 수를 "0"으로 설정하고, 2차 오디오 파일내 오디오 그룹 시작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S201 단계).
사용자로부터 2차 오디오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해서(S202 단계), 2차 오디오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2차 오디오 데이터를 부가하기를 원하는 특정 정지화를 지정하고(S203 단계). 2차 오디오용 파일에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2차 오디오 그룹 정보의 오디오 맵내의 2차 오디오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내 오디오 수를 하나 증가시키고, 오디오 맵내 2차 오디오 크기 정보를 기록한다(S204 단계). 여기서, 2차 오디오 데이터를 정지화 데이터와는 별도의 파일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정지화 데이터와 같은 파일내의 별도의 영역에 저장할 수도 있다.
미리 지정된 정지화의 정지화 그룹 식별 정보와 정지화 식별 정보를 독출해서, 이 정지화를 위한 정보 즉, 지정된 정지화의 비디오 맵에 2차 오디오의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 2차 오디오 식별 정보를 기록한다(S205 단계).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내 2차 오디오 맵수가 그룹을 구성하는 개수(N)인지를 판단해서(S206 단계), 그룹 정보를 구성하면 다른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S20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2차 오디오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S203 단계를 진행한다. S203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2차 오디오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종료한다.
여기서, 특정 정지화를 지정하는 단계(S203 단계)가 2차 오디오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202 단계)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로서, 정지화와 이에 부가되는 원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 있어서, 먼저, PGC 정보와 셀 정보를 독출해서(S301 단계), 이 셀 정보로부터 재생하고자 하는 정지화 그룹 식별 정보, 재생 시작 식별 정보, 재생 끝 식별 정보 등을 독출해서 셀이 가리키는 정지화 그룹 정보를 독출한다(S302 단계). 독출된 정지화 그룹 정보내에 재생 시작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비디오 파트를위한 비디오 맵(VMAP) 정보를 얻어서 비디오 파트의 크기 등을 독출하고, 원오디오가 있는 정지화이면 비디오 맵과 오디오 맵 정보를 얻어서 비디오 파트의 크기 및 오디오 크기 정보 등을 독출한다(S303 단계).
독출된 비디오 파트 정보에 따라 원하는 정지화 위치를 계산하게 되고, 계산된 위치의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해서 복호화하여 정지화를 재생한다(S304 단계). 여기서, 원하는 정지화 위치는 정지화 그룹 시작 위치와 찾고자 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하면 얻어진다. 정지화를 재생한 경우에는 정지화에 원오디오가 부가되어 있는지를 판단해서(S305 단계), 정지화에 원오디오가 부가되어 있으면 원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고 복호화해서 오디오를 재생한다(S306 단계). 여기서, 원오디오의 독출 위치는 계산된 정지화 위치와 이 정지화의 비디오 파트 크기를 합하면 얻어진다. 셀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셀에 속한 정지화를 모두 재생했는 지를 체크한 후 다음 재생할 정지화가 남아 있는 지를 판단해서(S307 단계), 재생할 정지화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다음 정지화의 비디오 파트를 위한 정보를 독출하는 S303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복수의 셀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이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여기서, 정지화에 원오디오가 부가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05 단계)가 정지화 그룹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S302 단계) 직후 수행할 수 있는 데 독출된 정지화 그룹 정보에 따라 비디오 파트를 위한 맵에 연속해서 오디오 파트를 위한 맵이 부가되어 있으면 정지화에 원오디오가 부가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지화 재생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로서, 정지화 또는 원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 또는 2차 오디오 데이터가 부가된 정지화를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에 있어서, 먼저 PGC 정보내의 셀 정보를 독출해서(S401 단계), 재생하고자 하는 셀이 가리키는 정지화 그룹 정보를 독출한다(S402 단계).
독출된 정지화 그룹 정보로부터 정지화 그룹의 시작 위치를 독출하고, 원하는 정지화 위치를 계산한다(S403 단계). 여기서, 원하는 정지화 위치는 정지화 그룹 시작 위치와 찾고자 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하면 얻어진다. 계산된 원하는 정지화 위치 정보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하고 복호화해서 정지화를 재생한다(S404 단계).
정지화 그룹 정보로부터 2차 오디오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S405 단계), 2차 오디오가 없으면, 원오디오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406 단계). 여기서, 2차 오디오의 존재는 재생하기 원하는 정지화의 비디오 파트를 위한 맵 정보에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와 2차 오디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원오디오의 존재는 재생하기 원하는 정지화의 맵 테이블에서 오디오 정보(오디오 맵)가 있는 지를 판단해서 알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원오디오가 존재하면 원오디오의 독출 위치를 계산한다(S407단계). 여기서, 원오디오의 독출 위치는 S403 단계에서 계산된 정지화 위치와 이 정지화의 비디오 파트 크기를 합하면 얻어진다. 계산된 원오디오 위치 정보로부터 원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고 복호화해서 원오디오를 재생한 후(S408 단계), S411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S405 단계에서 2차 오디오가 존재하면 즉, 이 정지화에 지정된 2차 오디오 그룹 식별 정보와 2차 오디오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0"이 아니면 2차 오디오 그룹 정보로부터 2차 오디오 그룹의 시작 위치를 독출해서 원하는 2차 오디오 위치를 계산한다(S409 단계). 이 원하는 2차 오디오 위치는 2차 오디오 그룹 시작 위치와 이 2차 오디오 그룹내 지정된 2차 오디오 식별 정보를 가진 2차 오디오 이전에 위치한 2차 오디오들의 크기를 합하면 얻을 수 있다.
계산된 원하는 2차 오디오 위치 정보로부터 2차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고 복호화해서 2차 오디오를 재생한 후(S410 단계), 다음 재생할 정지화가 남아 있는지를 판단해서(S411 단계), 재생할 정지화가 남아 있으면 S40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S411 단계). 복수의 셀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전체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2차 오디오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S405 단계와 원오디오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S406 단계 대신에 S402 단계에서 독출된 정지화 그룹 정보로부터 현재 재생될 정지화가 비디오 파트로만 이루어진 정지화인지, 원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인지, 2차 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인지를 먼저 판단해서 비디오 파트로만 이루어진 정지화이면 S403 단계, S404 단계를 수행하고, 원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이면 S403 단계, S404 단계, S407 단계, S408단계를 수행하고, 2차 오디오가 부가된 정지화이면 S403 단계, S404 단계, S409 단계, S410 단계를 수행한 후 S411 단계로 진행하는 재생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른 흐름도가 더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지화만 재생할 것인지, 정지화와 원오디오를 재생할 것인지 또는 정지화와 2차 오디오를 재생할 것인지를 설정해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재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정지화 및 이에 부가되는 원오디오 뿐만 아니라 2차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시는 각각의 정지화 단위로 표시 및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2차 오디오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에프터 레코딩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되는 비트스트림 순서대로 정지화 정보의 비디오 맵 및/또는 오디오 맵 정보를 구성하므로서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1)

  1. 기록 및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상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A/V)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정지화를 기록 매체상의 제1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부가되는 복수개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기; 및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정지화와 상기 제2 영역에서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정보와, 상기 정지화 및 상기 대응 부가 오디오데이터의 재생 순서와 관련된 재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연결 정보가 상기 기록 매체의 제3 영역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영역은 상기 기록 매체 상에서 각각의 파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하나의 파일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부가되는 원오디오 데이터를 대응하는 정지화 후에 연속해서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연결 정보에는 복수의 정지화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정지화 그룹 정보와 복수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는 정지화 그룹 각각의 시작 위치 정보와 각각의 정지화 그룹내의 비디오 파트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지화 그룹 일반 정보와
    각각의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의 위치 정보와 상기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가리키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의 위치 정보에는 비디오 파트 각각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의 위치 정보에는 상기 정지화에 부가되는 부가오디오를 위한 오디오 파트 크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는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의 데이터가 시작되는 시작 위치 정보와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내의 부가 오디오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부가 오디오 그룹 일반 정보와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부가 오디오 그룹 내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정보에는 상기 정지화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지화 그룹을 가리키는 식별 정보, 상기 가리켜진 정지화 그룹내에서 재생 시작 위치와 끝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정지화 데이터와 이 정지화 데이터에 부가된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신호 처리하는 재생 처리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정지화를 그룹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정지와 그룹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제3 영역상의 정지화 그룹 정보내의 원하는 정지화를 포함하는 정지화 그룹 시작 위치와 상기 정지화 그룹내에서 상기 원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1 위치의 정지화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3 영역상의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내의 부가 오디오 그룹 시작 위치와 원하는 부가 오디오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2 위치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 정지화들 후에 연속하여 기록된 원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정지화와 상기 대응하는 원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제3 영역상의 정지화 그룹 정보내의 원하는 정지화를 포함하는 정지화 그룹의 시작 위치와 상기 원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1 위치의 원하는 정지화를 재생하고,
    상기 원하는 정지화의 위치와 상기 원하는 정지화의 비디오 파트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2 위치의 원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기록 매체 상에 RF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오디오/비디오(A/V) 신호를 RF로 처리하기 위한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제1 영역에 RF 신호를 정지화로서 그룹으로 저장하되, 동일 그룹내의 각각의 정지화는 동일한 속성(attribute)을 가지도록 저장하며,
    상기 정지화 그룹에 대응해서 상기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정지화와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간의 관계, 상기 정지화 그룹 및 부가 오디오 그룹 각각의 기록 매체 상의 시작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정지화 그룹내의 각각의 정지화 및 상기 각각의 부가 오디오 그룹 내의 각각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반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정지화를 비디오 파트 또는 비디오 파트 및 오디오 파트로 연속하여 저장하고,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하여 저장하며,
    각각의 정지화 그룹 및 부가 오디오 그룹의 시작 위치, 각각의 정지화 그룹 내의 상기 비디오 파트 또는 상기 비디오 파트 및 오디오 파트의 크기, 각각의 부가 오디오 그룹 내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를 상기 비디오 파트 또는 비디오 및 오디오 파트와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트 스트림 순서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재생 정보이며, 상기 정지화 그룹들 중 재생되는 정지화를 포함하는 정지화 그룹의 그룹 식별 정보 및 상기 정지화들 중 재생이 시작되는 정지화의 정지화 재생 시작 식별 정보 및 재생이 종료하는 정지화 재생 종료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셀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정지화 그룹 및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을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순서대로 섞어서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정지화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제1 정보, 각각의 정지화 그룹 내의 첫 번째 정지화의 시작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각각의 정지화 그룹의 정지화 개수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각각의 오디오 파트가 비디오 맵(video map)의 타입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오디오 파트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오디오 파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맵을 갖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각각의 오디오 파트가 오디오 맵의 타입을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오디오 파트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정보와, 상기 오디오 파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맵을 가지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각각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정보,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각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오디오 맵 테이블을 가지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각각의 정지화가 비디오 파트 또는 비디오 파트 및 오디오 파트와, 각각의 비디오 파트 및 오디오 파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반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비디오(A/V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기 위한 AV 코더-디코더와;
    에러 정정 코딩을 위해 상기 압축 부호화된 A/V 신호에 데이터를 부가하고,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러 정정된 A/V 신호를 변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상기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증폭기와;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상에 상기 정지화의 기록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콘트롤러와;
    상기 시스템 콘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상기 RF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광 픽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25. 기록 매체 상에 RF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오디오/비디오(A/V) 신호를 RF로 처리하기 위한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제1 영역에 정지화를 그룹으로 저장하되, 동일 그룹내의 각각의 정지화는 동일한 속성을 가지도록 저장하며,
    상기 정지화 그룹에 대응해서 상기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정지화 그룹 및 부가 오디오 그룹 각각의 시작 위치와, 상기 각각의 정지화 그룹내의 첫 번째 정지화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정지화의 시작 위치 없이 단지 크기와, 상기 각각의 부가 오디오 그룹 내의 첫 번째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시작 위치 없이 단지 크기를 나타내는 일반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시스템.
  26. 제1 영역의 정지화와, 제2 영역에 상기 정지화들 중 일부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정지화와 상기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정보, 및 상기 정지화 및 상기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와 관련된 재생 정보를 가지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지화들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정지화들 중 원하는 정지화와 상기 제3 영역의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처리기와,
    상기 원하는 정지화와 상기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정지화를 그룹으로 나누기위한 정지와 그룹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제3 영역상의 정지화 그룹 정보내의 원하는 정지화를 포함하는 정지화 그룹 시작 위치와 상기 정지화 그룹내에서 상기 원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1 위치의 정지화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3 영역상의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내의 부가 오디오 그룹 시작 위치와 원하는 부가 오디오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2 위치의 상기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 정지화들 후에 연속하여 기록된 원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정지화와 상기 대응하는 원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제3 영역상의 정지화 그룹 정보내의 원하는 정지화를 포함하는 정지화 그룹의 시작 위치와 상기 원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1 위치의 상기 원하는 정지화를 재생하고,
    상기 원하는 정지화의 위치와 상기 원하는 정지화의 비디오 파트 크기를 합해서 결정된 제2 위치의 원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복수개의 정지화, 상기 정지화를 다수의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정지화 그룹 정보,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 상기 정지화와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정보, 및 상기 정지화의 재생 순서와 관련된 재생 정보를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지화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연결 정보에 따라서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광 픽업부와;
    상기 판독된 정지화 그룹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정지화들 중 원하는 정지화의 제1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정지화를 재생하고, 상기 판독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에 따라서 상기 원하는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제2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2 위치에 위치한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정지화들 중 대응하는 정지화 후에 연속하여 기록된 원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기는 상기 판독된 정지화 그룹 정보에 따라서 상기 원하는 정지화에 대응하는 원 오디오 데이터의 제3 위치를 계산하고,상기 계산된 제3 위치에 위치한 상기 원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는
    상기 판독된 정지화 그룹 정보내에서 상기 정지화 그룹들 중 상기 원하는 정지화를 포함하는 정지화 그룹의 시작 위치와 상기 원하는 정지화에 선행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합하여 상기 원하는 정지화의 제1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원하는 정지화의 제1 위치와 상기 정지화의 비디오 파트의 크기를 합하여 상기 원하는 원 오디오 데이터의 상기 제2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정보는 재생되는 정지화 그룹 및 정지화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셀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재생기는 재생되는 정지화의 판독 및 디코딩 이후에 상기 셀 정보에 따라 상기 정지화들 중 다른 어느 정지화가 재생될 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기록 매체 상에 정지화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들을 정지화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정지화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상기 정지화 그룹 들 중 하나의 시작 어드레스를 기록하기고,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나누기 위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하나의 정지화에 대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들 중 해당 부가 오디오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를 기록하는 기록 처리기와;
    상기 정지화들 중 하나의 정지화를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고, 상기 정지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에 할당하고 저장하며, 상기 하나의 정지화의 크기를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하나의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에 할당 및 저장하며, 상기 하나의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를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정지화 그룹들 중 대응하는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 수를 나타내는 제1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의 정지화의 제1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1 수가 상기 제1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정지화 그룹내에 다음 정지화에 대해 상기 생성 및 기록 단계를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들 중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있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제2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 내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제2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2 수가 상기 제2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다음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상기 생성 및 기록 단계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제1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제어기는 정지화들에 대한 상기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제1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가 재생가능하도록 상기 정지화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셀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제2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제2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모드가 상기 해당 정지화 및 대응하는 원 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기록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 후에 연속하여 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원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를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에 순서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정지화를 기록한 후에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정지화 그룹들 중 대응하는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 수를 나타내는 제1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수를 증가시키며, 상기 제1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의 정지화의 제1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1 수가 상기 제1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정지화 그룹내에 다음 정지화에 대해 상기 생성 및 기록 단계를 반복하도록 하며,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들 중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있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제2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 내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제2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2 수가 상기 제2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다음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상기 생성 및 기록 단계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제1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제어기는 정지화들에 대한 상기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제1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가 재생가능하도록 상기 정지화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셀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제2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제2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기록 매체 상에 정지화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부와;
    기록 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정지화를 정지화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정지화 그룹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정지화 그룹 들 중 하나의 시작 어드레스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정지화들 중 하나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며,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에 할당하고 저장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해당 정지화의 크기를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에 기록하며,
    상기 기록 처리기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부가 오디오 데이터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들 중 하나의 시작 어드레스와 상기 정지화들 중 하나의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며,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로 할당하고 저장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해당 정지화의 크기를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에 기록하고, 상기 해당 정지화의 정지화 그룹 정보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며, 연결 정보로서 상기 해당 정지화의 정지화 그룹 정보내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정지화 그룹들 중 대응하는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 수를 나타내는 제1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의 정지화의 제1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1 수가 상기 제1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정지화 그룹내에 다음 정지화에대해 기록 하도록 하고, 상기 생성 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들 중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있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제2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 내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제2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2 수가 상기 제2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다음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기록하도록 하고,상기 생성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정지화의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정지화들에 대한 상기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정지화의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해당 정지화가 재생가능하도록 상기 정지화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셀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며,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며,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시작 신호가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셀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응하는 해당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모드가 상기 해당 정지화 및 대응하는 원 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기록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 후에 연속하여 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원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를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에 순서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정지화를 기록한 후에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정지화 그룹들 중 대응하는 정지화 그룹내의 정지화 수를 나타내는 제1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의 정지화의 제1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1 수가 상기 제1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정지화 그룹내에 다음 정지화에 대해 기록 하도록 하고, 상기 생성 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들 중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있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제2 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수가 임의의 정지화 그룹 내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제2 선정된 한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제2 수가 상기 제2 선정된 한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일한 대응 부가 오디오 그룹내에 다음 부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기록 하도록 하고,상기 생성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정지화의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정지화들에 대한 상기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해당 정지화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정지화의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해당 정지화가 재생가능하도록 상기 정지화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셀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며,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시작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킹하고,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시작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며,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록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셀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응하는 해당 정지화의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정지화를 정지화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정지화그룹 정보와,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며 상기 정지화와는 별개의 영역에 저장된 부가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부가 오디오 그룹으로 분리하기 위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와, 상기 정지화들의 재생을 나타내는 셀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상에 정지화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부와;
    재생 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정지화들 중 하나에 대한 셀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셀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해당 정지화의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정지화 그룹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해당 정지화를 판독하며,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부가 오디오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판독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후속하여 연속적으로 저장된 원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난 경우에만, 상기 원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해당 정지화후에 연속하여 부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해당 정지화후에 원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하여 부가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원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정지화들을 정지화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정지화 그룹 정보와, 상기 정지화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와,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 그룹 내의 정지화의 크기와,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며 상기 정지화들과는 별개의 영역에 저장된 부가 오디오 데이터,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부가 오디오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 상기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그룹내의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정지화의 재생을 나타내는 셀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상에 정지화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부와;
    재생 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사기 정지화들 중 하나의 정지화에 대한 셀 정보를 vskehr하고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정지화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정지화 그룹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대응하는 정지화 그룹내의 상기 해당 정지화 이전의 모든 정지화의 제1 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정지화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크기의 총합에 기초하여 상기 정지화를 판독하고,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부가 오디오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그룹내의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 이전의 모든 부가 오디오 데이터의 제2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부가 오디오 그룹의 시작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크기의 총합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정지화들 중 적어도 일부에 후속하여 연속적으로 저장된 원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 처리기는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부가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난 경우에만, 상기 원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해당 정지화후에 연속하여 부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광 픽업부는 상기 해당 정지화후에 원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하여 부가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해당 정지화에 대응하는 상기 원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0048938A 1998-10-02 2002-08-19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KR10037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938A KR100378177B1 (ko) 1998-10-02 2002-08-19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757A KR100389854B1 (ko) 1998-06-24 1998-10-02 오디오및/또는비디오데이터를기록및/또는재생하는방법,기록매체의재생방법,기록매체상의정지화를재생하는방법,및기록매체상에정지화를기록하는방법
KR10-2002-0048938A KR100378177B1 (ko) 1998-10-02 2002-08-19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757A Division KR100389854B1 (ko) 1998-06-24 1998-10-02 오디오및/또는비디오데이터를기록및/또는재생하는방법,기록매체의재생방법,기록매체상의정지화를재생하는방법,및기록매체상에정지화를기록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810A KR20020071810A (ko) 2002-09-13
KR100378177B1 true KR100378177B1 (ko) 2003-03-29

Family

ID=2772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938A KR100378177B1 (ko) 1998-10-02 2002-08-19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1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810A (ko) 200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854B1 (ko) 오디오및/또는비디오데이터를기록및/또는재생하는방법,기록매체의재생방법,기록매체상의정지화를재생하는방법,및기록매체상에정지화를기록하는방법
KR100338737B1 (ko)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및 기록 재생방법과장치
US7725007B2 (en)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information for still pictur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0378177B1 (ko)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KR100393081B1 (ko)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0393082B1 (ko) 정지화를 위한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KR20020064740A (ko) 정지화를 위한 가상 삭제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및/또는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