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246B1 -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246B1
KR100377246B1 KR1019960704790A KR19960704790A KR100377246B1 KR 100377246 B1 KR100377246 B1 KR 100377246B1 KR 1019960704790 A KR1019960704790 A KR 1019960704790A KR 19960704790 A KR19960704790 A KR 19960704790A KR 100377246 B1 KR100377246 B1 KR 100377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icrocapsule
visible light
tinuvin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아리에
Original Assignee
벤 구리온 유니버시티 오브 더 네게브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오서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L10883594A external-priority patent/IL108835A/xx
Application filed by 벤 구리온 유니버시티 오브 더 네게브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오서리티 filed Critical 벤 구리온 유니버시티 오브 더 네게브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오서리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246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껍질(polyurea shell)과, 약 310 내지 450 나노미터(nanometers)의 파장을 갖는 방사성에 대해서 약 2 내지 5의 로그 몰 흡광 계수(log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를 갖는 하나 이상의 광안정(photostable)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로 구성된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은 폴리우레아 껍질을 만드는데 사용된 단량체와 반응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대상 종(種)에 대해서는 높은 독성을 갖고 비 대상 종에 대해서는 극히 낮은 독성을 갖는 오래 지속되고 증강된 살충 활동도를 갖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
본 발명은 환경적 변성에 대하여 안정적인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대하지 않은 광범위한 살충효과를 가지며 목표 대상이 아닌 종(種)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을 갖는, 가시 광선 및 자외선에 의한 변성에 대하여 안정적인 마이크로 캡슐(microcapsule)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chlorpyrifos) 또는 엔도 술판(endosulfan)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로르피리파스(chlorpyrifos)는 0, 0-디에틸(diethyl)-0-(3, 5, 6-트리클로로(trichloro)-2-피리딜(pyridyl))-phosphorathioate 의 속명으로서, 잘 알려진 살충제이다. 이 살충제의 두 가지 주요한 문제점은 자연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분해된다는 점과 목표 대상이 아닌 종에 대해 높은 독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공업용 클로르피리파스는 쥐(구강 급성(acute oral))에 대하여 168mg/kg의 LD50의 독성을, 송어(급성)에 대하여 0.007mg/kg 의 LD50의 독성을 갖는다.
엔도술판(endosulfan)은 6, 7, 8, 9, 10 헥사클로로(hexathloro)-1, 5-5a, 9a 테트리히드로(tetryhydro)-6, 9-메타노(methano)-2, 4, 3-벤조디옥사티피아(benzodioxathipia)-3-산화물(oxide)의 속명으로서, 또한 잘 알려진 살충제이고 안정성과 독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독성이 문제점은 그 공업 재료가 쥐와 같은 비(非)-대상 종(種)에 대하여 30mg/kg의 LD50을 가질 때 어류와 벌과 같은 비 대상 종에 대하여 가장 심각하다. "단지 유해하다"고 분류되는 EC 공식(formulations)을 위해서 쥐에 대한 LD50은 적어도 200mg/kg 이어야 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독성에 이르기 위해서 엔도술판의 농도는 3% 떨어저야 하고 그 결과 매우 낮은 활동도를 갖는 비경제적인 혼합물이 된다.
살충제를 마이크로 캡슐에 넣는 것은, 비 대상 동물에 대한 살충제의 독성을 줄이면서 살충제의 살충 기간을 늘이는 방법으로 선행 기술에서 제안되었다.
그 예들은 다음과 같다 : 미국 특허 번호 2,800,458 ; 3,069,370, 3,116,216, 3,137,631, 3,270,100 ; 3,418,250 ; 3,429,827 ; 3,577,515 ; 3,959,464 ; 4,417,916 ; 4,563,212 : 영국 특허 번호 1,371,179 ; 유럽 특허 공고 번호 148,169와 165,227 : 이스라엘 특허 번호 79,575 와 84,910.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는 유럽 특허 출원 번호 140,548에서 서술되었다.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엔도술판은 미국 특허 4,230,809 에 기술되었다. 그러나 상기 두 경우에 마이크로 캡슐에 넣는 이러한 공식(formulations)에 있어서 자외선 흡광체의 사용은 기술되지 않고 있다.
살충제, 특히 피레트로이드(pyrethroids)를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흡광체의 사용은 미국 특허 번호 2,168,064 ; 3,063,893 ; 3,098,000 ; 3,130,121 ; 3,264,176 ; 3,541,203 ; 3,560,613 ; 3,839,561 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번호 4,056,610 과 4,497,793 은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피레트린(pyrethrins)에 있어서 특정한 자외선 흡광체의 사용에 대해 상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미국 특허 4,056,610 의 경우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와 내부의 액체 모두에 자외선 흡광체를 사용해야 한다.
선행 기술에서 상술하고 있는 것과 관계없이, 증가된 살충 활동과 비대상 동물에 대해 극히 낮은 독성을 갖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판매용 클로로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이 아직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우레아 껍질(polyurea shell)과, 약 310 내지 450 나노미터(nanometers)의 파장을 갖는 방사성에 대해서 약 2 내지 5의 로그몰 흡광 계수(log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를 갖는 하나 이상의 광안정(photostable)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은 폴리우레아 껍질을 만드는데 사용된 단량체와 반응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대상 종(種)에 대해서는 높은 독성을 갖고 비 대상 종에 대해서는 극히 낮은 독성을 갖는 오래 지속되고 증강된 살충 활동도를 갖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살충 조성물은 표준 공정을 이용하여 준비된다. 클로르피리파스에 대한 세목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엔도술판에 대한 세목은 표 10에 나타나 있다. 물과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제외한 외피(envelope)의 백분율은 3% 내지 50%에서 변화하며 양호하게는 30%까지 변화한다. 유사하게, 내용물(fill)은 0.5% 내지 5%의, 양호하게는 1% 내지 3%의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클로르피리파스의 안정도에 관해서는 실시예 2 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엔도술판은 310±5 나노미터와 475± 나노미터에서 100시간 동안 조사(照射)된 후, 분해되었음이 발견되었다.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은 입체 장애를 갖는(sterically hindered) 아민(amines)과 염료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은 일반 상품명 "TNUVIN" 으로 알려진 Ciba-Geigy 생성물로부터 선택되며 그 중 양호한 것은 다음의 구조와 화학 연구 논문요약 번호(Chemical Abstract Numbers)를 갖는 "TINUVIN-770" 와 "TINUVIN-780" 이다.
이러한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은 여러 이유 중에서 그것이 외피를 만드는 단량체와 반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은 또한 하나의 "TINUVIN"에 더하여 서모플라스트 그린(Thermoplaste green), 블루 페이스트(Blue paste),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수단 블루(Sudan blue), 매크로렉스 블루(Macrolex blue), 수단 III(Sudan III)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염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클로르피리파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들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이 조성물들 중 어느 것이 쥐, 어류와 벌로 대표되는 비 대상 종(種)에 대해 가장 낮은 독성을 가지면서(실시예 3, 6, 9) 딱정벌레와 바퀴벌레 같은 대상 종에 대해, 일광에 노출된 후에도, 가장 긴 활동도를 갖는지 결정하기 위해(실시예 4, 5, 8) 몇몇의 조성물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클로르피리파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번호 14, 15 가 양호한 조성물이었고, 조성물 번호 14가 가장 양호하였다.
엔도술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거의 모두가 쥐에 대해 낮은 독소 결과를 나타냈다. 즉, 저에 대한 200mg/kg의 LD50을 갖는 공식(formulations)을 얻기 위해서, 그 공식은 매우 희석되어야 할 것이고 이는 시판용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나, 조성물 번호 59 와 61은 엔도술판의 시판 가능한 농도에서 비 대상 종에 대해 약간 더 낮은 독성을 보여주었고 조성물 번호 61이 가장 양호하였다, 실시예 11과 12는 쥐와 어류로 대표되는 비 대상 종에 대한 이 두 공식의 독성을 각각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비교적 긴 일광 노출에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딱정벌레와 바퀴벌레와 같은 대상 종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독성 수준을 유지하면서 쥐, 벌과 어류와 같은 비 대상 종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을 갖는,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새로운 조성물을제공한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들의 양호한 구체적인 예와 관련하여 상술하면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한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다른 대안, 변형과 그에 상당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그러므로, 양호한 구체적인 예를 포함하는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고, 구체적인 사항들은 실시예로써 단지 본 발명의 양호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리고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뿐만 아니라 그 과정이 설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다.
실시예 1
클로르피리파스 마이크로 캡슐의 대표 제법
네 개의 개별 용액 A, B, C, D 가 다음과 같이 준비되었다 :
용액 A에 용액 B의 유탁액(乳濁液)이 고전단(高剪斷)혼합기(high shear mixer)에서 5분간 혼합함으로써 만들어졌고, 그 혼합물은 40℃를 유지하였다. 이 유탁액에 용액 C를 온도 40℃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25℃ 내지 35℃에서 냉각되었고 4시간 동안 교반이 계속되었다. 용액 D를 첨가하고 그 혼합물은 15분간 교반되었다. 클로르피리파스의 대표적인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이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자외선/가시광선에 대한 무방비 클로르피리파스의 안정도
무방비(unprotected)상태의 클로르피리파스가 자외선/가시광선 램프에 의해 68시간 동안 조사(照射)되었다. 안정도 대(對) 빛의 파장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3
쥐에 대한 구강 급성 독성(acute oral toxicity)을 결정하는 방법
무게가 25-30g 나가는 성숙한 수컷 쥐(2-2.5 개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제 용액은 5분간 "맴돌이"(Vortex) 혼합기를 사용하여 얻었다. 용액의 양은 쥐의 무게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쥐 무게 20g에 대해 1ml의 용액이 공급되었다. 그 용액은 주입기(2ml)를 이용하여 쥐의 입을 통해 위(胃)로 주입되었다. 이 시험은 5번 반복(replications)으로 수행되었고, 0, 5, 24, 72, 96, 120, 144, 168 시간 후에 사망률을 체크하였다. 표준적인 쥐먹이가 실험 동안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세 가지 조성물에 대한 결과는 168시간 후 클로르피리파스의 표준 유화 농축물 공식(standard Emulsifiable Concentrate formulation)에 대한 자료와 함께 표 2에 나타나있다.
표 2
실시예 4
딱정벌레의 감염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살충제에 대한 트리볼륨 카스타네움(tribolium castaneum)과 말라데라 마트리다(maladera matrida))
이 방법은 일정한 살충제에 대한 딱정벌레 집단의 감염도(susceptibility)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살충제로 오염되지 않은 방에서 수행되었다. 딱정벌레들은 트리볼륨 카스타네움을 위해서 30℃에서 말라데라 마트리다를 위해서 25℃의 온도에서 그리고 25% 이상의 상대습도에서 취급되고 보관되었다. 딱정벌레는 가능한 한 동일 지역에서 구하고 필요할 때까지 적당한 용기에 보관되었다 ; 그리고 실험 전까지 적합하고 표준적인 먹이를 주었다. 성숙한 딱정벌레 암수 양성이 사용되었다. 트리볼륨 카스타네움은 1%의 맥주 효모로 강화된 분말에서생장하였다. 말라데라 마트리다는 "수파"(Sufa)농장의 대지로부터 취하여 먹이로 사용되었던 대지 위 실험실의 적합한 용기에 보관되었다. 각각 다른 공식과 공업재료를 갖는 용액이 5분간 고전단 혼합기(high shear mixer)를 사용하여 얻어졌다. 각각의 공식에 대해 혼합과정 동안 와트먼지(Whatman paper) No. 41(d=9cm)을 용액속에 담그고 나서 페트리 접시(petri dish)(d=9cm)안에 놓았다. 노출 시간을 0으로 하기 위한 여과지는 후드(hood)에서 건조되었고 다른 것들은 실험실의 지붕으로 가져가서 일광에 노출되었다. 대략 5일 마다, 3개의 페트리 접시를 지붕에서 제거하고 트리볼륨 카스타네움을 위한 아스피레이터(aspirator)를 이용하여 5마리의 딱정벌레를 각 접시안에 놓았다. 실험은 3번 반복(replications)으로 실시되었고 반복할 때마다 사망률을 체크하였다. 다양한 클로르피리파스 조성물로 처리된 말라데라 마트리다의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실시예 5
살충제에 대한 바퀴벌레(게르마니카 블라텔라(Germanica blatella)) 효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으로 클로르피리파스에 대한 바퀴벌레 집단의 감염도(susceptibility) 수준을 측정하였다. 바퀴벌레는 페트리 접시 안의 표준 클로르피리파스 잔여물에 노출되었고 사망률이 결정되었다. 그 결과로부터, 50% 와 95%의 일격(knockdown)에 (LT50와 L795) 필요한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성숙한 수컷이 사용되었다. 충분한 수컷을 구할 수 없다면 감염도에 대한 정보는 암컷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 시험은 살충제로 오염되지 않은 방에서 수행되었다. 바퀴벌레는 클로르피리파스에 노출되어 25℃ 와 30℃ 사이의 온도와 25%이상의 상대습도에서 유지되었다. 바퀴벌레에게 실험 전에 적합하고 표준적인 먹이를 주었다. 바퀴벌레, 게르마니카 블라텔라(Germanica blatella)는 개 먹이용 고기가 담겨 있는 실험실 용기에서 생장하였다.
각각 다른 공식과 공업재료를 갖는 용액이 5분간 고전단 혼합기(high shear mixer)를 사용하여 얻어졌다. 다른 농도를 갖는 용액이 준비되었다. 각각의 공식에 대해 혼합과정 동안 와트먼지(Whatman paper) No. 41(d=9)을 용액 속에 담그고 나서 페트리 접시(petri dish)(d=9)안에 놓았다. 노출시간을 위한 여과지는 후드(hond)에서 건조되었고 다른 것들은 실험실의 지붕으로 가져가서 일광에 노출되었다. 대략 5일 마다, 페트리 접시를 지붕에서 제거하고 5마리의 게르마니카 블라텔라 바퀴벌레를 접시 안에 놓았다. 5마리의 바퀴벌레를 각각의 페트리 접시 안에 넣기 위해서 먼저 이산화탄소로 바퀴벌레를 마취시켰다. 실험은 3번 반복(replications)으로 실시되었고 사망률을 체크하였다. 조사된 노출 시간은 대략 0, 5, 10, 15, 20일 이었다. 대조 접시(control dishes)는 24시간 후 5마리의 바퀴벌레가 있는 와트먼지를 취급하지 않았다. 바퀴벌레가 원래의 정상적인 자세로 되돌아오기 위해 움직이지 못하면 죽은(knocked down) 것으로 간주되었다. 다양한 클로르피리파스의 마이크로캡슐 공식에 대한 결과가 표 4 와 표 5에 나타나 있다.
실험은 세계 보건 기구 공업 보고서 일련 번호 443 제네바 1970, 130-133 페이지에 따라서 수행되었다.
표 4
표 5
실시예 6
어류(거피(Guppies))의 독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모든 거피는 동일한 기본적인 주의를 요한다 : 가능한 한 pH = 7.0(중성)에 가까울 수질(水質) ; 약 24-25℃의 수온(水溫)과 하루에 최소 12시간 동안의 강한 빛(그 이상의 빛은 거피를 더 빠르게 자라게 한다). 이 실험 방법은 살충제로 오염되지 않은 방에서 수행되었다. 성숙한 암수 양성의 물고기가 사용되었다.
거피를 어류 상점에서 구하여 적당한 16 리터(liter) 수조, 물고기 10마리용 수조(수온 23-25℃)에 보관하였다. 거피에게 실험 전후 적합한 표준먹이(유로펫(Europet)기본 먹이)를 주었다. 실험 전 2일 동안 먹이를 주지않고두었다.
공식 용액과 공업재료의 용액은 5분간 고전단 혼합기를 이용하여 얻어졌다. 250, 500, 100, 2000, 4000, 5000, μg/리터의 공식 용액(Solutions of formulations)이 준비되었다. 3, 6, 24, 48, 72, 96시간 후에 사망률을 체크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각 공시에 대하여 50%와 95%의 사망률(LT50과 LT95)에 필요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실험은 황금 오르페 물고기(golden orfe fish)에도 실시하였다. 황금 오르페 물고기에 대한 결과가 표 6에 나타나 있다.
표 6
실시예 7
공식 14를 이용하고 다양한 농도의 염료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서, 양호한 마이크로 캡슐 공식의 하나인 유형 14가 다양한 다른 염료를 포함하여 준비되었다. 준비된 마이크로 캡슐 공식은 표 7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서, 일광 노출 후 페트리 접시 안의 트리볼리움 카스타네움(Tribolium Castaneum)에 대한 클로르피리파스의 몇몇 마이크로 캡슐 공식의효과에 대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가 표 8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9
꿀벌(아피르 멜리페라 엘.(Apir mellifera L.))에 대한 마이크로 캡슐 클로르피리파스의 독성(급성 접촉 및 구강 LD 50 )
A.일반 시험(General)
일반적인 양봉 방식대로 자란 같은 햇수의 일벌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을 하기 위해,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로 된 포획관(capture tubes)으로 열 마리 단위로 꿀벌통의 출입구에서 벌을 꺼냈다. 시험을 하는 동안 꿀벌에게 먹이로 상업용 꿀벌 시럽(syrup)을 공급하였다. 스테인레스 스틸 체임버(stainless steel chambers)(폭 10cm, 높이 8.5cm, 깊이 5.5cm)가 시험용 케이지(cages)의 구실을 하였다. 케이지의(정면을 제외한) 내면은 여과지로 덮여 있다. 시험용 케이지는 어둠 속에서 약 28℃의 온도와 40 내지 60%의 상대습도로 인큐베이터(incubators)안에 놓였고, 살충제 증기가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환기되었다. 시험은 5회 투약량의 마이크로 캡슐 클로르피리파스와 하나의 대조 용매로 수행되었으며 한 번 투약 또는 조절될 때마다 3번 반복 실시(replicates)되었다.
B.접촉 독성 시험(Contact Toxicity Test)
먼저 벌이 들어 있는 시험용 케이지를 인큐베이터 내의 이산화탄소에 노출시켜 선택된 이산화탄소 투약량으로 시험 동물을 마취시켰고 마취 작용 시간은 5분 미만이었다. 그리고 나서 시험 물질을 마취된 벌에 발랐다 ; 그후 처리된 벌들을 다시 시험용 케이지에 갖다 놓고 48시간 동안 시험 조건하에서 보관하였다. 꿀벌에게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의 대조 LD50을 적절하게 부과하기 위한 합리적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험 물질의 5회 투약량이 시험되었다. 마취된 벌들을 복면(腹面)이 위로 오도록 하여 페트리 접시 안의 여과지에 눕혔다. 벌 한 마리당 용매 내의 마이크로 캡슐 클로르피리파스의 1㎕를 GC-주입기를 사용하여 벌의 복부 흉곽에 떨어뜨려 넣는다.
그 결과는 공업 클로르피리파스의 0.059μ/벌(bee)의 독성에 비하여 22.1 μ/벌(bee)의 LD50였다.
C.구강 독성 시험(Oral Toxicity Test)
꿀벌에게 구강 LD50을 적절하게 부과하기 위한 합리적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세톤 내의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의 5회 투약량이 시험되었다. 각각 10마리의 벌들을 포함하는 열 개의 케이지(cages)가 먹이 없이 준비되었고 벌들을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먹이를 주지 않았다. 그 다음에 에펜도르프 피펫(Eppendorf pippettes) 타입의 준비된 용액 250㎕ 를 상부 구멍중 하나의 구멍을 통하여 첨가하였다. 용액의 흡수가 일어나는 동안 벌들을 관찰하였다. 용액을 게워낸 각각의 벌은 시험에서 제외하였다. 벌들에게 시험 용액이 흡수된 후, 적어도 3시간 후에 일반 먹이를 공급하였다.
그 결과는 공업 클로르피리파스의 0.25㎍/벌(bee)의 독성에 비하여 118.5㎕벌(bee)의 LD50이었다.
실시예 10
엔도술판 마이크로 캡슐의 대표 제법
실시예 1의 일반 방법을 따라서, 네 개의 용액 A-D 가 다음과 같이 준비되었다.
용액 A를 80℃로 가열하고 용액 B를 첨가하여 1-2분간 고전단(高剪斷)혼합기(high shear mixer)를 사용하여 유탁액(乳濁液)을 만든다. 그 다음 용액 C가 첨가되고 그 반응 혼합물은 혼합물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4시간 더 교반된다. 그 다음 H3PO4를 첨가함으로써 용액의 수소이온 농도(pH)는 7.6으로 낮춰지고, 용액 D가 첨가되고 그 반응 혼합물은 15 분간 교반된다. 엔도술판의 대표적인 마이크로 캠슐에 담긴 조성물이 표 9와 표 10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엔도술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두 개의 마이크로캡슐 공식의 비-대상 종(種), 쥐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1에 나타나 있다. 이 표는 공식 59에 비하여 공식 61이 더 낮은 독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시예 12
실시예 6의 방법에 따라, 엔도술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두 개의 마이크로 캡슐 공식의 비 대상 종, 어류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을 하였고 마이크로 캡슐에 담기지 않은 EC-35 공식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가 표 12에 나타나 있다. 이 표는 공식 61이 공식 59와 마이크로 캡슐에 담기지 않은 EC-35 공식에 비하여 더 낮은 독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Claims (20)

  1. 폴리우레아(polyurea)로 이루어진 껍질(shell)을 갖는 입자(particles)와 상기 껍질 내부의 캡슐에 쌓인 살충제로 구성되고, 상기 살충제는 클로르피리파스와 엔도술판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입자는 300 내지 500 나노미터(nanometers)의 파장을 갖는 방사성에 대해서 약 2 내지 5의 로그 몰 흡광 계수(log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를 갖는 하나 이상의 광안정(photostable)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은 폴리우레아 껍질을 만드는데 사용된 단량체와 반응하지 않는 화합물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은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sterically hindered amines)과 염료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은 "TINUVIN 770" 과 "TINUVIN780" 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은 "TINUVIN 770" 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염료는 서모플라스트 그린(Thermoplast green), 블루 페이스트(Blue paste),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수단 블루(Sudan Blue), 매크로렉리스 블루(Macrolex blue)와 수단 III(Sudan III)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외피(envelope)(물과 폴리비닐 알코올 제외)의 백분율은 3%에서 50%로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외피의 백분율은 10%에서 30%로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내용물(fill)은 0.5%에서 5%의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을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내용물은 1%에서 3%의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비(非) 대상 종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독성을 갖는 반면 대상 종(種)에 대해서는 높은 독성을 갖고, 상기 마이크로 캡슐 입자는 계면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1. 폴리우레아 껍질과 ; 클로르피리파스와 ;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로 상품명 "TINUVIN 770" 과 "TINUVIN 780"을 갖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은 "TINUVIN-770"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또한 서모플라스트 그린(Thermoplast green), 블루 페이스트(Blue paste),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수단 블루(Sudan Blue), 매크로렉스 블루(Macrolex blue)와 수단 III(Sudan III)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염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비 대상 종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독성을 가지면서 대상 종에 대해서는 높은 독성을 갖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5. 폴리우레아 껍질과 ; 엔도술판과 ;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로 상품명 "TINUVIN 770" 과 "TINUVIN780"을 갖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입체 장애를 갖는 아민은 "TINUVIN-770"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또한 서모플라스트 그린, 블루 페이스트, 플루오레세인, 수단블루, 매크로렉스 블루와 수단 III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염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8. 제15항에 있어서,
    비 대상 종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독성을 가지면서 대상 종에 대해서는 높은 독성을 갖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19. 제2항에 있어서,
    외피(물과 폴리비닐 알코올 제외)의 백분율은 3%에서 50%로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내용물은 0.5%에서 5%의 광안정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광체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조성물.
KR1019960704790A 1994-03-03 1995-03-03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 KR100377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0883594A IL108835A (en) 1994-03-03 1994-03-03 Microencapsulated composition containing chlorpyrifos or endosulfan
IL108835 1994-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246B1 true KR100377246B1 (ko) 2003-06-11

Family

ID=4951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790A KR100377246B1 (ko) 1994-03-03 1995-03-03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24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lth Molluscicide screening and evaluation
EP0748158B1 (en) Microencapsulated compositon of chlorpyrifos or endosulfan
CA1132043A (en) Insect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with abscisic acid
Davey et al.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s of a strain of Boophilus microplus (Acari: Ixodidae) selected for resistance to permethrin
Livingston et al.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concerning the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pesticides on aquatic organisms
KR100377246B1 (ko)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클로르피리파스 또는 엔도술판 조성물
Retnakaran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 of a fast-acting insect growth regulator against the spruce budworm, Choristoneura fumiferana (Lepidoptera: Tortricidae)
Krüger et al.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Euoniticellus intermedius (Coleoptera: Scarabaeidae) in dung following application of cypermethrin and flumethrin pour-ons to cattle
Schoknecht et al. Termite control with microencapsulated permethrin
Schoonees, J.*, Giliomee The toxicity of methidathion to parasitoids of red scale, Aonidiella aurantii (Hemiptera: Diaspididae)
CN107711884B (zh) 一种用于白蚁灭治的复配组合及其应用
Golob et al. The biology and control of Zabrotes subfasciatus (Boheman)(Coleoptera: Bruchidae) infesting red kidney beans
Gill et al. Laboratory trials of seven rodenticides for use against the cotton rat (Sigmodon hispidus)
Shimabukuro et al. The role of coleoptile on barban sensitivity between wild oat and wheat
Tsai Control of Chironomids in Milkfish (Chanos chanos) Ponds with Abate (R)(Temephos) Insecticide
US20040180071A1 (en) Pesticide in gel form
Sassaman Pesticide Background Statements: Herbicides (supplement)
Neumark et al. The pink bollworm attractant, Hexalure: improvement by formulation with an antioxidant
JP3172698B2 (ja) 木材食害虫防除組成物
Osmun The Response of The Eastern Subterranean Termite, Reticulitermes Flavipes (kollar), to Certain Insecticides
Read Bioactivity of Dasanit in a mineral soil, in rutabagas in the field and in storage, and effect of cooking on toxicants in the roots
Knapp et al. Encapsulation of dimilin and its effect on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Aedes aegypti (L.) and Musca autumnalis degeer.
Davis The Safe Use of Insecticides
Coppedge Slow release formulations of aldicarb for soil applications
Burg et al. Residual Study of Permethrin Wipes for Stable Fly Control on Horses, 198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