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329B1 -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329B1
KR100374329B1 KR10-2000-0053126A KR20000053126A KR100374329B1 KR 100374329 B1 KR100374329 B1 KR 100374329B1 KR 20000053126 A KR20000053126 A KR 20000053126A KR 100374329 B1 KR100374329 B1 KR 10037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ing
stage
english
thea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795A (ko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마이크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마이크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마이크로시스템
Priority to KR10-2000-005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3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어 연극 동화상을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어 연극 동화상을 화면의 무대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무대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대사자막을 대사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연출기법, 의상, 조명, 음향, 무대설치 등의 메뉴키에 응답하여 상기 무대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설명을 설명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 상에서 영어 연극 동화상과 대사, 연출기법, 의상, 조명, 음향, 무대설치 등의 설명을 표시하면서 영어 연극에 대한 지도를 할 수 있어서, 연극을 가르치는 일선 교사들에게 매우 유용하고 편리하다. 또한, 학생들이 영어공부를 함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을 통하여 재미있게 영어회화학습을 할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METHOD FOR DISPLAYING ENGLISH-PLAY MOTION IMAG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극 동화상, 대사 및 연극제작기법을 모니터 상에 각각 표시함으로써 일선 교사들이 영어 연극 지도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전세계가 하나의 공통 문화권으로 급속히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공통 문화권의 융합에서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외국에 널리 알리는 당면과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비추어 인터넷에서 공통어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영어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영어교육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이 요구되나 지금까지의 우리의 영어교육은 문법위주의 이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 회화 중심의 영어교육이 초등학교에서부터 시작되고 있으나 우리 고유의 전통적 가치관과 세계관의 정립없이 암기 위주의 주입식 학습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영어학습지도방법 중에서 영어연극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매우 크다. 연극을 상영하기까지의 학생의 학습할동이 자연스러운 영어습득의 과정과 잘 조화되기 때문이다. 모국어를 매개체로 한 영어학습방법을 탈피하고 어떤 사물을 생각하는 습관에서 터득한 영어는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인지(identification)의 단계를 거쳐서 내재화 상태(fusion)의 영역에 이르는 영어공부라야 한다는. 내재화상태의 단계에 이른 영어를 실제로 응용하고 동작하는 언어활동이 일치하게 되는 상태를 활용(operation)의 단계라고 한다.
영어연극을 상연하기 위해서는 대본을 충분히 identification을 해야하고 반복학습으로 자신의 몸에 배인 영어가 되어 fusion의 영역에 이르는 영어가 되어서야 비로소 자연스러운 operation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소나마 이해가 안되는 영어라도 동작과 행동으로 실제 상황을 응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정도의 fusion에 이르게 된다. 실제로 우리의 영어교육은 인지의 단계를 위한 교구재와 교수법은 많이 개발되어 왔으나 활용의 단계는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연극은 바로 영어교육에 있어서 활용의 장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연극을 통한 영어학습과정은 주입식이거나 기계적인 암송이 아니라 배운 영어를 연기를 통하여 실제로 응용하는 즐거움과 연극공연이라는 흥미와 기대에 찬 즐거운 학습할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연극을 무대에서 공연하기 위해 여러 사람들이 모여서 연습하는 과정에서 협동심, 양보심, 인내력, 책임감 등을 배우게 되며, 무대 위에서의 공연은 자신감을 불어 넣어주며 성취의 기쁨을 관객과 나누는 과정에서 인간성 및 사회성을 배우게 된다.
이와 같은 영어연극을 통한 영어 학습은 실제 연극을 준비하고 공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것이므로, 일선에서 지도하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일선 교사들이 연극을 제작하는 과정을 잘 모르는 관계로 영어연극 수업을 하기란 어려운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상에서 영어연극 동영상과 동영상에 관련된 대사와 연출기법, 음향, 의상, 조명, 무대장치 등의 설명을 표시함으로써 영어연극을 사실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용 기록매체의 기록포맷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제 2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록매체 102 : 스핀들 모터
104 : 광픽업수단 106 : 정보재생수단
108 : 제어수단 110 : 메모리수단
112 : 명령입력수단 114 : 디스플레이수단
116 :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118 : 제 2 디스플레이 영역
120 :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122 : 메뉴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연극 동화상을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극 무대와 그 연극무대위에서 이루어지는 연극 동화상을 모니터의 제 1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대사자막을 화면의 제 2 영역대사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연출기법, 의상, 조명, 음향, 무대설치 등의 메뉴키 및 각 메뉴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설명을 화면의 제 3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연출기법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연극무대의 평면을 9등분하고, 상기 제 3영역을 9등분하여 등장인물의 이동방향 및 속도감을 상기 제 3 영역의 9분할 영역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연극 동화상을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연극 동화상을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이, 연극 무대와 그 연극무대위에서 이루어지는 연극 동화상을 모니터의 제 1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대사자막을 화면의 제 2 영역대사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연출기법, 의상, 조명, 음향, 무대설치 등의 메뉴키 및 각 메뉴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설명을 화면의 제 4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연출기법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연극무대의 평면을 9등분하여 등장인물의 이동방향 및 속도감을 9분할 영역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서 연극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연극의 특성은 가장 인간적인 예술이고, 연극의 4요소는 관객, 무대, 희곡, 배우이고, 희곡(대본)의 6가지 요소는 플롯(구성), 인물, 사상, 언어, 음악, 볼거리이다.
플롯(Plot)은 기본정보를 제시하는 시작단계와, 얽힘의 과정 및 발견의 과정을 제시하는 중간단계와 대단원의 끝으로 구성된다.
음악의 기능은 극의 분위기를 잡아 주거나 앞으로의 진행에 기대치를 높여줄 수 있다. 특히 학교에서의 극놀이는 음악이 삽입됨으로써 단조로움을 피하고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삽입된 음악은 무용과 함께 이루어져야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볼거리란 공연에서 보여지는 모든 요소를 말한다. 즉 등장인물의 몸놀림이나 공간적 관계, 조명, 의상, 무대장치, 분장, 소품 등을 뜻한다. 이러한 볼거리는 극에 적절해야 하고 작품의 가치와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지도교사는 희곡, 배우, 무대장치, 조명, 의상 등 연극의 여러 요소를 무대 위에서 가장 적합하게 조화시켜야 한다. 인물의 대사를 중요시하는 연출자에겐 작품해석이 주 관심사가 되고, 시각적인 면을 강조하는 연출자는 배우를 구도적 측면에서 본다. 그러나 너무 한쪽에 치우치는 것은 좋지 않으며 전문지식과 함께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무대 위에 자신의 구상대로 연극을 올릴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지도교사는 대본에 내릴 해석을 결정하며 캐스팅 즉 등장인물역을 맡을 배우를 선정하며 각 분야의 협조자들(의상, 무대, 조명, 무용, 음악 등)과 협력하며, 배우를 연습시키며 이 모든 요소를 통합하여 공연을 올리며 공연 후 평가회의를 통해 반성회를 갖는다.
지도교사의 역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인 구성이란 무대 위의 연기군(group)의 구조나 형태, 디자인을 의미한다. 이것은 주제의 감정과 성격 또는분위기를 선, 부피, 형태를 통해 표현하는 것이다. 강조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는 몸의 위치 를 이용하는 것이다. 같은 조건에서는 배우가 관객을 마주하고 있을 때 가 가장 강조된다. 그 다음이 ¼ 정도 돌아선 위치, 옆모습, ¾ 정도 돌아선 위치 순으로 약해진다. 또 다른 강조점은 무대구역을 활용 하는 법이다. 배우가 무대 중앙에 접근할수록, 관객에게 다가갈수록 강조를 받는다.
( 무대 뒤 )
8 7 9
5 4 6
2 1 3
( 객 석 )
< 중요한 자리의 순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구성을 통해 하나의 분위기가 결정되면, 거기에 살아있는 의미를 넣는 작업을 ' 시각화' 라고 한다. 시각화의 단계는 각 장면에 명확하고 구체적 제목을 붙이고, 제목 속의 분위기를 설정하고, 분위기의 특성(예, 의혹; 공간상 분리, 불규칙한 몸동작 등)을 살리고, 상황, 등장인물, 무대세트의 배경을 시각화한다. 그리고, 무대의 적당한 구역에 등장인물을 배치하고, 배우 개개인의 신체적 표정과 반응을 고려한다. 배우의 정서를 신체적 표현으로 나타내는 것은 관객의 즉각적인 이해로 연결될 수 있다.
어느 작품이건 해석과정의 목적은 첫째로 희곡이 뜻하는 내용과 주제를파악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 내용을 담아 관객에게 전달할 적당 한 연극형태를 찾아 결정하는 것이다.
지도교사는 각 배우가 자신의 역을 이해하고 극중에서 그 역의 기능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지도교사 자신의 해석을 분명하게 전달한다. 모든 배우들이 작업해 나갈 목표를 명확히 전달한다.
무대 위에서의 움직임, 각 배우의 순간순간의 위치를 정하는 작업을 블라킹(blocking)이라 한다. 이 시기는 동작의 큰 패턴에만 신경쓰고 세부적인 것은 뒤로 미룬다. 한 막이나 한 장의 블라킹이 정해지면 다음으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작품 전체의 블라킹을 끝낸다.
그리고, 지도교사는 대개 막마다 배우들이 대사를 외어야 할 날짜를 정해 놓는다. 그런 다음에 각 배우들의 성격창조, 대사 다듬기, 움직임, 연기지도 등의 세부적인 내용을 지도한다.
이와 같이, 공연의 모든 요소가 준비되면 리허설의 단계로 넘어간다. 의상을 입고 분장을 한 후 무대장치, 조명, 음향이 준비된 상황에서 연습한다. 실제 공연장에서 연습하게 되는 시기이다. 이때 무대전환이나 조명큐, 의상 갈아입기, 음향, 음악, 대소도구 등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한다.
본 발명에서는 CD-ROM 타이틀로 제작된 영어연극 동화상 프로그램을 모니터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면서 영어연극의 연습 및 공연 준비를 함에 있어서 편리성을 주고자 한다.
먼저 연극을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하여 CD-ROM 타이틀을 제작한다. CD-ROM 타이틀은 연극의 각 장을 하나의 파일단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용 기록매체의 기록포맷을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의 CD-ROM 타이틀은 표시제어프로그램(10), 동화상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제 1 테이블(12), 대사 및 연극설명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제 2 테이블(14), 연극 동화상 파일(16), 대사 및 연극설명파일(18)을 포함한다.
표시제어프로그램(10)은 CD-ROM 재생시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상에 복사되어 자동으로 설치된다.
도 2의 제 1 테이블(12)은 연극 동화상 파일의 시작 어드레스로 구성된다. 시작어드레스는 CD-ROM 상에 파일의 시작위치 어드레스이다. 연극 동화상 파일은 연극의 각 장마다 하나의 파일로 구성된다.
도 3의 제 2 테이블(14)은 대사 및 연극설명 파일의 시작 어드레스로 구성된다. 시작어드레스는 CD-ROM 상에 파일의 시작위치 어드레스이다. 연극 동화상 파일은 연극의 각 장마다 하나의 파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퍼스널 컴퓨터 상에 구현된다. 즉, CD-ROM과 같은 기록매체(100), 스핀들모터(102), 광픽업수단(104), 정보재생수단(106), 제어수단(108), 메모리수단(110), 명령입력수단(112), 디스플레이수단(114)을 포함한다.
기록매체(100)는 스핀들모터(102)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된다. 광픽업수단(104)은 기록매체(100)로부터 기록된 신호를 픽업하고 픽업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여 정보재생수단(106)에 제공한다. 정보재생수단(106)은 고주파신호를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에러정정 디코딩하고 에러정정된 데이터를 MPEG 디코딩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어수단(108)에 제공한다. 또한, 정보재생수단(106)에서는 제어수단(108)로부터 제공된 명령데이터와 재생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핀들 모터(102) 및 광픽업수단(104)를 서보제어한다.
메모리수단(100)은 시스템 롬, 시스템 램,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기억수단을 포함한다.
명령입력수단(112)은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수단(114)는 컴퓨터 모니터로 제 1 디스플레이영역(116), 제 2 디스플레이영역(118), 제 3 디스플레이영역(120), 메뉴키(122)를 포함한다.
제 1 디스플레이영역(116)에는 영어 연극 동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제 2 디스플레이영역(118)은 제 1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영어 또는 한글 대사자막이 디스플레이된다. 제 3 디스플레이영역(120)에는 연출기법, 의상, 조명, 음향, 무대설치 등의 메뉴키(122)에 대응되는 연극설명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연출기법 메뉴키를 선택하면, 제 3 영역(120)에 무대 수평면을 9등분한 영역이 표시되고, 그 위에 등장인물의 이동방향 및 속도감이 화살표로 표시된다. 따라서, 등장인물이 무대평면 상에서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의상 메뉴키를 선택하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의 등장인물의 의상에 대한 설명이 제 3 영역(120)에 나타난다.
조명 메뉴키를 선택하면, 제 1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에 관련된 조명에 관련된 설명이 제 3 영역(120)에 나타나고, 제 1 영역(116)의 조명을 어둡게 또는 밝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키들이 제 3 영역(120)에 나타나게 된다.
음향 메뉴키를 선택하면, 제 1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에 관련된 배경음악, 음향효과 등에 관련된 설명이 제 3 영역(120)에 나타난다.
무대설치 메뉴키를 선택하면, 제 1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에 관련된 무대설치설명이 제 3 영역(120)에 나타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먼저 CD-ROM 드라이버에서 본 발명의 CD-ROM 디스크의 유무를 체크한다(200). 200단계에서 CD-ROM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에는 CD-ROM 디스크로부터 표시제어프로그램을 독출하여 메모리수단의 하드 디스크 상에 복사하고 설치한다(202). 이어서, CD-ROM 디스크로부터 제 1 및 제 2 테이블을 독출하여 시스템 램 상에 저장한다(204).
사용자가 재생명령을 입력하면(206), 레지스터의 n값을 I로 하고(208), 제 1 및 제 2 테이블을 참조하여, CD-ROM 디스크로부터 제 1 장의 동화상파일과 대사 및 연극설명 파일을 독출한다(210). 독출된 동화상 파일은 디스플레이수단(114)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제 2 영역에는 대사를 표시한다(212). 따라서, 지도교사는 표시된 동화상을 보면서 각 등장인물의 동작과 연기 등을 설명할 수 있어서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메뉴키 입력에 응답하여(214), 제 3 영역에는 선택된 메뉴키에 관련된 연극설명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출기법 메뉴키가 선택되면, 제 1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되는 동화상에서 등장인물의 이동방향을 제 3 영역에 8영역에서 1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화살표로 표시한다(216).
이와 같은 메뉴키를 사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각 장에서의 연출기법, 배우의 의상, 조명, 음향, 무대기술 등의 설명을 참조하거나 설명할 수 있다. 기존의 대본만을 가지고 지도하는 것에 비하여 시청각적으로 느끼면서 연극연습이나 준비를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CD-ROM 디스크로부터 재생되는 영역의 어드레스를 비교하고(218), 제 1 장 의 종료어드레스이면, 레지스터의 n값을 1 증가하고(220), 210의 단계를 수행한다. 210부터 220 단계를 반복하여 모든 장의 동화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218단계에서 종료 어드레스가 아니면 정지명령이 입력되는가를 체크하고(222), 정지명령이 입력되면 재생동작을 정지하고(224) 동작을 종료한다(22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어 연극 동화상과 대사 및 연출기법, 의상, 음향, 조명, 무대장치의 설명등을 모니터 화면 상에서 제공함으로써 영어연극을 지도하는 교사, 연출자, 감독 입장에서 마치 연극을 실연하는 상황에서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으므로 학습지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기자인 학생들도 자신이 맡은 역할을 동화상으로 보면서 표정이나 몸짓 등의 연기를 시각적으로 보면서 연습할 수 있으므로 연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연극 연습을 애니메이션을 통하여 함으로써 영어학습의 동기가 극대화된다.

Claims (6)

  1. 기록매체에 기록된 연극 동화상을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극 무대와 그 연극무대위에서 이루어지는 연극 동화상을 모니터의 제 1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대사자막을 화면의 제 2 영역대사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연출기법, 의상, 조명, 음향, 무대설치 등의 메뉴키 및 각 메뉴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설명을 화면의 제 3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연출기법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연극무대의 평면을 9등분하고, 상기 제 3영역을 9등분하여 등장인물의 이동방향 및 속도감을 상기 제 3 영역의 9분할 영역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인물의 이동 방향 및 속도감은, 화살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메뉴에서는 조명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무대창의 조명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극 동화상의 표시방법.
  4. 삭제
  5. 삭제
  6. 기록매체에 기록된 연극 동화상을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연극 동화상을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이,
    연극 무대와 그 연극무대위에서 이루어지는 연극 동화상을 모니터의 제 1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대사자막을 화면의 제 2 영역대사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연출기법, 의상, 조명, 음향, 무대설치 등의 메뉴키 및 각 메뉴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과 관련된 설명을 화면의 제 3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연출기법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연극무대의 평면을 9등분하고, 상기 제 3영역을 9등분하여 등장인물의 이동방향 및 속도감을 상기 제 3 영역의 9분할 영역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0-0053126A 2000-09-07 2000-09-07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37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26A KR100374329B1 (ko) 2000-09-07 2000-09-07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26A KR100374329B1 (ko) 2000-09-07 2000-09-07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795A KR20020019795A (ko) 2002-03-13
KR100374329B1 true KR100374329B1 (ko) 2003-03-03

Family

ID=1968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126A KR100374329B1 (ko) 2000-09-07 2000-09-07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254B (zh) * 2022-12-30 2024-03-29 浙江省广播电视工程公司 一种基于5g的广电摄录设备定位分析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82A (ko) * 1996-12-28 1998-09-25 오봉환 캡션데이타가 저장된 외국어학습용 비디오 씨디 및 캡션데이타 표시방법
KR19990078757A (ko) * 1999-07-30 1999-11-05 김정호 영상출력장치
KR20000012538A (ko) * 1999-05-12 2000-03-06 김민선 동영상에 포함된 외국어 대사의 학습을 위한 캡션제어방법 및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82A (ko) * 1996-12-28 1998-09-25 오봉환 캡션데이타가 저장된 외국어학습용 비디오 씨디 및 캡션데이타 표시방법
KR20000012538A (ko) * 1999-05-12 2000-03-06 김민선 동영상에 포함된 외국어 대사의 학습을 위한 캡션제어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9990078757A (ko) * 1999-07-30 1999-11-05 김정호 영상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795A (ko)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uts What is interactivity?
Gallagher et al. Moving towards postcolonial, digital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Contexts, cameras, and relationships
Jensen et al. Media and modalities: film
CN11064778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
Coover Visual research and the new documentary
Romero-Fresco Eye tracking, subtitling and accessible filmmaking
KR100374329B1 (ko) 영어 연극 동화상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Sider If you wish to see, listen: The role of sound design
Limbrick Vernacular Modernism, Film Culture, and Moroccan Short Film and Documentary
Berko Video: In search of a discourse
Coover The digital panorama and cinemascapes
Birtwistle Douglas Gordon and cinematic audiovisuality in the age of television: experiencing the experience of cinema
WO2020093865A1 (zh) 媒体文件及其生成方法和播放方法
Nelson Live Documentary: Social cinema and the cinepoetics of doubt
Guy Theatre as Installation in the Syndemic Architectures of Rimini Protokoll and Battersea Arts Centre
Carels Cinema’s Savoyards: Performativity and the Legacy of the Magic Lantern
Kassis et al. LIGHTS, CAMERA, ACTION! RECORDING CLASSROOM LECTURES–A SIMPLE AND AFFORDABLE APPROACH
Rowe Shakespeare and media history
Geuens The space of production
JP2002344851A (ja) 教材用ビデオ映像の再生方法
CN117939216A (zh) 一种新型数字多媒体舞台表演系统
Vlassov FILMING CONSCIOUSNESS
Wik Experiences. The Transmedial Expansion of the Matrix Universe
Chan Cinematic virtual reality film practice: expanded profilmic event and mode of production
Goodman et al. The Multimedia Bard: Plugged and Unplugg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