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687B1 -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687B1
KR100373687B1 KR10-2000-0052360A KR20000052360A KR100373687B1 KR 100373687 B1 KR100373687 B1 KR 100373687B1 KR 20000052360 A KR20000052360 A KR 20000052360A KR 100373687 B1 KR100373687 B1 KR 10037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connector
computer module
exter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208A (ko
Inventor
박명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68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부 모듈만을 이동하여 외부 컴퓨터의 표시 장치 및 입력장치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는 제 1 컴퓨터 모듈과 제 2 컴퓨터 모듈로 구성된다. 액정 표시 장치,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제 1 컴퓨터 모듈에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제 1 커넥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휴대용 컴퓨터를 적용하면, 사용자는 일부 모듈만을 이송하여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외부 컴퓨터에 사용할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중복된 지출을 피할 수 있고, 다른 장소에 외부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보다 가벼운 일부 모듈만을 갖고 이동하면 되므로 이송이 편리하게 된다.

Description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BEING CONNECTABLE WITH EXTERNAL COMPUTER}
본 발명은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탁상용 컴퓨터(desktop computer)와 달리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량화 및 소형화를 요구 사양으로 고려되어 설계된다. 그러나 경량화 설계된 휴대용 컴퓨터도 그 무게가 3 ㎏ 내외이며 이 무게는 장거리로 이동하거나 자주 이동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이동시 부담을 느끼게 하는 중량이다. 특히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가 커져 그만큼 중량이 늘어나 휴대용 컴퓨터의 전체 중량을 줄이는 것이 쉽지 않아, 일부 제품은 기존에 사용되던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을 새 모델에 적용하기도 한다.
한편,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가 빠르고 각기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용 컴퓨터의 일부만을 교체할 경우 전부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갖게 된다. 특히 휴대용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탁상용 컴퓨터보다 2∼3배 가량 고가이므로 사용자는 교체에 부담을 갖게 된다.
그리고 휴대용 컴퓨터 사용자가 그 사무실에서는 탁상용 컴퓨터를 구입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이중으로 비용을 지출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손해일 뿐 아니라, 종래의 CRT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책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무실의 탁상용 컴퓨터는 본체만을 구입하거나 또는 업그레이드(upgrade)하고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 및 입력 장치를 이 본체에 연결할 수 있다면 휴대용 컴퓨터 및 탁상용 컴퓨터의 활용도도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컴퓨터는 모니터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외부 시스템이 휴대용 컴퓨터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일부 모듈만을 이동하여 탁상용 컴퓨터의 표시 장치 및 입력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분리형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분리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컴퓨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용 컴퓨터의 제 1 컴퓨터 모듈의 배면도;
도 4는 탁상용 컴퓨터 본체와 제 1 컴퓨터 모듈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 컴퓨터 모듈 2: 제 2 컴퓨터 모듈
3: 액정 표시 장치 4: 키보드(keyboard)
5: 마우스(mouse)
6: 신호 처리 보드(signal processing circuit board)
7: 메인 보드(main circuit board) 8: 배터리(battery)
9: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10: 시디 롬 드라이브(CD-ROM drive)
11: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12, 12': 도킹 커넥터(docking connector)
13: 제 1 커넥터부(first connecting member)
14: 직렬 포트 커넥터(serial port connector)
15: 병렬 포트 커넥터(parallel port connector)
16: 비디오 입출력 포트
17: 키보드 입출력 포트 18: 마우스 입출력 포트
19: USB 포트 커넥터 20: 탁상용 컴퓨터 본체
21: 키보드 케이블 22: 비디오 케이블
23: 마우스 케이블 24: USB 케이블
25: 신호 처리 디바이스(signal processing device)
26: 제 1 상부 하우징 27: 제 1 하부 하우징
28: 제 2 상부 하우징 29: 제 2 하부 하우징
30: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rive)
31: 메인 메모리(main memory)
32: PCMCIA 포트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는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며, 액정 표시 장치,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모듈에 탁상용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부를 구비한다. 이 커넥터부는 일반적인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 모듈은 결합되어 휴대용 컴퓨터로 작동하기도 하며, 한 개의 모듈은 분리되어 탁상용 컴퓨터의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탁상용 컴퓨터가 있는 장소로 이동할 경우에는 두 모듈을 전부 구비하지 않고 한 개의 모듈만 소지하여 이동한 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분리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용 컴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 1 컴퓨터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는 제 1 컴퓨터 모듈(first module)(1)과 제 2 컴퓨터 모듈(second module)(2)로 구성된다. 제 1 컴퓨터 모듈(1)은 평판 표시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device)(3), 키보드(keyboard)(4), 포인팅 장치인 마우스(mouse)(5), 제 1 커넥터부(first connector member)(13)(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신호 처리 보드(signal processing circuit board)(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 하우징(26)과 제 1 하부 하우징(27)으로 구성된 하우징에 배치된다. 신호 처리 보드(6)는 제 1 컴퓨터 모듈(1)이 제 2 컴퓨터 모듈(2) 또는 외부 컴퓨터 시스템(external computer system)과 연결될 때 송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디바이스(signal processing device)(25)와 제 2 커넥터부(second connector member)인 도킹 커넥터(docking connector)(12)를 포함한다.
제 2 컴퓨터 모듈(2)은 중앙 처리 장치(CPU)(11)와 메인 메모리(main memory)(31)를 갖는 메인 보드(main circuit board)(7) 및 상술한 도킹 커넥터(12)와 연결되는 제 3 커넥터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3 커넥터부는 메인 보드(7)에 배치되며, 제 2 커넥터부와 한 쌍을 이루는 도킹 커넥터(12')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컴퓨터 모듈(2)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rive)(30),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9), CD-ROM 드라이브(CD-ROM drive)(10), PCMCIA 포트(32) 및 배터리(battery)(8)을 더 포함하며, 이들 주변 기기들은 메인 보드(7)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상부 하우징(28)과 제 2 하부 하우징(29)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1 컴퓨터 모듈의 뒷면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부(13)가 배치된다. 제 1 커넥터부(13)은 시리얼 포트 커넥터(serial portconnector)(14), 병렬 포트 커넥터(parallel port connector)(15), 비디오 입출력 커넥터(16), 키보드 입출력 커넥터(17) 및 마우스 입출력 커넥터(1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는 도 3B와 같이 다수의 USB 포트 커넥터(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제 1 커넥터부(13) 중 비디오 입출력 커넥터(16), 키보드 입출력 커넥터(17), 마우스 입출력 커넥터(18) 및 USB 포트 커넥터(19)는 종래 휴대용 컴퓨터와 달리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커넥터이다. 이를 위하여 제 1 컴퓨터 모듈(1)의 표시 장치와 마우스 및 키보드를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흐름에 따라 신호를 제어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능을 상술한 신호 처리 보드(16)가 수행한다. 한편, USB 포트 커넥터(19)는 잘 알려진 대로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상술한 제 1 컴퓨터 모듈(1)의 제 2 커넥터부와 제 2 컴퓨터 모듈(2)의 제 3 커넥터부를 결합하여 휴대용 컴퓨터로 작동될 수 있다. 이때에는 모든 프로세싱의 처리는 제 2 컴퓨터 모듈(2)의 메인 보드(7)에 의해 수행된다. 이 때 제 1 커넥터부(1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된다.
도 4는 탁상용 컴퓨터 본체와 제 1 컴퓨터 모듈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컴퓨터 모듈(1)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20)와 연결되어 탁상용 컴퓨터의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 1 컴퓨터 모듈과 탁상용 컴퓨터는 키보드 케이블(21), 비디오 케이블(22)및 마우스 케이블(23)로 연결된다. 이 때 제 1 커넥터부가 USB 포트 커넥터(19)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세 개의 USB 케이블(24)을 사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3 개의 USB 케이블만을 사용하거나, 키보드 케이블(21), 비디오 케이블(22) 및 마우스 케이블(23)을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혼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제 1 컴퓨터 모듈(1)은 탁상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용 컴퓨터와도 연결 가능함은 당연하다. 특히 평판 표시 장치가 파손된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형 휴대용 컴퓨터를 적용하면, 사용자는 일부 모듈만을 구비하고 이동하여 탁상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탁상용 컴퓨터에 사용할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중복된 지출을 피할 수 있고, 다른 장소에 탁상용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보다 가벼운 일부 모듈만을 갖고 이동하면 되므로 이송이 편리하게 된다.또한, 본 발명인 분리형 휴대형 컴퓨터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를 업그레이드시키는 등 일부만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컴퓨터 모듈 또는 제 2 컴퓨터 모듈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평판표시장치, 입력장치, 제 1커넥터부, 제 2커넥터부 그리고 신호 처리 보드를 구비하는 제 1 컴퓨터모듈과;
    중앙처리장치(CPU)와 메인 메모리를 갖는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를 상기 제 2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제 2 컴퓨터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커넥터부는 외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들을 가지고,
    상기 신호처리보드는 상기 평판표시장치, 상기 입력장치, 상기 제 1커넥터부, 상기 제 2 커넥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컴퓨터모듈 또는 상기 외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송수신되는 전기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 1 컴퓨터 모듈과 상기 제 2 컴퓨터 모듈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컴퓨터 모듈은 FDD, HDD, CD-ROM 드라이브, PCMCIA 포트 및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부의 상기 커넥터들은 비디오 입출력 커넥터, 키보드 입출력 커넥터 및 마우스 입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부의 상기 커넥터들은 USB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2000-0052360A 2000-09-05 2000-09-05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KR10037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360A KR100373687B1 (ko) 2000-09-05 2000-09-05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360A KR100373687B1 (ko) 2000-09-05 2000-09-05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08A KR20020019208A (ko) 2002-03-12
KR100373687B1 true KR100373687B1 (ko) 2003-02-25

Family

ID=1968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360A KR100373687B1 (ko) 2000-09-05 2000-09-05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78B1 (ko) * 2002-08-31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08A (ko) 200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517B1 (en) Connector system for a docking station of a portable computer system
US5319582A (en) Detachable portable personal computer
US5875094A (en)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adjustable insertion angle
US10108221B1 (en) All-in-one computer
US6219037B1 (en) Pointing device provided with two types of input means for a computer system
US7599178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connecting bodies,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base using the same
US6697251B1 (en) Modular computer user interface system
US5436857A (en) Personal computer module system and method of using
US5999996A (en) Adapter for wirelessly interfacing a full-size stand alone keyboard with a handheld computing device
US6118663A (en) Multi-configuration modular computer
US5826042A (en)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module connection replicator
WO1998025352A2 (en) Port replicator for sharing peripherals
US20100106884A1 (en) Switch providing external access to computer-system components
EP0748475A1 (en) Modular connect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platform
CN102541169A (zh) 便携式电脑系统
US20090300251A1 (en) Computer equipment
US6823415B1 (en) All-in-one mobile docking station and system used therewith
KR100373687B1 (ko)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CN115437513A (zh) 集成扩展坞功能的蓝牙输入装置
US7102592B2 (en) Video signal converter for a detachable display module of a portable computer
US6570561B1 (en) Portable computer with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adapter
KR200290286Y1 (ko) 노트북 형태의 개인 휴대 단말기용 도킹 스테이션
CN218383907U (zh) 集成扩展坞功能的蓝牙输入装置
KR200210275Y1 (ko) 노트북 컴퓨터 기능을 갖는 키보드
CN216979757U (zh) 支持2台主机连接的kvm交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