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448B1 -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448B1
KR100370448B1 KR10-2001-7014031A KR20017014031A KR100370448B1 KR 100370448 B1 KR100370448 B1 KR 100370448B1 KR 20017014031 A KR20017014031 A KR 20017014031A KR 100370448 B1 KR100370448 B1 KR 10037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value
resource
accoun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864A (ko
Inventor
서원교
Original Assignee
이스턴컨설팅주식회사
서원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턴컨설팅주식회사, 서원교 filed Critical 이스턴컨설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701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44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은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된 활동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수행한다.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은 구매 및 취득 활동, 매출 및 수입 활동, 비용 지출 활동, 생산 활동을 포함하는 활동 유형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활동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면,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은 선택된 활동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구체적인 활동 정보를 입력하면,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활동 정보가 외부 활동인지 내부활동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활동 결과와 계정 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계 처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METHOD AND SYSTEM}
종래 기업의 경영 분석을 위한 회계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 활동에서 이른바 거래가 발생하면, 기업 회계 처리 방식에 의해서 그 거래를 체계화하여 분류하는 소위 부기(book-keeping) 작업을 행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회계 처리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기업 활동이 발생하면(S10), 이 기업 활동이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 (S20) 종래의 일반적인 회계 처리 방식에 의하면, 기업 활동 중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는 것에 대하여만 회계 처리를 수행하였으며,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예컨대, 뒤에서 언급할 내부 활동)에 대하여는 회계 처리를 수행하지 않았다.
상기 단계 S20에서, 기업의 활동이 부기상 거래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 기업의 활동을 차변과 대변으로 구분하여 전표를 작성하는 분개작업을 행하게 된다. (S30) 분개 작업이란 기업의 활동을 대략 300개 정도의 계정 과목으로 분류하여 기업의 활동을 각 계정 과목에 매칭시키는 것을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활동을 크게 차변과 대변으로 분류한 후, 차변에 자산의 증가, 부채의 감소, 자본의 감소, 비용의 발생에 대응하는 거래 내용을 할당하고, 대변에 자산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증가, 수익의 발생에 대응하는 거래 내용을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이러한 분개 작업은 소위 대차평균의 원리에 의하여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이 일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차변과 대변의 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날마다 전표의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을 구하는 일계표를 작성하고, 일정 기간(예컨대, 월별) 마다 차변의 합계와 대변의 합계를 구하는 시산표를 작성한다. (S40, S50) 다음 시산표의 내용을 기초로하여 재무 제표를 작성한다. (S60) 이 재무제표의 예로서는 기업의 자산 상태를 나타내는 대차 대조표와 기업의 영업 활동을 나타내는 손익 계산서가 있다.
한편, 종래의 회계 처리 방식에 따른 분개 과정은 대개 전표를 작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전표 작성자는 약 300개에 달하는 부기 계정 과목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또한 전표 처리를 컴퓨터 등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많은 계정 과목 명이나 계정 과목을 나타내는 코드명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부기 작업은 계정 과목이나 계정 과목 코드명을 정확히 알고 있는 전문가에 의해서만 처리가능 하였기 때문에, 기업의 모든 활동이 발생한 시점에 바로 처리되지 않고 별도의 전문 지식을 가진 회계 처리 부서에서 사후에 일괄 처리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활동 발생과 회계 보고서의 제공 사이에는 일정한 시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회계 처리 방식에 의하면 회계 처리 과정에서 분개에 포함될 수 없는 정보는 처리되지 않으며, 회계 처리의 결과는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 제표를 통해서만 알 수 있었다. 즉, 종래의 회계 처리 방식에 의하면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로부터 단지 기업의 자산 상태(예컨대, 현금 잔액) 및 당기 순이익만을 알 수 있으며, 근래 기업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는 현금 흐름(cash flow) 등은 알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회계 처리 방식에 의하면 손익 계산서로부터 당기순이익(profit)을 구하여 이를 경영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간주하였으나, 이러한 당기 순이익은 단지 수익으로부터 발생된 비용을 공제하여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올바른 현금흐름을 파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경영 성과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기업의 현금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금의 입·출입이 있는 경우 분개와는 별도로 현금 흐름표를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회계처리 방법에 의하면 기업 활동 중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는 것에 대하여만 회계 처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기업의 내부 활동(예컨대, A 부서에서 제품 생산을 위해 B kW의 전력을 사용)과 같은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에는 회계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내부 활동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회계 처리 방법 및 회계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분개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기업의 활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기업 경영에 필요한 회계 보고서를 제공하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및 활동 정보 회계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회계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동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정보 회계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정보 회계 처리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각 단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의 회계 보고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동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활동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분개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회계 처리의 비전문가가 단지 기업의 활동 정보를 입력하여 필요한 회계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도록하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및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업의 활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 이외에 현금 흐름표 및 그 외의 기업 가치를 나타내는 회계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및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회계처리 방법에서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일정한 활동에 대하여 적절한 평가 및 회계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및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은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된 활동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업활동의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 활동 유형 및 그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정보를 입력받는 제1단계; 입력된 활동 정보 중 활동의 가치를 나타내는 활동값의 총계와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원의 가치를 나타내는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경우,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있는 경우 활동별로 현금흐름을 집계하여, 이를 기초로 현금흐름표를 작성하는 제4단계; 제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경우, 상기 계정 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활동명과 자원명을 계정과목에 대응시키고, 각 활동값과 자원값을 대응된 계정 과목에 기입하는 제5단계; 상기 계정 과목에 기입된 활동을 기초로 하여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를 포함하는 회계보고서를 작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은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된 활동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과, 회계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 장치; 구매 및 취득 활동, 매출 및 수입 활동, 비용 지출 활동, 생산 활동을 포함하는 활동 유형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활동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활동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상기 회계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입력한 활동 정보가 외부 활동인지 내부활동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활동 결과와 상기 계정 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계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50)은 중앙 처리부(10), 입력 장치(20), 보조 기억 장치(30) 및 출력 장치(40)로 이루어진다.
중앙 처리부(10)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한다. 이 중앙 처리부(10)에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억 장치인 ROM(read only memory) 및RAM(random access memory)이 포함되어 있다.
입력 장치(20)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기업 활동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출력 장치(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계 처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프린터(44)와 디스플레이 장치(42)를 포함한다.
보조 기억 장치(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의 결과를 일정한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구매, 판매, 투자 등과 같은 기업의 업무나 이벤트, 즉 기업 활동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회계 처리 시스템(50)의 입력 장치를 통해 활동 유형을 선택한다. (S110) 즉, 기업 활동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기업 활동의 유형을 선택하기 위해 회계 처리 시스템(50)을 동작시키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50)의 디스플레이 장치(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유형 즉, 구매 및 취득 활동, 매출 및 수입 활동, 비용 지출 활동, 투자 및 재무 활동, 생산 활동(내부 활동), 결산 활동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활동 유형은 크게 외부 활동, 내부 활동, 및 결산 활동으로 분류된다.
외부 활동은 조직과 조직의 외부와의 거래를 동반하는 활동으로서, ① 구입 및 취득 활동, ② 매출 및 수입 활동, ③ 비용 지출 활동, ④ 투자 및 재무 활동 등을 포함한다. 내부 활동은 생산 활동과 같이 조직의 내부에서 이미 확보한 자원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내부 활동에서 사용하는 자원은 크게 직접 자원과 간접 자원으로 분류된다. 직접 자원은 제품 또는 서비스에 직접 대응되는 자원, 예컨대 재료비 등을 말한다. 간접 자원은 직접 자원처럼 제품 또는서비스에 직접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배부 대상이 되는 자원 예컨대, 전력비, 수도 광열비, 임대료 등을 말한다. 결산 활동은 회계 처리의 방법상 결산 시점에 자원의 소비 등을 일괄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활동으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활동은 아니다.
이와 같은 활동 유형은 종래 부기의 계정 과목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활동 유형의 구분은 기업(또는 조직)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특별한 전문 지식을 가지지 않고도 쉽게 알 수 있는 내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이 디스플레이 장치(42)를 통해 상기 활동 유형을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발생된 이벤트, 즉 기업 활동이 상기 활동 유형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20)를 통해 선택한다.
다음 사용자는 해당 활동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 정보를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한다. (S120)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S110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활동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선택한 활동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활동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2)를 통해 해당 내용을 표시하며,사용자는 이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적절한 데이터를 숫자 또는 문자의 형태로 입력 장치(20)를 통해 입력한다. 이때,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의 예로는 활동 일자, 담당자명(부서명), 활동명, 활동값, 자원명, 자원값, 기타의 활동 정보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기업 활동이 발생한 경우 해당 활동이 어느 활동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선택한 후(S110), 선택한 활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숫자 또는 문자를 간단히 입력(S120)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과정을 완료한다.
사용자가 구체적인 활동 정보를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활동 정보를 처리한다. (S130)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활동 정보가 외부 활동인가 내부 활동인가를 먼저 판단한 후, 각 활동에 대하여 소정의 활동 처리를 행한다. 이때, 각 활동에 대한 활동 처리는 미리 준비된 계정 과목 참조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해진다.
상기 단계 S130에서 활동 정보가 처리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회계 보고서를 출력한다.(S140) 이 회계 보고서의 예로는 대차 대조표, 손익 계산서, 현금 흐름표, 활동 기준 원가 보고서, 기업 가치 보고서 등이 있다.
다음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계 처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도3의 단계 S130 및 S14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활동 정보가 입력되면(S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입력된 활동 정보가 외부 활동인지 내부 활동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210)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된 활동 정보가 외부 활동인 경우에는 활동값(activity value)과 자원값(resource value)의 총계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여(S230), 다른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활동정보를 다시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활동 값이란 활동 자체의 가치를 나타내는 값을 말하며, 자원값이란 활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자원의 가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품을 100만원에 팔고 그 대가로 60만원을 현금으로 받고 나머지 40만원은 외상으로 한 경우를 가정하면, 이 경우 활동명은 매출 활동이 되고 활동 가치는 100 만원이 되며, 자원명은 각각 현금과 외상 매출금이 되고, 이때의 자원값은 각각 60만원 및 40만원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계 처리 방법에 의해서도,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는 항상 같아야 하며, 이는 종래 회계 처리 방법의 대차 평균의 원리에 대응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은 종래와는 달리 활동 내용을 차변과 대변에 인위적으로 구분하여 기재하는 것이 아니라, 활동명 및 활동값과 상기 활동에 대응되는 개념인 자원명과 자원값을 사용자가 기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기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230에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30) 상기 단계에서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각 활동별로 현금 흐름을 집계하며, (S270) 또한 각 활동 및 자원 별로 활동값 및 자원값의 합계를 구한다. (S250)
각 활동별로 현금 흐름을 집계한 후에는 이를 기초로하여 현금 흐름표와 기업가치보고서를 작성한다. (S271, S272) 여기서, 기업가치보고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회계 보고서로서 상세한 내용은 뒤에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활동이 현금의 입,출입을 수반하는 경우 이들 현금 정보는 활동값 또는 자원값 중의 어느 하나에 대응되기 때문에, 각 활동별로 현금 흐름을 집계하면 현금 흐름표 및 기업 가치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현금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별도로 현금 흐름표를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240에서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바로 각 활동 및 자원 별로 활동값 및 자원값의 합계를 구한다. (S250) 물론, 하나의 할동, 자원별로 하나의 할동값, 자원값만이 입력된 경우에는 본 단계를 수행할 필요는 없다.
상기 단계 S250에서, 각 활동 및 자원 별로 활동값 및 자원값의 합계를 구하고 나면, 본 실시예의 계정명 참조 테이블을 사용하여, 각 활동명과 자원명을 각 계정 과목에 대응시키고, 대응된 각 계정 과목에 대응되는 활동의 활동값의 합계 또는 대응되는 자원의 자원값의 합계에 해당하는 금액을 기록한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지 활동 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 입력된 활동정보를 각 활동에 대응하는 종래 부기 방식의 계정 과목으로 자동적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종래 회계 처리 방식에서 사용하는 각종 재무 제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정명 참조 테이블은 보조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회계 처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계정명 참조 테이블이 중앙 처리부의 RAM 상에 임시로 기억되어 있다.
상기 단계 S260에서 활동명과 자원명을 각 계정과목에 대응시키면, 각 계정 과목에 대응시킨 정보를 토대로 계정별 보조장 및 총계정 원장과,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를 작성한다. (S261, S262, S263) 이들 보고서는 종래 회계 처리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10에서 입력된 활동 정보가 내부 활동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내부 활동이 직접자원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간접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S220) 여기서, 직접 자원이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직접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응되는 자원(예컨대, 재료비 등)을 말하며, 간접 자원이란 직접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응되지않고 단지 배부의 대상이 되는 자원(예컨대, 전력비, 수도광열비, 임대료 등)을 말한다.
상기 단계 S220에서 내부 활동이 직접 자원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30으로 진행하며, 이후의 진행 과정은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부 활동이 자원을 소비하여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한다. 즉, 자원이 내부 활동에 투입됨으로써 제품이 산출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원가 계산을 하기 위하여는 활동이 소비하는 자원의 양과 제품 생산을위하여 소비된 활동의 양을 계량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원 동인과 활동 동인의 개념을 사용한다. 자원 동인이란 활동이 소비하는 자원의 양을 계량적으로 나타내는 측정 지표이며, 활동 동인이란 제품이 소비한 활동의 양을 계량적으로 나타내는 측정 지표이다.
상기 단계 S220에서 내부 활동이 간접 자원을 사용한 경우에는 각 자원별로 자원 동인의 값을 더한다. (S280) 상기 단계 S280을 도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도4의 단계 S280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간접자원명, 자원 동인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에서, 간접 자원명의 예로는 간접 노무비, 전력비, 가스 수도비, 통신비, 수선비, 소모품비, 감가상각비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각 간접 자원명에 대한 자원 동인은 각각 작업 시간, 실사용량, 실사용량, 사용시간, 수선회수, 실사용량, 기간이 된다. 이때, 자원동인은 각각 내부 활동(생산 계획, 구매/검수, 공정 준비, 기계 운전, 품질관리,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데, 도5의 마지막열에 기재된 항목은 각 간접자원에 대한 자원동인의 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 S280은 각각의 간접 자원에 대하여 각 자원동인의 값을 더한다.
상기 단계 S280에서 각 자원별로 자원동인의 값을 더한 후에는, 활동 원가를 계산한다. (S290) 상기 단계 S290을 도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먼저, 각 자원 값을 상기 단계S280에서 구한 자원 동인의 합으로 나눔으로써 단위 자원값을 각각 계산한다. (즉, 단위 자원값 = 자원값/자원동인의 합) 여기서, 각 자원값은 단계 S261에서 작성한 계정별 보조장 및 총계정 원장으로부터 알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접 노무비의 자원 값이 150,000원이라 하면, 도6에서 간접 노무비의 자원 동인의 합은 15,000 시간이므로, 단위 간접 노무비(자원값)는 150,000원/15,000시간=10(원/시간)이 된다.
각 단위 자원값을 계산한 후에는, 각 내부 활동에 사용된 자원동인의 값에상기 단위 자원값을 곱함으로써 각 내부 활동에 사용된 각 자원의 자원값을 구한다. 예컨대, 도6에서 각 단위 자원값이 10(원/시간)을 1000(시간)의 자원 동인을 갖는 생산 계획 활동에 곱함으로써, 생산 계획에 사용된 간접 노무비 10,000원을 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으로 개별 활동에 사용된 자원값을 구한 후에는, 개별 활동에 대한 각각의 자원값을 모두 더함으로써 각 개별 활동에 대한 활동원가를 구한다.
상기 단계 S290에서 활동 원가를 계산한 후에는, 각 활동 동인별로 활동 동인의 값을 더한 후, 이 값을 각 활동원가에 나눔으로써 단위 활동 원가를 계산한다. 여기서, 활동 동인은 활동 시간이나 활동 횟수가 된다. 상기 단계 S300을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각 활동 동인별로 활동 동인의 값을 더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A에 대하여 9회의 생산 계획 활동을 하였고 제품 B에 대하여 13회의 생산 계획 활동을 하여 각각 제품을 생산하였다고 가정하면, 여기서 활동 동인은 횟수가 된다. 도7에서 생산 계획 활동에 있어서 제품 A에 대한 활동 동인은 9이고, 제품 B에 대한 활동 동인은 13이기 때문에 생산 계획 활동에 대한 활동 동인의 합은 22가 된다.
다음, 각 활동에 대한 활동 원가를 활동 동인의 합으로 나눔으로써 단위 활동 원가를 계산한다. 예컨대, 도7에서 생산 계획 활동에 대하여 활동 원가는 도6에서 구하였듯이 44,000원이고, 활동 동인의 합은 22이므로, 단위 활동 원가는 2,000원이된다.
상기 단계 S300에서 각 활동에 대하여 단위 활동 원가를 계산한 후에는, 제품(서비스)의 간접 원가를 계산한다. (S310) 상기 단계 S310을 도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각각 단위 활동원가를 각각 제품 A 및 제품 B의 활동 동인의 값에 곱함으로써, 각각 내부 활동에 대한 제품의 활동원가를 구한다. 예컨대, 생산 계획 활동에 있어서, 단위 활동 원가 2.000원을 제품 A에 대한 활동동인의 값인 9에 곱함으로써, 생산 계획 활동에 대한 A 제품의 활동 원가 18.000원을 구한다.
다음 각 내부활동에 대한 특정 제품(예컨대 A 제품)의 활동 원가를 모두 더함으로써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간접 원가를 구한다.
상기 단계에서 구한 간접 원가는 뒤에서 설명한 활동 기준 원가 보고서의 작성에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각 활동에 대한 활동정보가 처리되고 나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또는 일정 기간마다 자동적으로 회계 보고서를 생성하게 된다.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보고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활동 기준 원가 보고서를 제공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기준 원가 보고서(Activity Based Costing Report)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활동 기준 원가 보고서는 활동이 자원을 소비하여 제품을 생산한다는 원가계산개념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제품별 원가계산보고서이다. 종전의 원가계산 보고서에서는 단순히 소비된 자원의 금액(예컨대, 재료비, 노무비, 수도 광열비, 전력비, 통신비,....)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원가정보를 제공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기준 원가보고서에서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품별로 소비한 활동별 원가정보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9에 도시한 활동기준 원가보고서는 각 제품별로 소비한 활동별 원가정보, 각 활동별 원가정보를 합한 금액인 간접 원가, 각 제품에 사용되는 직접 자원의 값인 직접비(예컨대,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간접원가와 직접비를 합한 금액인 각 제품별 총 제조원가를 제공하며, 이 총 제조원가를 제품의 생산 수량에 나눈 금액인 제품단위당 원가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활동자본 보고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자본 보고서는 기업에서 수행한 활동별로 기업가치를 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보고서로서 각 활동별로 투하된 자본을 집계하여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이 활동자본 보고서에서 집계된 자본의 금액에 이자율을 곱한 것이 뒤에서 설명할 기업 가치 보고서에서 기록될 자본비용이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 가치 보고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업 가치 보고서는 현금기준 영업이익으로부터 투입된 시설물의 경제적 가치 감소분을 반영하는 감가상각비와 세금, 투하된 자본의 기회 비용(자본 비용)을 차감한 것을 기업가치로서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 가치 보고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금 기준 영업 수익으로부터 현금기준 영업비용을 차감하여 세금 공제전 현금 기준 영업이익을 구하고,이 현금 기준 영업이익으로부터 감가상각비를 차감하여 세금공제전 영업이익을 구한다. 다음, 세금공제전 영업이익으로부터 세금을 차감하여 세금 공제후 영업이익을 구하고, 마지막으로 세금공제후 영업이익으로부터 자본 비용을 차감하여 기업가치를 구한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금흐름(C:cash flow), 기업가치(V:value) 및 당기순이익(P:profit)의 정보가 동시에 나타내어지는 CVP 분석표와 CVP 트라이앵글을 회계 보고서로서 제공한다. CVP 분석표는 현금흐름, 기업가치 및 당기 순이익의 상관 관계 또는 이들 각각의 기간별 비교정보를 제공하는 표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VP는 각각 현금 흐름표, 기업 가치 보고서 및 손익계산서로부터 각각 당기 및 전기의 현금 흐름(C1, C0), 기업 가치(V1, V0) 및 순이익(P1, P0) 정보를 제공받아, 이들 정보를 기준으로 각각 필요한 분석을 행한다. 이때, 분석 방법의 예로는 먼저 분석 방법 I과 같이 각각 당기의 정보를 전기의 정보로 나누어 위 정보의 증감 정도를 파악할 수도 있으며(분석 방법 I), 분석 방법 II와 같이 C, V, P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이들 분석 방법 I과 분석 방법 II를 나타내는 CVP 트라이앵글이다. CVP 트라이앵글이란 현금흐름, 기업가치 및 당기 순이익을 동시에 나타내고 이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모형도이다.
도 13의 CVP 트라이앵글은 각각 당기의 현금 흐름(C1), 기업 가치(V1) 및 순이익(P1) 정보를 전기의 현금 흐름(C0), 기업 가치(V0) 및 순이익(P0) 정보로 나눈 값을 각각 120°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세 개의 축에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각각의 축에 표시된 값은 각각 현금 흐름, 기업가치 및 순이익의 증감 정도를 나타낸다.
도 14의 CVP 트라이앵글은 현금 흐름 대 당기 순이익의 비율(C1/P1), 기업가치 대 당기 순이익의 비율(V1/P1) 및 기업가치 대 현금 흐름의 비율(V1/C1)을 각각 120°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세 개의 축(P-C 축, P-V 축, C-V 축)에 나타낸 것이다. 이때, P-C 축은 이익이 창출한 현금 흐름의 크기를 나타내고, C-V 축은 현금 증가에 대한 기업 가치의 비율을 나타내고 P-V 축은 외부에 보고되는 당기순이익의 유의성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회계 방법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 회계 처리 시스템에서 처리되었으나, 이 외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LAN이나 인터넷과 같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회계 처리 시스템에서도 처리 될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회계 처리 서버(100)와 다수의 클라이언트(200a, 200b, 200c,..)로 이루어진다.
회계 처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클라이언트(200a, 200b,200c)를 통해 기업 활동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활동 정보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회계 처리 방법과 동일하게 회계 처리를 행하며, 중앙 처리부(110), 입력 장치(120), 보조 기억 장치(130) 및 출력 장치(140)로 이루어진다.
중앙 처리부(110)는 앞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며, 입력 장치(120)는 외부에서 회계 처리 서버(100)의 조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출력 장치(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계 처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보조 기억 장치(1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방법의 결과를 일정한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클라이언트(200a, 200b, 200c)는 각 부서 별로 마련되는데, 각 부서에서 소정의 기업 활동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이들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기업 활동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클라이언트(200a, 200b, 200c)는 회계 처리 서버(100)에 유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무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의 동작은 기업 활동 정보를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하고, 회계 처리는 회계 처리 서버(100)에서 수행하는 점 이외에는 그 외에는 앞서 설명한 회계 처리 방법과는 거의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은 웹 서버(300),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320)와 다수의 웹 클라이언트(400a, 400b, 400c)로 이루어진다.
웹 서버(300)는 사용자가 각각의 웹 클라이언트(400a, 400b,400c)를 통해 기업 활동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활동 정보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회계 처리 방법과 동일하게 회계 처리를 행한 결과를 각 웹 클라이언트(400a, 400b,400c)에게 전송한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320)는 각 사용자의 ID, 패스워드와 같은 사용자 정보와 각 사용자의 회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웹 클라이언트(400a, 400b, 400c)는 각각의 사용자(기업)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 서버(300)에 접속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즉, 각 사용자는 소정의 기업 활동이 발생한 경우 자신의 웹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후, 기업활동 정보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웹 서버(400)는 입력된 사용자의 ID, 패스워드를 확인한 후, 각 사용자의 입력 내용에 해당하는 결과를 웹 클라이언트로 출력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계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기업 활동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웹 클라이언트를 통해 웹 서버(300)에 접속한 후,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그러면, 웹 서버(30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일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유형 즉, 구매 및 취득 활동, 매출 및 수입 활동, 비용 지출 활동, 투자 및 재무 활동, 생산 활동(내부 활동), 결산 활동 등을 웹 클라이언트로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기업 활동이 상기 활동 유형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선택한 후, 선택한 활동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 정보를 웹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한다. 그러면, 웹 서버(300)는 앞에서 설명한 회계 처리 방법으로 활동 정보를 처리한 후,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분개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회계 처리의 비전문가가 단지 기업의 활동 정보를 입력하여 필요한 회계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의 활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 이외에 현금 흐름표, 활동자본 보고서, 활동기준 원가보고서, 기업가치 보고서, CVP 분석표 등의 회계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활동과 같이 종래의 회계처리 방법에서 부기상 거래 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일정한 활동에 대하여도 적절한 평가 및 회계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Claims (19)

  1.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된 활동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업활동의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 활동 유형 및 그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정보를 입력받는 제1단계;
    입력된 활동 정보 중 활동의 가치를 나타내는 활동값의 총계와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원의 가치를 나타내는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경우,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있는 경우 활동별로 현금흐름을 집계하여, 이를 기초로 현금흐름표를 작성하는 제4단계;
    제2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경우, 상기 계정 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활동명과 자원명을 계정 과목에 대응시키고, 각 활동값과 자원값을 대응된 계정 과목에 기입하는 제5단계;
    상기 계정 과목에 기입된 활동을 기초로 하여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를 포함하는 회계보고서를 작성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다른 경우, 활동 정보를 다시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7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경우에, 하나의 활동명, 자원명에 대하여 다수의 활동값, 자원값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각 활동 및 자원별로 활동값 및 자원값의 합계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단계에서 대응된 계정 과목에 기입되는 활동값 및 자원값은 상기 각 활동 및 자원별로 구한 활동값 및 자원값의 합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이에 입력된 활동 정보가 외부 활동인지 내부 활동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입력된 활동 정보가 외부 활동인 경우에는 제2단계로 넘어가고,
    입력된 활동 정보가 내부 활동인 경우에는 내부 활동에서 사용한 자원이 제품 또는 서비스에 직접 대응되는 자원인 직접 자원인지, 아니면 제품 또는 서비스에 직접 대응되지 않으며 배부 대상이 되는 자원인 간접 자원인지를 판단하여 내부 활동에서 사용한 자원이 직접 자원인 경우에는 제2단계로 넘어가고,
    내부 활동에서 사용한 자원이 간접 자원인 경우에는
    각 자원 별로 활동이 소비하는 자원의 양을 계량적으로 나타내는 측정 지표인 자원 동인의 값을 더하는 제8단계;
    상기 제9단계에서 구한 자원 동인의 값을 이용하여 활동 원가를 계산하는 제9단계;
    상기 활동 원가와 제품 또는 서비스가 소비하는 활동의 양을 계량적으로 나타내는 측정지표인 활동 동인을 이용하여 단위 활동 원가를 구하는 제10단계; 및
    상기 단위 활동 원가를 이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간접 원가를 계산하는 제11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활동은 구매 및 취득 활동, 매출 및 수입 활동, 비용 지출 활동, 투자 및 재무 활동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활동은 생산활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각 자원 값을 상기 제8 단계에서 구한 자원 동인의 합으로 나누어 단위 자원 값을 구하는 단계;
    내부 활동에 사용된 각 자원 동인의 값에 상기 단위 자원 값을 곱하여 내부 활동에 사용된 각 자원의 값을 구하는 단계;
    내부 활동에 사용된 각각의 자원 값을 더하여 개별 내부 활동에 대한 활동 원가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단계는
    각 내부 활동에 대한 활동 원가를 활동 동인의 합으로 나누어 단위 활동 원가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단계는
    상기 단위 활동 원가를 특정 제품에 사용된 활동 동인의 값에 곱하여 각각 내부 활동에 대한 특정 제품의 활동 원가를 구하는 단계; 및
    각 내부 활동에 대한 특정 제품의 활동 원가를 모두 더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간접 원가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각 제품별로 소비한 활동별 원가 정보, 각 제품별 간접 원가 및 직접비에 대한 정보와, 상기 간접원가와 직접비를 더한 값인 각 제품별 총 제조 원가 정보를 나타내는 활동 기준 원가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12. 제1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현금 기준 영업 수익으로부터 현금 기준 영업비용, 감가상각비, 세금 및 자본 비용을 차감하여 기업 가치를 구하는 기업 가치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13. 제1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현금 흐름, 기업 가치 및 당기 순이익 정보를 동시에 나타내는 CVP 트라이앵글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VP 트라이앵글은
    각각 당기의 현금 흐름 대 전기 현금 흐름의 비율(C1/C0), 당기 기업 가치 대 전기 기업 가치(V1/V0)의 비율 및 당기 순이익 대 전기 순이익의 비율(P1/P0)을 각각 세 개의 축에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VP 트라이앵글은
    각각 현금 흐름 대 당기 순이익의 비율(C1/P1), 기업 가치 대 당기 순이익의 비율(V1/P1) 및 기업 가치 대 현금 흐름의 비율(V1/C1)을 각각 세 개의 축에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한 활동 정보 회계 처리 방법.
  16.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된 활동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과, 회계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 장치;
    기업활동의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 활동 유형 및 그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활동 유형과 활동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회계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입력된 활동 정보 중 활동의 가치를 나타내는 활동값의 총계와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원의 가치를 나타내는 자원값의 총계가 같고 활동값 또는 자원값에 현금이 있는 경우에 활동별로 현금흐름을 집계하여 이를 기초로 현금흐름표를 작성하며, 입력된 활동값의 총계와 자원값의 총계가 같은 경우에 상기 계정 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활동명과 자원명을 계정 과목에 대응시키고 각 활동값과 자원값을 대응된 계정 과목에 기입하고 상기 계정 과목에 기입된 활동을 기초로 하여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를 포함하는 회계보고서를 작성하는 중앙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
  17. 제16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각 부서에 마련된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
  18. 제16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과 연결된 웹 클라이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각 사용자의 회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 정보 회계 처리 시스템.
KR10-2001-7014031A 2001-11-02 1999-10-15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 KR10037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7014031A KR100370448B1 (ko) 2001-11-02 1999-10-15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7014031A KR100370448B1 (ko) 2001-11-02 1999-10-15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864A KR20020013864A (ko) 2002-02-21
KR100370448B1 true KR100370448B1 (ko) 2003-02-05

Family

ID=1971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031A KR100370448B1 (ko) 2001-11-02 1999-10-15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34B1 (ko) 2007-08-13 2008-06-10 서원교 활동 정보 회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218A (ko) * 2002-04-17 2003-10-22 서원교 경영조직의 활동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84353B1 (ko) * 2005-09-14 2007-12-13 굿맨소프트(주) 현금흐름표 자동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현금흐름표 자동제공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68144B1 (ko) * 2005-12-30 2007-10-18 한국산업은행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내부거래 회계처리 시스템
KR20150128636A (ko) 2015-03-02 2015-11-18 (주)링커 Ip화폐에 의한 자금 추적과 자금 용도 제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627A (ko) * 1999-11-19 2001-06-25 최성호 네트워크 상에서의 세무와 회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627A (ko) * 1999-11-19 2001-06-25 최성호 네트워크 상에서의 세무와 회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34B1 (ko) 2007-08-13 2008-06-10 서원교 활동 정보 회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864A (ko)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531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urchasing contracts
CN108090823A (zh) 基于SaaS的账务数据管理系统
US2004003961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nalysis of an organization
Rutherford et al. From an input-output table to a general equilibrium model: assessing the excess burden of indirect taxes in Russia
US20020016752A1 (en) 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method and system
Ronen et al. Relevant accounting
JP6049799B2 (ja) 経営支援プログラム
JP2006079493A (ja) 資金提供に関する企業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370448B1 (ko) 활동 정보 회계 방법 및 회계 시스템
JP2003233703A (ja) 経営指標処理システム
US20030126057A1 (en) Automatic system for evaluating the economical added value of single work orders of a company and automatic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AU767283B2 (en) 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method and system
Pardina et al. Accounting for infrastructure regulation: an introduction
RU190382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ценк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перепрофилирования промышленных территорий
US200501827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ctivity information of business organization
US202400956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ivity Measurement
Hildebrandt The Economics of Military Capital
Kennedy Analysing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Business
Mumford Lessons for accounting measurement from transaction cost economics
Ahmed Dynamic EBITDA forecasting using ERP & CRM data: a case of combining various data sources to increase forecasting accuracy
Stangova et al.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THE CRE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Jiang et al. The Adoption of Non-Rival Inputs and Firm Scope
Halim et al. Check for updates Analysis of Calculations, Deposits and Reporting of Value Added Tax on Logistics Service Companies (Case Study of Value Added Tax on PT. XYZ in 2020-2021)
Maisuradze BASIC ASPECTS OF MEASUREMENT OF IMPAIRMENT OF LONG-TERM ASSETS OF AN ENTITY
Robinson et al. Cost Management Strategies and Profitability of Quoted Cement Manufacturing Firms in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1004

Effective date: 200603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211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1004

Effective date: 200603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