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413B1 -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413B1
KR100370413B1 KR1019960026934A KR19960026934A KR100370413B1 KR 100370413 B1 KR100370413 B1 KR 100370413B1 KR 1019960026934 A KR1019960026934 A KR 1019960026934A KR 19960026934 A KR19960026934 A KR 19960026934A KR 100370413 B1 KR100370413 B1 KR 10037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speaker
reproduction
audio data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765A (ko
Inventor
김상욱
김도형
서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2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413B1/ko
Publication of KR98000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재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M개의 음원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가 들어오면, 음원과 스피커의 위치 정보에 따른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스피커/헤드폰 출력 경우에 따른 출력값 조절이 가능하게 해주는 제어부: 및 최종 귀로 들어오는 신호들을 고려해 주면서, M개의 음원을 N개로 채널수를 변환해 처리해주는 데이타 처리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적은 수의 스피커를 사용해, 보다 많은 수의 스피커를 사용했을 때에 대한 효과를 내도록 하고, 스피커를 이용한 재생의 경우와 헤드폰을 이용한 재생 경우에 대해 서로 다른 처리들을 해줌으로서, 재현 환경을 고려한 보다 적합한 처리가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오디오 기기들은 모노 신호에 의한 재생 대신에 스테레오 신호들에 의한 재생을 한다. 스테레오 신호에 의한 재생시, 고정된 재생 스피커들의 위치에 따라서, 재생되는 신호들에 의해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된다. 그래서, 이런 현장감을 느낄수 있는 범위를 늘려주기 위해, 스피커의 재생능력을 개선하는 연구와 신호처리에 의해 가상 신호들을 만들어 주는 일들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가상 신호들을 만들어 주는데 있어서, 제1A,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방법들은 신호의 공간적인 이동에 따른 지연을 만들어주고, 신호크기를 줄여서 후방에 전달해 주었다. 즉, 전방 오른쪽과 왼쪽 스피커로 나가는 신호를 일정한 비율을 곱해준 뒤에 어느정도의 시간지연을 준 뒤에 더해주어서 후방 오른쪽과 왼쪽 스피커용 출력신호를 만들어 주는 처리를 해주었다.
이 경우 각 전방 오른쪽, 왼쪽 채널의 신호들이 지연과 크기 변화에 의해 후방 오른쪽과 왼쪽으로 전달이 되기 때문에, 일 예로, 전방 오른쪽에서 후방 왼쪽으로 헬리콥터가 지나가고 있을 경우, 그 효과의 완벽한 재현을 위한 가상신호를 만들어 주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데이터 재현에 사용되는 채널의 수를 늘려줌으로서 보다 실제 상황에 비숫하게 재현해주는 개선이 가능하다.
그래서, 최근 채널 수를 늘려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어, 특히, HDTV를 응용 대상으로 하는 5채널인 경우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식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ISO/IEC IS 1381-3).
그러나, 이렇게 채널 수를 증가시켜줌에 따라서, 보다 현장감에 출실한 음악 재현 효과는 얻을 수가 있으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늘어나는 채널 수 만큼의 스피커가 추가로 필요하게 되어서, 많은 수의 스피커들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넓은 재현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비용 및 재현 환경의 제약조건들을 풀고, 또 기존에 존재하는 2채널 재현 장치들과의 호환성을 위해, 채널 수를 줄여 재생해 주는 다운 믹싱(down-mixing) 방식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다운 믹싱 방식들은 거의 대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각 채널에 어떤 상수 값을 곱해주는 처리를 해, 어떤 채널의 정보를 다른 채널들로 전달해주고 있다.
제6도에는 ISO/IEC IS 13818-3에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ISO/IEC IS 13813-3에서 사용하는 채널 합성방법 과정(Procedure) 0,1,3은 다음과 같다.
에서,
들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선형 변환에 의해 쉽게 각 가상채널에 해당하는 신호값들을 구해줄 수가 있고, 어느 정도의 음질의 개선 효과는 얻을 수가 있었으나, 실제 상황과는 다른 음질 재현 성능을 갖는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음악 매니아들의 평가이다.
여기서, 실제 상황과 다른 재현 효과를 갖는 이유는 인간이 갖는 소리 음원의 공간 위치에 따른 인식 차이를 단순히 어떤 채널에 같은 상수 값을 곱해 처리해 주었기 때문으로, 즉 실제상황에 대한 고려가 제대로 되지를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인간이 삼차원 공간에 존재하는 소리를 듣고 느끼는 것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적용시켜 줌으로서 개선이 가능하다.
인간의 소리 인식에 대한 연구들은 크게, 오른쪽이나 왼쪽 귀들 가운데 하나의 귀만을 가지고 한 연구와, 양쪽 귀를 함께 고려해 한 연구들로 구분될 수 있다.
한쪽 귀에 대한 연구는 소리 존재의 유무를 느끼는 과정 및 그 특징에 대한 모델링이 가능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신호의 최소 압력 크기(absolute threshold balue) 라든지 여러 신호들이 들어을 때 각 신호들간의 상호 작용(masking)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있어서 그 결과들을 데이터의 효과적인 표현, 즉 압축 등에 사용되고 있다.
양쪽 귀에 대한 연구는 양쪽 귀에 들어오는 입력 신호들에 대한 상호 영향에 대한 연구, 즉, 오른쪽 귀와 왼쪽귀로 느끼는 소리 신호의 크기차이 라든지 소리의 전달시간의 차이로 발생하는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들어오는 소리의 위상에 대한 차이에 대한 것들을 수행해 왔다.
이러한 양쪽 귀에 대한 연구 결과에 의해, 사람이 공간상의 한점에서 존재하는 음원을 인식하는 인식 특성이 모델링 되었고, 이러한 특성은 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이라고 불리운다. 이 HRTF 함수들은 공간 상의 어떤 한 점에서 소리가 존재할 때, 그 신호가 양귀로 전송될 때에 대한 특징에 대한 중이(middle ear)에서의 임펄스 응답 또는 전달함수로 표현된다. 제4A,4B도에 HRTF의 일 예를 보인다.
한편, 종래의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 재현시 채널수 변환하는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수 변환시에 후방채널 신호들에 대해서는 주파수 대역을 줄여주는 처리를 한다. 둘째, 채널수 변환시에 후방 채널 신호들에 대해, 전 주파수 대역에 대해 같은 상수 가중치를 곱해서 다운믹싱을 한다. 셋째, 채널수 변환한 신호의 재현 환경이 바뀌는 경우들에 대한 조절을 하지 않았다. 즉, 헤드폰을 이용한 재현인 경우와 스피커를 이용한 재현인 경우에 대해서 차이를 주지를 않았다.
이러한 특징들로 부터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 가청 주파수 대역 신호들에 대한 처리가 아니라서, 소리 정보의 손실을 갖는다. 둘째, 전 수파수 대역에 대해서 같은 상수 가중치를 곱해줌으로서, 인간이 특정위치의 음원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각 위치와 주파수들에 대한 민감도 차이 특성을 고려해 주지를 않아 결과적으로 처리된 신호로부터 원래 신호와의 차이를 느낄 수가 있다.
셋째. 스피커를 이용한 재생은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있고, 헤드폰을 이용한 재생은 크로스토크가 없는 특징이 있다. 크로스토크의 유무에 따른 적합한 처리 변환을 주지를 않아서, 스피커 재현과, 헤드폰 재현시 들리는 신호에 대한 느낌이 다른 문제점을 갖는다.
요약하면, 이전의 방식들은 후방 채널들의 소릴 정보에 대한 손실들이 있고, 음원의 공간상의 재현 위치에 따라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구현시 고려해 주지를 않아 음감에 차이를 갖는다. 또, 스피커와 헤드폰에 의한 재현환경들에 대한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각 상황에 따른 재현시 재현효과가 다른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실감을 높여주기 위해 전송되는 채널의 수를 HRTF 모델을 적용해서 늘려준 다음 재현시 들어가는 환경의 제약 및 비용을 줄이기 위해 출력 스피커의 수를 바꾸어 주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기존의 방식들이 사용한 방식과 달리, 인간의 삼차원 음원 인식의 이해에 사용되는 음향심리 모델을 처리에 응용해 준다. 다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행렬 연산해서 재현해 줄 때, 인간이 오디오 신호들을 느끼는데 사용되는 정보인 각 신호들의 공간 상의 위치 및 각 주파수에 따른 소리 파워들에 대한 전달함수의 크기차와, 지연 시간의 조절 방법들을 처리에 이용해, 실제와 같은 3차원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은 다음 식
(여기서, HR1, HR2, HL1, HL2는 스피커의 위치가 고정되면 결정되는 값들이고, HAR, HAL은 음원의 위치가 정해지면, 그 위치에 따라서 정해지는 알려진 값들이다. )
으로 나타내어지는 HMR,HML을 구하여 한 개의 채널을 두 개의 채널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은 다음 식
(식 19)
으로 나타내어지는 전달함수를 구하여 M개의 입력 채널을 N개의 재현 채널로 맵핑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은 다음 식
(식 24)
으로 나타내어지는 전달함수를 구하여 5개의 채널을 2개의 스피커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는
M개의 음원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가 들어오면, 음원과 스피커의 위치 정보에 따른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스피커/헤드폰 출력 경우에 따른 출력값 조절이 가능하게 해주는 제어부: 및
최종 귀로 들어오는 신호들을 고려해 주면서, M개의 음원을 N개로 채널수를 변환해 처리해주는 데이타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의 세부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는, 음원 위치 제어부(110)과 스피커 제어부(120)로 구성되어, M개의 음원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가 들어오면, 음원과 스피커의 위치 정보에 따른 적합한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스피커/헤드폰 출력 경우에 따른 출력값 조절이 가능하게 해주는 제어부(100)과, 스피커 출력 보상부(220)과 M개의 음원을 N개로 변형시켜 줄 때 생기는 위치 변동 효과에 대한 보상 처리를 해주는 음원 위치 보상부(210)으로 구성되어, 최종 귀로 들여오는 신호들을 고려해 주면서, M개의 음원을 N개로 채널수를 변환해 처리해주는 데이타 처리부(200)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7도를 참조하면, 스피커 출력 보상부(220)는 스피커 또는 해드폰 재생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해주는 스피커/헤드폰 출력 조절부(222), N개의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해 줄 때, 처리된 값들이, 귀에 도달할 때의 특성을 고려해 주기 위한 스피커 출력 특성 보상부(224), 스피커 출력과 헤드폰 출력에 대한 출력값을 구해주는 가산기 (22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먼저 삼차원 공간상의 임의의 한점에 존재하는 소리를 공간상의 다른 점에서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어준 뒤, 그 개념을 응용해 다운 믹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어떠한 채널의 수를 갖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보이기 위해, 임의의 M개의 출력신호가 있을 때, 그것을을 변형해, 임의의 N개의 장소로 재현이 가능하다.
삼차원 공간상의 임의와 한점 A의 정보를 이용해, 그 점에서 소리가 재현되는 효과를 전방 오른쪽/왼쪽 스피커를 이용해 낼 수 가 있다.
오른쪽 스피커와 왼쪽 스피커로 나오는 신호들을 각각 XR, XL이라 할 때, 오른쪽/왼쪽 스피커를 통해 , 귀에 들어오는 신호 ER, EL들은,
로 표현이 가능하고, 이것은
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여기서 HR1, HR2, HL1, HL2는 전달함수이다.
특정 점 A에서 소리가 나는 신호를 XA라 하면,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들어오는 신호는 다음 식 4와 식 5와 같이 표현된다.
행렬로 표현해 주면,
과 같다.
이 양쪽 식 3과 6에 의한 값들이 같다면, 점 A에 신호가 위치하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풀어 주면,
이 된다.
위의 식 7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스피커와 왼쪽 스피커의 출력으로 나오는 값을 조절해 주어야만 한다. 스피커의 출력값 XR, XL값들이 XR, 값이 각각 HMR, HML에 의해 변형된 신호라고 가정해 주면,
와 같이 쓸수 있고,
와 같이 표현될 수가 있다. 식 3에 대입해 주면,
과 같으므로, 식 7의 값을 치환해 정리하면,
이 된다. 역변환에 의해 변형시켜 주는 값들인 XMR, XM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애서,
여기서 HR1, HR2, HL1, HL2는 스피커의 위치가 고정되면 결정되는 값들이고, HAR, HAL은 음원의 위치가 정해지면, 그 위치에 따라서 정해지는 알려진 값들이기 때문에, HMR, HML을 구해줄 수가 있다.
이 값들은 구한 뒤에 식 10을 이용해 삼차원 공간상의 위치 A에서 존재하는 신호를 다른 임의의 위치에서 재현해주면서, A 위치에서 소리가 나는 것과 같이 해 줄 수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삼차원 공간상의 한점에 위치하는 신호를 다른 점에서 복원해 주는 것에 대한 것이다.
이것을 일반적인 경우인 M개의 출력신호를 N개로 재현해 주는 경우에 대해설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가 있다.
여기서 양쪽 값들이 같도록 해주어야 되니까,
를 대입해서 정리해주면,
(식 18)
여기서, 역변환을 해주면,
(식 19)
이렇게 각 전달 함수를 구해, M개의 임의의 출력값을 N개의 출력으로 같은 효과를 내 줄수가 있다.
특히, HDTV에서 고려해 주는 것과 같은 5채널 오디오 신호가 전송될 때, 그것을 제9도와 같은 2채널로 다운믹싱 해줄 경우에 대한 것은 다음 식 20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다.
이 된다.
식 20에 의해 표현되는 값을 식 21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값 XL, XR, 들을 변형시켜 주어야 한다. 행렬의 차원을 고려해서 값들을 변형시켜주면,
(식 22)
과 같이 된다. 식 22을 식 21에 대입한 뒤, 식 20과 풀어 정리하면,
23)
과 같이 된다.
역변환을 시켜주면,
(식 24)
전술한 설명은 재현시의 채널수 변환에 대한 것으로, 그 처리과정은 제10도와 같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채널 수 변환의 예로, 한 개의 채널을 두 개의 채널로 복원하는 경우(a), M개의 입력 채널을 N개의 재현 채널로. 맵핑해주는 경우(b)와, 5개의 채널을 2개의 스피커로 복원하는 경우(c)들에 대한 일 예를 보였다.
상기 채널수 변환방법은 모두가 스피커를 통해 재현되는 경우만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폰에 의한 재현을 하는 경우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헤드폰에 의한 재현과 스피커에 의한 재현을 동시에 고려해 줄수 있는 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6도 내지 제8도에서와 같이 제어부(100)으로 부터 스피커/헤드 폰 출력 조절신호를 받아, 그 값이 "OFF"이면, 헤드폰으로만 인식해 스피커 출력 보상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처리하고, 그 값이 "ON"이면 스피커로 인식해 스피커 출력 값들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처리를 스피커 출력 보상부(220)에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적은 수의 스피커를 사용해, 보다 많은 수의 스피커를 사용했을 때에 대한 효과를 내도록 한다. 또한, 스피커를 이용한 재생의 경우와 헤드폰을 이용한 재생 경우에 대해 서로 다른 처리들을 해줌으로서, 재현 환경을 고려한 보다 적합한 처리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채널수를 변환하는 처리를 할 때에, 다채널로 재생시 원래 권장되는 스피커의 재생 위치를 처리시에 고려해 주기 때문에, 특정 위치의 음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재현에 사용되는 스피커의 위치를 바뀌어 줄때도, 그 변환하는 위치를 알면, 새로 변환된 위치의 정보를 이용해서 보다 적합한 재현이 되도록 조절하는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채널수를 변환하는 처리시, 인간이 가지고 있는 특정 음원에 대한 전달함수를 이용해 처리해 주기 때문에, 보다 현장감 있도록 처리가 가능하다.
제1A,1B도는 종래의 음장 효과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5채널 재현시 다채널 오디오의 스피커를 통한 재현예.
제3도는 종래 방법에 의한 재현 채널수 변환방법의 예.
제4A,4B도는 HRTF의 일예.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의 세부 블럭도.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스피트 출력 보상부의 세부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에 있어서 각 부의 세부 블럭도.
제9도는 2채널 재현시 스피커의 배치도.
제10도는 제5도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의 각 부에서의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1A∼11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재현 채널수 변환의 예.

Claims (11)

  1. M개의 음원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가 들어오면, 음원과 스피커의 위치 정보에 따른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스피커/헤드폰 출력 경우에 따른 출력값 조절이 가능하게 해주는 제어부: 및
    최종 귀로 들어오는 신호들을 고려해 주면서, M개의 음원을 N개로 채널수를 변환해 처리해주는 데이타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원의 위치를 제어하는 음원위치 제어부와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처리부는
    삼차원 공간상에 배치된 출력 스피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헤드폰 재생시 스피커들로부터 재현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갖도록 처리하는 음원위치 보상부: 및
    원래의 입력 채널수와 재현시 사용되는 채널들의 위치 또는 갯수가 서로 다른 것을 보상하는 스피커 출력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출력 보상부는
    스피커 또는 해드폰 재생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해주는 스피커/헤드폰 출력 조절부;
    N개의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해 줄 때, 처리된 값들이, 귀에 도달할 때의 특성을 고려해 주기 위한 스피커 출력 특성 보상부; 및
    스피커 출력과 헤드폰 출력에 대한 출력값을 구해주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타의 입력 채널수와 재현 채널수가 다른 경우 채널수를 상기 재현 채널수로 변환시 HRTF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제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타의 삼차원 공간상에서의 재현 위치를 이동할 경우 HRTF를 이용하여 그 위치이동을 보상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타의 삼차원 공간상에서의 재현 채널수나 위치의 변동시 각 주파수 성분들 및 위치에 따라 다른 상수값을 사용한 처리를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인간의 중이에서의 전달함수 특성을 상기 상수값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장치.
  9. . 다음 식
    (여기서, HR1, HR2, HL1, HL2는 스피커의 위치가 고정되면 결정되는 값들이고, HAR, HAL은 음원의 위치가 정해지면, 그 위치에 따라서 정해지는 알려진 값들이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HMR, HML을 구하여 한 개의 채널을 두 개의 채널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체널수 변환방법.
  10. 다음식
    (식 19)
    으로 나타내어지는 전달함수를 구하여 M개의 입력 채널을 N개의 재현 채널로 맵핑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11. . 다음 식
    (식 24)
    으로 나타내어지는 전달함수를 구하여 5개의 채널을 2개의 스피커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
KR1019960026934A 1996-06-30 1996-06-30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KR10037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934A KR100370413B1 (ko) 1996-06-30 1996-06-30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934A KR100370413B1 (ko) 1996-06-30 1996-06-30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765A KR980004765A (ko) 1998-03-30
KR100370413B1 true KR100370413B1 (ko) 2003-04-10

Family

ID=3741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934A KR100370413B1 (ko) 1996-06-30 1996-06-30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8891B2 (en) 2009-08-12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multi-channel audio signal by using semantic information
WO2022124620A1 (en) * 2020-12-08 2022-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render n-channel audio on m number of output speakers based on preserving audio-intensities of n-channel audio in real-ti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93B1 (ko) * 2002-07-08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입체음향 사운드 생성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841A (ko) * 1988-09-02 1990-04-14 원본미기재 음상묘사 방법 및 그 장치
JPH02299398A (ja) * 1989-05-12 1990-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ハイビジョン音声受信装置
JPH0595334A (ja) * 1991-10-02 1993-04-16 Hitachi Ltd 音声チヤンネルデータの受信再生方式
KR930015946A (ko) * 1991-12-07 1993-07-24 강진구 2채널 음장재생장치 및 방법
JPH06319199A (ja) * 1993-01-14 1994-11-15 Rocktron Corp 多次元音響回路及びその方法
JPH07320411A (ja) * 1994-03-31 1995-12-08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841A (ko) * 1988-09-02 1990-04-14 원본미기재 음상묘사 방법 및 그 장치
JPH02299398A (ja) * 1989-05-12 1990-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ハイビジョン音声受信装置
JPH0595334A (ja) * 1991-10-02 1993-04-16 Hitachi Ltd 音声チヤンネルデータの受信再生方式
KR930015946A (ko) * 1991-12-07 1993-07-24 강진구 2채널 음장재생장치 및 방법
JPH06319199A (ja) * 1993-01-14 1994-11-15 Rocktron Corp 多次元音響回路及びその方法
JPH07320411A (ja) * 1994-03-31 1995-12-08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8891B2 (en) 2009-08-12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multi-channel audio signal by using semantic information
WO2022124620A1 (en) * 2020-12-08 2022-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render n-channel audio on m number of output speakers based on preserving audio-intensities of n-channel audio in real-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765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1603B1 (en) Steering of monaural sources of sound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KR100416757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가상 음상을 이용한 스피커 재생용 다채널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US8340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generate spatial stereo sound
KR100739798B1 (ko) 청취 위치를 고려한 2채널 입체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341523B1 (ko) 스테레오 신호들로부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들을생성하는 방법
US6078669A (en) Audio spatial loc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6574339B1 (en)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for multiple listeners and method thereof
Valimaki et al. Assisted listening using a headset: Enhancing audio perception in real, augmented, and virtual environments
US11956622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ized soundfield
JP7038725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US10764709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ynamic equalization for cross-talk cancellation
EP0814638A2 (en)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tion method
TW201727623A (zh) 聲場增強裝置及方法
EP2229012B1 (en) Device,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canceling crosstalk when reproducing sound through plurality of speakers arranged around listener
US5604809A (en) Sound field control system
Novo Auditory virtual environments
KR100370413B1 (ko) 다채널 오디오 데이타의 재현시 채널수 변환방법 및 장치
KR100725818B1 (ko) 최적 가상음원을 제공하는 음향재생장치 및 음향재생방법
KR19990088195A (ko) 디지털신호처리회로와이것을사용하는오디오재생장치
Floros et al. Spatial enhancement for immersive stereo audio applications
KR19980031979A (ko) 머리전달 함수를 이용한 두 채널에서의 3차원 음장 재생방법 및 장치
JP2011259299A (ja) 頭部伝達関数生成装置、頭部伝達関数生成方法及び音声信号処理装置
Vorländer et al. 3D Sound Reproduction
Iwanaga et al. Embedded implementation of acoustic field enhancement for stereo sound sources
KR19990069336A (ko) 3차원 음향재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