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935B1 -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 Google Patents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935B1
KR100369935B1 KR10-2000-0081958A KR20000081958A KR100369935B1 KR 100369935 B1 KR100369935 B1 KR 100369935B1 KR 20000081958 A KR20000081958 A KR 20000081958A KR 100369935 B1 KR100369935 B1 KR 100369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ric
uplink
service type
lin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954A (ko
Inventor
김은아
이종협
이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8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9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망에서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상위 레벨 링크)를 표현하기 위해 하위 레벨 피어 그룹간의 링크(업링크)들을 집성하는데 있어, 먼저 링크의 특성을 표시하기 위해 각 서비스 유형별로 혹은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라 메트릭을 선택하고, 상위 레벨 링크와 연관된 업링크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 혹은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좋은 업링크를 선택한 후,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상위 레벨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노드간의 경로 요청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좋은 품질의 경로를 제공하고, 경로 제공 실패의 확률을 낮추며, 또한 여러 업링크를 하나의 링크로 집성함에 따라 망에 전달되는 라우팅 정보 및 노드에서 관리하는 라우팅 정보량을 감소시킨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A method of aggregating a metric information in a hierarchical network}
본 발명은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층망에 있어서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도록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망은 다수의 노드들이 다수의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통신망의 특정 두 노드 사이에는 다수의 라우팅 경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특정한 하나의 경로가 실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선택된다.
라우팅 경로의 선택은 각 경로가 가지는 특성들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런 특성들은 메트릭 값들로 표현되며, 경로의 메트릭 값들은 그 경로에 포함되는 노드와 링크의 메트릭 값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통신망이 규모가 작은 경우, 각 노드는 망 내의 모든 노드 및 링크에 대해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나 통신망의 규모가 커지면서 각 노드가 모든 노드 및 링크 상태 정보를 관리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되었고, 따라서 망의 크기에 제한받지 않기 위해 계층망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계층망에서는 노드들과 이 노드들을 연결하는 링크들의 그룹이 하나의 피어 그룹을 형성하고, 이러한 다수의 피어 그룹이 모여 전체 망을 구축한다.
각 피어 그룹은 상위 레벨(계층)에서 노드로 대표되고, 피어 그룹간에 연결된 링크들은 상위 레벨 노드간의 링크로 표현된다.
즉, 상위 레벨 피어 그룹에 속하는 노드와 링크는 하위 레벨 피어 그룹과 이들 그룹간의 링크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피어 그룹에 속하는 각 노드는 해당 피어 그룹 내의 모든 노드와 링크의 상태 정보 및 연관된 상위 레벨 피어 그룹들에 속한 노드와 링크의 상태 정보만을 관리하게 되어, 관리할 전체 라우팅 정보량이 단일망에 비해 훨씬 감소하게 되었고 라우팅 처리도 좀 더 간단하게 되었다.
또한 피어 그룹 내부의 정보는 내부 노드에게만 공개되고 외부 노드에게는 피어 그룹이 집성되어 요약된 형태의 정보만 제공되므로, 내부의 구체적인 토폴로지 정보가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장점도 갖게 된다.
1996년 4월에 계층 및 QoS(Quality of Service) 라우팅을 위해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Forum에서 표준화된 PNNI (Private Network Node Interface)는 상위 레벨 노드/링크 표현 기술을 노드 집성/링크 집성 방법과 연관짓고, 이를 각 시스템의 독립적인 구현 기술로 남겨놓았다.
이러한 집성 기술은 구현 방법에 따라 하위 레벨의 망 특성 반영 정도를 다르게 하여 관리할 라우팅 정보량의 증감 및 노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경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 표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하위 레벨 피어 그룹간의 링크들을 수정없이 그대로 상위 레벨 링크들로 일대일 대응하여 표현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하위 레벨 피어 그룹간의 링크들을 하나 이상의 상위 레벨 링크들로 집성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첫 번째 방법은 망 토폴로지를 정확히 표현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실제적인 링크 집성 과정이 없으므로 노드가 관리할 라우팅 정보량이 감소되지 않아 계층망의 장점을 거의 살리지 못하는 반면, 두 번째 방법은 계층망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나 부가적으로 링크 집성 방법 즉, 링크 상태 정보인 메트릭 값들의 집성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비스 유형에 따라 혹은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라 우선 순위를 두고 싶은 메트릭을 선택하여, 관련된 업링크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 혹은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좋은 업링크를 선택한 후,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상위 레벨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도록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계층망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메트릭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상위 레벨 노드에서 수행되는 내부 링크의 인터페이스 흐름도,
도 4는 상위 레벨 노드에서 수행되는 상위 내부 링크의 절차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상위 레벨 노드에서 수행되는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대표 업링크 선택 단계(S402)의 세부 흐름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른 대표 업링크 선택 단계(S404)의 세부 흐름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층망의 상위 레벨 노드에서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는 방법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메트릭을 선택하는 제 11 단계와 ;
상기 제 1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유형에 대해 대표되는 업링크를 선택하는 제 12 단계 ; 및
상기 제 12 단계에서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의 집성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층망의 상위 레벨 노드에서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는 방법은,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라 메트릭을 선택하는 제 21 단계와 ;
상기 제 2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대표되는 업링크를 선택하는 제 22 단계 ; 및
상기 제 22 단계에서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의 집성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계층망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망은 논리적인 망으로서, 실제 망은 적절한 구성정보들(예; 레벨, 노드 어드레스 등)로 설정된 물리적인 노드들(1,2,3)이 물리적인 링크들(31,32)로 접속되어 있는데, 이들 노드간에 라우팅 프로토콜이 동작함에 따라 계층이 형성된 것이다.
먼저 최하위 레벨의 노드들(1,2,3)은 최하위 레벨의 링크들(31,32)을 통해 Hello 프로토콜을 수행하는데, 이 프로토콜에 의해서 인접 노드가 동일한 피어 그룹(71)에 속하는지 아닌지, 즉, Hello 프로토콜이 동작되는 링크가 내부 링크(31)인지 외부(경계) 링크(32)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 동일한 피어 그룹(71,72)에 속하는 노드들은 자신의 라우팅 정보인 링크 상태(메트릭) 정보, 노드 정보, 도달성(reachability) 정보들을 피어 그룹 내에 광고(advertisement)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어 그룹 내의 모든 노드들은 망 토폴로지에 대해 동일한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게 된다.
계층을 형성하기 위해, 각 피어 그룹(71,72,81,91)에 속하는 노드들은 피어 그룹 리더(PGL; Peer Group Leader : 2,12,22)를 선출하며 피어 그룹 리더로 선출된 노드들은 상위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논리 노드인 상위 레벨 노드(11,12,21,22)를 생성한 후 상위 레벨 노드로도 동작하게 된다.
피어 그룹 리더(2,12,22)는 해당 피어 그룹(71,72,81,91)에서 생성된 모든 라우팅 정보들을 상위 레벨 노드(11,12,21,22)로 전달하고, 상위 레벨 노드는 상위 레벨 노드가 속한 피어 그룹(81,91)에서 생성된 모든 라우팅 정보들을 하위 레벨 피어 그룹(71,72,81)의 피어 그룹 리더(2,12)에게 전달한다.
하위 레벨의 피어 그룹 리더(2,12)는 수신한 상위 레벨의 라우팅 정보들을 모두 자신의 피어 그룹(71,72,81)의 노드들(1,3,11)에게 광고한다.
경계(Border) 노드(3)간의 링크(32)는 외부 링크(32)로서 라우팅 정보의 광고가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링크에서 동작하는 Hello 프로토콜은 내부 링크(31)에서 동작하는 Hello 프로토콜의 확장된 형태가 사용되는데, 외부 링크(32)의 링크 상태(메트릭) 정보들이 이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된다.
경계 노드(3)는 외부 링크(32)의 링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uplink: 41)를 생성하고 이를 자신의 피어 그룹(71)에 광고한다.
업링크의 링크 상태 정보를 수신한 피어 그룹 리더(2)는 다시 상위 레벨 노드(11,12)에게 이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상위 레벨 노드는 업링크(41)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레벨 노드가 포함된 피어 그룹(81)의 내부 링크(51,52) 혹은 새로운 업링크(42)를 생성하게 된다.
내부 링크로 생성된 경우에는 초기 링크 구성 단계 및 집성 토큰(aggregation token) 계산 절차를 거쳐 하나의 업링크가 그대로 반영된 경우(51)와 여러 업링크가 집성된 경우(52)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위 레벨의 피어 그룹(81)은 이런 절차를 통해 생성된 노드들(11,12)과 링크(51,52)들로 구성되는데, 이 피어 그룹 내의 노드들(11,12) 역시 최하위 레벨의 노드들(1,2,3)과 동일한 라우팅 절차를 수행하여 다음 상위 레벨 피어 그룹(91)의 노드들(21,22)과 링크들(61,62)을 생성하게 된다.
초기 망 노드 구성에 의해 더 많은 레벨의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의 절차들이 반복되어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메트릭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망 내의 모든 링크에 대한 링크 특성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이 메트릭 정보가 사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트릭 정보는, 링크에 대한 관리자의 우선 순위 값을 나타내는 관리자 비중(AW : 101)과 트래픽 정보들인 최대 셀 율(MaxCR : 102), 이용가능 셀 율(AvCR : 103) 그리고 QoS 특성을 표시하는 셀 전송 지연(CTD: 104), 셀 지연 변이(CDV : 105), 셀 손실율(CLR : 106)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러한 메트릭 정보들은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Service Category)에 따라 일부 메트릭 정보는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또 일부는 선택적으로 요구되며 아예 적용되지 않는 정보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메트릭 정보는 각 서비스 유형에 따라 독립적으로 광고되거나 혹은 서비스 유형의 조합에 의해 함께 광고되기도 한다.
도 3은 상위 레벨 노드에서 수행되는 내부 링크의 인터페이스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레벨 노드는, 먼저 하위 레벨 피어 그룹 리더로부터 업링크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면(S201), 수신된 업링크가 상위 레벨 이 속한 피어 그룹의 내부 링크와 관련된 것인지를 확인한다(S202).
이때, 수신된 업링크가 상위 레벨이 속한 피어 그룹의 내부 링크와 관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업링크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상위 레벨 노드가 포함된 피어 그룹에 광고하고(S208), 상위 레벨 노드가 피어 그룹 리더인지를 조사한 후(S209), 피어 그룹 리더임이 확인되면 수신된 업링크 정보로부터 새로운 업링크를 생성 혹은 제거한다(S210).
한편, 수신된 업링크가 상위 레벨이 속한 피어 그룹의 내부 링크와 관련되는 경우 즉. 상위 레벨 노드의 피어 그룹과 수신한 업링크의 공통 피어 그룹(Common Peer Group)이 동일한 경우에는, 수신된 업링크가 새로운 정보인지 아니면 기존에 수신됐던 업링크 정보를 만료시키려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하기 위해, 수신된 업링크의 정보가 메트릭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검사한다(S203).
이때, 수신된 업링크의 정보가 메트릭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업링크와 관련된 내부 링크가 이미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S204), 관련된 내부 링크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내부 링크를 생성한 후(S205), 생성된 내부 링크로 수신된 업링크 정보의 추가를 요청한다(S206). 관련된 내부 링크가 이미 생성된 경우에는 해당 내부 링크로 수신한 업링크 정보의 추가를 요청한다(S206).
한편, 수신된 업링크의 정보가 메트릭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련된 내부 링크를 찾아 업링크 제거를 요청한다(S207).
여기서 업링크가 내부 링크와 관련된다는 의미는 상대 노드(업링크의 상위 레벨 상대 노드)와 연결된 내부 링크의 집성 토큰(Aggregation Token) 값이 업링크의 집성 토큰값과 동일한 경우를 말한다.
도 4는 상위 레벨 노드에서 수행되는 상위 내부 링크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레벨 피어 그룹에 속한 내부 링크는, 상위 레벨 노드로부터 업링크 추가 요청을 수신하면(S301), 수신된 업링크를 업링크 리스트에 추가한 후(S302), 내부 링크의 상태를 검사한다(S303).
이때, 내부 링크의 상태가 양종단 노드가 서로 아는 상태인 2-Way 상태이면, 업링크 리스트에 있는 모든 업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고(S304), 집성된 메트릭 정보를 이전에 생성했던 메트릭 정보와 비교한다(S305).
각 시스템에서 정한 기준에 의해 메트릭 정보 차이의 크고 적음이 결정되는데, 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집성된 메트릭 정보를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로설정하고 이 내부 링크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피어 그룹에 광고한다(S306).
또한, 상위 레벨 피어 그룹에 속한 내부 링크가 상위 레벨 노드로부터 업링크 제거 요청을 수신하면(S307), 업링크 리스트에서 해당 업링크를 제거하고(S308), 업링크 리스트가 비었는지 검사한다(S309).
이때 업링크 리스트가 비어있는 경우에는 메트릭 정보없이 내부 링크에 대한 정보를 피어 그룹에 광고하고(S310), 업링크 리스트가 비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 링크의 상태를 검사한다(S303).
이때, 내부 링크의 상태가 양종단 노드가 서로 아는 상태인 2-Way 상태이면, 업링크 리스트에 있는 모든 업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고(S304), 집성된 메트릭 정보를 이전에 생성했던 메트릭 정보와 비교한다(S305).
각 시스템에서 정한 기준에 의해 메트릭 정보 차이의 크고 적음이 결정되는데, 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집성된 메트릭 정보를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고 이 내부 링크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피어 그룹에 광고한다(S306).
또한, 상태 변화(2-Way와 다른 임의의 상태에서 2-Way 상태로의 변화)의 입력을 수신하면(S311), 업링크 리스트가 비었는지 검사하고(S312), 업링크 리스트가 비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한 후(S313), 집성된 메트릭 정보를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여 피어 그룹에 광고한다(S314).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상위 레벨 노드에서 수행되는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레벨 노드는, 먼저 내부 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표현할 때 각 서비스 유형별로 독립적으로 표현할 것인지 아니면 서비스 유형이 조합된 형태로 표현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401).
여기서 서비스 유형이 조합된 형태란 최소 두 개 이상의 서비스 유형에 대해 메트릭 정보가 함께 표현되는 것으로서, 일부 서비스 유형만 조합될 경우 나머지 서비스 유형에 대한 메트릭 정보는 독립적으로 표현된다.
이때, 각 서비스 유형별로 따로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내부 링크가 관리하는 업링크 리스트로부터 서비스 유형에 따른 대표 업링크를 각각 선택하고(S402),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내부 링크의 각 서비스 유형에 따른 집성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한다(S403).
한편, 서비스 유형이 조합된 형태로 표현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내부 링크가 관리하는 업링크 리스트로부터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른 대표 업링크를 선택하고(S404),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내부 링크의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른 집성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한다(S405).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대표 업링크 선택 단계(S402)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레벨 노드는, 먼저 서비스 유형(S501)에 따라 우선 순위를 두고 싶은 메트릭을 선택하기 위해 서비스 유형을 판단하여(S501), 서비스 유형이 CBR(Constant Bit Rate) 혹은 RT-VBR(Real-Time Variable Bit Rate)인경우에는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전송 지연(CTD), 셀 지연 변이(CDV), 셀 손실율(CL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하고(S502), 서비스 유형이 NRT-VBR(Non Real-Time Variable Bit Rate)인 경우에는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전송 지연(CTD), 셀 손실율(CL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하고(S503), 서비스 유형이 ABR(Available Bit Rate)인 경우에는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하고(S504), 서비스 유형이 UBR (Unspecified Bit Rate)의 경우에는 관리자 비중(AW)을 메트릭으로 선택한다(S505).
이렇게 선택된 메트릭의 종류를 판단하여(S506), 선택된 메트릭이 관리자 비중(AW), 셀 전송 지연(CTD) 혹은 셀 지연 변이(CDV)인 경우에는 업링크 리스트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작은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설정하고(S507), 선택된 메트릭이 이용가능 셀 율(AvCR) 혹은 셀 손실율(CLR)인 경우에는 업링크 리스트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큰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설정한다(S508).
단, 대표 업링크 선택시(S507,S508), 서비스 유형이 ABR(Available Bit Rate)이나 UBR(Unspecified Bit Rate)인 경우에는 최대 셀 율(MaxCR)이 0인 업링크는 제외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른 대표 업링크 선택 단계(S404)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레벨 노드는, 서비스 유형의 조합이 어떻든지우선 순위를 두고 싶은 메트릭을 선택하는데,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전송 지연(CTD), 셀 지연 변이(CDV), 셀 손실율(CL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한다(S601).
이렇게 선택된 메트릭의 종류를 판단하여(S602), 선택된 메트릭이 관리자 비중(AW), 셀 전송 지연(CTD) 혹은 셀 지연 변이(CDV)인 경우에는 업링크 리스트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작은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설정하고(S603), 선택된 메트릭이 이용가능 셀 율(AvCR) 혹은 셀 손실율(CLR)인 경우에는 업링크 리스트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큰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설정한다(S604).
단, 대표 업링크 선택시(S603,S604),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ABR(Available Bit Rate)이나 UBR(Unspecified Bit Rate)이 포함된 경우에는 최대 셀 율(MaxCR)이 0인 업링크는 제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위 레벨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 집성시 서비스 유형에 따라 혹은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라 우선 순위를 두고 싶은 메트릭을 선택하여, 관련된 업링크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 혹은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좋은 업링크를 선택한 후,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상위 레벨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여 광고함으로써, 노드간의 경로 요청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좋은 품질의 경로를 제공하며 경로 제공 실패의 확률을낮춘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업링크를 하나의 링크로 집성함에 따라 망에 전달되는 라우팅 정보 및 노드에서 관리하는 라우팅 정보량을 감소시킨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계층망의 상위 레벨 노드에서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유형에 따라 메트릭을 선택하는 제 11 단계와 ;
    상기 제 1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유형에 대해 대표되는 업링크를 선택하는 제 12 단계 ; 및
    상기 제 12 단계에서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의 집성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는,
    서비스 유형이 CBR(Constant Bit Rate) 또는 RT-VBR(Real-Time Variable Bit Rate)인 경우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전송 지연(CTD), 셀 지연 변이(CDV), 셀 손실율(CL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3. 제 1 항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는,
    서비스 유형이 NRT-VBR(Non Real-Time Variable Bit Rate)인 경우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전송 지연(CTD), 셀 손실율(CL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는,
    서비스 유형이 ABR (Available Bit Rate)인 경우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는,
    서비스 유형이 UBR(Unspecified Bit Rate)인 경우 관리자 비중(AW)을 메트릭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는,
    상기 제 1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이 관리자 비중(AW), 셀 전송 지연(CTD), 셀 지연 변이(CDV)인 경우 상위 레벨 링크와 연관된 업링크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작은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는,
    상기 제 1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이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손실율(CLR)인 경우 상위 레벨 링크와 연관된 업링크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큰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서비스 유형이 ABR(Available Bit Rate) 또는 UBR(Unspecified Bit Rate)인 경우 최대 셀 율(MaxCR)이 0인 업링크는 선택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9. 계층망의 상위 레벨 노드에서 내부 링크에 대한 메트릭 정보를 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유형 조합에 따라 메트릭을 선택하는 제 21 단계와 ;
    상기 제 2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에 따라 해당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대표되는 업링크를 선택하는 제 22 단계 ; 및
    상기 제 22 단계에서 선택된 업링크의 메트릭 정보를 상위 레벨 노드간 링크의 집성된 메트릭 정보로 설정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단계는,
    관리자 비중(AW),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전송 지연(CTD), 셀 지연 변이(CDV), 셀 손실율(CLR) 중에서 하나의 메트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 단계는,
    상기 제 2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이 관리자 비중(AW), 셀 전송 지연(CTD), 셀 지연 변이(CDV)인 경우 상위 레벨 링크와 연관된 업링크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작은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 단계는,
    상기 제 21 단계에서 선택된 메트릭이 이용가능 셀 율(AvCR), 셀 손실율(CLR)인 경우 상위 레벨 링크와 연관된 업링크 중에서 해당 서비스 유형 조합에 대해 선택된 메트릭 값이 가장 큰 업링크를 대표 업링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서비스 유형 조합이 ABR(Available Bit Rate) 또는 UBR(Unspecified Bit Rate)을 포함하는 경우 최대 셀 율(MaxCR)이 0인 업링크를 선택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KR10-2000-0081958A 2000-12-26 2000-12-26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KR100369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958A KR100369935B1 (ko) 2000-12-26 2000-12-26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958A KR100369935B1 (ko) 2000-12-26 2000-12-26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954A KR20020053954A (ko) 2002-07-06
KR100369935B1 true KR100369935B1 (ko) 2003-01-30

Family

ID=2768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958A KR100369935B1 (ko) 2000-12-26 2000-12-26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9524B (zh) * 2014-11-14 2019-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转发的方法和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954A (ko) 200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3808B1 (en) Method of optimizing routing decisions over multiple parameters utilizing fuzzy logic
EP122178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US7848245B1 (en) Network-wide connection-based debug mechanism
CA2184426C (en) Improved routing metho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600724B1 (en) Routing table structures
US72221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blocking-triggered topology updates in source routed signaling protocol communication networks
US6690671B1 (en) Load balanced UBR routing in ATM networks
Iwata et al. ATM routing algorithms with multiple QoS requirements for multimedia internetworking
Shim et al. Modeling and call admission control algorithm of variable bit rate video in ATM networks
US70169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blocking-triggered topology updates in source routed signaling protocol communication networks
CA2287651A1 (en) A method of local flow control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utilizing pnni routing protocol
US6594235B1 (en) Method of triggering reroutes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EP1135000A1 (en) Link aggregation
JPH10262046A (ja) Ubrコネクションのルート決定方式
KR100369935B1 (ko) 계층망의 메트릭 정보 집성 방법
JP2929993B2 (ja) ルーティング方式
JP2980031B2 (ja) 再構成可能なネットワーク
Cisco PNNI Commands--Command Ref. for MGX8850, rel.2
Cisco PNNI Commands
KR100317992B1 (ko) 파라메타 그룹핑 스킴을 이용한 피엔엔아이 계층 토폴로지축약 방법
Tanterdtid et al. An optimum virtual paths network‐based atm network using the genetic algorithm
KR19990087607A (ko) Atm 네트워크를 통한 atm 셀의 전송 방법
EP1006752A2 (en) Monitoring links in ATM networks
AU750013B2 (en) Explicit rate marking for flow control in ATM networks
Al-Qahtani et al. Dynamic routing in homogenous atm networks using genetic algorith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