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826B1 - Switch using wire - Google Patents

Switch using w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826B1
KR100366826B1 KR10-2000-0024008A KR20000024008A KR100366826B1 KR 100366826 B1 KR100366826 B1 KR 100366826B1 KR 20000024008 A KR20000024008 A KR 20000024008A KR 100366826 B1 KR100366826 B1 KR 100366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contacts
switch
conductor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100630A (en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김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2020000012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978Y1/en
Priority to KR10-2000-0024008A priority patent/KR100366826B1/en
Publication of KR2001010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6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8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7/00Switches having flexible operating part adapted only for pulling, e.g. cord, chain
    • H01H17/02Details
    • H01H17/06Movable parts
    • H01H17/08Operating part, e.g.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01H3/0226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operated by a pull cor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을 이용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using a string.

이러한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받고 있는 두 접점 사이에 절연체인 줄이 위치하도록 하되, 줄의 일부는 도체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줄의 상태에 따라 두 접점 사이의 도통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받고 있는 두 접점 사이에 도체인 줄이 위치하도록 하되, 줄의 일부는 절연체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줄의 상태에 따라 두 접점 사이의 도통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tring is an insulator between the two contacts being applied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a portion of the string is made of a conductor portion so that the conduction between the two contact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t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s configured to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conductor string is located between the two contacts that are applied to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a part of the string is to be made of the insulator portion so that the conduction between the two contact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tring May be configured to be determined.

본 발명을 사용하면, 줄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이 가능하다. 이 때, 줄의 길이에는 제한이 없어 스위치의 조작범위가 매우 넓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경보와 같이 넓은 범위의 상황을 감지해야 하는 분야에 특히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is possible by using a string. 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 on the length of the string can be very wide the operating range of the switch. Therefore, it can be used particularly efficiently in the field where a wide range of situations such as alarms need to be detected.

Description

줄을 이용한 스위치{Switch using wire}Switch using wire

본 발명은 줄을 이용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오프 상태를 줄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using a st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an on / off state using a string.

현재 전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장치는 이 장치에 전기를 도통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사용되는 장치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매우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역할은 전원에 연결된 두 접점을 서로 접촉하게 하거나, 혹은 서로 떨어지게 하는데 있다.Most current devices that use electricity use switches to determine whether to conduct electricity to the device. These switches have a wide variety of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devices used, and their role is to bring the two contact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r with each other.

한편,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범위가 넓을수록 유용한 분야도 있는데, 특히 경보와 같은 분야에서 그 필요성이 크다. 즉,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도 스위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면 이를 응용하여 각종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ider the range that can operate the switch is useful, there is a need, especially in the field such as alarm. That is, if the switch can be operated at a certain distance, it can be usefully applied to various devices by applying thi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줄을 이용하여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an on / off state by using a cord, in order to meet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줄을 이용한 스위치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받고 있는 두 접점 사이에 절연체인 줄이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줄의 일부는 도체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줄의 상태에 따라 상기 도체부에 의한 상기 두 접점 사이의 도통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switch using a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ng is an insulator between the two contacts being applie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a part of the string And the conduction between the two contacts by the conductor par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ing.

또한,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받고 있는 두 접점 사이에 도체인 줄이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줄의 일부는 절연체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줄의 상태에 따라 상기 줄에 의한 상기 두 접점 사이의 도통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or str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contacts being applie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a portion of the string is made of an insulator portion so that the two contacts by the string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string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duction between.

이 때, 상기 스위치는 상기 두 접점을 지지하고 일측에 상기 줄이 통과하는 구멍을 구비한 스위치 케이스; 상기 두 접점 사이를 통해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의 소정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줄을 감고 있되, 상기 줄에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 방향으로 잡아다니는 힘을 가하는 휠; 및 상기 두 접점에 각각 연결된 외부접속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witch supports the two contacts and the switch case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string passes on one side; A wheel for winding the string secured to an external predetermined support portion through the hole between the two contacts, and applying a force to the string to move inwardly of the switch case; And it may be preferably implemented by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contacts.

여기서, 상기 줄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줄을 얼마나 당겨야 상기 도체부 혹은 절연체부가 상기 두 접점의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Here, the string may be more preferably implemented by including a predetermined mark indicating how long the string should be pulled from the outside of the switch case so that the conductor portion or the insulator portion is correctly positioned between the two contac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위치의 구성예,3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witch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도 3의 스위치에 관한 오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n off state with respect to the switch of FIG.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0-2: 접점 11-1,11-2: 스프링10-1,10-2: Contacts 11-1,11-2: Spring

12: 줄 12-1: 표시부12: line 12-1: display unit

13-1: 도체부 13-2: 절연체부13-1: Conductor Part 13-2: Insulator Part

14: 휠 15-1,15-2: 외부접속단자14: Wheel 15-1, 15-2: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6: 스위치 케이스 16-1: 구멍16: switch case 16-1: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줄(12)이 절연체이고, 줄(12)의 일부가 도체부(13-1)로 이루어진 스위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tring 12 is an insulator and a part of the string 12 is formed of a conductor part 13-1. .

도 1a를 참조하면, 스위치의 두 접점(10-1,10-2)은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받고 있다. 탄성력은 임의의 탄성체를 통해 인가할 수 있는데, 예로는 스프링(11-1,11-2)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two contacts 10-1 and 10-2 of a switch are applied with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The elastic force may be applied through any elastic body, for example, springs 11-1 and 11-2 may be used.

그러므로,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 아무 것도 없다면 두 접점(10-1,10-2)은 서로 접촉하여 도통한다. 그러나,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는 절연체인줄(12)이 지나가도록 되어 있으며, 이 줄(12)로 인하여 두 접점(10-1,10-2)은 서로 접촉하지 못하여 전류가 흐를 수 없다.Therefore, if nothing exists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nduct. However, the insulator chain 12 passes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and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do not contact each other because of the string 12. Current can not flow.

이 때, 줄(12)의 일부는 소정의 도체로 구성되는 도체부(13-1)로 되어 있으며, 이 도체부(13-1)가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도체부(13-1)를 통하여 두 접점(10-1,10-2)은 도통되어 전류(i)가 흐르게 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string 12 is a conductor portion 13-1 composed of a predetermined conductor, and the conductor portion 13-1 is disposed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When positioned,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conduct through the conductor part 13-1 so that the current i flows.

그러나,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줄(12)을 우측으로 잡아다니면 도체부 (13-1)가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서 빠져나가게 되며,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는 절연체인 줄(12)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두 접점(10-1,10-2)은 서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어 전류가 흐를 수 없다. 이 때, 도체부(13-1)가 두 접점을 벗어난 후에도 도체부(13-1)의 모서리로 인해 두 접점이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도체부(13-1)의 모서리 부분에는 절연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shown in FIG. 1B, when the string 12 is held to the right, the conductor part 13-1 is pulled out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and the two contacts 10-1 are removed. Between the lines 10-2, an insulator string 12 is positioned. Therefore,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urrent cannot flow. At this time, even after the conductor portion 13-1 is out of the two contacts, the edge por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13-1 may be insulated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two contacts due to the edge of the conductor portion 13-1. It is desirable to.

즉, 스위치가 평상시에 도 1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면, 전류가 끊어지는 상태를 감지하여 줄(12)이 당겨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switch is to mainta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1a normally, it can be seen that the string 12 is pulled by detecting the state of breaking the current.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위치 구조에서 줄(12)과 도체부(13)의 역할은 서로 바뀌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줄(12)이 도체로 구성되고 줄(12)의 일부가 절연체(13-2)로 이루어진 스위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in the switch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1, the roles of the string 12 and the conductor part 13 may be interchang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switch in which the string 12 is made of a conductor and a part of the string 12 is made of the insulator 13-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a를 참조하면, 줄(12)의 일부는 소정의 절연체로 구성되는 절연체부(13-2)로 되어 있으며, 이 절연체부(13-2)가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두 접점(10-1,10-2)은 도통되지 못하게 되어 전류(i)가 흐르지 못한다.Referring to FIG. 2A, part of the string 12 is an insulator portion 13-2 composed of a predetermined insulator, and the insulator portion 13-2 has two contacts 10-1 and 10-2. When placed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the current i does not flow because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do not conduct.

그러나,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줄(12)을 우측으로 잡아다니면 절연체부(13-2)가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서 빠져나가게 되며,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는 도체인 줄(12)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두 접점(10-1,10-2)은 줄(12)을 통해 도통하게 되어 전류(i)가 흐르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2B, when the string 12 is held to the right, the insulator portion 13-2 is pulled out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and the two contacts 10-1 are removed. Between the lines 10-2, the conductor string 12 is located. Therefore,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become conductive through the string 12 so that the current i flows.

즉, 스위치를 평상시에 도 2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면, 전류가 도통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줄(12)이 당겨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switch is to mainta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2a in normal times, it can be seen that the string 12 is pulled by detecting the state that the current is conduct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위치의 구성예로서, 이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스위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witch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with reference thereto,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witch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스위치 케이스(16) 내에는 탄성체(11-1,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두 접점 (10-1,10-2)과 휠(14)이 포함되어 있는데, 휠(14)에는 줄(12)이 감겨있다. 줄(12)은 휠(14)에 감겨짐과 동시에 두 점점(10-1,10-2)의 사이를 통과한 다음 스위치 케이스(16)의 일측에 나있는 구멍(16-1)을 통해 스위치 케이스(16)의 외부에 있는 소정 지지부(20)에 고정된다.The switch case 16 includes two contacts 10-1 and 10-2 and a wheel 14 supported by the elastic bodies 11-1 and 11-2, and the wheel 14 has a string 12. ) Is wound. The string 12 is wound on the wheel 14 and at the same time passes between two strips 10-1 and 10-2 and then through the hole 16-1 on one side of the switch case 16. It is fix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20 outside of the case 16.

이 때, 휠(14)은 자신에게 감겨있는 줄(12)에 스위치 케이스(16)의 내부로 잡아다니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과 같은 구성에서 휠(14)은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줄(12)은 휠(14)과 지지부(20) 사이에서 긴장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케이스(16)에는 두 접점(10-1,10-2)을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외부접속단자(15-1,15-2)가 구비된다. 이러한 외부접속단자(15-1,15-2)는 임의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wheel 14 is configured to apply a force to the inside of the switch case 16 to the rope 12 wound around it. That is, the wheel 14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3 is configured to have a rotational for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us, the string 12 maintains tension between the wheel 14 and the support 20. In addition, the switch case 16 is provided with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15-1 and 15-2 that allow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s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15-1 and 15-2 may be arbitrarily configured.

스위치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었다면, 도 3과 같은 구성에서는 현재 도체부(13-1)가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두 접점(10-1,10-2)은 도통상태에 있다.If the switch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since the current conductor portion 13-1 is located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the two contacts 10-1 are provided. 10-2) is in a conductive state.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줄(12)이 당겨지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부(13-1)가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서 벗어나므로 두 접점(10-1,10-2)은 도통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However, if the string 12 is pulled for some reason, as shown in Fig. 4, the conductor portion 13-1 is displaced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so that the two contacts 10-1 10-2) is in a state where it cannot conduct.

위에서는 줄(12)이 당겨져서 도체부(13-1)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줄(12)에 걸린 힘으로 인하여 줄(12)이 끊어진 경우에도 접점들(10-1,10-2)이 서로 도통하지 못하게 된다. 즉, 휠(14)의 감는 힘 때문에 도체부(13-1)가 접점들(10-1,10-2)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벗어나게 되어 절연체인 줄(12)로 인해 두 접점(10-1,10-2)은 도통하지 못하게 된다.In the 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conductor 12-1 is moved to the right by pulling the string 12 is described. However, even when the string 12 is broken 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string 12, the contacts 10-1, 10-2) will not conduct with each other. That is, due to the winding force of the wheel 14, the conductor portion 13-1 is displaced to the left side from the contacts 10-1 and 10-2, so that the two contacts 10-1, 10-2) will not conduct.

한편, 줄(12)에는 어느 상태에서 도체부(13-1) 혹은 절연체부(13-2)가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는지를 스위치 케이스(16)의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표시(12-1)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보인 예에서 사용자는 이 표시(12-1)가 구멍(16-1)에 위치하도록 줄(12)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스위치의 내부를 볼 수 없더라도 도체부(13-1) 혹은 절연체부(13-2)를 두 접점(10-1,10-2)의 사이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ing 12, the conductor part 13-1 or the insulator part 13-2 in which state is exactly positioned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is external to the switch case 16.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display 12-1 so as to know.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user adjusts the state of the string 12 so that the mark 12-1 is located in the hole 16-1, so that the conductor portion 13-1 or even if the inside of the switch cannot be seen. The insulator portion 13-2 may be accurately positioned between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본 발명을 사용하면, 줄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이 가능하다. 이 때, 줄의 길이에는 제한이 없어 스위치의 조작범위가 매우 넓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경보와 같이 넓은 범위의 상황을 감지해야 하는 분야에 특히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is possible by using a string. 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 on the length of the string can be very wide the operating range of the switch. Therefore, it can be used particularly efficiently in the field where a wide range of situations such as alarms need to be detected.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받고 있는 두 접점 사이에 절연체 또는 도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그 일부가 도체부 또는 절연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당겨짐에 의해 두 접점 사이의 도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줄;과A string made of an insulator or a conductor between two contacts that are being forc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and a portion of which is made of a conductor portion or an insulator portion to be pulled so as to determine the conduction between the two contacts; and 상기 두 접점을 지지하고, 일측에 상기 줄이 통과하는 구멍을 구비한 스위치 케이스;와A switch case supporting the two contacts and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string passes on one side; and 상기 두 접점 사이를 통해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의 소정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줄을 감고 있되, 상기 줄에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 방향으로 잡아다니는 힘을 가하는 휠; 및A wheel for winding the string secured to an external predetermined support portion through the hole between the two contacts, and applying a force to the string to move inwardly of the switch case; And 상기 두 접점에 각각 연결된 외부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줄을 이용한 스위치.A switch using a string configured to includ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contact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줄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줄을 얼마나 당겨야 상기 도체부가 상기 두 접점의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을 이용한 스위치.4. The switch of claim 3, wherein the str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indication indicating how long the string should be pulled outside of the switch case so that the conductor portion is correctly positioned between the two contact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줄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줄을 얼마나 당겨야 상기 절연체부가 상기 두 접점의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을 이용한 스위치.4. The switch of claim 3, wherein the str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indication that indicates how long the string should be pulled outside the switch case to accurately position the insulator portion between the two contacts.
KR10-2000-0024008A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KR100366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810U KR200199978Y1 (en)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KR10-2000-0024008A KR100366826B1 (en)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008A KR100366826B1 (en)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810U Division KR200199978Y1 (en)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630A KR20010100630A (en) 2001-11-14
KR100366826B1 true KR100366826B1 (en) 2003-01-10

Family

ID=196680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008A KR100366826B1 (en)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KR2020000012810U KR200199978Y1 (en)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810U KR200199978Y1 (en) 2000-05-04 2000-05-04 Switch using w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668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963B1 (en) * 2013-06-17 2015-02-13 두알산업 주식회사 Ordinary power supply for digital door lo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630A (en) 2001-11-14
KR200199978Y1 (en)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8066A1 (en) Permanent-magnet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plug and its permanent-magnet mechanism therein
ATE448585T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O2005015704A3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TE476696T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KR930006779A (en) Circuit breaker
ATE241211T1 (en) ELECTRICAL FUSE ELEMENT
ATE323323T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SE9704685D0 (en) Coupling device and method
EP0795885A3 (en) Switch with a temperature sensitive switching mechanism
KR100366826B1 (en) Switch using wire
ES2281969T3 (en) INSTANT DISCONNECT POWER TRANSFORMER.
ATE283178T1 (en) BATTERY DISCONNECTOR
US20050035667A1 (en) Multipole switch and automatic polarity adjusting switching system
CN214672449U (en) Electricity taking mechanism of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CN220774261U (en) Leakage test device and residual current operated circuit breaker
CN107464713B (en) Micro-gap switch that can atress warp
JP2018008589A (en) Track short circuit device
KR101888669B1 (en) Assistance switch for earth leakage breaker
DE502004003634D1 (en) CHECKING ASTER MODULE
JPS61243373A (en) Test for checking relay operation
US1745516A (en) Multiple electric switch
US4025146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s
KR200435274Y1 (en) Shwitch electric contact structure
JP2000251600A (en) Mechanical failure detecting device for magnet conductor and mechanical failure detecting method
CN113466529A (en) Switching device for physical direct-current double-arm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