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854B1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854B1
KR100365854B1 KR1020000062490A KR20000062490A KR100365854B1 KR 100365854 B1 KR100365854 B1 KR 100365854B1 KR 1020000062490 A KR1020000062490 A KR 1020000062490A KR 20000062490 A KR20000062490 A KR 20000062490A KR 100365854 B1 KR100365854 B1 KR 10036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ntenna
antenna device
antenna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770A (ko
Inventor
하윤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8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형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형 안테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본체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싱을 구비하며 단말기의 상단부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테나홀더와, 상기 안테나 홀더를 후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홀더와 단말기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안테나 홀더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을 받으며 단말기 본체 상에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상기 걸림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후면 상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형 안테나장치를 버튼에 의해 단말기의 후방향으로 돌출시켜 인체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시키므로써 송,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상에는 신호의 송, 수신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 장치로는 단말기의 상, 하방향으로 잠입 및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출몰형 안테나 장치와, 단말기의 상단부 적소에 고정되는 고정형 안테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출몰형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의 상단부에 설치된 헬리컬 안테나 상에서 로드안테나가 신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송수신감도는 원활하나, 상기 로드안테나 잠입시 안테나 수용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전체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최근들어 단순히 단말기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형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로써,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본체(110)와, 송화음을 모아주도록 설치되는 플립커버(130) 및 상기 플립커버(130)를 기계적으로 일정각도만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장치(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12)으로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최상단 일측에는 안테나 장치(120)가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 장치(120)로는 고정형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측면상에는 스피커장치(113)가 위치되며 그 하측으로 엘씨디모듈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14)가 위치하고, 그 하측상에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된 키패드부(115)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부(115)의 하측에는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할 수 있는 마이크장치(20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형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통화시 인체에 긴밀히 접촉하게 되어 약전계에서 통화시 음의 송,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송, 수신시 고정형 안테나 장치를 인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형 안테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본체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싱을 구비하며 단말기의 상단부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테나홀더와, 상기 안테나 홀더를 후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홀더와 단말기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안테나 홀더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을 받으며 단말기 본체 상에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상기 걸림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후면상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단말기에서 후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본체의 후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 안테나 장치 21: 안테나홀더
22: 걸림부 28: 유동부재
30: 접촉부싱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체(110)와, 송화음을 모아주도록 설치되는 플립커버(130) 및 상기 플립커버(130)를 기계적으로 일정각도만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장치(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최상단 일측에는 안테나 장치(120)가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 장치(120)로는 고정형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측면 상에는 스피커장치(113)가 위치되며 그 하측으로 엘씨디모듈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14)가 위치하고, 그 하측 상에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된 키패드부(115)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부(115)의 하측에는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할 수 있는 마이크장치(20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단말기에서 후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로써, 단말기의 후면상에 설치된 버튼(도 4 및 도 5에 도시됨)을 누르게 되면, 상기 고정형 안테나 장치(20)가 후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후퇴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고정형 안테나 장치(20)는 고정형 안테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본체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싱(30)을 구비하며, 단말기의 상단부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테나홀더(21)와, 상기 안테나홀더(21)를 후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홀더(21)와 단말기의 프레임(11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3)과, 상기 안테나 홀더(21)가 상기 스프링(23)의 가압을 받으며 단말기 본체상에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상기 걸림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후면 상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 홀더(21)의 하측 상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므로써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2) 단부에 걸리도록 걸림부(22)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26)에 의해 걸림부(22)가 해제되어 스프링(23)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유동되는 유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2)상에는 상기 걸림부(22)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구멍(25)이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홀더(21)의 걸림부(22)는 하측 방향으로 자체 탄성을 받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26) 역시 상기 단말기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탄성을 받도록 소정의 스프링(27)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장치(20)는 상기 버튼(26)의 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22)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므로써 단말기의 하우징상에서 상기 안테나홀더(21)의 걸림부(22)를 해제시킬 수 있는 유동부재(28)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부재(28)는 단말기의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설치되므로써, 상기 버튼(26)이 눌려질때, 버튼(26)의 단부에 의해 상기 유동부재(28)가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본체의 후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버튼(26)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26)의 단부는 유동부재(28)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상기 유동부재(28)에 의해 상기 안테나홀더(21)의 걸림부(22)가 상측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홀더(21)의 걸림부(22)는 단말기 하우징 상에서 이탈되므로써, 스프링(23)에 의해 단말기의 후방향으로 이동된다. 그후, 상기 안테나홀더(21)의 걸림부(22)는 하측으로 탄성을 받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2)상에 형성된 걸림구멍(25)에 안착되므로서, 상기 안테나 장치(2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동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통화대기중에 상기 안테나 장치(20)를 본체 방향으로 밀어넣게되면, 상기 안테나홀더(21)의 걸림부(22)는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2) 단부에 다시 걸리게 되므로써,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단말기의 후방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인체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통화시 약전계에서도 우수한 송, 수신 감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정형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고정형 안테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본체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싱을 구비하며, 단말기의 상단부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테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홀더는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단말기의 후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후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안테나 홀더를 후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홀더와 단말기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안테나 홀더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을 받으며 단말기 본체 상에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걸림수단 및;
    상기 걸림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후면 상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안테나홀더의 하측상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므로써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버튼에 의해 걸림부가 해제되어 스프링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유동되는 유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상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구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므로써 단말기의 하우징상에서 상기 안테나홀더의 걸림부를 해제시킬 수 있는 유동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홀더의 걸림부는 하측 방향으로 자체 탄성을 받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20000062490A 2000-10-24 2000-10-24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36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490A KR100365854B1 (ko) 2000-10-24 2000-10-24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490A KR100365854B1 (ko) 2000-10-24 2000-10-24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770A KR20020031770A (ko) 2002-05-03
KR100365854B1 true KR100365854B1 (ko) 2002-12-27

Family

ID=1969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490A KR100365854B1 (ko) 2000-10-24 2000-10-24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8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770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9533B1 (en) Slide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US6249672B1 (en) Portable telephone
KR10070331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07329949A (ja) 無線電話
JP2002368853A (ja) 携帯無線装置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US20060097933A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JP4266393B2 (ja) 無線電話
KR200700143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KR100365854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45491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836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2643B1 (ko) 무선 단말기의 전자파 비 흡수율 저감 장치
KR101271724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JP2007165965A (ja) アンテナ
KR101284272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365110Y1 (ko) 핸드폰의 슬라이딩 키패드장치
KR100350697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하울링 방지장치 및 방법
JP2002171112A (ja) 携帯電話機
JPS60103761A (ja) 移動電話機
KR2002003157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KR200242606Y1 (ko)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수납 장치
KR200158854Y1 (ko) 무선 전화기
KR200199758Y1 (ko) 이동성 이어피스부를 갖는 플립타입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