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277B1 -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277B1
KR100364277B1 KR1020000064584A KR20000064584A KR100364277B1 KR 100364277 B1 KR100364277 B1 KR 100364277B1 KR 1020000064584 A KR1020000064584 A KR 1020000064584A KR 20000064584 A KR20000064584 A KR 20000064584A KR 100364277 B1 KR100364277 B1 KR 10036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pressure difference
ventilation system
la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369A (ko
Inventor
김진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2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ear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기배출구를 차량 후방의 콤비램프쪽으로 형성하여 외부 소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공기배출구내의 오염정도에 따라 배출영역을 가변시켜 환기성능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V)전방의 카울부위를 통해 유입된 외기(Wo)가 차량실내를 통과하면서 차량 후방의 콤비램프(C)를 이루면서 다수의 에어홀(1a)이 형성된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부위를 통해 차량 실내의 내기(Wi)를 배출하도록 환기구조가 형성되되, 이 환기구조는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을 차단시켜 노출범위를 조절하는 가변수단(10)과, 이 가변수단(10)을 조작하도록 유압이나 공압을 발생하는 조작수단(20) 및 이 조작수단(20)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내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센싱수단(50)과 운전석을 이루는 대시보드(D)에 구비된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를 처리·분석하는 콘트롤러(30)를 통해 제어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An automotive ventilation system using pressure difference}
본 발명은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실내와 외부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차량실내의 공기가 후방쪽으로 배출되도록 된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차량의 주행 중 차량의 외관을 따라 흐르는 에어를 차량 전방에서 실내로 유입시켜 차량 후방부위로 배출시켜주는 환기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은 차량의 환기구조는 차량 실내의 습기와 악취 및 먼지등을 차량의 주행에 따라 자연스럽게 차량 외부로 배출시켜 주므로 차량 품질 등급을 결정하는 매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기구조는 차량의 전방부위를 이루는 카울(Cowl)부위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차량 후방부위에서 부압력이 가장 크게 걸리는 쿼트패널의 하단부쪽으로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차량의 외부와 실내에서 발생되는 부압력의 차이를 이용해 배출하게 되지만, 이는 상기 쿼트패널부위로 머플러가 위치되어 공기배출구를 통해 머플러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공기배출구를 차량 후방의 콤비램프쪽으로 형성하여 외부 소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공기배출구내의 오염정도에 따라 배출영역을 가변시켜 환기성능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전방의 카울부위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차량실내를 통과하면서 차량 후방의 콤비램프를 이루면서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콤비램프하우징패널부위를 통해 차량 실내의 내기를 배출하도록 환기구조가 형성되되, 이 환기구조는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에 형성된 에어홀을 차단시켜 노출범위를 조절하는 가변수단과, 이 가변수단을 조작하도록 유압이나 공압을 발생하는 조작수단 및 이 조작수단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내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센싱수단과 운전석을 이루는 대시보드에 구비된 공조모드전환센서의 신호를 처리·분석하는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콤비램프하우징패널 1a : 에어홀
10 : 가변수단 11 : 실린더
11a : 피스톤로드 12 : 차단판
20 : 조작수단 21 : 펌프
22 : 방향전환밸브 23 : 리저버
30 : 콘트롤러 40 : 배터리
50 : 센싱수단 51 : 물감지센서
52 : 먼지감지센서 60 : 공조모드전환센서
Wo : 외기 Wi : 내기
Po : 외압 Pi : 내압
C : 콤비램프 D : 대시보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차량(V)전방의 카울부위를 통해 유입된 외기(Wo)가 차량실내를 통과하면서 차량 후방의 콤비램프(C)를 이루면서 다수의 에어홀(1a)이 형성된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부위를 통해 차량 실내의 내기(Wi)를 배출하도록 환기구조가 형성되되, 이 환기구조는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을 차단시켜 노출범위를 조절하는 가변수단(10)과, 이 가변수단(10)을 조작하도록 유압이나 공압을 발생하는 조작수단(20) 및 이 조작수단(20)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내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센싱수단(50)과 운전석을 이루는 대시보드(D)에 구비된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를 처리·분석하는 콘트롤러(30)를 통해 제어되어 진다.
이때, 상기 가변수단(10)과 조작수단(20) 및 콘트롤러(30)와 센싱수단(50) 및 공조모드전환센서(60)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40)와 전기적 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공급받게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가변수단(10)은 작동매체가 유·출입되도록 조작수단(20)과 관로를 형성한 실린더(11)와, 이 실린더(11)내로 유·출입되는 작동매체에 의해 전·후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의 차단범위를 조절하는 차단판(12)이 구비된 피스톤로드(11a)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변수단(10)을 조작하는 조작수단(20)은 리저버(23)에 수용된 작동매체를 압축·가압하는 펌프(21)와, 이 펌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방향전환밸브(22)로 이루어지되, 상기 펌프(21)와 방향전환밸브(22)는 콘트롤러(30)에 의해 제어되도록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30)는 통상적인 차량의 이씨유(E.C.U)내에 상기 가변수단(10)과 조작수단(20) 및 센싱수단(50)과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하도록 프로그램(Program)을 내장시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센싱수단(50)은 에어홀(1a)이 형성된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내로 유입되는 물과 먼지등의 이물질을 각각 검출하여 콘트롤러(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물감지센서(51)와 먼지감지센서(5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조모드전환센서(60)는 대시보드(D)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외기(Wo)를 차량 실내로 유입시키는 내·외기모드변환기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외기모드로 조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30)로 신호를 전송하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을 통해 차량(V)전방의 카울부위를 통해 유입된 외기(Wo)가 차량실내를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센싱수단(50)인 물감지센서(51)와 먼지감지센서(52)가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내로 유입되는 물이나 먼지등의 이물질을 검출하여 콘트롤러(3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이 센서(51,52)의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30)가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검출량과 설정값을 비교하게된다.
이때, 상기 센서(51,52)를 통해 측정된 검출량이 콘트롤러(30)에 내장된 설정값보다 적게 되면, 상기 콘트롤러(30)가 조작수단(20)의 펌프(21)를 작동시켜 리저버(23)내의 작동매체를 흡입·압축하여 방향전환밸브(22)로 보내게 되고, 이어 상기 방향전환밸브(22)는 콘트롤러(30)의 조작에 따라 작동매체를 관로를 통해 가변수단(10)의 실린더(11)내로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변수단(10)의 실린더(11)로 공급된 작동매체에 의해 피스톤로드(11a)가 후퇴되어, 이 로드(11a)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을 가리고 있던 차단판(12)이 로드(11a)와 함께 후퇴되어 에어홀(1a)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V)전방의 카울부위를 통해 유입된 외기(Wo)가 차량실내를통과하면서 차량 실내의 습기나 먼지를 함유한 내기(Wi)로 된 후,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차량 실내의 내압(Pi)과 차량외부의 외압(Po)과의 부압력 차로 인해 내기(Wi)가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30)는 운전자가 대시보드(D)에 구비된 내·외기모드변환기를 외기모드로 조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는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수단(20)과 가변수단(10)을 조작하여 실내의 내기(Wi)를 에어홀(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30)는 센싱수단(50)의 신호와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 중 만족된 하나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지만, 이는 상기 두가지 신호를 모두 만족할 때에만 작동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순환구조를 통해 내기(Wi)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 경우는 전술한 센싱수단(50)의 물감지센서(51)와 먼지감지센서(52)로부터 검출된 검출량이 콘트롤러(30)의 설정된 설정값보다 크거나 또는 내·외기모드변환기를 내기모드로 조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는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30)가 조작수단(20)의 펌프(21)와 방향전환밸브(22)를 열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경우와 달리 조작수단(20)의 관로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매체는 상기 가변수단(10)의 실린더(11)내로 구비된 피스톤로드(11a)를 인출시키도록 충진 되면서 그 반대 부위에 충진된 작동매체를 배출하여 방향전환밸브(22)를 통해 리저버(23)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피스톤로드(11a)의 인출에 따라 그 끝단에 구비된 차단판(12)이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을 가리게되어 차량 실내의 내기(Wi)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30)는 차량 실내의 내기(Wi)배출정도를 조절하도록 즉, 상기 가변수단(10)의 차단판(12)에 의해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의 가려지는 범위를 단계별로 조절하도록 상기 센싱수단(50)의 측정값과 설정값을 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20)의 작동매체는 유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에어를 사용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 차량을 따라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부압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콤비램프부위로 환기구조를 형성함은 물론 차량 실내의 내기(Wi)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항상 쾌적한 차량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9)

  1. 차량(V)전방의 카울부위를 통해 유입된 외기(Wo)가 차량실내를 통해 차량 후방으로 구비된 콤비램프(C)를 이루는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부위를 통해 차량 실내의 내기(Wi)를 배출하도록 환기구조가 형성되되, 이 환기구조는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을 차단시켜 노출범위를 조절하는 가변수단(10)과, 이 가변수단(10)을 조작하도록 작동매체를 유·출입시키는 조작수단(20) 및 이 조작수단(20)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내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센싱수단(50)과 운전석을 이루는 대시보드(D)에 구비된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를 처리·분석하는 콘트롤러(30)를 통해 제어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1a)은 가변수단(10)이 차단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차량 실내의 내기(Wi)의 배출량이 조절되도록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20)의 작동매체가 유압을 발생하는 오일이나 또는 공압을 발생하는 에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10)은 작동매체가 유·출입되도록 조작수단(20)과 관로를 형성한 실린더(11)와, 이 실린더(11)내로 유·출입되는 작동매체에 의해 전·후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의 차단범위를 조절하는 차단판(12)이 구비된 피스톤로드(11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20)은 리저버(23)에 수용된 작용 매체를 압축·가압하는 펌프(21)와, 이 펌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방향전환밸브(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50)은 에어홀(1a)이 형성된 콤비램프하우징패널(1)내로 유입되는 물과 먼지등의 이물질을 각각 검출하여 콘트롤러(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물감지센서(51)와 먼지감지센서(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드전환센서(60)는 대시보드(D)에 장착되어져 외부로부터 외기(Wo)를 차량 실내로 유입시키는 내·외기모드변환기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외기모드로 조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30)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30)는 센싱수단(50)의 신호와 공조모드전환센서(60)의 신호 중 만족된 하나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거나 두가지 신호를 모두 만족할 때에만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30)는 가변수단(10)의 차단판(12)에 의해 콤비램프하우징패널(1)에 형성된 에어홀(1a)의 가려지는 범위를 단계별로 조절하도록 상기 센싱수단(50)의 측정값과 설정값을 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0000064584A 2000-11-01 2000-11-01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KR10036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584A KR100364277B1 (ko) 2000-11-01 2000-11-01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584A KR100364277B1 (ko) 2000-11-01 2000-11-01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369A KR20020034369A (ko) 2002-05-09
KR100364277B1 true KR100364277B1 (ko) 2002-12-12

Family

ID=1969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584A KR100364277B1 (ko) 2000-11-01 2000-11-01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665A (ko) * 2014-06-02 2015-12-10 (주)이림전자 전기 자동차용 대향류 현열교환기를 장착한 폐열회수 환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665A (ko) * 2014-06-02 2015-12-10 (주)이림전자 전기 자동차용 대향류 현열교환기를 장착한 폐열회수 환기 시스템
KR101678380B1 (ko) 2014-06-02 2016-11-23 (주)이림전자 전기 자동차용 대향류 현열교환기를 장착한 폐열회수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369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288A (en) Unitary fluid flow production and control system
EP1449691A3 (en) Inlet ai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HVAC system having an air quality sensor
JPH05221231A (ja) 特に自動車における内部室の通風制御装置
KR101823384B1 (ko) 능동 램프 습기제거기 및 그의 습기 제거 방법
DE50208672D1 (de) Druckluftregeleinrichtung
AU2003289049A1 (en) Power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364277B1 (ko) 압력차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기 시스템
US5884895A (en) Device for the time-dependent control of the duration of regeneration of an air drier
CN102971163B (zh) 改进型空调控制器
KR10035953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시스템
US20070108836A1 (en) 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KR20100039029A (ko) 차량용 에어컨 필터 교환시기 검출방법
WO2002061312A3 (en) Water flow control valve
AU2003276373A1 (en) Air conditioning unit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and estimating atmospheric moisture
JP2004514600A5 (ko)
KR102463444B1 (ko) 가변형 스노클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차량
KR20080066356A (ko) 차량의 환기 장치
KR100361288B1 (ko) 자동차의 가변형 환기장치
KR1011300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N206217558U (zh) 一种汽车的自动空调系统
KR200367423Y1 (ko) 다중 제어 공기압축기
DE102004047612A1 (de) Steuerventileinrichtung für eine indirekt wirkende Druckluftbremse eines Schienenfahrzeugs
KR100312516B1 (ko) 자동차의환기시스템
KR19990038324A (ko) 실내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6788B1 (ko) 차량의 환기성능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