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190B1 -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190B1
KR100363190B1 KR10-1998-0026793A KR19980026793A KR100363190B1 KR 100363190 B1 KR100363190 B1 KR 100363190B1 KR 19980026793 A KR19980026793 A KR 19980026793A KR 100363190 B1 KR100363190 B1 KR 10036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rbon steel
high carbon
steel wi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446A (ko
Inventor
김종필
이경수
정효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2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1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for concrete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Abstract

본 발명은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강 성분조성을 적절한 범위로 제한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을 제어함으로써, 강중의 석출물 분포량을 제어하고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도금가공시 강도하락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장착후 응력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고강도, 고인성의 고탄소강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70-0.90%, Si:0.50-0.70%, Mn:0.20-0.90%, P:0.020%이하, S:0.020%이하, Al:0.01-0.06%, V:0.03-0.0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빌렛을 1000-1200℃의 온도범위로 재가열하고 선재압연한 다음, 선재를 750-90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고, 300-400℃의 온도범위까지 10-25℃/sec의 속도로 냉각하는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CARBON STEEL WIRE}
본 발명은 구조용 또는 교량용의 케이블 등에 사용되는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재압연시 세멘타이트 발생을 방지하여 신선성을 향상하고 도금시의 강도하락을 개선한 고강도 고인성의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케이블 등에 사용하는 고탄소강은 1차 신선으로 일정 사이즈(size)의 구형강선으로 제조하며, 아연도금을 실시하고 연선을 통해,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은 공정을 통해 크레인 교량 등의 중량물을 지지하는 케이블 등으로 제조된다. 종래, 이와 같이 제조되는 고탄소강 선재는 도금시 강도하락 및 장착후 응력이완이 심하여 완제품 장착후 조기절손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고탄소강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종래기술로 일본의 특개평7-90495호 및 특개평6-145895호에 제시된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상기 방법들은 Co, V, Nb등의 고가인 경화능 향상원소가 다량투입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선재제조후 2차 가공을 통해 강도 향상을 도모하고 있어서 도금처리시 강도저하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강 성분조성을 적절한 범위로 제한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을 제어함으로써, 강중의 석출물 분포량을 제어하고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도금가공시 강도하락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장착후 응력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고강도, 고인성의 고탄소강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선재를 이용한 케이블 제조의 통상 공정을 보이는 순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70-0.90%, Si:0.50-0.70%, Mn:0.20-0.90%, P:0.020%이하, S:0.020%이하, Al:0.01-0.06%, V:0.03-0.0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빌렛을 1000-1200℃의 온도범위로 재가열하고 선재압연한 다음, 선재를 750-90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고, 300-400℃의 온도범위까지 10-25℃/sec의 속도로 냉각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먼저 본 발명에 있어 강 성분조성의 함량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상기 탄소(C)는 그 함량을 0.7-0.9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0.70% 미만에서는 페라이트 분율이 적어 강도확보가 어렵고, 0.90%를 초과하면 편석 및 초석세멘타이트 조직 존재로 신선가공시 취성의 발생으로 단선발생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상기 규소(Si)는 페라이트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향상 및 페라이트내 전위이동을 억제하여 장시간 경과시 응력이완성을 향상시키며, 페라이트 변태시 세멘타이트/페라이트 계면에 농축되어 세멘타이트 분해를 억제하여 아연도금시 강도저하 억제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함량이 0.50%이상 함유되어야 하나, 0.70%를 초과하면 표면탈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규소의 그 함량을 0.50-0.70%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간(Mn)은 소입성을 향상시켜 모재에 강인성을 부여하는 원소이며, 그 첨가량이 0.2%미만이면 제강공정에서의 탈산부족에 의한 주편 표면흠이 유발되고, 0.9%를 초과하면 중심편석 및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망간의 함량을 0.20-0.90%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P)은 다량함유되면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함량을 0.020%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S)은 다량함유되면 입계의 황화물계 개재물(MnS)에 의한 취성이 발생하여 조기절손의 원인으로 되기 때문에, 그 함량을 0.020%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Al)은 인성부여를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그 함량이 0.01%미만에서는 오스테나이트 그레인 사이즈(AGS)가 조대하여 인성저하로 신선가공시 단선이 발생하고, 0.06%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없고 과다첨가시 Al성 개재물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의 함량을 0.01-0.06%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나듐(V)은 압연중 페라이트내에 석출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전위이동을 방해하여 제품장착후 응력이완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1% 미만 함유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0.05%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나듐의 함량을 0.01-0.05%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조성되는 빌렛을 이용하여 선재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빌렛을 1000-1200℃의 온도범위로 재가열하고 선재압연한 다음 선재를 750-90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한다.
상기 재가열 및 선재압연을 통상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며, 선재압연에 의해 얻어진 선재는 권취한다. 이때, 선재 권취온도가 750℃미만이 되면 온도가 낮아 권취시 선재표면에 흠이 발생하고, 900℃를 초과하면 결정입도(AGS)가 성장하여 신선가공시 단선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선재의 권취온도는 750-900℃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후, 300-400℃의 온도범위까지 10-25℃/sec의 속도로 냉각한다.
상기 권취된 선재의 냉각시 그 냉각속도가 10℃/sec 미만에서는 서냉으로 인하여 펄라이트 층상 간격 조대화로 강도와 인성이 저하되며, 25℃/sec를 초과하면 Mn, C성분이 집적된 중심부에서 이상 경조직(마르텐사이트조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권취된 선재의 냉각을 300-400℃의 온도범위까지 10-25℃/sec의 냉각속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은 조성의 강들을 전로에서 제강한 다음 진공탈가스 설비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제거했으며, 그 때의 진공도는 2.0torr이하, 처리시간은 21분이었다. 탈가스 처리를 마친 용강을 연주설비에 용강의 이온응고에 20℃이하로 관리하고 0.6-0.9m/min의 속도로 주조한 부룸(bloom, 250×330mm)을 재가열한후 단면이 160×160의 빌렛으로 강편압연을 행했다.
C Si Mn P S sol. Al V
발명강 1 0.80 0.51 0.83 0.015 0.005 0.02 0.036
발명강 2 0.78 0.60 0.78 0.013 0.007 0.04 0.042
발명강 3 0.82 0.69 0.80 0.011 0.006 0.06 0.038
종래강 1 0.82 0.25 0.55 0.012 0.005 0.09 -
종래강 2 0.81 0.23 0.65 0.014 0.005 0.005 -
얻어진 빌렛을 다시 1100℃로 재가열한 후 직경 13mmø로 선재압연하고, 권취온도를 830℃로 유지하여 권취한 후, 양호한 조직을 확보하기 위해 냉각속도를 10~25℃/sec로 하여 380℃까지 냉각하였다. 이후 11mmø선재를 8개 다이스(dies)를 통해 통상방법으로 건식신선하고 아연도금한 다음 케이블로 제조하였다.
이때, 선재압연후의 선재, 신선후의 선재, 아연도금을 행한 후의 선재 각각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으며, 단선횟수도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강종 인장강도(kg/㎟) 단선횟수(10톤당)
선재 신선후 도금후 도금후 하락량
발명예 1 발명강 1 120 201 198 3 0
발명예 2 발명강 2 125 223 218 5 0
발명예 3 발명강 3 123 215 210 5 0
비교예 1 종래강 1 119 198 180 18 12
비교예 2 종래강 2 117 193 176 17 20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성범위 중에서 특히 Si, V의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종래강을 이용하여 제조한 선재의 경우(비교예 1∼2)는 신선후 및 도금후 강도가 낮았고, 단선발생 횟수도 10회 이상 발생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조성범위를 만족한 발명강을 이용하여 제조한 선재의 경우(발명예 1∼3)는 단선발생이 없었고, 도금후 인장강도 하락량도 5kg/㎟이하로 우수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성분계의 적절한 설계, 특히 Si, V를 적정량 첨가하고, 제조공정에 있어 여러 변수를 제어하여 고탄소강 선재를 제조함으로써, 선재의 세멘타이트 조직의 발생을 억제하여 신선가공성이 우수하며 아연도금을 하여도 강도하락이 적어 교량, 구조용케이블 등에 적용하여도 고강도, 고인성의 특성을 보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70-0.90%, Si:0.50-0.70%, Mn:0.20-0.90%, P:0.020%이하, S:0.020%이하, Al:0.01-0.06%, V:0.03-0.05%,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빌렛을 1000-1200℃의 온도범위로 재가열하고 선재압연한 다음, 선재를 750-90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고, 300-400℃의 온도범위까지 10-25℃/sec의 속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0-1998-0026793A 1998-07-03 1998-07-03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0036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93A KR100363190B1 (ko) 1998-07-03 1998-07-03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93A KR100363190B1 (ko) 1998-07-03 1998-07-03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46A KR20000007446A (ko) 2000-02-07
KR100363190B1 true KR100363190B1 (ko) 2003-01-24

Family

ID=1954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793A KR100363190B1 (ko) 1998-07-03 1998-07-03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468B1 (ko) * 1999-12-21 2004-06-10 주식회사 포스코 송전선 보강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0516495B1 (ko) * 2001-11-26 2005-09-23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가 우수한 고탄소 케이블용 선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378B1 (ko) * 1998-10-13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특성이우수한자동차스테빌라이저용비조질강선재의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468B1 (ko) * 1999-12-21 2004-06-10 주식회사 포스코 송전선 보강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0516495B1 (ko) * 2001-11-26 2005-09-23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가 우수한 고탄소 케이블용 선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46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0056B2 (en) High-Strength and Highly Fatigue-Resistant Steel Rai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12267069B (zh) 2100MPa级镀锌钢丝用盘条及其制造方法
JP2661845B2 (ja) 含オキサイド系耐火用形鋼の制御圧延による製造方法
KR100711469B1 (ko) 2000MPa급 과공석 강선의 제조방법
KR100742821B1 (ko) 스케일 박리성이 우수한 열처리 생략형 타이어코드 선재 및그 제조방법
KR100363190B1 (ko)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00368224B1 (ko) 선재용 고강도강 및 신선성이 우수한 선재의제조방법
KR100241013B1 (ko) 신선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00627475B1 (ko) 미니밀공정을 이용한 표면특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고장력 열연강판 제조방법
KR100384629B1 (ko) 신선성이우수한고강도선재및그제조방법
KR20110047383A (ko)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신선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90389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6198B1 (ko) 고연성 선재,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16495B1 (ko) 강도가 우수한 고탄소 케이블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0415660B1 (ko) 비드와이어용강선의제조방법
KR100276306B1 (ko) 냉간 평압연 가공성이 우수한 고탄소강의 제조방법
KR101328338B1 (ko) 신선용 선재 및 열처리재와 고강도 강선
WO2022131749A1 (ko) 지연파괴 저항성이 향상된 볼트용 선재, 부품 및 그 제조방법
WO2016047840A1 (ko) 압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2664B1 (ko) 미니밀에 의한 일반구조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8
KR100276298B1 (ko) 고망간함유 신선용 경강선재의 제조방법
KR100352607B1 (ko) 고응력 스프링용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00345702B1 (ko) 펄라이트강선재의제조방법
KR101289104B1 (ko)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 방법
KR19980045318A (ko) 성형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와셔(washer)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