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19B1 - 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19B1
KR100361319B1 KR1020000019336A KR20000019336A KR100361319B1 KR 100361319 B1 KR100361319 B1 KR 100361319B1 KR 1020000019336 A KR1020000019336 A KR 1020000019336A KR 20000019336 A KR20000019336 A KR 20000019336A KR 100361319 B1 KR100361319 B1 KR 100361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environmental
environmental sound
design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103165A (en
Inventor
김용교
Original Assignee
김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교 filed Critical 김용교
Priority to KR102000001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319B1/en
Publication of KR20010103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19B1/e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드 인스톨레이션(Sound Installation)을 기반으로 하여 자연 현상 및/또는 인위적 환경 변화에 따른 음환경(Sound Environment)을 만들어 도시와 환경과 음악을 조화롭게 연계시키기 위한 환경 음악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에 기반한 조형물에 설치되어, 자연 현상 및/또는 인위적 발생 에너지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되어 출력되는 상기 센서의 출력 크기, 출력 유지 시간, 및 출력 순서의 조합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출력음 지정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수단; 상기 발생되는 출력음 지정신호에 대응하여 가공 편집된 각종 환경 음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해당 환경 음을 재생 출력하는 재생 출력수단; 상기 재생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환경 음을 가청 환경 음으로 만들어 외부로 출력하는 가청 출력수단; 및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재생 출력수단을 포함한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al music for harmonizing city and environment and music by making a sound environment according to natural phenomena and / or artificial environmental changes based on sound installation. Sensing means installed in a sculpture based on sound installation and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natural phenomena and / or artificially generated energy;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based on a combination of an output size, an output holding time, and an output order of the sensor sensed and output by the sensing means; Storage means for storing various environmental sounds that have been processed and edited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Reproducing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al sou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Audibl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from the reproducing output means to an audible environmental sound to the outside; And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including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ing means and the reproduction output means.

Description

환경음악 제공 장치{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본 발명은 환경음악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운드 인스톨레이션(Sound Installation)을 기반으로 하여 자연 현상 및 인위적 환경변화에 따른 음환경(Sound Environment)을 만들어 도시와 환경과 음악을 조화롭게 연계시키기 위한 환경음악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music, and more particularly, to create a sound environment according to natural phenomena and artificial environmental changes based on sound installation, and to harmoniously connect the city with the environment and music. It relates to an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device for.

통상적으로, 환경음악(Ambient Music)이란 음악속의 환경, 환경속의 음악, 환경으로서의 음악, 및 환경에 대한 음악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Typically, environmental music may be classified into an environment in music, music in an environment, music as an environment, and music about an environment.

음악속의 환경이란 자율적인 음악 작품속에 환경적인 요소를 넣은 것을 말하는 바, 이는 클래식 음악 등에도 있으며, 예를 들어 새소리나 자연의 소리들이 직접적 또는 은유적으로 들어 있으며, 이것을 음악속의 환경이라고 한다.The environment in music refers to the addit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to autonomous music works, which are also found in classical music. For example, birds or nature sounds are directly or metaphorically called, and this is called the environment of music.

환경속의 음악이란 음악의 실천활동(연주 등)이 구체적인 환경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음악을 말하며, 예를 들어 특정의 교회를 상정해서 만들어진 음악 등이 있다.Music in the environment refers to music in which practical activities (such as performances) occur in a specific environmental space. For example, music made by assuming a specific church is included.

환경으로서의 음악이란 음악이 어떤 기능을 다하도록 계획되어 그에 맞는 인공적인 환경을 만들어 내는 음악을 말하며, 환경에 대한 음악이란 환경에 대한 시점을 여는 음악으로서, 그것은 꼭 자연음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으며 기분이 좋아지지 않아도 되며, 설치된 음이 어떤 계기로 받아들이는(듣는) 쪽에 환경에 대한 의식을 재촉하도록 의도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Music as an environment is music that is designed to perform a function and create an artificial environment. Music about an environment is music that opens a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 and it is not necessary to use natural sounds and feels good. It doesn't have to get better, and it is intended to encourage environmental awareness on the part of the installed sound.

한편, 음환경이란 순수한 도시계획이며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지역사회 전체의 음향 디지인 즉, 도시와 환경과 음악의 연계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음풍경(Sound Scape)이라는 개념은 음을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서 생각하는 즉, 음을 풍경으로서 취급한다는 것으로서, 이 개념 속에서는 좋은 음과 나뿐 음이라는 가치 기준은 규정되어 있지 않고, 음의 좋고 나쁨을 결정하는 근거가 공동체에 있는데, 지역 공동체의 구성에 있어서 좋은 음과 나쁜 음은 어느 정도 공통화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environment is pure urban planning and has the concept of connecting the city with the environment and music, that is, the sound digital design of the whole community to create a livable environment. In terms of thinking, that is, treating sound as a landscape, in this concept, the values of good sound and only me are not defined, and there is ground in the community to determine good and bad sound. Good and bad sounds are somewhat common.

현재, 고도로 산언화되고 다양한 제도화된 사회구조 속에서 지역 공동체를 축으로 하는 최적의 음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각 국에서 다양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이 시도 되고 있는 바, 이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이란 직역하면 음향 설치라는 뜻이되며 음악과 미술의 공동작업이라고 볼 수 있으며, 공간이나 조형물 즉, 환경을 소재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음공간을 창조하거나, 또는 공간이나 조형물 자체에 발음 장치를 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만든 것을 일컫는다.At present, various sound installations have been attempted in each country in order to create an optimal sound environment centering on the local community in a highly decentralized and diverse institutionalized social structure. It is a collaboration between music and art. It refers to a space or sculpture, that is, to create a sound space by setting the environment as an area of material, or to create a work by using a pronunciation device in the space or sculpture itself.

이와 같은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은 음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공간을 디자인하며, 질 높음 시민 생활을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sound installation is for the comfort of sound environment, space design, and high quality civil life.

도시 집중의 산업화와 인구 팽창에 의해 도시 소음 공해가 확산되고 있고, 현대인은 소음과 노이즈라는 배경속에서 당연하게 생활을 하고 있으며, 공장의 기계소리나 자동차, 대중이 모이는 공공장소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익숙한 현대인은 문화 향수의 빈곤과 갈증 속에서 자연의 소리를 갈망하게 되는데, 거리나 지하철 역 등에서는 소음 및 우리 주위에 널려 있는 식상한 음악만이 흘러나오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음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의 설계 및 설치가 사용되고 있다.Urban noise pollution is spreading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urban concentration and population expansion, and modern people live naturally in the background of noise and noise, and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machinery of the factory, cars, and public places where the public gathers. Familiar modern people are hungry for the sounds of nature amidst the poverty and thirst of cultural nostalgia.In the streets and subway stations, only the noise and the unpleasant music that flows around us flow comfortably. As part of this,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sound installations are being used.

또한, 도로나 건물 등 도시를 형성하는 기반 시설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민생활 위주의 도시 계획에 의한 공공장소 확대, 여유 있는 공간 확보가 요구되며, 쾌적한 도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도시민의 휴식과 문화생활 공간이 필요한 데, 그 중에서도 공공적이고 질 높은 공간 확보를 위한 방편으로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이 도입되고 있으며, 일 예로 파리의 세느 강변에 있는 공원에는 도시 소음 공해 침투의 완화를 위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을 설계 및 설치하여, 도시속의 자연을 느끼게 하는 쾌적한 공간을 확보 및 유지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the infrastructure that forms the city, such as roads and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 spaces and secure spaces by urban planning centered on civic life. There is a need for a living space, and among others, sound installation is being introduced as a means to secure public and high quality space. For example, a sound installation is designed and installed in a park on the Seine river in Paris to mitigate the invasion of urban noise pollution. It also secures and maintains a pleasant space that makes us feel the nature in the city.

또한, 점차로 경제와 문화가 다국적화되고 있고, 21 세기에는 문화 전쟁의 시대가 예견되며, 여기에 환경문제가 함께 대두되고 있다. 환경문제는 이제 세계적인 관심속에 국가간에 글로벌리즘이 요청되며, 환경을 파괴하는 것과 가꾸는 것으로 양극화하여 볼 때, 음환경 계획은 가꾸는 부류에 속하는 것으로서, 도시문화 생활을 질 높게 영위하고 쾌적하게 누리기 위한 일환으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의 설계 및 설치가 선진 각 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economies and cultures are becoming increasingly multinational, and an era of cultural war is foreseen in the 21st century, and environmental issues are emerging. Environmental issues are now called for globalism among nations in the interest of the world, and the polarization of environmental environment, which is considered to destroy and cultivate the environment, is a kind of cultivating environment, which is a part of high quality and pleasant living of urban culture.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sound installation is being used in various countries.

이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의 몇 가지 실 예를 설명한다.Next, some examples of sound install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a) 및 도 1(b)는 일본국 요코하마 JR역 서쪽 출구에 있는 서학옥교에 설치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조형물로서, 이 것은 다리위에 고속도로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교토량이 많고 소음량이 큰 환경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컨셉(Concept)은 음을 통해 현장을 새롭게 바꾸어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그 구조는 지상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음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되, 자동차가 통과하면서 다리가 진동하면 그 진동을 센서가 받아 들여 음원부를 울리도록 되어 있다.1 (a) and 1 (b) are sound installation sculptures installed at Seohakok Bridge at the west exit of Yokohama JR Station in Japan. This is a double highway on the bridge, which is installed in an environment with a large amount of Kyoto and a high noise level. The concept is to change and provide a new scene through sound, and its structure is to generate soun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ground, but if the bridge vibrates as the vehicle passes, the sensor receives the vibration. It is supposed to ring a sound source.

본 발명은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을 기반으로 하여 자연 현상 및 인위적 환경 변화에 따른 음환경을 만들어 도시와 환경과 음악을 조화롭게 연계시킬 수 있는 환경음악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apparatus that can harmoniously connect the city with the environment and music by creating a sound environment according to natural phenomena and artificial environmental changes based on sound installation.

도 1(a)(b)는 일본국 요코하마 JR역 서쪽 출구에 있는 서학옥교에 설치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조형물을 나타낸 도면이고,1 (a) and (b) are diagrams showing sound installation sculptures installed at Seohakok Bridge at the west exit of Yokohama JR Station in Japan.

도 2(a)(b)는 일본국 요코하마역 동쪽 출구에 설치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조형물을 나타낸 도면이고,2 (a) (b) is a view showing the sound installation sculptures installed at the east exit of Yokohama Station in Japa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경음악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고,3 is a block diagram of an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환경음악 제공 장치가 적용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조형물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ound installation sculpture to which the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apparatus of FIG. 3 is appli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환경 감지부 11: 바람센서10: environmental sensor 11: wind sensor

11a, 11b: 바람센서(11)로서의 부채 형상 바람개비11a and 11b: Fan-shaped pinwheel as the wind sensor 11

12: 습도센서 13: 가이거 센서(Geiger Sensor)12: Humidity Sensor 13: Geiger Sensor

14: 접촉센서 15: 적외선 센서14: contact sensor 15: infrared sensor

20: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 30: 환경음 저장부20: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30: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31: 주기록 장치 32: 보조 기록매체31: main recording device 32: auxiliary recording medium

40: 환경음 재생 출력부 50: 환경음 가청 출력부40: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50: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51: 증폭기 52: 스피커51: amplifier 52: speaker

60: 제어부 70: 설정부60: control unit 70: setting unit

100: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조형물100: sound installation scul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120: 이중나선 구조체인 나선형 관110,120: spiral tube with double helix structur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에 기반하여 이중나선 구조체로 설치된 조형물의 외관 최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형물의 외관 최상부에 바람의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된 부채 형상의 제 1 및 제 2 바람개비로 이루지며, 상기 제 1 바람개비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바람개비의 회전속도에 따라 바람의 속도를 감지하는 바람센서;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어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어 주변에 미치는 전자파 중에 감마파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파 감지센서;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며, 외부의 사물이 상기 조형물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발생하여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인체와의 거리 및 그 인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센서; 환경요소의 지역별 및 월별 변화 자료를 근거로 하여 서로 상관되는 환경요소의 변화값들을 상호 조합한 환경요소의 집합과 이 집합에 대응하는 출력음 지정신호를 상호 연계하여 테이블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풍속과 풍향을 감지한 상기 바람센서, 습도를 감지한 상기 습도센서, 감마파를 감지한 상기 전자파 감지센서, 외부의 사물의 접촉을 감지한 상기 접촉센서 및 인체를 감지한 상기 인체 감지센서의 출력크기, 출력유지시간 및 출력순서를 조합하여 상기 테이블화한 데이터 중에서 조합결과와 일치되는 출력음 지정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 가공 편집된 다수의 환경음을 저장하되,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에 테이블화하여 저장한 출력음 지정신호에 대응하는 각종 환경음을 저장하는 환경음 저장부;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 지정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저장부로부터 읽어와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환경음으로 재생시켜 출력하는 환경음 재생 출력부; 상기 조형물의 일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에 의해 재상되어 출력되는 환경음을 증폭하여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환경음 가청 출력부;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의 환경음 재생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환경음 출력기능 조절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및 상기 환경음 가청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환경음의 음색, 음 크기, 음 발생후 지속되는 음끌기 시간 및 음 빠르기를 조절하고 외부로 출력되는 환경음에 관한 부가적 기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환경음 출력기능 조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와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and the first fan-shaped fan-shape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xterior of the sculpture installed in the double-helical structure based on the sound installation, the rotation of the sculpture along the direction of the wind A wind sensor comprising two pinwheels, the wind sensor sensing a wind direction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pinwheel and a wind speed according to a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pinwheel; A humidity sensor installed on the sculpture to sense humidity of the surroundings; An electromagnetic wave sensor installed on the sculpture to detect a gamma wave among electromagnetic waves applied to the surroundings; A contact sensor installed in the sculpture and configured to sense that an external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culpture; A human body sensor installed on the sculpture to detect the presence of a human body by generating infrared rays, and to detect a detected distance to the human body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human body; Based on the regional and monthly change data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e data table is stored by correlating the set of environmental elements that correlate changes of environmental elements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t. Output of the wind sensor for detecting wind speed and direction, the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humidity, the electromagnetic wave sensor for detecting gamma waves, the touch sensor for sensing a contact of an external object, and the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An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an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result among the tabulated data by combining the magnitude, the output holding time and the output order; An environment sound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 sounds which have been processed and edited, and storing various environment sound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stored in a table by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An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which reads the environmental sound indicated by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ion unit from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and reproduces the environmental sound that can be heard by a human; An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culpture and amplifying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ed by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and outputting the environmental sound to the outside for human hearing; A setting unit for setting environmental sound output function adjustment data for adjusting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of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And setting the tone to adjust the tone of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from 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the loudness, the drag time and the sound speed that continue after the sound is generated, and the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and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function adjustment data set by the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경음악 제공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nvironment music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음악 제공장치의 블록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감지부(10),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 환경 음 저장부(30), 환경 음 재생 출력부(40), 환경 음 가청 출력부(50), 제어부(60), 및 설정부(70)로 구성되어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musi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 environmental sensor 10, an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and an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 30),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50, the control unit 60, and the setting unit 70.

상기 환경 감지부(10)는, 도 4와 같은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에 기반한 조형물(100)에 설치되어, 풍속, 풍향, 습도, 및 전자파 중 특히 우주로부터 전달되는 감마(γ)파 등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에너지 신호의 감지 및 이에 상응하는 인위적 발생 에너지 신호의 감지나, 인체 유무의 감지를 위한 각종 센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센서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풍속 및 풍향을 감지하는 바람센서(11),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2), 감마파를 감지하는 가이거 센서(13), 상기 조형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14), 및 인체의 유무와 그 인체와의 거리 그리고 인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센서로서의 적왼선 센서(1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바람센서(11)는, 도 4의 상기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에 기반한 조형물(100)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나선형 관(110, 120)으로 된 이중나선 구조체로서의 상기 조형물(100)의 왼관 최상부(111, 112)에 설치되되, 바람의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양한 부채 형상의 바람개비(11a,1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형물(100)의 일부로서 미학적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바람개비(11a,11b) 중 하나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그 회전속도에 따라 바람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The environment sensing unit 10 is installed in the sculpture 100 based on the sound installation as shown in FIG. 4 and is generated by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speed, wind direction, humidity, and gamma (γ) waves transmitted from space, among electromagnetic waves. It is composed of one or a combination of sensors for the detection of various energy signals and the corresponding artificially generated energy signal,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in the present embodiment wind sensor for detecting the wind speed and direction (11), the humidity sensor 12 for detecting the humidity, the Geiger sensor 13 for detecting the gamma wave, the contact sensor 14 for detecting the contact of the sculpt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human body It consists of a red line sensor 15 as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 particular, the wind sensor 11, a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of the sculpture 100 based on the sound installation of Figure 4, the sculpture 100 as a double-helical structure consisting of two spiral tubes (110, 1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left tube (111, 112) of the, including a variety of fan-shaped pinwheel (11a, 11b) install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aesthetically installed as part of the sculpture (100) It is preferable, and also one of the pinwheel (11a, 11b) is installed to detect the direction of the win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other is installed so as to detect the wind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speed.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는 상기 환경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어 출력되는 상기 각 센서(11 내지 15)의 출력 크기, 출력유지 시간, 및 출력 순서의 조합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출력음 지정신호(예컨데, 환경음악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트랙번호를 지정하는 신호 임)를 발생하는 것이다. 즉,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는 환경요소(즉, 풍속, 풍향, 습도, 전자파 발생 등)의 지역별 및 월별 변화 자료를 근거로 하여 서로 상관되는 환경 요소 변화값들이 상호 조합되어 있고, 이 조합된 환경 요소의 집합과 이에 대응하는 출력음 지정신호가 상호 연계되어 테이블(Table)화된 데이터를 내장하고서, 상기 센서(11 내지 15)들 중 하나 이상의 센서 출력이 입력되면 그 출력의 크기, 유지, 시간, 및 출력 순서 등을 조합한 후, 상기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조합 결과에 연계된 해당 출력음 지정신호를 발생 출력하는 것이다.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corresponds to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based on a combination of an output size, an output holding time, and an output order of each of the sensors 11 to 15 that are detected and output by the environment sensor 10. An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for example, a signal for designating a track number of a recording medium on which environmental music is recorded) is generated. That is,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has a combination of mutually correlated environmental element values based on regional and monthly change data of environmental factors (ie, wind speed, wind direction, humidity, electromagnetic wave generation, etc.). And a combination of the combined set of environmental elements and a corresponding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to embed tableized data, and when one or more sensor outputs of the sensors 11 to 15 are inputte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After combining the holding, the time, the output order, and the like, a corresponding output tone designation signal associated with the combination result is generated and output based on the combination table.

상기 환경음 저장부(30)는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에 내장된 상기 테이블의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에 대응하여 가공 편집된 각종 환경 음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환경음 저장부(30)는 하드디스크(Hard Disk)와 같은 주기록장치(31) 및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D), 및 콤팩트 디스크(CD)와 같은 보조 기록매체(32)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주기록장치(31)와 상기 보조 기록매체(32)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30 is a storage unit that stores various environmental sounds that are processed and edi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of the table built in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30 is composed of a main recording device 31 such as a hard disk (Hard Disk) and an auxiliary recording medium 32 such as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FD), and a compact disk (CD) However, one of the main recording device 31 and the auxiliary recording medium 32 may be selectively configured.

참고로,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환경음의 구성에 있어 바람직한 기본 형태를 설명하면, 최초, 중간, 및 최후 단계의 사운드 발생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악구(Phase)로 구성되고, 여기서 하나의 악구는 약 4 소절 내지 8 소절(bar) 정도의 길이로 하며, 사운드 지속 시간은 약 10 내지 30 초 정도로 한다. 최초, 중간, 및 최후 단계의 사운드 발생 후 지속되는 음 끌기(pause) 시간은 약 10 내지 15 초로 한다. 이 음 끌기 후에는 새로운 사운드 프래그먼트(Sound fragment : 서로 다른 기본단위의 환경 음을 말하는 것으로 예컨데, 샘플링된 새소리, 파도소리가 각각 하나의 프래그먼트 임)가 형성되도록 하여 최초, 중간, 및 최후의 3단계로 연속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반복한 후, 마지막 단계로 음 끌기를 약 7 내지 10 초 지속한 후에 처음으로 돌아가 최초의 사운드부터 다시 반복되도록 한다.For reference, the preferred basic for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nvironmental sou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the sound generation of the first, middle, and last stage is composed of one or two phrases (Phase), where one The phrase has a length of about 4 to 8 bars, and the sound duration is about 10 to 30 seconds. The pause time lasting after the sound of the first, middle, and last stages is generated is about 10 to 15 seconds. After dragging this sound, new sound fragments (ie, environmental sounds of different basic units) are formed, for example, the sampled bird sound and the wave sound being one fragment each, forming the first, middle, and last three steps. To be generated continuously. After repeating as above, the last step is to continue the sound drag for about 7 to 10 seconds and then return to the beginning to repeat from the first sound.

상기 환경 음 재생 출력부(40)는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환경음 저장부(30)에 저장된 해당 환경음을 재생 출력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재생 출력되는 환경 음의 음색, 음의 크기, 음 발생 후 지속되는 음 끌기(pause) 시간, 및 음 빠르기를 포함하는 각종 부가적 기능을 수행한다.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reproduces and outputs the environmental sound stored in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30 on the basis of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perform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cluding the tone of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ed and output, the volume of the sound, the pause time after the sound is generated, and the sound speed.

상기 환경음 가청 출력부(50)는 상기 재생 출력부(40)로부터 출력된 환경음을 가청 환경음으로 만들어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환경음을 증폭하는 증폭기(51) 및 상기 증폭된 환경음을 가청 주파수대로 출력하는 스피커(5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피커(52)는 상기 조형물(100)의 일부가 되도록 미학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50 outputs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from the reproduction output unit 40 to an audible environmental sound to the outside, and amplifies the environmental sound and the amplified environmental sou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52 for outputting the audible frequency, the speaker 52 is preferably aesthetically manufactured to be part of the sculpture (100).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와 상기 재생 출력부(40)를 포함한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설정부(70)는 상기 재생 출력부(40)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각종 기능 모드(음색, 음의 크기, 음 발생 후 지속되는 음 끌기 시간, 및 음 빠르기 등의 조절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설정되는 해당모드에 의거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40)의 상기 각종 부가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60 performs overall control including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and the reproduction output unit 40, and the setting unit 70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reproduction output unit 40. By setting various function modes (adjustment modes such as tone, loudness, sound drag time and sound speed after sound generation) for the application to the control unit 60, the Th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f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기 환경음악이란 자연으로부터 채취되고 샘플링된 단위 음(새소리, 물 흐름 소리, 파도소리 등의 사운드 프래그먼트)이거나,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연주음 또는 이들의 조합 음을 기본 단위 음으로 하여 기본 악구로 가공편집된 것으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al music is a unit sound (a sound fragment such as a bird sound, a water stream sound, a wave sound, etc.) sampled and sampled from nature, or an artificially created playing sound or a combination sound thereof as a basic unit sound. By being defined as processed by the basic phrase, 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이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환경 감지부(10)에 구성되는 상기 각종 센서(11 내지 15)들 중 대표적으로 상기 적외선 센서(15)를 단독으로 구성(또는 각종 센서(11 내지 15)들 중 적외선 센서(15)에 의해서만 신호가 감지)된 경우를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Subsequent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mong the various sensors 11 to 15 configured in the environment sensing unit 10, the infrared sensor 15 is representatively alone. As an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signal is detected only by the infrared sensor 15 among various sensors 11 to 15.

본 예에서는, 상기 적외선 센서(15)에 의해 약 10m 이내의 거리에서 감지되는 대상물(체온이 발생되는 인간이나 동물 등)에 의해 사운드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는 상기 적외선 센서(15)의 감지입력에 비례하는 출력크기, 출력유지시간, 및 출력순서의 조합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되, 이 테이블화된 데이터는 상기 조합 결과가 인체의 최초 감지 항목, 최초 감지 후 우측 이동 항목, 최초 감지 후 좌측 이동 항목, 최초 감지 후 전방 이동 항목, 및 최초 감지 후 후방 이동 항목 등으로 나눠지고, 각 항목과 연계하여 출력음 지정신호가 정해져 테이블화되어 있는 것이다.In this example, the sound is generated by an object (such as a human or animal generating body temperature) detected at a distance of about 10 m or less by the infrared sensor 15, and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Has built-in tabulated data generated based on a combination of an output size, an output holding time, and an output order proportional to the sensing input of the infrared sensor 15. It is divided into the first sensing item, the right moving item after the first detection, the left moving item after the first detection, the forward moving item after the first detection, and the rear moving item after the first detection. It is.

또한, 상기 환경 음 저장부(30)는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의 상기 테이블의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에 대응하여 가공 편집된 각종 환경 음이 트랙별로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최초 감지시의 사운드 프래그먼트 구성, 최초의 사운드 발생 후 감지체(인체)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의 사운드 프래그먼트 구성, 최초의 사운드 발생 후 감지체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의 사운드 프래그먼트 구성, 최초의 사운드 발생 후 감지체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의 사운드 프래그먼트 구성, 및 최초의 사운드 발생 후 감지체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의 사운드 프래그먼트 구성이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트랙 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트랙별로 각각 저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30 stores various environmental sounds that have been processed and edi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of the table of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for each track. Sound fragment configuration, the sound fragment configuration when the sensor (human body) moves to the right after the first sound is generated, the sound fragment configuration when the sensor moves to the left after the first sound is generated, the sensor moves forward after the first sound is generated. The sound fragment configuration at the time of movement and the sound fragment configuration at the time when the sensor moves backward after the first sound generation are stored for each track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track number).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환경음악 장치로부터 10m 이내 거리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15)를 통해 인체의 체온이 최초로 감지될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15)에 감지된 신호는 입력에 비례하여 출력되어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로 입력된다.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는 상기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15)의 출력 크기, 출력 유지 시간, 및 출력 순서의 조합 결과에 해당하는 즉, 최초 감지 항목에 해당하는 제 1 출력음 지정신호를 발생 출력하여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40)에 제공한다.Thus, for exampl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is first detect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15 within a distance of 10 m from the environmental mus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15 is output in proportion to the input.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is input.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corresponds to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output size, the output holding time, and the output order of the infrared sensor 15 based on the table, that is, the first out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item. A sound design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environment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40)는 상기 제공된 제 1 출력음 지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환경음 저장부(30)의 제 1 트랙에 기록 저장된 환경 음 즉, 최초 감지시의 사운드 프래그먼트로 구성된 환경 음을 독취하고 재생하여 상기 환경음 가청 출력부(5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40)는 상기 설정부(70)를 통한 기능 설정 및 타 센서(예를 들어 바람센서(11))의 출력에 의거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독취된 환경 음의 음색, 음의 크기, 음 발생 후 지속되는 음끌기 시간, 및 음 빠르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각종 부가적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40)를 제어하되, 상기 바람센서(11)의 출력의 세기 즉, 바람의 세기에 따라 상기 음끌기 시간을 달리함과 아울러 바람의 방향에 따라 사운드 프래그먼트를 달리 선택하여 환경 음이 재생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is configured to store the environmental sound recorded in the first track of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30, that is, the sound fragment at the first detection based on the first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provided. Read and replay to provide to 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50. In this case,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 based on the function setting through the setting unit 70 and the output of another sensor (for example, the wind sensor 11).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f selectively adjusting the tone of the read environmental sound, the volume of the sound, the duration of the sound after the sound is generated, and the sound speed are selectively perform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while varying the drag tim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output of the wind sensor 11, that is, the wind strength and the direction of the wind Depending on the sound fragments can be selected to control the reproduction of the environment sound.

마지막으로, 상기 환경음 가청 출력부(50)는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40)로부터 출력된 환경음을 증폭기(51)를 통해 증폭한 후, 스피커(52)를 통해 가청음 수준으로 만들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Lastly, 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50 amplifies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from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40 through the amplifier 51 and then makes the audible sound level through the speaker 52 to the outside. Will pri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경음악 제공 장치는,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20)를 통해 상기 환경 감지부(10)의 상기 적외선 센서(15) 출력의 크기, 출력 유지 시간, 및 출력 순서를 조합하고, 그 조합 결과를 상기 테이블에 대비하여 해당 출력음 지정신호를 발생 출력하며,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40)는 입력되는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에 의거하여 환경음 저장부(30)의 해당 트랙에 기록 저장된 해당 환경음을 재생 출력하고, 이 재생 출력된 환경음은 상기 환경음 가청 출력부(5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mus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infrared sensor 15 of the environmental sensor 10, the output holding time, and the output order through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20.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in preparation for the table, and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ing output section 40 is based on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inputted. This environmental sound recorded an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track is reproduced and outputted by 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50.

이상 적외선 센서(15)를 이용한 인체 감지의 경우를 그 일예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도 각종 센서(11 내지 15)로부터 감지되는 각종 환경 데이터를 조합하여 보다 실시간 환경에 적합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인 바, 이것은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10)의 테이블 설계와 상기 환경음 저장부(30)에 상기 테이블의 설계에 대응되도록 가공 편집되어 저장된 환경음악 및 상기 제어부(60)를 통한 총괄적인 제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바람센서(11)에 의한 풍속 및 풍향, 습도 센서(12)에 의한 주위 습도, 접촉센서(14)에 의한 상기 조형물(100)의 접촉 유무, 가이거센서(13)에 의한 감마파의 감지, 및 적외선 센서(15)를 통한 인체 감지 등을 조합하여 환경을 종합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테이블을 만들고, 그 테이블에 근거한 환경에 적합하도록 가공편집 및 저장된 환경을 재생 출력함으로써, 실시간 환경에 적합하고 쾌적한 환경음을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detecting a human body using the infrared sensor 15, in addition, various environmental data sensed by the various sensors 11 to 15 are combined to make the environment more suitable and comfortable for a real time environment. Of course, this can be made, which is a table design of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10 and the environmental music processing and edited and stored to correspond to the design of the table in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30 and the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overall control through the control unit 60. For example, the wind speed and the wind direction by the wind sensor 11, the ambient humidity by the humidity sensor 12,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ct of the sculpture 100 by the contact sensor 14, the gamma by the Geiger sensor 13 By combining wave detection and human body detection through the infrared sensor 15, a table that can comprehensively discriminate the environment is created, and the processed and edited and stored environment is reproduced and output to b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table. It can make and provide environmental sound that is comfortable for you.

즉, 상기 각종 센서(11 내지 15) 및 그 밖의 환경 에너지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환경을 파악하여 상기 테이블을 설계함과 아울러, 그 테이블 설계에 대응되도록 상기 재생될 환경음을 가공 편집하여 상기 환경음 저장부(30)에 하드디스크 형태 및 플로피 디스켓이나 콤팩트 디스크 형태로 기록 저장하면, 상술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도시와 환경과 음악을 조화롭게 연계시키는 환경 음악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environment is sensed by the various sensors 11 to 15 and other environmental energy sensors, and the table is designed, and the environment sound to be reproduced is processed and edited to correspond to the table design. When recording and storing in the form of a hard disk and a floppy diskette or a compact disk in the storage unit 30,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environmental music that harmonizes the city with the environment and music.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음악 제공 장치에 의하면,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을 기반으로 하여 자연현상 및 인위적 환경 변화에 따라 쾌적한 음환경을 만듦으로써, 도시와 환경과 음악을 조화롭게 연계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reating a pleasant sound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natural phenomenon and the artificial environment change based on sound installation, there is an effect of harmonizing the city, the environment and music.

Claims (13)

사운드 인스톨레이션에 기반하여 이중나선 구조체로 설치된 조형물의 외관 최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형물의 외관 최상부에 바람의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된 부채 형상의 제 1 및 제 2 바람개비로 이루지며, 상기 제 1 바람개비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바람개비의 회전속도에 따라 바람의 속도를 감지하는 바람센서;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xterior of the sculpture installed in the double helix structure based on the sound installation, and consists of the fan-shaped first and second pinwheels install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on the top of the exterior of the sculpture, A wind sensor detecting a wind direction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detecting a wind speed according to a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pinwheel;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어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A humidity sensor installed on the sculpture to sense humidity of the surroundings;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어 주변에 미치는 전자파 중에 감마파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파 감지센서;An electromagnetic wave sensor installed on the sculpture to detect a gamma wave among electromagnetic waves applied to the surroundings;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며, 외부의 사물이 상기 조형물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A contact sensor installed in the sculpture and configured to sense that an external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culpture; 상기 조형물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발생하여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인체와의 거리 및 그 인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센서;A human body sensor installed on the sculpture to detect the presence of a human body by generating infrared rays, and to detect a detected distance to the human body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human body; 환경요소의 지역별 및 월별 변화 자료를 근거로 하여 서로 상관되는 환경요소의 변화값들을 상호 조합한 환경요소의 집합과 이 집합에 대응하는 출력음 지정신호를 상호 연계하여 테이블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풍속과 풍향을 감지한 상기 바람센서, 습도를 감지한 상기 습도센서, 감마파를 감지한 상기 전자파 감지센서, 외부의 사물의 접촉을 감지한 상기 접촉센서 및 인체를 감지한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출력크기, 출력유지시간 및 출력순서를 조합하여 상기 테이블화한 데이터 중에서 조합 결과와 일치되는 출력음 지정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Based on the regional and monthly change data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e data table is stored by correlating the set of environmental elements that correlate changes of environmental elements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t. Output of the wind sensor for detecting wind speed and direction, the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humidity, the electromagnetic wave sensor for detecting gamma waves, the touch sensor for sensing a contact of an external object, and the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An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an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that matches the combination result among the tabulated data by combining a magnitude, an output holding time, and an output order; 가공 편집된 다수의 환경음을 저장하되,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에 테이블화하여 저장한 출력음 지정신호에 대응하는 각종 환경음을 저장하는 환경음 저장부;An environment sound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 sounds which have been processed and edited, and storing various environment sound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stored in a table by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 지정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환경음을 상기 환경음 저장부로부터 읽어와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환경음으로 재생시켜 출력하는 환경음 재생 출력부;An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which reads the environmental sound indicated by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ion unit from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and reproduces the environmental sound that can be heard by a human; 상기 조형물의 일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에 의해 재생되어 출력되는 환경음을 증폭하여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환경음 가청 출력부;An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culpture and amplifying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ed and output by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to output to the outside for human hearing;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의 환경음 재생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환경음 출력 기능 조절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및A setting unit for setting environmental sound output function adjustment data for adjusting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of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And 상기 환경음 가청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환경음의 음색, 음 크기, 음 발생 후 지속되는 음 끌기 시간 및 음 빠르기를 조절하고 외부로 출력되는 환경음에 관한 부가적 기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환경음 출력기능 조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와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음악 제공 장치.The setting unit to adjust the tone of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from 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the volume, the sound drag time and sound speed that continues after the sound genera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or and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function adjustment data set by the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환경음 저장부에 저장된 환경음은 최초, 중간, 및 최후 단계의 사운드 발생이 하나 또는 두 개의 악구로 구성되되, 환경음을 하나의 악구로 구성할 경우, 4 소절 내지 8 소절 정도의 길이로 하고 사운드 지속 시간을 10 내지 30 초로 하며, 최초, 중간 및 최후 단계의 사운드 발생 후 지속되는 음 끌기 시간은 10 내지 15 초로 하고 이 음 끌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새로운 사운드 프래그먼트가 형성되도록 하여 최초, 중간 및 최후의 3단계로 연속 발생되도록 하며, 마지막 단계로 음 끌기를 7 내지 10 초 지속한 후에 처음으로 돌아가 최초의 사운드부터 다시 반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음악 제공 장치.The environmental sound stored in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is composed of one or two phrases in which the sound of the first, middle, and last stages is generated, and when the environmental sound is composed of one phrase, the length is about 4 to 8 measures long. The sound duration is 10 to 30 seconds, and the sound drag time lasting after the sound of the first, middle, and last stages is generated is 10 to 15 seconds, and after the sound drag time has elapsed, a new sound fragment is formed,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 generation in the middle and the last three stages, the last step to go back to the beginning after the sound last 7 to 10 seconds to repeat again from the first s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음 지정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 지정신호는 상기 환경음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환경음의 기록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음악 제공 장치.And an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sound designation signal generating unit is a signal for designating a recording posi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sounds stored in the environmental sound stora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환경음 가청 출력부는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에 의해 재생되어 출력되는 환경음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The environmental sound audible output unit includ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ed and output by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And 상기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환경음을 가청 주파수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It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environmental sound amplified by the amplifier at an audible frequency, 상기 스피커는 상기 조형물의 일정 위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음악 제공 장치.The speaker is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culptu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센서에 의해 감지된 바람 세기에 따라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의 환경음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가 바람 세기 별로 환경음의 음 끌기 시간을 서로 다르게 재생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음악 제공 장치.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of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wind strength sensed by the wind sensor so that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output unit reproduces and outputs the sound drag time of the environmental sound differently for each wind intensity.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센서에 의해 감지된 바람 방향에 따라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의 환경음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환경음 재생 출력부가 바람 방향 별로 기본 단위의 환경음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선택하여 재생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음악 제공 장치.The controller controls the environmental sound output of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ing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detected by the wind sensor so that th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ing output unit selects and reproduces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al sound of the basic unit for each wind direction. Environmental music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00019336A 2000-04-12 2000-04-12 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KR100361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336A KR100361319B1 (en) 2000-04-12 2000-04-12 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336A KR100361319B1 (en) 2000-04-12 2000-04-12 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65A KR20010103165A (en) 2001-11-23
KR100361319B1 true KR100361319B1 (en) 2002-11-18

Family

ID=4578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336A KR100361319B1 (en) 2000-04-12 2000-04-12 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3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222B1 (en) 2022-11-15 2023-06-16 주식회사 시공테크 Control method of server for controlling movement of kinetic sculpture by analyzing environmental elem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696A (en) * 1990-11-08 1992-06-22 Yamaha Corp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oping with playing environment
JPH0635490A (en) * 1992-07-15 1994-02-10 Shimizu Corp Real-tim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system
JPH0675573A (en) * 1992-08-27 1994-03-18 Roland D G Kk Environmental music performing device
JPH09319389A (en) * 1996-03-28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vironmental sound generating device
JPH1115487A (en) * 1997-06-23 1999-01-2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Exterior with environmental sound generative function
KR19990005259A (en) * 1997-06-30 1999-01-25 허진호 Ambient Environment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696A (en) * 1990-11-08 1992-06-22 Yamaha Corp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oping with playing environment
JPH0635490A (en) * 1992-07-15 1994-02-10 Shimizu Corp Real-tim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system
JPH0675573A (en) * 1992-08-27 1994-03-18 Roland D G Kk Environmental music performing device
JPH09319389A (en) * 1996-03-28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vironmental sound generating device
JPH1115487A (en) * 1997-06-23 1999-01-2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Exterior with environmental sound generative function
KR19990005259A (en) * 1997-06-30 1999-01-25 허진호 Ambient Environment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65A (en)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cier et al. Chambers: Scores by Alvin Lucier
KR100275799B1 (en) Soung constituting apparatus
Keller et al. New concepts and techniques in eco-composition
Lopes et al. Composing music with a space
Ouzounian Rethinking acoustic ecology
Patel Architectural Acoustics: A guide to integrated thinking
KR100361319B1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music
Fowler Sound, aurality and critical listening: disruptions at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e
Bandt Sound installation: Blurring the boundaries of the eye, the ear, space and time
JPH0635490A (en) Real-time environmental sound reproduction system
Goodwin Modeling Sound in Ancient Maya Cities: Moving Towards a Synesthetic Experience using GIS & 3D Simulation
Gresham-Lancaster et al. Sonification and Acoustic Environments
Flügge Sonic thinking: how sound-art practices teach us critical listening to space
JP2010197882A (en) Voice information selection device, voice information selection method, voice information selec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eutzfeldt et al. The City of Sound: Exploring new approaches to sound in urban planning end development
Okubo et al. Preservation and Reproduction of Real Soundscapes in Virtual Space for the" 100 Best Soundscapes in Japan"
Wang The aesthetic principles of soundscape in architectural design and built environment
Morse Site-specific music composition and the soniferous garden
Trommer Points Further North: An acoustemological cartography of non-place
Berger Knowing a Place by Ear: Approaches to the Sonic Research of Landscapes
Barrett Deepening presence: probing the hidden artefacts of everyday soundscapes
Chen et al. The Shape of Spaces yet to Come: Contributors' Notes
Vickery Nota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live performers with complex sounds and environments
Grado Real and Imaginary Places: The Experience of Sound, Memory, and Space
Shearer Vibrating Matter: situating s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