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504B1 -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 Google Patents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504B1
KR100359504B1 KR1019960046607A KR19960046607A KR100359504B1 KR 100359504 B1 KR100359504 B1 KR 100359504B1 KR 1019960046607 A KR1019960046607 A KR 1019960046607A KR 19960046607 A KR19960046607 A KR 19960046607A KR 100359504 B1 KR100359504 B1 KR 10035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frame
opening
access por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744A (ko
Inventor
세끼네 미사오
고바야시 싱이찌
혼마 니오끼
마쓰바라 가즈오
Original Assignee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톰 메디칼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96004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5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1/00Baby-incubators; Couve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의료용 용기의 접근구가 유아 인큐베이터의 투명후드(13)의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착설된 내부프레임(15)으로 구성된다. 외부프레임(16)이 상기 내부프레임(15)에 활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요성시이트(14)의 측단부가 상기 내부프레임(15)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16)에 연결된다. 스토퍼(36)가 상기 외부프레임(16)에 의하여 재가되는 것이 특징이다.
의료용기용으로 사용되는 다른 접근구는 개방부(56)를 갖는 프레임(52), 상기 개방부(56) 개폐토록, 프레임(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편자형 판(58), 폐쇄상태에서 상기 편자형 판(58)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기구(78), 편자형 판(58)에 제공된 내측부(66), 상기 내측부(66)를 폐쇄토록 상기 편자형 판(58)에 착설된 다수의 탄편(72)과, 다수의 탄편(72)을 통하여 삽입된 부재를 고정토륵 편자형 판(58)에 제공된 고정수단(74)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口)
본 발명은 조산아가 수용되는 유아용 인큐베이터와 같은 의료용 용기에 사용되는 접근구(access port)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통상적인 유아용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접근구(11)는 간호사의 손(도시하지 않았음)이 투명판 또는 후드(l3)으로 격설된 공간으포 접근되어 조산아(12)를 돌보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접근구(11)는 길이가 약 반으로 접히는 가요성 관상시이트(14), 후드(13)에 착설되고 가요성시이트(14)의 내부테두리에서 삽입되는 내부프레임(15)과, 내부프레임(15)에 동심원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요성시이트(14)를 압착시켜 접근구(11)의 개방정도를 조절토록 가요성 시이트(14)의 외부테두리에서 삽입되는 회전형 외부프레임(16)으로 구성된다.
접근구(11)에서 폐쇄된 시이트(14)는 삽입될 의료용 튜우브(17)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호흡튜우브(17) 또는 심전도케이블(도시하지 않았음)이 접근구(11)를 통하여 유아용 인큐베이터(10)내에 있는 조산아(12)의 입 또는 다른 신체부분에 부착되고 접근구(11)가 폐쇄된 후에 인큐베이터(10)의 내부공간은 외부공간, 즉 대기로부터 격리된다. 그리고 인큐베이티의 내부공간을 방해함이 없이 요구된 의료조치가 수행된다.
이러한 접근구(11)는 외부프레임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조산아(12)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내부프레임(15)에 용이하게 회전되게 조립된다,
그러나, 접근구(11)를 통한 용이하고 신속하게 접근은 내부프레임(15)에 대하여 외부프레임(16)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내부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조절은 보다 어렵게 한다. 따라서, 접근구(11) 는 호흡튜우브(l7)가 접근구(11)를 통하여 인큐베이터(10)에 삽입될 때 가요성시이트(14)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압착되는 경우에도 호흡튜우브(17)나 케이블의 자체하중 또는 움직임에 의하여 개방되기 쉽다.
예를들어, 인큐베이터내에 있는 조산아(12)의 의료조치나 모니터링이 수행될 때 호흡튜우브(17)나 케이블은 접근구(11)를 통하여 조산아(12)에게 부착된다. 접근구(11)는 호흡튜우브(17)나 케이블이 부착된 후 주위환경으로 부터 내부공간을 격리토륵 폐쇄된다, 그러나, 접근구(11)의 가요성시이트(14)는 주로 호흡튜우브(17)의 하중이나 조산아(12)의 움직임이나 인큐베이터의 주위에 있는 간호사나 의사의 부주의로 일어날 수 있는 호흡튜우브(17)나 케이블의 움직임으로 인한 외부의 힘을 지지할 수 있어야한다.
외부의 힘이 접근구(11)의 가요성시이트(14)에 가하여지는 경우 외부프레임(16)이 회전하여 접근구(11)의 가요성시이트(14)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접근구(11)의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모니터하며 필요에 따라서 폐쇄될 접근구(11)를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만약에 접근(11)에 대한 이러한 조절이 자주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접근구(11)는 점진적으로 개방되어 인큐베이터 내의 조절된 공기가 허용할 수 없는 레벨까지 누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프레임을 내부프레임에 대하여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면에 외부프레임이 내부프레임에서 용이하게 이동되는 접근구(11)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튜우브나 케이블과 같은 부재가 확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접근구(11)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의료용 용기의 접근구는 인큐베이터의 투명후드(13)에 형성된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착절되는 내부프레임(15), 상기 내부프레임(15)에 활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프레임(l6)과. 일측단부가 상기 내부프레임(15)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에 연결된 가요성시이트(14)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16)에 의하여 스토퍼(36)가 재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퍼는 상기 외부프레임(1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측부가 상기 내부프레임(15)에 접하는 레바구조를 갖는다.
외부프레임(16)은 상기 외부프레임(16)을 회전시키는 놉(knob)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놉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바를 포함함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16)은 링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프레임(15)은 상기 외부프레임(16)에 활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부분을 가지고, 상기 스토퍼(36)는 회전시 원통형부분에 접촉하여 가압되는 제 1 코너와, 상기 제 1 코너와 마찬가지로 원통형부분에 가압되는 제 2 코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의료용 용기의 접근구는 개방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개방부를 개폐토록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편자형 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편자형 판을 잠그는 잠금기구, 편자형 판에 제공된 내측, 상기 내측부를 폐쇄토록 상기 편자형 판에 착설된 다수의 탄성편과 상기 다수의 탄성편을 통하여 삽입된 부재를 고정토록 편자형 판에 제공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구(11)가 후드(13)에 제공되는 인큐베이터(10)의 부분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예를들어 인공호흡튜우브(17)가 접근구(11)를 통하여 조산아(12)의 입에 삽입된다.
제 3 도는 접근구(11)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제 2 도와 제 3 도에서는 제 1 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이들 도면에서 접근구(11)는 유아용 인큐베이티(10)의 후드(13)에 형성된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착설된다. 이 접근구(11)는 플라스틱물질로 성형되고 후드(l3)의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착설된 원통형 내부프레임(15)으로 구성된다. 내부프레임(15)은 개방부에 인접하여 후드(13)에 접속된 링부분을 갖는 환상플랜지(22)와 내부프레임(15)이 후드(13)의 내측으로부터 사입될 때에 개방부로부터 돌출된 원통형부분(23)을 포함한다. 그리고 플랜지(22)는 개방부보다 직경이 큰 외경을 갖는다. 원형요구(24)가 링부분에 일체가 되게 원통형부분(23)에 형성되어 있다. 후드(13)의 개방 부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O-링, 즉 스냅링(25)이 내부프레임(15)을 후드(13)에 고정토록 원형요구(24)와 개방부에 인접한 후드(13)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스냅링(25)은 고정링으로서 작용토륵 원형요구(2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내부프레임(15)은 그 직경이 원통형부분(23)보다 작은 원통형면(27)에 형 성된 원형안내요구(26)와, 원통형 가요성시이트(27)의 내부테두리에 수용된 고무로 밀폐가능하게 덮힌 원형후크(28)를 포함한다. 플랜지(22)와 원통형부분(23) 그리고 후크(28)는 내부프레임(15)에 일체로 성형된다. 가요성시이트(14)는 기밀하게 폐쇄되도록 밀봉제로 피복된다.
외부프래임(16)은 플라스틱물질로 성형된 링구조를 가지며 전면측으로 개방된 원형채널요구가 제공되고 외부 및 내부 원통형면을 형성토록 그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형돌출부(30)가 안내요구(26)에 활동가능하게 결합토록 외부프레임(16)의 내부원통형면에 일체로 제공된다. 외부프레임(l6)은 동심원상의 내부프레임(15)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원형돌출부(30)가 외부프레임(16)을 원활하게 재가하거나 회전시킬수 있도록 안내요구(26)에 느슨히 결합된다. 원통형면(27)을 부분적으로 노출토록 외부프레임(16) 배면과 원통형부분(2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외부프레임(16)은 그 외부원통형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를 반으로 접었을때에 원통형의 가요성시이트(14)의 외부테두리에 수용된 고무로 밀폐가능하게 덮히는 원형후크(32)를 포함한다.
놉(34)의 외부프레임(16)을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부프레임(16)에 외부원통형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플라스틱물질로 성형된 스토퍼(36)가 일체의 놉(3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외부프레임(16)을 회전시키거나 내외부프레임(15)(16)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4a 도와 제 4b 도는 스토퍼(36)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접근구(11)의 정면일부를 보이고 있다. 스토퍼(36)는 레바구조를 가지고 나선스크류(40)가 결합되는 중앙공(38)(제3도), 각각 제바의 일측에 형성된 두개의 코너(42)(44)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타측에 형성된 다른 놉(46)을 포함한다. 코너(42)(44)는 외부프레임(16)과 원통형부분(23) 사이의 간극보다 작은 두꼐를 갖는다. 제 1 코너(42)는 중앙공(38) 또는 스크류(40)의 축선과 프레임(15)(16)의 공통측선 사이의 데드포인트(dead Point)에 인접하여 스토퍼(36)을 회전시킬 때에 내부프레임(l5)의 원통형면(27)에 접하여 가압된다. 제 2 코너(44)는 상기 데드포인트상에서 회전을 제한하도록 원통형면(27)에 가압된다. 스토퍼(36)는 제 4a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해제위치로부터 외부프레임(16)이 임의의 위치에서 내부프레임(15)에 대하여 고정 또는 정지되는 제 4b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잠금위치로 회전한다. 스토퍼(36)는 그 잠금위치가 다른 기구없이도 고정되거나 잠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중앙공(38) 또는 스크류(40)의 측선으로부터 두 코너(42)(44)의 길이는 해제위치하에서 중앙공(38)의 축선과 내부프레임(15)의 원통형면(27)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결정된다.
따라서, 스토퍼(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제 1 코너(42)는 돌출부(30)에 대하여 주로 안내요구(26)의 대향측 또는 저면측에 제 1 마찰력을 발생토륵 원통형면(27)에 주로 접촉된다.
스토퍼(36)가 그 데드포인트를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될때에 제 1 코너(42)는 돌출부(30)에 대하여 안내요구(26)의 저면측에 최대마찰력을 발생토록 원통형면(27)에 가압된다. 스토퍼(36)가 데드포인트를 지나 시계방항으로 더욱 회전될때에 제 1 코너(42)는 제 2 코너(44)와 함께 제 4b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원통형면(27)에 가압되어 돌출부(30)에 대하여 안내요구(26)의 저면측에 최대마찰력 보다는 약간 작은 제 2 마찰력을 발생하며, 외부프레임(l6)이 내부프레임(15)에 고정된다.
따라서, 중앙공(38)의 축선으로부터 코너(42)의 길이는 외부프레임(16)과 놉(34)의 통공축선사이의 거리에서 원통형면(27)의 반경과 프레임(15)(16)의 편차를 뺀것보다 약간 길게 결정된다. 또한 중앙공(38)의 축선으로부터 코너(44)의 길이는 코너(42)의 길이보다 약간 길거나 같게 결정된다.
아울러, 호흡튜우브(17)가 유아 인큐베이터(10)내로 삽입될 때에 외부프레임(1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요성시이트(14)를 폐쇄하고, 스토퍼(36)가 잠금위치를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가요성시이트는 호흡튜우브(17)나 이러한 호흡튜우브의 운동에 의한 외부의 힘이 가요성시이트(14)에 가하여 진다하여도 외부프레임(16)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개방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접근구(11)는 호흡튜우브(17)가 관통된 상태에서 밀폐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외부프레임(16)을 내부프레임(15)에 대하여 용이하게 탄력결합시킬 수 있는 독립변형형의 돌출편을 형성토록 외부프레임(16)의 내부원통형면에 일체가 되게 원형돌출부(30)에 다수의 방사상 슬리트가 구비될 수 있다.
가요성시이트(14)는 유연한 나일론 직물 또는 부직포로 원통형의 구조가 되게 제공되며 그 단부에 고무링이 부착된다. 따라서 가요성시이트(14)는 내외부프레임(15)(16)의 후크에 밀폐가능하게 착설되고 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각 후크(28)(33)에서 이들의 단부를 단단히 밀봉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캡링이 부착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5)의 후크(28)는 내부프레임(15)이 외부프레임(16)에 조립된 상태에서 가요성시이트(14)를 착탈할 수 있도록 외브프레임(16)의 후크(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스토퍼(36)의 축선은 프레임(15)(16)의 공통축선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수정한다면 스토퍼가 프레임(15)(16)의 공통축선에 수직인 축선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채널형 구조를 갖는 이러한 스토퍼는 프레임(15)(16)의 공통축선에 수직인 축을 통하여 외부프레임(16)의 놉(34)에 일체로 된 두개의 직립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중앙공을 갖는다. 스토퍼는 원통형면(27)의 기어와 교합된 역톱니와, 놉(34)과의 사이에서 스프링에 대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토록 손으로 누르는 전면버튼을 포함한다. 간호사의 손을 접근구(11)로부터 떼었을 때에 스토퍼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항시 기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잠금작업을 잊지 아니한다. 또한 스토퍼는 프레임의 방사상방향을 따라 놉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와 결합된 왕복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내부프레임의 원통형면에 형성된 다수의 라체트 톱니와, 외부프레임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외부프래임의 놉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폴로 구성되는 라쳇트기구일 수 있다. 또한 라쳇트 폴은 라쳇트 톱니와 결합토록 탄지되고 손으로 이를 해제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16)은 내부프레임(15)에서 그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안내요구(26)에 결합된 외부프레임(16)의 원형돌출부(30)는 외부프레임(16)을 뒤로 밀어 후진시키므로서 직경이 약간 증가되고 요구(26)에 연속하여 일체로 된 내부프레임(15)의 원추형 면에 결합되어 이들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또한 원추형면은 거칠게 표면처러할 수 있다. 또한 링기어가 평활한 안내요구(26)에서 회전되거나 외부프레임(16)을 뒤로 밀어 기어형 원통형면과 결합되게 외부프레임(16)의 원형돌출부(3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근구(11)는 외부프레임이 가요성시이트(14)를 압축하거나 폐쇄토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토퍼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잠금위치로 이동되므로 호흡튜우브(17)나 케이블의 자체하중이나 이들의 움직임에 의하여 개방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호흡튜우브(17)나 접근구(11)를 통하여 인큐베이터(10)내로 삽입된 후 인큐베이터(10)의 기밀상태가 유지된다.
스토퍼가 외부프레임 또는 놉에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외부프레임을 회전시 이를 쉽게 인식하고 잊어버리지 아니하고 스토퍼를 잠글 수 있다.
외부프레임의 스토퍼가 내부프레임에 대하여 두 지점에서 가압되므로 외부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데 간단한 구조 이외에 부가적인 잠금부재를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제 5 도는 후드(13)의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착설된 접근구(11)의 제 2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후드(13)는 여러 의료용기에 사용되며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유아용 인큐베이터(10)의 투명격벽이다.
제 6 도는 제 5 도의 A-A선 단면으로 보인 접근구(11)의 단면도이다. 제 5 도와 제 6 도에서는 제 1 도 - 제 4 도의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제 5 도와 제 6 도에서, 접근구(11)는 플라스틱물질로 성형되고 인큐베이터(10)의 후드(13)에 형성된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착설된 원통형 프레임(52)으로 구성된다. 프레임(52)은 개방부에 인접하여 후프(13)에 접속된 링부분과, 프레임(52)이 후드(13)의 내부로부터 삽입될 때에 개방부로부터 돌출되는 원통형부분(23)을 포함한다. 그리고 플랜지(22)는 개방부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원형요구(24)가 링부분과 일체로 원통형부분(23)에 제공된다. 실리콘고무로 되어있고 후드(13)의 개방부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O-링 또는 스냅링(25)이 프레임(52)을 후드(13)에 고정토록 개방부에 인접하여 원형요구(24)와 후드(13)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페이서 링(25)은 고정링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원형요구(24)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후드(13)에 대한 프레임(52)의 취부구조는 통상적인 것돠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 접근구(11)는 플랜지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통상적인 접근구로 쉽게 대체될 수 있다.
기판(54)이 프레임(52)의 원통형부분(23)에 형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된다. 이 기판(54)에는 중앙에 사각개방부(56)가 형성되어 호흡튜우브(17)를 손으로 다룰 수 있게 되어있다. 이 개방부(56)는 플라스틱물질로 성형된 편자형 판(58)으로 폐쇄 또는 개방된다. 편자형 판(58)은 기판(54)으로부터 돌출된 수평부재(62)에 의하여 두 수직부재(60)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수직부재(60)는 배면측에서 접착제로 편자형 판(58)에 접착고정되고 전면에서 고정판(64)에 접착고정된다.
편자형 판(58)은 모를 없앤 사각형외측부와 상향개방형 내측부(66)를 가지며 이 내측부에는 이 내측부영역을 밀봉토록 시일드고무판(68)이 삽입된다. 시일드고무판(68)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다수의 탄성편(72)을 제공토록 십자형 슬리트(70)를 갖는다. 인공호흡튜우브(17)가 편자형 판(58)이 개방부(56)를 폐쇄하여도 허용가능한 누설레벌에서 슬리트(70)를 통해 인큐베이터(10)로 관통될 수 있다. 고정판(64)은 호흡튜우브(17)를 고정하는 한 셋트의 두 요구(74)를 갖는다.
편자판(58)과 고정판(64)을 재가하는 수직부재(60)는 한쌍의 축(76)을 통하여 개방부(56)의 하측에 배치된 수평부재(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편자형 판(58)은 잠금기구(78)에 의하여 개방부(56)의 폐쇄위치에서 고정된다. 잠금기구(78)는 기판(54)에 고정된 "L"자형 앵글부재(80)와 편자형 판(58)에 회전 가능하게 착설된 잠금레바(82)를 포함한다. 잠금레바(82)의 자유단부는 개방부(56)의 폐쇄시 앵글부재(80)와 기판(54)사이의 공간부에 걸려 잠길 수 있게 되어있다.
편자형 판(58)은 이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편자형 판(58)이 개방부(56)의 개방시 자체하중으로 개방부(56)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편자형 판(58)은 개방부(56)를 통하여 접근하는데 장애가 되지 아니한다.
고정판(64)에는 인공호흡기의 배기 및 흡기용 호흡튜우브(17)를 고정하기 위한 두개의 요구(7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요구(74)는 두가지 형태의 호흡튜우를 고정토록 상이한 반경을 갖는 두개의 개방형 원을 갖는다. 그리고, 요구(74)는 내부폭보다 넓은 상측내부폭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요구(74)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호리병 형상을 갖는다.
실리콘고무로 된 시일드판(68)은 편자형 판(58)의 상측개방내측부(66)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두꺼운 주연부와, 폭이나 간극이 거의 없는 십자형 슬리트(70)(측부슬리트 70가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음)가 다수의 탄성편(72)을 형성토록 제공된 얇은 내부영역을 포함한다.
편자형 판(68)의 십자형 슬리트(70)에서, 수직 슬리트(70)(제 5 도 참조)가 상향개방되고 얇은 영역의 상측테두리로부터 그 하측부로 연장되어 각기 움직이는 다수의 탄성편(72) 중에 상측테두리로부터 슬리트(70)의 십자형부분측으로 호흡튜우브(17)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호흡튜우브(17)가 개방부(56)를 통하여 인큐베이터(10)에 삽입되고 개방부(56)가 편자형 판(58)에 폐쇄될 때에 호흡튜우브(17)의 부분은 수직슬리트(70)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다수의 탄성편(72)에 용이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측부 슬리트(70)는 상부 원형요구(74)의 가상수평직경과 정렬된다.
제 7 도와 제 8 도는 제 6 도와 유사한 단면을 보인 것으로, 이는 호흡튜우브(17)가 접근구(11)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 7 도는 개방부(56)가 편자형 판(58)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를 보이고 제 8 도는 개방부(56)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 7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수의 탄성편(72)을 통하여 관통하는 호흡튜우브(17)가 편자형 판(58)의 고정판(64)에 형성된 요구(74)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판(64)의 앞에서 호흡튜우브(l7)의 일측부에 힘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도 호흡튜우브(l7)의 타측부는 이러한 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제 8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개방부(56)가 편자형 판(58)을 회전시켜 개방되어도 호흡튜우브(l7)가 고정판(64)의 요구(74)에 의하여 확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간호사가 개방부(56)을 통하여 작업을 하여도 호흡튜우브(17)는 고정판(64)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고 호흡튜우브(17)가 간호사의 업무에 방해를 하지 아니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접근구의 실시형태를 설명한 것이나, 접근구의 구조는 어느정도 수정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잠금기구(78)는 기판(55)에 회전가능하고 밀폐되게 지지되고 잠금위치로 회전시 기판(54)과 결합된 편자형 판(58)을 파지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L"자형 앵글레바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64)은 호흡튜우브를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요구에 튜우브를 삽입한 후 요구에서 호흡튜우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기계적으로 잠금기구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하측원형요구(74)의 가상수평직경과 정렬되게 제 2 측부 슬리트(70)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탄편이 Y-축선을 따라 상향 개방된 수직슬로트, 수직슬리트에 연결되고 상측 또는 하측 원형요구(74)의 가상 Z-축선을 포함하는 두점사이의 X-선을 따라 연장된 두개의 측부슬리트와, 상하측 원형요구(74)의 가상 Z-축선을 포함하는 4개의 점으로부터 연장된 4개 셋트의 방사상 슬리트를 갖는 얇은 시일드 판(68)에 구비되어있다. 방사상 슬리트의 길이는 상하측 원형요구의 직경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따라서, 십자형 슬리트 또는 고정판의 요구와 정렬되는 부가적인 방사상 슬리트를 제공하므로서 공기의 누설은 무시할 정도로 유지되면서 호흡튜우브가 삽입되어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두가지 형대의 두 요구셋트가 준비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접근구를 갖는 의료용기에 다수의 부재들이 효과적으로 삽입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내용에서 크기, 형상물질, 구성부분에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이나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제 1 도는 통상적인 유아용 인큐베이터의 부분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구가 후드에 착설된 인큐베이터의 부 분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접근구가 잠금위치에 있음을 보인 단면도.
제 4a 도는 제 2 도의 접근구가 해제위치에 있음을 보인 단면도.
제 4b 도는 제 3 도에서 보인 접근구의 부분정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구의 제 2 실시형태를 보인 정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A - A선 단면도.
제 7 도와 제 8 도는 제 5 도에서 보인 접근구의 개방 및 폐쇄위치를 보인 각 단면도.
*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3 : 후드, 15 : 내부프레임, 16 : 외부프레임,
36 : 스토퍼, 52 : 원통형 프레임, 56 : 개방부,
66 : 내측, 72 : 탄성편, 74 : 요구,
78 : 잠금기구

Claims (6)

  1.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에 있어서, 인큐베이터의 투명후드의 개방부에 착설된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에 활동가능하게 결합된 외부프레임, 일측단부가 상기 내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에 연결된 가요성시이트와, 상기 프레임 또는 후드에 재가되는 스토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2. 청구범위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부분이 상기 내부프레임에 접하는 레바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3. 청구범위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이 상기 외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놉을 가지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놉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4. 청구범위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이 링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부프레임이 상기 외부프레임에 활동가능하게 결합된 원통형부분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는 피봇팅시에 원통형부분에 접촉하 가압되는 제 1 코너와, 상기 제 1 코너와 함께 원통형부분에 가압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5. 유아 인큐베이터요 접근구에 있어서 개방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개방부를 개폐토록 프레임에 피봇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편자형 판, 폐쇄상태에서 상기 편자형 판을 잠그는 잠금기구, 편자형 판에 형성된 내측부, 상기 내측부를 폐쇄토록 상기 편자형 판에 착설된 슬리트를 갖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삽입된 부재를 고정토록 편자형 판에 제공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6. 청구범위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다수의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KR1019960046607A 1996-10-18 1996-10-18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KR10035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607A KR100359504B1 (ko) 1996-10-18 1996-10-18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607A KR100359504B1 (ko) 1996-10-18 1996-10-18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44A KR19980027744A (ko) 1998-07-15
KR100359504B1 true KR100359504B1 (ko) 2003-03-15

Family

ID=4951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607A KR100359504B1 (ko) 1996-10-18 1996-10-18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5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44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161B2 (en) Hand assisted laparoscopic device
JP4558495B2 (ja) 予め充填され封着された医薬バッグ、ポートおよびバッグと投与セットとの間の流体連絡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
CA2214447C (en) Shielded needle assembly
CA2682920C (en) Hand assisted laparoscopic seal assembly with detachable attachment ring
US7766822B2 (en) Hand assisted laparoscopic seal assembly with a ratcheting mechanism
US5524755A (en) Sterilization container
JP2005270671A (ja) 静脈検体採集用のフラッシュバック器具
EP1017437A2 (en) Inhalation device
US7641640B2 (en) Medical vacuum aspiration device
US6742665B2 (en) Nursing bottle with vent
JPH07265344A (ja) ストマ用収集袋の内圧の排気・制御のための装置
JP2011520507A (ja) クリーナブル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ストレイトラインアタッチメントを備える分離可能な注入セット
US5604955A (en) Surgical lighting fixture cover
KR100359504B1 (ko) 유아 인큐베이터용 접근구
US11471233B2 (en) Preloaded sterile bag
KR20030086307A (ko) 의료용 니들을 위한 안전 차폐물
US3575206A (en) Exhalation device for breathing mask
US5954627A (en) Access port for use in medical vessel
CA1131528A (en) Sealable syringe
JP2003174080A (ja) 薄板用収納・保管容器
GB2160776A (en) Adjustable drainage tube holder
US3829699A (en) Holder for x-ray cassettes
US5271293A (en) Control unit for a medical apparatus
US4869133A (en) Device for removing and retaining contaminated stoppers
JPS59155265A (ja) 採血用チュ−ブの閉鎖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