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777B1 -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777B1
KR100358777B1 KR1020000087397A KR20000087397A KR100358777B1 KR 100358777 B1 KR100358777 B1 KR 100358777B1 KR 1020000087397 A KR1020000087397 A KR 1020000087397A KR 20000087397 A KR20000087397 A KR 20000087397A KR 100358777 B1 KR100358777 B1 KR 10035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water container
defrost water
rear wall
de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57134A (en
Inventor
손경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777B1/en
Publication of KR2002005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777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후벽에 비드 형상을 형성함으로서 발포폼의 팽창력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냉장고의 제상수 집수안내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rost water collecting guide of a refrigerator in which a bead shape is formed on a rear wall so that deformation does not occur even in the expansion force of the foam.

본 발명의 구성은, 배출구(18a)가 형성된 바닥면(12c)과,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면(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12') 중 냉장고의 후벽(22)과 접하는 후면(32)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드부(다)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상수 용기(12)의 후면(32)이 상기 비드부(다)로 인해 강도가 보강됨으로서 냉장고 후벽(22)의 발포과정에서도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32)이 휘어지는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12c having an outlet 18a formed therein, and a side surface 12 'that forms a space therein, and a rea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12' that contacts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A bead portion (C)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36 protruding rearward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rom 32 is form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ar surface 32 of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is reinforced by the bead portion (C), so that the foaming process of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even in the foaming process of the rear surface 32 of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The effect which can prevent the bending phenomenon which bends) is anticipated.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수 집수안내부{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후벽에 비드 형상을 형성함으로서 발포폼의 팽창력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냉장고의 제상수 집수안내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rost water collecting guide of a refrigerator in which a bead shape is formed on a rear wall so that deformation does not occur even in the expansion force of the foam.

냉장고는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를 소정 온도 이하의 저온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안된 제품이다.The refrigerator is a product designed to keep the inside at a low temperature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order to keep food fresh.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제상수 용기의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defrost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종래 제상수 용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1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ventional defrost water container,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A.

도면에 따르면, 냉장고 상부에는 저장물을 냉동시킬 수 있는 냉동공간(4)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냉동공간(4)의 후면(6) 내측에는 증발기(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의 하부에는 제상수 용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14) 내부 후측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게 된다. 즉, 상기 베리어(14)를 이루는 단열재의 후측 일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제상수 용기(12)를 삽입 설치한다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rawing, a freezing space 4 capable of freezing stored matter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tor, and an evaporator 10 is installed inside the rear side 6 of the freezing space 4. And a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installed below the evaporator 10.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to b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14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a spa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barrier 14 and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inserted into the space.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냉장고의 내부케이스(8a)와 접하게 설치된다. 즉, 이하에서 설명될 상기 냉장고의 후벽(22)을 형성하는 발포폼과 인접해서 상기 제상수 용기(12)가 설치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네개의 측면(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네개의 측면(12') 중 상기 냉장고 후벽(22)에 접하는 측면(12')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하 상기 냉장고의 후벽(22)에 접하는 제상수 용기(12)의 측면(12')을 후면(12b)이라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8a of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oam foam forming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to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is composed of four side surfaces 12 ', and the side surface 12' of the four side surfaces 12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ong Has the shape of. Hereinafter, the side surface 12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n contact with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is referred to as the rear surface 12b.

그리고,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하방으로 내려 갈수록 그 횡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제상수용기(12)의 후면(12b) 상부는 횡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으나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진다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12b) 상부에서 상기 발포폼과 상기 후면(12b)이 넓게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thereof narrows downward.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2b of the defrost container 12 is formed wider laterally but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is means that the foam foam and the rear surface 12b are in wid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12b of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제상수를 냉장고의 하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하부에는 상기 제상수를 냉장고의 하부에 설치된 제상수 증발장치(미도시)로 안내하는 배출구(18a)가 형성되어 있다.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serves to guide the defrost water to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a discharge port 18a for guiding the defrost water to a defrost water evapora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is formed below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또한,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출형식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상기 합성수지 재질의 특성상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외부의 압력에 약해 쉽게 휘어진다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generally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is manufactured in an injection type. Therefore, while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has an advantage of long life due to the natur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easily bent due to weak external pressure.

한편, 냉장고의 후벽(22)은 외부케이스(8b)와 내부케이스(8a) 사이에 발포액을 공급하고 발포시킴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발포액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발포폼은 냉장고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is formed by supplying and foaming a foaming liquid between the outer case 8b and the inner case 8a. Generally as said foam liquid, a polyurethane foam liquid is used. And, the foam foam serves to insulat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from the outside.

그러나 발포과정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의 비체적이 발포과정을 통해 증가하게 됨으로 상기 발포과정에서 증가하는 비체적은 냉장고의 외부케이스(8b), 내부케이스(8a), 그리고 제상수 용기(12)의 후면(12b)에 압력으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However, in the foaming process, the specific volume of the foaming liquid is increased through the foaming process, so that the specific volume increased in the foaming process is the outer case 8b, the inner case 8a,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of the refrigerator. 12b) acts as a pressure.

따라서 종래 제상수 용기의 내부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지그(2)를 상기 발포액이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상수 용기(12) 내측에설치하고 상기 발포액의 경화가 종료되면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목지그(2)만으로는 상기 제상수 용기(12)에 미치는 압력을 적절하게 막지 못하여 생산과정에서 불량제품이 많이 나오고 있다. 도면상 (18)은 제상수 파이프를 의미하며, (25)는 냉장공간을 의미하고, (2)는 목지그를 의미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conventional defrosting water contain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ooden jig 2 is installed inside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before the foaming liquid is supplied, and when the curing of the foaming liquid is completed. I'm using the removal method. However, the wood jig 2 alone does not adequately prevent the pressure on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and many defective products are produced in the production process. In the drawing, 18 means a defrost water pipe, 25 means a refrigerated space, and 2 means a wooden jig.

이하 , 냉장고에 설치된 종래 제상수 용기의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defrosting water contain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냉장고의 증발기(10) 표면에 형성되는 서리는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형태로 제상수 용기(12)내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이를 하부의 파이프(18)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Fros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0 of the refrigerator falls into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n the form of a liquid or solid phase, and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serves to guide this to the lower pipe 18. .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제상수 용기(12)의 설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내부케이스(8a)에 베리어(14)를 삽입 설치한 후에 상기 베리어(14)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제상수 용기(12)를 삽입하는 형태로 조립되어 진다. 그리고 냉장고의 외부케이스(8b)와 내부케이스(8a)를 일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외부케이스(8b)와 내부케이스(8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발포액을 공급하여 충진시키는 것이다.Installation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which serves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barrier 14 after inserting the barrier 14 into the inner case 8a. It is assembled in the form of inserting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n addition, the outer case 8b and the inner case 8a of the refrigerator are fixed to each other, and the foam is supplied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8b and the inner case 8a to be filled.

이때, 발포액의 발포과정에서 발생하는 체적팽창 압력(P)이 상기 내부케이스(8a)와 외부케이스(8b)에 미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부케이스(8a)와 외부케이스(8b)는 상기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료를 사용하고 있지만, 단열재로 이루어진 베리어(14)와 베리어(14)의 내측에 설치된 합성수지의 사출물인 제상수 용기(12)의 경우에는 상기 압력(P)을 견디지 못하고 도 1b 상의 하부 방향으로 휨(B) 현상이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volume expansion pressure P generated in the foaming process of the foaming liquid reaches the inner case 8a and the outer case 8b. However, the inner case (8a) and the outer case (8b)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ength that can withstand the pressure, but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of the barrier 14 and the synthetic resin installed inside the barrier 14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case of the water container 12, the phenomenon of bending B occurs in the downward direction on FIG. 1B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the pressure P. FIG.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발포액을 냉장고의 외부케이스(8b)와 내부케이스(8a) 사이에 공급하기 전에 목지그(2)가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수 용기(12)의 내측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목지그(2)는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형상을 유지시킨 후 제거 되는 것이다.To prevent this, the wood jig 2 is inserted into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as shown in FIG. 1B before the foaming liquid is supplied between the outer case 8b and the inner case 8a of the refrigerator. . And the wooden jig (2) is to be removed afte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그러나 , 종래 제상수 용기의 형상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are pointed out in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defrosting water container.

첫째는 종래의 제상수 용기(12)의 형상은 냉장고의 외부케이스(8b)와 내부케이스(8a) 사이에 공급된 발포액이 발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포압력을 흡수하지 못함으로서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12b)이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First, the conventional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has a shape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because it does not absorb the foaming press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aming the foam liquid supplied between the outer case 8b and the inner case 8a of the refrigerator. The phenomenon that the rear surface 12b of (12) is bent occurs.

둘째는 상기 발포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P)에 대해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형상을 지지하기 위해서 따로이 목지그(2)를 사용해야 하므로 상기 목지그(2)를 삽입 제거하는 제조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목지그(2)를 따로이 구입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점이다.Second, since the wood jig 2 must be used separately to support the shape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against the pressure P generated in the foaming process, a manufacturing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wood jig 2 i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wooden jig (2) must be purchased separately, a loss of cost occurs.

세째는 상기 제상수 용기(12)가 상기 발포압력에 의해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12b)이 휘게됨으로 인해 증발기(10)에서 낙하하는 제상수와 얼음조각을 제상수파이프(18)로 용이하게 안내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는 냉장고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Third, the defrost water pipe 18 defrosts the defrost water and ice pieces falling from the evaporator 10 because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bends the rear surface 12b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due to the foaming pressure. It is not easy to guide. This is a factor that lowers the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or.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s follows.

우선, 냉장고의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공급되는 발포액이 발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포압력에 견딜 수 있는 제상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First, to provide a defrosting water container capable of withstanding the foaming press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aming the foaming liquid suppli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of the refrigerator.

그리고, 목지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발포압력을 견딜 수 있는 제상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to provide a defrost water container capable of withstanding the foaming pressure without using a wooden jig.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상수 용기를 가진 냉장고의 종단면도.1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defrost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도 1의 A-A'선 단면도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제상수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8a.......내부케이스 8b.......외부케이스8a ....... inner case 8b ....... outer case

10.......증발기 12.......제상수 용기10 ....... Evaporator 12 ....... Defrost water container

14a......베리어 32.......제상수 용기의 후면14a ...... Vary 32 ....... Rear of defrost water container

34.......돌기 36.......돌출부34 ....... Projection 36 ....... Protrusion

"다".....비드부"Da" ..... bead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상 특징은,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면 중 냉장고의 후벽과 접하는 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드부가 형성되는 것이다.A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side and comprises a space to form a space therein, the rear wall of the refrigerator and A bead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contact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jecting to the rea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냉장고의 후벽을 이루는 발포폼의 발포과정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의 부피증가로 인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상수 용기의 후면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foaming process of the foam forming the rear wall of the refrigerator, despite the pressu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foaming liquid is expected to be effective to prevent the back bending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그리고, 상기 비드부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ad por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the tip portion of the protrus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가 상기 비드부의 강도를 강하게 해줌으로서 상기 발포과정의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the tip of the protruding portion strengthens the strength of the bead portion, and thus, an effect of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pressure in the foaming process is expected.

제상수 용기는 냉장고의 베리어에 설치된 구조물로서 증발기에서 낙하하는 제상수와 얼음조각을 상기 제상수 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제상수파이프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frost water container is a structure installed in the barrier of the refrigerator and serves to guide the defrost water and ice pieces fall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defrost water pip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상수 용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적절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종래 기술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defrost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same ones as in the prior ar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제상수 용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b 도 2a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면 증발기(10)의 하부에 제상수 용기(1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하면(12c)에 제상수 용기(12)를 냉장고의 하부로 안내하는 배출구(1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12c)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12')으로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FIG. 2: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A.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is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0 according to the figure.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has a discharge port 18a for guiding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at a lower surface 12c, and the lower surface 12c extends upwardly to the side surface 12 '. Inner spac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냉장고의 후벽(22)에 접하는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측면(12')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하 상기 냉장고의 후벽(22)에 접하는 제상수 용기(12)의 측면(12')을 후면(32)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 용기(12)는 베리어(14)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베리어(14)내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제상수 용기(12)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다.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ha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the side surface 12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is relatively wide. Hereinafter, the side surface 12 ′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n contact with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is referred to as the rear surface 32.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provided in the barrier 14. That is,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space formed at one side of the barrier 14.

상기 베리어(14)는 일반적으로 단열재로 이루어져 있고, 냉장고의 냉동공간(4)과 냉장공간(25)을 구분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냉동공간(4)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The barrier 14 is generally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serves to distinguish the freezing space 4 and the refrigerating space 25 of the refrigerator a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freezing space 4. do.

또한,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32)에는 비드부(다)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32)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냉장고의 후벽(22)쪽으로 돌출시킨 다수의 돌출부(36)를 성형함으로서 비드부(다)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36)의 선단에는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34)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둥근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34)의 끝단부를 두텁게 하여 상기 돌출부(36)의 강도를 강하게 하였다.In addition, a bead portion (C)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32 of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That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36 protruded toward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rear surface 32 of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12 to form a bead portion (C). A protrusion 3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rotrusion 36.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trusion 34 has a round shape, and the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34 is thicken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rotrusion 36.

그러나, 상기 비드부(다)의 형상은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상수 용기(12)의 후면(32)에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으면 상기 돌출부(36)의 형상이 어떤 형상으로 되든 관계가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36)의 개수도 임의적으로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6)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기(34)의 형상도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bead portion (c)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That is, if it has the shape which protruded in the back surface 32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t does not matter what shape the shape of the said projection part 36 becomes.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36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In addi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shape of the protrusion 34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protrusion 36.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상수 용기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상수 용기(12)의 경우에는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32)에 비드부(다)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부(다)의 돌출된 구조는 냉장고 후벽(22)의 발포과정에서 생기는 발포압력을 구조적으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비드부(다)는 제상수 용기(12) 후면(32)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B, in the case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ead part C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32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C) serves to structurally disperse the foaming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foaming process of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bead portion (c) serves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back surface 32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더욱이 상기 비드부(다)의 돌출부(36) 선단에 다수개의 돌기(34)를 더 형성함으로서 상기 돌출부(36)의 선단 부분 강도를 더욱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드부(다)의 형상으로 인해 냉장고 후벽(22)의 형성과정에서 생기는 발포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상수 용기(12)의 후면(32)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는 않는다Furthermore, by form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34 at the tip of the protrusion 36 of the bead portion (c), the strength of the tip portion of the protrusion 36 is further reinforced. Therefore, a phenomenon in which the rear surface 32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12 is not bent in spite of the foaming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rear wall 22 of the refrigerator due to the shape of the bead portion (C).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상수 용기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by this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nticipated.

우선, 제상수 용기 후면에 비드부를 형성함으로서 냉장고 후벽의 발포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발포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상수 용기 후면이 휘어지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irst, by forming a bead portion on the back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can be expected to the effect that the back of the defrost water container is not bent despite the foaming pressure generated through the foaming process of the rear wall of the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제상수 용기의 후면에 상기 비드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냉장고 후벽의 발포과정에서 상기 제상수 용기 후면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던 목지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bead por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wood jig used to prevent the warping of the rear surface of the defrosting water container during the foaming of the rear wall of the refrigerator, so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cost. do.

Claims (2)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면과;A bottom surface on which an outlet is formed; 상기 바닥면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The bottom surface extends upwardly and includes a side surface forming a space therein; 상기 측면 중 냉장고의 후벽과 접하는 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집수안내부Defrost catchment guide portion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d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contacting the rear wall of the refrigerator compris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rearward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집수안내부The defrost water collecting guide of the refrig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bead un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the tip of the protrusion.
KR1020000087397A 2000-12-30 2000-12-30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358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97A KR100358777B1 (en) 2000-12-30 2000-12-30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97A KR100358777B1 (en) 2000-12-30 2000-12-30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134A KR20020057134A (en) 2002-07-11
KR100358777B1 true KR100358777B1 (en) 2002-10-31

Family

ID=2769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397A KR100358777B1 (en) 2000-12-30 2000-12-30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77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3982U (en) * 1987-10-15 1989-04-25
JPH07208854A (en) * 1994-01-13 1995-08-11 Fujitsu General Ltd Refrigerator
KR19980013790U (en)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Refrigerator mounting structure
JPH11173743A (en) * 1997-12-15 199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and its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3982U (en) * 1987-10-15 1989-04-25
JPH07208854A (en) * 1994-01-13 1995-08-11 Fujitsu General Ltd Refrigerator
KR19980013790U (en)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Refrigerator mounting structure
JPH11173743A (en) * 1997-12-15 199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and its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134A (en)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085B1 (en) Refrigerator
KR101502860B1 (en) Ice maker
KR100358777B1 (en) Defrost water drain device for refrigerator
CN102494455A (en) Refrigerator
EP3971495A1 (en) Refrigerator
KR101519135B1 (en) Refrigerator
CN104236211A (en) Refrigerator
CN106482401B (en) Evaporator for ice-lolly machine, evaporator monomer and ice-lolly machine
KR100842386B1 (en) Structure for sealing a barrier portion of an inner case for a refrigerator
KR19990039048U (en) Drain pipe fixing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KR100389396B1 (en) The seal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s
CN217303319U (en) Defrosting drainage structure and refrigerator with same
CN219229487U (en) Defrosting temperature isolation display cabinet
KR100693158B1 (en) Water tank for refrigerator
KR0131512Y1 (en) Ice mak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KR200220614Y1 (en) Defrost heater fixing device of refrigerator
JP2006336984A (en) Refrigerator
KR200159025Y1 (en) Compressor relay in ref.
KR930003105Y1 (en) Arrangement for defrost water
KR200165328Y1 (en) Defrost water box structure
CN204177003U (en) Refrigerator
KR0124743Y1 (en) Device for draining water from a refrigerator
KR200152149Y1 (en) Tray guide structure in ref.
KR20010060723A (en) Door liner for refrigerator
KR200152148Y1 (en) Refrigerator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