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003B1 - 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방법및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을위한가입자선인터페이스회로 - Google Patents

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방법및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을위한가입자선인터페이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003B1
KR100356003B1 KR1019960703903A KR19960703903A KR100356003B1 KR 100356003 B1 KR100356003 B1 KR 100356003B1 KR 1019960703903 A KR1019960703903 A KR 1019960703903A KR 19960703903 A KR19960703903 A KR 19960703903A KR 100356003 B1 KR100356003 B1 KR 10035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hook
call sign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973A (ko
Inventor
란다알 토르브제른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ublication of KR97070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26Arrangements for interrupting the ringing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부족한 직류성분을 갖는 호출신호 발생동안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에서의 오프-후크 검출방법 뿐만아니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사용은, 라인전류 (il)의 함수인 신호를 가입자 라인을 통해 발생시키는 단계와, 신호가 기결정된 전류값을 나타내는 제 1 기준값(Vth)을 초과하는 기간 (△t) 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t)을 기결정된 시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에 따라 프로세서에서 오프-후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 방법 및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
새로운 구리선(copper line)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여 전체 설치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장래의 매스컴 대중 사회(admass society)는 현재의 구리/동축 케이블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용량을 필요로 하게 된다. 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의 확장과 더불어 더 높은 정보 전송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텔레서비스(teleservice)가 도입될 것이다. 동일한 광섬유에서 TV와 텔레서비스를 통합함으로써, 설치 비용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입자로의 마지막 부분은 여전히 쌍으로 구성되는 구리 케이블이다.
단거리 통신선의 경우에, 장거리 통신선의 경우처럼 선으로부터 나가는 강한 호출 신호에 대한 필요성은 없다. 통신선 인터페이스 보드상에서 호출 신호 동안의 저전압은 집적 회로, 소위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SLIC)와의 호출 신호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링-트림 지연(ring-trip delay)이 필요치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해결할 필요가 있는 문제점은 SLIC를 파괴할 위험성이 있는 강한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가입자가 전화기를 집어들 때 호출 신호를 재빨리 트립(trip)시키는 것이다.
통상의 링 트립 검출, 즉, 호출 신호 처리 동안에 가입자가 전화기를 집어들 때의 검출시에, 전화기를 집어들 때(오프-후크)에 발생하여 루프의 DC 경로를 개방하는 DC 변위(DC shift)가 검출된다. 그러나, 벨은 AC 결합(coupled)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DC변위의 검출을 위한 여러 상이한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이 본 기술분야에 있다. 예를 들어, 1983년 6월 10일자 일본 특허 요약서 제7권 no.200, E-196의 JP-A-58-97950(FUJITSU K. K)호의 요약문과, 1983년 6월 10일자 일본 특허 요약서 제7권 no.200, E-196의 JP-A-58-97949(FUJITSU K. K)호의 요약문, US-A-4 132 864호, DE-B2-2014950호, US-A-4 455 456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들 문서들 모두는 호출 신호에서 DC 레벨의 발생을 검출하는 상이한 방식을 설명한다.
그러나, 호출 신호동안 후크가 오프될 때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DC 레벨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SLIC에서 전압 범위는 제한된다. SLIC가 스웨덴 특허 출원 제9400185-6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호출 신호 동안 후크가 오프될 때 호출 신호로부터 DC레벨을 제거하는 루프 및 호출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호출 신호 동안 오프-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또 다른 장치가 1993년 1월 2일자의 WO-A1-9301676(FUJITSU LIMITED et. al.)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호출 신호 발생기와 직렬로 접속되는 저항을 통하는 호출 신호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를 검출하여, 이러한 검출은 호출 신호 동안 오프-후크에 대해 검출 신호가 장치에 의해 방출되게 한다. 이러한 호출 신호는 또한 오프-후크 동안의 DC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임계값이 초과되는 시간은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으 표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사양 BELLCORE TR-TSY-000057에 따라, 호출 신호는 300 Ω의 저항이 선에 연결된 이후에 200 ms내에서 전화로부터 절단되어야 하고, 상기 선은 루프 저항 ≤(Rdc - 400) Ω을 갖고, 여기에서, Rdc = 선 저항 (+ 430 Ω), 즉, 통상의 전화를 나타내는 가입자로의 쌍으로된 케이블의 저항 + 400, 접속 박스로부터의 저항을 나타내는 + 30 Ω이다.
반면에, 호출 트립 검출기는 12 ms이하 동안에 200 Ω의 연결 또는 10 kΩ + 8 μF의 연결에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된 검출을 위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하는 SLIC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온-후크 및 오프-후크 동안에 외선(line wires)을 통한 전압뿐만 아니라 선 전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SLIC에 포함되는 검출기의 출력뿐만 아니라 오프-후크 및 온-후크 동안의 선 전류의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방법의 일부분을 실시하는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회로를 포함하는 SLIC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뿐만 아니라 온-후크 및 오프-후크 동안의 선 전류의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약간만 변경되는 SLIC로 달성될 수 있는 확실하고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DC 성분이 없는 호출 신호의 발생 동안에 오프 후크표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가입자을 통하는 선 전류의 함수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신호가 소정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시간을 소정의 시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에 따라 오프-후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갖는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C 성분이 없는 호출 신호의 발생시에 오프-후크 표시를 제공하는, 상기 언급한 제 1 방법 보다 더 빠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선 전류의 절대값의 함수인 신호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프-후크 표시에서 불필요한 발진을 피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신호가 제 1 기준값 이상 상승할 때부터 상기 제 1 기준값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되는 제 2 기준값 아래로 신호가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정 단계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SLIC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호출 신호의 발생시에오프-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SLIC의 사용을 통해 달성되고, 그것에 의해, SLIC에 포함된 검출기는 가입자선을 통한 선 전류의 함수인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제 1 기준값(Vth)을 신호가 초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의 표시를 위한 소정의 시간값과의 비교를 위해 프로세서로 측정한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방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을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를 통해 명확해진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고, 여기에서, 첨부한 도면에 참조가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전류차가 검출되는데, 이 차이는 벨(들)의 임피던스와 전화의 임피던스 간의 임피던스 차이 때문에 나타난다, 1개의 전화기에서는, 1 REN: 7 kΩ 대 7 kΩ//400Ω은 7 k 대 378이고, 즉, 임피던스 차는 18.5배이다. 5개의 전화기에서는, 5REN: 1.4 kΩ 대 1.4 kΩ//400Ω은 1.4 k 대 311이고, 즉, 임피더스 차는 4.5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호출 신호 동안에 오프-후크를 검출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 PABX-SLIC PBL3764를 도시한다.도면에서, 전화기(5REN)는 40 μF의 커패시터와 직렬인 386 Ω의 저항과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치(전화 후크)와 직렬인 400 Ω의 저항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전화기(5REN)의 제 1 종단은 가입자 외선(line wire)중의 하나를 통해 SLIC상의 하나의 입력(LA)에 접속되고, 상기 외선은 선 저항(r11) 및 보호 저항(rs1)을 포함한다. 입력(LA)은 측정 저항(R2)을 통해 전류 증폭기(4)의 출력에 접속되는데, 증폭기(4)의 반전 입력(inverting input)은 출력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은 저항(R3)을 통해 가입자선에 접속된다. 전류 증폭기(A)의 비반전 입력은 또한 커패시터(CA)를 통해 전위(potential)(uc)에 접속된다. 전위(uc)에 속하는 전류원(IA)은 전류 증폭기(A)의 비반전 입력 및 접지 사이에 또한 접속된다. 전화기(5REN)의 제 2 종단도 또한 디른 가입자 외선을 통해 SLIC상의 입력(LB)에 접속되고, 상기 외선은 선 저항(r12)과 보호 저항(rs2)을 포함한다. 입력은 측정 저항(R4)을 통해 전류 증폭기(B)의 출력에 접속되는데, 증폭기(B)의 반전 입력은 출력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은 저항(R5)을 통해 가입자선에 접속된다, 전류 증폭기(B)의 비반전 입력은 또한 커패시터(CB)를 통해 전위(uc)에 접속된다. 전위(uc)에 속하는 전류원(IB)은 또한 전류 증폭기(B)의 비반전 입력 및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SLlc의 입력(LA 및 LB)은 각각의 저항(R7 및 R8)과 직렬로 접속된 증폭 1을 갖는 증폭기를 통해, 증폭 1을 갖는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은 직렬로 접속되는 두 개의 동일하게 큰 저장(R9 및 R10) 사이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되고, 상기 큰 저항은 SLIC의 공급 전압(VBB) 및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후자 연산증폭기의 출력은 저항(R8)을 통해 전위(uc)에 접속된다.
상기 설명한 구성 소자는 SLIC에서 자주 사용되고 이들의 기능은 널리 공지되어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에서, 가입자 외선(LA)중의 하나는 직렬로 접속되 두 개의 동일하게 큰 저항(R11, R12) 사이의 상호 접속점에 다른 입력이 접속되는 연산 증폭기(UUAB)의 제 1 입력에 접속되고, 상기 저항은 SLIC의 공급전압(VBB) 및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연산 증폭기(UUAB)의 출력은 저항(ZT)을 통해 SLIC의 전류 입력(R)에 접속된다. 또한 20 Hz 신호 발생기(U)가 저항(ZR)을 통해 이러한 전류 입력(R)에 접속된다. 전류 입력(R)을 통하는 전류는 전류 증폭기(A 및 B)에 전류를 공급하는데 이것은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전류 증폭기에서의 변조를 위해서이다. 이러한 장치는 SLIC에 어떤 DC 성분없는 호출 신호를 제공하고 스웨덴 특허 출원 제 9400185-6호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비록 호출 신호 동안은 아니더라도 오프-후크 검출을 위해 처음부터 배치되어 있던 검출기(ND1)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검출기(ND1)는 비교기를 포함한다. 종속 전류원(ID)이 SLIC의 출력(RD)으로서 또한 서비스하는 비교기의 입력 양단에 접속된다. 이러한 출력(RD) 양단에 저항(PRD)이 접속된다. 비교기의 출력(DET1)은 SLIC의 외부에 있는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또한 호출 신호 발생기(U)로부터의 호출 신호 전류를 트립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검출기(DN1)의 종속 전류원(ID)은 선 전류의 선형 함수인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공지된 방식으로 측정 저항(R2 및 R4)(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도 2는 호출 신호 동안의 선 전류(il)의 시뮬레이션을 도시하고, 여기에서, il = iLB - iLA 이고 5REN의 부하(벨 = 700 Ω+ 2 μF + 22 H) 및 0 Ω의 선 저항 및 온-후크 및 오프-후크 상태에서 시간의 함수로서 20 Hz의 주파수를 갖는다. LB를 나타내는 B-유선 B(RING)에서의 전압뿐만 아니라 LA를 나타내는 A-유선 A(TIP)에서의 전압의 시뮬레이션이 도면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수직 대쉬선으로 표시된 시간까지의 전압은 전류로부터 거의 -60° 위상 변위되고, 이 시점에서 오프-후크 상태가 발생하고 전류가 급격히 상승하며, 전류와 전압은 실질적으로 동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여기에서 명확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프-후크 상태에서 선 전류(il)는 어떠한 DC-성분도 포함하지 않는데, 이것은 선 전류(il)의 순간값이기 때문이다.
도 3은 호출 신호 동안 오프-후크 검출을 위해 도 1에 따르는 장치로부터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면에, 검출기(ND1)로부터의 출력신호(DET1)와 함께 선 전류(il(1REN) 및 il(5REN))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은 아래의 방식으로 실행된다:
검출기(ND1)의 종속 전류원(ID)에서 횡단 선 전류(transversal line current)를 얻기 위해 전류 증폭기(A)(-iLA)를 떠나는 전류 및 전류 증폭기 (B)(=iLB)로 들어가는 전류가 측정 저항(R2 및 R4)에서 측정되어 합산된다(iLB -iLA). 이어서, 저항(PRD) 및 종속 전류원(ID)을 통해 결정되는, 횡단 선 전류((iLB- iLA)/300)의 전압 함수(URD)는 검출기(ND1)로 연결된다. 검출기 레벨(Vth및 VTH- △V)은 선 전류(il)가 제 1의 소정의 전류값 이상 상승할 때부터 선 전류가 제 2의 소정의 기준값 아래로 하강할 때까지의 시간(△t)의 검출을 위해 설정된 저항(RD)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 2의 소정의 기준간은 제 1 기준값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1의 기준값의 1-2 %오프셋되고 두 기준값은 최대 온-후크 선 전류 및 최대 오프-후크 선 전류 사이의 간격에서 설정된다. 검출기(ND1)의 출력(DET1)은 선 전류(il)가 소정의 전류 레벨 보다 낮은 동안은 높은 신호 레벨을 갖는다. 그러나, 선 전류가 제 1의 소정의 전류 레벨 이상 상승할 때, 출력(DET1)은 낮아지게 되어, 선 전류가 제 2의 소정의 전류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낮은 상태로 있는다. 제 2 레벨은 히스테리시스를 달성하기 위해 제 1 레벨로부터 오프셋된다. 이어서, 검출기(DN1)의 출력(DET1)은 출력(DET1)이 낮은 상태에서 머무르는 시간(△t)을 규정된 시간 길이와, 바람직하게는 여섯 주기의 호출 신호와 비교하여, 프로세서가 호출 신호를 트립한 이후에 소정의 시간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오프-후크가 표시되는 방식으로 오프-후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프로세서에서 처리된다.
이러한 방법은 아래의 장점을 나타낸다.
1) 호출 신호 동안에 오프-후크를 검출하기 위해 추가의 검출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데, 이것은 보다 적은 칩 영역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외부 링 트립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데, 이것은 더 적은 외부 구성 소자를 의미한다.
온-후크 및 오프-후크 호출 신호 사이의 선 전류 차이는 증폭(4 →2)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선 부하에 완전히 비례하지 않는다.
최악의 경우에 있어서 약 2.7배의 전류 차이가 얻어지는데, 이 차이는 전류감지 루프 검출기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하는 SLIC의 종속 전류원을 실시하는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는 이미 PABX-SLIC라 불리는 SLIC에 존재하고 네 개의 전압/전류 증폭기(1, 2, 3 및 4)를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전압/전류 증폭기(1 ,2)는 도 1에서 입력(LA)에 접속되는 저항(R2) 양단에 접속되어, 증폭기(1, 2)는 전류(IA)를 나타내는 전류(IA/K 및 -IA/K)를 각각 공급하고 K는 상수이다. 전압/전류 증폭기(3, 4)는 또한 도 1의 입력 LB에 접속되는 저항 (R4) 양단에 유사한 방식으로 접속되어, 증폭기(3, 4)는 전류(IB)를 나타내는 전류(IB/K 및 -IB/K)를 각각 공급하고 K는 상수이다. 전압/전류 증폭기(1, 3)의 출력은 상호 접속되어서 제 1 다이오드(D1)를 통해 비교기의 제 1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전압/전류 증폭기(2, 4)의 출력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상호 접속되어서 제 2 다이오드(D2)를 통해 비교기의 제 1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비교기의 제 2 입력단자는 접지되고 저항(RRD)은 상기 두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본 도면에서, 도 1로부터의 두개의 전류 증폭기(A 및 B)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전류 IA와 IB는 도 1의 -iLA 및 iLB를 나타낸다. 이러한 회로에서 전압/전류 증폭기(1, 2, 3 및 4)는 다이오드(D1 및 D2)와 선 전류의 절대값의 함수인 전류(ID)를 방출하는 종속 전류원을 구성한다. 이러한 전류(ID)는 저항(RRD)을 통과하고 저항 양단의 전압 ID*RRD은 선 전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사용되고, 이는 비교기에 공급된다. 이어서, 비교기의 출력상에서 출력 신호(DET2)가 얻어진다. 증폭기(2 및 4)뿐만 아니라 다이오드(D1 및 D2)가 제거되는 경우에, 도 1에 따르는 종속 전류원이 얻어진다.
도 5에는 5REN의 벨 및 0 Ω의 선 저항과 1REN의 벨 및 200 Ω의 선 저항을 갖고, 각각 20 Hz의 주파수를 갖는 선 전류 및 온-후크와 오프-후크 상태에서 이러한 신호에 대한 도 4에 따르는 검출기(ND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시뮬레이션이 도시되어 있다. 전화 후크는 오프-후크(Off-Hook)로 표시된 수직 실선으로 표시된 시간까지 온(on)되고, 상기 오프-후크의 시점에서 오프-후크 상태가 발생하여 선 전류(il)가 증가한다. 검출기(ND2)의 출력(DET2)은 상기에서 언급한 시점까지 낮은 레벨을 갖지만, 각각의 선 전류의 절대값이 제 1의 소정의 전류값 이상 상승할 때, 검출기의 출력(DET2)은 높은 상태가 되어 선 전류(il)가 제 2의 소정의 전류 레벨아래로 떨어지기 전까지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출력(DET1)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t)이 펄스의 형태로 프로세서로 송신된다. 도면에서, 검출기(ND2)가 선 전류의 양 및 음의 절반 주기에 반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개의 펄스(△t)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호출 신호 발생기는 제 1 펄스 이후에 스위치 오프된다. 1REN의 경우에 있어서는, 17 ms의 펄스폭(△t)이 얻어지고, 5REN의 경우에 있어서는 21 ms의 펄스폭(△t)이 얻어진다. 상기 펄스폭이 비교되는 소정의 시간값은 바람직하게 제 6의 호출 주기, 즉, 약 8.3 ms이다. 이 시간값이 초과될 때, 프로세서는 오프-후크를 표시하여서 호출 신호를 트립한다.
이러한 제 2 방법의 장점은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이 선 전류(il)의 절반 주기 동안에 달성된다는 것인데, 이것은 이 방법을 제 1 방법보다 빠르게 만든다.
TR-TSY-000057에서 언급된 것 이외에 전화 저항뿐만 아니라 상이한 호출 신호 부하, 선 저항에서 본 발명 방법의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대해 다수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졌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언급한 소정의 시간값을 초과하는 허용 가능한 펄스폭이 얻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호출 신호 없이 오프-후크 검출을 위해 도 1에 따르는 검출기(ND1)의 최초사용이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하는 동안에 유지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새로운 검출기를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종속 전류원을 갖는 새로운 검출기를 포함하고, 즉, 검출기를 이중으로 하거나 SLIC의 출력(RD)에 외부 검출기를 접속함으로써 달성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SLIC의 검출기의 기존의 종속 전류원이 검출기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가입자선을 통하는 선 전류(il)의 함수인 신호(URD; ID*RRD)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류 성분이 없는 호출 신호의 발생시에 가입자선 인터페이스회로에서 오프-후크(off-hook) 검출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소정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제 1의 기준값(Vth)을 초과하는 시간(△t)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시간을 소정의 시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따라 오프-후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오프-후크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후크 표시시에 호출 신호를 트립핑(tri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오프-후크 검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류값은 최대 온-후크(on-hook) 선 전류 및 최대 오프-후크 선전류 사이의 간격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오프-후크 검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값은 상기 호출 신호의 제 6주기 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오프-후크 검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URD)는 선 전류(il)의 선형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오프-후크 검출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ID*RRD)는 선 전류(il)의 절대값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오프-후크 검출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신호가 제 1의 기준값(Vth) 이상으로 상승할 때 상기 제 1의 기준값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되는 제 2의 기준값(Vth- △V) 이하로 신호가 떨어질때까지의 시간(△t)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오프-후크 검출 방법.
  8.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가입자선을 통하는 선 전류(il)의 함수인 신호(URD; ID*RRD)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가 소정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제 1의 기준값(Vth)을 초과하는 시간(△t)을 측정하고,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의 표시에 대한 소정의 시간값과의 비교를 위해 상기 측정된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DET1; DET2)를 프로세서로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검출기(ND1; N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은 상기 신호가 제 1의 기준값(Vth) 이상 상승할 때부터 상기 제 1의 기준값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2의 기준값(Vth- △V) 아래로 신호가 떨어질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URD)는 선 전류(il)의 선형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신호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ID*RRD)는 선 전류(il)의 절대값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신호 동안의 오프-후크 검출을 위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 회로.
KR1019960703903A 1994-01-21 1995-01-19 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방법및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을위한가입자선인터페이스회로 KR100356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400186-4 1994-01-21
SE9400186A SE9400186D0 (sv) 1994-01-21 1994-01-21 Förfarande i ett telekommunikation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973A KR970700973A (ko) 1997-02-12
KR100356003B1 true KR100356003B1 (ko) 2003-01-24

Family

ID=2039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903A KR100356003B1 (ko) 1994-01-21 1995-01-19 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방법및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을위한가입자선인터페이스회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734712A (ko)
EP (1) EP0740880B1 (ko)
JP (1) JP3456484B2 (ko)
KR (1) KR100356003B1 (ko)
CN (1) CN1080509C (ko)
AT (1) ATE186434T1 (ko)
BR (1) BR9506627A (ko)
CA (1) CA2179995A1 (ko)
DE (1) DE69513147T2 (ko)
DK (1) DK0740880T3 (ko)
ES (1) ES2141333T3 (ko)
FI (1) FI962919A0 (ko)
GR (1) GR3032001T3 (ko)
MX (1) MX9602474A (ko)
NO (1) NO314869B1 (ko)
PT (1) PT740880E (ko)
SE (1) SE9400186D0 (ko)
TW (1) TW265500B (ko)
WO (1) WO1995020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465A (en) * 1995-03-16 1997-12-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tegrated ringer for short telephone lines
US6167135A (en) * 1995-12-01 2000-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ringing signal
KR0173403B1 (ko) * 1996-04-25 1999-04-01 김광호 전화단말기의 통화로 자동복구 장치 및 그 방법
US6219417B1 (en) * 1997-06-06 2001-04-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Ring trip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178241B1 (en) * 1997-06-06 2001-01-23 Legerity, Inc. Switch hook status determin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0899926A1 (en) * 1997-08-25 1999-03-03 Alcatel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caller identification
US5901219A (en) * 1997-08-27 1999-05-04 3Com Corporation Method for ring signal detection
US6570984B1 (en) 1999-04-20 2003-05-27 Eci Telecom Ltd. Ring trip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subscriber line interface
US6257063B1 (en) * 2000-05-24 2001-07-1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ethod for measuring vibration damping
SE0002350L (sv) * 2000-06-21 2001-12-22 Ericsson Telefon Ab L M En metod att generera en ringsignal i en abonnentlinjekrets
US7215764B2 (en) * 2001-02-06 2007-05-08 Legerity, Inc. Current sensing echo cancellation device
US20040120507A1 (en) * 2002-12-18 2004-06-24 Nasser Pooladian Ring signal voltage offset for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CN111405131B (zh) * 2020-03-30 2021-04-20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远端摘机信号的检测方法、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1728A (en) * 1966-02-11 1971-07-06 Western Electronics Dev Corp Local ringing and ring-trip relay for carrier terminal
DE2014950B2 (de) * 1970-03-28 1976-01-02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Rufabschaltung in Fernmelde-, insbesondere Fernsprechanlagen
US4132864A (en) * 1977-04-28 1979-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measurement of the DC value in an AC signal adapted to telephone off-hook detection
US4234762A (en) * 1978-12-29 1980-11-1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Ring trip detector circuit
US4406929A (en) * 1981-02-26 1983-09-27 Motorola Inc. Hook status detector for a subscriber loop interface circuit
US4396805A (en) * 1981-09-21 1983-08-02 Siemens Corporation Ring trip detector for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JPS5897950A (ja) * 1981-12-08 1983-06-10 Fujitsu Ltd リングトリツプ方式
JPS5897949A (ja) * 1981-12-08 1983-06-10 Fujitsu Ltd リングトリップ回路
IT1155661B (it) * 1982-03-24 1987-01-28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Circuito elettronico per la rivelazione dello sgancio del microtelefono in presenza della corrente di chiamata
US4455456A (en) * 1982-04-26 1984-06-19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Digital supervisory circuit for a telephone system
SE431704B (sv) * 1982-07-06 1984-02-20 Ericsson Telefon Ab L M Forfarande vid strommatning av en abonnentapparat fran en telefonvexel
US4524246A (en) * 1982-07-07 1985-06-18 Harris Corporation SLIC II--common-mode current rejection
FR2531296B1 (fr) * 1982-07-30 1988-04-15 Cit Alcatel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boucle en phase sonnerie
SE433284B (sv) * 1982-09-17 1984-05-14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or strommatning av en abonnentapparat
SE433285B (sv) * 1982-09-22 1984-05-14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or strommatning av en abonnentapparat
DE3473803D1 (en) * 1984-06-20 1988-10-06 Ibm Detection circuit for current varations
US4731828A (en) * 1985-06-07 1988-03-15 Plessey Overseas Limited Ring trip detection in telecommunications exchanges
SE448264B (sv) * 1985-12-19 1987-02-02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ng for justering av impedansverdet hos ett impedansnet i en integrerad halvledarkrets
ATE57806T1 (de) * 1985-12-20 1990-11-15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r schleifenschlussindikation waehrend der rufphase.
SE453240B (sv) * 1986-05-06 1988-01-18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i ett telekommunikationssystem for att strommata en telefonapparat
SE453626B (sv) * 1986-06-27 1988-02-15 Ericsson Telefon Ab L M Sett och anordning att strommata en telefonlinje for att vid begrensad batterispenning kunna overfora en odistorderad talsignal
IT1213306B (it) * 1986-07-29 1989-12-20 Sgs Microelettronica Spa Circuito telefonico, integrabile monoliticamente, per l'invio disegnali di suoneria in una linea telefonica d'utente e per il riconoscimento dello sgangio in fase di suoneria.
US4742536A (en) * 1986-10-24 1988-05-03 Energy Innovations, Inc. Telephone monitor circuit and method
IT1197977B (it) * 1986-11-13 1988-12-21 Sgs Microelettronica Spa Circuito telefonico, integrabile monoliticamente, per l'invio di segnali di suoneria in una linea telefonica d'utente ed il riconoscimento dello sgancio in fase di suoneria
SE465547B (sv) * 1990-02-01 1991-09-23 Ericsson Telefon Ab L M Saett och krets foer likstroemsmatning till en telefonlinje
SE467333B (sv) * 1990-10-24 1992-06-29 Ericsson Telefon Ab L M Krets foer att alstra debiteringspulser avsedda foer presentation hos en teleabonnent
US5402482A (en) * 1991-07-08 1995-03-28 Fujitsu Limited Ring trip deciding circuit
JPH06121038A (ja) * 1991-07-08 1994-04-28 Fujitsu Ltd リングトリップ判定方法
US5425089A (en) * 1992-01-27 1995-06-13 Chan; John Y. Low cost telephone caller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JPH077984B2 (ja) * 1992-10-26 1995-01-30 日通工株式会社 加入者線回路の呼出信号制御方式
US5406623A (en) * 1993-04-23 1995-04-11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inging telephone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740880E (pt) 2000-04-28
SE9400186D0 (sv) 1994-01-21
FI962919A (fi) 1996-07-19
TW265500B (ko) 1995-12-11
ES2141333T3 (es) 2000-03-16
ATE186434T1 (de) 1999-11-15
MX9602474A (es) 1997-04-30
FI962919A0 (fi) 1996-07-19
DE69513147T2 (de) 2000-03-02
CN1139505A (zh) 1997-01-01
JPH09507622A (ja) 1997-07-29
EP0740880A1 (en) 1996-11-06
NO314869B1 (no) 2003-06-02
WO1995020289A1 (en) 1995-07-27
KR970700973A (ko) 1997-02-12
NO963022L (no) 1996-09-13
DE69513147D1 (de) 1999-12-09
BR9506627A (pt) 1997-09-16
CN1080509C (zh) 2002-03-06
US5734712A (en) 1998-03-31
DK0740880T3 (da) 2000-04-17
JP3456484B2 (ja) 2003-10-14
NO963022D0 (no) 1996-07-19
GR3032001T3 (en) 2000-03-31
EP0740880B1 (en) 1999-11-03
CA2179995A1 (en) 199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003B1 (ko) 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방법및호출신호동안의오프-후크검출을위한가입자선인터페이스회로
US3829619A (en) Telephone ring trip circuit
US4455456A (en) Digital supervisory circuit for a telephone system
US5668870A (en) Audible signaling device for informing when a telephone line is available or in use
US6169784B1 (en) Telecommunication line termination test
KR100198257B1 (ko) 통신케이블의 단락 및 단선 검출장치
EP0089355B1 (en) Detector circuit for communication lines
SE447691B (sv) Kopplingsanordning for att detektera strommar i ett system med tva ledare utnyttjande jord som gemensam aterledare
EP0944995B1 (en) Ring-trip circuit and method
US5535272A (en) Sensor circuit for a telephone line
US5337354A (en) Tip-ring voltage correction circuit
US6411680B1 (en) Telephonic apparatus and input device for telephonic apparatus
KR100912556B1 (ko) 전화선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전화선 점유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EP0600644A1 (en) Ring-trip detection using ring voltage and current
US4191859A (en) Loop, dial pulse and ring trip detection circuit with capacitive shunt network
US6944286B1 (en) Ground key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interference-resistant detection of the activation of a ground key for telephones
US5289537A (en) On-hook transmission circuit in cable line
KR100263659B1 (ko) 후크-오프(hook-off) 검출기회로를 가진 전화기 회로 조립체
US4336467A (en) Voltage detector
EP0928533B1 (en) Arrangement in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HU192925B (en) Circuit arrangement for realizing circuit sensing state of loop, in particular to processor controlled digital sub-exchanges
KR20000047597A (ko) 고임피던스 절대 전화선 전압 측정 회로
KR20010039050A (ko) 통신장비의 보드 및 케이블 감시장치
KR970011868A (ko) 과부하 경보 및 부하전력량 표시회로
EP1198111A2 (en) Telephonic apparatus and input device for teleph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