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985B1 - 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 Google Patents

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985B1
KR100354985B1 KR1020000015161A KR20000015161A KR100354985B1 KR 100354985 B1 KR100354985 B1 KR 100354985B1 KR 1020000015161 A KR1020000015161 A KR 1020000015161A KR 20000015161 A KR20000015161 A KR 20000015161A KR 100354985 B1 KR100354985 B1 KR 10035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keyboard
power supply
keyboard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53751A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00001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985B1/en
Publication of KR2000005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9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16Event detection, e.g. attack signatur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키보드 장치는 라인 파워 기능을 이용한 전화기를 내장한다. 키보드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이 파워 온 상태일 때는 컴퓨터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파워 오프 상태일 때는 전화 라인의 라인 파워에 의해 동작할 수 있어 컴퓨터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에도 기본적인 전화 통화 기능과 다양한 부가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키보드 장치는 전화기 모드와 키보드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가지의 동작 모드를 갖는데, 전화기 모드에서 통화로가 연결된 후 다시 키보드 모드로 변경하여 키보드 사용과 전화 통화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전화기 모드에서 키보드 장치의 모든 키들이 전화기 기능에 사용되어 자동 다이얼, 전화 번호부 작성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는 컴퓨터 키보드 사용자에게 편리한 전화기 사용 환경을 더불어 제공한다.The keyboard device disclosed herein incorporates a telephone utilizing the line power function. The keyboard device can be operated by the computer power when the computer system is powered on, and by the line power of the telephone line when the computer system is powered off, so that the basic phone call function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computer is powered off. Can be used. The keyboard device has at least two modes of operation, including a phone mode and a keyboard mode. The keyboard device provides a convenience of simultaneously using the keyboard and making a phone call by changing to a keyboard mode after the call path is connected. In the phone mode, all the keys of the keyboard device can be used for the phone function to realiz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utomatic dialing and phone book creation. Such a keyboar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phone environment for computer keyboard users.

Description

라인 파워를 이용한 다기능 전화기를 내장한 키보드 장치{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 장치(computer keyboard device)에 관한 것으로,구체적으로는 컴퓨터의 전원이나 별도의 외부 전원 없는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라인 파워(line power)를 이용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keyboard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ne built-in keyboard device using line power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even when there is no power source or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

컴퓨터 시스템은 일반 사무 환경, 가정, 전문 연구 분야, 산업체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사용이 급증되면서 사무 환경이 개인용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사무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입력장치로 키보드 장치와 '마우스(mouse)'로 불려지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Computer systems are data processing devices that are widely used in general office environments, homes, specialized research fields, and industries. With the proliferation of personal computers, the office environment is changing to a personal computer based office environment. As a data input device of a computer system, a keyboard device and a pointing device called a 'mouse' are generally used.

최근,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전화기를 내장한 컴퓨터 키보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들로, 국내특허공개 특1999-007717 '전화기 기능을 갖는 컴퓨터 키보드', 국내실용공개 실1998-063281 '전화기능을 가진 키보드', 국내실용공개 실1999-0035143 '전화기가 장착된 컴퓨터 키보드' 등이 있다.Recently, computer keyboard devices with built-in telephones have been provided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environment for personal computer users. As related technologi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7717 'Computer Keyboard with Telephone Function', Korean Practical Publication No. 1998-063281 'Keyboard with Telephone Function', Korean Practical Publication No. 1999-0035143 'Computer with Phone Keyboard '.

상기와 같은 전화기를 내장한 키보드 장치들은 컴퓨터 사용시 전화기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있다. 이들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는 전화기와 키보드 장치를 결합한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기본적인 전화 통화 기능에 충실하고 있을 뿐 다양한 전화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Keyboard devices incorporating the above-mentioned telephones help the user in terms of convenience in using the telephone when using a computer. These phone built-in keyboard devices use a combination of a phone and a keyboard device. They are faithful to basic phone call functions and do not provide various phone functions.

한편, 키보드에 탑재된 전화기 회로는 컴퓨터 전원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동작 중인 경우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물론, 키보드 장치에 배터리나 AC 어댑터와 같은 별도의 전원 공급원을 내장할 수 있겠으나 이는 제품의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lephone circuit mounted in the keyboard is operated by a computer power supply, its use is limited in that it can be used only when the computer is operating. Of course, the keyboard device may have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or an AC adapter, but this is not preferabl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컴퓨터 전원 없이도 전화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lephone built-in keyboard device which can use a telephone function without a computer power 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는 전화기 내장 컴퓨터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 built-in keyboard device hav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uilt-in telephon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built-in telephon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전화기 회로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적인 블록도;3 is a circuit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lephone circuit of FIG.

도 4는 도 3의 래치 릴레이와 릴레이 구동부의 상세 회로도;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latch relay and a relay driver of FIG. 3;

도 5는 도 3의 음성통화부의 등가 회로도; 그리고5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voice call unit of FIG. 3; And

도 6은 도 2의 라인파워 공급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of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키보드 장치 110: 헤드 셋100: keyboard device 110: headset

120: 마이크/스피커 130: 액정디스플레이120: microphone / speaker 130: liquid crystal display

140: 후크 스위치 150: 모드변경스위치140: hook switch 150: mode change switch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호스트 시스템의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키보드 장치는: 전화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키보드 장치에 내장되는 전화기 회로;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을 때, 상기 전화기 회로를 통해 전화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라인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 장치의 동작 전원을 발생하는 라인파워 공급회로 및; 키 매트릭스의 키 입력에 따른 스캔 코드 발생하여 상기 호스트로 입력하는 키보드 입력 제어 및 상기 전화기 회로의 제어를 포함하는 상기 키보드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keyboard device used as a data input device of the host system comprises: a telephone circuit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and embedded in the keyboard device; A line power supply circuit for generating operational power of the keyboard device using line power input from a telephone line through the telephone circuit 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host system; And a microcomputer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keyboard device, including keyboard input control to generate scan codes according to key input of a key matrix and input them to the host, and control of the telephone circuit.

이 실시예에 있어서, 단축 다이얼 번호, 사용자 정의 전화 번호부를 포함하는 전화기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키 매트릭스의 입력에 따라 스캔 코드를 발생하여 상기 호스트로 입력하는 키보드 모드와 상기 전화기 회로를 이용한 전화 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전화기 모드를 갖고, 상기 전화기 모드에서 상기 키 매트릭스의 모든 키 입력을 전화기 기능에 사용한다. 상기 키보드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 키보드 모드 또는 상기 전화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In this embodiment,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telephone-related data including a speed dial number and a user defined phone book, wherein the microcomputer generates a scan c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key matrix to the host. It has a keyboard mode for inputting and a telephone mode for controlling a telephone call function using the telephone circuit, and in the telephone mode all key inputs of the key matrix are used for telephone functions. The keyboard device includes a mode change switch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microcomputer is set to either the keyboard mode or the telephone m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ode change switch.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회로는 상기 전화 라인에 접속되어 통화로를 연결/차단하는 릴레이 및 후크 스위치와 연동하고, 상기 후크 스위치가 후크 오프 상태로 스위칭 될 때 통화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릴레이를 스위칭 동작시키는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입력이 유지되지 않아도 그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타입(latch type)으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elephone circuit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and interlocked with a relay and a hook switch for connecting / blocking a call path, and the relay circui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all path when the hook switch is switched to a hook-off state. And a relay driver for switching operation. The relay is configured of a latch type that maintains the switching state even if the input of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is not maintained.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파워 공급회로는 상기 전화기 회로에서 사용되고 남은 여유 전류를 이용하여 정전압/정전류를 발생하는 정전압/정전류 발생부;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정전압/정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 장치의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및;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와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사이의 전류 패스 상에 구성되고, 후크 오프 상태에서 전류 패스가 접속되도록 스위칭 되고, 후크 온 상태에서 전류 패스가 차단되도록 스위칭 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includes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by using the spare current remaining in the telephone circuit;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keyboard device using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ed by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And switching means configured on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and th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witched to connect the current path in the hook-off state, and switched to block the current path in the hook-on state.

상기 라인파워 공급회로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정전류에 의해 충전되고, 후크 스위치의 후크 오프 스위칭 동작시 통화로 구성에 따른 초기 동작 전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라인파워 공급회로는: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막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한다.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output from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and supplies initial operation power according to a call path during hook off switching operation of a hook switch. to provide. And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comprises: a first diode connected between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and the battery to prevent discharge of the battery; A second diode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switched mode power supply to prevent a current supplied from the host system from flowing in; And a third diode configured on a power line provided from the host system to prevent a current output from the switched mode power supply from flowing into the host system.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신규한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이 파워 온 상태일 때는 컴퓨터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파워 오프 상태일 때는 별도의 전원 공급원이 없이 전화 라인의 라인 파워에 의해 동작할 수 있어 컴퓨터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에도 기본적인 전화 통화 기능과 다양한 부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키보드 장치는 전화기 모드와 키보드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가지의 동작 모드를 갖는데, 전화기 모드에서 통화로가 연결된 후 다시 키보드 모드로 변경하여 키보드 사용과 전화 통화를 동시에 할 수 있다. 전화기 모드에서 키보드 장치의 모든 키들이 전화기 기능에 사용되어 자동 다이얼, 전화 번호부 작성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는 컴퓨터 키보드 사용자에게 편리한 전화기 사용 환경을 더불어 제공한다.The novel telephone embedded keyboar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the computer power when the computer system is in the power-on state, and can be operated by the line power of the telephone lin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when the computer system is in the power-off state. Even when you are off, you can still use both basic phone calls and various secondary functions. The keyboard device has at least two modes of operation including a phone mode and a keyboard mode, and after the call path is connected in the phone mode, the keyboard device can be changed back to the keyboard mode to simultaneously use the keyboard and make a phone call. In the phone mode, all the keys of the keyboard device can be used for the phone function to realiz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utomatic dialing and phone book creation. Such a keyboar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phone environment for computer keyboard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100)는 일반적인 컴퓨터 키보드 장치로서의 기능과 함께 전화기 기능을 제공한다. 키보드 장치(100)는 스피커(111)와 마이크(112)가 일체로 구성되는 헤드 셋(head set)(110)을 갖는다. 키보드 장치(100)의 상부 중앙의 우측에는 소형의 고감도 마이크/스피커(120)가 그리고 좌측 상단에는 액정 디스플레이(13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부 중앙의 좌측에는 후크 스위치(140)와 모드 전환 스위치(150)가 나란히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기능 키(function key), 숫자 키(numerical key), 문자 키(character key) 등을 포함하는 키보드 키들은 일반적인 키보드 장치의 키 배열과 동일하게 배열되어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uilt-in telephon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keyboar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ne function together with a function as a general computer keyboard device. The keyboard device 100 has a headset 110 in which the speaker 111 and the microphone 112 are integrally formed. A small high sensitivity microphone / speaker 120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center of the keyboard device 100,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130 is mount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keyboard device 100.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center, the hook switch 140 and the mode switching switch 150 are provided side by side. In addition, keyboard keys including a function key, a numeric key, a character key, and the like are arranged in the same way as a key arrangement of a general keyboard device.

상기 키보드 장치(100)는 헤드 셋(110)을 이용한 전화 통화와 마이크/스피커(120)를 이용한 전화 통화가 각각 가능하다. 사용자는 헤드 셋(110)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려는 경우에는 키보드 장치(100)의 우측면에 마련된 헤드 셋 잭(미도시)에 헤드 셋(110)을 접속하고, 핸즈프리(hand free) 통화를 하려는 경우에는 헤드 셋(110)을 헤드 셋 잭으로부터 분리하고 마이크/스피커(120)를 통해 통화한다. 상기 후크 스위치(140)와 모드 전환 스위치(150)는 토클 스위치(toggle switch)이며, 사용자는 모드 전환 스위치(150)를 이용하여 키보드 장치(100)를 키보드 모드와 전화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130)는 한글, 영문, 숫자, 특수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타입의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후크 온/오프,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전화기 관련 각종 정보들이 표시된다.The keyboard device 100 is capable of a telephone call using the headset 110 and a telephone call using the microphone / speaker 120, respectively.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phone call using the headset 110, the user connects the headset 110 to a headset jack (not shown)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device 100, and tries to make a hand free call. In the case, the headset 110 is disconnected from the headset jack and the call is made through the microphone / speaker 120. The hook switch 140 and the mode switch 150 may be a toggle switch, and the user may set the keyboard device 100 to the keyboard mode and the phone mode by using the mode switch 150. The liquid crystal display 130 is a graphic type liquid crystal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Korean, English, numerals, special characters, and the like, and displays various phon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hook on / off and telephone number.

도 2는 본 발명의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100)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200)의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키보드 장치(100)는 크게 마이크로 컴퓨터(160), 키 매트릭스(170), 라인파워 공급회로(180), 전화기 회로(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호스트 시스템(200)에 접속하기 위한 키보드 케이블(102), 전화 라인(300) 연결을 위한 전화기 잭(104) 그리고 헤드 셋(110)을 연결하기 위한 헤드 셋 잭(106)을 구비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keyboard device with built-in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telephone embedded keyboar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input device of the host system 200 such as a general personal computer. The keyboard device 100 includes a microcomputer 160, a key matrix 170, a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and a telephone circuit 190. And a keyboard cable 102 for connecting to the host system 200, a telephone jack 104 for connecting the telephone line 300, and a headset jack 106 for connecting the headset 110.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60)는 키보드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60)는 모드 변경 스위치(150)의 입력에 따라 키보드 장치(100)를 키보드 모드 또는 전화기 모드로 설정하고, 각 모드에서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한다. 키보드 모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60)는 키 매트릭스(170)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에 응답해서 스캔 코드를 발생하고, 키보드 케이블(102)을 통해 호스트 시스템(200)으로 스캔 코드에 대응하는 키보드 데이터 신호(KDAT)와 키보드 클락 신호(KCLK)를 전송한다. 전화기 모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60)는 키 매트릭스(170)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에 응답해서 전화 기능 제어를 수행하고, 전화 기능 수행에 따른 표시 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EEPROM(165)에는 전화 기능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전화기 회로(190)는 전화 통화를 위한 회로 구성들을 구비한다.The microcomputer 16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keyboard device 100. The microcomputer 160 sets the keyboard apparatus 100 to the keyboard mode or the telephone m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ode change switch 150,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control in each mode. In the keyboard mode, the microcomputer 160 generates a scan code in response to a key input input from the key matrix 170, and keyboard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can code to the host system 200 via the keyboard cable 102. Transmit (KDAT) and keyboard clock signal (KCLK). In the telephone mode, the microcomputer 160 performs the telephone function control in response to the key input input from the key matrix 170, and displays the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lephone function performanc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30. The EEPROM 165 stores various data related to the telephone function. Telephone circuit 190 has circuit configurations for telephone conversations.

본 발명의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100)는 전화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 예를 들어, 단축 다이얼 기능, 사용자 정의 전화 번호부 작성 및 검색 기능을 구비한다. 전화기 모드에서, 키 매트릭스(170)의 모든 키들이 전화기 기능에 사용되도록 정의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60)는 전화기 모드에서 키 매트릭스(170)로부터 키 입력에 응답해서 다양한 전화기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키 매트릭스(170)의 특정 키들을 자동 다이얼을 위한 단축키로 지정할 수 있는데, 지정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60)는 전화기 회로(190)를 이용해서 지정된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을 한다. 사용자는 전화기 모드에서 키매트릭스의 모든 키들을 이용해서 손쉽게 전화 번호부를 작성, 편집 및 삭제를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더 나아가 문자 서비스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도 있다.The telephone embedded keyboar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at operate in the telephone mode, for example, a speed dial function, a user-defined phone book creation and search function. In telephone mode, all keys of key matrix 170 are defined to be used for telephone functionality. Microcomputer 160 performs various telephone add functions in response to key input from key matrix 170 in telephone mode. For example, certain keys of the key matrix 170 can be designated as shortcut keys for automatic dialing. When a designated shortcut key is entered, the microcomputer 160 automatically dials the designated phone number using the telephone circuit 190. do. The user can easily create, edit and delete the phonebook using all the keys of the keymatrix in phone mode. In addition, you can easily use the text service function.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 장치(100)는 키보드 케이블(102)을 통해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 그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며,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 라인(400)에서 유입되는 라인 파워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한다. 라인파워 공급회로(180)는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을 때 전화 라인(30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을 키보드 장치(100)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전화 라인에 접속되는 통신 기기들은 DC 48V, 20mA 이내에서 정상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규격이 정해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100)에서 액정 디스플레이(130), 마이크로 컴퓨터(160) 및 EEPROM(165)과 같은 디지털 회로들은 CMOS 타입으로 구성하여 전체 소비전류가 10mA 미만으로 되도록 하였고, 전화기 회로(190)는 고효율의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키보드 장치(100)의 전체 소비 전류가 20mA 이내에서 가능하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keyboard device 100 uses the power as the operating power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host system 200 through the keyboard cable 102, and the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host system 200. In this case, the line power flowing from the telephone line 400 is used as the operating power.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provides power supplied from the telephone line 300 as operating power of the keyboard device 100 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host system 200. Typically, communication devices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are specified to transmit normal signals within DC 48V and 20mA. Therefore, in the keyboar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circuits such as the liquid crystal display 130, the microcomputer 160, and the EEPROM 165 are configured in a CMOS type so that the total current consumption is less than 10 mA, and the telephone circuit 190 ) Uses an integrated circuit of high efficiency to enable the total current consumption of the keyboard device 100 to be within 20 mA.

후술되겠지만, 라인파워 공급회로(180)에는 소형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는데, 배터리 전원은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키보드 장치(100)의 초기 구동 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는 전화라인의 라인 파워를 이용하여 충전된다. 이하, 라인 파워를 이용해서 발생되는 전원은 라인 전원(LVcc)라 칭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is provided with a small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and the battery power is used as the initial driving power of the keyboard device 100 without the power supply from the host system 200. do. The battery is charged using the line power of the telephone line. Hereinafter, a power source generated using the line power is referred to as a line power source LVcc.

계속해서,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화기 회로(190)와 라인파워 공급회로(180)의 상세한 회로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Subsequently, a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lephone circuit 190 and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도 2의 전화기 회로(19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화기 회로(190)는 래치 릴레이(191), 착신신호발생부(192), 벨(193), 발광다이오드(LED1), 브릿지 다이오드(BZ1)와 제너다이오드(ZD1), 릴레이 구동부(194), 멜로디 발생부(195), DTMF 발생부(196), 음성통화부(197), 스위치(1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 circuit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lephone circuit 190 of FIG.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elephone circuit 190 includes a latch relay 191, an incoming signal generator 192, a bell 193, a light emitting diode LED1, a bridge diode BZ1, a zener diode ZD1, and a relay driver. 194, a melody generating unit 195, a DTMF generating unit 196, a voice call unit 197, and a switch 198.

래치 릴레이(191)는 외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된 후 그 제어 신호의 입력이 유지되지 않아도 그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타입(latch type)의 릴레이 이다. 그럼으로 소비전류가 거의 없어 전화 통화시 소비전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래치 릴레이(191)는 후크 스위치(140)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해서 스위칭 동작하며, 릴레이 구동부(194)와 마이크로 컴퓨터(16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제어된다. 래치 릴레이(191)는 후크 오프 상태에서 전화 라인(300)과 착신 신호 발생부(192)가 접속되도록 스위칭 되어 있으며, 후크 오프 상태에서는 전화 라인(300)과 음성 통화부(197)가 접속되도록 스위칭 되어 있다.The latch relay 191 is a latch type relay that maintains the switching state even after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is not maintained after being switched by an external switching control signal. Therefore, there is almost no current consumption, so it does not affect the change of current consumption during telephone conversation. The latch relay 191 switches in conjunction wit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hook switch 140, and the switching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relay driver 194 and the microcomputer 160. The latch relay 191 is switched to connect the telephone line 300 and the incoming signal generator 192 in the hooked-off state, and is switched to connect the telephone line 300 and the voice call unit 197 in the hooked-off state. It is.

도 4에는 도 3의 래치 릴레이(191)와 릴레이 구동부(194)의 상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래치 릴레이(191)는 전화 라인(300)에입력단(IN)이 접속되고 착신신호 발생부(192)로 제1 출력단(OUT1)이 접속되며 브릿지 다이오드(BZ1)로 제2 출력단(OUT2)이 접속되는 래치 릴레이 스위치(LRS), 라인전원(LVcc)에 일단이 접속되는 릴레이 코일들(RL1, RL2), 상기 릴레이 코일들(RL1, RL2)의 타단과 아날로그 접지(AGND) 사이에 각기 접속된 트랜지스터들(Q1, Q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릴레이 구동부(194)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마이크로 컴퓨터(160)에 접속된다.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latch relay 191 and the relay driver 194 of FIG. 3. Referring to FIG. 4, the latch relay 191 has an input terminal IN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300, a first output terminal OUT1 connected to the incoming signal generator 192, and a second bridge diode BZ1. The latch relay switch LRS to which the output terminal OUT2 is connected, the relay coils RL1 and RL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ine power supply LVcc, the other end of the relay coils RL1 and RL2, and the analog ground AGND. The transistors Q1 and Q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is connected to the relay driver 194,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60.

릴레이 구동부(194)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아날로그 접지(A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저항들(R1, R2), 라인 전원(LVcc)과 아날로그 접지(A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스위치(SW1)와 저항(R3), 저항(R1)과 저항(R2)의 접속노드와 스위치(SW1)와 저항(R3)의 접속노드에 사이에 접속되는 콘덴서(C2)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SW1)는 후크 스위치(140)와 연동된다.The relay driver 194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resistors R1 and R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analog ground AGND, the line power supply LVcc, and the analog ground AGND. And a capacitor C2 connected between the switch SW1 and the resistor R3, the connection node of the resistor R1 and the resistor R2, and the connection node of the switch SW1 and the resistor R3. The switch SW1 is interlocked with the hook switch 140.

후크 스위치(140)가 입력되면, 이에 연동하여 스위치(SW1)가 온 되면서 라인전원(LVcc)이 릴레이 구동부(194)로 제공되어 펄스 신호가 발생된다. 이 펄스 신호에 의해 래치 릴레이(191)의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되고, 릴레이 코일(RL1)로 라인 전원(LVcc)이 제공되어 릴레이 코일(RL1)에 전자장이 유기 된다. 이에 따라 래치 릴레이 스위치(LRS)가 스위칭 되어 전화 라인(300)과 브릿지 다이오드(BZ1)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해서 후크 오프 상태가 되면 키보드 장치(100)의 전화 기능을 이용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When the hook switch 140 is input, the switch SW1 is turned on in association with the hook switch 140 and the line power supply LVcc is provided to the relay driver 194 to generate a pulse signal. The transistor Q1 of the latch relay 191 is turned on by the pulse signal, and the line power supply LVcc is provided to the relay coil RL1 to induce an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relay coil RL1. Accordingly, the latch relay switch LRS is switched to connect the telephone line 300 and the bridge diode BZ1. In this manner, when the hook-off state is established, a phone call can be made using the telephone function of the keyboard device 100.

후크 오프 상태에서, 후크 스위치(140)가 입력되는 것은 마이크로 컴퓨터(160)에 의해 감지된다. 후크 오프 상태에서 후크 스위치(140)의 입력이 감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60)는 래치 릴레이(191)를 후크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래치 릴레이(191)로 입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60)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의해 래치 릴레이(191)의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되고, 릴레이 코일(RL2)로 라인 전원(LVcc)이 제공되어 릴레이 코일(RL2)에 전자장이 유기 된다. 이에 따라 래치 릴레이 스위치(LRS)가 스위칭 되어 전화 라인(300)과 착신신호 발생부(19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해서 후크 온 상태가 된다.In the hook off state, the input of the hook switch 140 is sensed by the microcomputer 160. When the input of the hook switch 140 is detected in the hook-off state, the microcomputer 160 generates a pulse signal for switching the latch relay 191 to the hook-on state and inputs it to the latch relay 191. The transistor Q2 of the latch relay 191 is turned on by the pulse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160, the line power supply LVcc is provided to the relay coil RL2,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is induced in the relay coil RL2. . Accordingly, the latch relay switch LRS is switched to connect the telephone line 300 and the incoming signal generator 192. In this manner, the hook is turned on.

후에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 래치 릴레이(191)와 릴레이 구동부(194)는 라인파워 공급회로(160)에 구비된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므로 호스트 시스템(200)이 파워 오프 된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since the latch relay 191 and the relay driver 194 operate by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provided in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60, the latch relay 191 and the relay driver 194 may operate even when the host system 200 is powered off. It is possible.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전화기 회로(190)의 동작을 계속 설명한다. 후크 온 상태에서, 전화 라인(300)으로 전송되어 오는 링 신호는 래치 릴레이(191)와 콘덴서(C1)를 거쳐 착신신호 발생부(192)로 입력된다. 착신신호 발생부(192)는 링 신호 수신에 응답해서 착신신호를 발생하여 벨(193)과 발광다이오드(LED1)를 동작시킨다. 착신신호 발생부(192)와 벨(193) 및 발광다이오드(LED1) 간에 스위치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링 신호 수신시 벨(193)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1)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3, 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circuit 190 will now be described. In the hook-on state, the r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line 300 is input to the incoming signal generator 192 through the latch relay 191 and the condenser C1. The incoming signal generator 192 generates an incoming signal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ring signal to operate the bell 19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A switch is configured between the incoming signal generator 192 and the bell 193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so that only one of the bell 193 or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operates upon receiving a ring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t may be.

후크 오프 상태에서, 전화 라인(30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는 브릿지 다이오드(BZ1)를 통해 정류되고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피크 전압이 제한되어 음성 통화부(197)로 유입된다. 음성 통화부(197)에서 소비되고 남는 여유 전류는 라인파워 공급회로(180)로 유입된다. 음성통화부(197)는 음성 송출 및 수신을 위한 회로로서 헤드셋(110) 또는 마이크/스피커(120) 중 어느 하나가 스위치(198)를 통해 접속된다. 음성통화부(197)는 저소비전력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그 등가 회로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hook-off stat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telephone line 300 is rectified through the bridge diode BZ1 and the peak voltage is limited by the zener diode ZD1 and flows into the voice call unit 197. The surplus current remaining in the voice call unit 197 flows into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The voice call unit 197 is a circuit for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either the headset 110 or the microphone / speaker 120 is connected through the switch 198. The voice call unit 197 is designed to have low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an equivalent circuit thereof is shown in FIG. 5.

도 5는 도 3의 음성통화부(197)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음성통화부(197)는 입력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RX), 저항 브릿지를 구성하는 저항들(BR1, BR2, BR3, BR4) 및, 정전류원(In)으로 구성된다. 저항 브릿지를 구성하는 저항들(BR1, BR2, BR3, BR4)은 BR1* BR2 = BR3*BR4 관계를 만족하며, 이때 정전류원(In)에 흐르는 전류는 5mA 되도록 저항값을 결정한다. 그럼으로 음성 통화시 발생될 수 있는 측음(side tone)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FIG. 5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voice call unit 197 of FIG. 3.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voice call unit 197 includes a resistor RX for limiting an input current, resistors BR1, BR2, BR3, and BR4 constituting a resistance bridge, and a constant current source In. The resistors BR1, BR2, BR3, and BR4 constituting the resistance bridge satisfy the relationship BR1 * BR2 = BR3 * BR4, and the resistance value is determined such that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nstant current source In is 5mA. Therefore, side ton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a voice call is not generated.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헤드 셋(110)이 키보드 장치(100)에 접속된 경우 스위치(198)는 음성통화부(1 96)와 헤드 셋(110)이 접속되도록 스위칭 되고, 헤드 셋(110)이 미접속 된 경우에는 음성 통화부(196)와 마이크/스피커(120)가 접속되도록 스위칭 된다. 멜로디 발생부(198)는 마이크로 컴퓨터(160)의 제어에 따라 통화중 대기음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대기음 신호는 음성 통화부(196)와 브릿지 다이오드(BZ1)를 통해 전화 라인으로 출력된다. DTMF 발생부(199)는 마이크로 컴퓨터(160)의 제어에 따라 DTMF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DTMF 신호는 음성 통화부(196)와 브릿지 다이오드(BZ1)를 통해 전화 라인으로 출력된다.3, when the headset 110 is connected to the keyboard device 100, the switch 198 is switched so that the voice call unit 1 96 and the headset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110 is not connected, the voice call unit 196 and the microphone / speaker 120 are switched to be connected. The melody generating unit 198 generates a waiting sound signal during a cal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60, and the generated waiting sound signal is output to the telephone line through the voice calling unit 196 and the bridge diode BZ1. The DTMF generation unit 199 generates a DTMF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60, and the generated DTMF signal is output to the telephone line through the voice call unit 196 and the bridge diode BZ1.

다음은 도 2의 라인파워 공급회로(180)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라인파워 공급회로(180)의 상세 회로도이다.Next,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of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라인파워 공급회로(180)는 에미터 폴로워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Q3, Q4)에 의해 정전압/정전류를 발생하는 정전압/정전류 발생부(182),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BT), 배터리(BT) 전원이 역으로 방전되는 것을 막는 다이오드(D1), 배터리 전원 또는 정전압/정전류 발생부(182)의 전원을 라인 전원(LVcc)으로 출력시키는 트랜지스터(Q5),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185), SMPS(185)로부터 발생된 전원과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상호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다이오드들(D2, D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180 includes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182 for generating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by the transistors Q3 and Q4 constituting the emitter follower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BT. , A diode D1 that prevents the battery BT power from being discharged backward, a transistor Q5 that outputs the power of the battery power or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182 to the line power LVcc, and the switching mode power SMPS Supply) 185 and diodes D2 and D3 for preven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MPS 185 and the power input from the host system 200 from flowing back into each other.

정전압/정전류 발생부(182)는 에미터 폴로워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3, Q4)에 의해 정전압과 정전류를 만든다. 트랜지스터(Q3)에 흐르는 전류는 가변저항(VR1)에 의해 결정되며, 트랜지스터들(Q3, Q4)의 베이스간에 접속되는 콘덴서(C3)에 의해 음성통화부(197)에 의한 전류변화에 상응하는 반대 위상 성분의 바이어스 전압이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음성통화부(197)에서 소비되고 남은 잔류 전류가 트랜지스터들(Q3, Q4)을 통과하게 된다. 트랜지스터들(Q3, Q4)을 통과한 정전류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출력되는데, 배터리(BT)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 전류로 사용된다. 다이오드(D1)를 통과한 정전류는 트랜지스터(Q5)를 통해 라인 전원(LVcc)으로 출력된다. 이 라인 전원(LVcc)은 SMPS(185)로 제공된다.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182 generates constant voltage and constant current by the transistors Q3 and Q4 constituting the emitter followe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 Q3 is determined by the variable resistor VR1 and is opposite to the current change by the voice call unit 197 by the capacitor C3 connected between the bases of the transistors Q3 and Q4. The bias voltage of the phase component is applied. Therefore, the remaining current consumed in the voice call unit 197 passes through the transistors Q3 and Q4. The constant current passing through the transistors Q3 and Q4 is output through the diode D1 and used as a charging current when the battery BT needs to be charged. The constant current passing through the diode D1 is output to the line power supply LVcc through the transistor Q5. This line power supply LVcc is provided to the SMPS 185.

SMPS(185)는 발진부(186), 트랜스(187) 및, 정류부(188)로 구성된다. 발진부(186)는 라인 전원(LVcc)을 입력받아 발진하며, 발진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이상이며 불필요한 고조파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 대역의 주파수로 설계한다. 발진부(186)가 발진하면, 트랜스(187)에 의해 적정 전압 레벨로 변환된 전류가 정류부(188)로 제공된다. 정류부(188)는 트랜스(187)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정류하여 다이오드(D2)를 통해 전원 전압(Vcc)으로 출력한다. 발진부(186)는 아날로그 접지(AGND)에 접지되고, 정류부(188)는 디지털 접지(DGND)로 접지 되므로 아날로그 회로와 디지털 회로간에 상호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The SMPS 185 is composed of an oscillator 186, a transformer 187, and a rectifier 188. The oscillator 186 oscillates by receiving the line power supply LVcc, and the oscillation frequency is designed to be a frequency of a band in which the oscillation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audible frequency and unnecessary harmonic noise is not generated. When the oscillator 186 oscillates, the current converted by the transformer 187 to an appropriate voltage level is provided to the rectifier 188. The rectifier 188 rectifie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transformer 187 and outputs it as a power supply voltage Vcc through the diode D2. The oscillator 186 is grounded to the analog ground AGND, and the rectifier 188 is grounded to the digital ground DGND, thereby preventing mutual noise from occurring between the analog circuit and the digital circuit.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저항(R5)을 통해 후크 스위치(140)와 마이크로 컴퓨터(160)에 접속된다. 후크 스위치(140)는 3 접점(140a, 140b, 140c)을 갖는 스위치로서 제1 접점(140a)은 아날로그 접지(AGND)에 접속되고, 제2 접점(140b)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3 접점(140c)은 저항(R6)을 통해 전원 전압(Vcc)에 풀-업(pull-up)되어 있다. 후크 스위치(140a)는 정규 상태에서 제1 접점(140a)과 제2 접점(140c)이 접속되어 있고, 스위칭 될 때 제1 접점(140a)과 제2 접점(140b)이 접속된다.The base of transistor Q5 is connected to hook switch 140 and microcomputer 160 via resistor R5. The hook switch 140 is a switch having three contacts 140a, 140b, and 140c, and the first contact 140a is connected to the analog ground AGND, and the second contact 140b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R5 through the resistor R5. It is connected to the base of Q5). The third contact 140c is pulled up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hrough the resistor R6. The hook switch 140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140a and the second contact 140c in a normal stat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140a and the second contact 140b when switched.

후크 스위치(140)가 스위칭 되는 순간 트랜지스터(Q5)가 턴 온 되어 배터리(BT)의 전원이 라인 전원(LVcc)으로 공급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 구동부(194)의 스위치(SW1)가 후크 스위치(140)와 연동하여 래치 릴레이(191)가 동작한다. 그러므로 통화로가 구성된다. 그리고 배터리(BT)에 의해 공급되는 라인 전원(LVcc)은 SMPS(185)로도 제공되어 전원 전압(Vcc)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호스트 시스템(200)이 파워 오프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60)의 초기 구동 전원으로도 사용된다. SMPS(185)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호스트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5V 전압보다 조금 낮게 설정하여, 호스트 시스템(200)이 파워 온된 상태에서는 호스트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5V 전원이 전원 전압(Vcc)으로 사용되도록 한다.As soon as the hook switch 140 is switched,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n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BT is supplied to the line power supply LVcc.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SW1 of the relay driver 194 is hooked. The latch relay 191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witch 140. Therefore, a currency path is constructed. The line power supply LVcc supplied by the battery BT is also provided to the SMPS 185 to generate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which is an initial stage of the microcomputer 160 when the host system 200 is powered off. It is also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SMPS 185 is set to be slightly lower than the 5V voltage provided by the host system 200. When the host system 200 is powered on, the 5V power provided by the host system 200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be used).

후크 스위치(140)가 스위칭 되어 후크 오프 상태로 되면 마이크로컴퓨터(160)는 트랜지스터(Q5)를 턴 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로우 레벨의 신호를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 단자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정전압/정전류 발생부(182)에서 발생된 정전류가 SMPS(185)로 계속해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해서, 호스트 시스템(200)이 파워 오프 된 상태에서도 마이크로 컴퓨터(160)를 포함하는 디지털 회로들이 SMPS(185)에서 제공하는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When the hook switch 140 is switched to the hook-off state, the microcomputer 160 transmits a low level signal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Q5 through the resistor R5 to keep the transistor Q5 turned on. to provide. Therefore, the constant current generated by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182 continues to be supplied to the SMPS 185. In this way, the digital circuits including the microcomputer 160 are supplied with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provided by the SMPS 185 even when the host system 200 is powered off.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내장 컴퓨터 키보드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omputer built-in phone keyboard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기 내장형 키보드 장치는 라인 파워 기술을 채용함으로서 호스트 시스템이 파워 오프 상태 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전화기가 필요하지 않다. 전화기 모드에서 통화로가 연결된 후 다시 키보드로 변경하여 키보드 사용과 전화 통화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전화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전화 기능 제어와 키보드 기능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각기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므로 장치의 제조단가 또한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hone embedded keyboard device can be used even when the host system is powered off by adopting the line power technology,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hone. After the call is connected in phone mode, you can switch back to the keyboard to use the keyboard and make phone call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re provided to provide a user with a more convenient phon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by using a single microcomputer rather than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elephone functions and keyboard functions.

Claims (8)

호스트 시스템의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In the keyboard device used as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host system: 전화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키보드 장치에 내장되는 전화기 회로;Telephone circuitry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and embedded in the keyboard device;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없을 때, 상기 전화기 회로를 통해 전화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라인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 장치의 동작 전원을 발생하는 라인파워 공급회로 및;A line power supply circuit for generating operational power of the keyboard device using line power input from a telephone line through the telephone circuit when there is no power supply from the host system; 키매트릭스의 키 입력에 따른 스캔 코드 발생하여 상기 호스트로 입력하는 키보드 입력 제어 및 상기 전화기 회로의 제어를 포함하는 상기 키보드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And a microcomputer configured to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keyboard device including a keyboard input control generated by a scan code according to a key input of a key matrix and input to the host and a control of the telephone circuit.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보드 장치는 단축 다이얼 번호, 사용자 정의 전화 번호부를 포함하는 전화기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The keyboard device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telephone related data including speed dial numbers, user defined phone books,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키 매트릭스의 입력에 따라 스캔 코드를 발생하여 상기 호스트로 입력하는 키보드 모드와 상기 전화기 회로를 이용한 전화 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전화기 모드를 갖고, 상기 전화기 모드에서 상기 키 메트릭스의 키 입력 각각에 단축 다이얼 기능과 전화번호부의 작성, 편집, 그리고 삭제 기능과, 문자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기 기능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The microcomputer has a keyboard mode for generating a scan c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key matrix and inputting it to the host, and a phone mode for controlling a telephone call function using the phone circuit. In the phone mode, key input of the key matrix is performed. A keyboard built-in keyboard device, which is used for each of a speed dial function, a phone book creation, editing, and deletion function, and a phone function for performing a text service func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키보드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고,The keyboard device includes a mode change switch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 키보드 모드 또는 상기 전화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And the microcomputer is set to either the keyboard mode or the telephone m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ode change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화기 회로는:The telephone circuit is: 상기 전화 라인에 접속되어 통화로를 연결/차단하는 릴레이 및;A relay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to connect / block a call path; 후크 스위치와 연동하고, 상기 후크 스위치가 후크 오프 상태로 스위칭 될 때 통화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릴레이를 스위칭 동작시키는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And a relay driver for interlocking with a hook switch and switching the relay so that a call path is connected when the hook switch is switched to a hook-off st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릴레이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입력이 유지되지 않아도 그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타입(latch typ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And the relay is of a latch type for maintaining a switching state even if an input of a switching control signal is not maintai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라인파워 공급회로는: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is: 상기 전화기 회로에서 사용되고 남은 여유 전류를 이용하여 정전압/정전류를 발생하는 정전압/정전류 발생부;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by using the spare current remaining in the telephone circuit;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정전압/정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 장치의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및;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keyboard device using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ed by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와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사이의 전류 패스 상에 구성되고, 후크 오프 상태에서 전류 패스가 접속되도록 스위칭 되고, 후크 온 상태에서 전류 패스가 차단되도록 스위칭 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A switching means configured on a current path between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and the switched mode power supply, switched to connect the current path in a hook-off state, and switched to block the current path in a hook-on state. A keyboard device with a built-in telephon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라인파워 공급회로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comprises a rechargeable battery,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정전류에 의해 충전되고, 후크 스위치의 후크 오프 스위칭 동작시 통화로 구성에 따른 초기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And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output from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and provides initial operation power according to a call path during the hook-off switching operation of the hook switch.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라인파워 공급회로는:The line power supply circuit is: 상기 정전압/정전류 발생부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막는 제1 다이오드;A first diode connected between the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generator and the battery to prevent discharge of the battery;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2 다이오드 및;A second diode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switched mode power supply to prevent a current supplied from the host system from flowing in;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내장 키보드 장치.And a third diode configured on a power line provided from the host system to prevent a current output from the switched mode power supply from flowing into the host system.
KR1020000015161A 2000-03-24 2000-03-24 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KR100354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61A KR100354985B1 (en) 2000-03-24 2000-03-24 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61A KR100354985B1 (en) 2000-03-24 2000-03-24 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751A KR20000053751A (en) 2000-09-05
KR100354985B1 true KR100354985B1 (en) 2002-10-11

Family

ID=1965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161A KR100354985B1 (en) 2000-03-24 2000-03-24 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98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28A (en) * 1993-07-24 1995-02-18 원용범 Automatic dialing method by inputting a combination of initial sign key and device
KR19990007717A (en) * 1998-10-24 1999-01-25 임중필 Computer keyboard with phone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828A (en) * 1993-07-24 1995-02-18 원용범 Automatic dialing method by inputting a combination of initial sign key and device
KR19990007717A (en) * 1998-10-24 1999-01-25 임중필 Computer keyboard with phon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751A (en)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1118C (en) Selecting flip phone operating mode using flip position
US4860342A (en) Computer-telephon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US4899372A (en) Multi use telephone extension control circuit and device providing lockout for privacy
KR20020024817A (en) Detection of flip closure state of a flip phone
JP2003134204A (en) Mobile phone
KR100354985B1 (en) Keyboard having multi-function telephone using line power
KR0165197B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3202724B2 (en) Mobile terminal
KR100874780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telephone
JPS5888959A (en) Power supply circuit of subscriber terminal
KR200247488Y1 (en) Telephone
US6445789B1 (en) Telephone having hand-set to be used also as voice input/out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KR200163680Y1 (en) A cellular phone
KR890004369Y1 (en) Tone and pulse dial transmitting circuit
JP2003289365A (en) Internet telephone set
KR940007911B1 (en) Automatic melody changing circuit
JP3005438B2 (en) Speech network circuit
KR100795739B1 (en) Selecting flip phone operating mode using flip position
KR100372296B1 (en) Telephone with memory
KR100375508B1 (en) Charger circuit in mobile terminal
KR20040001651A (en)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phone and method of working thereof
CN1065097C (en) Telephone dial phonetic device
KR200230857Y1 (en) Automatic dialing module apparatus for telephone
JP3486237B2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980007318A (en) Telephone whose incoming tone changes depending on the caller's cho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