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037B1 -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 Google Patents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037B1
KR100352037B1 KR1020000007231A KR20000007231A KR100352037B1 KR 100352037 B1 KR100352037 B1 KR 100352037B1 KR 1020000007231 A KR1020000007231 A KR 1020000007231A KR 20000007231 A KR20000007231 A KR 20000007231A KR 100352037 B1 KR100352037 B1 KR 10035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ip
horizontal
vertical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529A (ko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수 filed Critical 최종수
Priority to KR102000000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0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의 단층과 단층을 이루는 수평면와 수직면을 일체로 시공할 수 있게 하는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에 관한 것으로, 계단 기초부에 형성된 각각의 단층들 중 하측 단층의 수평상면 위에 설치되며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과, 상기 하측 단층의 바로 위에 형성된 상측 단층의 수직전면 앞에 설치되며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을 일체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직블럭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논스립의 후단은 미끄럼방지돌기가 없는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블럭과의 이격간격이 좁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수직블럭의 이면에서 짧게 돌출시키고, 또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 선단에는 상기 수평블럭에 매설되는 앵커편과 상기 수평블럭의 상면과 수평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블럭의 논스립 후단에 걸쳐지는 걸침돌편이 있는 보조앵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Sectional block of stair uniformed vertical block attached non-slip and horizontal block attached non-slip anchor}
본 발명은 계단의 단층과 단층을 이루는 수평면와 수직면을 일체로 시공할 수 있게 하는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계단의 기초부에 수직전면부와 수평전면부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논스립이 계단의 각 단층 선단에 설치되게 하는 구조로 시공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시멘트 몰탈이나 인조석 몰탈로서 계단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도 8의 도시예와 같이 계단 기초부(100)의 각 단층을 이루고 있는 수직전면(101)과 수평상면(102) 각각에 시멘트 몰탈이나 인조석 몰탈(201)(202)로 미장하면서 계단의 각 단층 선단에 논스립(300)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멘트 몰탈 또는 인조석 몰탈(201)(202)로 시공하는 이른바 습식시공공법은 시멘트 몰탈 또는 인조석 몰탈(201)(202)을 작업자의 미장작업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수직전면(101) 및 수평상면(102)에 미장되는 시멘트 몰탈 또는 인조석 몰탈(201)(202)의 미장면이 정확한 수직면 및 수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굴곡지게 미장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시멘트 몰탈 또는 인조석 몰탈(201)(202)을 미장하면서 논스립(300)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논스립(300)가 정확한 수직 및 수평상태로 설치되지 않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계단의 기초부(100)에 시공되는 몰탈이 인조석 몰탈(201)(202)인 경우에는 게단 기초부(100)의 수직전면(101)측에 미장되는 인조석 몰탈(201)은 시멘트와 배합되는 인조석 입자의 크기가 아주 작은 것을 사용해야 하는 반면에 수평상면(102)에 미장되는 인조석 몰탈(202)의 인조석 입자는 큰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수직전면(101)에 미장된 인조석 몰탈(201)의 표면에 표출되는 작은 인조석 입자와 상기 수평상면(102)에 미장된 인조석 몰탈(202)의 표면에 표출되는 큰 인조석 입자들의 크기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게 되어 계단을 시공완료 후 수직전면(101)과 수평상면(102)의 인조석 몰탈(201)(202)의 표면에 나타나는 인조석 입자무늬가 다르게 나타나 계단의 외관에서 표현되는 미감이 좋지 못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는 계단의 기초부(100)의 수직전면(101)과 수평상면(102)을 동시에 덮어주도록 시공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제 인조석(일명 마블)을 소재로 하여 "ㄱ"자형으로 성형되는 앵글형 블럭(400)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84-2660호로 소개된 바 있는데, 이러한 앵글형 블럭(400)의 경우는 계단 기초부(100)의 각 단층을 이루는 수직전면(101)측과 수평상면(102)측에 시멘트 몰탈(500)을 채워넣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시멘트 몰탈(500) 공동현상없이 충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계단 기초부(100)의 수직전면(101) 및 수평상면(102)과 앵글형 블럭(400) 사이에 시멘트몰탈(500)이 제대로 충진되지 않고 빈 공간이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앵글형 블럭(400)의 설치상태가 불안정해져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본 발명자에 의하여 선발명된 등록실용신안 제 116314 호, 동 제 127132 호 외 다수의 발명으로서 논스립이 일체로 부착된 수직블럭은 계단 기초부의 수직전면만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는 반면에 계단 기초부의 수평상면은 인조석 몰탈을 타설하여 미장하는데 따른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계단 기초부의 각 단층과 단층을 이어주는 하측 단층의 수평상면과 상측 단층의 수직전면을 동시에 마감시공할 수 있도록 수평블럭과 수직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조립식 블럭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의 선단에는 수직블럭의 상단에 부착된 논스립의 후단에 밀착됨과 동시 그 후단 상면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보조앵커를 일체로 부착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보조앵커가 논스립의 후단과 수평블럭의 선단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현상을 없애줌과 동시 상기 논스립의 후단에 걸쳐지는 보조앵커의 걸침돌편이 상기 논스립의 상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기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므로서 마치 논스립과 보조앵커가 일체로 결합된 것과 같이 시공되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직블럭 상단에 부착되는 논스립은 그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두개만 형성되어 있는 폭이 좁은 것을 사용하므로서 계단 기초부의 수직전면과 조립식 블럭의 수직블럭 사이에 형성된 타설공간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여 시멘트 몰탈의 타설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 계단 기초부의 각 단층에 조립식 블럭을 시공할 때 잎서 설치된 하측 단층의 조립식 블럭의 수직블럭과 상측 단층에 설치되는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과의 설치간격이 좁은 상태가 되게 하여 조립식 블럭의 시공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계단 기초부에 형성된 각각의 단층들 중 하측 단층의 수평상면 위에 설치되며 선단에는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과, 상기 하측 단층의 바로 위에 형성된 상측 단층의 수직전면 앞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직블럭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논스립의 후단은 미끄럼방지돌기가 없는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블럭과의 이격간격이 좁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수직블럭의 이면에서 짧게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 선단에 부착된 보조앵커는 상기 수평블럭에 매설되는 앵커편과 상기 수평블럭의 상면과 수평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블럭의 논스립 후단에 걸쳐지는 걸침돌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을 일부 단면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의 시공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의 계단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블럭 11 : 수평블럭
12 : 수직블럭 2 : 계단 기초부
21 : 하측 단층 22 : 상측 단층
21a,22a : 수평상면 21b,22b : 수직전면
3 : 보조앵커 31 : 앵커편
32 : 걸침돌편 33 : 전면커버부
4 : 논스립 41 : 전면부
42 : 앵커 43 : 후단
44 : 미끄럼방지돌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을 일부 단면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의 시공상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의시공 공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조립식 블럭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부호 2는 계단 기초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조립식 블럭(1)은 수평블럭(11)과 수직블럭(1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되는 것인데, 상기 조립식 블럭(1)의 수평블럭(11)은 상기 계단 기초부(2)에 단계적으로 형성되는 단층들 중 하측에 위치한 하측 단층(21)의 수평상면(21a) 위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조립식 블럭(1)의 수직블럭(11)은 상기한 하측 단층(21)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측 단층(22)의 수직전면(22b) 앞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조립식 블럭(1)의 수평블럭(11)의 선단에는 앵커편(31)이 매설되는 한편 상기 수평블럭(1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되는 걸침돌편(32)이 일체로 형성된 보조앵커가(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 블럭(1)의 수직블럭(12) 상단에는 전면부(41)가 전면으로 표출되게 매설되고 앵커(42)는 완전히 매설된 상태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논스립(4)이 설치되는데, 상기 논스립(4)은 폭을 좁게 구성하여 수직블럭(12)의 이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43)이 짧게 돌출되도록 형성하며, 또한 상기 논스립(4) 자체의 폭이 좁으므로 그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44)가 두개만 형성되게 하는 한편 상기 수직블럭(12)의 이면측으로 짧게 돌출된 후단(43)의 상면은 평탄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조립식 블럭(1)의 수평블럭(11) 선단에 설치된 보조앵커(3)의 걸침돌편(32)의 두께와 폭은 논스립(4)의 상면에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44)의 높이및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수단으로 상기 보조앵커(3)의 걸침돌편(32)을 논스립(4) 후단(44) 위에 걸쳐지게 설치하였을 때 상기한 걸침돌편(32)이 마치 논스립(4)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특징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블럭(1)의 수평블럭(11) 선단에 부착되는 보조앵커(3)는 상기 수평블럭(11)에 매설되는 앵커편(31)과 논스립(4)의 후단(43)에 걸쳐지는 걸침돌편(32) 및 도 7과 같이 수평블럭(11) 전면 전체를 커버하는 전면커버부(33)를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보조앵커(3)에 전면커버부(33)를 형성한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주에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으로 계단 기초부(2)를 마감시공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식 블럭(1)를 계단 기초부(2)의 각 단층에 시공함에 있어서는 계단 기초부(2)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단층에서부터 순서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시공방법이다.
상기 조립식 블럭(1)을 설치하는 시공공정을 도 3 내지 도 6의 도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예와 같이 계단 기초부(2)의 하측 단층(21)의 수직전면(21b)에는 앞서 설치된 조립식 블럭(1)의 수직블럭(12)이 몰탈타설공간(5)을 형성한 상태로 시공되어 있게 되며, 또한 이와 같이 하측 단층(21)의 수직전면(21b) 앞에 설치된 수직블럭(12)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논스립(4)의 후단(43)은 짧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몰탈타설공간(5)의 상방은 시멘트 몰탈(6)을 타설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방된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몰탈타설공간(5)으로 시멘트 몰탈(6)을 타설하여 도 4의 도시예와 같이 시멘트 몰탈(6)을 상기한 몰탈타설공간(5)에 타설하여 충진시킴과 동시 하측 단층(21)의 수평상면(21a)에도 적당한 두께로 타설하여 미장하는데, 이때 수평상면(21a)에 시멘트 몰탈(6)을 타설할 때 시멘트 몰탈(6)이 수직블럭(4)의 상단에 부착되어 이면으로 짧게 돌출된 후단(43) 밑에까지 충진되는 상태로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하측 단층(21)의 수직전면(21b)에 형성된 몰탈타설공간(5)과 수평상면(21a) 위에 적당한 두께로 시멘트 몰탈(6)을 타설하고 이어서 흙손 등으로 수평하게 미장을 완료한 다음에는 도 5의 도시예와 같이 조립식 블럭(1)의 수평블럭(11)을 하측 단층(21)의 수평상면(21a) 위에 설치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수평블럭(11)의 선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보조앵커(3)의 걸침돌편(32)이 수직블럭(12) 상단에 일체로 부착된 논스립(4)의 후단(43) 상면에 걸쳐지는 상태로 설치하면서 수평블럭(11)의 수평을 맞추어주게 되면 하측 단층(21)에 조립식 블럭(1)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측 단층(21)의 수평상면(21a) 위에 수평블럭(11)을 수평하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수평블럭(11)과 일체로 형성된 수직블럭(12)은 자동적으로 수직을 이루게 됨과 동시 상기 수직블럭(12)은 상측 단층(22)의 수직전면(22b)와의 사이에 몰탈타설공간(5)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예와 같이 하측 단층(21)의 수평상면(21a) 위에 설치된조립식 블럭(1)의 수직블럭(12)과 상측 단층(22)의 수직전면(22b) 사이에 형성된 몰탈타설공간(5)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멘트 몰탈(6)을 타설하여 충진시키면서 상측 단층(22)의 수평상면(22a)에도 적당한 두께로 타설하고 흙손으로 수평하게 미장한 다음 다시 상측 단층(22)의 수평상면(22a) 위에 조립식 블럭(1)의 수평블럭(11)을 수평하게 설치하는데, 이때에도 수평블럭(11)의 선단에 부착된 보조앵커(3)의 걸침돌편(32)이 논스립(4)의 후단(43) 상면에 걸쳐지게 하면서 수평블럭(11)을 설치하는 수단을 반복하여 계단 기초부(2)의 각 단층을 조립식 블럭(1)을 조립식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계단 기초부(2)의 각 단층에 단계적으로 조립시공되는 조립식 블럭(1)들은 하측 단층(21)의 수평상면(21a)에 설치된 하측 조립식 블럭(1)의 수직블럭(12) 상단의 논스립(4)과 상측 단층(22)의 수평상면(22a) 위에 설치된 상측 조립식 블럭(1)의 수평블럭(11) 선단의 보조앵커(3)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 것과 같이 시공되므로서 계단 전체가 일체감있게 시공되는 특징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조립식 블럭(1)의 수직블럭(12) 상단에 일체로 부착된 논스립(4)은 그 후단(43)이 짧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계단 기초부(2)의 하측 단층(21)에 설치된 수직블럭(12)의 상단과 상측 단층(22)에 설치된 수평블럭(11)의 선단과의 이격공간이 좁아진 상태가 되어 조립식 블럭의 부착강도가 높아지게 되는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계단 기초부 각각의 단층을 단계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수평상면과 수직전면을 조립식 블럭으로 시공함에 있어 상기 조립식 블럭을 계단 기초부의 하측 단층의 수평상면 위에 설치되는 수평블럭과, 계단 기초부의 상측 단층의 수직전면 앞에 설치되는 수직블럭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을 상기한 계단 기초부의 하측 단층의 수평상면 위에 설치하였을 때 조립식 블럭의 수직블럭은 계단 기초부의 상측 단층의 수직전면 앞에 몰탈타설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되게 함과 동시 상기한 몰탈타설공간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므로서 시멘트 몰탈의 타설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충진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 선단에 부착된 보조앵커의 걸침돌편은 수직블럭 상단에 부착된 논스립의 후단 상면에 걸쳐진 상태로 시공되므로 상기한 논스립의 후단이 정확한 직진도를 가지지 않고 미세하게 휘어져 있는 상태일 경우에도 상기한 논스립과 보조앵커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한편 상기 보조앵커의 걸침돌편이 논스립의 후단에 일체로 돌출된 것처럼 나타나게 되어 상기 걸침돌편이 마치 논스립 후단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다주며, 이와 같이 시공된 조립식 블럭들은 계단 기초부의 각 단층에 일체적으로 시공된 것처럼 일체감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은 계단 기초부의 각 단층들의 수평상면에 수평블럭을 수평하게 설치하게 되면 수직블럭은 자동적으로 상측 단층의 수직전면 앞에 수직으로 설치되게 되므로 본 발명자에 의하여 선발명된 계단의 조립식 수직블럭과 같이 수직블럭 이면에 앵커편을 형성하는 구성과 수직블럭 하단에 높이조절구를 형성시키는 구성을 생략하게 되더라도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수직블럭을 수직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 조립식 블럭의설치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계단의 마감시공 공기를 단축시키는데 기여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계단 기초부에 형성된 각각의 단층들 중 하측 단층의 수평상면 위에 설치되며 선단에는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과, 상기 하측 단층의 바로 위에 형성된 상측 단층의 수직전면 앞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직블럭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논스립의 후단은 미끄럼방지돌기가 없는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블럭과의 이격간격이 좁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수직블럭의 이면에서 짧게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블럭의 수평블럭 선단에 부착된 보조앵커는 상기 수평블럭에 매설되는 앵커편과 상기 수평블럭의 상면과 수평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블럭의 논스립 후단에 걸쳐지는 걸침돌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 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KR1020000007231A 2000-02-16 2000-02-16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KR10035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31A KR100352037B1 (ko) 2000-02-16 2000-02-16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31A KR100352037B1 (ko) 2000-02-16 2000-02-16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529A KR20010083529A (ko) 2001-09-01
KR100352037B1 true KR100352037B1 (ko) 2002-09-11

Family

ID=1964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31A KR100352037B1 (ko) 2000-02-16 2000-02-16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89B1 (ko) * 2000-06-09 2003-12-31 최종수 전반부와 후반부로 분할 구성된 논스립
KR100888072B1 (ko) * 2008-11-04 2009-03-11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끼움식데크를 이용한 산책로 포장용 발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529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24775A (zh) 木混结构攒尖仿古亭及其施工方法
US3968191A (en) Method of setting tile and forming swimming pool deck
KR100352037B1 (ko) 논스립이 부착된 수직블럭과 논스립 보조앵커가 부착된수평블럭이 일체로 형성된 계단의 조립식 블럭
CN215858185U (zh) 一种反打预制阳台、其生产模具及含有其的建筑
KR100341075B1 (ko) 계단의 조립식 블럭
KR0138042Y1 (ko) 논스립과 전면미장판이 일체로 부착된 계단용 조립식 수직블럭
KR200285302Y1 (ko) 계단의 조립식 테라조
KR100352034B1 (ko) 논스립과 전면미장판이 일체로 부착된 계단의 조립식 수직블럭
KR100352036B1 (ko) 계단의 조립식 시공구조
KR200284037Y1 (ko) 계단의 조립식 테라조
KR100459598B1 (ko) 계단의 마감시공용 원가절감형 논스립이 일체로 형성된수직블럭
US3845598A (en) Method and system of forming precast garden steps
JP2586921B2 (ja) コンクリート製階段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2648116A (en) Method of making hollow monolithic concrete slabs
KR100412289B1 (ko) 전반부와 후반부로 분할 구성된 논스립
JP5667351B2 (ja) 蹴込み階段
KR0127132Y1 (ko) 논스립이 일체로 부착된 계단용 조립식 수직블럭
KR200222077Y1 (ko) 조립식 수직블럭으로 시공되는 계단의 미장구조
US20230013122A1 (en)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Wall Structure
US20220213702A1 (en) Concrete form and related method of creating a cantilever reveal
KR200287105Y1 (ko) 계단시공용 조립식 테라조의 마감형재
KR200285277Y1 (ko) 계단용 마감패널
JP2922540B2 (ja) 玄関土間の施工方法
KR200234131Y1 (ko) 프리패브 철근콘크리트 계단블록
KR20090003849A (ko) 조립식 계단 논스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