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667B1 -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667B1
KR100351667B1 KR1020000026605A KR20000026605A KR100351667B1 KR 100351667 B1 KR100351667 B1 KR 100351667B1 KR 1020000026605 A KR1020000026605 A KR 1020000026605A KR 20000026605 A KR20000026605 A KR 20000026605A KR 100351667 B1 KR100351667 B1 KR 10035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control
unit
repelling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141A (ko
Inventor
우상엽
Original Assignee
우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엽 filed Critical 우상엽
Priority to KR102000002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66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영역의 물체를 인식하며, 물체인식결과 침입자로 판단될 경우 자동 격퇴 가능토록 한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기 설정된 감시영역내의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이동물체 감지수단;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발사하는 격퇴수단; 상기 이동물체 감지수단에 의해 감시영역내의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이동물체의 좌표를 추적하고, 추적된 좌표위치로 발사되도록 상기 격퇴수단을 제어하는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동물체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 격퇴하는 기능을 갖게 됨으로써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의 성능 개선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A MOVING SOMETHING}
본 발명은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영역의 물체를 인식하며, 물체인식결과에 따라 이동물체를 자동으로 격퇴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은 CCD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결과를 관리자가 직접 모니터링 하여 외부 침입자가 있거나 또는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경고방송을 하거나 또는 이에 대처하도록 되어 있을 뿐 침입자를 자동으로 격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무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도 역시 침입자 발생시 경고등을 점등하거나 또는 경고방송을 하여 침입자에게 경고할 수 있을 뿐 자동으로 침입자를 격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영역의 물체를 인식하며, 물체인식결과 침입자로 판단될 경우 자동 격퇴 가능토록 한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이동물체 감지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통제소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이동물체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물체 감지기 200 : 통제소
300 : 발사기 101 : CCD 카메라
102 : 적외선 카메라 103 : A/D변환기
104 : 프레임 메모리 105,204 : 제어부
106, 202 : 저장부 107 : 전송부
201 : 수신부 203 : 표시부
205 : 송신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은,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기 설정된 감시영역내의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이동물체 감지수단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발사하는 격퇴수단과; 상기 이동물체 감지수단에 의해 감시영역내의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이동물체의 좌표를 추적하고, 추적된 좌표위치로 발사되도록 상기 격퇴수단을 제어하는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이동물체 감지기(100), 통제소(200), 발사기(300)로 구성되며, 상기 각부(100-300) 무선 또는 유선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물체 감지기(100)는 CCD 카메라(101) 또는 적외선 카메라(102)에서 출력되는 화상정보로부터 감시영역내의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야간 감시영역내의 물체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101) 및 적외선 카메라(102)와, 상기 CCD 카메라(101)와 적외선 카메라(102)에서 촬영된 화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03)와, 상기 A/D변환기(103)의 출력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104)와, 상기 A/D변환기(103)의 출력과 프레임 메모리(104)의 출력을 비교하여 현재화면과 이전화면의 변화를 감지하며,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CCD 카메라(101) 또는 적외선 카메라(102)를 줌 인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CCD 또는 적외선 카메라(101),(102)로부터 출력되는 줌 인 모드의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6)와,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줌 인 모드로 촬영된 화상신호를 상기 통제소(200)로 전송하는 전송부(1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제소(200)는 이동물체 감지기(100)에 의해 감시영역내의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이동물체의 좌표를 추적하고, 추적된 좌표위치로 상기 발사기(300)의 탄알 또는 페인트 볼(Paint Ball) 등이 발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물체 감지기(100)의 전송부(107)를 통해 전송되는화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01)와, 상기 감시영역내의 기본 좌표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202)와, 상기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03)와, 상기 저장부(202)에 저장된 기본 좌표값을 바탕으로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되는 이동물체의 좌표를 인식하여 상기 발사기(3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4) 및 송신부(205)와 도시하지 않은 키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203)는 모니터이다.
그리고 상기 발사기(300)는 상기 통제소(200)의 제어에 따라 자동 발사하는 소총이거나 페인트 볼 발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감시하고자 하는 소정의 감시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CCD 카메라(101)와 적외선 카메라(102)를 설치한다. 주간에는 CCD 카메라(101)가 동작되도록 하고 야간에는 적외선 카메라(102)가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고, CCD 카메라(101)와 적외선 카메라(102)를 주야간 모두 동작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는 A/D변환기(103)와 프레임 메모리(104)를 CCD 카메라(101)와 적외선 카메라(102) 각각에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CCD 카메라(101) 또는 적외선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는 A/D변환기(103)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프레임 메모리(104)를 거쳐 소정 시간 딜레이 된 후, 제어부(105)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5)에서는 상기 A/D변환기(103)의 출력과 프레임 메모리(104)를 거쳐 출력된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현재화면과 이전화면의 변화를 검출한다.
즉, 상기 프레임 메모리(104)의 출력이 도 4의 (a)와 같고, A/D변환기(103)의 출력이 도 4의 (b)와 같을 경우, 상기 제어부(105)는 이전화면(프레임 메모리(104)의 출력)과 현재화면(A/D변환기(103)의 출력)으로부터 물체의 움직임(도 4 (c)의 k)을 감지한다.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CCD 카메라(101) 또는 적외선 카메라(102)를 줌 인 모드로 제어한다.
따라서 CCD 카메라(101)나 적외선 카메라(102)는 줌 인 모드로 전환되어 이동물체를 확대하여 촬영하게 되며, 이 촬영된 화상정보는 A/D변환기(103)를 거쳐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전송부(107)를 통해 통제소(20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CCD 카메라(101) 및 적외선 카메라(102)로부터 얻어지는 모든 화상정보가 통제소(200)로 전송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줌 인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확대 촬영된 화상정보는 추후 이용될 수 있도록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06)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부(106)는 통제소(200)에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전송부(107)를 통해 전송된 화상정보는 통제소(200)의 수신부(201)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203)에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표시부(203)에 표시된 이동물체의 화상정보부터 이동물체가 동물인지 또는 사람인지 판단하여 침입자로 판단될 경우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감시영역이나 감시영역 부근에 설치되어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게 됨) 등을 통해 경고방송이나 기타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경고음의 출력 후에도 이동물체가 반응이 없으면 관리자는 도시하지 않은 키 입력부의 키 입력을 통해 상기 발사기(300)에 발사신호를 출력하여 발사기(300)에 장착된 총탄 또는 페인트 볼 등이 발사되도록 하여 침입자를 격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4)는 이동물체의 격퇴를 위해 이동물체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하여야 한다. 위치 인식은 저장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감시영역내의 기본 좌표값을 바탕으로 수신된 이동물체의 좌표 분석을 통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군사용이나 민생용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감시영역의 물체를 인식하고, 물체인식결과에 따라 침입자로 판단될 경우 자동 격퇴함으로써 보완을 위해 이동물체를 감시하는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기 설정된 감시영역내의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이동물체 감지수단과;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발사하는 격퇴수단과; 상기 이동물체 감지수단에 의해 감시영역내의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이동물체를 추적하여 이에 따라 상기 격퇴수단을 제어하는 통제수단을 구비하는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제수단은 상기 이동물체 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감시영역내의 기본 좌표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화상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본 좌표값을 바탕으로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이동물체의 좌표를 인식하여 상기 격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6. 삭제
KR1020000026605A 2000-05-18 2000-05-18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KR10035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605A KR100351667B1 (ko) 2000-05-18 2000-05-18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605A KR100351667B1 (ko) 2000-05-18 2000-05-18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41A KR20000050141A (ko) 2000-08-05
KR100351667B1 true KR100351667B1 (ko) 2002-09-11

Family

ID=1966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605A KR100351667B1 (ko) 2000-05-18 2000-05-18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180A (ko) * 2001-11-21 2001-12-20 주식회사 나노스타스 움직임 추적 감시 및 격퇴 시스템
KR100825091B1 (ko) * 2007-03-05 2008-04-25 구자효 형상 인식형 조수 퇴치시스템
KR200474916Y1 (ko) * 2012-11-21 2014-10-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상 강도 퇴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41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542B1 (ko)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US200801017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amera viewpoint based on alarm event or condition
JP2005338967A (ja) 監視システム
US8717439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586962B1 (ko)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40518A (ko)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0953029B1 (ko)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20130068343A (ko) 지능적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기반의 다중 ptz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KR100948195B1 (ko) 영상 보안 시스템
KR100351667B1 (ko) 이동물체 감시 시스템
KR100347300B1 (ko) 영상 화재 감지장치
KR101131469B1 (ko) 지역방범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50136226A (ko)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8219452A (ja) カメラ監視装置
KR20150049595A (ko) 위급상황 경보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KR100930999B1 (ko) 이동형 영상감시시스템
KR200336569Y1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200388526Y1 (ko)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장치
KR101372862B1 (ko)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