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624B1 - 컬러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컬러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624B1
KR100350624B1 KR1020000080447A KR20000080447A KR100350624B1 KR 100350624 B1 KR100350624 B1 KR 100350624B1 KR 1020000080447 A KR1020000080447 A KR 1020000080447A KR 20000080447 A KR20000080447 A KR 20000080447A KR 100350624 B1 KR100350624 B1 KR 100350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damper wire
damper
vibra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412A (ko
Inventor
김성대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624B1/ko
Priority to US09/933,895 priority patent/US20020121852A1/en
Priority to JP2001286681A priority patent/JP2002208359A/ja
Priority to CN01137017A priority patent/CN1359129A/zh
Publication of KR2002005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8Mitigating undesirable mechanical effects
    • H01J2229/0744Vibration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텐션타입 섀도우마스크의 댐퍼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이 설치된 패널과, 일정 곡률을 갖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섀도우마스크와, 댐퍼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섀도우마스크 상에 장착되는 댐퍼 와이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 끝단 곡률의 접선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댐퍼 스프링에 고정되는 댐퍼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연장선상 또는 상기 연장선의 패널 방향 상부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섀도우마스크의 하울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섀도우마스크의 눌림 현상이나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그릴(Grill) 타입 섀도우마스크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 인한 그릴의 어긋남 발생 후에 회복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음극선관{A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텐션타입 섀도우마스크를 갖는 컬러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으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저감하기 위하여 댐퍼 와이어를 섀도우마스크의 위쪽에 접촉하도록 가로 질러 설치하는 텐션타입 섀도우마스크 댐퍼 와이어의 고정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패널(1)이라고 하는 전면 유리와 펀넬(2)이라고 하는 후면 유리가 결합되어 진공의 공간을 형성하고, 패널의 내측면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4)이 있어 발광 역할을 하게 된다. 형광면을 발광시키기 위한 전자빔(6)을 발생시키는 전자총이 펀넬의 네크부에 결합되고,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를 각각 발광시키도록 색을 선별해 주는 기능을 하는 섀도우마스크(3)가 패널의 내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며, 상기 섀도우마스크(3)를 패널에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7)과 스프링(8)이 존재한다. 또한 음극선관이 동작 중 외부 지자계의 영향을 작게 받도록 차폐 역할을 해주는 인너쉴드(9)가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브라운관은 내부가 고 진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쉽게 폭발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1)이 대기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강도를 갖도록 설계를 한다. 또한 패널(1)의 스커트(Skirt)에 보강 밴드(11)를 장착함으로써 고 진공 상태의 브라운관이 받는 응력을 분산하여 내 충격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칼라 음극선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패널(2)의 네크부에 내장된 전자총의 전자빔(6)이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전압에 의해서 패널(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4)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때 이 전자빔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 편향 요크(5)에 의해서 상하, 좌우로 편향되어 전체 화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텐션타입 섀도우마스크의 음극선관에서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댐퍼 와이어(15)를 섀도우마스크 곡률을 따라걸쳐지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댐퍼 와이어(15)는 댐퍼 스프링(14)으로 지지된다. 대부분 설치되는 댐퍼 와이어의 개수는 3개 정도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댐퍼 와이어 장착 높이에 관해 살펴보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좌표를 설정하고, 섀도우마스크에서 가로축 즉 장변 방향으로의 축을 X축으로 설정하고, 섀도우마스크 단변 방향의 축을 Y축으로 설정한다. Y축은 대부분 장력이 걸리는 방향이다. 그리고 곡률이 형성되는 방향, 즉 패널측으로의 방향이 Z축을 형성한다.
여기서 정의된 좌표축은 이하 내용에 모두 적용되는 좌표계이다.
그리고,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를 설명하기 위해 그 기준을 설정하면, 도 3과 같이 곡률을 갖는 섀도우마스크 끝면의 접선이 기준이 된다. 이는 도 5a의 화살표 방향으로 섀도우마스크 어셈블리에서 -y축으로 볼 때를 그린 것이다. 즉, 도 5b와 같이 섀도우마스크 끝면이 접선의 연장선과 같은 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0으로 설정하고, 그보다 댐퍼 와이어가 위로 장착될 경우에는 +부호를, 그보다 아래로 장착될 경우는 -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그리고, 섀도우마스크 끝면의 접선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댐퍼 와이어가 위나 아래로 장착되는 높이는 △h라는 기호로 표기하기로 한다. △h의 크기는 도 5b에서와 같이 댐퍼 와이어 장착 위치에서 섀도우마스크 끝면의 접선의 연장선과 댐퍼 와이어까지의 높이를 길이의 양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댐퍼 와이어의 동작 설명을 위하여 댐퍼 와이어의 댐핑 메카니즘(Mechanism)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댐퍼 와이어의 첫 번째 역할은 섀도우마스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댐퍼 와이어가 장력이 부가되어 있는 섀도우마스크를 누르게 되면 섀도우마스크는 더 큰 장력을 받게 마련이다. 실제 이 양은 대략 섀도우마스크의 고유진동수를 약 1∼3Hz정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하여 강도가 커진 만큼 진동량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 섀도우마스크의 고유진동수가 150Hz이상이므로 약 1∼3Hz 상승은 큰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됨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진동수는 강도의 제곱근에 비례하는 관계를 갖는다. 실제 댐퍼 와이어의 장력을 아주 크게 하고 장착 높이(△h)를 과도하게 아래로 많이 내리면 강도가 향상된다. 하지만 엄격히 말하면 진동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메커니즘은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단지 강도의 증가로 인해 진폭이 줄어들게 되는 역할을 할 뿐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먼저 섀도우마스크의 눌려짐 현상이 크게 되면 화면 특성이 나빠지게 되며 또한 매우 가는 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댐퍼 와이어가 끊어질 위험이 커지게 된다. 또한 과도한 장력으로 인해 댐퍼 와이어의 용접 작업 또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리고 어퍼처 그릴 타입 섀도우마스크를 채용하는 음극선관에서는 진동으로 한번 흐트러진 그릴의 정렬 상태가 댐퍼 와이어의 과도한 장력으로 인해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어 그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화면 특성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댐퍼 와이어의 두 번째 역할은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 표면과의 마찰 댐핑이다. 도 9는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에서의 진동 감쇄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댐퍼 와이어는 양쪽에 댐퍼 스프링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댐퍼 와이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섀도우마스크가 진동을 일으키면서 댐퍼 와이어와 마찰을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이 메커니즘에서 더 많은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댐핑력을 얻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메커니즘은 진동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즉, 마찰이 발생하면 그 마찰은 열에너지로 소멸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찰 메커니즘 측면에서 보면 댐퍼 와이어 장력이 크면 클수록 또는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를 낮추면 낮출수록 마찰 메커니즘이 잘 활동한다고 볼 수 없으며 적당한 양이 존재함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주어진 댐퍼 와이어 장력 조건에서 댐퍼 와이어의 장착 위치를 너무 낮추면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 이상의 상호 압력이 증가하여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와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고 일체 형태로 움직이게 되는 조건이 된다. 마찰에 의한 댐핑력은 서로 문지르는 마찰 운동이 발생하여야 그로 인해 진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소멸되게 되는데 서로 문지르는 운동이 억제되므로 진동 감쇄 역할을 거의 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세 번째 메커니즘은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의 충돌 메커니즘이다.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의 고유진동수는 당연히 다르고 또한 섀도우마스크는 도 5a에서의 X방향으로 U자 형태의 장력 분포를 가지고 있어 X방향으로 섀도우마스크 부위마다 다른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일정 주파수의 진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어 오면 이 주파수에 맞는 부분의 섀도우마스크에서만 진동을 일으키는 국부적인 진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국부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부분의 섀도우마스크는 댐퍼 와이어와 충돌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 메커니즘에서 충돌로 인해 열에너지가 발생하게 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에 진동 감쇄 댐핑력을 부가하게 된다.
이 메커니즘 측면에서 댐퍼 와이어 장착 높이를 너무 낮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충돌로 인해 소멸되는 에너지가 가장 크게 되려면 당연히 충돌 시에 충돌 속도가 가장 큰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하는 물체에서 진동 속도가 가장 큰 위치는 중립 위치를 지날 때이다. 중립 위치는 진동으로 인해 변위가 +a에서 -a 만큼 진동이 일어난다고 하면 그 중심점인 변위가 0인 지점을 중립 위치라고 한다.
하지만,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댐퍼 와이어의 장력이 크게 될 경우 댐퍼 와이어가 섀도우마스크의 중립면을 누르게 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중립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가 충돌을 일으키게 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진동 속도가 최대인 지점에서 충돌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그 만큼의 충돌 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가 너무 낮을 경우는 섀도우마스크의 진도 감쇄율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인 일본 특허 공개 평(平)10-172449에서는 여하튼 섀도우마스크와 댐퍼 와이어간에 닿지 않는 부분을 없애기 위한 파라메터 α를 정의하여 그 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평(平)11-144637에서는 열공정 후에 섀도우마스크와 댐퍼 와이어가 댐퍼 와이어 스프링의 열변형으로 인해 닿지 않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 와이어 스프링의 조건을 기술한 내용으로 모두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가 절대적으로 닿아 있고 서로 압력을 주어야 함을 당연시하고 있는 선행 자료들이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하였다시피 마찰과 충돌의 역할 중 어느 진동 감쇄 메커니즘이 더 큰 효과를 내고 있는지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를 낮추는 일이 능사가 아님을 인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댐퍼 와이어의 장착높이를 종래의 음의 높이에서 0이나 양의 높이로 하여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 사이의 마찰 특성과 충돌 특성을 향상시켜 섀도우마스크의 댐핑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댐퍼 와이어를 포함하는 컬러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컬러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컬러음극선관의 텐션타입 섀도우마스크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댐퍼 와이어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어퍼쳐 그릴 타입의 섀도우마스크 어셈블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5b는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에 대한 기준 및 부호 정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X축에 따른 섀도우마스크의 장력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에서의 진동 감쇄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에서의 충돌 감쇄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에 대한 실험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실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은 본 발명에 따른 응답 측정(Gap Sensor)지점 및 고유진동수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울링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패널 2: 펀넬
3. 섀도우마스크 4: 형광면
5: 편향요크 6: 전자빔
7: 프레임 8: 스프링
9: 인너쉴드 10: 마그네트
11: 보강밴드 12: 서브프레임
13: 메인프레임 14: 댐퍼와이어 스프링
15: 댐퍼와이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프레임이 설치된 패널과, 일정 곡률을 갖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섀도우마스크와, 댐퍼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섀도우마스크 상에 장착되는 댐퍼 와이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 끝단 곡률의 접선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댐퍼 스프링에 고정되는 댐퍼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연장선상 또는 상기 연장선의 패널 방향 상부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 단부의 상호 위치가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양끝 부분에서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가 서로 닿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7에서와 같이,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h)를 0보다 크게 하여 섀도우마스크의 끝면에서 섀도우마스크와 댐퍼 와이어가 서로의 압력없이 살짝 닿기만 하거나, 섀도우마스크의 끝면에서 섀도우마스크와 댐퍼 와이어가 서로 닿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되는 댐퍼 와이어의 장착 구조이다.
실제 대부분의 장력을 부가하는 타입의 섀도우마스크에서는,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으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은 섀도우마스크 끝 부분에 해당하는 고유진동수의 주파수 영역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도 8에서와 같이, 텐션 타입 섀도우마스크의 X축으로의 장력 분포가 가운데 X=O인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가면서 장력이 커지는 U자형 분포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섀도우마스크의 양끝 부분의 고유진동수는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되어 댐퍼 와이어가 없어도 하울링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보유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하울링 문제를 발생시키는 부분은 섀도우마스크를 중앙부에서 편측으로의 길이를 1로 볼 때 대략 4/5지점까지의 영역으로 양끝보다 안쪽으로 들어온 위치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이 부위의 진동 감쇄 특성을 목표로 하여 댐퍼 와이어 장착 높이를 조절한 것이 △h를 양의 높이로 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섀도우마스크 양끝의 고유진동수가 낮게 설정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양끝에서도 하울링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h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한 것이다.
먼저, 개선된 댐퍼 와이어 장착 구조가 향상시키는 댐퍼 메커니즘은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 표면과의 마찰 댐핑 에너지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와의 상호 압력을 높일 경우 마찰 에너지가 증가 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마찰력이 너무 커져 상호운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런 상태에서는 마찰 에너지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상호 압력을 작게 할 경우 마찰력이 줄어들어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 간의 상호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동 변위(△x)나 진동 속도(△??)의 크기에 비례하는 마찰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그만큼 진동 감쇄율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개선되는 다른 메커니즘은 도 10과 같은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의 충돌 메커니즘이다. 앞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섀도우마스크는 도 5a에서의 X축으로 U자 형태의 장력 분포를 가지고 있어 X축으로 섀도우마스크는 부위마다 다른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일정 주파수의 진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어 오면 이 주파수에 맞는 부분의 섀도우마스크에서만 진동을 일으키는 국부적인 진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국부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부분의 섀도우마스크는 댐퍼 와이어와 충돌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 메커니즘에서 충돌로 인해 열에너지가 발생하게 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에 진동 감쇄 댐핑력을 부가하게 되는것이다.
이 메커니즘 측면에서도 역시 댐퍼 와이어 장착 높이를 종래보다 약간 올려서 섀도우마스크와의 압력을 줄여주게 되면 섀도우마스크의 진동 속도가 가장 크게 되는 진동 중립면에서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가 충돌을 일으키게 되고 가장 많은 충돌 에너지가 발생하게 되어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시 여기는 부분은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를 정의하는 것으로 곡률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 양끝에서 댐퍼 와이어와 살짝 닿거나 닿지 않게 하는 것이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댐퍼 스프링의 유무와는 관계가 없다. 즉, 다른 실시 예로서는 댐퍼 스프링이 없거나 아니면 다른 구조의 댐퍼 와이어 지지장치로써 댐퍼 와이어 장착 높이를 본 발명과 같이 곡률을 갖는 섀도우마스크 양끝에서 댐퍼 와이어와 살짝 닿거나 닿지 않도록 설정한 댐퍼 와이어 장착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댐퍼 와이어 장착 구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도 11의 형태로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h)가 -2mm, -1mm, 0mm, +1mm, +2mm인 경우에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장치는 도 12와 같이 프레임, 섀도우마스크를 지그(JIG)에 고정한 형태로 제작하여 공기 중에서 실험하였다. 그림에서의 지그(JIG)는 음극선선관에서 패널을 대용한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실험 방법은 가진기(加振機)를 사용하여 패널에 해당하는 지그(JIG)의 중앙 부분을 가진하면서 갭 센서(Gap sensor)를 이용하여섀도우마스크의 진동량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에 다른 특성을 비교 평가한다.
이 실험에서 비교하는 양은 주파수 응답 함수(Frequency Response Function, FRF)로써 이는 인가되는 진동의 힘 대비 발생하는 진동 변위로 정의되는 양이다. 즉,
여기서, f는 주파수, X는 변위, F는 힘이다.
이는 입력(Input Force)이 변하더라도 이에 대한 진동량을 비율로 나타내기 때문에 실험의 정확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섀도우마스크의 진동량(변위)을 측정하는 갭 센서는 패널에 해당하는 지그(JIG)에 고정을 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측정되는 진동 변위는 패널에 대한 상대적인 진동량으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평가를 위한 목표 지점은 도 13에서와 같이 하울링에 가장 문제를 일으키는 영역내의 2 지점을 선택하였는데 그 지점은 중앙에서 가로(X축)로 80mm(포인트 1)지점과 160mm(포인트 2)지점을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앞에서도 설명하였다시피 텐션 타입 섀도우마스크에서의 X축에 따른 장력 분포가 중앙을 기점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U자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X축에 따른 섀도우마스크의 각 부위는 다른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고 국부적인 진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목표지점으로 선택한 포인트 1과 포인트 2에서의 고유진동수는 각각 182.0Hz와 189.5Hz로 측정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실험에서 이들 주파수에 해당되는 응답함수(FRF)의 크기를 구하여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에 대한 섀도우마스크 진동 감쇄 특성을 비교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댐퍼 와이어의 장착높이에 따른 응답함수(FRF)의 크기를 비교하면 다음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2㎜ +1㎜ 0 -1㎜(종래방법) -2㎜
Point1(182㎐) 1.19㎜ 1.22㎜ 1.25㎜ 1.35㎜ 1.26㎜
Point2(189.5㎐) 470㎛ 390㎛ 399㎛ 437㎛ 406㎛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해당하는 -1mm의 경우가 가장 응답함수(FRF)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진동 감쇄 특성이 가장 좋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mm의 경우는 댐퍼 와이어의 누름 현상으로 강도가 향상되어 -1mm보다는 진동 감쇄 특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0mm나 +1mm에 비해서는 좋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80mm의 포인트 1에서는 +2mm의 경우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mm에서 포인트 2가 진동 감쇄 특성이 급격히 나빠지는데 그 이유는 댐퍼 와이어가 너무 많이 올라가서 섀도우마스크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4는 상기 표의 값을 추출한 응답함수(FRF)의 실제 그래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보면 포인트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응답함수(FRF)의 특성을 비교하면 되는데 종래의 -1mm 보다 +1mm의 경우가 진동 감쇄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개선된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 +1mm와 종래의 댐퍼 와이어의 장착 높이 -1mm에 해당되는 음극선관을 각각 실제로 만들어 최종 품질 특성인 하울링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축은 하울링의 단계로 A쪽이 진동 감쇄 특성이 높고 양호한 것이며,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와 도 14의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1mm의 댐퍼 와이어 장착 높이를 적용한 튜브의 하울링 특성 한 단계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섀도우마스크의 눌림 현상이나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그릴(Grill) 타입 섀도우마스크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 인한 그릴의 어긋남 발생 후에 회복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프레임이 설치된 패널과, 일정 곡률을 갖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섀도우마스크와, 댐퍼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섀도우마스크 상에 장착되는 댐퍼 와이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끝 부분 곡률의 접선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댐퍼 스프링에 고정되는 댐퍼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연장선상 또는 상기 연장선의 패널 방향 상부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 단부의 상호 위치가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양끝 부분에서 댐퍼 와이어와 섀도우마스크가 서로 닿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00080447A 2000-12-22 2000-12-22 컬러음극선관 KR100350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47A KR100350624B1 (ko) 2000-12-22 2000-12-22 컬러음극선관
US09/933,895 US20020121852A1 (en) 2000-12-22 2001-08-22 Color cathode ray tube
JP2001286681A JP2002208359A (ja) 2000-12-22 2001-09-20 カラー陰極線管
CN01137017A CN1359129A (zh) 2000-12-22 2001-10-17 彩色阴极射线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47A KR100350624B1 (ko) 2000-12-22 2000-12-22 컬러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412A KR20020051412A (ko) 2002-06-29
KR100350624B1 true KR100350624B1 (ko) 2002-08-30

Family

ID=1970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447A KR100350624B1 (ko) 2000-12-22 2000-12-22 컬러음극선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121852A1 (ko)
JP (1) JP2002208359A (ko)
KR (1) KR100350624B1 (ko)
CN (1) CN13591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6799B1 (en) * 2001-11-15 2003-05-20 Thomson Licensing, S.A. Cathode ray tubes having damper wire support spring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547A (ja) * 1993-04-30 1994-11-08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とその製造方法
US5382871A (en) * 1991-10-24 1995-01-17 Sony Corporation Color selecting structure for a cathode-ray tube
JPH10172449A (ja) * 1996-12-05 1998-06-26 Sony Corp 陰極線管の色識別機構
JP2000011912A (ja) * 1998-06-17 2000-01-14 Sony Corp 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
JP2000021324A (ja) * 1998-06-30 2000-01-21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用の色選別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756A (ja) * 1997-05-12 1998-11-24 Toshiba Corp 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2871A (en) * 1991-10-24 1995-01-17 Sony Corporation Color selecting structure for a cathode-ray tube
JPH06314547A (ja) * 1993-04-30 1994-11-08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とその製造方法
JPH10172449A (ja) * 1996-12-05 1998-06-26 Sony Corp 陰極線管の色識別機構
JP2000011912A (ja) * 1998-06-17 2000-01-14 Sony Corp 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
JP2000021324A (ja) * 1998-06-30 2000-01-21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用の色選別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21852A1 (en) 2002-09-05
KR20020051412A (ko) 2002-06-29
JP2002208359A (ja) 2002-07-26
CN1359129A (zh)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5991B2 (en) Cathode ray tube with shadow mask
KR100350624B1 (ko) 컬러음극선관
KR20010039910A (ko) 음극선관용 컬러 선택 마스크
KR10035716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607239B1 (ko) 칼라음극선관용 마스크의 댐퍼와이어
KR100186579B1 (ko) 평면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진동 감쇠장치
KR100389543B1 (ko) 개선된 댐퍼스프링 장착 구조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KR100385548B1 (ko) 개선된 댐퍼선 장착 구조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KR100224980B1 (ko)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100518845B1 (ko) 음극선관
KR100418035B1 (ko) 개선된 새도우마스크를 가지는 평면 브라운관
US6603251B1 (en)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KR100392844B1 (ko) 개선된 댐퍼스프링을 가지는 컬러 음극선관
KR100705817B1 (ko) 평면 음극선관의 하울링 저감장치
KR100262714B1 (ko)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200262574Y1 (ko) 칼라음극선관용 마스크구조체
EP1367624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9990017004A (ko)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100532066B1 (ko) 음극선관
KR100494743B1 (ko)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
KR20030064504A (ko) 칼라음극선관용 진동감쇠장치
KR20030054708A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평면형음극선관
JPH0869757A (ja) アパーチャーグリル構体および陰極線管
KR20020019218A (ko)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0076432A (ko) 평면음극선관의 마스크 진동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