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333B1 - Wate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333B1
KR100349333B1 KR1019950030162A KR19950030162A KR100349333B1 KR 100349333 B1 KR100349333 B1 KR 100349333B1 KR 1019950030162 A KR1019950030162 A KR 1019950030162A KR 19950030162 A KR19950030162 A KR 19950030162A KR 100349333 B1 KR100349333 B1 KR 10034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reatment
magnetic force
light
treat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5474A (en
Inventor
다찌바나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수원
다찌바나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원, 다찌바나히로시 filed Critical 이수원
Priority to KR101995003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333B1/en
Publication of KR97001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333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electro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2201/483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c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cold water with good quality in biomechanics aspect. CONSTITU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water tank(21), a cooler(22) for cooling water in the water tank(21), a water treatment unit(23) installed under the water tank(21) for treating the water using magnetism and light beams, wherein the water treatment unit(23) includes a light beam generator for emitting light beams, a magnetism generator for electrically generating magnetism,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gnetism generator and the light beam generator, a power supply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riving voltage of the power supply so as for the driving voltage to give a cycle with constant peak point and bottom point which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nd a magnetism and a light beam projectors for projecting magnetism and light beams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Description

수처리장치(水處理裝置)Water treatment device

본발명은 생체적 혹은 생화학적으로 유익한 효용을 가지는 물을 만들기 위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making water having a biological or biochemically beneficial utility.

근래에 이르러 수도물의 수질을 개선하는 정수기가 가정에 널리 사용되게 되고 있다. 이들은 세라믹휠터, 중공섬유사막 혹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수도꼭지에 직접연결하는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In recent years, water purifier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ap water have been widely used in homes. These are known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aucet using a ceramic filter, hollow fiber desert or electrolysis.

이들에 의하여 수도물의 염소냄새가 적어지게 되거나, 어느정도 마시기 쉬운 물이 얻어지고 있다.By these, the odor of chlorine in tap water is reduced, or water which is easy to drink to some extent is obtained.

그런데, 물은 H2O의 단일분자가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최저 5 분자 이상의 물분자가 모여서 분자집단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전제된다. 이러한 분자집단은 클래스터라고 불려진다.By the way, water is not assumed that single molecules of H 2 O are present independently, but at least 5 molecules of water are collected and present as a molecular group. This molecular group is called a classer.

물의 평가분석에 의하면 맛있는 물은 클래스터가 적은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이것은 클래스터가 적을수록 맛을 느끼는 혀의 미세포에 들어가기 쉽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According to the water analysis, it is a general orthodox that delicious water has few classers. This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maller the classer, the easier it is to enter the tasted cells of the tongue.

상술의 세라믹휠터나 중공섬유사막을 사용한 휠터형의 정수기에서는 수도물을 통과시킴에 의하여, 또는 전기분해형의 정수기에서는 수도물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해함에 의하여 수도물의 클래스터를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In the filter-type water purifier using the ceramic filter or the hollow fiber yarn described above, the tap water-type water purifier is reduced by passing the tap water, or in the electrolytic water purifier, by decomposing the tap water into cations and anions.

이러한 사실은 물분자의 구조나 상태를 비파괴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핵자기공명 분광법이라고 불리우는 물평가방법등으로 알 수있게 된다.This fact can be known from the water evaluation method calle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which can nondestructively view the structure and state of water molecules.

상기한 휠터형 혹은 전기분해형의 정수기는 수도물의 염소냄새를 저감시키든가, 수도물의 맛을 개선하는 기능은 있지만 그 물의 특성을 생체적 혹은 생화학적인 레벨로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filter or electrolytic water purifier described above has a function of reducing the smell of chlorine in the tap water 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tap water, but does not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to a biological or biochemical level.

또한 음료수는 일반적으로는 찬 것이 맛이 좋게 느껴진다. 따라서 종래로부터 언제라도 음료수를 차게 마실 수있도록 냉수기가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냉수기는 물을 차게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물의 특성을 변화시키지는 못한다.Also, drinks are usually cold and taste good. Therefore, in the past, a cold water machine has been popularized so that beverages can be chilled at any time. Cold water, however, does not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water with only the function of cooling the water.

본발명의 과제는 수도물 등을 특별한 방법으로 처리함에 의하여 인체생리학적으로 좋은 물, 혹은 식품가공상 좋은 물을 생성하는 수처리장치, 또한 병행하여 냉수를 얻을 수 있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ducing physiologically good water or water for food processing by treating tap water in a special manner, an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obtaining cold water in parallel.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전형적인 사례로서 냉수기를 수처리유니트와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물탱크, 냉각부 및 수처리유니트를 구비하고 이 수처리유니트는 자력선 혹은 광 또는 양자를 물탱크중의 물을 조사(照射)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 자력 또는 광을 전기적으로 생성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ical case in which a cold water machine is combined with a water treatment unit. In other words, it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a cooling part, and a water treatment unit, and this water treatment unit is based on the premise of irradiating water in a water tank with magnetic lines or light or both, and generates the magnetic force or light electrically.

그리고 그 구동전압은 예를들면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크포인트가 거의 일정하게 바닥점이 순차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여 가도록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압파형 패턴을 하나의 사이클로하고, 이 패턴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제어시킨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driving voltage is a voltage waveform pattern that periodically changes so that the peak point descends or rises sequentially at a constant constant point as one cycle, and the pattern cycle is repeated repeatedly. Control.

그 전압파형패턴( 이하 '특수파형패턴' 이라한다. )의 반복에 대응하여 강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자력선 및/또는 광을 자력조사부 및/또는 광조사부로부터 물탱크의 물에 조사시킨다.In response to the repetition of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al waveform pattern'), magnetic force lines and / or light whose intensity changes periodically are irradiated 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from the magnetic force irradiator and / or the light irradiator.

이러한 수처리로부터 물의 클래스터가 통상에 비하여 상당히 크게 되어 이 클래스터가 큰 물이 생체적으로 바람직한 효용을 가진다. 또한, 물탱크의 물은 냉각부에 의하여 냉각된다.From this water treatment, the water classter becomes considerably larger than usual, so that the water having a large classter has a biologically desirable utility. In additi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cooled by the cooling unit.

이렇게 냉수기의 기능으로서 음료수는 마시기 좋게 냉각되고 또한 상기 특수파형패턴의 수처리장치로부터 물의 클래스터가 크게되어 생체적으로 다양한 효용, 예를들면 혈압의 안정, 탈모의 감소 등의 효용이 얻어진다.As a function of the chiller, the beverage is cooled to drink easily, and the water classifier of the water is increased from the water treatment device of the special waveform pattern, thereby obtaining various biologically useful effects such as stabilizing blood pressure and reducing hair loss.

또한 자력선조사부나 광조사부를 물탱크의 저벽이나 측벽 등을 관통하여 형성한 창부로부터 내부로 노출함에 의하여 수밀고정한 물탱크중의 물에 대하여 자력선 및/또는 광을 직접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자력선조사부나 광조사부를 물탱크의 저벽이나 측벽 등의 외부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exert the magnetic lines and / or light with respect to the water in the watertight and fixed water tank by exposing the magnetic line irradiation part or the light irradiation part to the inside from the window formed through the bottom wall or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Alternatively, the magnetic line irradiation unit or the light irradiation unit can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wall or side wall of the water tank.

그런데, 자력선조사부의 경우에는 물탱크가운데 적어도 상기 고정부분을 비자성재료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조사부의 경우는 적어도 그 고정부분을 투광성재료로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magnetic line irradia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t least the fixing portion as a nonmagnetic material in the water tank, and in the case of the light irradiation portion, the fixing portion is at least composed of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자력선조사부 및/또는 광조사부는 단독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복수의 것을 적당한 간격을 두고 물탱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radiation unit and / or the light irradiation unit can be installed alon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things in the water tank at a suitable interval.

또한, 자력이나 광의 어느 하나를 구성하여도 좋고 자력 또는 광의 쌍방을 조합하여도 가능하며 자력선조사부와 광조사부의 쌍방을 합체하거나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자력선 및 광을 함께 조사하여 수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ny one of magnetic force and light may be configured, or both magnetic force and light may be combined, or both the magnetic line irradiation unit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be combined or separately installed, and the magnetic line and the light may be irradiated together to perform water treatment.

다음에 본발명의 다른 형태는 물을 넣어 운반가능한 물용기의 저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수처리유니트를 일체로 조합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tegral comb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water treatment unit at the bottom of a water container capable of carrying water.

그 수처리유니트는 상술의 특수파형패턴의 자력선및/ 또는 광을 물용기중의 물에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처리유니트부착의 물용기를 예를들면, 냉장고에 넣어 그 상태로 수처리를 행하면 그 물용기중의 물이 냉각되어 음료수로서 적당하게 처리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래스터가 크게 된 물에 의하여 다양한 생체적 효과가 얻어진다.The water treatment unit irradiates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with magnetic lines of force and / or light of the above-mentioned special waveform pattern. For example, when a water container with a water treatment unit is placed in a refrigerator, and the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in that state, the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is cooled to be appropriately treated as a beverage, and as described above, a variety of living bodies are formed by water having a larger classer. An enemy effect is obtained.

제 1 도에 본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처리장치로서의 냉각기(20)가 도시된다. 이 냉각기(20)는 냉각될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21)와 그 속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22)와 자력선이나 광을 물탱크(21)중의 물에 미치게하여 수처리를 행하는 수처리유니트(23)를 구비하여 이들이 케이스(24)내에 수납된다.1, a cooler 20 a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show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er 20 includes a water tank 21 for receiving water to be cooled, a cooling device 22 for cooling water in the water, and a water treatment unit for extending the magnetic force line or light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for water treatment. 23 is provided and they are accommodated in the case 24. As shown in FIG.

케이스(24)의 상부에는 물탱크(2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25)가 착탈가능하게 배설된다. 또한, 물탱크(21)에서 냉각 및 수처리된 물을 케이스(24)의 상부로부터 주입하는 주수노즐(꼭지)(26)이 설치되고 이 주수노즐(26)로부터 물을 용기(27)로 주입하기 위한 조작보턴(28)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24, a water supply tank 25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21 is detachably disposed. In addition, a water injection nozzle (tap) 26 for injecting the water cooled and treated in the water tank 21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se 24 is installed, and water is injected from the water injection nozzle 26 into the container 27. The operation button 28 is provided.

이 보턴(28)을 누르면 주수노즐(26)로부터 물이 용기(27)로 주입된다.When the button 28 is pressed, water is injected from the water injection nozzle 26 into the container 27.

급수탱크(25)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구(29)가 뚜껑(31)으로 폐색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의 취급 등에 있어서는 뚜껑(31)이 상방에 있도록 취급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전술한 냉수기(20)에 장착될 때는 뚜껑(31)을 열어 도립한 상태로 장착된다.As shown in FIG. 2, the water supply tank 25 has its opening 29 closed by a lid 31. In the case of normal handling, the water supply tank 25 is usually handled so that the lid 31 is upward. When mounted to the cold water machine 20 is mounted in the inverted state by opening the lid 31.

이 용량은 예를들면 높이 50 cm, 직경 50 cm 로서 40 리터정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This capacity is, for example, 50 cm in height and 50 cm in diameter, suitable for use with a capacity of about 40 liters.

제 1 도의 냉수기(20)의 냉각장치(22) 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 제 3 도이다. 냉각장치(22)의 냉동회로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소정의 냉매가 콤프레셔(33)로서 압축된다. 34 는 온도센서이다. 그 압축된 냉매는 컨덴서(35)로서 팬(36)의 냉각을 동반하여 응축되고 또한 건조제를 주체로 하는 드라이어(37)를 경유함에 의하여 수분등이 흡수되고 캐필러리튜브(38)를 경유하여 상기 물탱크(21)내의 에버퍼레이터(39)에 이른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oling device 22 and the like of the cold water machine 20 of FIG. The refrigerating circuit of the cooling device 22 is widely known and a predetermined refrigerant is compressed as the compressor 33. 34 is a temperature sensor.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condensed together with the cooling of the fan 36 as the condenser 35, and the moisture and the like are absorbed by the dryer 37 mainly containing the desiccant, and the capillary tube 38 passes through. It reaches the abutment 39 in the water tank 21.

이 에버퍼레이터(39)에서 냉매가 팽창하여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박탈함에 의하여 물탱크(21)내의 물을 냉각한다. 에버퍼레이터(39)를 경유하여 팽창한 냉매는 스트레이너(41)를 경유하여 상기 콤프레셔(33)에 이르도록 순환한다.In the evaporator 39, the refrigerant expands to remove the heat of vaporization from the surroundings, thereby cool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Refrigerant expanded via the evaporator (39) is circulated to reach the compressor (33) via the strainer (41).

물탱크(21) 내에는 예를들면, 세라믹제 등의 다공성원통부재(40)가 배치되고 상기의 에버퍼레이터(39)는 이것을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다공성원통부재(40)의 상부에는 상기의 급수탱크(25)를 연결시키는 연결부(42)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water tank 21, for example, a porous cylindrical member 40 made of ceramic or the like is disposed, and the above-mentioned averifier 39 is configured to wind this up.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ous cylindrical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42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tank 25.

연결부(42)는 상기 뚜껑(31)을 열어 급수탱크(25)가 도립한 상태로서 장착되며 도시하지 아니한 연결밸브가 개방되어 급수탱크(25)의 물이 원통부재(40)내에공급되고 또한 그 다공질의 측벽이나 저부를 경유하여 물탱크(21)에 공급된다.The connection part 42 is mounted as the water supply tank 25 is inverted by opening the lid 31, and a connection valve (not shown) is opened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25 to the cylindrical member 40. It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21 via a porous side wall or bottom part.

또한 상기의 조작보턴(28)이 눌러지면 전자식의 개폐밸브(43)가 개방되고, 또한 펌프(44)가 작동하여 물탱크(21)내의 냉수가 주수노즐(26)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28 is pressed, the electronic on / off valve 43 is opened, and the pump 44 is operated so that the cold water in the water tank 21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injection nozzle 26.

또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25)를 장착하지 않고 그대신 수도관(32)으로부터 물탱크(21)내로 물을 도입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21 from the water pipe 32 instead of the water supply tank 25. FIG.

상기의 수처리유니트(23)는 물탱크(21)의 예를들면, 측벽부 혹은 저부 등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도의 예에서는 물탱크(21)의 저부에 수처리유니트(23)가 취부되어 그 저부를 경유하여 자력이나 광을 물탱크(21)의 물에 작용시킨다.The water treatment unit 23 can be installed in, for example, a side wall or a bottom of the water tank 21. In the example of FIG. 3, 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 and magnetic force or light is applied to the water of the water tank 21 via the bottom.

수처리유니트(23)의 일실시예가 제 5 도에 도시된다. 이 수처리유니트(23)는 코일(2)이 권취조립된 본체(3)와, 본체(3)에 코드(4) 및 커넥터(5)를 개재하여 접속된 전자제어유니트(6) ( 이하 '제어유니트' 라함 )를 구비하고 제어유니트(6)로부터는 코드(7)가 연장되어 그 선단부에 교류전원에 접속되는 컨센트(8)가 설치되어 있다.One embodiment of 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shown in FIG. The water treatment unit 23 has a main body 3 in which a coil 2 is wound and assembled,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6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 connected to the main body 3 via a cord 4 and a connector 5. And a cord (8) extending from the control unit (6) and connected to an AC power supply at the distal end thereof.

단, 제 3도의 콤프레셔(33), 펌프(44), 제어유니트(6)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통의 전원 코드를 냉수기(20)에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equip the water cooler 20 with a common power co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ressor 33, the pump 44, and the control unit 6 of FIG.

본체(3)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의 케이스(9)를 구비하여 그 속의 상기의 코일(2)이 고정되어 있다. 코일(2)은 본실시예에서는 자력선발생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철심(10)의 주위에 도선이 예를들면 2,000 회 권취되어 철심(10)과 함께 전자석을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main body 3 has a box-shaped case 9, in which the coil 2 therein is fixed. The coil 2 functions as a magnetic force line generating means in this embodiment, and the conductor is wound around the iron core 10, for example, 2,000 times to form an electromagnet together with the iron core 10.

코일(2)의 단면은 합성수지제의 피막(12)에 의하여 덮여지고 또한 이 코일단면과 케이스(9)의 상부개구에는 투자성을 가지는 커버(13)가 덮여진다. 여기에서 코일(2)은 케이스(9)를 수평면에 둔 상태에서 철심(10)이 거의 연직선방향으로 향하도록, 환언하면 상방으로 향하여 자력선이 발생하도록 케이스(9)에 고정되어 있다.The end face of the coil 2 is covered with a synthetic resin film 12, and the coil end face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case 9 are covered with a cover 13 having an investment property. Here, the coil 2 is fixed to the case 9 so that the iron core 10 face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case 9 is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in other words, a magnetic force line is generated upward.

다음에 코일(2)의 구동전력(전압)을 제어하는 상기의 제어유니트(6)에 대하여 제 7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디지털집적회로(IC1,IC2)와 저항(R1,R2), 콘던서(C2,C3)로서 발진회로(6b)가 구성되고, 이 발진회로(6b)가 소요주파수의 펄스를 발생시킨다.Next, the control unit 6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ower (voltage) of the coil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the oscillation circuit 6b is configured as the digital integrated circuits IC1 and IC2, the resistors R1 and R2, and the condensers C2 and C3. The oscillation circuit 6b generates pulses of a required frequency.

다음에 카운터용 집적회로(IC3)와 아날로그전압발생용집적회로(IC4)와 저항(R3 - R11)으로서 아날로그신호발생회로(6C)가 구성되고, 이 회로(6C)가 삼각파전압신호(6e)를 발생시킨다.Next, an analog signal generating circuit 6C is formed as the counter integrated circuit IC3, the analog voltage generating integrated circuit IC4, and the resistors R3-R11, and the circuit 6C is a triangular wave voltage signal 6e. Generates.

한편, 카운터용집적회로(IC5)와 증폭기(IC6-IC9)와 저항(R15 - R18)으로서 계단파발생회로(6d)가 구성되고, 이것이 하강 또는 상승 패턴의 계단파전압신호(6f)를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as the integrated circuit IC5 for the counter, the amplifiers IC6-IC9, and the resistors R15 to R18, a stepped wave generation circuit 6d is formed, which generates a stepped wave voltage signal 6f having a falling or rising pattern. Let's do it.

그리고, 삼각파전압신호(6e)와 계단파전압신호(6f)가 가산되도록 회로가 구성되고 이 가산된 전압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에 기초하여 트랜지스터(Tr1)는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내부저항을 변화시킨다.The circuit is configured so that the triangular wave voltage signal 6e and the stepped wave voltage signal 6f are added, and the added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Tr1. Based on this, the transistor Tr1 changes the internal resistanc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base.

트랜지스터(Tr1)는 다알링턴접속된 출력트랜지스터 가운제 Tr2 에 접속되고,트랜지스터(Tr2)는 트랜지스터(Tr1)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r2)의 내부저항의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Tr3)가 구비되고, 이 트랜지스터(Tr3)가 상술한 코일(2)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Transistor Tr1 is connected to output transistor Tr2 which is connected to the multi-arling, and transistor Tr2 is driven by transistor Tr1. A transistor Tr3 which is drive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transistor Tr2 is provided, and the transistor Tr3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oil 2 described above.

또한, 코일(2)에 흐르는 전류는 출력트랜지스터 가운데 Tr3 에 의하여 조정된다. 그리고 코일(2)의 역기동전력에 대하여 출력트랜지스터(Tr3)의 보호를 위하여 다이오우드(D3)가 설치된다. 이 제어유니트(6)는 교류 100 V 를 전원으로 하고 있지만, 그것을 정전압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회로(6a)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2 is adjusted by Tr3 among the output transistors. The diode D3 is installed to protect the output transistor Tr3 against the reverse starting power of the coil 2. The control unit 6 uses an alternating current of 100 V, but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6a for converting it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제어유니트(6)의 출력전압파형은 계단파발생회로(6d)에서 하강패턴의 계단파가 형성되는 경우, 그 하강계단파와 연속삼각파의 합성에 의하여 예들들면 제 8 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포인트가 거의 일정하고 바닥포인트가 순차적으로 하강하여 가도록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압파형패턴으로 된다.The output voltage waveform of the control unit 6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 by the combination of the falling staircase wave and the continuous triangle wave when the falling wave is formed in the staircase wave generating circuit 6d. Likewise, the peak point is almost constant and the voltage point pattern changes periodically so that the bottom point sequentially descends.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크포인트를 5 V 로하고 바닥포인트를 단계적으로 절하하여 가는 톱날파(삼각형)형상의 전압파형패턴으로 되고, 이 전압파형패턴을 하나의 사이클로하여 반복하도록 구동전압이 제어된다.More specifically, it becomes a sawtooth wave (triangular) voltage waveform pattern which cuts the peak point into 5V and lowers the bottom point stepwise, and the drive voltage is controlled to repeat this voltage waveform pattern in one cycle.

제어유니트(6)의 출력파형으로서는 그 회로정수를 변화시킴에 따라서 제 8 도(b)와 같은 전압파형패턴, 바꾸어말하면 피크포인트가 거의 일정하고 바닥포인트가 순차적으로 상승하여 가도록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압파형패턴을 하나의 사이클로 하고 이것이 반복되도록 구동 전압을 제어하여도 좋다.As the output waveform of the control unit 6, as the circuit constant is changed,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as shown in FIG. 8 (b), in other words, the peak point is almost constant and the voltage periodically changes so that the bottom point rises sequentially. The drive voltage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waveform pattern is made into one cycle and it is repeated.

그리고 제 8 도의 예에서는 (a)의 경우에는 바닥포인트가 일직선으로 연하여 단계적으로 하강하고, (b)의 경우에는 일직선으로 연하여 단계적으로 상승하도록되어있지만 이것을 제 8 도(c), (d),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철(凸)부 또는 하방에 철(凸)부가 되도록 곡선에 연하여 바닥포인트를 순차적으로 하강(절하) 또는 상승(절상)시켜도 좋다.In the example of FIG. 8, in the case of (a), the bottom point extends in a straight line and descends stepwise, and in the case of (b), the bottom point extends in a straight line and rises step by step. ), (f), the bottom points may be sequentially lowered (decreased) or raised (raised) in series with the curve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an iron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is an iron portion.

또한 제 8 도 (e),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파형들이 단계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패턴도 가능하다. 또한 그 삼각파형의 피치를 바닥포인트의 하강 또는 상승과 함께 순차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라던가 또는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하는 것등도 가능하고 파형에 대하여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삼각파에 한하지 않고 구형파(矩形波) 혹은 정현파등, 기타 파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as shown in FIGS. 8E and 8H, a pattern in which the plurality of waveforms descend or rise in stages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he pitch of the triangular waveform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sequentially with the falling or rising of the bottom point, and the waveform is not limited to the triangular wave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other waveforms such as sinusoidal waves can be used.

제어유니트(6)의 코일전압제어회로는 예를들면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항(R12)을 접지하고 트랜지스터(Tr2)를 생략하여 다이오우드(D3)를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하여도 좋다.For example, the coil voltage control circuit of the control unit 6 may be connected to the diode D3 as shown in FIG. 9 by grounding the resistor R12 and omitting the transistor Tr2.

또한 제 10 도에 간략하게 도시하는 제어유니트(60)의 회로구성도 체용가능하다. 이 회로는 발진기(함수제너레이터)(64), 10 내지 16 행의 카운터(61) D/A 컨버터(62), 앰프(63)를 구비하고 있다. 발진기(64)로부터 삼각파 혹은 정현파와 구형파( 10 내지 16파)를 얻는 한편, 구형파는 카운터(61), D/A 컨버터(62)를 경유하여 하강파형 내지는 상승파형으로서 취출된다.In additio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60 shown in FIG. 10 is also acceptable. This circuit is provided with an oscillator (function generator) 64, a counter 61 of 10 to 16 rows, a D / A converter 62, and an amplifier 63. A triangular wave or a sine wave and a square wave (10 to 16 waves) are obtained from the oscillator 64, while the square wave is taken out as a falling wave or a rising wave via the counter 61 and the D / A converter 62.

이것과 상술의 삼각파 또는 정현파를 합성하고 앰프(63)로서 증폭시킴에 의하여 제 8 도(a) 또는 (b)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압파형이 출력되어 이것이 코일(2)의 구동전압으로 된다. 그 코일(2)에 유입하는 전류는 예를들면 0.1 암페어(최대) 정도이다.By synthesizing this and the above-described triangular wave or sine wave and amplifying it as the amplifier 63, a voltage waveform as shown in Fig. 8A or 8B is output, and this becomes the driving voltage of the coil 2.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coil 2 is, for example, about 0.1 amps (maximum).

다음에 물탱크(21)에 대한 수처리유니트(23)의 취부형태를 몇가지 예시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mounting form of the water treatment unit 23 to the water tank 21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제 11 도에 도시하는 예는 제 1 도, 제 3 도 등에 도시한 물탱크(21)의 저부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물탱크(21)는 전술한 냉각장치(22)를 구비한 것이다. 물탱크(21)의 저벽(46)의 외부하측에는 수처리유니트(23)가 격납된다. 수처리유니트(23)는 고정베이스(47)에 지지되고, 그 고정베이스(47)를 개재하여 볼트,넛트(48) 등에 의하여 물탱크(21)의 저부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수처리유니트(23)는 예를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2)을 가지고 이 코일(2)의 상면이 저벽(46)에 극히 근접하여 위치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제어유니트(6)에서 발생하는 전압파형패턴에 대응하여 강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자력이 물탱크(21)내의 물에 미침과 함께 냉각장치(22)에 의하여 그 물탱크(21)내의 물이 냉각된다.The example shown in FIG. 11 shows the bottom part of the water tank 21 shown in FIG. 1, FIG. 3, etc., and the water tank 21 is equipped with the cooling apparatus 22 mentioned above. 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stored outside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supported by the fixed base 47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 by bolts, nuts 48 and the like via the fixed base 47. Here, the water treatment unit 23 has, for example, a coil 2 as described abov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il 2 is located very close to the bottom wall 46 and is generated 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force whose intensity periodically chang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is reflected 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is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22.

전자제어유니트(6)는 외부의, 예를들면 교류전원(45)이 접속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45, for example.

또한, 물탱크(21)의 저벽(46)이 일반적인 스테인레스 등의 비자성재료로 형성되어있는 경우에는 코일(2)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은 그 저벽(46)을 관통하여 내부의 물에 미치게 되지만, 저벽(46)이 자성재료로서 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코일(2)의 자력이 관통하는 부분(46a)은 비자성재료(예를들면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기타의 재료)로 구성한다.When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is formed of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by the coil 2 penetrate the bottom wall 46 and extend to the internal water. When the bottom wall 46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t least the portion 46a through which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2 penetrates is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plastic or the like).

제 12 도에 도시한 예는 물탱크(21)의 저벽(46)에 이것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창부(49)가 형성되고, 이 창부(49)로부터 전술의 코일(2)이 상부로 돌출하여 물탱크(21)내의 물에 노출되도록 조립되어 진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a window 49 penetrating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and the coil 2 described above protrudes upward from the window 49. It is assembled to be exposed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코일(2)은 고정베이스(47)에 고정됨과 함께 코일(2)의 표면은 방수성의 필름(50)으로 피복되고 또한 고정베이스(47)는 물탱크(21)의 저벽(46)에 대하여 실링부재(56)를 개재하여 하측으로부터 볼트, 넛트(48)에 의하여 수밀고정된다.The coil 2 is fixed to the fixed base 47 while the surface of the coil 2 is covered with a waterproof film 50 and the fixed base 47 is sealed against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The watertight fixation is performed by the bolt and the nut 48 from the lower side via the member 56.

코일(2)은 적의의 위치에 설치된 전자제어유니트(6)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특수파형의 자력을 물탱크(21)내의 물에 조사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물을 냉각장치(22)에 의하여 냉각시킨다.The coil 2 is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installed at the hostile position so as to irradiat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special waveform as described above, and to cool the water 22 at the same time. By cooling.

제 13 도에 도시한 예는 물탱크(21)의 저벽(46)의 상면에 복수개의 코일(2)이 고정된 것이다. 이 코일(2)은 상세히는 도시하지 않지만 방수 필름으로 피복되어있다. 그 저벽(46)의 하부에는 코일(2)에 공통의 전자제어유니트(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코일(2)로부터 전술한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강도가 변화하는 자력을 물탱크(21)내의 물에 조사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물을 냉각장치(22)에 의하여 냉각시킨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a plurality of coils 2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This coil 2 is not shown in detail, but is covered with a waterproof film. In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wall 46,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common to the coil 2 is provided. Then, 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force whose strength changes periodically is irradiated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as described above, and the water is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22.

또한, 물탱크(21)의 저부를 분할부재(53)로서 별체로서 구성하고 이것을 물탱크(21)의 본체부분과 볼트, 넛트(54)등의 채결수단으로 체결하여도 좋다.Further,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 may be constituted as a separate body as the partition member 53 and fastened to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water tank 21 by means of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54.

제 14 도는 물탱크(21)의 저벽부,측벽부 및 상벽부에 각각 전술한 코일(2) 등의 수처리유니트(23)가 취부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 treatment unit 23 such as the coil 2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bottom wall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water tank 21, respectively.

각 수처리유니트(23)는 물탱크(21)의 상벽, 측벽, 또는 저벽의 외부에 취부되어도 좋고 내부에 노출하여도 좋다.Each water treatment unit 23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top wall, the side wall, or the bottom wall of the water tank 21, or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제 15 도에 도시한 예는 물탱크(21)가 자성재료로서 구성된 것이지만 코일(2)의 취부부에 대응하는 탱크부분은 비자성재료제의 취부벽부(55)로 되고 이취부벽부(55)의 외면에 코일(2)이 고정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5, the water tank 21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but the tan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il 2 is a mounting wall portion 55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and the detachable wall portion 55 is formed. The coil 2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취부벽부(55)와 물탱크(21)의 본체부는 실링재(56)를 개재하여 볼트,넛트(57)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수밀되게 접합되어 있다. 제 16 도는 정면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The mounting wall portion 55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water tank 21 are tightly join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57 via the sealing material 56. 16 shows an example of the front view.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코일(2) 등의 자력발생수단을 기본으로 하는 수처리유니트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음에는 광발생수단을 기본으로 하는 수처리장치를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water treatment unit mainly based on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such as the coil 2 is described. Next,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based on the light gene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제 17 도는 광발생수단에 따른 수처리유니트(123)를 도시한 것으로서 물탱크(21)의 저벽(46)에 취부되어 있다. 이 발생체(광원)로서는 예를들면 백열전구, 발광다이오우드, 방전관 등을 사용할 수있고 그 구동전압이 전자제어유니트(6)로서 제어된다.17 shows the water treatment unit 123 according to the light generating means, which is mounted on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As shown in FIG. As this generator (light source), for example, an incandescent lamp, a light emitting diode, a discharge tube, or the like can be used, and the driving voltage thereof is controlled as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이 제어유니트(6)는 제 7 도에 도시한 전술의 코일(2)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대응관계를 도시한다.Since this control unit 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mentioned coil 2 shown in FIG.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show corresponding relationships.

간단하게 바꾸어말하면 그 회로의 코일(2) 대신에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 등의 발광체(30)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광체(30)에 가하여지는 구동전압도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크포인트가 거의 일정하고 바닥포인트가 순차적으로 하강 또는 상숭하도록한 파형을 하나의 패턴으로하여 이것을 반복하는 것이 된다. 그 전압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빛은 제 17 도에 도시한 물탱크(21)중의 물에 미친다.In other words, instead of the coil 2 of the circuit, as shown in FIG. 20, a light-emitting body 30 such as a light bulb is provided. 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light-emitting body 30 is also repeated in a single pattern of waveforms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peak point and sequentially descending or rising bottom point. Light periodically chang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reaches water in the water tank 21 shown in FIG.

물탱크(21)의 저벽(46)이 투광성소재(예를들면 투광성 플라스틱재료)등으로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광체(30)에서 발생하는 광은 그 저벽(46)을 관통하여 물탱크(21)내에 공급되지만 저벽(46)이 투광성재료가 아닌 경우에는 제 1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체(30)의 취부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투광성저벽부(73)로 하고 이것을 저벽(46)의 본체부에 볼트,넛트(74)등으로 수밀되게 결합한다.When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is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for example, a light transmissive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er 30 penetrates the bottom wall 46 so as to penetrate the water tank 21. In the case where the bottom wall 46 is not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as shown in FIG. 17,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ght-emitting body 30 is used as the light-transmissive bottom wall portion 73, which is the main body of the bottom wall 46. Bolts, nuts 74 and the like tightly coupled.

또한, 저벽(46)의 본체부에는 그 투광성저벽부(73)에 대응하여 개구(75)가 설치된다. 발광체(30)는 고정베이스(76)에 고정되고 이것을 개재하여 전술한 투광성저벽부(73)와 함께 저벽(46)에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75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bottom wall 46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lucent bottom wall 73. The light-emitting body 30 is fixed to the fixed base 76 and fixed to the bottom wall 46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translucent bottom wall 73.

고정베이스(76)에는 제 20 도에 도시한 봐 같이 제어회로를 가지는 전자제어유니트(6)도 지지되고 이것은 교류전원(4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체(30)에서 발생하는 전기한 특수패턴의 광이 투광성저벽부(73)를 경유하여 물탱크(71)중의 물에 미치고 수처리가 행하여짐과 함께 냉각장치(22)에 의하여 그 물이 냉각된다.The fixed base 76 is also support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6 having a control circuit as shown in FIG. 20, which is connected to an AC power source 45, and the electrical special pattern generated in the light-emitting body 30.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71 via the light-transmissive bottom wall 73, and the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and the water is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22.

제 18 도는 그러한 광발생수단을 전제로하는 수처리유니트(23)가 물탱크(21)의 측벽, 저벽 또는 상벽 등으로부터 그 내부에 노출하도록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 treatment unit 23 that presupposes such light generating means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herein from the side wall, the bottom wall, or the upper wall of the water tank 21, and the like.

예를들면 물탱크(21)의 측벽에 개구(창부)(78)가 설치되고 고정베이스(76)에 설치된 발광체(30)가 투광성의 방수커버(79)를 개재하고 그 개구(78)로부터 물탱크(21)의 내부에 노출하도록 배설된다.For example, an opening (window) 78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21, and the light-emitting body 30 installed on the fixed base 76 intersects with the water-transparent waterproof cover 79 and the water from the opening 78. Exposed to expose inside the tank 21.

고정베이스(76)는 물탱크(21)의 측벽의 외면에 대하여 거기에 입설된 스터드볼트(80) 등에 의하여 실링부재(81)를 개재하여 수밀가능하도록 고정되도록 한다. 82 는 넛트이다.The fixed base 76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21 so as to be watertightly sealed via the sealing member 81 by the stud bolt 80 or the like placed therein. 82 is a nut.

전자제어유니트(6)는 그 고정베이스(76)에 고정되어도 좋고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여 발광체(30)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may be fixed to the fixed base 76 o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pl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body 30.

제 19 도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광에 기초한 수처리유니트(23)를 물탱크(21)의 측벽에 연하여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측벽의 소정높이에 1 원주분 복수개 배치하여도 좋고,1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treatment units 23 based on light a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one circumferenc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wall. Good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측벽의 상호 다른 높이에 2 원주등분하여 복수개 설치할 수도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형태는 광에 기초한 수처리유니트(23)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의 자력에 기한 수처리유니트(23)로 바꾸어 설치하여도 좋다.As indicated by an imaginary line, two or more circumferences can also be installed in mutually different height of a side wall. This arrangement is not limited to the light-based water treatment unit 23 but may be replaced with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ased on the magnetic force described above.

또한, 광에 기초한 수처리유니트(23)를 예를들면,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21)의 저벽(46)에 복수개 취부한 것 또는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21)의 상벽, 측벽, 및 저벽에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light-based water treatment units 23 are mounted on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as shown in FIG. 13, or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on the top wall,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wall of 21).

또한, 별도의 실시예로서는 제 2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2)과 백열전구 등의 발광체(30)를 직렬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9)에 대하여 코일(2)과 발광체(30)를 나란히 배설한 구성, 혹은 제 23 도에 도시하 바와 같이 코일(2)을 중심으로하여 그 주위에 복수의 발광체(30)가 배설된 구성등, 각종의 설계가 가능하다.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1,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coil 2 and the light-emitting body 30 such as an incandescent lamp in series. 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il 2 and the light-emitting body 30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case 9 as shown in FIG. 22 or around the coil 2 as shown in FIG. Various design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mitters 30 are disposed, can be performed.

이러한 자력과 광을 가미한 수처리유니트는 예를들면 제 1 도, 제 3 도, 제 11 도, 제 12 도, 제 13 도, 제 14 도, 제 15 도, 제 17 도, 제 18도, 제 19 도 등의 수처리유니트(23)와 동일한 배치로서 물탱크(21)에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water treatment unit to which the magnetic force and the light are added is illustrated in FIGS. 1, 3, 11, 12, 13, 14, 15, 17, 18, and 19. It is possible to attach to the water tank 21 by the same arrangement as the water treatment unit 23 of FIG.

그리고,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포인트가 순차적으로 절하되어 가는 패턴, 또는 순차적으로 절상되어 가는 패턴의 자력 또는 광이 물탱크(21)의 물에 미치도록 되어 수처리가 행하여 지게 됨과 동시에 전술한 냉각이 수행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8, the magnetic force or light of the pattern in which the bottom point is sequentially lowered or the pattern in which the lower point is sequentially raised reaches the water of the water tank 21 to perform water treatment. One cooling is done.

또한, 제 2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과 발광체(30)을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력에 기초한 수처리유니트(23)와 예를들면,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에 기초한 수처리유니트(23)를 개별적으로 각각 물탱크(21)에 취부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21, the coil 2 and the light emitter 30 are not connected in series, for example,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ased on the magnetic force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ased on light as shown in FIG. 20 separately to the water tank 21, respectively.

예를들면, 제 11 도에 있어서, 물탱크(21)의 저벽부(46)에 근접하여 자력에 의한 수처리유니트(23)과 광에 의한 수처리유니트(23)를 나란히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3 도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2) 가운데 하나 또는 2 이상을 광에 기초한 수처리유니트(23)로 바꾸고 자력에 의한 수처리유니트(23)와 광에 의한 수처리유니트(23)가 혼재하는 형태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FIG. 11,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y magnetic force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y light adjacent to the bottom wall part 46 of the water tank 21 side by side. In addition, in FIG. 13, a form in which one or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coils 2 is replaced with a light-based water treatment unit 23,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y magnetic force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y light are mixed. It is also possible.

또한 제 14 도에 있어서, 복수의 수처리유니트(23)에 대하여 자력에 의한 것과 광에 의한 것을 혼재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FIG. 14, it is also possible to mix the thing by magnetic force with the thing with respect to the some water treatment unit 23.

또한 제 19 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예를들면 자력에 의한 수처리유니트(23)와 광에 의한 수처리유니트(23)를 교호로 배치하는 형태등도 채용이 가능하다.Also in Fig. 19, for example, a form in which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y magnetic force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y light are alternately arranged may be employed.

또한, 제 2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21)내의 물을 교반하면서 냉각장치(22)에 의한 물의 냉각 및 수처리유니트(23)에 의한 수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교반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모우터(84)로서 구동되는 스크류(83)를 구비한 스크류식의 교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 it is also possible to cool water by the cooling device 22 and water treatment by the water treatment unit 23 while stirr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As shown in FIG. As the stirring mea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screw type stirring device having a screw 83 driven as the motor 84.

이렇게 물탱크(21)내의 물을 교반하면서 냉각 및 수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그 냉각 및 수처리의 효율이 증가하고 예를들면, 필요한 수처리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cooling and water treatment are performed while stirr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in this way,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and water treatment increas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required water treatment time.

제 25 도에 도시한 예는 전용의 구동원을 가지지 않는 다이아프램(85)과 물탱크(21)의 저벽에 가라않혀 설치한 것이다. 이 다이아프램(5)은 제 2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처리된 철 등의 강자성체의 가동판(86)과 그 하면에 접합된 고무 등의 탄성체로 된 스커트부(87)를 구비하고, 스커트부(87)에는 물의 유통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88)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25, the bottom wall of the diaphragm 85 and the water tank 21 which does not have a dedicated drive source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26, the diaphragm 5 includes a movable plate 86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waterproofed iron and a skirt portion 87 made of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part 87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8 for distributing water.

이 다이아프램(85)의 가동판(86)에 대향하도록 자력발생수단으로서의 코일(2)을 가지는 수처리유니트(23)가 물탱크(21)의 저벽(46)의 하측에 설치된다.A water treatment unit 23 having a coil 2 as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so as to face the movable plate 86 of the diaphragm 85.

그리고, 코일(2)이 구동됨에 따른 자력변화에 의하여 수처리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다이아프램(85)의 가동판(6)이 그 자력변화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고 스커트부(87)의 관통공(88)으로부터 물이 밀려져 나오거나 흡입되거나 함에 의하여 코일(2)의 수처리를 이용하고 물탱크(21)내의 물이 교반된다.Then, the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by the change of the magnetic force as the coil 2 is driven, and the movable plate 6 of the diaphragm 85 moves up and down by the change of the magnetic force, and the through hole 88 of the skirt portion 87 is move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is agitated by the water treatment of the coil 2 by being pushed out or sucked from the water).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의 실시예를 제 27 도내지 29 도에 도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form without a cooling device is shown in FIGS. 27 to 29. FIG.

제 27 도에 있어서, 수용기(90)는 처리해야할 물을 수용하여 운반가능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것이다. 그 상부의 개구(91)가 예를들면 나사식의 뚜껑(92)으로 닫혀지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 수용기(90)는 손잡이(93)를 구비하고 그 운반 및 주수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In FIG. 27, the receiver 90 is capable of receiving and carrying water to be treated, for example, molded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upper opening 91 is closed by, for example, a threaded lid 92, and the receiver 90 is provided with a handle 93 to facilitate its transport and watering.

이 수용기(90)의 저벽(94)의 하측에는 전술한 코일(2) 및 전자제어유니트(6)를 구비한 수처리유니트(23)가 격납되어 있다. 그 수처리유니트(23)로부터는 전원코드(95)가 연장되어 그 선단의 컨센트(96)가 소정의 교류전원 등에 접속되도록 함에 의하여 전자제어유니트(6)를 개재하여 코일(2)에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파형의 자력선을 발생시키고, 이 자력이 저벽(94)을 개재하여 수용기(90)중의 물에 미치게 된다.Under the bottom wall 94 of this container 90, the water treatment unit 23 provided with the coil 2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mentioned above is stored. The power cord 95 extends from the water treatment unit 23 so that the outlet 96 at its tip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AC power source or the like so as to the coil 2 via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a magnetic wave line of a special waveform is generated, and this magnetic force extends to the water in the receiver 90 via the bottom wall 94.

제 28 도는 그러한 수처리유니트(23)의 수용기(90)에 대하여 취부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들면 코일(2) 및 전자제어유니트(6)가 고정베이스(96)에 고정되고 이것이 수용기(90)의 하단부에 설치된 나사수용부(97)에 대하여 나사부재(98)로서 고정한다.28 shows an example of a mounting structure for the receiver 90 of such a water treatment unit 23.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coil 2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are fixed to the fixed base 96, which is fixed as the screw member 98 with respect to the screw accommodating portion 97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er 90.

이것에 의하여 코일(2)의 상면이 수용기(90)의 자벽(94)에 가깝게 근접하고 이 코일(2)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저벽(94)을 경유하여 수용기(90)의 물에 작용한다. 99 는 돌출점형상의 받침부이다.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2 is close to the magnetic wall 94 of the receiver 90,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coil 2 acts on the water of the receiver 90 via the bottom wall 94. 99 is a protruding point shaped base.

또한 수용기(90)의 외부에 전원의 온/오프스위치(100), 코일(2)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강도를 조절하는 조정조작부(스위치 또는 다이얼등)(101), 또한 수처리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02)등의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n / off switch 100 of the power supply 90 outside the receiver 90, an adjustment control unit (switch or dial, etc.) 101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2, and a timer for setting the water treatment time. At least one of 102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이상과 같은 수처리유니트부착의 수용기(90)를 이용하면 그 속에 물을 넣어 전원에 접속함에 의하여 간단하게 수처리를 행하는 간단한 수처리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receiver 90 with the water treatment unit described above is used,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simple 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performs water treatment simply by putting water therein and connecting it to a power source.

그리고 수처리한 후에 이것을 냉장고 등에 넣어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지만이 수용기(90)를 냉장고에서 냉각하면서 수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fter the water treat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ol it by putting it in a refrigerator or the like,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water treatment while cooling the receiver 90 in the refrigerator.

수용기(90)를 물로서 채우고 뚜껑(92)을 한 후에, 예를들면 제 3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04) 속에 이 수용기(90)를 넣는다. 그리고 코드(95)를 냉장고(104)의 컨센트(105)(또는 별도의 컨센트)에 꼽고, 뚜껑(106)을 닫는다.After filling the receiver 90 with water and closing the lid 92, this receiver 90 is placed in the refrigerator 10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cord 95 is plugged into the outlet 105 (or another outlet) of the refrigerator 104, and the lid 106 is closed.

뚜껑(106)과 본체와의 접합부(107)는 일반적으로 고무실링 등의 부드러운 밀봉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를 전원코드(95)가 관통하여도 어떠한 지장은 없다. 그 상태로서 수용기(90)내의 물이 냉장고(104)의 냉기에 의하여 냉각됨과 동시에 수용기(90)에 부속되는 수처리유니트(23)에 의하여 그 용기중의 물에 예를들면 전술한 코일(2)로부터의 자력이 미치게되어 수처리된다.Since the joint portion 107 of the lid 106 and the main body is generally made of a soft sealing material such as rubber sealing,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power cord 95 penetrates through it. In this state, the water in the container 90 is cooled by the cold air of the refrigerator 104 and the water in the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water in the container by the water treatment unit 23 attached to the container 90, for example, the coil 2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force from the car is insulated and treated.

그 결과 수용기(0)내의 물은 냉각됨과 동시에 수처리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water in the receiver (0) is cooled and simultaneously treated with water.

또한, 제 28 도의 수처리유니트(23)에 있어서, 코일(2)을 백열전구 등의 발광체로 바꾸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수용기(90)의 적어도 발광체의 광이 통과하는 부분은 투광성재료로서 구성하도록 된다.In the water treatment unit 23 of FIG. 28,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coil 2 with a light emitting body such as an incandescent lamp. In that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er 90 through which light of the light emitter passes is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제 31 도에 도시한 예에서는 수처리유니트(23)부착의 수용기(90)의 하면에 전원접속용의 적어도 1 개의 접점부(109)가 설치되고 한편, 냉장고(104)에는 그 수용기(90)를 재치하기 위한 용기재치부(110)가 설치되며 이 용기재치부(110)에는 전원접속용의 접점부(111)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31,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109 for power connec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90 with the water treatment unit 23, while the refrigerator 90 has the receiver 90 attached thereto. The container mounting part 110 for mounting is provided, and the container mounting part 110 is provided with the contact part 111 for power connection.

수용기(90)가 용기재치부(110)에 위치결정부(112)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로서 설치됨에 의하여 수용기(90)측의 접점부(109)와 용기재치부(110)측의 접점부(111)가 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냉장고(104)로부터 수용기(90)의 수처리유니트(23)에 자력이나 광발생을 위한 전류가 공급된다.Since the receiver 9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placing unit 110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unit 112, the contact unit 109 on the container 90 side and the contact unit on the container placing unit 110 side ( 111). As a result, a current for magnetic force or light generation is supplied from the refrigerator 104 to the water treatment unit 23 of the receiver 90.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수용기(90)를 냉장고(104)의 용기재치부(110)에 놓기만 하면 전원코드 등의 권취의 필요없이 수처리가 행하여 진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without the need for winding up a power cord or the like by simply placing the receiver 90 in the container placement unit 110 of the refrigerator 104.

이 경우, 냉장고(104) 자신의 전기제어부(113)로부터 전기 전자제어유니트(6)를 개재하여 수용기(90)의 수처리유니트(23)에 전류가 공급된다. 전기제어부(113)는 컴프레셔(114) 등을 가지는 냉동회로(115)를 구동하기 위하여 컴프레셔(114)를 돌리는 모우터(116)에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수처리유니트(23)측으로도 병행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electric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electric control unit 113 of the refrigerator 104 itself via the electric and electronic control unit 6 to the water treatment unit 23 of the receiver 90. The electric control unit 113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motor 116 which turns the compressor 114 to drive the refrigeration circuit 115 having the compressor 114 and the like, and simultaneously supplies power to the water treatment unit 23 side. Will be supplied.

그런데, 제 3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기(90)에는 수처리유니트를 설치하지 않고 그 대신에 냉장고(104)내에 수처리유니트(23)를 설치하고 또한 용기재치부(110)에 수용기(90)가 재치되면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7)가 수축되어 수처리유니트(23)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18)를 닫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as shown in FIG. 32, 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not installed in the receiver 90, but 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4, and the container 90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mounting unit 110. As shown in FIG. When mounted,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member 117 such as a spring is contracted to close the switch 118 for operating the water treatment unit 23.

이 경우에는 수용기(90)가 냉각용의 물탱크로 되고 또한 냉장고(104)가 그 물탱크내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제 3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기(90)를 탑재한 냉장고측의 용기재치부(119)애 수용기(90)가 재치됨을 검출하는 센서(120)를 설치하고, 이 센서(120)가 ON 상태로 될 때에 수처리유니트(23)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도록 전자제어유니트(6)의 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receiver 90 serves as a cooling water tank and the refrigerator 104 serves as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Moreover, as shown in FIG. 33, the sensor 120 which detects mounting of the container 90 in the container mounting part 119 of the refrigerator side in which the container 90 was mounted is provided, and this sensor 120 is turned 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ircui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 to supply the drive current to the water treatment unit 23 when it is in the state.

최후로 본발명의 수처리에 의한 효과를 도시하는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Finally, an experimental example showing the effect of the water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자력이 조사(투사)된 처리수를 NMR (핵자기공명장치)분광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이 NMR 분광법은 물의 분자레벨에 있어서의 구조나 상태를 그 분자를 파괴하지 않고 관찰이 가능하게 한다.The treated water irradiated (projected) with periodically changing magnetic force was measured by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scanner) spectroscopy. This NMR spectroscopy makes it possible to observe the structure and state at the molecular level of water without destroying the molecule.

즉, 물은 H2O로 표현되지만 수소(1H)의 원자핵이나, 산소(17O)의 원자핵을 NMR 분광법으로 관찰하면 분자레벨의 물의 거동을 파악할 수있다.In other words, water is expressed as H 2 O, but the atomic nucleus of hydrogen ( 1 H) or oxygen ( 17 O) can be observed by NMR spectroscopy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water at the molecular level.

상술한바와 같이 물은 단일분자로서 존재할 수없고 클래스터라 부르는 최저 5 분자이상의 집단을 구성하고 있고 그 클래스터의 수명(크기의 변화)은 10-12초 ( 1pico-sec )라는 극히 짧은 순간이다. 여기에서는 원자력을 관찰하는17O 분광법에 의하여 이하와 같이 미처리수와 처리수를 분석평가하였다.As mentioned above, water cannot exist as a single molecule and constitutes a population of at least 5 molecules called a classer, and the lifespan (change in size) of the classer is an extremely short moment of 10 -12 seconds (1pico-sec). Here, untreated and treated water were analyzed and evaluated by 17 O spectroscopy, which observes nuclear power.

(NMR측정에 의한 수분석시험)(Water analysis test by NMR measurement)

(1) 측정(1) measurement

* 사용수:* Number of use:

일본약국방 정제수, 공영약품(주) 제품을 사용한다.Japan Pharmaceutical Defense uses purified water and Public Pharmaceutical Co., Ltd. products.

* 시료(샘플):* Sample (sample):

그 정제수 80 ml 를 미처리수로 하고 동일하게 80 ml 를 전술의 수처리장치( 제1도,제 27 도등)에 의하여 자연방치상태에서 2 시간의 자기조사를 행하여 수 처리로 한다.80 ml of the purified water is used as untreated water, and 80 ml of the purified water is subjected to self-irradiation for 2 hours in a state of natural standing by the above-described water treatment apparatus (FIGS. 1, 27, etc.).

* 샘플작성으로부터 NMR 측정실험까지의 시간:* Time from sample preparation to NMR measurement experiment:

샘플작성후 40 일째의 본측정을 실시한다.This measurement is performed on day 40 after sample preparation.

* 측정조건* Measuring conditions

측정핵:17OCore: 17 O

측정주파수: 36.6 MhzMeasuring frequency: 36.6 Mhz

측정법: SGNON (통상측정법)Measuring Method: SGNON

펄스폭: 21 μ sec ( 90도 펄스 )Pulse width: 21 μ sec (90 degree pulse)

반복시간: ACQTM = 0.102 sec PD = 0.100 secRepeat time: ACQTM = 0.102 sec PD = 0.100 sec

적산회수: 1,000 회Total number of times: 1,000 times

측정온도: 20.0 도 섭씨Measuring temperature: 20.0 degrees Celsius

이러한 NMR 측정의 결과를 제 34 도의 그래프로서 도시한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파선이 미처리수이고 실선은 처리수의17O - NMR 의 스펙트럼신호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The results of such NMR measurements are shown as a graph in FIG. 34. In this graph, the broken line is untreated water and the solid line shows spectral signals of 17 O-NMR of the treated water, respectively.

이것을 보면 처리수의 스펙트럼신호의 선폭은 미처리수의 그것에 비하여 넓게 되어 있다. 그 스펙트럼의 반값의 폭은 미처리수가 62.56 Hz, 처리수가 70.81 Hz 로서 이것이 미 처리수 및 처리수의 고유의 각각의 선폭으로 된다.This shows that the line width of the spectral signal of the treated water is wid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water. The half width of the spectrum is 62.56 Hz for untreated water and 70.81 Hz for treated water, which becomes the respective line widths inherent in untreated water and treated water.

여기에서 각 선폭은 NMR 의 관측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흡수한 원자핵(17O)이 그 에너지를 방출하기까지의 시간( 이것을 '완화시간' 이라 부른다. )에 반비례한다. 물분자집단인 클래스터가 크게되어 그 분자운동이 늦어지면 완화시간이 짧게 되기 때문에 NMR 스펙트럼의 신호의 선폭은 크게된다.Here, each line widt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ime until the atomic nucleus ( 17 O), which absorbs the energy used in the NMR observation, releases the energy (called 'relaxation time'). As the classifier, the water molecule group, becomes large, and the molecular motion is slowed, the relaxation time is shortened. Therefore, the line width of the signal of the NMR spectrum becomes large.

결국 선폭이 넓게 된다는 것은 처리수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큰 클래스터의비가 증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After all, wider line widths mean that the ratio of large classters on average increases in the number of treated water.

일반적으로 물의 클래스터는 외부로부터 초음파나 전파, 저주파의 진동 등의 미약한 에너지를 가할 경우, 분자의 결합이 파괴되어 클래스터가 적게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그러한 소클래스터의 수명은 짧게 되며 재결합보다 더욱 단시간에 원래의 분자상태로 돌아간다.In general, water classifiers are known to break down the bonds of molecules due to the application of weak energy such as ultrasonic waves, radio waves, and low frequency vibrations from the outside, resulting in shorter classers. In a shorter time, it returns to its original molecular state.

이것에 대하여 본시험결과에 있어서는 자기파를 조사하는 수처리장치에 의하여 물의 클래스터가 크게되는 역의 결과를 발생시키고 또한 처리후 40 일을 경과한 시점에서도 큰 클래스터상태를 지속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test resul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rradiating the magnetic wave produces the reverse result of the water classter becoming large, and the large classter state is maintained even after 40 days after the treatment. have.

본실시예의 수처리장치(제1도,제27도등)로 처리된 물에 대하여 이하와 같은 사실이 관측되었다.The following facts were observed for the water treated with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FIGS. 1, 27, etc.) of this embodiment.

(1) 음료수,조리관계(1) Beverage, cooking relations

이 처리수를 음료수로 한 경우,물의 맛 또는 이것으로 조리한 요리의 맛이 변화되었다.When this treated water was used as a beverage, the taste of the water or the taste of the dish cooked therein was changed.

(2) 생체적관체(2) biological cortex

이 처리수를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예를들면 1 개월이상) 음료수로 하거나 요리에 사용하여 섭취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생하였다.When this treated water is consumed as a beverage or cook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for example, more than one month), the following facts occur.

① 잇몸으로부터 출혈이 멈추었다① The bleeding has stopped from the gums

② 탈모가 감소하였다.② hair loss has decreased.

③ 혈압이 안정되었다.③ blood pressure is stable.

④ 사람도 대변의 악취가 감소하고 실내견에 있어서도 가옥내의 취기(주로암모니아냄새)가 격감하였다.(4) The odor of feces also decreased in humans, and the smell in the house (mainly ammonia) also decreased in indoor dogs.

또한 자력 대신에 전술한 광의 조사에 의한 수처리의 경우에도 자력의 수처리에 의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자력과 광을 함께 조사한, 예를들면 제 22 도, 23 도에 도시한 수처리유니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대체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Also in the case of the water treatment by irradiation of light described above instead of the magnetic force, the same effect as in the case of the magnetic treatment of water is obtained,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S. 22 and 23 is irradiated with the magnetic force and the light together. Even when used, the same effect is generally obtained.

제 1 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인 수처리장치의 전체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급수탱크를 도시하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tank.

제 3 도는 제 1 도의 수처리장치의 구성의 모식도.3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of FIG.

제 4 도는 제 1 도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모식도.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 5 도는 자력발생수단을 이용한 수처리유니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treatment unit using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제 6 도는 코일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portion.

제 7 도는 수처리유니트의 전자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circuit of a water treatment unit.

제 8 도는 수처리유니트의 구동전압의 파형패턴을 도시하는 파형도.8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waveform pattern of a drive voltage of a water treatment unit.

제 9 도는 제 7 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회로도.9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 10 도는 수처리유니트의 전자회로의 다른 예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구성도.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water treatment unit.

제 11 도는 물탱크의 저부에 대한 수처리유니트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ttachment of a water treatment unit to the bottom of a water tank.

제 12 도는 그 저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ttachment of another embodiment to its bottom;

제 13 도는 그 저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13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ttom thereof.

제 14 도는 물탱크의 상벽,측벽 및 저벽에 수처리유니트를 배치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where water treatment units are arranged on the upper wall,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wall of the water tank.

제 15 도는 물탱크의 측부에 설치된 수처리유니트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ttachment of a water treatment uni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제 16 도는 제 15 도의 정면도.FIG. 16 is a front view of FIG. 15. FIG.

제 17 도는 물탱크의 저부에 광조사식의 수처리유니트를 설치한 경우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ttachment when a light irradiating water treatment un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제 18 도는 물탱크의 측부에 광조사식의 수처리유니트를 설치한 경우의 부착예를 도시한 단면도.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ttachment when a light irradiating water treatment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제 19 도는 물탱크의 측벽에 연하여 복수의 수처리유니트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모식도.1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treatment units ar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제 20 도는 광조사식의 수처리유니트의 전자회로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20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circuit of a light irradiation type water treatment unit.

제 21 도는 자력과 광을 함께 조사하는 수처리유니트의 전자회로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도.2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circuit of a water treatment unit for irradiating magnetic force and light together.

제 22도는 자력과 광을 이용하는 수처리유니트에 있어서의 코일과 발광체의 구성설명도.Fig. 2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il and the light emitting unit in the water treatment unit using magnetic force and light.

제 23 도는 코일의 주위에 발광체를 배설한 경우의 평면도.23 is a plan view of a case where light emitters are disposed around a coil;

제 24 도는 물탱크내의 물을 교반하는 스크류식의 교반수단을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2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crew-type stirring means for stirring water in a water tank is provided.

제 25 도는 다이아프램식의 교반수단을 배설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2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iaphragm type stirring means is disposed.

제 26 도는 상기 다이아프램만을 취출하여 도시한 도면.26 is a view showing only the diaphragm is taken out.

제 27 도는 운반가능한 수용기에 수처리유니트를 조립하여 구성한 예를 도시한 정면도.2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ater treatment unit is assembled to a transportable container.

제 28 도는 수용기의 저부에 수처리유니트를 부착한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는 분해단면도.28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treatment uni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er.

제 29 도는 상기의 취부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2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described above.

제 30 도는 제 27 도의 수용기를 냉장고에 수용하여 수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구성설명도.3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in which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by receiving the receiver of FIG. 27 in a refrigerator.

제 31 도는 제 30 도의 전원접속을 접점스위치로 행하는 경우의 모식도.FIG. 31 is a schematic diagram whe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of FIG. 30 is performed by a contact switch. FIG.

제 32 도는 냉장고측에 수처리유니트를 설치하고 수용기의 설치에 따라 스위치가 ON 된 경우의 모식도.32 is a schematic diagram when a water treatment unit is installed on the refrigerator side and the switch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receiver.

제 33 도는 제 32 도의 스위치를 센서로 바꾼 경우의 모식도.33 is a schematic diagram when the switch of FIG. 32 is replaced with a sensor.

제 34 도는 본발명의 수처리의 실험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34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water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6: 전자제어유니트 20: 냉수기(수처리장치)6: electronic control unit 20: water cooler (water treatment device)

21: 쿨탱크 22: 냉각장치21: Cool Tank 22: Cooling System

23: 수처리유니트 25: 급수탱크23: water treatment unit 25: water supply tank

30: 발광체 46: 저벽30: light emitting body 46: bottom wall

49: 창부 60: 전자제어유니트49: window 60: electronic control unit

73: 투광성저벽부 83: 스크류73: translucent bottom wall 83: screw

85: 다이아프램 86: 가동판85: diaphragm 86: movable plate

90: 수용기 95: 전원코드90: receiver 95: power cord

104: 냉장고 109,111: 접점부104: refrigerator 109,111: contact portion

110: 용기재치부110: container housing

Claims (8)

냉각용의 물탱크와, 그 물탱크내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와, 그 물탱크내의 물을 자력 및 광을 선택적 내지는 함께 사용하여 처리하도록;To treat the water tank for cooling, the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by using magnetic force and light selectively or together; 전기적으로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 및 광을 발생하는 광발생수단과, 상기 자력발생수단 및 광발생수단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과,피크포인트가 거의 일정하고 바닥포인트가 순차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여 가도록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압파형패턴을 하나의 사이클로 하고 이 패턴사이클을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상기 구동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수단과,상기 물탱크내의 물에 상기 자력 발생수단에서 발생한 자력 및 광발생수단에서 발생한 광을 조사가능한 상태로 설치한 자력조사부 및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에 의하여 상기 물탱크내의 물을 냉각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압파형패턴의 반복에 대응하여 강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자력 및 광을 상기 물탱크내의 물에 조사하여 수처리를 행하는 수처리 유니트를 가지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for electrically generating magnetic force and ligh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light, voltage supply means for supplying driving voltage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and light generating means, and the peak point is substantially constant, and the bottom point descends sequentially Or a volta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voltage so that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periodically changes so as to go up and repeats the pattern cycle, and magnetic force and light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in water in the water tank. A magnetic force irradiator and a light irradiator provided in a state capable of irradiat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generating means, wherein the cooling unit cool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nsity is periodically corresponding to the repetition of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A water treatment unit that irradiates water in the water tank with varying magnetic force and light to perform water treatment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상기 수처리유니트(23)는 수탱크(21)의 저벽(46)의 외부하측의 고정되고,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fixed to the outer lower side of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상기 물탱크(21)의 저벽(46)이 자성재료로 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수처리유니트(23)의 코일(2)의 자력이 관통하는 부분은 비자성재료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When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t least a portion through which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2 of the water treatment unit 23 penetrates is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and is mounted. Device. 처리해야할 물을 수용하는 운반가능한 수용기와, 상기 수용기의 저부에 일체적으로 취부되어 수처리를 행하도록 전기적으로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 및 광을 발생하는 광발생수단을 선택적 내지 함께 상기 자력발생수단 및 광발생수단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과, 피크포인트가 거의 일정하게 바닥포인트가 순차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여 가도록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압파형패턴을 하나의 사이클로 하고 이 패턴사이클을 반복하도록 상기 구동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수단과, 상기 자력발생수단 및 광발생수단에서 발생한 자력 및 광을 상기 수용기중의 물에 조사하는 자력조사부 및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파형패턴의 반복에 대응하여 강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자력 및 광을 상기 수용기중의 물에 조사하여 수처리를 행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A transportable receiver for receiving water to be treated,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magnetic force and an optic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light, which are integrally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er and perform water treatment; And a voltage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light generating means, and a voltage waveform pattern that periodically changes so that the bottom point sequentially descends or rises at a constant peak point as one cycle, and repeats the pattern cycle. A volta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driving voltage, a magnetic force irradiator and a light irradiator for irradiating water in the receiver with magnetic force and light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and the light generating means, in response to repetition of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The magnetic force and light whose intensity periodically changes are irradiated to the water in the receiver to In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상기 수용기(90)는 물을 수용하여 운반가능한 성형체이며,The receiver 90 is a molded body that can receive and transport water,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코일(2) 및 전자제어유니트(6)를 구비한 수처리유니트(23)를 저벽에 격납하여 구성하고,A water treatment unit 23 having an electrically driven coil 2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6 is stored on the bottom wall, 상기 수처리유니트(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용기(90)의 외부에 전원 온/오프스위치(100), 상기 코일(2)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강도를 조절하는 조정조작부(101), 수처리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02)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Adjustment operation unit 101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power on / off switch 100, the coil 2 to the outside of the receiver 9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treatment unit 23, water treatment time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imer (102) for setting the. 처리해야할 물을 수용하는 운반가능한 수용기와, 상기 수용기의 저부에 일체적으로 취부되어 수처리를 행하도록;A transportable receiver containing water to be treated, and integrally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er for water treatment; 전기적으로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및 광을 선택적내지 함께 발생하는광발생수단과, 상기 자력발생수단 및 광발생수단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과, 피크포인트가 거의 일정하게 바닥포인트가 순차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여 가도록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압파형패턴을 하나의 사이클로하고 이 패턴사이클을 반복하도록 상기 구동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수단과, 상기 자력발생수단 및 광발생수단에서 발생한 자력 및 광을 상기 수용기중의 물에 조사하는 자력조사부 및 광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파형패턴의 반복에 대응하여 강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자력 및 광을 상기 수용기중의 물에 조사하여 수처리를 행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magnetic force and the ligh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light selectively or together, the voltage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driving voltage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and the light generating means, and the bottom point is almost constant A volta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voltage so that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periodically changes so as to sequentially descend or rise, and repeats the pattern cycle, and the magnetic force and light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and the light generating mean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magnetic irradiating portion and a light irradiating portion for irradiating water in the container, and irradiating water in the container with water and magnetic force whose intensity periodically changes in response to repetition of the voltage waveform pattern. In; 상기 수처리유니트(23) 부착의 수용기(90)의 하면에 전원접속용의 적어도 1개의 접점부(109)와, 상기 수용기(90)를 재치하기 위한 용기재치부(110)를 가지는 냉장고(104)의 전원접속용의 접점부(111)를 가짐으로서,Refrigerator 104 having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109 for power connection and a container mounting portion 110 for placing the receiver 90 on a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90 with the water treatment unit 23. By having the contact portion 111 for power supply connection of 상기 냉장고(104) 자체의 전기제어부(113)로부터의 전류로서 상기 수처리유니트(23)에 전원을 공급하게 하여 수처리를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by supplying power to the water treatment unit (23) as a current from the electric control unit (113) of the refrigerator (104) itself.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수용기(90)의 수처리유니트에 대신하여 상기 냉장고(104) 내에 수처리 유니트(23)를 설치하고,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4 in place of the water treatment unit of the receiver 90, 상기 냉장고(104) 내의 형성된 용기재치부(110)에 상기 수용기(90)가 재치됨에 의하여 작동하는 수위치(118)에 의하여 전원이 단속되어 수처리를 행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Th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interrupted by the water position (118) operating by the container 90 is placed on the container placing portion (110) formed in the refrigerator (104) to perform the water treat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탱크(21)의 저벽(46)에 관통하는 창부(49)가 형성하고, 상기이 창부(49)로부터 수처리유니트(23)의 코일(2)이 필름(50) 피복 등의 방수수단을 구비하여 상부로 돌출하여 물탱크(21)내의 물에 노출되도록 밀봉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A window 49 penetrating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is formed, and the coil 2 of 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provided with a waterproofing means such as covering the film 50 from the window 49. Protruding upward to seal the assembly so as to be exposed to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탱크(21)의 저벽(46) 상면에 복수개의 코일(2)이 방수필름 등으로 수밀되어 고정되고, 상기 저벽(46)의 하부에 상기 복수개의 코일(2) 공통의 전자제어유니트(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The plurality of coils 2 are watertight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46 of the water tank 21 by a waterproof film or the like,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mmon to the plurality of coils 2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wall 46. 6)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제 1 항, 5 항, 6 항의 각각에 있어서,In each of Claim 1, 5, 6, 상기 수처리유니트(23)는 상기 물탱크(21)의 저벽부 ,측벽부 및 상벽부에 각각 취부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be mounted to each of the bottom wall portion, side wall portion and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water tank (21). 제1항 및 제5항,6항, 7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and 5, 6, 7, 상기 수처리유니트(23)는 광을 발생하는 수처리유니트와 자기를 발생하는 수처리유니트를 선택적이거나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The water treatment unit 2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reatment unit for generating light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for generating magnetism can be used selectively or together.
KR1019950030162A 1995-09-11 1995-09-11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349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162A KR100349333B1 (en) 1995-09-11 1995-09-11 Water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162A KR100349333B1 (en) 1995-09-11 1995-09-11 Water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74A KR970015474A (en) 1997-04-28
KR100349333B1 true KR100349333B1 (en) 2002-11-11

Family

ID=3748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162A KR100349333B1 (en) 1995-09-11 1995-09-11 Water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33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12Y1 (en) * 1990-07-10 1992-12-19 진영조 Magnetic water pot
JPH05123677A (en) * 1991-08-23 1993-05-21 Hiroshi Tachibana Device for treating water
KR950000319Y1 (en) * 1992-01-03 1995-01-20 권오석 Water magnetiz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12Y1 (en) * 1990-07-10 1992-12-19 진영조 Magnetic water pot
JPH05123677A (en) * 1991-08-23 1993-05-21 Hiroshi Tachibana Device for treating water
KR950000319Y1 (en) * 1992-01-03 1995-01-20 권오석 Water magnetiz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74A (en)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417B2 (en) Portable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US7418823B2 (en) Freezer, freezing method and frozen objects
CN110168287B (en) Ultrasonic humidifier
CH708342B1 (en) Atomizer humidifier and nebulizer module.
KR100349333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3535513A (en) Germicidal lamp appliance for sterilizing the water in aquariums or swimming pools
KR101055402B1 (en) Portable sterilizer
KR20100127439A (en) Supporter for a portable sterilizer and a portable sterilizer assembly
JP3022038U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CN103423945A (en) Refrigerator
CN212076524U (en) A same frequency appearance for water activation treatment
CN108208895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edible substances by using broadband adjustable frequency
JPH0822437B2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2380108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of spray type
CN211861766U (en) Broadband adjustable frequency edible substance treatment device
CN2175513Y (en) Super sonic fish pot oxygen increasing and air humidifying machine
CN1316234A (en) Multifunctional equipment for sauna both and shower both
CN2742966Y (en) Ozone deodourizer
JPS61209665A (en) Deodorizing apparatus
JPH11299864A (en) Sterilizing device
KR200150353Y1 (en) Sterilizing device of home-used humidifier
KR960014037B1 (en) Ozone generation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CN215838456U (en) Stirring type cup warming pad
JP2011101619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0784462B1 (en) Dome type supervisory camera with negative ion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1114

Effective date: 2001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