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705B1 -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 Google Patent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705B1
KR100348705B1 KR1020000069109A KR20000069109A KR100348705B1 KR 100348705 B1 KR100348705 B1 KR 100348705B1 KR 1020000069109 A KR1020000069109 A KR 1020000069109A KR 20000069109 A KR20000069109 A KR 20000069109A KR 100348705 B1 KR100348705 B1 KR 10034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 station
frequency
locked loop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1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39191A (en
Inventor
유재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705B1/en
Publication of KR2002003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7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의 개선 및 공유가능한 부분의 확대를 통해 하드웨어적인 복잡도를 개선하면서 멀티캐리어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기준 신호원을 일정한 위상각으로 유지시키는 위상 동기 루프 수단; 상기 위상 동기 루프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현재 입력되는 변조신호에 적용하여 소정의 전송 주파수대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3 이상의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 및 상기 적어도 3 이상의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중의 어느 한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수신 주파수를 결정한 후 캐리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여, 멀티캐리어 3×모드의 구현시 3개의 송신측이 위상 동기 루프부를 공유하게 하고 제 2 송신측에서의 출력 신호에 수신측 신호의 PLL 락(lock)을 맞춤으로써, 기지국의 송신부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지국 자체의 크기 역시 최소화시키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ulticarrier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a multicarrier while improving hardware complexity by improving a structure and expanding a shareable part. Phase locked loop means for holding; At least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for applying a signal from said phase locked loop means to a signal of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by applying it to a currently input modulation signal; 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input through a carrier after determining a receiving frequency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any one of the at least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uplink converting means, thereby implementing a multicarrier 3x mode. By allowing the three transmitters to share the phase-locked loop part and fitting the PLL lock of the receiver signal to the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transmitter, the size of the transmitter of the base station is minimized as well as the size of the base station itself. do.

Description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본 발명은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MT-2000과 같은 차세대 이동 통신 망에서 멀티캐리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st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carriers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IMT-2000.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으로 불리우는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2000년대 초에 서비스를 목표로 ITU-R의 TG/1에서 권고안을 작성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The third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calle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IMT-2000), is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hat makes recommendations in the TG / 1 of ITU-R aiming at the service in the early 2000s.

이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PSTN/ISDN/B-ISDN 등과 같은 고정 통신망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에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This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uses a wireless link to connect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pported by a fix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PSTN / ISDN / B-ISDN according to a mobile user's request.

사용 주파수 대역은 WARC(현재는 WRC로 바뀜)-92에서 결정된 1,885MHz ∼ 2,025MHz와 2,110MHz ∼ 2,200MHz로서, 기존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기술에 의한 한 차원 높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지상망 또는 위성망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가 이동 통신용 또는 고정 통신용으로 사용된다.The frequency bands used are 1,885 MHz to 2,025 MHz and 2,110 MHz to 2,200 MHz, as determined in WARC (now replaced by WRC) -92, which not only provide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s but also provide a higher level of service through advanced technology.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to a terrestrial or satellite network are used for mobile communication or fixed communication.

IMT-2000은 다양한 시스템과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범세계적인 운용에 의한 고도의 서비스 호환성이 있으며, 높은 품질로 소형 경량의 단말기를 사용할 수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IMT-2000 is able to interoperate with various systems, has high service compatibility by worldwide operation, and has the features of using small size and light weight terminal with high quality.

IMT-2000은 음성, 데이터 뿐만 아니라 2Mbps급 까지의 고속 데이터 및 영상 통신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계층 셀(pico, micro, macro cell 등) 개념을 도입하며, 전 세계의 글로벌 로밍을 목표로 하고 있다.IMT-2000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not only voice and data but also multimedia services such as high-speed data and video communication up to 2Mbps.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layer cell (pico, micro, macro cell, etc.) I aim to roam.

그리고, IMT-2000은 전세계적으로 공통 주파수 대역(1,885MHz ∼ 2,025MHz, 2,110MHz ∼ 2,200MHz)의 총 230MHz를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 위성 부분은 1,980 ∼ 2,010MHz, 2,170 ∼ 2,200MHz 대역으로 한정하고, 공통의 무선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국제적인 로밍(roaming)이 가능하다.In addition, IMT-2000 uses a total of 230 MHz in the common frequency band (1,885 MHz to 2,025 MHz, 2,110 MHz to 2,200 MHz) worldwide, and the satellite portion of the IMT-2000 is limited to the bands 1,980 to 2,010 MHz and 2,170 to 2,200 MHz. As a result, international roaming is possible because it uses a common wireless standard.

이와 같이 IMT-2000은 기존의 지상 이동 통신 및 위성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합하여 단말기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말 이동성, 가입자가 어느 단말기로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개인 이동성, 이동중에 음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 등을 만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In this way, IMT-2000 integrates the existing terrestrial mobile communication and satelli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so that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can be freely moved, the personal mobility that the subscriber can receive from any terminal, and the voice on the go. It aims to satisfy the service mobility and the like that can be used.

다시 말해서, IMT-2000은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을 통합하여 국제적인 로밍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개인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In other words, IMT-2000 is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integrates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o provide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s, multimedia services, and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s.

그러나, 전 세계 기술방식의 통합을 통한 글로벌 로밍을 추구해 온 IMT-2000 서비스가 최종 표준화 단계에서 유럽/일본 중심의 비동기 방식(W-CDMA)과 북미 중심의 동기 방식(cdma2000 3x)으로 나뉘어져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the IMT-2000 service, which has been pursuing global roaming through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around the world, is divided into Europe / Japan synchronous (W-CDMA) and North American synchronous (cdma2000 3x) in the final standardization stage. It is done.

비동기 방식은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가 모두 Direct Spread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동기방식은 기존의 1x(=1.25MHz)의 캐리어를 각각 3배해서 3x모드(멀티 캐리어)로 하향 링크가 구성이 되어 있다. 동기방식의 상향 링크는 Direct Spread 방식으로 구성이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기방식의 기지국 송신부와 이동국 수신부는 3x 모드의 신호를 송수신해야 한다.In the asynchronous method, both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configured as direct spread methods, but in the synchronous method, the downlink is configured in a 3x mode (multicarrier) by three times the existing 1x (= 1.25MHz) carrier. Synchronous uplink is configured by direct spread method. In this situation, the synchronous base station transmitter and the mobile station receiver must transmit and receive a 3x mode signal.

그에 따라, 상기 기지국 송신부가 3개의 캐리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송신부가 3개 필요하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 송신부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되며 기지국 전체의 부피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ccordingly, three identical transmitters are required for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to transmit three carriers. In this case, the complexity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is increased, which is ver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s, and the volume of the entire base station also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의 개선 및 공유가능한 부분의 확대를 통해 하드웨어적인 복잡도를 개선하면서 멀티캐리어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multicarrier while improving the hardware complexity by improving the structure and expanding the shareable part is provi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위상 동기 루프부 12, 20, 28, 46 : 분주기10: phase locked loop portion 12, 20, 28, 46: divider

14, 22, 30, 58 : 자동 이득 제어기 16, 24, 32, 50 : 대역 필터14, 22, 30, 58: automatic gain controller 16, 24, 32, 50: band filter

18, 26, 34, 52 : 혼합기 36 : 콤바이너18, 26, 34, 52: Mixer 36: Combiner

38 : 필터 40 : 구동 앰프38 filter 40 driving amplifier

42 : 전력 증폭기 44 : 듀플렉서42: power amplifier 44: duplexer

48 : 저잡음 증폭기 54 : 중간 주파수 증폭기48: low noise amplifier 54: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56 : 중간 주파수 탄성 표면파 필터 60 : RF검출기56: intermediate frequency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60: RF detector

70 : 제 1 상향 주파수 변환부 80 : 제 2 상향 주파수 변환부70: first uplink frequency converter 80: second uplink frequency converter

90 : 제 3 상향 주파수 변환부 100 : 수신부90: third uplink frequency converter 100: receiv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은, 입력되는 기준 신호원을 일정한 위상각으로 유지시키는 위상 동기 루프 수단; 상기 위상 동기 루프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현재 입력되는 변조신호에 적용하여 소정의 전송 주파수대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3 이상의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 및 상기 적어도 3 이상의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중의 어느 한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수신 주파수를 결정한 후 캐리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phase-locked loop means for maintaining an input reference signal source at a constant phase angle; At least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for applying a signal from said phase locked loop means to a signal of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by applying it to a currently input modulation signal; 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input through a carrier after determining a reception frequency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any one of the at least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입력되는 기준 신호원(기준 주파수)에 대해 일정한 위상각으로 유지시키는 위상 동기 루프부(10); 송신될 데이터가 I/Q변조되어 입력되는 신호(IF신호)에 상기 위상 동기 루프부(10)로부터의 신호를 적용하여 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그에 해당하는 채널(FA#1)의 신호(RF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상향 주파수 변환부(70); 송신될 데이터가 I/Q변조되어 입력되는 신호(IF신호)에 상기 위상 동기 루프부(10)로부터의 신호를 적용하여 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해당하는 채널(FA#2)의 신호(RF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상향 주파수 변환부(80); 송신될 데이터가 I/Q변조되어 입력되는 신호(IF신호)에 상기 위상 동기 루프부(10)로부터의 신호를 적용하여 상향 주파수 변환한 후 해당하는 채널(FA#3)의 신호(RF신호)를 출력하는 제 3 상향 주파수 변환부(90); 상기 제 2 상향 주파수 변환부(80)에서 출력되는 신호(RF신호)에 맞추어 송신 주파수를 결정한 후 캐리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0); 상기 제 1 ∼ 제 3 상향 주파수 변환부(80)에서 출력되는 채널(FA#1, FA#2, FA#3)의 신호를 합하는 콤바이너(36); 상기 콤바이너(36)에서 출력되는 신호중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38); 상기 필터(38)를 통과한 신호를 송출하는 구동 앰프(40); 상기 구동 앰프(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42); 및 이동 단말기(도시 생략)에서 전송되는 멀티캐리어(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채널(FA#1, FA#2, FA#3)의 신호가 하나의 캐리어(대역폭이 5MHz)로 묶여지고, 이러한 캐리어가 연속적인 것)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도시 생략)측으로 캐리어들을 송신하는 듀플렉서(duplexer)(44)를 구비한다.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ase locked loop unit 10 for maintaining a constant phase angle with respect to an input reference signal source (reference frequency); After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I / Q modulated and inputted to the input signal (IF signal), the signal from the phase locked loop unit 10 is up-converted and then the signal (RF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FA # 1 is applied. A first uplink frequency converter 70 for outputting a); A signal (RF signal) of a corresponding channel (FA # 2) is subjected to up-frequency conversion by applying a signal from the phase-locked loop unit 10 to a signal (IF signal) inputted with I / Q modulation. A second uplink frequency converter 80 for outputting the; A signal (RF signal) of a corresponding channel (FA # 3) is up-converted by applying a signal from the phase-locked loop unit 10 to an input signal (IF signal) in which data to be transmitted is I / Q modulated. A third uplink frequency converter 90 for outputting a; A receiver 100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frequency according to a signal (RF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uplink frequency converter 80 and receiving a signal input through a carrier; A combiner 36 that sums signals of channels FA # 1, FA # 2, and FA # 3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d uplink frequency converters 80; A filter (38) for removing unnecessary nois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biner (36); A driving amplifier 40 for transmitting a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lter 38; A power amplifier 42 for amplify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amplifier 40; And a multicarrier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not shown) (signals of three channels FA # 1, FA # 2, FA # 3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undled into one carrier (5 MHz in bandwidth), Such carriers are continuous) and a duplexer 44 for transmitting carriers to the mobile terminal (not shown).

여기서, 상기 필터(38)는 대역 통과 필터일 수도 있고 유전체 필터 또는 탄성 표면파(SAW) 필터일 수도 있다.Here, the filter 38 may be a band pass filter, a dielectric filter or a surface acoustic wave (SAW) filter.

상기 제 1 상향 주파수 변환부(70)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부(10)로부터의 신호를 일정 분주율로 분주하는 분주기(12); I/Q변조기로부터 입력되는 변조된 신호에 대해 안테나 송신단의 동작 신호범위를 수용하기 위해 이득 제어를 행하여 일정한 신호레벨로 만드는 자동 이득 제어기(14);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14)에서 출력되는 신호중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특정 대역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16); 및 상기 대역 필터(16)를 통과한 신호와 상기 분주기(12)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혼합기(18)를 구비한다.The first uplink frequency converter 70 divides the signal from the phase locked loop unit 10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division rate 12;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14 which performs gain control to accommodate the operation signal range of the antenna transmitting end with respect to the modulated signal input from the I / Q modulator, and makes a constant signal level; A band pass filter (16) for passing only signals of a specific bandwidth to remove unnecessary noise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14); And a mixer 18 for mixing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band filter 16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ivider 12 to up-convert the frequency.

상기 제 2 상향 주파수 변환부(80)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부(10)로부터의 신호를 일정 분주율로 분주하는 분주기(20); I/Q변조기로부터 입력되는 변조된 신호에 대해 안테나 송신단의 동작 신호범위를 수용하기 위해 이득 제어를 행하여 일정한 신호레벨로 만드는 자동 이득 제어기(22);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22)에서 출력되는 신호중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특정 대역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24); 및 상기 대역 필터(24)를 통과한 신호와 상기 분주기(20)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혼합기(26)를 구비한다.The second uplink frequency converter 80 divides the signal from the phase-locked loop unit 10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divider 20;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22 which performs gain control to accommodate the operating signal range of the antenna transmitting end with respect to the modulated signal input from the I / Q modulator and makes the signal level constant; A band pass filter 24 for passing only a signal having a specific bandwidth to remove unnecessary nois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22; And a mixer 26 for mixing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band filter 24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ivider 20 to up-convert the frequency.

상기 제 3 상향 주파수 변환부(90)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부(10)로부터의 신호를 일정 분주율로 분주하는 분주기(28); I/Q변조기로부터 입력되는 변조된 신호에 대해 안테나 송신단의 동작 신호범위를 수용하기 위해 이득 제어를 행하여 일정한 신호레벨로 만드는 자동 이득 제어기(30);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중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특정 대역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32); 및 상기 대역 필터(32)를 통과한 신호와 상기 분주기(28)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혼합기(34)를 구비한다.The third uplink frequency converter 90 divides the signal from the phase locked loop unit 10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division ratio 28;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30 which performs gain control to accommodate the operating signal range of the antenna transmitting end with respect to the modulated signal input from the I / Q modulator, and makes a constant signal level; A band pass filter (32) for passing only signals having a specific bandwidth to remove unnecessary noise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30); And a mixer 34 for mixing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band filter 32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ivider 28 to up-convert the frequency.

여기서, 상기 분주기(12)와 분주기(20) 및 분주기(28)의 분주율은 상호 차등적이다.Here, the frequency division ratios of the frequency divider 12, the frequency divider 20, and the frequency divider 28 are mutually different.

상기 수신부(100)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부(10)로부터의 신호를 일정 분주율로 분주하는 분주기(46); 상기 듀플렉서(44)를 통해 수신되는 각 채널의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낮추고 원래의 수신 채널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48); 상기 저잡음 증폭기(48)를 통한 고주파의 캐리어내의 채널 신호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 필터(50); 상기 대역 필터(50)를 통과한 신호와 상기 분주기(46)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즉, RF신호IF신호로 변환)하는 혼합기(52); 상기 혼합기(52)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IF)를 증폭하는 중간 주파수 증폭기(54); 상기 중간 주파수 증폭기(54)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에서 1.25MHz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중간 주파수 탄성 표면파 필터(IF SAW Filter)(56); 및 상기 중간 주파수 탄성 표면파 필터(56)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안테나 수신단의 동작 신호범위(dynamic range)를 수용하기 위해 이득 제어를 행하여 일정한 신호레벨을 I/Q 복조기로 출력시키는 자동 이득 제어기(58)를 구비한다.The receiver 100 includes: a divider 46 for dividing the signal from the phase locked loop unit 10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division rate; A low noise amplifier 48 for lowering noise included in the signal of each channel received through the duplexer 44 and amplifying the original received channel signal; A band pass filter (50) for removing unnecessary noise from a channel signal in a high frequency carrier through the low noise amplifier (48); The band mixer (52) mixing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and the frequency divider 46 through the filter 50 for frequency down-converted (i.e., converted to an RF signal IF signal); An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54) for amplify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IF) output from the mixer (52); An IF SAW filter 56 which passes only signals in a band of 1.25 MHz at an intermediate frequency output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54;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58 for performing a gain control to accommodate the dynamic range of the antenna receiver for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56 and outputting a constant signal level to the I / Q demodulator 58. ).

상기 수신부(100)는 상기 3개의 상향 주파수 변환부(70, 80, 90)중에서 제 2 상향 주파수 변환부(80)에서 출력되는 채널(FA#2) 신호에 듀플렉스 간격(예컨대, 190MHz)만큼을 더한 값을 수신 주파수로 결정한다. 보통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 송수신을 행하는 기지국의 송신 주파수는 2,110MHz ∼ 2,170MHz이고, 그 기지국의 수신 주파수는 1,920MHz ∼ 1,980MHz이므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의 차(190MHz)가 상기 듀플렉스 간격이 된다.The receiver 1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duplex interval (eg, 190 MHz) to the channel FA # 2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uplink frequency converter 80 among the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ers 70, 80, and 90. The added value is determined as the reception frequency. Usually,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that performs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2110 MHz to 2170 MHz, and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is 1920 MHz to 1980 MHz,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ption frequency (190 MHz) is the duplex. It becomes the interval.

그리고,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상기 전력 증폭기(42)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검출하는 RF검출기로서, 상기 RF검출기(60)는 상기 전력 증폭기(42)의 출력단에서 전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RF_DCT)를 제어부(도시 생략)로 보냄으로써 해당 기지국 시스템에서는 출력단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n RF detector for detec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mplifier 42, and the RF detector 60 detects power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amplifier 42 to detect a detection signal. By sending the RF_DCT to a controller (not shown), the base station system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utput terminal.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n operation of a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IMT-2000의 동기 방식에 적용되는 것으로한다.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method of the IMT-2000.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IMT-2000 동기방식에서는 순방향 링크가 3×모드(1.25MHz × 3)를 지원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3×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의 송신부가 각각 1.25MHz의 대역폭을 갖는 3개의 채널 신호로 구성된다.In the IMT-2000 synchronization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ssumed that the forward link supports 3x mode (1.25MHz x 3). In order to support the 3x mode, the transmitter of the base station consists of three channel signals each having a bandwidth of 1.25 MHz.

예를 들어, 384 Kbps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대역폭에 128 Kbps의 데이터를 실어서 3개의 신호를 기저대역에서 발생한 후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뒤 송신할 데이터를 I/Q변조기에서 변조한 후 각각의 상향 주파수 변환부(70, 80, 90)로 보낸진다.For example, in order to transmit 384 Kbps of data, 128 Kbps of data is loaded in one bandwidth, three signals are generated at baseband, and then the digital signals are converted into analog signals and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transmitted from the I / Q modulator. After the modulation is sent to each of the uplink frequency converter (70, 80, 90).

그에 따라, 상기 각각의 상향 주파수 변환부(70, 80, 90)에서는 입력된 신호(IF신호)를 RF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espective uplink frequency converters 70, 80, and 90 convert the input signal (IF signal) into an RF frequency and output the RF frequency.

즉, 상기 각각의 상향 주파수 변환부(70, 80, 90)의 자동 이득 제어기(14, 22, 30)에서 이득 조정된 신호는 해당 대역 필터(16, 254, 32)를 통해 잡음 성분을 제거한 후 각각의 혼합기(18, 26, 34)의 일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상기 각각의 혼합기(18, 26, 34)의 다른 입력단으로는 위상 동기 루프부(10) 및 각각의 분주기(12, 20, 28)를 통해 분주된 신호가 입력된다.That is, the gain-adjusted signals of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s 14, 22, and 30 of the respective uplink frequency converters 70, 80, and 90 remove noise components through the corresponding band filters 16, 254, and 32. It is input to one input of each mixer 18, 26, 34, and the other input of each mixer 18, 26, 34 is a phase locked loop section 10 and each of the dividers 12, 20, The divided signal is input through 28).

그에 따라, 상기 각각의 혼합기(18, 26, 34)에서는 입력된 두 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즉, IF신호를 RF신호로의 변환)을 행한다. 상기 각각의 혼합기(18, 26, 34)에서 출력되는 채널(FA#1, FA#2, FA#3)의 신호(즉, 1.25 MHz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는 콤바이너(36)에서 합해진다.Accordingly, the respective mixers 18, 26, and 34 mix the two input signals and perform frequency up-conversion (i.e., conversion of IF signals to RF signals). The signals of channels FA # 1, FA # 2, FA # 3 output from the mixers 18, 26, and 34 (that is, signals having a bandwidth of 1.25 MHz) are summed in the combiner 36. Become.

상기 콤바이너(36)에서 출력되는 신호(5 MHz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에는 혼합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혼변조 등에 의한 불요파가 포함된다.The signal (signal having a bandwidth of 5 MHz) output from the combiner 36 includes an undesired wave due to intermodulation or the like, which may occur during the mixing process.

그래서, 상기 콤바이너(3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필터(38)를 거치면서 상기 불요파가 제거되고, 구동 앰프(40) 및 전력 증폭기(42)를 거쳐 듀플렉서(44)로 전송되어 안테나(도시 생략)를 통해 방사된다.Thu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biner 36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38, the unwanted wave is removed, and is transmitted to the duplexer 44 through the driving amplifier 40 and the power amplifier 42 to the antenna ( (Not shown).

그리고, RF검출기(60)에서는 송신되는 기지국의 전력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전력 증폭기(42)의 출력단에서의 전력을 감지하여 RF_DCT신호를 통해 제어부(도시 생략)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해당 기지국 시스템에서는 출력단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In order to monitor the power of the base station to be transmitted, the RF detector 60 senses the power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amplifier 42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through the RF_DCT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utput stage.

또한, 역방향 링크(이동 단말기기지국)의 경우, 이동 단말기 송신이 이미 3개의 채널 신호가 하나로 묶여진 상태로 이루어지므로 대역폭이 5MHz인 하나의 캐리어를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verse link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transmission is already made of three channel signals bundled together, one carrier having a bandwidth of 5 MHz is used.

따라서, 이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수신부(100)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기지국 송신 주파수중에서 2번째의 주파수(즉, 채널(FA#2)의 신호)에 듀플렉스 간격만큼을 더한 값으로 결정함으로써, 송수신 전압 제어 발진기(VCO)를 공유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receiving unit 100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requency (that is, the signal of the channel FA # 2) is determined by adding the duplex interval to the second frequency among the three base station transmission frequencies. In addition, the use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an be minimized by shar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캐리어 3×모드의 구현시 3개의 송신측이 위상 동기 루프부를 공유하게 하고 제 2 송신측에서의 출력 신호에 수신측 신호의 PLL 락(lock)을 맞춤으로써, 기지국의 송신부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지국 자체의 크기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multicarrier 3x mode, by allowing the three transmitters to share the phase-locked loop part and fitting the PLL lock of the receiver signal to the output signal at the second transmitter, In addition to minimizing the size of the transmitter of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base station itself.

그리고, 기지국의 멀티캐리어 전송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기지국의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개선하게 된다.Further, by efficiently determining the multicarrier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the complexity of the base station hardware is improv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claims Must see

Claims (4)

입력되는 기준 신호원을 일정한 위상각으로 유지시키는 위상 동기 루프 수단;Phase locked loop means for maintaining an input reference signal source at a constant phase angle; 상기 위상 동기 루프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현재 입력되는 변조신호에 적용하여 소정의 전송 주파수대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3 이상의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 및At least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for applying a signal from said phase locked loop means to a signal of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by applying it to a currently input modulation signal; And 상기 적어도 3 이상의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중의 어느 한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수신 주파수를 결정한 후 캐리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input through a carrier after determining a receiving frequency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any one of the at least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Base st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이 3개일 경우 상기 수신 수단은 두 번째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듀플렉스 간격만큼을 더한 값을 송신 주파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The base station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re are thre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the receiving means determin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plus a duplex interval as a transmission frequenc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상향 주파수 변환 수단은,Each of the uplink frequency converting means, 상기 위상 동기 루프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일정 분주율로 분주하는 분주기; 및A divider for dividing the signal from the phase locked loop means at a constant divider ratio; And 상기 현재 입력되는 변조신호와 상기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혼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And a mixer for mixing the currently input modulation signal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divider to up-convert the frequenc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 수단은,The receiving means, 상기 위상 동기 루프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일정 분주율로 분주하는 분주기;A divider for dividing the signal from the phase locked loop means at a constant divider ratio;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된 신호와 상기 분주기로부터의 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혼합기; 및A mixer for mix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uplexer and the signal from the divider to down-convert the frequency; And 상기 혼합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특정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캐리어 송수신이 가능한 기지국.And a filter for extracting only signals of a specific band with respect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KR1020000069109A 2000-11-20 2000-11-20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KR100348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109A KR100348705B1 (en) 2000-11-20 2000-11-20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109A KR100348705B1 (en) 2000-11-20 2000-11-20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191A KR20020039191A (en) 2002-05-25
KR100348705B1 true KR100348705B1 (en) 2002-08-13

Family

ID=1970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109A KR100348705B1 (en) 2000-11-20 2000-11-20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7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247B1 (en) * 2000-11-24 2004-04-03 김선구 Apparatus for separating multi frequency allocation using CQPSK/QPSK modulator/demod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191A (en) 200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574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 having a dual mode of operation
US7280811B2 (en) Multimode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unit
US6370185B1 (en) Translating repeater system with improved backhaul efficiency
US705429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ual mode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619656B1 (en) Time division multiplex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7088973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llowing a soft handoff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1238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llowing a soft handoff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1999004504A1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70026558A (en)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with low cost high performance local oscillator architecture
JPH11261437A (e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activating the mobile station
EP1559255A1 (en) Quadrature mismatch compensation
JPH1141132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407522B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unit
KR100313748B1 (en) Frequency converter an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the same
JPH05252559A (en) Diversity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KR20050009477A (en) High Frequency Transceiver
JP2007060311A (en) Radio equipment of rof system and frequency conversion method
KR100348705B1 (en)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JP54067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requency re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410661B2 (en) Multimode wireless device
KR100392642B1 (en)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ipt
JPH11225123A (en) Channel arranging method, transmitter-receiver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0667151B1 (en) Digital ultra-narrowband terminating system using direct-conversion and its multiple-band transmission and receiving apparatus
KR100466490B1 (en) Apparatus for up converting/down converting frequency with modulation quality using ocxo
KR200800988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and relaying radios frequ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