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950B1 -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950B1
KR100346950B1 KR1020000061357A KR20000061357A KR100346950B1 KR 100346950 B1 KR100346950 B1 KR 100346950B1 KR 1020000061357 A KR1020000061357 A KR 1020000061357A KR 20000061357 A KR20000061357 A KR 20000061357A KR 100346950 B1 KR100346950 B1 KR 10034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ixing
frame
patien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509A (ko
Inventor
조철구
김미숙
지영훈
이동한
류성렬
유형준
이동훈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to KR102000006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9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the head, e.g. neuroimaging or cran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4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2090/101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for stereotaxic radio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두부를 고정함에 있어, 전두부와 후두부를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턱 고정부재(70)를 이용하여 환자의 턱을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시 두부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두부 고정부재(50)로 두부의 전,후두부를 고정하고, 턱 고정부재(70)를 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턱 고정부재(30)가 설치된 상부 수평단을 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재 수술시 고정 위치의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규격화된 기존의 위치확인장치(80)를 별도의 장치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가 설치된 프레임(30) 전체를 침대(10)의 연결 브라켓트(20)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하는 작업은 물론, 각종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를 프레임(30)에 탈,장착하는 작업 및 두부를 프레임(30)에 고정하는 작업이 각각의 손잡이(33A,37A,72A,82A)를 구비한 다수개의 조임나사(33,37,72,82)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HEAD FIXATION METHOD AND FIXATION DEVICE FOR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본 발명은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하여 환자의 두부를 고정함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두부의 전,후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턱을 고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각의 조임나사에 의해 탈,장착 및 분해조립이 용이하며, 기존의 위치확인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위방사선 수술은 신경 외과적 수술이 힘든 환자의 두부 내 작은 종양에 대해 3차원 정위좌표계를 이용하여 일시에 높은 선량을 조사시키는 방사선 치료법으로, 이러한 치료법의 장점은 주변 정상조직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목표한 종양에 고선량으로 치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위방사선 수술을 위해서는 환자의 두부가 치료장비에 흔들림없이 고정되어야 하고, 방사선은 두부의 여러 방향에서 조사하되 종양에는 선량이 정밀하게 집속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위방사선 수술은 사용하는 치료기의 형태에 따라 감마 나이프와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 수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위방사선 수술 중에서 감마 나이프 수술방법은 장비의 가격이 고가이고, 정위방사선 수술 전용에 따른 치료기의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대부분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형가속기(1)를 이용한 정위방사선 수술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선형가속기(1)를 이용하여 정위방사선 수술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두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2)와, 종양의 3차원적 위치 좌표를 얻기 위한 위치확인장치 및 얻어진 3차원 좌표를 치료실 내에서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장치(3)와, 선형가속기에서 방출되는 광자선을 종양의 크기에 맞게 소조사면으로 형성하는 차폐용 콘(CONE)(4)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두부 고정장치(2)는 환자의 안전과 정확한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이 조사되는 동안 환자의 두부를 움직임없이 고정해야 하는 것으로, 여러종류의 고정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먼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장치(2)는 두부(H)의 뼈에 4개의 핀(2-1)을 삽입 고정시켜 두부(H)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장치(2)는 분할치료를 여러번 해야함으로 연속하여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형의 프레임 내부에 두부를 위치시키고 가죽끈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치아에 마우스피스를 삽입하여 두부를 고정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치아가 좋지 못한 환자 또는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고정을 해제 한 후 다시 고정할 경우에 가죽끈으로는 초기의 고정상태를 재현하기 곤란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두부를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밖에도 얼굴뼈의 굴곡을 이용한 방법과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두부의 전,후두부 형상으로 성형하여 두부를 고정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나, 전자의 경우에, 타 제품에 비하여 재현성이 떨어지고, 동양인의 뼈 구조가 서양인에 비해 굴곡이 완만하여 동양인의 체형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에는 합성수지재가 경화된 후 환자의 두부가 합성수지재 내에서 약간 유동될 수 있어 재사용의 경우에 재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환자의 얼굴이 붓거나 얼굴살이 빠질 경우에 고정력이 저하되어 새로이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의식여부에 관계없이 두부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재수술시 재현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기존의 위치확인장치를 별도의 장치없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료용 침대 일측에 설치된 연결 브라켓트에 프레임의 하부 수평단을 제 1조임나사로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수평단에 두부 지지부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양측 수직단 각 내측에 성형물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각각 고정 설치하는 단계; 환자의 후두부 형상으로 성형한 후두부 성형물의 양단을 상기 성형물 지지부재의 하측에 고정하여 환자의 두부를 안착시키고, 환자의 전두부 형상으로 성형한 전두부 성형물의 양단을 상기 성형물 지지부재의 상측에 고정하여 환자의 전,후두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후두부 성형물에 의해 두부가 고정된 환자의 구강내에 턱 고정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턱 고정부재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수평단에 제 2조임나사로 고정하여 환자의 두부와 턱을 동시에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단의 일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는 상부로 개구된 고정홈이 형성된 연결 브라켓트; 상기 고정단에 하부 수평단이 제 1조임나사에 의해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수평단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단의 각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수직단의 상단부에는 상부 수평단이 복수개의 제 2조임나사에 의해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단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두부 지지부재; 환자의 후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후두부 성형물과, 환자의 전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전두부 성형물로 이루어진 두부 고정부재; 상기 각 안착부에 각 수직단과 직각으로 교차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의 상,하면에 상기 후두부 성형물과 전두부 성형물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의 상,하면에 탈,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임부재를 구비한 성형물 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 수평단에 일단이 제 3조임나사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턱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1a는 정위방사선 분할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정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대 20 : 연결 브라켓트
22 : 고정홈 24 : 고정단
30 : 프레임 32 : 하부 수평단
33 : 제 1조임나사 34 : 수직단
34A : 설치단 35 : 안착부
36 : 상부 수평단 37 : 제 2조임나사
40 : 두부 지지부재 50 : 두부 고정부재
52 : 후두부 성형물 54 : 전두부 성형물
60 : 성형물 지지부재 62 : 고정부재
64 : 조임부재 70 : 턱 고정부재
72 : 제 3조임나사 74 : 장공
80 : 위치확인장치 82 : 제 4조임나사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두부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부 고정장치는 프레임(30)을 환자용 침대(10)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연결 브라켓트(20)와, 두부 지지부재(40) 및 두부 고정부재(50) 그리고 성형물 지지부재(60) 및 턱 고정부재(70)가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위치확인장치(8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 브라켓트(20)는 프레임(30)과 침대(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침대(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단(2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단(23)의 일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고정단(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24)에는 상부로 개구된 고정홈(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 브라켓트(20)는 상기 침대(10)에 상기 결합단(21)이설치되면, 상기 지지단(23)과 고정단(24)이 침대(10)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연결 브라켓트(20)의 고정단(24)에 설치되고, 각종 부품이 설치되도록 상부가 상부 수평단(36)에 의해 개폐되는 다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부 수평단(32)은 복수개의 제 1조임나사(33)에 의해 상기 각 고정단(24)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하부 수평단(32)의 일면이 상기 각 고정단(24)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조임나사(33)가 각 고정홈(22)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수평단(3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30)은 고정단(24)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조임나사(33)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조임과 풀림을 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33A)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제 1조임나사(33)에 의해 상기 고정단(24)에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30)의 상기 하부 수평단(32)의 양측에는 수직단(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단(34)의 내측면에는 상기 각 고정부재(62)가 삽입되도록 안착부(35)가 형성된다. 상기 각 안착부(35)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 수직단(34)의 상단부에는 상부 수평단(36)이 손잡이(37A)를 구비한 복수개의 제 2조임나사(37)에 의해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수직단(34)과 상부 수평단(36)의 결합부위에서 유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 수직단(34)의 상단부에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수평단(36)의 양단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단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끼움부위를 상기 제 2조임나사(37)로 관통시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 수평단(36)이 항상 같은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수평단(32)의 상면에는 두부 지지부재(40)의 일단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두부 지지부재(40)는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환자의 두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두부 고정부재(50)는 환자의 후두부와 전두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후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후두부 성형물(52)과, 환자의 전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전두부 성형물(54)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두부 고정부재(5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두부 고정부재(5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재에 일정한 열을 가한 상태에서 환자의 두부에 밀착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성형물 지지부재(60)는 환자의 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두부 고정부재(50)를 상기 프레임(3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안착부(35)에 한 쌍의 고정부재(62)가 상기 각 수직단(34)과 직각으로 교차되게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각 고정부재(62)의 상,하면에는 각각의 조임부재(64)가 다수개의 나사에 의해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성형물 고정부재(50)의 각 양단은 상기 각 고정부재(62)와 각 조임부재(64)에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즉, 후두부 성형물(52)의 양단은 상기 각 고정부재(6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측에 위치하는 각 조임부재(64)에 의해 상기 각 고정부재(52)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전두부 성형물(54)의 양단은 상기 각 고정부재(6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각 조임부재(64)에 의해 상기 각 고정부재(6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64)는 상기 각 고정부재(62)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조임부재(64)와 하부측(저면)에 결합되는 조임부재(6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턱 고정부재(70)는 상기 상부 수평단(36)에 설치되어 환자의 턱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장공(74)이 형성된 지지체와 환자의 치아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7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턱 고정부재(70)는 치아 고정부재로 불리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상부 수평단(36)에 손잡이(72A)를 구비한 제 3조임나사(72)에 의해 직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나, 환자의 두부 크기 또는 그 형태에 따라 상기 제 3조임나사(72)를 손잡이(72A)를 이용하여 풀고 상기 지지체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삽입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체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3조임나사(72)는 나사부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편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각 수직단(34) 일측과 하부 수평단(32)의 일측에는 위치확인장치(80)를 손잡이(82A)를 구비한 제 4조임나사(82)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4A)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확인장치(80)(BRW CT LOCALIZER)는 종양의 3차원 정위좌표를 얻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위치확인장치(80)가 프레임(30)에 설치된 상태에서 CT 또는 MRI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정위좌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확인장치(80)는 이미 의료계의 신경외과에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두부 고정방법 및 고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두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치료용 침대(10)의 일측에 연결 브라켓트(20)의 결합단(21)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 브라켓트(20)의 각 고정단(24)에 프레임(30)의 하부 수평단(32)을 제 1조임나사(33)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제 1단계)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이 손잡이(33A)를 구비한 각 제 1조임나사(33)에 의해 상기 연결 브라켓트(20)에 설치됨으로 상기 프레임(30)은 연결 브라켓트(20)와의 탈,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 브라켓트(20)의 수평단과 프레임(30)의 수직단(34)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30)의 하부 수평단(32)에 상면이 오목한 만곡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두부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두부 지지부재(40)의 일단을 나사로 고정 설치한다.(제 2단계)
상기 하부 수평단(32)에 두부 지지부재(40)가 고정 설치되면,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수직단(34)에 각각 형성된 안착부(35)에 성형물 지지부재(60)의 고정부재(62)를 상호 마주보도록 각각 삽입한 후, 나사를 이용하여 각 수직단(34)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62)와 수직단(34)은 직각을 유지하는 것이바람직하다.(제 3단계)
상기 성형물 지지부재(60)가 프레임(30)에 설치되면, 미리 환자의 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후두부 성형물(52)의 양단부(길이방향의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부재(62)의 저면에 밀착시킨 후 하부측에 위치하는 조임부재(64)로 가압하여 다수개의 조임나사 또는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침대(10)에 환자를 눕혀 두부가 상기 후두부 성형물(5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후두부 성형물(52)에 안착된 환자의 두부는 상기 두부 지지부재(40)의 상면에 지지된다.
이어서, 환자의 전두부에 전두부 성형물(54)를 안착시킨 후 그 양단부를 상기 각 고정부재(62)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부측에 위치하는 조임부재(64)로 가압한 후 조임나사로 조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환자의 치아부위에 상응되는 상기 전두부 성형물(54)에는 상기 턱 고정부재(70)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됨은 물론이다.(제 4단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환자의 두부가 두부 고정부재(50)에 의해 프레임(30)에 고정되면, 상기 턱 고정부재(70)의 삽입부를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하되, 상기 제 3조임나사(72)와 장공(74)을 이용하여 삽입부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제 3조임나사(72)를 조여 견고하게 고정한다.(제 5단계)
이때, 고정위치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턱 고정부재(70)를 분리할 때에 제 2조임나사(37)를 이용하여 각 수직단(34)으로부터 상부 수평단(36)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 수평단(36)과 각 수직단(34)이 제 2조임나사(37)고 결합됨과 동시에, 삽입단과 삽입홈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턱 고정부재(70)의 제 3조임나사(72)를 풀지 않는다면 그 위치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턱 고정부재(70)로 환자의 턱을 고정한 후 치료가 끝났을 때, 상기 턱 고정부재(70)를 분리하지 않고 턱 고정부재(70)가 설치된 상부 수평단(36)을 각 수직단(34)으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사용할 경우에 상기 상부 수평단(36)을 각 수직단(34)에 결합시킴으로써 초기의 고정위치가 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된 상기 두부 고정부재(50)과 턱 고정부재(70)를 이용하여 환자의 두부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면, 환자의 두부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음으로, 수술이 재차 이루어지더라도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는 두부내 종양의 3차원 정위좌표를 얻기 위한 위치확인장치(8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30)의 각 수직단(34) 일측과 하부 수평단(32)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부(34A)에 위치확인장치(8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링 중에서 하나의 링을 복수개의 제 4조임나사(82)로 탈,장착가능하게 설치하여 종양의 3차원적 정위좌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확인장치(80)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링과 각 링 사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탄소봉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의료계의 신경외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규격화되어 타 제품에 사용되는 위치확인장치(80)가 상기와 같은 프레임(30)에 호환됨으로, 3차원적 정위좌표를 얻기위한 별도의 위치확인장치 또는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는 환자의 두부를 고정함에 있어, 전두부와 후두부를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턱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턱을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시 두부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두부 고정부재로 두부의 전,후두부를 고정하고, 턱 고정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턱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부 수평단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재 수술시 고정 위치의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규격화된 기존의 위치확인장치를 별도의 장치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 고정부재가 설치된 프레임 전체를 침대의 연결 브라켓트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하는 작업은 물론, 각종 고정부재를 프레임에 탈,장착하는 작업 및 두부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이 손잡이를 구비한 다수개의 조임나사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치료용 침대 일측에 설치된 연결 브라켓트에 프레임의 하부 수평단을 제 1조임나사로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수평단에 두부 지지부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양측 수직단 각 내측에 성형물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각각 고정 설치하는 단계;
    환자의 후두부 형상으로 성형한 후두부 성형물의 양단을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고정하여 환자의 두부를 안착시키고, 환자의 전두부 형상으로 성형한 전두부 성형물의 양단을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고정하여 환자의 전,후두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후두부 성형물에 의해 두부가 고정된 환자의 구강내에 턱 고정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턱 고정부재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수평단에 제 2조임나사로 고정하여 환자의 두부와 턱을 동시에 고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2. 침대(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단(2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단(23)의 일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고정단(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24)에는 상부로 개구된 고정홈(22)이 형성된 연결 브라켓트(20);
    상기 고정단(24)에 하부 수평단(32)이 제 1조임나사(33)에 의해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수평단(32)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단(34)의 각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는 안착부(35)가 형성되며, 상기 각 수직단(34)의 상단부에는 상부 수평단(36)이 복수개의 제 2조임나사(37)에 의해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30);
    상기 하부 수평단(32)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두부 지지부재(40);
    환자의 후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후두부 성형물(52)과, 환자의 전두부 형상으로 성형된 전두부 성형물(54)로 이루어진 두부 고정부재(50);
    상기 각 안착부(35)에 각 수직단(34)과 교차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62)와, 상기 각 고정부재(62)의 상,하면에 상기 후두부 성형물(52)과 전두부 성형물(54)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62)의 상,하면에 탈,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부재(64)를 구비한 성형물 지지부재(60); 및
    상기 상부 수평단(36)에 일단이 제 3조임나사(72)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74)이 형성된 턱 고정부재(7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각 수직단(34) 일측과 하부 수평단(32)의 일측에는 위치확인장치(80)를 제 4조임나사(82)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고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조임나사(33,37,72,82)는 일단부에 손잡이(33A,37A,72A,8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장치.
KR1020000061357A 2000-10-18 2000-10-18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 KR10034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357A KR100346950B1 (ko) 2000-10-18 2000-10-18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357A KR100346950B1 (ko) 2000-10-18 2000-10-18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509A KR20020030509A (ko) 2002-04-25
KR100346950B1 true KR100346950B1 (ko) 2002-07-31

Family

ID=1969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357A KR100346950B1 (ko) 2000-10-18 2000-10-18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29B1 (ko) * 2003-04-10 2007-09-0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정위 및 3차원 방사선치료에서 열플라스틱을 이용한두부고정방법 및 고정장치
KR100712312B1 (ko) * 2004-12-15 2007-04-27 박영경 뇌 정위틀 위치 세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509A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03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and 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US5728106A (en) Radio-transparent system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and 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US5797924A (en) Stereotactic fixation system and calibration phantom
US5702406A (en) Device for noninvasive stereotactic immobilization in reproducible position
Kooy et al. Adapt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relocatable Gill-Thomas-Cosman frame in stereotactic radiotherapy
CN101564575B (zh) 固定设备
WO2008051129A1 (en) A dental impression tray for use in obtaining an impression of a dental structure
JP6113855B2 (ja) 骨片を整形するためのシステム
WO200105476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ment of medical radiation beams using a body frame
EP2868288A1 (en) A frame for fixation of equipment to the head of a patient during neurological diagnosis, stereotactic imaging, therapy or surgery.
US11857802B2 (en) Intra-oral device for protecting oral tissues during radiation treatment
KR100346950B1 (ko) 정위 방사선 분할치료를 위한 두부 고정 방법 및 고정장치
ES2360827T3 (es) Soporte para sujetar e inmovilizar una parte del cuerpo de un ser vivo durante el tratamiento.
CN110613518B (zh) 一种热塑模定位模板及其定位方法
CN110072490A (zh) 动物夹板
JP2023014356A (ja) 医療用固定具
KR101810851B1 (ko) 교정시술용 서지컬 앵커 가이드 및 이를 갖는 앵커 시술 키트
US7213597B2 (en) Disposable low-melt thermoplastic mask incorporating an integral locking mechanism for attachment to patient restraint boards
CN209808618U (zh) 一种三叉神经节注射导板
Dogan et al. A technique that facilitates an accurate comparison between stereotactic and IMRT plans
CN110013326A (zh) 一种神经外科临床用脑部手术辅助设备
CN219963050U (zh) 一种跟踪支架
KR102622400B1 (ko)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술용 입체정위기
CN201019820Y (zh) 可调控骨骼固定结构
KR101442742B1 (ko) 방사선 치료용 아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