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973B1 - Billiard Table - Google Patents

Billiard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973B1
KR100343973B1 KR1020000035678A KR20000035678A KR100343973B1 KR 100343973 B1 KR100343973 B1 KR 100343973B1 KR 1020000035678 A KR1020000035678 A KR 1020000035678A KR 20000035678 A KR20000035678 A KR 20000035678A KR 100343973 B1 KR100343973 B1 KR 100343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billiard table
transparent member
tempered glass
tabl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39686A (en
Inventor
하지메다나까
Original Assignee
홍상욱
다나까 인터내셔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욱, 다나까 인터내셔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홍상욱
Publication of KR2001003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6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9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6Cushions or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내구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빌리아드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빌리아드 테이블은 테이블면(20)을 에워싸는 외틀(1)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틀(1)은 그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 깊이의 오목부(101)와, 오목부(101)에 끼워 넣어진 오목부의 깊이 이하의 두께를 갖는 강화 유리(107)을 구비하고 있고, 나뭇결이 투명 부재를 통하여 관찰 가능하게 되어 미려하고 또한 흠집이 생기기 어려우며, 한편, 파괴되더라도 표면의 투명 부재만을 교체하면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iard table that combines durability and aesthetics. The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 surrounding the table surface (20), and the frame (1) is at least part of its upper surface. And a tempered glass 107 having a thickness less than or equal to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01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01, and the grain of wood can be observed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It is beautiful and hard to be scratched. On the other hand, only the transparent member on the surface needs to be replaced even if broken.

Description

빌리아드 테이블{Billiard Table}Billiard Table

본 발명은 빌리아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구성과 심미성이 우수한 빌리아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lliard table excellent in durability and aesthetics.

빌리아드 테이블은, 그 상측면이 테이블면과 그것을 둘러싸는 외틀을 갖추고 있다. 빌리아드 경기에서 공의 움직임에 영항을 미치는 부분은, 주로 테이블면의 크로스나 외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쿠션 구조이며, 그 부분의 재질은 개량되어져 왔다. 이에 대하여, 외틀 부분은 고급스러운 심미성을 확보할 수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인식되었으므로 개량되지 않았다. 종래에는, 외틀이나 본체가 떡갈나무나 졸참나무 등의 견고한 목재를 사용한 목재나 플라스틱제로서 표면 도장 만이 시행되어 왔다.The billiard table has a table surface and a frame surrounding it. Part of the billiard game that affects the movement of the ball is a cushion structure which is mainly installed inside the cross of the table surface or the outer frame, and the material of the part has been improved.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outer frame portion was enough to ensure high quality aesthetics and was not improved. Conventionally, only surface coating has been carried out as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 using solid wood such as oak or pruning oak.

그러나, 견고한 목재를 외틀에 사용하고, 그 나뭇결을 살린 도장을 실시한다 해도, 장기간 경기에 사용됨에 따라 그 표면에 작은 흠집이 생겨 미료함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았다. 플라스틱을 사용한 외틀은, 흠집에 대한 걱정이 필요 없다 하더라도, 당초부터 나뭇결에 필적할 만한 질감을 부여하여 고급스러움을 갖도록 하기에는 곤란했었다.However, even when solid wood is used for the outer frame and the coating made of the wood grain is used, in many cases, small scratch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as it is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beauty is lost. The outer frame made of plastic has been difficult to provide a luxurious texture by comparable to the grain of wood,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worry about scratche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쉽게 흠집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아름다운, 이른바 내구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빌리아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iard table which combines so-called durability and aesthetics without being easily scratched.

도 1은 본 발명의 빌리아드 테이블에 있어서의 외틀의 단면도(실시예 1, 도 3의 B부)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drawing (Example 1, Part B of FIG. 3) of the outer frame in the billiard table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빌리아드 테이블에 있어서의 외틀의 부분 확대도(실시예 1, 도 3의 A부)이다.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Example 1, part A of Fig. 3) of the outer frame in the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빌리아드 테이블의 외형도로서, 도 3a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절단면 측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c-c선 절단면 정면도이다.Figure 3 is an external view of the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lan view,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3a, Figure 3c is a front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ure 3a.

도 4는 본 발명의 빌리아드 테이블에 있어서의 외틀의 단면도(실시예 2, 도 3의 B부)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Example 2, part B of FIG. 3) of an outer frame in the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빌리아드 테이블에 있어서의 외틀의 단면도(실시예 3, 도 3의 B부)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Example 3, part B of FIG. 3) of an outer frame in the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빌리아드 테이블에 있어서의 외틀의 단면도(실시예 3의 변형예, 도 3의 B부)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frame of the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part B of Fig. 3).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외틀 2 : 본체1: outer frame 2: body

10, 15, 16 :외틀 본체 11 : 쿠션부10, 15, 16: outer frame body 11: cushion portion

12 : 측판 13 : 코너 포켓부12: side plate 13: corner pocket portion

14 : 사이드 포켓부 20 : 테이블면14: side pockets 20: table surface

21 : 슬레이트판 22 : 테이블대21: slate plate 22: table stand

23 : 다리판 24 : 다리23: leg plate 24: leg

25 : 스커트부 101, 151, 161 : 오목부25: skirt portion 101, 151, 161: recess

102, 152, 162 : 쿠션 설치면 103, 153, 163 : 측판 설치홈102, 152, 162: cushion mounting surface 103, 153, 163: side plate mounting groove

104, 154, 164 : 저면 105, 155, 156, 165 : 모서리104, 154, 164: Bottom 105, 155, 156, 165: Corner

107, 157, 167 : 투명 부재(강화 유리)107, 157, 167: transparent member (tempered glass)

본 발명은 테이블 면을 둘러싸는 외틀을 구비하고, 외틀은 그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이다.The billiard table is provided with the outer frame surrounding a table surface, and the outer frame is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member which covers at least one part of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은 테이블면을 둘러싸는 외틀을 구비하고, 외틀은 그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 깊이의 오목부와, 당해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 소정 깊이 이하의 두께를 갖는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frame surrounding the table surface, and the outer frame includes a reces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ransparent member having a thicknes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epth inserted in the recess. Billiar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이 외틀은, 예컨대, 그 상면이 소정의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곡면에 대응한 만곡(彎曲) 구조의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외틀은 그 상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의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The outer frame is formed, for example, on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and has a transparent member having a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Moreover, this outer frame is formed in the planar upper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the flat transparent member.

여기서, 이 투명 부재와 그 설치면과의 틈이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접착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명 부재는 강화 유리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 interval of this transparent member and its installation surface is adhere | attached with resin which has light transparency. It is preferable that this transparent member is formed of tempered glass.

또한 외틀은 목재이며, 투명 부재의 설치면이 나뭇결을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n outer frame is wood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of a transparent member is formed so that a grain of wood may be exposed.

또한, 투명부재에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개재해서 상기 투명 부재는 그 설치면에 대해 소정의 고정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은 포인트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고정부재는 고정시에 있어서 포인트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memb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nd the transparent member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fixing member via the through h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int position, and the predetermined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point at the time of fixing.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본 실시예 1은 만곡 구조를 갖는 외틀을 구비한 빌리아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포켓이 설치되어있는 포켓 테이블(미국식 포켓)을 예시하고 있지만, 스누카 빌리아드 테이블(영국식 포켓)이나 캘롬 테이블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다.This embodiment 1 relates to a billiard table having an outer frame having a curved structure. In particular, although the pocket table (American pocket) in which the pocket is provided is illustrated, this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snooker billiard table (British pocket) and a Kellom table.

도 3에, 본 빌리아드 테이블의 평면도(도 3a), 측면도(도 3b) 및 정면도(도 3c)를 나타낸다. 본 빌리아드 테이블은 본체(2)에 외틀(1)을 구비하고 있다.3, the top view (FIG. 3A), the side view (FIG. 3B), and the front view (FIG. 3C) of this billiard table are shown. This billiard table is provided with the outer frame 1 in the main body 2. As shown in FIG.

외틀(1)은, 본 발명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본체(2)의 테이블면(20)의 네주변을 덮도록 재치(載置)되어 있다. 외틀(1)은 코너 포켓부(13)와 사이드 포켓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외틀(1)의 거의 대부분은 목제이나, 이 포켓부들은수지나 금속 등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빌리아드 테이블의 형태가 캐롬 테이블인 경우에는 포켓부는 설치되어지지 않는다. 외틀(1)은, 크로스 교체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2)에 대해 자유롭게 떼어낼 수 있으며, 재치하는 것만으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가고정된다.The outer frame 1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laced to cover four peripheries of the table surface 20 of the main body 2. The outer frame 1 includes a corner pocket portion 13 and a side pocket portion 14. Most of the outer frame 1 is made of wood, but these pockets are formed of a separate member such as resin or metal. In the case where the billiard table is a carom table, no pocket is provided. The outer frame 1 can be free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2 in order to facilitate cross replacement and the like, and is temporarily fixed so as not to be displaced by simply placing it.

본체(2)는 슬레이트판(21), 테이블대(22), 다리판(23), 다리(24), 스커트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슬레이트판(21)은, 그 상면이 테이블면(20)을 형성하고 있으며, 크로스가 부설되어져 있다. 슬레이트판(21)은 테이블면 (20)을 수평으로 요철없이 유지하기 위한 단단한 판이며, 대리석이나 석고로 형성된다. 테이블대(22)는 목제 슬레이트 재치대이다. 다리판(23), 스커트부(25)는 빌리아드 테이블의 골조가 되는 목제 구조이다. 다리(24)는 금속제의 스탠드이다.The main body 2 includes a slate plate 21, a table stand 22, a leg plate 23, a leg 24, and a skirt portion 25. The upper surface of the slate plate 21 forms the table surface 20, and the cross is provided. The slate plate 21 is a rigid plate for keeping the table surface 20 horizontally without irregularities, and is formed of marble or plaster. The table stand 22 is a wooden slate mounting stand. The leg plate 23 and the skirt part 25 are wooden structures which become a frame of a billiard table. The leg 24 is a metal stand.

본 발명의 외틀(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부 확대 평면도를 도 2에, B부의 확대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낸다.In order to demonstrate the structure of the outer fram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3 is shown in FIG. 2,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B is shown in FIG. 1.

외틀(1)은,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틀 본체(10)에 쿠션부(11) 및 측판(12)을 구비하고 있다.The outer frame 1 is provided with the cushion part 11 and the side plate 12 in the outer body main body 10 as shown in these figures.

외틀 본체(10)은, 떡갈나무나 졸참나무와 같은 단단한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틀 본체(10)의 테이블면(20) 내측으로 향하는 면은 쿠션 설치면(102)이며, 쿠션부(11)가 설치되어져 있다. 외틀 본체(10)의 외측에는, 측판 설치홈(103)이 형성되며, 측판(12)을 소정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outer frame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hard wood such as oak or pine oak.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table surface 20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0 is the cushion installation surface 102, and the cushion part 11 is provided. A side plate mounting groove 103 is formed outside the outer frame main body 10 so that the side plate 12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쿠션부(11)는, 경질 고무로 만들어진 쿠션(110)의 외면에 크로스(111)를 붙임으로 구성된다. 쿠션부(11)는 외틀 본체(10)의 쿠션 설치면 (102)에 붙여진다.측판(12)은 나뭇결을 살리도록 표면 처리된 판을 외틀 본체(10)의 측판 설치홈(103)에 붙인 것이다.The cushion part 11 is comprised by attaching the cross 111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110 made of hard rubber. The cushion portion 11 is attached to the cushion mounting surface 102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0. The side plate 12 attaches a surface-treated plate to the side plate mounting groove 103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0 to save wood grain. will be.

외틀 본체(10) 상면에는, 그 적어도 일부를 덮는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즉, 외틀 본체(10)의 상면에는, 오목부(101)와, 당해 오목부(101)에 끼워 넣어지는 투명 부재인 강화 유리(107)을 구비하고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101 and the tempered glass 107 which is a transparent member inserted in the said recessed part 101.

외틀 본체(10)의 노출 부분 뿐만 아니라, 강화 유리(107)의 설치면이 되는 오목부(101)의 저면은 나뭇결이 노출되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101)의 저면은 나뭇결을 노출시켜 둘 뿐만 아니라, 여러 해의 경과에도 견디도록 충진재나 니스 도장을 수행해 두면 좋다. 오목부 (101)은 여기에 끼워 넣어지는 강화 유리(107) 두께 이상의 깊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오목부(101) 주위의 모서리(105)가 유리면과 동일면이든지 그것 보다도 높아지므로, 유리의 모서리에 당구 게임을 하는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서리(105)를 둥글게 하거나 모서리를 따내거나 하면, 더욱 안전한 구조로 만들 수가 있다. 또한, 외틀(1)의 저면은 소정의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 구조는 전통적인 빌리아드 테이블과 같은 완만한 곡면을 갖는 것으로서, 마찬가지의 것이다.Not only the exposed portion of the outer frame body 10 but als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01 serving as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07 is preferably processed to expose wood grains.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01 may not only expose wood grain, but may also be filled with a filler or varnish coating to withstand the passage of many years. The recessed part 101 is formed so that it may become the depth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tempered glass 107 inserted in this. By configuring in this way, since the edge 105 around the recessed part 101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glass surface, it can prevent the person playing a billiard game from the edge of glass. Rounding the corners 105 or plucking the corners 105 can make the structure more secure. In addition, the bottom face of the outer frame 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This curved structure has the same gentle curved surface as a traditional billiard table.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이 오목부(101)는 외측 방향에 있어서, 측판 (12)이 있는 곳까지 형성되어 있으나, 측판이 있는 곳까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오목부(101)의 내측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의 마진을 두고서 오목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나, 쿠션부(11)와 접하도록 강화 유리(107)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즉, 본래의 오목 형상을 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In addition, in the figure, this recessed part 101 is formed to the place where the side plate 12 exists in an outer direction, but it is not necessary to form even to the place where a side plate exists.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art 101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101 with the margin of predetermined space | interval, you may provide the tempered glass 107 so that the cushioning part 11 may contact.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have original concave shape.

강화 유리(107)는 당해 곡면에 대응한 만곡 구조로 형성되어 끼워 넣어져 있다. 강화 유리(107)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통상의 유리를 급냉(燒入:quenching)시키거나 이온 교환 등을 시행하여 강도를 높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유리를 연화 온도 근처까지 가열한 후 급속히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표면층에는 압축응력을, 내부에는 인장응력을 물리적으로 잔류시킨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유리는 통상적인 유리보다 5배 이상의 강도를 갖는다. 투명 부재로서는 이와 같은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지만, 광투과성이 있고 일정한 강도를 가진다면 다른 재료(예컨대,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The tempered glass 107 is formed in the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aid curved surface, and is sandwiched. Although the kind of the tempered glass 107 is not limited, generally, it is what quenched normal glass, ion exchange, etc., and the intensity | strength was raised.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compressive stress is left in the surface layer and the tensile stress is physically retained by heating the glass to near the softening temperature and then rapidly cooling the glass. Such glass has five times more strength than conventional glass. Although such tempered glass is preferable as the transparent member, other materials (for example, resins)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light transmissive and has a certain strength.

강화 유리(107)는 오목부(101)에 끼워 넣는 것으로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되며, 교환도 용이하다. 강화 유리를 교환할 경우, 유리의 단부를 끌어 당겨서 꺼내면 된다. 또한 이 강화 유리와 그 설치면(오목부)과의 틈을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접착시켜도 좋다. 강화 유리가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누름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The tempered glass 107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01 so that the tempered glass 107 is not easily detached by its own weight, and is easily replaced. When replacing the tempered glass, the end of the glass may be pulled out.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tempered glass and its mounting surface (concave portion) may be bonded with a resin having light transmittance. The press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tempered glass from popping out.

오목부(101) 및 거기에 끼워 넣어지는 강화 유리(107)는, 평면도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틀 본체(10) 상면 거의 대부분에 넓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줄무늬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고 거기에 강화 유리를 끼워도 심미적으로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평면도상으로 목재 부분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상면 전체를 강화 유리로 덮도록 형성해도 좋다. 전체 면을 강화 유리로 덮는 경우에는, 유리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for the recessed part 101 and the tempered glass 107 which fits in it, in plan view,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o install widely in almost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However, even if the groove is formed into a stripe shape and the tempered glass is sandwiched therein, the result is aesthetically superior. Moreover, you may form so that the whole upper surface may be covered with tempered glass so that a wood part may not be directly exposed on a top view. When covering the whole surface with tempered glass, it is preferable to use an adhesive agent so that a misalignment may not arise in the position of glass.

오목부(101)의 저면에는 포인트(108)가 소정 간격으로 매립되어 있다. 단, 투명 부재인 강화 유리(107)의 표면에 인쇄 등으로 이 포인트를 기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Points 108 are buri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101. However, you may comprise so that this point may be filled in on the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07 which is a transparent member by printing.

또한, 본 실시예의 빌리아드 테이블은 포켓 테이블이므로, 코너 포켓부(13)나 사이드 포켓부(14)를 몰드로 구성하였지만, 형태가 캐롬 테이블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강화 유리와 오목부에 의한 가공을 코너와 사이드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적용해도 좋다.In addition, since the billiard table of this embodiment is a pocket table, the corner pocket part 13 and the side pocket part 14 were comprised by the mold, but when the form is a carom table, it is by the tempered glass and the recessed part of this invention. You may apply a process as a whole including a corner and a s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 부재로 덮은 외틀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직접 나뭇결에 흠집이 생길 염려가 없어지며, 투명 부재를 통하여 나뭇결을 관찰할 수 있는, 대단히 심미성 높은 빌리아드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outer fram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covered with the transparent member, there is no fear of scratching the grain directly, and the grain can be observed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Aesthetic billiard tables can be provided.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소정 깊이의 오목부에 투명 부재를 끼워 넣도록 구성했으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할 수가 있으며, 또한 자유롭게 착탈(着脫)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transparen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depth, it can be fixed without using an adhesive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이 소정의 곡면상으로 형성된 외틀에 적용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전통적인 형태를 갖추면서도, 내구성과 심미성이 높은 빌리아드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is applied to the outer frame formed in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illiard table with high durability and aesthetics while having a conventional form as in the prior art.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투명 부재를 강화 유리로 형성했으므로, 흠집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transparent member is formed of tempered glass, it is resistant to scratches and has high durability.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투명 부재의 설치면이 나뭇결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투명 부재를 통하여 아름다운 나뭇결이 도드라지게 할 수 있으며, 심미성이 높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mounting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is formed so as to expose the grain of wood, the beautiful grain of wood can be raised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and the aesthetics are high.

실시예 2Example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외틀의 상면이 평면상인 빌리아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billiard table whose upper surface of an outer frame is planar.

본 실시예 2의 빌리아드 테이블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구조의 외틀 본체(15)를 구비하고 있다. 쿠션부(11), 측판(12)와, 본체(2)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The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Example 2 is provided with the outer frame main body 15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regarding the cushion part 11, the side plate 12, and the main body 2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FIG.

외틀 본체(15)는 떡갈나무나 졸참나무 등과 같은 견고한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틀 본체(1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면(20) 내측으로 향하는 면이 쿠션 설치면(152)이며, 쿠션부(11)가 설치되어져 있다. 외틀 본체(15)의 외측에는 측판 설치홈(153)이 형성되며, 측판 (12)을 소정의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outer frame body 15 is preferably formed of a solid wood, such as oak or pine oak. As shown in FIG. 4, the outer frame main body 15 is the cushion installation surface 152 which faces inside the table surface 20, and the cushion part 11 is provided. A side plate mounting groove 153 is formed outside the outer frame main body 15 so that the side plate 12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외틀 본체(15)의 상면에는, 오목부(151)와 당해 오목부(151)에 끼워넣어진 투명 부재인 강화 유리(15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부(151)의 저면은 평면상이며, 이에 끼워 넣어지는 강화 유리(157)이 평판상이라는 점이 상기한 실시예 1과의 상위점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5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151 and a tempered glass 157 that is a transparent member fitted to the concave portion 151. The bottom face of this recessed part 151 is planar, and a point different from Example 1 mentioned above is that the tempered glass 157 inserted in it is flat.

외틀 본체(15)의 노출 부분, 강화 유리(157)의 설치면으로 되는 오목부(151)의 저면이 나뭇결 가공되어 있는 점, 오목부(151)의 깊이가 강화 유리(157) 두께이상의 깊이가 되도록 형성된다는 점, 각 부재의 재질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평면도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다. 강화 유리(157)가 평면상이므로 오목부(151)의 깊이를 유리(157)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오목부(151)의 목제 모서리(155, 156)에 의해 유리의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형성해 두어야 하는 점이 중요하다. 모서리(155, 156)의 따냄 처리 등의 안전화 처리도 물론 필요하다.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51 serving as the exposed portion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5,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57 is wood grained, and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51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empered glass 157. It is formed so that it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about the material of each member. It is the same as FIG. 2 also in arrangement | positioning in a top view. Since the tempered glass 157 is planar,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51 is mad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lass 157 so that the edges of the glass are covered by the wooden edges 155 and 156 of the concave portion 151. It is important to do. It is of course also necessary to carry out safety treatment such as pitting of the corners 155 and 156.

상술한 실시예 2에 의하면, 외틀의 상면을 평면상으로 하여 평판상의 유리를 적용했으므로, 유리에 만곡 구조를 부여하지 않고, 시판되는 유리를 소정 형상으로 절삭하는 것 만으로, 본 발명의 투명 부재로서 적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xample 2 mentioned above, since flat glass was applied by mak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into a flat surface, the commercially available glass wa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without providing a curved structure to the glass, thereby providing the transpare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실시예 3Example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투명 부재를 이용한 빌리아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billiard table using the transparent member in which the through-hole is provided.

본 실시예 3의 빌리아드 테이블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구조의 외틀 본체(16)를 구비하고 있다. 쿠션부(11), 측판(12)이나 본체(2)에 관한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The billiard table of the thir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outer frame body 16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of the cushion part 11, the side plate 12, and the main body 2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FIG.

외틀 본체(16)는 떡갈나무나 졸참나무 등과 같은 견고한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틀 본체(1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면(20) 내측으로 향하는 면이 쿠션 설치면(162)이며, 쿠션부(11)가 설치되어져 있다. 외틀 본체(16)의 외측에는 측판 설치홈(163)이 형성되며, 측판(12)을 소정의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outer frame body 16 is preferably formed of solid wood, such as oak or pruning oak. As shown in FIG. 5, the outer frame main body 16 is the cushion installation surface 162 which faces the table surface 20 inside, and the cushion part 11 is provided. A side plate mounting groove 163 is formed outside the outer frame main body 16, and the side plate 12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외틀 본체(16)의 상면에는, 오목부(161)와 당해 오목부(161)에 끼워 넣어진 투명 부재인 강화 유리(16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강화 유리(167)에 관통공(16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통공(168)을 개재해서 강화 유리(167)는 오목부(161)에 대해 소정의 고정부재(169)로 고정되어 있는 점이 상기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main body 16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161 and tempered glass 167 that is a transparent member sandwiched between the recessed portions 161. A through hole 168 is provided in the tempered glass 167, and the tempered glass 167 is fixed to the recess 161 by a predetermined fixing member 169 via the through hole 168. The point is different from Example 1 above.

관통공(168)의 단면형상은 설계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지만, 예컨데, 원상으로 함이 고려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hrough hole 168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 but, for example, may be considered to be original.

오목부(161)에는, 관통공(168)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재(169)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17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 대신에 강화 유리(167)를 고정 부재(169)로 고정하기 위하여 충분한 깊이로 되어 있는 오목부일 수도 있다.The recess 16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70 for inserting the fixing member 169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68. In addition, instead of the through hole, a concave portion having a sufficient depth for fixing the tempered glass 167 with the fixing member 169 may be used.

또한, 고정 부재(169)는, 예를 들면, 나사 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공(170)에는 나사 결합하기 위한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부재(나사 부재)(169)를 저면(164)측으로부터 나사받음 부재(172)(너트등)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169 may be, for example, a screw member.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17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for screwing. Moreover, the fixing member (screw member) 169 can also be fixed by the screwing member 172 (nut etc.) from the bottom face 164 side.

고정 부재(169)의 상부는, 고정시에 있어서 강화 유리(167) 상면에 예컨데, 곡면상으로 돌기하며, 이러한 돌기부분(171)이 관통공(168)의 모서리를 카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시키는 것 없이, 강화 유리(167)의 상면과 미끄럽게 일체화해 면이 연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관통공(169)의 모서리에서 빌리아드 경기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관통공(169)의 모서리를 둥글게 하거나 모서리를 따내거나 하는 경우는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169 is, for example, cur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67 at the time of fixing, and the protrusion 17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ver the corner of the through hole 168. Do. Moreover,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a surface may be continued continuously integrat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67, without making it protrude.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illiard player from being injured at the corner of the through hole 169. However, the case where the corners of the through holes 169 are rounded or the corners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69)에 대해 취부된 카버 부재(172)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카버 부재(172)를 탈착이 용이한 구성으로 하고, 모양, 색등이 다른 다수의 카버 부재(172)를 준비해 구분되게 사용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바에 따라서 용이하게 빌리아드 테이블의 외관을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케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the carver member 172 attach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169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carver member 172 is configured to be easily detachable, and a plurality of carver members 172 having different shapes, colors, and the like are prepared and used to distinguish the appearance of the billiard table easily as desired. It can be converted.

여기서, 강화 유리(167)를 외틀(16)에 끼워 넣은 경우에, 관통공(168)이 빌리아드 테이블에 설치되는 포인트의 위치에 오도록, 강화 유리(167) 및 관통공(168)을 형성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고정부재(169)(또는 카버 부재(172))를 그대로 포인트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이런 구성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169)(또는 카버 부재(172))는 강화 유리(167)의 상면에 돌기해 있음이 보다 바람직하다. 빌리아드에서는 샷트(shot)시에 겨냥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자세를 낮게 취할 필요가 많은데, 고정 부재(169)(또는 카버 부재(172))를 돌기시키는 것에 의해, 낮은 자세에 있어서도, 돌기부(171)(또는 카버 부재(172)) 즉, 포인트를 용이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n the case where the tempered glass 167 is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16, the tempered glass 167 and the through holes 168 are formed so that the through holes 168 are located at the positions of the points provided on the billiard table. Can be thought of.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fixing member 169 (or the cover member 172) function as a point as it is. In such a structu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169 (or the carver member 172)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67. In billiards,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posture in order to firmly aim at the shot, but the projection 171 is also in a low posture by turning the fixing member 169 (or the carver member 172). (Or the carver member 172), that is, the point can be visually recognized easily.

외틀 본체(16)의 노출 부분, 강화 유리(167)의 설치면이 되는 오목부(161) 저면이 나뭇결 가공되어 있는 점, 오목부(161)의 깊이가 강화 유리(167) 두께 이상의 깊이가 되도록 형성된다는 점, 모서리(165)를 둥글게 하거나 모서리를 따내기도 좋은 점, 각 부재의 재질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평면도에 있어서의 배치에 있어서도 도 2와 동일하다. 또한, 고정 부재(169)는 강화 유리(167)을 통해시인(視認)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부재(169)에 있어서도 모양, 색등에 의해 디자인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posed portion of the outer frame body 16,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61 serving as the mounting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167 is wood grained, and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61 is not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tempered glass 167. It is formed, the corner 165 may be rounded or rounded corners, the material of each member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the same as FIG. 2 also in arrangement | positioning in a top view.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member 169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rough the tempered glass 167, it is preferable to improve the design by the shape, color, etc. also in the fixing member 169.

본 실시예 3에 의해면, 강화 유리(167)는 오목부(161)에 끼워 넣는 것으로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또한, 관통공을 개재해서 고정 부재(169)로 오목부(161)에 고정되기 때문에, 한층 더 강화 유리(167)을 오목부(16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강화 유리와 그 설치면(오목부)과의 사이를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접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tempered glass 167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61 so that the tempered glass 167 is not easily separated by its own weight, and the recessed portion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69 via the through hole. Since it is fixed to 161, the tempered glass 167 can be made to contact the recessed part 161 further. Moreover, it can also adhere | attach between resin which has light transmittance between tempered glass and its installation surface (concave part).

그 외의 변형 실시예Other Modification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but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예컨대, 본 발명의 외틀에 상당하는 구조의 적용 대상은, 빌리아드 테이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트럼프대, 룰렛대 등 고급감과 심미성이 요구되는 틀 구조가 요구되며, 또한 접촉에 의해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기 쉬운 부분에 본 발명의 투명 부재를 매립시키거나 붙이는 구조를 적용시킬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object of application of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illiard table. For example, a frame structure requiring high quality and aesthetics, such as a trumpet and a roulette table, is required, and a structure for embedding or attaching the transpare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rt where physical force is easily applied by contact is applicable.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고정부재로 강화 유리를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Example 2,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a tempered glass may be fixed with a fixing member similarly to Example 3.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 부재로 상면을 덮는 외틀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흠집에 강하고 미려하며 내구성과 심미성을 구비한 빌리아드 테이블을 제공할 수가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the outer cover which covers the upper surface with a transparent member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billiard table which is strong in damage, beautiful, and has durability and aesthetics.

Claims (12)

테이블 면을 에워싸는 외틀을 구비하고, 상기 외틀은 그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outer frame which surrounds a table surface, The outer frame is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member which covers at least one part of the upper surface, The billiard tab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테이블면을 에워싸는 외틀을 구비하고, 상기 외틀은 그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 깊이의 오목부와, 당해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 상기 소정 깊이 이하의 두께를 갖는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It is provided with the outer frame surrounding a table surface, The outer frame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of predetermined depth form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transparent member which has the thickness below the said predetermined depth inserted in the said recessed part. Billiard table featur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틀은 그 상면이 소정의 곡면 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곡면에 대응하는 만곡 구조의 상기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frame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and includes the transparent member having a curv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틀은 그 상면이 평면상으로형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의 상기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frame has a flat upper surface and includes the flat transparent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와 그 설치면과의 틈이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gap between the transparent member and its mounting surface is bonded with a resin having light transparenc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가 강화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parent member is tempered gla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틀이 목제이며, 상기 투명 부재의 설치면이 나뭇결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frame is made of wood, and a mounting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is formed to expose wood grai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에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개재해서 상기 투명 부재는 그 설치면에 대해 소정의 고정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transparent member, and the transparent member is fixed to a mounting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fixing member via the through hole.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 부재는, 고정시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의 상면과 미끄럽게 면이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10. 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redetermined fixing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and the surface are slippery when fix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 부재는, 고정시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의 상면에 돌기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redetermined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 a state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at the time of fix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포인트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고정부재는 고정시에 있어서 포인트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int position, and the predetermined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point at the time of fix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 부재에 대해 취부된 카버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아드 테이블.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arver member attached to the predetermined fixing member.
KR1020000035678A 1999-06-29 2000-06-27 Billiard Table KR1003439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398699 1999-06-29
JP??11?183986? 1999-06-29
JP2000141007A JP2001087447A (en) 1999-06-29 2000-05-12 Biilliard table
JP2000-141007 2000-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686A KR20010039686A (en) 2001-05-15
KR100343973B1 true KR100343973B1 (en) 2002-08-24

Family

ID=2650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678A KR100343973B1 (en) 1999-06-29 2000-06-27 Billiard Tab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087447A (en)
KR (1) KR100343973B1 (en)
AU (1) AU5576300A (en)
WO (1) WO200100028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974B1 (en) * 2000-03-16 2002-08-22 홍상욱 Cross, game table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cross
DE202004009236U1 (en) * 2004-06-14 2005-10-27 Schäfer, Axel Polygonal table for games such as billiards, pool or snooker, has surrounding wall with horizontal projecting section on top, carrying damping stri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1568U (en) * 1987-06-19 1988-12-26
KR940022103U (en) * 1993-03-19 1994-10-19 이은희 Mini pool t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8943A1 (en) * 1990-11-12 1992-05-15 Toulet Sa Billards Means making it possible to stretch, in terms of width, the cloth covering the cushion of a billiard table
US5482268A (en) * 1992-12-15 1996-01-09 Azrak-Hamway International, Inc. Bumper for table game
FR2752171B1 (en) * 1996-08-09 1998-10-16 Jacquot Gerard BILLIARD TRANSFORMABLE BY EXCHANGING GAME STRIPS
US5720666A (en) * 1997-01-22 1998-02-24 Arculeo; Anthony Lightweight marble composite artic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for table surfaces and side rails including pool and gaming tab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1568U (en) * 1987-06-19 1988-12-26
KR940022103U (en) * 1993-03-19 1994-10-19 이은희 Mini pool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576300A (en) 2001-01-31
WO2001000286A1 (en) 2001-01-04
KR20010039686A (en) 2001-05-15
JP2001087447A (en) 2001-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568B1 (en) Structure for protecting a luggage shell
ES2676500T3 (en) Toilet cover and seat of a sheet compound
US3062604A (en) Ornamental table top
ES2121227T3 (en) SPORTS BALL AND MANUFACTURING PROCEDURE THEREOF.
USD947309S1 (en) Pool with basketball goal
US9131813B2 (en) Laminar toilet lid with display cavity
US20030150653A1 (en) Scale with structural mat
KR100343973B1 (en) Billiard Table
JP2006204676A5 (en)
US20080166515A1 (en) Unitary molded, shaped and sized protective edge made of elastomeric material
KR200396357Y1 (en) Artificial representation the furniture decoration panel which uses three
JP3065355U (en) Billiard table
EP0630589A1 (en) Crash-helmet for cyclists and for non-motor sports in general
GB2220138A (en) Picture frame
USD541877S1 (en) Bingo game ticket
KR200384721Y1 (en) Adornment which uses of nacre
USD455016S1 (en) Room divider
KR200191542Y1 (en) Glass table
KR960001643Y1 (en) Tile
JPH0686715A (en) Lacquered electromagnetic cooking table
KR200188091Y1 (en) Sheet made of precious stone for electric heating bed
KR200341585Y1 (en) Top plaque with ornaments stored
KR200209714Y1 (en) Lacqer ware vase
CA2138867A1 (en) Stairtread made of a combination of high quality wood and low quality material
KR200324084Y1 (en) The frame of a paper sliding door type sheet sticking fi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