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668B1 - 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 Google Patents

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668B1
KR100343668B1 KR1020000017390A KR20000017390A KR100343668B1 KR 100343668 B1 KR100343668 B1 KR 100343668B1 KR 1020000017390 A KR1020000017390 A KR 1020000017390A KR 20000017390 A KR20000017390 A KR 20000017390A KR 100343668 B1 KR100343668 B1 KR 100343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karaoke
data
bus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94029A (en
Inventor
고종성
김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 디. 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 디. 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 디. 티
Priority to KR102000001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668B1/en
Publication of KR2001009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66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61MP3, i.e. 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lossy audio compre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75Musical interface to a personal computer PCI bus,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도 가능한 버스 제어권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보드가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가져오도록 함으로써, 고속 인터페이스 및 고 신뢰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별도의 패러럴이나 시리얼 라인을 통해 각 보드로 전송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배경 동영상을 처리하는 플레이어 보드와 반주음을 처리하는 가라오케 보드가 버스 제어권을 주고 받으면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 매체(CD-ROM, DVD-ROM 등)로부터 직접 가져오도록 하기 때문에,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고속화 및 고 신뢰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rface technique in a multimedia system that realizes a high speed interface and high reliability by allowing a board to access and import data using a transferable bus control right. Unlik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of reading required data from a storage medium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board through a separate parallel or serial line, a player board for processing a background video and a karaoke board for processing accompaniment are used for bus control. This allows data to be directly imported from a storage medium (CD-ROM, DVD-ROM, etc.) while sending and receiving data, thereby achieving high speed and high reliability of the data interface.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본 발명은 광디스크를 이용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ROM 또는 DVD-ROM 등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반주음과 그에 상응하는 배경 동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적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ultimedia system using an optical disc, and more particularly, to effectively perform a data interface in a multimedia system providing an accompaniment sound and a corresponding background video using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or a DVD-R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rface method in a multimedia system.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시스템, 특히 디지털 가라오케 시스템(또는 노래 반주 시스템)은 반주음 정보, 자막 정보 및 동영상 정보의 3가지를 동기를 맞추면서 유기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반주 반주음을 제공함과 동시에 노래 가사에 대한 자막 정보가 혼합된 임의의 동영상(즉, 배경 동영상)을 모니터 상에 제공하는 기기이다. 이때, 배경 동영상 데이터와 반주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으로써는, 예를 들면 대용량의 광 디스크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 광 디스크는 CD-ROM 또는 DVD-ROM 등을 통해 재생(또는 판독)된다.As is well known, multimedia systems, especially digital karaoke systems (or song accompaniment systems), organically proces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subtitle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in synchronism, while providing accompaniment accompaniment through the speaker. It is a device that provides an arbitrary video (that is, a background video) mixed with caption information about song lyrics on a monitor. At this time, as 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background video data and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for example, a large-capacity optical disk or the like is used, and these optical disks are reproduced (or read) by a CD-ROM or a DVD-ROM or the like. do.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용 디지털 가라오케 시스템은 저장 매체(CD-ROM, DVD-ROM 등)에서 판독한 신호를 처리(즉, 파형 정형, 노이즈 제거, EFM 복조 등)한 후에 반주음 데이터와 배경 동영상 데이터를 분리하여 별도의 패러럴이나 시리얼 라인을 통해 각각의 보드, 즉 MPEG 비디오 보드나 MPEG 오디오 보드로 전달하여 원신호로 복원함으로써, 스피커 및 모니터를 통해 반주음 및 배경 동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선택된 곡의 반주음 신호는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와 혼합되어 스피커 측으로 전달된다.To this end, multimedia digital karaoke systems process accompaniment sound and background video data after processing signals (e.g., waveform shaping, noise reduction, EFM demodulation, etc.) read from storage media (CD-ROM, DVD-ROM, etc.). It separates and transfers each board through a separate parallel or serial line, that is, MPEG video board or MPEG audio board, and restores the original signal to output accompaniment sound and background video through speakers and monitors. At this time, the accompaniment signal of the selected song is mixed with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and delivered to the speaker.

따라서, 사용자들은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동영상의 감상과 함께 모니터(예를 들면, 모니터의 하단측 등) 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자막 정보, 즉 자신이 선곡한 곡의 가사를 보면서 음악을 부를 수 있다.Therefore, users can listen to the subtitle information displayed in OSD form on the monitor (for example, the lower side of the monitor) along with the background video displayed on the monitor, that is, sing the music while watching the lyrics of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Can b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식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읽어 별도의 패러럴이나 시리얼 라인을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그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 기종 장치간에 하드웨어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data interface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s speed is slow because it reads necessary data and transmits it through a separate parallel or serial line, and it has to be closely related to hardware between these devices.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도 가능한 버스 제어권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보드가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가져오도록 함으로써, 고속 인터페이스 및 고 신뢰화를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using a transferable bus control right to the board required to access the data in a multimedia system that can realize a high-speed interface and high reliabil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ata interfac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경 동영상을 처리하는 플레이어 보드와 반주음을 처리하는 가라오케 보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크에 가라오케용 광 디스크가 탑재되면, 탑재된 광 디스크에 수록된 TOC의 색인 정보를 판독한 후 버스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플레이어 보드 내의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TOC의 색인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버스의 출력 경로를 상기 가라오케 보드로 절환한 후, 상기 가라오케 보드에 버스 제어권을 양도하는 과정; 상기 버스를 통해 직접 억세스 하여 상기 탑재된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 인출되는 반주음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가라오케 보드 내의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반주음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버스 제어권을 상기 플레이어 보드로 반환하는 과정; 및 상기 버스 제어권 반환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의 출력 경로를 상기 플레이어 보드로 절환한 후, 선곡 또는 가라오케 재생을 위한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terfacing data in a multimedia system having a player board for processing a background video and a karaoke board for processing accompaniment, wherein the optical disc for karaoke is mounted on a deck. Reading index information of the TOC contained in the optical disk, receiving the index information through a bus, and storing the index information in a memory block in the player board; When the storage of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OC is completed, switching an output path of the bus to the karaoke board, and then transferring a bus control right to the karaoke board; Directly accessing through the bus and receiving accompaniment sound data read and drawn from the mounted optical disk and storing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in a memory block of the karaoke board; When the storing of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is completed, returning the bus control right to the player board; And switching the output path of the bus to the player board in response to the return of the bus control right, and t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for playing a music selection or karao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일예에 대한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karaoke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a data interf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어 보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player board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라오케 보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karaoke board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data interface in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2 : 외부 저장 장치 104 : 스위칭 보드102: external storage device 104: switching board

106 : 플레이어 보드 108 : 가라오케 보드106: player board 108: karaoke board

202 : 플레이어 제어 블록 204, 302 : RF 블록202: player control block 204, 302: RF block

206, 304 :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 208, 308 : 메모리 블록206, 304: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208, 308: memory block

210 :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 306 : 가라오케 제어 블록210: MPEG video decoding block 306: Karaoke control block

310 : MPEG 오디오 디코딩 블록310: MPEG audio decoding block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배경 동영상을 처리하는 플레이어 보드와 반주음을 처리하는 가라오케 보드가 버스 제어권을 주고 받으면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 매체(CD-ROM, DVD-ROM 등)로부터 직접 가져오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The cor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layer board for processing the background video and the karaoke board for processing the accompaniment to directly transfer data required from the storage medium (CD-ROM, DVD-ROM, etc.) to the bus control. Through this technical means, it is possible to easil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가라오케 시스템의 일예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멀티미디어용 가라오케 시스템은 외부 저장 장치(102), 스위칭 보드(104), 플레이어 보드(106) 및 가라오케 보드(108)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karaoke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a data interf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media karaoke system includes an external storage device 102, a switching board 104, a player board 106, and a karaoke system. Karaoke board 108.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저장 장치(102)는 광 디스크에 수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광 픽업을 갖는 데크 등을 포함하는 CD-ROM 또는 DVD-ROM 등인 것으로,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한 디지털의 TOC 정보, 반주음 데이터 및 배경 동영상 데이터를 버스(예를 들면, 표준 IDE 버스)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보드(104)를 경유하여 플레이어 보드(106) 또는 가라오케 보드(108)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is a CD-ROM or DVD-ROM or the like including a deck having an optical pickup for optically reading the digital data recorded on the optical disk, and the like. TOC information, accompaniment data, and background video data are delivered to player board 106 or karaoke board 108 via switching board 104 connected via a bus (eg, a standard IDE bus).

또한, 스위칭 보드(104)는 버스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102)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스위칭, 즉 라인 L11을 통해 플레이어 보드(106)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TOC 정보와 배경 동영상 데이터를 플레이어 보드(106)로 전달하고, 반주음 데이터를 가라오케 보드(108)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TOC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광 디스크에 수록된 곡의 수 정보, 곡의 리스트 정보, 각 곡의 위치 정보, 곡 번호 정보, 인덱스 정보, 각 곡의 연주시간 정보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board 104 switch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via the bus, that is, in response to the bus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layer board 106 via the line L11, the TOC information and the background video data. And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to the karaoke board 108. Here, the TOC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he number of songs recorded on the optical disk, the list of song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ong, the song number information, the index information, the playing time information of each song, and the like.

다음에, 플레이어 보드(106)는 스위칭 보드(104)를 통해 제공되는 TOC 정보와 배경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라인 L11을 통해 버스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보드(104)에서의 데이터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것으로,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The player board 106 then processes the TOC information and background video data provided through the switching board 104 and generates a bus control signal via line L11 to control the data output path at the switching board 104. As an example, it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어 보드(106)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 RF 블록(204),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206),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208) 및 메모리 블록(210)을 포함한다.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player board 106 shown in FIG. 1, which includes a player control block 202, an RF block 204, a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206, an MPEG video decoding block 208, and Memory block 210.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은, 예를 들면 플레이어 보드(106)에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RF 블록(204)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보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외부 저장장치(102) 내에 탑재된 서보의 구동을 제어하고, 데크에 탑재된 광 디스크의 리드인 영역에서 판독한 제어를 위한 TOC의 색인 정보(부가 정보 또는 서브 코드)를 메모리 블록(208)에 저장하며, 또한 MPEG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배경 동영상 데이터의 복조 및 복원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includes,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overall operation control on the player board 106, based on the servo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RF block 204. To control the drive of the servo mount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and the index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r sub code) of the TOC for control read in the lead-in area of the optical disk mounted on the deck. And demodulation and reconstruction of digital background video data compression-coded according to the MPEG algorithm.

또한,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은 데크에 가라오케용 광 디스크가 탑재될 때 광 디스크로부터 TOC의 색인 정보를 판독 인출한 후에 라인 L11을 통해 버스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보드(104)에서의 출력 경로를 가라오케 보드(108) 쪽으로 절환하고, 라인 L13을 통해 가라오케 보드(108)에 이를 통지(즉, 버스 제어권 양도 통지)하며, 라인 L13을 통해 가라오케 보드(108)로부터 버스 제어권 반환 통지가 올 때 그에 응답하여 라인 L11을 통해 버스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스위칭 보드(104)에서의 출력 경로를 플레이어 보드(106)로 절환한다.In addition, when the optical disc for karaoke is mounted on the deck,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reads out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OC from the optical disc, and then generates a bus control signal through the line L11 to output the output path from the switching board 104. Switch to the karaoke board 108, notify the karaoke board 108 via line L13 (i.e., notify the transfer of bus control), and when the bus control return notification comes from the karaoke board 108 via line L13, In response, a bus control signal is generated via line L11 to switch the output path from switching board 104 to player board 106.

다음에, RF 블록(202)은 스위칭 보드(104)를 통해 전달되는 재생신호(즉, TOC의 색인 정보, 배경 동영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서버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으로 전달하고, 레벨 증폭, 노이즈 제거, 파형 등화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206)으로 전달한다.Next, the RF block 202 generates a server control signal by processing the reproduction signal (that is,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OC and the background video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witching board 104 to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206 is processed to perform level amplification, noise reduction, and waveform equalization.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206)은, 예를 들면 EFM 변조된 신호를 원신호로 복조하여, 복조된 TOC의 색인 정보 데이터는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으로 전달하고, 복조된 배경 동영상 데이터(즉, 압축 부호화된 배경 동영상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210)으로 전달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206 then demodulates, for example, the EFM modulated signal into the original signal, passing the index information data of the demodulated TOC to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and demodulating the background video data (i.e., The compressed and encoded background video data is transmitted to the MPEG video decoding block 210.

다음에,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210)은,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으로부터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가라오케 재생 모드시에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206)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부호화전의 원신호로 복원한 후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 측으로 전달한다.Next, the MPEG video decoding block 210 reconstructs the original signal before compression encoding provid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206 in the karaoke reproduction mode on the basis of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Afterwards, transfer to the display side, not shown.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 보드(206)는, 스위칭 보드(104)에서의 경로 절환을 위한 버스 제어권을 관리하여 플레이어 보드(106) 및 가라오케 보드(108)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 매체로부터 직접 가져오도록 제어하고, 또한 초기 모드(즉, 데크에 광 디스크를 탑재한 시점에서의 모드) 또는 가라오케 재생 모드시에 전달되는 TOC의 색인 정보 및 배경 동영상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layer board 206 manages bus control rights for the path switching in the switching board 104 to store data required by the player board 106 and the karaoke board 108 from the storage medium. It directly controls to import, and also performs processing of index information and background video data of the TOC delivered in the initial mode (i.e., the mode when the optical disc is mounted on the deck) or the karaoke playback mod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가라오케 보드(108)는, 플레이어 보드(108)로부터의 버스 제어에 따라 스위칭 보드(104)를 통해 제공되는 반주음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karaoke board 108 processes accompaniment sound data provided through the switching board 104 according to bus control from the player board 108, as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Have the same configura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라오케 보드(108)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RF 블록(302),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304),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 메모리 블록(308) 및 MPEG 오디오 디코딩 블록(310)을 포함한다.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karaoke board 108 shown in FIG. 1, and includes an RF block 302, a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304, a karaoke control block 306, a memory block 308, and MPEG audio. And decoding block 310.

도 3을 참조하면, RF 블록(302)은 스위칭 보드(104)를 통해 전달되는 재생신호(즉, 반주음 데이터 신호)에 대해 레벨 증폭, 노이즈 제거, 파형 등화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304)으로 전달하며,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304)은, 예를 들면 EFM 변조된 반주음 신호를 변조전의 원신호로 복조한 후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으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F block 302 processes a digital signal by performing level amplification, noise removal, waveform equalization, and the like on a reproduction signal (that is, an accompaniment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witching board 104. Passed to block 304,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304 demodulates, for example, the EFM modulated accompaniment signal into the original signal prior to modulation and forwards it to 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다음에,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은, 예를 들면 가라오케 보드(108)에서의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라인 L13을 통해 플레이어 보드(106)로부터 버스 제어권 양도 통지를 받으면 스위칭 보드(104)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102)에 직접 억세스하여 반주음 데이터를 가져오고, 전달받은 반주음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메모리 블록(308)에 저장하며, 광 디스크에 수록된 반주음 데이터를 모두 인출한 후에는 라인 L13을 통해 플레이어 보드(106)에 버스 제어권 반환을 통지한다.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then includes a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overall operational control on the karaoke board 108, for example, switching upon receipt of a bus control transfer notification from the player board 106 via line L13. Access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directly through the board 104 to obtain accompaniment data, process the received accompaniment data, and store the accompaniment data in the memory block 308, and store all the accompaniment data contained in the optical disk. After the withdrawal, the player board 106 is notified of the return of the bus control right through the line L13.

또한,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은 외부로부터의 조작 또는 선택신호에 따른 선곡 재생 모드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반주음 데이터를 메모리 블록(308)으로부터 인출하여 MPEG 오디오 디코딩 블록(310)으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extracts the accompaniment sound of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memory block 308 in the music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xternal manipulation or selection signal, and delivers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to the MPEG audio decoding block 310. .

한편, MPEG 오디오 디코딩 블록(310)은, 선곡 재생 모드시에,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의 반주음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복원된 반주음 신호는 도시 생략된 스피커 측으로 전달되어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즉, 노래 음성)와 혼합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MPEG audio decoding block 310 restores the compression-encoded digital accompaniment sound data provided from 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to the original signal before compression encoding in the music selection playback mode.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not shown) and mixed with a user voice signal (ie, a song voice) input through an external microphone and then output through the speaker.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를 통해 자신이 부른 음성과 반주음이 혼합된 곡을 청취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listen to a song in which the voice and the accompaniment sound are mixed through the speaker.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멀티미디어용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interfac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karaoke system for multimedi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data interface in a multimedia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용 가라오케 시스템은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데(단계 402),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외부 저장 장치(102) 내의 데크에 광 디스크(즉, CD, DVD 등)가 탑재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 즉 도 2의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에서는 광 디스크 도시 생략된 탑재 감지 센서로부터 탑재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404). 이때, 스위칭 보드(104)의 출력 경로는 플레이어 보드(106)에서 가라오케 보드(108)로 버스 제어권을 양도하지 않는 이상 플레이어 보드(106)로 설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ultimedia karaoke system performs a standby mode in a power-on state (step 402), and an optical disc (ie, CD, DVD) is placed on a deck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while performing the standby mode. Etc.), i.e.,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of FIG. 2 checks whether or not a mount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a mount detection sensor not shown in the optical disk (step 404). At this time, the output path of the switching board 104 is set to the player board 106 unless the bus control right is transferred from the player board 106 to the karaoke board 108.

상기 단계(404)에서의 체크 결과, 데크에 광 디스크가 탑재된 것으로 판단되면,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에서는 외부 저장 장치(102) 내의 데크를 구동하여 광 디스크의 리드인 영역에 수록된 TOC의 색인 정보를 판독하며, 이와 같이 판독 재생되는 TOC의 색인 정보는 도 2의 메모리 블록(208)에 저장된다(단계 406).If the check in step 404 determines that the optical disc is mounted on the deck,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drives the deck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to index the TOC contained in the lead-in area of the optical disc. The information is read, and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OC thus read and reproduced is stored in the memory block 208 of FIG. 2 (step 406).

다음에, TOC의 색인 정보가 모두 저장되면,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에서는 데크에 탑재된 광 디스크가 일반 광 디스크인지 혹은 가라오케용 광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408),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탑재된 광 디스크가 일반 광 디스크인 것으로 판단되면,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에서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며, 외부의 사용자 입력이 인가될 때 그에 상응하는 통상의 모드(예를 들면, 재생 모드, 반복 재생 모드, 탐색 모드 등)를 수행한다(단계 410).Next, when all of the TOC index information is stored,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checks whether the optical disc mounted on the deck is a normal optical disc or a karaoke optical disc (step 40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unted optical disc is a normal optical disc,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performs a standby mode and waits for user input from the outside, and a corresponding normal mode when an external user input is applied. (E.g., playback mode, repeat playback mode, search mode, etc.) (step 410).

여기에서, 일반 광 디스크 또는 가라오케용 광 디스크의 구분은 광 디스크에 별도로 표시된 마크를 통해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크는 마크 감지용 센서를통해 감지되어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으로 전달된다.Here,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optical disk or the optical disk for karaoke can be recognized through a mark marked separately on the optical disk, and this mark is detected by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mark and transmitted to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한편, 상기 단계(408)에서의 체크 결과, 탑재된 광 디스크가 가라오케용 광 디스크인 것으로 판단되면,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에서는 라인 L11을 통해 버스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보드(104)의 출력 경로를 가라오케 보드(108) 쪽으로 절환한 후 라인 L13을 통해 가라오케 보드(108) 내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에게 버스 제어권 양도를 통지한다(단계 412).On the other hand, if the check in the step 408 determines that the mounted optical disk is an optical disk for karaoke,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generates a bus control signal via the line L11 to output the switching board 104. After switching the path to the karaoke board 108, 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in the karaoke board 108 is notified of the bus control transfer via the line L13 (step 412).

따라서,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에서는 스위칭 보드(104)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102)에 직접 억세스하여 광 디스크에 수록된 반주음 데이터를 가져온다. 즉, 탑재된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반주음 데이터는 스위칭 보드(104)를 경유하여 전달되어 RF 블록(302) 및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304)을 통해 변조전의 원신호로 복조된 다음 메모리 블록(308)에 저장된다(단계 414).Accordingly, 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directly accesses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through the switching board 104 to bring accompaniment data contained in the optical disk. That is, the accompaniment data read from the mounted optical disk is transferred via the switching board 104 and demodulated to the original signal before modulation through the RF block 302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block 304, and then the memory block 308. (Step 414).

그런 다음,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에서는 반주음 데이터의 인출 및 저장이 완료되면(단계 416), 라인 L13을 통해 플레이어 보드(106) 내의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으로 버스 제어권 반환을 통지한다(단계 418).Then, when the withdrawal and storage of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is completed (step 416), 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notifies the bus control right return to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in the player board 106 via the line L13 (step 418).

이어서,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에서는 라인 L13을 통해 가라오케 제어 블록(306)으로부터 버스 제어권 반환이 통지되면, 그에 응답하여 라인 L11 상에 버스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보드(104)에서의 출력 경로는 플레이어 보드(106) 쪽으로 절환시킨 다음 사용자 선택을 위한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420).Subsequently, when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is notified of the bus control right return from the karaoke control block 306 via the line L13, a bus control signal is generated on the line L11 in response to the output path from the switching board 104. Switching to the player board 106 and t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for user selection (step 420).

따라서, 플레이어 보드(106) 내의 플레이어 제어 블록(202)은 대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선곡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422),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 선곡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가라오케 시스템은 그에 상응하는 가라오케 재생 모드를 수행, 즉 플레이어 보드(106)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응하는 배경 동영상을 외부 저장 장치(102)로부터 판독하여 원신호로 복원한 후 디스플레이 측으로 전달하고, 가라오케 보드(108)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반주음 데이터를 메모리 블록(308)으로부터 인출하여 원신호로 복원한 후 스피커 측으로 전달한다(단계 422).Accordingly, the player control block 202 in the player board 106 checks whether or not th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s input while performing the standby mode (step 422), where the user selection signal is input as a result of the check. If it is determined, the karaoke system performs a corresponding karaoke playback mode, i.e., the player board 106 reads the background video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02 and restores the original video to display the original signal. The karaoke board 108 extracts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of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memory block 308 and restores the original signal to the speaker signal (step 422).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니터를 통해 배경 동영상(즉, 가사 자막을 포함하는 배경 동영상)을 감상하면서 스피커를 통해 자신이 부른 음성과 반주음이 혼합된 곡을 청취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may listen to a song in which a voice and an accompaniment are mixed through a speaker while watching a background video (ie, a background video including lyrics subtitles) through a monit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 별도의 패러럴이나 시리얼 라인을 통해 각 보드로 전송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배경 동영상을 처리하는 플레이어 보드와 반주음을 처리하는 가라오케 보드가 버스 제어권을 주고 받으면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 매체(CD-ROM, DVD-ROM 등)로부터 직접 가져오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고속화 및 고 신뢰화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of reading the necessary data from the storage medium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each board through a separate parallel or serial line, the player board and accompaniment sound for processing the background video By allowing the processing karaoke board to directly transfer data required from the storage medium (CD-ROM, DVD-ROM, etc.) while exchanging bus control rights, it is possible to realize high speed and high reliability of the data interface.

Claims (2)

배경 동영상을 처리하는 플레이어 보드와 반주음을 처리하는 가라오케 보드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interfacing data in a multimedia system having a player board for processing a background video and a karaoke board for processing accompaniment, 데크에 가라오케용 광 디스크가 탑재되면, 탑재된 광 디스크에 수록된 TOC의 색인 정보를 판독한 후 버스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플레이어 보드 내의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는 과정;When the optical disk for karaoke is mounted on the deck, reading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OC contained in the mounted optical disk, receiving the index information through a bus, and storing the index information in a memory block in the player board; 상기 TOC의 색인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버스의 출력 경로를 상기 가라오케 보드로 절환한 후, 상기 가라오케 보드에 버스 제어권을 양도하는 과정;When the storage of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OC is completed, switching an output path of the bus to the karaoke board, and then transferring a bus control right to the karaoke board; 상기 버스를 통해 직접 억세스 하여 상기 탑재된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 인출되는 반주음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가라오케 보드 내의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는 과정;Directly accessing through the bus and receiving accompaniment sound data read and drawn from the mounted optical disk and storing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in a memory block of the karaoke board; 상기 반주음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버스 제어권을 상기 플레이어 보드로 반환하는 과정; 및When the storing of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is completed, returning the bus control right to the player board; And 상기 버스 제어권 반환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의 출력 경로를 상기 플레이어 보드로 절환한 후, 선곡 또는 가라오케 재생을 위한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Switching the output path of the bus to the player board in response to the return of the bus control right, and t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for playing music or karaok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표준 IDE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s is a standard IDE bus.
KR1020000017390A 2000-04-03 2000-04-03 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KR100343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390A KR100343668B1 (en) 2000-04-03 2000-04-03 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390A KR100343668B1 (en) 2000-04-03 2000-04-03 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029A KR20010094029A (en) 2001-10-31
KR100343668B1 true KR100343668B1 (en) 2002-07-20

Family

ID=1966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390A KR100343668B1 (en) 2000-04-03 2000-04-03 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66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029A (en)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529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KR1005208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from a record carrier
KR20000061313A (en) multisession disc including DVD application sess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233722B1 (en) Apparatus for testing a digital signal process part of digital video disk player
KR100335440B1 (en) Disc recording DVD application on CD medi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343668B1 (en) Data interface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JP2906983B2 (en) Disk device capable of recording / reproducing received AV data
KR100467575B1 (en) Video replaying/recording system having the changeable function of background image/sound and method for changing background image/sound
KR0178729B1 (en) Disc format of a cd and its apparatus for reproducing
KR100241752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copy of an optical disc in an optical disc reproduction system
KR100236113B1 (en) Method to playback a desired position in a disk for use in an optical disk player
KR19980075457A (en) How to Switch Audio Output Signal in a Digital Video Disc System
JPH09245465A (en) Disc reproducer
KR970029539A (en) Playback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Disc Discrimination in DVD Playback System
KR20050119353A (en) Device and method for blocking seeing and hearing on the optical disk player
KR19980079028A (en) AB Repeat Playback Method of Optical Disc Player
KR20000044081A (en) Device for playing back audio data of cd-rom and dvd-rom
KR20030030571A (en) An apparatus for converting frequency in a composite appliance
KR20000043316A (en) Method for playing back audio of cd-rom and dvd-rom
KR19980079040A (en) How to play back memory of video compact disc player
KR20020022143A (en) Disc identifying method for optical disc reader/writer
JP2004118943A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KR20070025294A (en) Optical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2004002524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ord in a combo system
KR19980078979A (en) How to Guide Audio Coding Modes for Digital Video Disc P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