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255B1 -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255B1
KR100343255B1 KR1019990017396A KR19990017396A KR100343255B1 KR 100343255 B1 KR100343255 B1 KR 100343255B1 KR 1019990017396 A KR1019990017396 A KR 1019990017396A KR 19990017396 A KR19990017396 A KR 19990017396A KR 100343255 B1 KR100343255 B1 KR 10034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floor
present
crossbar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841A (ko
Inventor
박혁구
Original Assignee
박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혁구 filed Critical 박혁구
Priority to KR101999001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255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하며 특히 재생 P.V.C나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함으로써 저렴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내식성을 갖도록 하는 한편, 재사용이 가능하고 시공된 마루의 장기적인 안정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I빔 형태의 가로대(10)와 세로대(20)를 재생 P.V.C 또는 재생고무로 압출 성형하고 가로대의 저면에는 다수의 조절나사(11)를 그리고 그 양쪽에는 바닥고정용 앵카볼트(12)를 등간격으로 나사 결합하는 한편, 가로대와 세로대는 보울트(30)로 조립하여 결합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가로대의 수평조절이 용이하고 따라서 마루의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하는 한편, 앵카볼트를 이용한 바닥과의 결합으로 인하여 견고하고 양호한 수평상태를 장기간 유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로 압출 성형함에 따라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하며 재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저렴하여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Flooring Supporter}
본 발명은 마루의 시공시 마루판재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개량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하며 특히 재생 P.V.C나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함으로써 저렴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내식성을 갖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종래 마루 시공시 제공되는 받침대는 목재를 가로목과 세로목의 각재로 가공하여 교호로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목인 가로목과 세로목은 시공후 습도 및 온도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므로 상면에 안착된 마루의 안정된 수평상태를 장기간 유지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상기한 목재의 받침대는 자체적인 수평조절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의 콘크리트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 가로목을 설치한 후 가로목이 기울어 지는 부위의 바닥면 사이에 나무조각 등을 끼워 적당히 수평을 맞추고 있는바, 이 경우 시간이 지나면 나무조각이 삭아서 가로목이 침강되므로 마루가 부분적으로 균열되거나 파손되어 재시공 또는 잦은 보수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목재의 받침대는 시공시 가로목과 세로목을 다량의 못으로 일일이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지연될 뿐 아니라 가로대의 경우 못으로 콘크리트 바닥과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주는바, 이때 못과 시멘트와의 결합이 불량하여 받침대 전체가 유동되는 시공 불량이 초래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목재 받침대의 경우 매우 고가로써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재생 P.V.C 또는 재생고무를 I빔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부식이나 변형이 없는 저렴한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며 가로대는 앵카볼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하는 한편 그 저면에는 조절나사를 등간격으로 연설하여 그 돌출길이를 신축적으로 조절 함으로써 가로대의 수평조절을 극히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세로대는 가로대와 마찬가지로 I빔 형태로 제공하되 가로대 보다 다소 소형으로 제작하여 받침대 전체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게 구성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가로대 상면에 촘촘히 구성하여 마루판재의 안정된 안착을 도모하며 이와함께 그 교차부위는 보울트로 체결하는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가로대와 세로대의 신속하고 용이한 결합수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요부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시공한 상태의 평면구성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로대 11 : 조절나사
12 : 앵카볼트 20 : 세로대
30 : 보울트
I빔 형태의 가로대(10)와 세로대(20)를 재생 P.V.C 또는 재생고무로 압출 성형하고 가로대(10)의 저면에는 다수의 조절나사(11)를 그리고 그 양쪽에는 바닥고정용 앵카볼트(12)를 등간격으로 나사 결합하는 한편, 가로대(10)와 세로대(20)는 보울트(30)로 결합하여 조립하여된 구조이다.
도면부호중(40)은 스프링와셔, (50)은 콘크리트 바닥, 그리고 (60)은 마루판재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50)의 상면에 가로대(10)를 소정 간격으로 배설한다. 이때 콘크리트 바닥(50)면이 불규칙하여 가로대(10)가 수평을유지하지 못할 경우 그 저면에 등간격으로 연설된 조절나사(11)를 각각 풀거나 조여 그 돌출길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가로대(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일측으로 연설된 다른 가로대(10)의 조절나사 (11)들도 그 지면상태를 고려하면서 신축적으로 조절하여 가로대(10)전체가 균일된 수평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11)는 콘크리트 바닥(50)과 닿는 머리 부분이 원형으로 크게 확대되어 있어 지면과 안정되게 접면된다. 한편, 가로대(10)는 상기한 바와같이 조절나사(11)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추게 되나 콘크리트 바닥(50)면이 극히 불량할 정도로 불규칙하지는 않으므로 실제 몇 개의 조절나사 (11)만 조금씩 조절하면 가로대(10)는 간단히 수평이 맞추어 지므로 가로대(10)의 수평조절작업은 보다 신속히 완료된다. 가로대(10)의 수평조절이 완료되면 공구를 이용하여 앵카볼트(12)를 콘크리트 바닥(50)에 박아 가로대(10)를 견고히 고정시킨 다음 상기 가로대(10)의 상면에 세로대(20)를 등간격으로 다소 촘촘히 배설하고 이어 가로대(10)와 세로대(20)가 교차되는 부분에 보울트(30)를 체결하여 조립 고정시킨다. 상기 세로대(20)는 가로대(10)와 마찬가지로 단면 I빔 형태로 제작되나 가로대(10)보다는 다소 소형으로 제작하여 받침대 전체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지 않도록 하는 한편 가로대(10)의 상면에 다소 촘촘히 연설하여 그 상면의 마루판재(6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가로대(10)의 용이한 수평조절 및 견고한 고정수단 그리고 보울트(30)를 이용한 세로대(20)와의 조립으로 상호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양호한 수평구조를 갖는 받침대의 시공을 극히 신속하고 간단하게완료하며 받침대의 시공이 완료되면 도 3의 평면구성도 에서와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세로대(20)상면에 마루판재(60)를 시공하여 마루를 완성한다.
본 발명은 가로대 및 세로대의 수평조절이 용이하여 마루의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견고하고 양호한 수평상태가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마루의 시공불량을 해소하게 되고 따라서 시공사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또한 가로대 및 세로대는 종래와 같은 목재를 탈피하여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로 압출 성형함에 따라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이에따른 자재비의 절감으로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이와같은 재질의 본 발명은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마루를 장기적으로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는 한편 재사용이 가능한 경제적 잇점도 있다.

Claims (1)

  1. I빔 형태의 가로대(10)와 세로대(20)를 재생 P.V.C 또는 재생고무로 압출 성형하고 가로대(10)의 저면에는 다수의 조절나사(11)를 그리고 그 양쪽에는 바닥고정용 앵코볼트(12)를 등간격으로 나사 결합하는 한편, 가로대(10)와 세로대(20)는 보울트(30)로 조립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용 조립식 받치대.
KR1019990017396A 1999-05-14 1999-05-14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 KR10034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96A KR100343255B1 (ko) 1999-05-14 1999-05-14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96A KR100343255B1 (ko) 1999-05-14 1999-05-14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41A KR20000073841A (ko) 2000-12-05
KR100343255B1 true KR100343255B1 (ko) 2002-07-10

Family

ID=1958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396A KR100343255B1 (ko) 1999-05-14 1999-05-14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2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41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295B1 (en)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KR101848258B1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US7047697B1 (en) Modular decking planks
US5850720A (en) Plastic decking and securemen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RE41140E1 (en) Modular decking planks
US5623803A (en) Plastic decking and securemen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7052200B2 (en) Resilient deck board fastener
US6651398B2 (en) Decking assembly and decking kit with hold-down clip
US20020095897A1 (en) Above-grade decking system
US20060242916A1 (en) Edge boards and related assemblies
KR102095981B1 (ko) 데크의 탄성 고정이 가능한 데크클립을 가지는 데크 시스템
AU2018253529A1 (en) A Decking Clip
WO2015026518A1 (en) Deck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deck systems and components
KR100343255B1 (ko) 마루용 조립식 받침대
KR20080074297A (ko) 칸막이용 걸레받이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US20080290233A1 (en) Clamping system
KR100504362B1 (ko) 건축용벽체 가시설 거푸집의 설치구조
SK500262018U1 (sk) Obkladový stavebný systém
CN213297008U (zh) 一种可调平地脚支撑的木枋系统
KR102180567B1 (ko) 탄성 기능을 활용하여 보행성이 향상된 데크 시스템
KR100522921B1 (ko) 목재데크 보도의 구조
KR102241676B1 (ko) 균일한 간격이 적용된 미끄럼 방지 데크 시스템
US20190218766A1 (en) Ledger
KR200238744Y1 (ko) 조립식 비닐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