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691B1 -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691B1
KR100342691B1 KR1020000055736A KR20000055736A KR100342691B1 KR 100342691 B1 KR100342691 B1 KR 100342691B1 KR 1020000055736 A KR1020000055736 A KR 1020000055736A KR 20000055736 A KR20000055736 A KR 20000055736A KR 100342691 B1 KR100342691 B1 KR 10034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terminal
call
traffic resourc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476A (ko
Inventor
김영빈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5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6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인증센터 및 다른 자원의 낭비 없이 비상(Emergency) 호 및 우선순위를 지니고 있는 호에 대한 자원할당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메시지를 채널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카드로 전송된 발신 메시지로부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 결과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라면 BCP에게 호 셋업에 필요한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우선순위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다면 해당 점유하고 있는 호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는 호에 대한 릴리스를 수행한 후 우선 순위가 존재하는 호에 셋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all using access chamel}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Call)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인증센터 및 다른 자원의 낭비 없이 비상(Emergency) 호 및 우선순위를 지니고 있는 호에 대한 자원할당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과 하나의 제어국이 연결되며, 다수의 제어국이 하나의 코어망(Core Network)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0 내지 참조부호 10+n은 단말기(Mobile Station : MS)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0 내지 참조부호 20+n은 상기 단말기(10∼10+n)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BTS)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30 내지 참조부호 30+n은 상기 기지국(20∼20+n)들을 관리하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 BSC)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상기 제어국(30∼30+n)들의 데이터를 연동하는 망들로 전송해주고, 그 연동 하는 망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국(30∼30+n)에 선택적으로 전달해주는 코어망을 나타낸다.
여기서, 코어망(40)은 이동통신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 MSC)(41)과, 인터넷 망(42)과 연결되는 PSDN망(43)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41)과 연결되는 PSTN망(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교환국(41)은 상기 PSTN망(44)이외의 2G 셀룰러망, ISDN망, B-ISDN망들과도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지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에는 복수개의 단말기가 접속하며, 아울러 복수개의 기지국은 하나의 제어국에접속하며,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제어국은 하나의 코어망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제어국에서 호(Call)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프로세서는, 발생되는 모든 호(발신호, 착신호, 핸드오프호 등등)를 발생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그 배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1000개의 호가 발생하였다면,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호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프로세서는 순차적으로 1000번의 루프(loop)를 돌려 발생된 호를 순차적으로 처리해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 제어방법은, 기지국뿐 아니라 제어국, 교환국, 인증센터와 같은 자원을 필요로 하여 제어가 가능 하였다. 즉, 단말기가 호를 셋업한후 기지국 및 제어국, 교환국을 거쳐 인증센터에 전달 되고 해당 호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어야만 해당 단말기에 대한 호의 우선 순위를 인정 받을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로 전달되는 오버 헤드 메시지(Over Head Message)중의 하나인 액세스 파라메터 메시지(Access Parameter Message)의 필드(Field)인 PSIST를 통하여 단말기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단말기의 호 셋업(Setup)을 제한 할 수 있는데,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어국 관리부(Base Station Management)에서 해당 필드를 셋팅(Setting)한 후 이를 기지국단으로 전달하여 해당 필드를 변경한 후,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달하여 단말기가 호 셋업을 시도할 때 해당 필드와 자신의 우선 순위 필드를 참조하여 호 셋업을 시도하고 해당 호 셋업의 기지국, 제어국등을 걸쳐 인증을 받아야만 가능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호 제어방법은 호 셋업에 대한 인증절차가 복잡하고 제어국, 교환국, 인증센터와 같은 자원이 불필요하게 소모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달되는 메시지의 포맷(Format)을 새롭게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메시지의 교환 등을 통해 인증절차가 복잡한 과정을 수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호의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해 많은 작업이 수행되게 되며 기지국, 제어국, 교환국, 인증센터등의 자원을 이용하는 등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모든 트래픽(Traffic) 자원이 사용되고 있을 시에는 호 셋업이 불가하며, 트래픽 자원이 발생하면 최우선적으로 호를 셋업시키는 방법으로서 트래픽 자원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가 발신 및 위치결정을 기지국으로 송신할 시 특정 단말기의 번호 및 정보가 전달되면 우선 순위를 두어 호 셋업시 필요한 자원이 존재 하지 않아도 호 셋업을 가능하도록 한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의 특징은,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메시지를 채널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카드로 전송된 발신 메시지로부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 결과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라면 BCP에게 호 셋업에 필요한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우선순위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다면 해당 점유하고 있는 호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는 호에 대한 릴리스를 수행한 후 우선 순위가 존재하는 호에 셋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n : 단말기, 20∼20+n : 기지국,
30∼30+n : 제어국, 40 : 코어망,
41 : 교환국, 42 : 인터넷 망.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번째는 기지국에서 단말기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호 셋업(Call Setup)을 수행하는 과정이고, 두번째는 BSM상에서 특정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상기 첫번째 과정인 기지국에서 단말기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호 셋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단말기는 자신의 MIN 및 ESN을 발신 메시지를 통하여 채널 카드로 전송한다(S101).
이어서, 상기 채널 카드는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우선순위가 입력된 테이블(Table)을 서치(Search)하여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103).
상기 S103의 판단결과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라면 BCP에게 호 셋업에 필요한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 지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의 판단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우선순위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한 후 현재 우선순위를 갖는 호 셋업에 대한 플래그를 셋팅하여 우선 순위를 갖는 호 셋업되어 있음을 알린다(S107).
상기 S105의 판단결과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의 발신을 수신하였을때 BCP에서 전달되어진 해당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현재 진행중인 호의 상태를 검증한다. 즉,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호가 셋업 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만약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호가 존재한다면 해당하는 호를 제외한 다른 호를 릴리스하여 트래픽 자원을 확보한 후 우선순위를 갖는 호에 대한 셋업을 진행시킨다(S109)(S111).
한편,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가 아닌 경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107) 그 판단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한다(S115).
만약, 상기 S107의 판단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트래픽 자원에 단말기에 대한 셋업을 할 수 없다(S117).
상기 두번째 과정인 BSM상에서 특정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BTS상에서 특정 단말기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정 단말기의 MIN 및 ESN값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 운용자가 해당 단말기의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필요로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시스템 운용자는 우선 순위를 갖는 호에 대한 정보를 BSM상에서 입력한다.
상기 BSM상에서 입력된 값은 BCP를 거쳐 채널 카드로 전송한다(S101).
이때, 상기 채널 카드는 이를 테이블로 저장한다.
그리고, 어떤 이유로 기지국이 리셋이 된다면 디폴트(Default)로 해당 메시지값을 기지국에서는 BSM으로 요청하여 테이블로서 저장한다.
이어서, 상기 채널 카드는 전송된 우선 순위를 부여할 단말기 정보로부터 우선순위가 입력된 테이블(Table)을 서치(Search)하여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103).
상기 S103의 판단결과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라면 BCP에게 호 셋업에 필요한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 지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의 판단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우선순위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한 후 현재 우선순위를 갖는 호 셋업에 대한 플래그를 셋팅하여 우선 순위를 갖는 호 셋업되어 있음을 알린다(S107).
상기 S105의 판단결과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의 발신을 수신하였을때 BCP에서 전달되어진 해당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현재 진행중인 호의 상태를 검증한다. 즉,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호가 셋업 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만약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호가 존재한다면 해당하는 호를 제외한 다른 호를 릴리스하여 트래픽 자원을 확보한 후 우선순위를 갖는 호에 대한 셋업을 진행시킨다(S109)(S111).
한편,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가 아닌 경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107) 그 판단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한다(S115).
만약, 상기 S107의 판단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트래픽 자원에 단말기에 대한 셋업을 할 수 없다(S117).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우선순위를 같은 호에 대하여 제어국 및 교환국을 이용하지 않고 우선순위를 판단해 우선적으로 호 셋업을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어지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기지국 만으로 우선 순위를 판단할 수 있어 우선순위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진행되어지는 인증 절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해당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유실 확률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인증을 위해 필요로 되어지는 인증센터의 역할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처리 과정을 단순화 하여 단말기의 우선순위를 검증할 수 있으며 시스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메시지를 채널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카드로 전송된 발신 메시지로부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 결과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라면 BCP에게 호 셋업에 필요한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우선순위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다면 해당 점유하고 있는 호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는 호에 대한 릴리스를 수행한 후 우선 순위가 존재하는 호에 셋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 결과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가 아닌 경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다면 단말기에 대한 셋업을 할 수 없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3. 기지국상에서 특정 단말기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BSM상에서 입력된 값을 BCP를 거쳐 채널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카드로 전송된 우선 순위를 부여할 단말기 정보로부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 결과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라면 BCP에게 호 셋업에 필요한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한다면 해당 트래픽 자원에 우선순위 단말기에 대한 호를 셋업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트래픽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다면 해당 점유하고 있는 호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는 호에 대한 릴리스를 수행한 후 우선 순위가 존재하는 호에 셋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KR1020000055736A 2000-09-22 2000-09-22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KR10034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736A KR100342691B1 (ko) 2000-09-22 2000-09-22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736A KR100342691B1 (ko) 2000-09-22 2000-09-22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476A KR20020023476A (ko) 2002-03-29
KR100342691B1 true KR100342691B1 (ko) 2002-07-03

Family

ID=1968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736A KR100342691B1 (ko) 2000-09-22 2000-09-22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32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텔루션 씨디엠에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476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933B2 (en) Enhanced hand off signaling for high speed data and multimedia
EP0462728A2 (en) Mobile communications
CA2568709C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reception of calling number by the terminal in advance
KR20010062293A (ko) 개선된 모빌 대 모빌 콜 방법
KR100712875B1 (ko) 다중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들의 지원 방법 및 장치
FI103557B (fi) Menetelmä hätäpuhelun varmistamiseksi langattomassa tilaajaverkossa
KR100648852B1 (ko) 휴지 모드, 패킷 데이터 모바일 핸드오프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09373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all setup
US20080014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408706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node used for the system
JP2002530025A (ja) シグナリング方法
CN111757312A (zh) 一种会话的处理方法及装置
WO2002001903A1 (en) Call set-up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05067230A1 (en) A method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linking for pmm idle mobiles
KR100342691B1 (ko)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호 제어방법
CN101159986A (zh) 一种确定呼叫优先级的方法
US20040022209A1 (en) Voice call precedence over active packet data call
EP2291041B1 (en) Paging system
KR101169643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rb 설정 방법
US20120320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short messages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ingle-mode dual-standby terminal
KR100335694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2001002738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본호 처리방법
KR100828546B1 (ko) 존서비스영역 입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1053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50032243A (ko) 1X 시스템과 1xEV-DO 시스템간의 페이징 터널링을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