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737B1 -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737B1
KR100339737B1 KR1020000016973A KR20000016973A KR100339737B1 KR 100339737 B1 KR100339737 B1 KR 100339737B1 KR 1020000016973 A KR1020000016973 A KR 1020000016973A KR 20000016973 A KR20000016973 A KR 20000016973A KR 100339737 B1 KR100339737 B1 KR 10033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line
inpu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591A (ko
Inventor
노희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1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7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20Measurement of non-linear dist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16Measuring impedance of element or network through which a current is passing from another source, e.g. cable, power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CSC comprising a L-C parallel resonance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는, 측정 주파수에 대하여, 교류 전원 공급부로부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선 임피던스 안정화 회로망(LISN)과,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에 대해서는 단락(short)시키고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는 콘덴서가,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N 선에 각각 마련된 바이패스(bypass)부와,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순환 전류(IL) 신호를 검출하는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와,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입력 전류(ISC)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와,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 및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순환 전류(IL) 신호 및 입력 전류(ISC)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순환 전류(IL) 신호 값과 입력 전류(ISC) 신호 값의 전류 신호비(IL/ISC)를 측정하는 전류 신호비 측정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공통 모드 전자파 장해에 의한 노이즈 신호의 전류 값을 측정함에 있어서, 순환 전류와 입력 전류의 값을 별도의 코어에서 각각 측정하고, 순환 전류 값과 입력 전류 값의 전류 신호비를 측정함으로써, 피시험기의 정확한 공통모드측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Device for measuring an EMI}
본 발명은 전자파 장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EMI)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시험기(Device Under Test:DUT)에서 발생되는 공통 모드 (common mode:CM) 전자파 장해에 의한 노이즈(noise) 신호의 전류 값 측정을 통하여, 피시험기의 정확한 임피던스(impedance)를 구할 수 있는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장해는 크게 복사성 전자파 장해(radiated EMI)와 전도성 전자파 장해(conducted EMI)로 분류하며, 복사성 전자파 장해는 다시 복사 방출 (radiated emission:RE)과 복사 감응(radiated susceptibility:RS)으로 구분하며, 전도성 전자파 장해는 전도 방출(conducted emission:CE)과 전도 감응(conducted susceptibility:CS)으로 구분한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도성 전자파 장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기기(110)에서 발생되는 전도 방출 전자파 장해는 공통 모드(common mode:CM) 전도성 전자파 장해와 차동 모드(differentialmode:DM) 전도성 전자파 장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의 노이즈 전압(VCM)은 교류 전원 공급부(100)의 그라운드(Ground:G) 선과 라인 (Line:L) 선 또는 G 선과 뉴트럴(Neutral:N) 선 사이에서 발생되고, 차동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의 노이즈 전압(VDM)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100)의 N 선과 L 선 사이에서 발생된다. 이때,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100)의 양단(L 선과 N 선)에는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의 노이즈 전압(VCM)과 차동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의 노이즈 전압(VDM)의 합 또는 차이 만큼의 노이즈 전압(V1, V2)이 발생되며, 이에 따른 각 노이즈 전압(VCM, VDM, V1, V2) 상호 간의 관계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공통 모드 노이즈 전압(VCM) = (V1+ V2)/2
차동 모드 노이즈 전압(VDM) = (V1- V2)/2
이와 같은 전기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전도성 전자파 장해의 노이즈 신호 크기를 측정하는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종래의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210)는, 측정하는 주파수에 대하여, 교류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피시험기(220)에 인가되는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선 임피던스 안정화 회로망(Line Impedance Stabilization Network:LISN)(211)과, 상기 피시험기(22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코어(core)(212)와, 그 코어(212)에서 검출된 전류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214) 및 상기 코어(212)에서 검출된 전류 신호를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 (214)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의 스위치 S1과 S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212)에서 순환 전류(IL)가 검출되며, 상기 스위치 S1과 S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212)에서 입력 전류(ISC)가 검출되는데 이때, 입력 전류(ISC)를 검출함에 있어서 순환 전류 (IL)가 미치는 영향도 포함되어 검출된다.
한편, 도 3은 일반적인 RLC 병렬 공진 회로에서의 공진 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RLC 병렬 공진 회로에서 공진 시에는 입력 전류(ISC)가 저항(R)에만 흐르고, 인덕터(inductor)(L)와 콘덴서(condenser)(C)의 지로에는 상기 입력 전류(ISC)와는 무관한 순환 전류(IL)가 흐른다. 이때, 공진 주파수 0에서는 다음 수학식 2가 성립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면, RLC 병렬 공진 회로에서의 공진 시 입력전류(ISC) 값과 순환 전류(IL) 값의 측정을 통하여 Q(Quality factor) 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Q 값으로부터 피시험기(220)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공통 모드 전도성 장해 측정 장치에서는 입력 전류(ISC) 값의 측정 시에, 순환 전류(IL)가 미치는 영향이 입력 전류 (ISC) 값에 포함되어 측정됨으로써, 피시험기의 정확한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공통 모드 전자파 장해에 의한 노이즈 신호의 전류 값 측정을 통하여, 피시험기의 정확한 공통모드측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는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도성 전자파 장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일반적인 RLC 병렬 공진 회로에서의 공진 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블록도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400... 교류 전원 공급부 110... 전기 기기
210, 410...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211, 420... 전원선 임피던스 안정화 회로망
212... 코어 213... 신호 전송부
214, 462... 스펙트럼 분석기 220, 470... 피시험기
430... 바이패스부 440...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
441... 제 1 코어 442... 순환 전류 신호 전송부
450...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 451... 제 1 스위치부
452... 제 2 스위치부 453... 제 2 코어
454... 입력 전류 신호 전송부 460... 전류 신호비 측정부
461... 180도 위상차 결합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는,
측정 주파수에 대하여, 교류 전원 공급부로부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선 임피던스 안정화 회로망(LISN)과;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에 대해서는 단락(short)시키고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는 콘덴서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N 선에 각각 마련된 바이패스 (bypass)부와;
상기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순환 전류(IL) 신호를 검출하는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와;
상기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입력 전류(ISC)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와;
상기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 및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순환 전류(IL) 신호 및 입력 전류(ISC)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순환 전류(IL) 신호 값과 입력 전류(ISC) 신호 값의 전류 신호비(IL/ISC)를 측정하는 전류 신호비 측정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 전류 검출부는,
상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 및 N 선이 그 내부 공간에 동일 방향으로 통과되어, 상기 순환 전류(IL)의 공통 모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코어와;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의 출력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제 1 인덕터와;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N 선의 출력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제 2 인덕터; 및
상기 제 1 코어에서 검출된 순환 전류(IL)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로 전송하는 순환 전류 신호 전송부를 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전류 검출부는,
상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G 선 사이에 연결되어,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단락시키는 제 1 콘덴서와, 제 1 저항 및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G 선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치가 마련된 제 1 스위치부와;
상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N 선과 G 선 사이에 연결되어,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단락시키는 제 2 콘덴서와, 제 2 저항 및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N 선과 G 선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스위치가 마련된 제 2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스위치부 및 제 2 스위치부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G 선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L 선과 N 선이 그 내부 공간에 동일 방향으로 통과되어, 상기 입력 전류(ISC)의 공통 모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코어; 및
상기 제 2 코어에서 검출된 입력 전류(ISC)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로 전송하는 입력 전류 신호 전송부를 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는,
상기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 및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로부터 전송되는 전류 신호를 제 1 포트 또는 제 2 포트로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 1 포트로 입력된 전류 신호의 위상차를 180도 변화시키고, 그 위상차가 180도 변화된 전류 신호와 상기 제 2 포트로 입력된 전류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180도 위상차 결합기; 및
상기 180도 위상차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를 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공통 모드 전자파 장해에 의한 노이즈 신호의 전류 값을 측정함에 있어서, 순환 전류(IL)와 입력 전류 (ISC)의 값을 별도의 코어에서 각각 측정하고, 순환 전류(IL) 값과 입력 전류(ISC) 값의 전류 신호비(IL/ISC)를 측정함으로써, 피시험기의 정확한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410)는, 측정 주파수에 대하여, 교류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피시험기(470)에 인가되는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선 임피던스 안정화 회로망(LISN) (420)과,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에 대해서는 단락시키고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는 콘덴서(C3, C4)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N 선에 각각 마련된 바이패스부 (430)와, 상기 피시험기(47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순환 전류(IL) 신호를 검출하는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440)와, 상기 피시험기(47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입력 전류(ISC)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450)와, 상기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440) 및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450)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순환 전류(IL) 신호 및 입력 전류(ISC)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순환 전류 (IL) 신호의 값과 입력 전류(ISC) 신호 값의 전류 신호비(IL/ISC)를 측정하는 전류 신호비 측정부(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 전류 검출부(440)는, 상기 피시험기(470)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400)의 L 선 및 N 선이 그 내부 공간에 동일 방향으로 통과되어, 상기 순환 전류(IL)의 공통 모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코어(441)와, 상기 제 1 코어(441)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400)의 L 선의 출력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제 1 인덕터(L1)와, 상기 제 1 코어(441)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400)의 N 선의 출력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제 2 인덕터(L2) 및 상기 제 1 코어(441)에서 검출된 순환 전류(IL)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460)로 전송하는 순환 전류 신호 전송부 (44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입력 전류 검출부(450)는, 상기 피시험기(470)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400)의 L 선과 G 선 사이에 연결되어,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단락시키는 제 1 콘덴서(C1)와, 제 1 저항(R1) 및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400)의 L 선과 G 선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치(S1)가 마련된 제 1 스위치부(451)와, 상기 피시험기(470)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 (400)의 N 선과 G 선 사이에 연결되어,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단락시키는 제 2 콘덴서(C2)와, 제 2 저항(R2) 및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 (400)의 N 선과 G 선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 스위치(S2)가 마련된 제 2 스위치부와(452), 상기 제 1 스위치부(451) 및 제 2 스위치부(452)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400)의 G 선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L 선과 N 선이 그 내부 공간에 동일 방향으로 통과되어, 상기 입력 전류(ISC)의 공통 모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코어(453) 및 상기 제 2 코어(453)에서 검출된 입력 전류(ISC)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460)로 전송하는 입력 전류 신호 전송부(45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460)는, 상기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450)로부터 제 1 포트(P1)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ISC) 신호의 위상차를 180도 변화시키고, 그 위상차가 180도 변화된 입력 전류(ISC) 신호와, 상기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440 )로부터 제 2 포트(P2)로 입력된 순환 전류(IL)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180도 위상차 결합기(461) 및 그 180도 위상차 결합기(4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46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410)는, 상기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450)의 제 1 스위치(S1)와 제 2 스위치(S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440)의 제 1 코어(441)에서 순환 전류(IL)가 검출되며, 상기 제 1 스위치(S1)와 제 2 스위치(S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450)의 제 2 코어(453)에서 입력 전류(ISC)가 검출된다.
한편,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블록도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낸 등가 회로는, 피시험기(470)의 임피던스를 저항 성분(RN)과 콘덴서 성분(CN)이 병렬로 연결된 임피던스로 모델링(modeling)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인버터(inverter) 장치는 공통 모드 전도성 전자파 장해가 발생되는 경우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델링할 수 있다.
그러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RLC 병렬 공진 회로에서의 공진 시, 피시험기(470)의 전도성 전자파 장해의 순환 전류(IL) 값과 입력 전류(ISC) 값의 비를 측정하여, 상기 피시험기(470)의 임피던스를 구하는 과정을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의 제 1 스위치(S1) 및 제 2 스위치(S2)가 열린 상태에서,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440)의 제 1 코어(441)에는 순환 전류(IL)가 검출된다. 이때, 상기 순환 전류(IL)는 도 5의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로서, 여기서 상기 인덕터(L)의 값은 도 4의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가 병렬 연결된 것을 등가 회로로 나타낸 경우의 값이다.
또한, 도 4의 상기 제 1 스위치(S1) 및 제 2 스위치(S2)가 닫힌 상태에서, 입력 신호 검출부(450)의 제 2 코어(442)에는 입력 전류(ISC)가 검출된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 검출부(450)의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은 도 5에 나타낸 피시험기(470)의 저항(RN)에 비해 매우 작은 값, 예컨대 3Ω이하의 저항 값을 갖도록 한다. 그러면, 도 5의 전류 IN은 상기 피시험기(470)의 저항(RN)보다는 주로 상기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의 등가 저항인 저항 R에 흐르게 되어, 공진 시에 IN의 값은 입력 전류 ISC의 값이 된다.
한편,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460)의 180도 위상차 결합기(461)의 제 1 포트(P1)에는 상기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450)로부터 입력 전류(ISC)가 입력되며, 제 2 포트(P2)에는 상기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440)로부터 순환 전류(IL)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포트에 각각 인가되는 단자 전압 VP1, VP2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신호가 상기 180도 위상차 결합기(461)의 제 1, 제 2 포트 (P1, P2)에 입력되면, 출력 포트(S)로 출력되는 출력 단자 전압 VS는 다음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수학식 4에는 상기 180도 위상차 결합기(461) 자체의 3dB 감쇠 특성을 감안하여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측정된 순환 전류(IL) 값과 입력 전류(ISC) 값의 전류 신호비 (IL/ISC)로부터, 상기 수학식 2에 나타낸 순환 전류(IL) 값, 입력 전류(ISC) 값 및 Q 값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Q 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은 등가 회로에 상기 수학식 2를 적용하면, 공진점에서의 상기 피시험기(470)의 임피던스 구성 성분인 저항 성분(RN)과 콘덴서 성분(CN)을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는,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공통 모드 전자파 장해에 의한 노이즈 신호의 전류 값을 측정함에 있어서, 순환 전류(IL)와 입력 전류 (ISC)의 값을 별도의 코어에서 각각 측정하고, 순환 전류(IL) 값과 입력 전류(ISC) 값의 전류 신호비(IL/ISC)를 측정함으로써, 피시험기의 정확한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측정 주파수에 대하여, 교류 전원 공급부로부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선 임피던스 안정화 회로망(LISN)과;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에 대해서는 단락(short)시키고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는 콘덴서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N 선에 각각 마련된 바이패스 (bypass)부와;
    상기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순환 전류(IL) 신호를 검출하는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와;
    상기 피시험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에 의한 입력 전류(ISC)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와;
    상기 순환 전류 신호 검출부 및 입력 전류 신호 검출부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순환 전류(IL) 신호 및 입력 전류(ISC)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순환 전류(IL) 신호 값과 입력 전류(ISC) 신호 값의 전류 신호비(IL/ISC)를 측정하는 전류 신호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전류 검출부는,
    상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 및 N 선이 그 내부공간에 동일 방향으로 통과되어, 상기 순환 전류(IL)의 공통 모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코어와;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의 출력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제 1 인덕터와;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N 선의 출력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제 2 인덕터; 및
    상기 제 1 코어에서 검출된 순환 전류(IL)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로 전송하는 순환 전류 신호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 검출부는,
    상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G 선 사이에 연결되어,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단락시키는 제 1 콘덴서와, 제 1 저항 및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L 선과 G 선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치가 마련된 제 1 스위치부와;
    상기 피시험기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N 선과 G 선 사이에 연결되어,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단락시키는 제 2 콘덴서와, 제 2 저항 및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N 선과 G 선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 2스위치가 마련된 제 2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스위치부 및 제 2 스위치부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교류 전원 공급부의 G 선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L 선과 N 선이 그 내부 공간에 동일 방향으로 통과되어, 상기 입력 전류(ISC)의 공통 모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코어; 및
    상기 제 2 코어에서 검출된 입력 전류(ISC) 신호를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로 전송하는 입력 전류 신호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비 측정부는,
    상기 순환 전류 검출부 및 입력 전류 검출부로부터 전송되는 전류 신호를 제 1 포트 또는 제 2 포트로 각각 입력받아, 상기 제 1 포트로 입력된 전류 신호의 위상차를 180도 변화시키고, 그 위상차가 180도 변화된 전류 신호와 상기 제 2 포트로 입력된 전류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180도 위상차 결합기; 및
    상기 180도 위상차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KR1020000016973A 2000-03-31 2000-03-31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KR10033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973A KR100339737B1 (ko) 2000-03-31 2000-03-31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973A KR100339737B1 (ko) 2000-03-31 2000-03-31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591A KR20010094591A (ko) 2001-11-01
KR100339737B1 true KR100339737B1 (ko) 2002-06-05

Family

ID=1966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973A KR100339737B1 (ko) 2000-03-31 2000-03-31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42B1 (ko) * 2012-08-07 2013-12-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도성 내성 실험 시스템
CN110687354B (zh) * 2019-11-19 2020-09-01 福州大学 一种在线式测量emi噪声源内阻抗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591A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7957C (zh) 开关电源emi噪声源内阻抗测定装置及测定方法
US8581607B2 (en)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mmon mode signal of an electrical telecommunication
CN112345836B (zh) 多芯线缆大电流注入等效强场辐射效应试验方法及系统
KR100484408B1 (ko) 전자파를 성분별로 분석하고 저감시키는 전자파 장해 측정장치
US2009008899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inear electrical response of a transformer, generator or electrical motor
CN110118899B (zh) 检测差分信号链的故障状况和信道不平衡的方法和设备
KR100339737B1 (ko)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KR100339736B1 (ko)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CN111487452A (zh) 一种超快电流探测装置及脉冲测试系统
Vasić et al. Effect of transformer symmetry on intrabody communication channel measurements using grounded instruments
CN207541162U (zh) 数据线屏蔽效能检测电路
US6483318B1 (en) Electric circuit providing selectable short circuit for instrumentation applications
CN115407105A (zh) 信号检测电路及射频功率检测装置
CA2793901C (en) Apparatus for decoupling a radio-frequency signal transmitted on a data transmission line
Krismer et al. Analysis and practical relevance of CM/DM EMI noise separator characteristics
EP3524988B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hannel imbalance in a differential signal system comprising a differential amplifier
De Angelis et al.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s of mid-range wireless power transfer links
Zhao et al. Noise diagnosis techniques in conduc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measurement: methods analysis and design
Hirasawa et al. A design method for the asymmetric artificial network with an asymmetrical transformer
Carobbi et al. On the impact of transfer impedance and grounding on RF measurement results
KR100339735B1 (ko)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McCloskey The Yin/Yang Relationship Between Conducted and Radiated Coupling
Gallo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conducted emissions by variable-speed drives under variable operating conditions
CN115932533A (zh) 一种电路检测方法及相关装置
Bech Improvement of the absorbing clamp coupling and screening attenuation measurements and standards for symmetric and coaxial cables and connecting hardware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