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638B1 - 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 Google Patents

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638B1
KR100338638B1 KR1020000047203A KR20000047203A KR100338638B1 KR 100338638 B1 KR100338638 B1 KR 100338638B1 KR 1020000047203 A KR1020000047203 A KR 1020000047203A KR 20000047203 A KR20000047203 A KR 20000047203A KR 100338638 B1 KR100338638 B1 KR 10033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housing
housing
termin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14107A (en
Inventor
여영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638B1/en
Publication of KR2002001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1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3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하우징은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상단에 구비되고,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이 상기 터치 스크린 하측으로 구성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 상기 본체 하우징 타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서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여닫이방향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 하측으로 위치하며, 입력된 데이터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에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부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화상 통신 시 또는 휴대 시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of a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the disclosed housing having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hereon, and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one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 has a lower side of the touch screen. Body housing consisting of; A first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A second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a drawer type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at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to open and clos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to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input data is a keyboard part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main housing using a Bluetooth module. It consists of. Therefore, it is convenient for video communication or portable.

Description

입력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의 하우징{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 시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말기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of a terminal having at least one input device capable of conveniently inputting data during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 인터넷 통싱 등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보편화된 단말기는 디지털 폰, 셀룰라 폰, PCS 폰, PDA 등의 단말기가 있다.Typically,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for voic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internet communication, etc. with the other party. Such a terminal provide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Common terminals include terminals such as digital phones, cellular phones, PCS phones, and PDAs.

일반화된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주로 다수개의 키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가 사용된다. 키패드는 소형화에 유리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사용된다. 그리고,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엘씨디가 사용되며, 이러한 입출력 장치외에 터치 스크린이라는 입출력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A generalized portable terminal mainly uses a key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 arrangements for inputting data. The keypad is used as an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because it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In addition, an LCD is mainly used as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input data, and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input / output device.

그러나, 종래의 단말기는 주머니에 휴대하기로는 불편하고, 주머니에 휴대한 경우에 상대방과의 통신이 불편하다. 즉, 휴대중에 통신을 하려고 하면, 필수적으로 주머니에서 꺼내야 한다. 또한, 단 한개의 입력장치만이 구비됨으로서, 입력동작이 편리하지 않은 것도 문제점이다. 더욱이, 각종 정보 입력 시, 종래에는 단순한 문자가 숫자만을 입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요즈음에는 인터넷 통신이 발달하면서 복잡한 문장이나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입력 동작이 기존의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rminal is inconvenient to carry in the pocket,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arried in the pocket,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is inconvenient.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communicate while carrying, you must take it out of your pocket. In addition, since only one input device is provided, a problem is that the input operation is not convenient. In addition, when in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general, a simple character inputs only numbers. However, as the internet communication develops, complicated sentences or numbers often need to be input. It is a reality that inconvenience occurs with th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단말기에 비하여 여려 개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단말기를 제공함으로서, 인터넷 통신이나 화상 통신 시 데이터 입력이 용이하고, 단말기를 일차적으로 보호함과 아울러 휴대용 가방처럼 휴대할 수게 하는 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terminal, which facilitates data input during Internet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protects the terminal primarily, and makes it possible to carry it like a portable bag. To provid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리성 특히, 데이터 입력의 편리성과 화상 통신 시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ing that maximizes convenience for users, in particular, convenience of data input and convenience in video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문자자 데이터 입력이 편리한 입력장치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한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input device for convenient input of various character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수용함과 아울러 휴대할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ing that can be accommodated as well as portabl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상단에 구비되고,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이 상기 터치 스크린 하측으로 구성된 본체 하우징;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nd a main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one opening for accommodating a terminal under the touch screen;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A first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 타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커버; 및A second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서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여닫이방향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 하측으로 위치하며, 입력된 데이터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에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부분으로 구성된다.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is configured in the drawer type at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is opened and closed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located below the receiving space, the input data is a keyboard portion to the signal transmission to the main body housing using a Bluetooth module It is compo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우측방향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in a right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가 열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using in which a keyboard is open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커버가 열린 상태의 하우징을 좌측방향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ver is opened in a left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수용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횡 단면도.5 is a later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using in which a terminal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하우징(10)은 각종 문자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며, 단말기(PDA)를 수용하여 보호함과 아울러 편리하게 휴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수단이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키보드부 또는 음성인식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에 구비된 입력 장치는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보다 편리한 정보 입력/탐색이 가능하도록 키보드부, 입력장치, 수용부로 구성된다.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main body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input means for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or data, and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terminal PDA. It is for carry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 least one input means includes a touch screen, a keypad, a keyboard portion or a voice recognition device.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provided in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shape, which is convenient to carry, and is composed of a keyboard part, an input device, and a receiving part to enable more convenient information input / search.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10) 측단에 각각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제1,2커버(102,104)와, 본체 하우징(10) 상단(100a)에 위치한 제1입력 수단(106)과, 제1커버(102)에 힌지 수단(H1)으로 연결되어 서랍식으로 개폐되는 제2입력 수단(108)으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0 having a receiving unit 110 for accommodating a terminal, and first and second covers 102 and 104 which open and close by rotating about a hinge axis at side ends of the main body housing 10, respectively. , The first input means 106 positioned at the upper end 100a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the second input means 108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102 by the hinge means H1 and opened and closed by a drawer type. .

상기 제1입력 수단(106)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106)은 공지의 터치 센시티브 패널(T)과 엘씨디(L)(도 5에 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106)은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펜 타입의 기구물을 이용하여 터치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06)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용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입력 수단(108)은 키보드부나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입력 수단(108)으로 키보드부로 구성된 것이 보여진다.The first input means 106 is composed of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106 includes a known touch sensitive panel T and an LCD L (shown in FIG. 5). The touch screen 106 may input data by a touch method using a pen-type device such as a stylus. Detailed description of such a touch screen 106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econd input means 108 may be configured by any one selected from a keyboard portion, a keypad, or a touch screen. In the figure it is shown that the second input means 108 is composed of a keyboard portion.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102)는 본체 하우징(10)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제1힌지축(H1)을 중심으로 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하우징 측단(100b)에서 개폐되고, 화살표②방향 즉, 여닫이 방향으로 본체 하우징 측단(100b)에서 개폐된다. 상기 제1커버(102)는 키보드 트레이(108a)를 포함하는 키보드부(108)와 제1힌지 수단(H1)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트레이(108a)는 다수개의 키(108b)가 정렬되며,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02)의 상단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러버 부분(102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커버(102)가 본체 하우징 측단(100b)에 구속되기 위해서는 공지의 마그네트나 그 밖의 로킹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된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부(108)에서 출력된 신호는 공지의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여 미도시된 메인 보드(B)(도 5에 도시됨)의 RF부에 보내진다. 언급된 블루투스란 근거리 통신수단을 의미한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first cover 10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① about the first hinge axis H1 to rotate the main body housing. It opens and closes at the side end 100b, and opens and closes at the main body housing side end 100b in the direction of arrow ②, that is,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The first cover 102 is mechanically connected by the keyboard unit 108 including the keyboard tray 108a and the first hinge means H1. In the keyboard tray 108a, a plurality of keys 108b are arranged and may be replaced with a keypad or a touch scr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102 is provided with a rubber portion (102a)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first cover 102 to be constrained to the main housing side end 100b, a known magnet or other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The drawing is constrained using a magnet not shown. The signal output from the keyboard unit 108 is sent to the RF unit of the main board B (shown in FIG. 5), which is not shown, using a known Bluetooth. Bluetooth refers to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하단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걸이끈이 설치되기 위한 구멍(100c)이 각각 구비된다. 참조부호106a는 음성입력장치를 의미하며, 음성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re provided with holes 100c for installing a hanger for easy portability. Reference numeral 106a denotes a voice input device and may input data by voi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제2커버(104)는 본체 하우징(10)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화살표③방향으로 본체 하우징 측단(100b)에서 회전운동하여 개폐된다. 상기 제2힌지축(A2)을 구성하는 힌지 수단(H2)으로 박형의 연성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입력 수단(106) 아래의 빈 공간에는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수용부(110)는 단말기를 삽입하기 위한 하나의 개구(110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커버(104)의 내면에는 상기 제1입력 수단(106)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펜 타입의 스타일러스를 수용하는 홈(104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커버(1040가 본체 하우징 측단(100b)에 구속되기 위해서는 공지의 마그네트나 그 밖의 로킹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된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커버가 본체 측단에서 개폐된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over 104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at the main housing side end portion 100b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③ around the second hinge axis A2. I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al movement. The hinge means (H2) constituting the second hinge axis (A2) is composed of a thin flexible portion. An empty space below the first input means 106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10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 and the receiving portion 110 has one opening 110a for inserting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04 is provided with a groove 104a for receiving a pen-type stylus used to input data to the first input means 106.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second cover 1040 to be constrained to the main housing side end 100b, a known magnet or other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상부쪽부터 터치 센시티브 패널(T), 엘씨디(L), 메인 보드(B), 수용된 단말기(R), 키보드부(108)를 포함하며, 좌우측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개폐되는 제1,2커버(102,10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ousing 10 includes a touch sensitive panel T, an LCD L, a main board B, a housed terminal R, and a keyboard unit 108 from an upper side thereof. And first and second covers 102 and 104 which are opened and closed about the hinge axis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단(100a)에 구비된 제1입력 장치 즉, 터치 스크린 대신에 투명한 창(206a)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수용부에수용된 경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창(206a)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 대한 구성은 상기 투명창(206a) 이외에는 동일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6, a transparent window 206a may be provided in place of the first input device, that is, the touch screen, provided at the upper end 100a of the main body hou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the transparent window 206a may be replaced to facilitate checking of the data displayed on the terminal.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except for the transparent window 206a, and thus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를 수용부(110)에 수용하여 휴대하는 경우, 사용자는 블루투스라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말기)R)를 수용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를 수용하지 않은 경우라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데이터는 블루투스에 의해 신호가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Looking at the us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When the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0 and carried, the user may input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R) is accommodated because the user us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alled Bluetooth. Meanwhile, even when the terminal is not accommodated, data may be input, and the inpu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y Bluetooth.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의 제2커버(104)는 힌지 방식으로 본체 하우징(10)에 개폐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힌지 장치 없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단말기의 받침대로 변형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2커버(104)는 단말기를 어느 정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104)가 받침대로 변형되었다면, 사용자는 받침대에 단말기를 지지하고, 하우징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미니 데스크 탑 방식의 PC처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104 of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being opened and closed in the body housing 10 in a hinged manner, and may be independently configured without a hinge device to be transformed into a pedestal of a terminal. Care must be taken. That is, the second cover 104 may be changed to a pedestal capable of supporting the terminal in an inclined state to some extent. If the second cover 104 is deformed into the pedestal, the user supports the terminal to the pedestal.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housing, it can be used like a mini desktop PC.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어 편리하며, 가방처럼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니 데스트 탑 방식의 PC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단말기를 하우징에서 꺼내지 않고서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input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can be carried like a ba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mini-desktop PC,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ata displayed on the terminal without removing the terminal from the housing.

Claims (3)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상단에 구비되고,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이 상기 터치 스크린 하측으로 구성된 본체 하우징;A body housing having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hereon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one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 the body housing ha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A first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 타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커버; 및A second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서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여닫이방향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 하측으로 위치하며, 입력된 데이터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에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부분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하우징.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is configured in the drawer type at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is opened and closed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located below the receiving space, the input data is a keyboard portion to the signal transmission to the main body housing using a Bluetooth module Housing of a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러버 부분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하우징.The housing of a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vers further include a rubber portion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상부쪽에 투명창이 구성된 본체 하우징;A main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an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 wherein a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check the displayed data of th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A first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 타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커버; 및A second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단에서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여닫이방향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 하측으로 위치하며, 입력된 데이터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에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부분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하우징.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is configured in the drawer type at on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is opened and closed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located below the receiving space, the input data is a keyboard portion to the signal transmission to the main body housing using a Bluetooth module Housing of a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KR1020000047203A 2000-08-16 2000-08-16 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KR100338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03A KR100338638B1 (en) 2000-08-16 2000-08-16 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03A KR100338638B1 (en) 2000-08-16 2000-08-16 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07A KR20020014107A (en) 2002-02-25
KR100338638B1 true KR100338638B1 (en) 2002-05-30

Family

ID=1968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203A KR100338638B1 (en) 2000-08-16 2000-08-16 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6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738A (en) * 2002-01-15 2002-03-27 정아람 Expansion pack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581B1 (en) 2006-11-15 2008-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 input terminal using pauch keyboard, and method thereof
WO2009076561A2 (en) * 2007-12-11 2009-06-18 Palm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moveable housing segments
KR200468987Y1 (en) * 2011-12-26 2013-09-12 제이엠테크 주식회사 External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762A (en) * 1992-12-30 1994-07-21 이재성 Wireless keyboard device of computer
KR940018725A (en) * 1993-01-16 1994-08-18 김종길 Wireless keyboard device
JPH09101842A (en) * 1995-10-09 1997-04-15 Toshiba Corp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9990076146A (en) * 1998-03-28 1999-10-15 윤종용 Detach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762A (en) * 1992-12-30 1994-07-21 이재성 Wireless keyboard device of computer
KR940018725A (en) * 1993-01-16 1994-08-18 김종길 Wireless keyboard device
JPH09101842A (en) * 1995-10-09 1997-04-15 Toshiba Corp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9990076146A (en) * 1998-03-28 1999-10-15 윤종용 Detach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738A (en) * 2002-01-15 2002-03-27 정아람 Expansion pack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07A (en)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863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269000B2 (en) Folding keyboard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JP2002158758A (en) Opening/closing typ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20080180398A1 (en) Portable apparatus
US20040185921A1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KR20040021366A (en) Portable information phone with expansion data inputting unit
US20010003707A1 (en) Portable radio apparatus with additional display unit
EP1186111A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EP1638299A1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housings and a keypad accessible both in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
KR100338638B1 (en) Housing for radiotelephone with inputting unit
EP2222058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KR2004004482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wo tiers
KR20030070977A (en) Pda/phone combination portable device
KR10047467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ata inputting expansion
JP2002152355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487192B1 (en) Flip type mobile terminal with compound input method
KR100467604B1 (en) Handphone capable to input characters as like a keyboard
KR100650862B1 (en) Sw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4173B1 (en) Two step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87623A1 (en) Retractable keyboard
KR200230378Y1 (en) Double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0074389A (en) Portable telephone with variable data inputting
KR200282150Y1 (en) Structure of cellular phone
KR100856240B1 (en) English studying method in mobile terma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