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431B1 - Prefabricated swimming pool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swimming p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431B1
KR100334431B1 KR1019990016629A KR19990016629A KR100334431B1 KR 100334431 B1 KR100334431 B1 KR 100334431B1 KR 1019990016629 A KR1019990016629 A KR 1019990016629A KR 19990016629 A KR19990016629 A KR 19990016629A KR 100334431 B1 KR100334431 B1 KR 10033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frame
horizontal
vertical
swimming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73378A (en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이재형
주식회사 피.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형, 주식회사 피.피.아이 filed Critical 이재형
Priority to KR101999001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431B1/en
Priority to US09/567,230 priority patent/US6604250B1/en
Publication of KR2000007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378A/en
Priority to US09/983,640 priority patent/US6643858B2/en
Priority to US09/983,641 priority patent/US64777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431B1/en
Priority to US10/419,909 priority patent/US6742198B2/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04H4/0056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with a framework combined with a water retaining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스위밍 풀(swimming pool)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이형 스위밍 풀은 단일체로 된 커다란 상자 모양의 것과 고무튜브 형태로 되어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정해진 모양이 되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단일체로 된 상자 모양의 것은 보관 및 운반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무 튜브 형태의 것은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사용시 주벽부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게 되는 등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수직틀과 이들 수직틀 사이에 연결되는 수평틀을 가지는 풀 프레임과,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바닥부와 주벽부를 가지며 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풀 몸체로 구성되어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게 되면서도 주벽부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In the conventional simple swimming pool, there was a large box-shaped one of a single body and a rubber tube, which had a predetermined shape when air was inject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ox-shaped one-piece has a problem that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is cumbersome, the rubber tube type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is easy, but the use of the main wall is inclined or falls when using the in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ull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a full bod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heet and having a bottom part and a main wall part and supported by the full frame, so that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are easy. At the same time, the main wall part can be used safely without tilting or falling down.

Description

조립식 스위밍 풀{PREFABRICATED SWIMMING POOL}Prefabricated Swimming Pools {PREFABRICATED SWIMMING POOL}

본 발명은 조립식 스위밍 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과 보관이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스위밍 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that is easy to use and safe to assemble and store.

종래에도 여러 종류의 간이식(簡易式) 스위밍 풀이 사용되고 있었다.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simple swimming pools have been used.

종래의 간이식 스위밍 풀로서는 커다란 상자 모양의 단일체로 된 것과, 고무튜브 형태로 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정해진 모양이 형성되도록 한 것 등이 있었다.Conventional simple swimming pools include a large box-shaped monolith, a rubber tube, and a predetermined shape by injecting air.

그러나 단일체로 된 것은 항상 정해진 부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관을 위하여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공기 주입식은 좁은 공간에도 보관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사용시 벽체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면서 물이 빠져나가 주위를 적시게 되고, 특히 물에 약한 물건을 손상시키게 되는 등 사용상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one-piece unit has a problem that it requires a large space for storage and is inconvenient to transport and handle because it always has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air-injection type can be stored in a narrow space and has an advantage of easy transportation. When the water is inclined or falls, the water escapes to wet the surroundings,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use such as damaging a weak object in the wat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도 보관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시 벽체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스위밍 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that can be stored in a narrow space and easy to transport, but can be used safely without tilting or falling of the wall during use.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1 to 6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풀 프레임과 풀 몸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ull frame and the full body;

도 3은 풀 프레임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3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ll frame;

도 4는 수직틀과 분할수평틀의 분해 정면도.4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a vertical frame and a divided horizontal frame.

도 5 및 도 6은 분할수평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는 정면도.5 and 6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split horizontal frame.

도 7은 T자형 연결구와 一자형 연결구에 설치되는 고정돌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rojections installed on the T-shaped connector and one-shaped connector.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제2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8 to 10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는 풀 프레임과 풀 몸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9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ull frame and the full body;

도 10은 풀 프레임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10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ll frame;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제3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11 to 13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2는 풀 프레임과 풀 몸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1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ull frame and the full body;

도 13은 풀 프레임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13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ll frame;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제4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14 to 16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5는 풀 프레임가 풀 몸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1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ull body of a full frame;

도 16은 풀 프레임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16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ull fram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300 : 풀 프레임 110,310 : 수직틀100,300: Full Frame 110,310: Vertical Frame

120,320 : 수평틀 120a : 분할수평틀120,320: Horizontal frame 120a: Split horizontal frame

121,121a : 고정공 130 : T자형 연결구121,121a: Fixing hole 130: T-shaped connector

131 : 수직부 132 : 수평부131: vertical portion 132: horizontal portion

134 : 고정돌기 140 : 지지캡134: fixing protrusion 140: support cap

150 : 一자형 연결구 151 : 고정돌기150: one-shaped connector 151: fixing protrusion

200,400 : 풀 몸체 210,410 : 바닥부200,400: full body 210,410: bottom

220,420 : 주벽부 221,421 : 포켓부220,420: main wall portion 221,421: pocket portion

330 : 연결구 331 : 수나사봉330: connector 331: male threaded rod

332 : 연결편 333 : 너트332: connecting piece 333: nut

334 : 각도유지부재334: angle holding member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다수개의 수직틀의 상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틀의 단부에 삽입되는 수평부를 가지는 연결구와,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캡이 구비된 풀 프레임과;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주벽부의 하단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캡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이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vertical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and the horizontal frame A full frame having a connector having a horizontal portion inserted into an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a support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 support cap formed between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 pocket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and extending between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ll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다수개의 수직틀의 상,하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상,하측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틀의 단부에 삽입되는 수평부를 가지는 연결구와,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캡이 구비된 풀 프레임과;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주벽부의 하단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캡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이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is arranged so that both ends ar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 full frame having a connector having a horizontal portion inserted into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support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 support cap formed between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 pocket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and extending between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ll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돌출 설치된 수나사봉과 상기 수평틀의 양단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수나사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편과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수나사봉의 돌출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를 가지는 연결구가 구비된 풀 프레임과;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가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 is arranged so that both ends are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the male screw rod protruding on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and protrudes 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A full fram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piec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rod penetrates and a nut screwed to a protruding end of the male screw rod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is provided, comprising: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ull body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하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상,하측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돌출 설치된 수나사봉과 상기 수평틀의 양단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수나사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편과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수나사봉의 돌출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를 가지는 연결구가 구비된 풀 프레임과;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가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is arranged so that both ends ar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male screw rod protruding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A full frame having a connecting part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rame and having a connecting piec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rod penetrates, and a nut screwed to a protruding end of the male screw rod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A prefabricated swimming pool is provided, comprising: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ull body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assembled swimming poo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100은 풀 프레임(pool frame)이고, 200은 상기 풀 프레임(100)에 지지되는 풀 몸체이다.1 to 6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100 is a full frame and 200 is a full body supported by the full frame 100.

상기 풀 프레임(100)은 다수개의 수직틀(110)과 상기 다수개의 수직틀(1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틀(120)로 구성된다.The full frame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 110 and a horizontal frame 12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 (110).

상기 수직틀(110)과 수평틀(120)은 속이 빈 파이프로 형성되며, 원형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is formed of a hollow pipe, it is preferable to use a circular pi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수직틀(110)의 상단과 이 수직틀(1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양측 수평틀(120)은 'T'자형 연결구(130)에 의하여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both horizontal frame 12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connected by the 'T' shaped connector (130).

상기 T자형 연결구(130)는 상기 수직틀(110)의 상단에 끼워지는 수직부(131)와 상기 양측 수평틀(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수평부(132)로 구성된다.The T-shaped connector 130 is composed of a vertical portion 131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132 inserted into the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0 on both sides.

여기서 풀 프레임(100)이 이루는 평면 형상은 수직틀(110)과 수평틀(120)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그 개수를 n개라고 할 때 풀 프레임(100)이 이루는 평면 형상은 180-360/n°로 되는 바, 상기 T자형 연결구(130)의 양측 수평부(132)간의 각도는 인접하는 수평틀(120)들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설정된다.Here, the planar shape formed by the full frame 100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When the number is n, the planar shape formed by the full frame 100 is 180-360. Bar / n °, the angle between the two horizontal portions 132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is set to the same angle as the angle formed by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120.

예컨대, 도시례와 같이 상기 수직틀(110)과 수평틀(120)의 개수가 16개씩일 경우에는 T자형 연결구(130)의 양측 수평부(132)간의 각도는 157.5°로 하며, 수직틀(110)과 수평틀(120)의 개수가 12개씩일 경우에는 150°로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example, when the number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is 16 pieces, the angle between both horizontal portions 132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is 157.5 °, and the vertical frame ( If the number of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is 12 pieces each, 150 °.

상기 수직틀(110)과 수평틀(120)의 개수는 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12개씩 또는 16개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umber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ol, and is not limited to 12 or 16.

상기 T자형 연결구(130)의 수직부(131)와 수평부(132)는 상기 수직틀(110)과 수평틀(120)에 슬라이드 피트(slide fit)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vertical portion 131 and the horizontal portion 132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fitted to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in a slide fit manner. do.

상기 T자형 연결구(130)의 수직부(131)와 수평부(132)는 이들을 직접 용접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나 양측 수평부(132) 사이에 상기 수평틀(120)의 외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가지는 연결부(133)를 씌움으로써 양측 수평부(132)를 수평틀(120)에끼웠을 때 수평틀(120)의 외주면과 연결부(133)의 외주면이 하나의 연결된 원주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portion 131 and the horizontal portion 132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may be directly welded to each other, but may have an outer diameter that mat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horizontal frame 120 between both horizontal portions 132. By covering the connecting portion 133,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3 form one connected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both horizontal portions 132 are fitted in the horizontal frame 120.

상기 연결부(133)는 상기 수평틀(120)의 외주면과 연결부(133)의 외주면이 하나의 연결된 원주면을 이루도록 하여 미관을 살리는 역할 외에 수평틀(120)의 결합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ing portion 133 serves to regulat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in addition to the role of aesthetics by mak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3 to form one connected circumferential surface. will be.

상기 수평틀(120)의 양단에는 그 주벽을 관통하는 고정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T자형 연결구(130)의 양측 수평부(132)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정공(121)에 대응하는 고정돌기(134)가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Fixing holes 12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0 to penetrate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fixing end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s 12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arts 132 on both sides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The protrusion 134 is provided to elastically protrude.

상기 고정돌기(134)를 상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132)의 내부에는 고정돌기(1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35)가 설치된다.An elastic member 135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fixing protrusion 134 is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portion 132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34 is always elastically protruded.

상기 탄성부재(135)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틀(12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고정지지부(135a)와, 상기 고정돌기(134)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35b)로 구성되는 봉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mber 135 may be a compression coil spring, but in order to facilitate assembly, as shown in FIG. 7, the fixed support part 135a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It is preferable to use a rod spring composed of an elastic support 135b for supporting the fixing protrusion 134.

상기 고정돌기(134)와 탄성지지부(135b)의 결합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돌기(134)의 저면에는 고정홈(134a)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지지부(135b)에는 상기 고정홈(134a)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고정부(135c)를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134 and the elastic support 135b, the fixing protrusion 134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protrusion 134, and the fixing groove 134a is formed at the elastic support 135b. It is preferable to bend the insertion fixing portion 135c to be inserted and fixed at).

상기 수직틀(110)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캡(140)이 결합된다.A support cap 140 supported on the bottom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상기 지지캡(140)은 대략 상반부인 삽입부(141)가 수직틀(110)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대략 하반부인 돌출부(14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cap 140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41, which is approximately the upper half,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protrusion 142, which is approximately the lower half, protrudes to the outside.

상기 삽입부(141)와 돌출부(142) 사이에는 직경이 확대된 환형(環形)의 걸림부(1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n annular locking portion 143 having an enlarged diameter is protrud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141 and the protrusion 142.

상기 지지캡(140)은 속이 꽉 찬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돌출부(142)의 하단면을 제외하고 속이 빈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cap 140 may be formed in a full stat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hollow state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142 to reduce weight.

상기 삽입부(141)는 수직틀(110)의 하단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할 수도 있으나, 슬라이드 피트식으로 삽입하고 수직틀(110)의 주벽 하단과 삽입부(141)의 주벽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insertion portion 141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by interference fit, but is inserted in the slide fit method and penetrates the lower wall of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main wall of the insertion portion 141. It can also be fixed by inserting a fixing pin.

한편, 상기 수평틀(120)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분할수평틀(120a,120b)로 분할하고, 이들 분할수평틀(120a,120b)을 一자형 연결구(150)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Meanwhile, any one of the horizontal frames 120 is divided into two divided horizontal frames 120a and 120b, and the divided horizontal frames 120a and 120b are connected to the one-shaped connector 150.

상기 분할수평틀(120a,120b)의 길이는 수평틀(120)의 길이의 절반보다 짧게 형성한다.The length of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120a, 120b) is formed shorter than half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frame (120).

이는 n개의 수평틀(120)중 n-1개를 T자형 연결구(130)로 연결하고, 마지막 n번째의 수평틀(120)을 연결할 때 연결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connect n-1 of the n horizontal frame 120 to the T-shaped connector 130, so that the connection is smooth when connecting the last n-th horizontal frame 120.

상기 一자형 연결구(150)는 좌반부와 우반부가 각각 분할수평틀(120a,120b)에 삽입되는 것이다.The one-shaped connector 150 is the left half and the right half is inserted into the split horizontal frame (120a, 120b), respectively.

이때 좌반부와 우반부의 외경은 상기 분할수평틀(120a,120b)에 슬라이드 피트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left half and the right half is set to be inserted into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120a, 120b) by a slide fit method.

상기 一자형 연결구(150)의 좌반부와 우반부에는 각각 고정돌기(151)가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Fixing protrusions 15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half portions of the one-shaped connector 150 so as to protrude elastically.

상기 분할수평틀(120a,120b)의 일단에는 상기 T자형 연결구(130)의 고정돌기(134)에 대응하는 고정공(121)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一자형 연결구(150)의 고정돌기(151)가 끼워지는 고정공(121a,121b)이 형성된다.A fixing hole 121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134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120a, 120b),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rojection (150) of the one-shaped connector 150 Fixing holes 121a and 121b into which the 151 is fitted are formed.

상기 一자형 연결구(150)의 고정돌기(151)를 상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반부와 우반부의 내부에 고정돌기(15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52)가 설치된다.An elastic member 152 is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xing protrusion 151 inside the left and right half portions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51 of the one-shaped connector 150 is always elastically protruded.

상기 탄성부재(152)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좌반부와 우반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고정지지부(152a)와, 상기 고정돌기(151)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52b)로 구성되는 봉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mber 152 may use a compression coil spring, but in order to facilitate assembly, a fixed support part 152a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half parts, and an elastic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ixing protrusion 151 ( It is preferable to use a rod spring composed of 152b).

상기 고정돌기(151)와 탄성지지부(152b)의 결합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돌기(151)의 저면에는 고정홈(151a)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지지부(151b)에는 상기 고정홈(151a)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고정부(152c)를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151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152b, the fixing groove 151a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xing protrusion 151, and the fixing groove 151a is provided in the elastic support part 151b. It is preferable to bend the insertion fixing portion 152c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이들 고정돌기(151)와 탄성부재(152)의 조립 구조는 상술한 고정돌기(134)와 탄성부재(135)의 조립 구조와 동일하므로 도 7에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다.Since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fixing protrusion 151 and the elastic member 152 is the same as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fixing protrusion 134 and the elastic member 135 described abov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in FIG.

상기 풀 몸체(200)는 합성수지제 시트를 접합하여 형성되며, 펼쳐졌을 때 다각형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부(210)와 이 바닥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된 주벽부(220)로 구성된다.The full body 200 is formed by bonding a sheet of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box when unfolded, the bottom portion 210 and the main wall portion 220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210. It is composed of

상기 바닥부(210)는 풀의 설치 공간의 밑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틀(110)과 수평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The bottom portion 21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ool, and is formed in a polygon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formed by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상기 주벽부(220)의 상단에는 상기 다수개의 수평틀(120)이 각각 삽입 관통되는 다수개의 포켓부(221)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pockets 221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20 are inserted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20.

상기 서로 인접하는 포켓부(221)들 사이에는 상기 T자형 연결구(130)가 위치하는 트임부(222)가 형성된다.Between the pocket portions 221 adjacent to each other, a trim 222 in which the T-shaped connector 130 is positioned is formed.

상기 트임부(222)는 상기 T자형 연결구(130)의 연결부(133)만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imming part 222 is formed to have a size in which only the connection part 133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is exposed.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와 주벽부(220)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각 수직틀(110)의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수직틀(110)의 하단에 결합된 지지캡(140)이 삽입되는 삽입공(231)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230)이 접합되어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Between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220, a support cap 14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frame 110.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230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231 is joined to extend horizontal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틀(110)의 하단에 결합된 지지캡(140)을 풀 몸체(200)의 주벽부(220)의 상단에 형성된 포켓부(221)에 상기 수평틀(120)을 삽입하여 수평틀(120)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수평틀(120)의 양단에 상기 T자형 연결구(130)의 양측 수평부(132)를 삽입하여 연결함과 아울러 수직부(131)를 수직틀(110)의 상단에 삽입하여 결합한다.In assembling the assembl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14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has a pocket par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wall part 220 of the full body 200 ( The horizontal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120 so th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re exposed to both horizontal portions 132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at both ends of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120. Insertion and connection as well as the vertical portion 131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110 to combine.

이때 상기 수평틀(120)의 양단에 T자형 연결구(130)의 양측 수평부(13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수평부(132)에 탄성적으로 돌출 설치된 고정돌기(134)가 수평틀(120)의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탄성부재(135)에 대항하여 수평부(132) 내부로 밀려들어갔다가 고정돌기(134)가 수평틀(120)의 고정공(121)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을 때 고정돌기(134)가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되면서 고정공(121)에 끼워지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both horizontal portions 132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0, the fixing protrusion 134 is elastically protrud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32 horizontal frame 120 When press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 against the elastic member 135 into the horizontal portion 132 inside the fixing protrusion 134 when the fixing projection 134 reaches the position of the fixing hole 121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1 while protrud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35.

여기서 수직틀(110)과 T자형 연결구(130)는 조립 과정에서 수직부(131)를 수직틀(110)의 상단에 슬라이드 피트식으로 삽입할 수도 있으나 제작 과정에서부터 수직부(131)를 수직틀(110)의 상단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여 수직틀(110)과 T자형 연결구(130)를 하나의 조립 부품으로 보관 및 취급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T-shaped connector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portion 131 by the slide fit method on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110 during the assembly process, but the vertical portion 131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vertical frame Combining to the upper end of the 110 in an interference fit method,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T-shaped connector 130 may be stored and handled as one assembly part.

이러한 방법으로 인접하는 수평틀(120)들과 수직틀(110)을 조립하여 수평틀(120)중 1개가 남은 상태에서는 수직틀(110)과 수평틀(120)들에 의해 지지된 풀 몸체(200)의 주벽부(220)가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기 때문에 1번째 수평틀과 n-1번째 수평틀 사이의 간격을 벌릴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수평틀(120)을 그대로 연결할 수 없게 된다.In this way, assembling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vertical frame 1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tate of on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remaining full body (supported by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 Since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220 of the 200 is tens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n-1th horizontal frame cannot be opened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120 cannot be connected as it is.

따라서 이 부분에는 중간부가 분할된 분할수평틀(120a,120b)을 풀 몸체(200)의 주벽부(220) 상단에 형성된 포켓부(221)에 삽입하여 분할수평틀(120a,120b)의 외측단을 인접하는 수평틀(120)들과 T자형 연결구(130)로 연결함과 아울러 분할수평틀(120a,120b)의 내측단을 一자형 연결구(150)로 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을완료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is portion, the split horizontal frame 120a, 120b having the midd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221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wall portion 220 of the full body 200, and thus the outer ends of the split horizontal frame 120a, 120b. By connecting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T-shaped connector 130, as well as by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120a, 120b) with a one-shaped connector 150, the assembly can be completed easily. .

즉, 1번째 수평틀에 T자형 연결구(130)를 이용하여 예컨대 좌측 분할수평틀(120a)의 외측단(좌측단)을 연결하고, 이 분할수평틀(120a)의 내측단(우측단)에 一자형 연결구(150)의 좌반부를 삽입하여 우반부의 일부가 좌측 분할수평틀(120a)내로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n-1번째 수평틀(120)에 예컨대 우측 분할수평틀(120b)의 외측단(우측단)을 T자형 연결구(130)로 연결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분할수평틀(120b)의 내측단(좌측단)이 좌측 분할수평틀(120a)에 삽입되어 있는 一자형 연결구(150)의 우반부의 끝단에 중첩되지 않는 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一자형 연결구(150)의 우반부를 좌측 분할수평틀(120a)에서 인출해내면서 우반부를 우측 분할수평틀(120b)에 삽입함과 아울러 一자형 연결구(150)의 좌반부와 우반부에 탄성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고정돌기(151,151)를 좌,우측 분할수평틀(120a,120b)에 형성된 고정공(121a,121b)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outer end (left end) of the left divided horizontal frame 120a is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using the T-shaped connector 130, and the inner end (right end) of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120a is connected. The outer end of the right split horizontal frame 120b, for example, in the n-1 th horizontal frame 120 with the left half of the one-shaped connector 150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right half is inserted into the left split horizontal frame 120a. When the right end is connected to the T-shaped connector 130, the inner end (left end) of the right divided horizontal frame 120b is inserted into the left divided horizontal frame 120a as shown in FIG. The right half of the connector 150 is not overlapped, an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the right half is pulled out from the left split horizontal frame 120a while the right half is pulled out from the left split horizontal frame 120a.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120b) and elastically protrudes to the left and right half of the one-shaped connector 150 The fixing protrusions 151 and 151 being fitted into the fixing holes 121a and 121b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plit horizontal frames 120a and 120b.

여기서 좌,우측 분할수평틀(120a,120b)을 一자형 연결구(150)으로 연결하였을 때 이들 좌,우측 분할수평틀(120a,120b)의 내측단은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left and right split horizontal frames 120a and 120b are connected to the one-shaped connector 150, the inn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plit horizontal frames 120a and 120b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고정돌기(151,151)가 고정공(121a,121b)에 끼워지는 과정은 상술한 T자형 연결구(130)의 고정돌기(134)가 고정공(121)에 끼워지는 과정과 같은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ixing protrusions 151 and 151 are fitted to the fixing holes 121a and 121b, the fixing protrusions 134 and the fixing protrusions 134 of the T-shaped connector 130 are form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fixing protrusion 121. Description is omitted.

이와 같이 풀 프레임(100)과 풀 몸체(200)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풀몸체(200)에 물을 담수하여 간이형 스위밍 풀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full frame 100 and the full body 200 are freshly immersed in the full body 200 in a state where the full body 200 is assembled to be used as a simple swimming pool.

이때, 상기 풀 몸체(200)의 주벽부(220)는 수직틀(110)과 수평틀(120)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벽부(220)에 강하게 기대거나 부딪히더라도 주벽부(220)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main wall portion 220 of the full body 200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even if the user strongly leaning against or hit the main wall portion 220, the main wall portion 220 ) Is not tilted or dropped, so it can be used safely.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풀 몸체(200)의 주벽부(220) 상단에 포켓부(221)를 형성함과 동시에 풀 몸체(200)의 바닥부(210)와 주벽부(220)의 경계부에도 포켓부(221)를 형성하고, 상,하측 포켓부(221)에 각각 상,하측 수평틀(120)을 삽입하여 상,하측 수평틀(120)을 연결구(130)에 의해 수직틀(110)과 연결하여 수직틀(110)의 하단부가 포켓부(221)에 삽입되어 있는 하측 수평틀(120)을 통해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하측 수평틀(120)은 바닥면에 직접 접하는 것은 아니고, 포켓부(221)를 통해 바닥면에 접지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또한 도 8에서는 하측 수평틀(120)이 하측 포켓부(221)로 씌워져 있어 하측 수평틀(120)이 보이지 않는 상태이며, 도 9는 수직틀(110)과 상,하측 수평틀(120)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몸체부(200)을 구성하는 주벽부(220)과 상,하측 포켓부(221)를 가상선으로 도시하여 표켓부(221)과 상,하측 수평틀(120)의 결합 구조를 보인 것이다.8 to 10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cket body 221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pocket portion 22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220 of the full body 200. Pocket portion 221 is also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ottom portion 210 and the main wall portion 220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portion 120 by inserting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120,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12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110 by the connector 13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pocket 221. . Of course,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0 i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t is grounded to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e pocket portion 22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FIG. 8,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0 is covered with the lower pocket part 221. Horizontal frame 120 is not visible, Figure 9 shows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120 in a solid line and the main wall portion 220 and the upper, lower constituting the body portion 200 The pocket part 221 is shown as a virtual line to show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jacket part 221 an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120. As shown in FIG.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300은 풀 프레임이고, 400은 상기 풀 프레임(300)에 지지되는 풀 몸체이다.11 to 13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300 is a full frame and 400 is a full body supported by the full frame 300.

상기 풀 프레임(300)은 다수개의 수직틀(310)과 상기 수직틀(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틀(400)으로 구성된다.The full frame 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 31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 400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상기 수직틀(310)과 수평틀(320)은 속이 빈 파이프로 형성되며, 원형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vertical frame 310 and the horizontal frame 320 is formed of a hollow pipe, it is preferable to use a circular pi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수직틀(310)의 상단과 이 수직틀(3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양측 수평틀(320)은 나사체결형 연결구(330)에 의해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the two horizontal frame 32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is connected by a screwing connector 330.

상기 연결구(330)는 상기 수직틀(310)의 상단에 돌출된 수나사봉(331)과, 상기 수평틀(320)의 단부에 돌출되어 상하로 중첩되며 상기 수나사봉(331)이 관통되는 관통공(332a,332a)이 천공된 연결편(332,332)과, 상기 연결편(332,332)의 관통공(332a)을 관통하여 돌출된 수나사봉(331)에 체결되는 너트(333)로 구성된다.The connector 330 is a male threaded rod 331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threaded rod 331 penetrates up and dow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320. (332a, 332a) consists of a connecting piece (332,332) perforated and a nut (333) fastened to the male screw rod 331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32a) of the connecting piece (332,332).

상기 수나사봉(331)은 상기 수직틀(310)의 상단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봉(331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male screw rod 33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ixing rod 331a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상기 연결편(332,332)은 상기 수평틀(320)의 양단에 삽입되어 핀(332b,332b)으로 고정되는 고정봉(332a,332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are integrally formed with fixing rods 332a and 332a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320 and fixed to pins 332b and 332b.

상기 연결편(332,332)은 수평틀(320)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제작시에는 동일하게 제작하여 조립시 서로 인접하는 수평틀(320)들을 상하로 180°돌려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are disposed up and down on the basis of a horizont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320, and a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during manufacture, and 180 ° vertically adjacent to the horizontal frame 320 when assembled. You can use it by turning it.

상기 너트(333)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이고 풀기 쉽도록 손잡이부(333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t 333 is preferably used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portion 333a so that it is easy to tighten and loosen by hand without using a tool.

상기 수평틀(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개수에 따라 인접하는 수평틀간의 각도가 결정되는 바, 상기 연결편(332,332)을 수나사봉((331)과 너트(333)만으로 체결하여 고정하였을 경우 양측 수평틀(320)이 정해진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임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편(332,332)에 각도유지부재(334)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나사봉(331)를 연결편(332,332)와 각도유지부재(334)에 관통시킨 후 그 돌출단부에 너트(333)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frame 320 is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s described above, both sides when the connection piece 332,332 is fastened by fixing only the male screw rod 331 and the nut 333. In order to prevent the horizontal frame 320 from being rotated arbitrarily without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the male screw rods 331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and the angle maintaining members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retaining member 334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After passing through 334, it is preferable to fasten the nut 333 to the protruding end thereof.

상기 각도유지부재(334)는 'ㄷ'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개방되어 상기 연결편(332,3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편(332,332)의 가장자리와접촉하여 연결편(332,332)의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면(334a)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수나사봉(331)이 관통되는 관통공(334b)이 천공된다.The angle maintaining member 334 is formed in a 'c' shape and both sides are open to allow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to be inserted, and to contact the edges of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to regulate the angles of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The control surface 334a is formed, and a through hole 334b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rod 331 penetrates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수직틀(310)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캡(340)이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is coupled to the support cap 340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지지캡(340)은 대략 상반부인 삽입부(341)가 수직틀(310)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대략 하반부인 돌출부(34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cap 3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310, the insertion portion 341, which is approximately the upper half, and is formed such that the protrusion 342, which is approximately the lower half, protrudes to the outside.

상기 삽입부(341)와 돌출부(342) 사이에는 직경이 확대된 환형(環形)의 걸림부(343)가 돌출 형성된다.An annular engaging portion 343 having an enlarged diameter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341 and the protrusion 342.

상기 지지캡(340)은 속이 꽉 찬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돌출부(342)의 하단면을 제외하고 속이 빈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cap 340 may be formed in a full stat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hollow state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342 in order to reduce weight.

상기 삽입부(341)는 수직틀(310)의 하단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할 수도 있으나, 슬라이드 피트식으로 삽입하고 수직틀(310)의 주벽 하단과 삽입부(341)의 주벽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insertion part 341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310 by interference fit, but may be inserted in a slide fit manner and penetrates the bottom of the main wall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the main wall of the insertion part 341. It can also be fixed by inserting a fixing pin.

상기 풀 몸체(400)는 합성수지제 시트를 접합하여 형성되며, 펼쳐졌을 때 다각형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부(410)와 이 바닥부(4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된 주벽부(420)로 구성된다.The full body 400 is formed by bonding a sheet of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box when unfolded, the bottom portion 410 and the main wall portion 420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410 It is composed of

상기 바닥부(410)는 풀의 설치 공간의 밑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틀(310)과 수평틀(320)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The bottom portion 410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ool, and is formed in a polygon corresponding to a plane shape formed by the vertical frame 310 and the horizontal frame 320.

상기 주벽부(420)의 상단에는 상기 수평틀(320)이 삽입 관통되는포켓부(421)가 형성된다.A pocket portion 421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frame 320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420.

상기 서로 인접하는 포켓부(422)들 사이에는 상기 연결구(330)가 위치하는 트임부(422)가 형성된다.Between the pocket portions 422 adjacent to each other, a trim 422 in which the connector 330 is positioned is formed.

상기 트임부(422)는 상기 연결구(330)의 각도유지부재(334)만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imming part 422 is formed to have a size in which only the angle maintaining member 334 of the connector 330 is exposed.

상기 바닥부(410)의 가장자리와 주벽부(420)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각 수직틀(310)의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수직틀(310)의 하단에 결합된 지지캡(340)이 삽입되는 삽입공(431)이 형성된 지지편(430)이 접합되어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Between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41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420 is inserted a support cap 34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frame 310 Support piece 430 is formed is inserted hole 431 is joined is extended horizontal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립식 스위밍 풀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풀 프레임(300)의 수직틀(310)의 하단부에 결합된 지지캡(340)을In assembling the assembled swimming p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cap 34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of the full frame 300 is provided.

상기 풀 몸체(400)의 바닥부(410)의 가장자리와 주벽부(4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지지편(430)의 삽입공(431)에 삽입하여 풀 몸체(400)의 하단부가 풀 프레임(300)의 수직틀(310)에 지지되도록 한 다음, 풀 몸체(400)의 주벽부(420) 상단에 형성된 포켓부(421)에 상기 수평틀(320)을 삽입하여 수평틀(320)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수평틀(320)의 양단에 돌출된 연결편(332,332)이 상,하로 중첩되도록 하고, 이들 연결편(332,332)에 각도유지부재(334)를 씌워 규제면(334a)의 내면이 연결편(332,332)의 양측연부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하단에 결합된 지지캡(340)을 풀 몸체(400)의 바닥부(410)의 가장자리와 주벽부(4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지지편(430)의 삽입공(431)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수직틀(310)의 상단에 돌출된 수나사봉(331)을 연결편(332,332)의 관통공(332a,332a)과 각도유지부재(334)의 관통공(334b)에 관통 돌출시키고 수나사봉(331)의 돌출단부에 너트(333)를 체결함으로써 수직틀(310)과 수평틀(32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31 of the support piece 430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410 of the pool body 40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420, the lower end of the pool body 400 is full frame ( After being supported by the vertical frame 310 of the 300, the horizontal frame 320 is inserted into the pocket 421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wall portion 420 of the full body 400,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320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320 in an exposed state are overlapped up and down, and the angle retaining members 334 are covered with thes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to control the surface of the restricting surface 334a. After the inn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 edges of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the support cap 340 coupled to the bottom is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410 of the full body 40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420 The male screw rod 331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31 of the piece 430 and the through-holes 332a and 332a of the connecting pieces 332 and 332 respectively. The connection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the horizontal frame 320, will be written by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34b) of the holding member 334 and fastening the nut 333 to the projecting end of the screw rod number 331.

이때 상기 인접하는 수평틀(320)들은 그 가장자리가 각도유지부재(334)의 규제면(334a)에 밀착되어 그 사이의 각도가 정확하게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rol surface 334a of the angle maintaining member 334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m is maintained accurately.

이러한 수직틀(310)과 수평틀(320)의 연결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풀 프레임(300)의 조립이 완료됨과 아울러 풀 몸체(400)가 풀 프레임(300)에 지지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다.The assembly of the full frame 300 is completed by repeat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the horizontal frame 320, and the assembly is completed while the full body 400 is supported by the full frame 300. do.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수직틀(3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동일한 구조의 수평틀(320)을 연결구(330)로 연결하고, 풀 몸체(400)의 바닥부(410)와 주벽부(420)의 경계부에도 포켓부(42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수직틀(310)이 하측의 수평틀(320)을 통하여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14 to 16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frame 320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by the connector 330, and the pull is shown. The pocket 421 is also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ottom portion 410 and the main wall portion 420 of the body 400 so that the vertical frame 31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frame 320.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ame par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해가 가능한 풀 프레임과 풀 몸체로 구성되므로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게 됨과 아울러 풀 몸체가 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므로 사용시 주벽부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full frame and a full body that can be disassembled, so that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is easy and the full body is supported by the full frame, so that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can be safely used without being inclined or falling down during use. will be.

Claims (10)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다수개의 수직틀의 상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틀의 단부에 삽입되는 수평부를 가지는 연결구와,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캡이 구비된 풀 프레임과;A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a vertical portion insert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portion insert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 full frame having a support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주벽부의 하단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캡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이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 support cap formed between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 pocket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and extending between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ll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are formed insertion hole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틀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수평틀의 길이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분할수평틀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분할수평틀에 좌반부와 우반부가 삽입되어 분할수평틀을 연결하는 一자형 연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y one of the horizontal frame is formed into a divided horizontal frame having a length less than half of the length of the remaining horizontal frame, the left half and the right half is inserted into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to connect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shaped connector is provid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틀과 분할수평틀의 양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T자형 연결구의 수평부와 상기 一자형 연결구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상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fix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split horizontal fram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shaped connector and the one-shaped connector is fixed to the fixing hole is always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uppor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다수개의 수직틀의 상,하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상,하측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틀의 단부에 삽입되는 수평부를 가지는 연결구와, 상기 수직틀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캡이 구비된 풀 프레임과;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disposed so that both ends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vertical portion insert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inserted into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 full frame having a connector having a horizontal portion and a support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주벽부의 하단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캡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이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 support cap formed between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 pocket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and extending between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main wall portion;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ll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are formed insertion hole is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수평틀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수평틀의 길이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분할수평틀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분할수평틀에 좌반부와 우반부가 삽입되어 분할수평틀을 연결하는 一자형 연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is formed into a divided horizontal frame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half of the length of the remaining horizontal frame, the left half and the right half is inserted into the divided horizontal frame divided horizontal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one-shaped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ram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틀과 분할수평틀의 양단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T자형 연결구의 수평부와 상기 一자형 연결구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상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fix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split horizontal fram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shaped connector and the one-shaped connector is fixed to the fixing hole is always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uppor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돌출 설치된 수나사봉과 상기 수평틀의 양단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수나사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편과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수나사봉의 돌출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를 가지는 연결구가 구비된 풀 프레임과;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a male screw ro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rod penetrates. A full fram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piece formed and a nut screwed to a protruding end of a male screw rod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가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nd a pull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pocket portion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개방되어 상기 연결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편의 가장자리와 밀착되어 연결편의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면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수나사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천공된 각도유지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ccording to claim 7, It is formed in the approximately 'c' shape and both sides are open so that the connecting piece can be insert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connecting piece is formed a regulating surface for regulating the angle of the connecting piece, the upper surfac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hold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rod passes. 다수개의 수직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하단에 양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상,하측 수평틀과, 상기 수직틀의 상단에 돌출 설치된 수나사봉과 상기 수평틀의 양단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수나사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편과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수나사봉의 돌출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를 가지는 연결구가 구비된 풀 프레임과;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and a male screw rod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protruding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A full frame having a connector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a rod penetrates, and a connector having a nut screwed to a protruding end of a male screw rod penetrating the through-hole;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틀이 삽입되는 포켓부가 구비된 풀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And a pull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 main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pocket portion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in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개방되어 상기 연결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편의 가장자리와 밀착되어 연결편의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면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수나사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천공된 각도유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위밍 풀.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pproximately 'c' shape is formed on both sides is open so that the connecting piece can be insert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connecting piece to form a restriction surface for regulating the angle of the connecting piece, the upper surfac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hold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rod passes.
KR1019990016629A 1999-05-10 1999-05-10 Prefabricated swimming pool KR100334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629A KR100334431B1 (en) 1999-05-10 1999-05-10 Prefabricated swimming pool
US09/567,230 US6604250B1 (en) 1999-05-10 2000-05-09 Prefabricated swimming pool
US09/983,640 US6643858B2 (en) 1999-05-10 2001-10-25 Prefabricated swimming pool
US09/983,641 US6477721B2 (en) 1999-05-10 2001-10-25 Prefabricated swimming pool
US10/419,909 US6742198B2 (en) 1999-05-10 2003-04-22 Prefabricated swimming poo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629A KR100334431B1 (en) 1999-05-10 1999-05-10 Prefabricated swimming p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378A KR20000073378A (en) 2000-12-05
KR100334431B1 true KR100334431B1 (en) 2002-05-03

Family

ID=1958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629A KR100334431B1 (en) 1999-05-10 1999-05-10 Prefabricated swimming p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4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215B1 (en) * 2000-02-23 2004-01-31 주식회사 피.피.아이 Prefabricated swimming 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378A (en)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250B1 (en) Prefabricated swimming pool
US5452681A (en) Collapsible animal house assembly
US8851956B2 (en) Playhouse
US10631605B2 (en) Umbrella hub
KR100776420B1 (en) Stan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RU97109835A (en) PLASTIC PALLET
US5943709A (en) Swimming pool assembly
CA2022870A1 (en) Tent movable between a collapsed position and a latched erect position
US6209149B1 (en) Inflatable swimming pool with a sun shield
KR100334431B1 (en) Prefabricated swimming pool
US5523934A (en) Composite floor lamp
CA1227928A (en) Display fixture
KR102279050B1 (en) Fabricated table
KR20000073017A (en) a sectional swimming pool
KR100416215B1 (en) Prefabricated swimming pool
GB2276180A (en) Labyrinth of changeable form
KR200432757Y1 (en) Sectional wooden bed
JP4386412B2 (en) Umbrella stand
US20060243313A1 (en) Bar Table Shelter
KR20040078950A (en) An assembling pool
KR102625250B1 (en) Combining device for handle part
JP3218216U (en) Cat cage
KR200301030Y1 (en) hammock
US20040217030A1 (en) Tent-and-box assembly
KR20000024603A (en) Prefabricated swimming p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1114

Effective date: 2008050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316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1114

Effective date: 200805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