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732B1 -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732B1
KR100333732B1 KR1019990031706A KR19990031706A KR100333732B1 KR 100333732 B1 KR100333732 B1 KR 100333732B1 KR 1019990031706 A KR1019990031706 A KR 1019990031706A KR 19990031706 A KR19990031706 A KR 19990031706A KR 100333732 B1 KR100333732 B1 KR 10033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protocol
called
terminal addres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686A (ko
Inventor
김상현
이창욱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3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7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055Linked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7Numbering,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공중망 UNI에 구성된 사설망 단말로 착신되는 호에 대해 호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신단말주소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착신교환기의 번호번역을 위한 번호데이터 제어기능블럭에서 수신된 시그널에 포함된 가입자 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지 확인하고, 가입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제공하는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지 확인한 다음에, 착신단말 주소등록 시그널을 송신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번호, 시그널에 포함된 정합모듈, 링크 번호와, 가입자번호의 마지막 번호가 저장된 튜플의 가입자 서브시스템 번호, 정합모듈, 링크 번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해당 번호가 일치하면 수신한 착신단말주소를 저장하고, 그 결과를 송신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공중망과 사설망을 연동시키기 위한 교환기의 운용유지보수프로세서에 이용된다.

Description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METHOD FOR REGISTERING DESTINATION TERMINAL ADDRESS AND METHOD FOR TRANSLATING DESTINATION NUMBER IN B-ISDN}
본 발명은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 등록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호제어 과정중 번호번역단계에서 착신 호설정 메시지에 착신교환기에 등록된 착신단말주소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광대역종합정보통신(B-ISDN)망에서 공중망 번호/주소체계로 사용할 수 있는 망서비스접근점(NSAP: Network Service Access Point) E.164 주소중 착신단말주소(ESI: End System Identifier)를 공중망 교환기의 가입자 번호 데이터에 구성하기 위하여 사설망 신호 규격으로 사설망 사용자망정합부(UNI: User Network Interface)에서 착신단말주소 자동등록 기능을 수행하는 공중망의 ILMI프로토콜 처리 블럭과 공중망 교환기의 번호 데이터 처리기능간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데이터 구조와 공중망 교환기에서 자국 착신호에 대한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통하여 착신 가입자가 실장된 링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착신단말주소(ESI) 정의 및 등록상태를 점검하여 사설망 신호 규격을 사용하는 단말이고, ILMI를 통하여 망에 착신단말주소가 등록된 경우 호제어 블럭으로 착신단말주소를 제공하여 착신단말주소를 포함한 후속되는 호의 진행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중망 사용자망정합부(UNI) 신호규격의 착신주소 표현방법은 아스키(ASCII)로 코딩하는 방법과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8348의 망서비스접근점(NSAP) 형태에 따라 도2와 같이 고정된 20옥텟 길이의 주소형태에 BCD(Binary Coded Decimal) 코딩 방법으로 공중망 E.164 번호를 최초영역식별자(IDI: Initial Domain Identifier)에 할당하는 방법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협대역종합정보통신망(N-ISDN),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공중망에서는 공중망 E.164 번호를 사용자 단말에서 ASCII 형태로 코딩하여 공중망으로 전송하고, 공중망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신호 메시지내의 ASCII 형태의 착신번호를 공중망에서 해석할 수 있는 데시말 디지트로 변환하고, 착신번호 번역을 통하여 발신 가입자가 원하는 착신가입자로 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사용자 단말 및 망 장비가 개발되면서 사용자 단말간의 서비스 호환성을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중망에서도 사설망 사용자망정합(UNI) 신호 규격에 정의된 착신번호 코딩 방법인 ASCII 코딩 방법과 BCD 코딩 방법이 모두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B-ISDN)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B-ISDN)을 통한 서비스 제공의 핵심장치인 사용자 단말과 망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환장비는 사설망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설망 장비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포럼(Forum)이 중심이 되어 제정한 사설망 UNI 신호규격(UNI3.1, UNI4.0)을 사용하고 있다.
지역망(LAN 범주)을 중심으로 개발된 사설망이 공중망을 통한 사설망 가입자간 또는 공중망 가입자와 사설망 가입자간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망과 공중망간의 원활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서비스 연동을 위한 주소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중망에 연결된 사설망은 공중망으로부터 도2의 상위 13 옥텟에 해당하는 망 프리픽스(prefix)를 할당받아 루팅 데이터를 구성하고, 사설망내에서는 착신 가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도2의 착신단말주소(ESI)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공중망에서는 루팅 데이타로 사용되지 않는 착신단말주소를 사설망에서는 사용하고, 착신단말주소로 루팅 데이터 구성을 위한 편리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망 UNI 신호규격은 사설망 UNI에서 사설망 신호규격(UNI3.1, UNI4.0)과 동시에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제공하는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사설망의 ILMI 프로토콜은 사설망 UNI에 할당된 도2의 상위 13옥텟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주소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의 ILMI 프로토콜은 망으로부터 수신한 13옥텟 주소에 단말의 주소(ESI)를 추가하여 루팅에 사용되는 20옥텟 전체 주소를 구성하여 망으로 등록하고, 사설망은 수신한 20 옥텟의 주소를 사용하여 루팅 데이터를 구성한다.
신호 프로토콜 측면에서 공중망과 사설망의 구분이 불분명해지고, 사설망에서 사용되던 사설망 신호규격(UNI3.1, UNI4.0)에 따른 사설망 단말을 공중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중망에서도 사설망 신호 프로토콜(UNI3.1, UNI4.0)을 지원할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고, 공중망에서 사설망 UNI 신호 프로토콜을 수용함에 따라 사설망 UNI 신호규격에서는 반드시 함께 수행되어야 할 기능으로 정의된 ILMI 프로토콜을 사설망 신호 프로토콜이 구동되는 공중망 UNI에서도 지원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공중망 UNI 신호규격을 사용하는 공중망에서는 지금까지 도2의 착신단말주소(ESI)를 루팅에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구성 및 호제어 과정에서 착신단말주소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도2의 최초영역식별자(IDI)에 해당하는 E.164 번호를 사용하여 착신 호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공중망 UNI에 사설망 신호규격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이 연동된다 하여도 사용자 단말로 사용되는 사설망 신호규격에 정의되어 사용하도록 규정된 착신단말주소을 제공할 수 없다. 이는 공중망 UNI에 사설망 신호규격(UNI3.1, UNI4.0)을 사용하는 단말이 연동될 경우 착신 단말의 호제어 과정에서 수신한 NSAP 형태의 20옥텟 주소중 착신단말주소(ESI)가 자신의 단말주소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가 설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중망 UNI에 사설망 UNI 신호규격을 사용하는 공중망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연동될 경우 공중망에서는 착신단말로의 호 설정 요구 메시지(setup)의 20 옥텟 NSAP 주소에 ILMI 프로토콜을 통하여 망에 등록된 착신단말주소(ESI)를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중망 E.164 주소는 하나의 UNI 링크에 복수개를 할당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다. 이는 공중망 UNI에 연결된 망 종단장치에 각각 다른 E.164 주소로 정의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공중망에서 사용자 단말의 착신단말주소(ESI)를 루팅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UNI 링크에 사용될 수 없다. 이는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망에서 13 옥텟의 망 프리픽스(prefix)를 단말로 전송할 경우 복수개의 망 프리픽스가 할당되었다면 복수개 주소중에서 어느 주소를 사용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고, 도2의 20 옥텟 전체 주소가 사용자 단말주소까지를 포함하는 전체 주소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중망 UNI에 ILMI프로토콜을 사용한 착신단말주소 자동 등록 기능을 사용할 경우 공중망 UNI 링크에는 하나의 E.164 주소만을 할당할 수 있다.
복수개의 교환기를 사용하는 사설망 구성에서 루팅시 착신단말주소(ESI)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설망은 루팅 서버를 구성하고, 루팅 서버는 ILMI 프로토콜의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사용하여 모든 사용자 단말의 착신단말주소(ESI)를 포함하는 전체 20옥텟의 주소를 관리하고, 호 설정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발신 교환기에서는 루팅 서버로의 질의/응답을 통하여 착신단말의 20옥텟 주소를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호를 루팅한다. 그러나, 대량의 가입자가 수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공중망에서는 망에 수용된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집중화된 착신단말주소를 저장/관리하는 망 구성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공중망에서는 착신 가입자가 등록된 착신 교환기까지는 도2에서 E.164 주소를 나타내는 최초영역식별자(IDI)를 사용하여 호를 루팅하고, 착신 교환기에서 착신 가입자의 UNI 링크를 확인하기 위한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 단계에서 공중망에 등록된 착신단말주소(ESI)를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공중망에서 착신 교환기의 착신 가입자별로 구성된 착신단말주소(ESI)를 사용하여 착신 호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E.164 공중망 가입자 번호별로 할당하도록 구성된 가입자 정보에 착신단말주소를 저장하고, 호 제어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ITU-E.164와 E.191에 따른 주소체계를 사용하는 공중망에서 UNI에 사설망 신호 규격을 수용하고, 사설망 신호규격에 정의된 ILMI 프로토콜을 통한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사용하여 공중망 UNI에 구성된 사설망 단말로 착신되는 호에 대하여 착신단말주소(ESI)를 제공하기 위하여 호 제어 과정중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 단계에서 착신교환기에 등록된 착신단말주소를 사용하여 호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 등록방법 및 착신단말주소를 포함한 착신번호 번역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단말주소를 자동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VC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블럭 구성도.
도2는 신호 메시지에 포함된 NSAP E.164 발신/착신 가입자 주소 형태도.
도3은 B-ISDN E.164 공중망 주소계위에 따른 발신/착신 가입자번호의 코딩 상태도.
도4a 및 도4b는 가입자 정보 및 착신단말주소 처리를 위한 CCCP의 데이터 구조도.
도4c는 착신단말주소(ESI) 처리를 위한 OMP의 가입자번호 데이터 구조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단말주소(ESI) 등록 절차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제어 과정중 착신가입자 번호번역 단계에서 착신단말주소(ESI) 처리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신단말주소 등록방법은, 공중망에서 착신단말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단말주소 등록방법에 있어서, 착신교환기의 운용유지보수프로세서내의 번호 데이터 제어기능블럭에서 수신된 시그널에 포함된 가입자 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지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운용중이면 가입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제공하는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으면 착신단말주소 등록을 요구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번호, 시그널에 포함된 정합모듈, 링크 번호와, 가입자의 마지막 번호가 저장된 튜플의 가입자 서브시스템 번호, 정합모듈, 링크 번호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해당 번호가 일치하면 수신한 착신단말주소를 저장하고, 그 결과를 송신하는 제4단계; 및 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거나, 번호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신번호번역방법은, 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번호번역방법에 있어서, 번호번역제어블럭에서 착신 가입자가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가입자인지 확인하고, 가입자번호 테이블의 마지막 튜플에 저장된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과 운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ILMI 프로토콜 사용정보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된 경우에는 착신단말주소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착신단말주소가 등록되어 있으면, 등록된 착신단말주소와, 해당 튜플에서 추출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정합모듈, 링크 정보를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다음 호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나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이 구동되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튜플에서 추출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정합모듈, 링크 정보만을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다음 호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제4단계; 및 착신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착신단말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착신번호번역 실패 시그널을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호제어를 중단하도록 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교환시스템에, 수신된 시그널에 포함된 가입자 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지 확인하는 제1기능; 상기 제1기능에서 운용중이면 가입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제공하는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제2기능; 상기 제2기능에서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으면 착신단말주소 등록 요구 시그널을 송신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번호, 시그널에 포함된 정합모듈, 링크 번호와, 가입자의 마지막 번호가 저장된 튜플의 가입자 서브시스템 번호, 정합모듈, 링크 번호를 비교하는 제3기능; 상기 제3기능에서 해당 번호가 일치하면 수신한 착신단말주소를 저장하고, 그 결과를 송신하는 제4기능; 및 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거나, 번호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시스템의 구조와 착신단말주소(ESI)를 착신번호번역 테이블에 등록하고, 호제어 과정중 자국 착신호 설정을 위한 호제어 블럭과 번호번역 블럭간의 연동을 나타낸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도이다.
ATM 교환시스템은 가입자 서브 시스템(ALS: ATM Local Subsystem), ALS를 상호 연결시키는 중앙서브시스템(ACS: ATM Central Subsystem)으로 구성된다. 각 서브시스템은 모듈로 구성되며, ALS에는 가입자정합모듈(SIM: Subscriber Interface Module), 중계선정합모듈(TIM: Trunk Interface Module), 그리고 호/연결을 제어하는 호연결제어프로세서(CCCP: Call and Connection Control Processor)가 포함되고, ACS에는 운용 및 유지보수를 위한 프로세서(OMP: Operation Maintenance Processor)가 포함된다. OMP는 운용 및 보전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과금, 통계 및 운용자 정합기능을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호/연결 설정을 위하여 집중화된 처리가 요구되는 착신번호 번역 기능(NTCF: Number Translation Control Function Block)이 포함된다. 그리고, 운용자정합기능(HMI: Human Machine Interface)을 통하여 입력된 번호번역을 위한 번호 데이터 제어기능(NDCF: Network Data Control Function)이 OMP에 포함된다.
호설정을 위하여 가입자 단말에서 송신되는 신호 정보는 가입자정합모듈(SIM)에서 사용자 단말과 신호 프로토콜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호연결제어프로세서(CCCP)의 사용자신호정합기능(USIF: User Signaling Interface Function)으로 전해진다. USIF는 디코딩된 신호메시지를 호/연결 설정을 제어하는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SCF: User Protocol Control Function)으로 전송한다. USCF에서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에러 검사 후에, 에러가 없으면 설정 요구된 호/연결의 호 종류(자국호, 출중계호)를 판단하기 위하여 국번호 번역기능을 수행하는 NTLF(Number Translation Library Function)을 호출한다. 입중계호인 경우는 타 교환기에서 송신된 호설정 신호 메시지는 중계선정합모듈(TIM)에서 중계선 신호 프로토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CCCP의 망프로토콜 정합기능(NPIF: Network Protocol Interface Function)으로 전해진다. NPIF는 디코딩된 신호 메시지를 중계선 호/연결 설정을 제어하는 망프로토콜 제어기능(NPCF: Network Protocol Control Function)으로 전송한다. NPCF는 수신된 신호 메시지에 대한 에러 검사 후에, 에러가 없으면 USCF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 요구된 호/연결의 호 종류(자국호, 출중계호)를 판단하기 위하여 국번호 번역기능을 수행하는 NTLF(Number Translation Library Function)을 호출한다.
NTLF에서 국번번역으로 자국착신호로 판단되면 착신가입자 번호번역에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SCF) 또는 망프로토콜 제어기능(NPCF)으로 송신하고, USCF 또는 NPCF는 OMP의 번호번역 제어기능(NTCF)으로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2는 ISO 8348에 정의된 NSAP E.164 주소형태이다.
전체 15자리로 구성된 E.164 번호는 도2의 최초영역식별자(IDI) 필드에 BCD로 코딩되는데, 국가번호, 국내망 또는 중계번호(NDC), 가입자 번호(SN)가 모두 포함된다. 국가번호를 포함한 공중망 가입자 번호가 15자리보다 작은 경우 착신 가입자 번호는 IDI 필드의 오른쪽으로 밀어서 코딩되고, 남는 자리는 '0'으로 채운다. 예를 들어, 국가번호를 포함한 전체 가입자 번호가 82-142-860-1234인 경우 도3과 같이 코딩된다.
도4a 내지 도4c는 CCCP에서 가입자 데이터 처리 및 착신단말주소(ESI)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4a는 공중망 사용자망정합(UNI) 링크 정보의 구조로서, 이는 정합모듈(IM) 번호, 링크번호, 가입자 번호(SN) 인덱스, 번호 종류(Type)를 포함하고, 도4b는 공중망 가입자 정보로서, 이는 정합모듈(IM) 번호, 가입자번호(SN) 인덱스, TC 정보 포인터, OFC 정보 포인터, 가입자 번호, UNI 프로토콜 종류, ILMI 정의를 포함한다. 또한, 도4c는 착신단말주소 처리를 위한 OMP의 가입자 번호 데이터 구조로서, 이는 TDN 포인트, TDN 디지트, DGT 상태, next TDN 포인터, ALS 번호, IM 번호, 링크 번호, 신호프로토콜 종류, ILMI 정의상태, ILMI 등록상태, ESI 주소를 포함한다.
도1에서 ILMI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ILMI 정합관리기능(IIMF: Ilmi Interface Management Function) 블럭이 가입자정합모듈(SIM: Subscriber Interface Module)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망 프리픽스(network prefix)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IIMF 블럭은 해당 정합모듈(IM), 링크 번호를 키로 사용하여 CCCP에서 링크별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공중망 사용자망정합(UNI) 링크정보(R_LINK_SS)를 검색한다. 링크에 할당된 번호종류(Number Type)가 E.164이면, 해당 튜플에 대응하는 E.164 가입자 정보(R_USER_INF)를 검색하기 위하여 가입자 번호 인덱스(SN index)를 추출하고, 가입자 번호 인덱스와 정합모듈(IM) 번호를 키로 사용하여 E.164 가입자 번호를 검색한다. E.164 가입자 정보 검색이 성공하면 운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ILMI 프로토콜 구동정보(ILMI 정의)를 검색하여, 구동(true)으로 정의된 경우 자동 주소등록 절차를 실행한다. 자동주소등록을 위하여 IIMF 블럭은 국가번호, 망중계번호(NDC), 가입자국번호를 검색하여야 한다. 국가번호를 검색하기 위하여는 국가번호 종류를 'domestic'으로 설정하여, CCCP에 저장된 국가번호정보 테이블(R_CC_INF)을 검색하고, 검색이 성공하면 해당 튜플에 저장된 국가번호를 추출한다. 망중계번호(NDC)를 검색하기 위하여는 도4b의 가입자 정보에 저장된 TC 정보 포인터를 키로 망중계정보 테이블(R_TC_INF)을 검색한다. 검색이 성공하면, 해당 튜플에 저장된 망중계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가입자 국번을 검색하기 위하여 도4b의 가입자 정보에 저장된 OFC정보 포인터를 키로 가입자 국번호 정보 테이블(R_OFC_INF)을 검색하고, 검색이 성공하면 해당 튜플에 저장된 가입자 국번호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국가번호, 망중계번호, 가입자 국번호와 가입자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가입자 전화번호(STDN: Subscriber Telephone Directory Number)를 조합하여 도3의 IDI필드를 구성하고, HO-DSP(High Order Domain Specific Part)는 모두 '0'으로 설정하여 착신 단말로 송신한다. IIMF가 착신 단말로부터 망 프리픽스(network prefix) 13 옥텟에 착신단말주소(ESI)가 포함된 주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IIMF는 시그널을 사용하여 OMP의 망데이타 제어기능(NDCF)으로 송신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단말주소 등록 시그널을 수신한 OMP의 망데이터 제어기능(NDCF)에서 착신 가입자번호 테이블(R_TDN_TBL)에 착신단말주소를 등록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망데이터 제어기능(NDCF)은 수신한 주소중 도3의 IDI 필드를 망에서 사용하는 데시말 디지트로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국가코드가 포함된 전체 주소로 링크드 리스트로 구성된 국가번호 테이블, 망중계번호 테이블, 가입자국번호 테이블을 검색하여 가입자 국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 국번호인지를 확인한다(101). 국번호 확인이 끝나면 도3의 TDN 번호를 사용하여 링크드 리스트로 구성된 가입자번호 테이블(R_TDN_TBL)을 검색한다(102). 검색한 가입자 번호가 시스템에 운용중이면(103) 망데이타 제어기능(NDCF)은 착신단말주소 등록을 위한 데이터 검증을 시작한다. 가입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사설망 UNI 프로토콜(UNI3.1, UNI4.0)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한다(104).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된 경우 수신한 프로세스 번호에서 시그널을 송신한 ALS 번호를 추출하고(105), 시그널에 포함된 IM, 링크 번호와 가입자의 마지막 번호가 저장된 튜플의 ALS, IM, 링크를 비교한다(106). 해당 정보가 일치하면 수신한 착신단말주소(ESI)를 저장하고(107), 정상등록 결과를 CCCP의 ILMI 프로토콜 처리기능인 IIMF로 송신하며, 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103), 혹은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지 않은 경우(104), 혹은 ALS/IM/링크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106)와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데이터 추가/변경을 실패한 경우에는 실패메시지를 CCCP의 IIMF 블럭으로 송신하여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109).
도4c는 도5의 과정을 통하여 착신 가입자번호에 따른 착신 단말주소(ESI)가 저장되는 OMP의 가입자번호 데이터 구조이다.
도6은 호제어 과정에서 착신단말주소(ESI)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다.
발신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SCF) 또는 입중계 망프로토콜 제어기능(NPCF)은 국번호 번역을 위하여 번호번역 라이브러리 기능(NTLF)을 호출하고, NTLF에서는 국번호 번역을 통하여 호 종류가 자국 착신호인 경우 호종류와 가입자번호 테이블의 시작 포인터를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기능(USCF) 또는 망프로토콜 제어기능(NPCF)으로 전달한다. USCF 또는 NPCF는 착신 가입자가 소속된 ALS/IM/링크 번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NTLF에서 전달받은 가입자번호 테이블 시작 포인터와 20 옥텟의 전체 착신 가입자 번호를 OMP의 번호번역 제어기능(NTCF)으로 송신하여 착신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다. NTCF에서는 수신한 착신가입자 번호를 데시말 디지트로 디코딩한 후(201), 수신한 가입자번호 테이블 시작 포인터를 사용하여 가입자번호 테이블(R_TDN_TBL)을 검색한다(202). 착신 가입자가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가입자이면(203) 가입자번호 테이블의 마지막 튜플에 저장된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과 운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ILMI 프로토콜 사용정보를 확인한다(204).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UNI3.1, UNI4.0)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된 경우에는 착신단말주소(ESI) 등록여부를 확인한다(206). 착신단말주소(ESI)가 등록되어 있으면, 등록된 착신단말주소(ESI)와 해당 튜플에서 추출한 ALS/IM/링크 정보를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다음 호제어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206).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이 사설망(UNI3.1, UNI4.0) 프로토콜이나 운용자에 의하여 ILMI프로토콜이 구동되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204) 해당 튜플의 ALS/IM/링크 정보만을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다음 호제어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205).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 과정에서 착신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이 구동되도록 정의되었으나, 착신단말주소(ESI)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착신번호번역 실패 시그널을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호제어를 중단하도록 한다(20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설망에서는 사설망을 구성하는 모든 가입자를 대상으로 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착신단말주소 처리 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공중망에서는 본 발명을 적용하면 착신 가입자가 실장된 착신 교환기에서 착신단말주소(ESI) 등록과 호제어 과정과의 원활한 착신단말주소 제어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둘째, 사설망 프로토콜(UNI3.1, UNI4.0)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공중망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셋째, 사설망과 공중망의 사용자 단말의 호환성을 제공함으로써 B-ISDN 공중망 서비스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착신단말주소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번호번역 단계에서 호설정을 중단할 수 있어 교환기 자원절약 및 호 제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공중망에서 착신단말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단말주소 등록방법에 있어서,
    착신교환기의 운용유지보수프로세서내의 번호 데이터 제어기능블럭에서 수신된 시그널에 포함된 가입자 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지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운용중이면 가입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제공하는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으면 착신단말주소 등록을 요구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번호, 시그널에 포함된 정합모듈, 링크 번호와, 가입자의 마지막 번호가 저장된 튜플의 가입자 서브시스템 번호, 정합모듈, 링크 번호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해당 번호가 일치하면 수신한 착신단말주소를 저장하고, 그 결과를 송신하는 제4단계; 및
    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거나, 번호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단말주소 등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번호데이터 제어기능블럭이 수신한 주소중 최초영역식별자(IDI) 필드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국가코드가 포함된 전체 주소로 링크드 리스트로 구성된 국가번호 테이블, 망중계번호 테이블, 가입자국번호 테이블을 검색하여 가입자 국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 국번호인지 확인하는 제6단계; 및
    상기 가입자 국번호가 운용중인 국번호이면 상기 디코딩된 주소내에 포함된 가입자 번호를 사용하여 링크드 리스트로 구성된 가입자번호 테이블을 검색하여, 가입자 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지 확인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단말주소 등록방법.
  3. 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번호번역방법에 있어서,
    번호번역제어블럭에서 착신 가입자가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가입자인지 확인하고, 가입자번호 테이블의 마지막 튜플에 저장된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과 운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ILMI 프로토콜 사용정보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된 경우에는 착신단말주소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착신단말주소가 등록되어 있으면, 등록된 착신단말주소와, 해당 튜플에서 추출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정합모듈, 링크 정보를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다음 호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나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이 구동되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튜플에서 추출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정합모듈, 링크 정보만을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다음 호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제4단계; 및
    착신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착신단말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착신번호번역 실패 시그널을 착신 가입자 번호번역을 요구한 프로세스로 송신하여 호제어를 중단하도록 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번호 번역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번호번역제어블럭에서 수신한 착신가입자 번호를 디코딩한 후, 수신한 가입자번호 테이블 시작 포인터를 사용하여 가입자번호 테이블을 검색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6단계에서 착신 가입자가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가입자이면 가입자번호 테이블의 마지막 튜플에 저장된 착신 가입자 프로토콜과 운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ILMI 프로토콜 사용정보를 확인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번호 번역방법.
  5.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교환시스템에,
    수신된 시그널에 포함된 가입자 번호가 시스템에서 운용중인지 확인하는 제1기능;
    상기 제1기능에서 운용중이면 가입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사설망 프로토콜이고, 운용자에 의하여 자동 주소등록 기능을 제공하는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제2기능;
    상기 제2기능에서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으면 착신단말주소 등록 요구 시그널을 송신한 가입자 서브시스템(ALS) 번호, 시그널에 포함된 정합모듈, 링크 번호와, 가입자의 마지막 번호가 저장된 튜플의 가입자 서브시스템 번호, 정합모듈, 링크 번호를 비교하는 제3기능;
    상기 제3기능에서 해당 번호가 일치하면 수신한 착신단말주소를 저장하고, 그 결과를 송신하는 제4기능; 및
    가입자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운용자에 의하여 ILMI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거나, 번호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기능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31706A 1999-08-02 1999-08-02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KR10033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06A KR100333732B1 (ko) 1999-08-02 1999-08-02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06A KR100333732B1 (ko) 1999-08-02 1999-08-02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686A KR20010016686A (ko) 2001-03-05
KR100333732B1 true KR100333732B1 (ko) 2002-04-25

Family

ID=1960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706A KR100333732B1 (ko) 1999-08-02 1999-08-02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7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686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153B2 (en) Network independent party addressing using a unique identifier linked to network specific addresses
US6198738B1 (en) Communications between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packetized data networks
US8130789B2 (en) Connecting transactional messages for GSM mobile operators over two disparate networks
KR100805507B1 (ko) 엠엔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26278B1 (ko) 상이한망에서음성접속을셋업하기위한방법및시스템
US6473626B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with fixed and mobile subscribers
BRPI0613848A2 (pt) método para estabelecer comunicação entre um primeiro dispositivo e um segundo dispositivo, sistema para estabelecer comunicação entre um primeiro dispositivo e um segundo dispositivo, sistema de sinalização e aparelho para comunicação através de uma rede
RU99116311A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независимой от места нахождения процедуры набора номера в сети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EP0909523A1 (en) A gateway unit
US6356627B1 (en)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pparatus and management and signalling method therein
JP2001513618A (ja) 通信接続確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33732B1 (ko)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착신단말주소의 등록방법 및 착신번호 번역방법
AU750007B2 (en) Radio terminal operation data write method in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92336B1 (ko) 교환 시스템에서 국번 번역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국번번역 방법
US6801616B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service signaling message, switching center, converter node, and service control point
KR100275514B1 (ko) 공중망에서 중계망 선택정보를 반영한 루팅 시나리오 결정방법
KR0173378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팀에서 입중계 중계선 호제공 방법
KR100320407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번역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27585A (ko) 이동통신망에서 문자를 이용한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WO1999049670A1 (en) Management of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198787B1 (ko) 이동 응용부 프로토콜의 해독화 및 부호화 방법
KR100560138B1 (ko) 멀티 프로토콜 연동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번호 이동성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960003980B1 (ko) 이동 통신 교환기의 가입자 상태 관리 데이타 운용 방법
KR100292991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가입자 신호 프로토콜 수용 방법
KR20000013859A (ko) 공중망 어드레스와 비동기 전송 모드 종단 시스템 어드레스 사이의 어드레스 변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