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225B1 -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 Google Patents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225B1
KR100332225B1 KR1020000022486A KR20000022486A KR100332225B1 KR 100332225 B1 KR100332225 B1 KR 100332225B1 KR 1020000022486 A KR1020000022486 A KR 1020000022486A KR 20000022486 A KR20000022486 A KR 20000022486A KR 100332225 B1 KR100332225 B1 KR 100332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haft
disposed
power transmission
pulle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959A (ko
Inventor
권형종
Original Assignee
권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종 filed Critical 권형종
Priority to KR102000002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2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산업현장에서 동력전달에 관여하는 각종 장치들을 소형화하여 일관되게 연결 구동시킴으로써, 동력이 전달되는 원리를 학생들에게 쉽게 교습시킬 수 있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는 일정크기의 다이 상에서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고 콘트롤 박스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제 1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제 1 구동모터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동력의 전달과정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1 동력 전달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동력 전달부로터 상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2 동력 전달부를 구비하며, 제 1 동력 전달부로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수평 회전운동과 수직 회전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동력 전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콘트롤 박스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제 2 구동모터 및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며, 제 2 구동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에 의해서 운동하는 이동체의 반복적인 왕복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4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Educational kit for showing power transmitting process}
본 발명은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동력전달에 관여하는 각종 장치들을 소형화하여 일관되게 연결 구동시킴으로써, 동력이 전달되는 원리를 학생들에게 쉽게 교습시킬 수 있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널리 쓰이는 동력전달 장치로는 각종기어, 벨트와 풀리, 감속기등의 여러 부품들이 있다. 이러한 부품들의 작동원리나 동력전달과정을 교육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해서는, 각각의 동력전달 장치들이 설치된 공장을 견학시키거나 또는 이들 장치를 입수하여 실습시켜야 하였다.
그런데, 이와같은 교육방법은 현장접근의 곤란성과 함께, 구입비용이 적지않게 소요되는 다량의 동력전달장치들을 일일이 입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학습능률의 저하 및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현장에서 동력전달에 관여하는 각종 장치들을 소형화하여 일관되게 연결 구동시킴으로써, 동력이 전달되는 원리를 학생들에게 쉽게 교습시킬 수 있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의 평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동력 전달장치 키트 110 : 제 1 동력전달부
210 : 제 2 동력전달부 310 : 제 3 동력전달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일정크기의 다이 상에서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고 콘트롤 박스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제 1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제 1 구동모터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동력의 전달과정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1 동력 전달부;
다이 상에 배치되고, 제 1 동력 전달부로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2 동력 전달부;
다이 상에 배치되고, 제 1 동력 전달부로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수평 회전운동과 수직 회전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동력 전달부; 그리고
다이 상에 배치되고, 콘트롤 박스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제 2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제 2 구동모터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제 2 구동축의 자유단에는 제2 커플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제 2 커플링의 타단에는 볼 스크류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볼 스크류의 상에는 볼 스크류를 따라서 왕복운동하는 이동체가 배치되며, 이동체의 양측에는 이동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축이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축의 끝단에는 제 2 회전롤러가 결합되고, 제 2 회전롤러는 제 2 회전롤러의 하단에 배치된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며, 각각의 가이드의 양측에는 제 2 회전롤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배치되는 제 3 동력전달부(310)를 포함하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현장에서 동력전달에 관여하는 각종 장치들을 소형화하여 일관되게 연결 구동시킴으로써, 동력이 전달되는 원리를 학생들에게 쉽게 교습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100)는 일정크기의 다이(101) 상에 설치된 동력 전달장치 키트(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102), 콘트롤 박스(102)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제 1 동력전달부(110), 제 2 동력전달부(210) 및 제 3 동력전달부(310)를 구비한다.
먼저, 제 1 동력전달부(110)는 콘트롤 박스(102)의 일측에 배치되어 콘트롤 박스(102)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되는 제 1 구동모터(112)를 구비한다. 제 1 동력 전달부(110)는 제 1 구동모터(112)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동력의 전달과정을 가시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 제 1 구동모터(112)의 일단에는 제 1 구동축(113)이 일체로 돌출되며, 제 1 구동축(113)의 자유단에는 제 1 커플링(114)의 일단 결합되고, 제 1 커플링(114)의 타단에는 제 1 회전축(116)이 연결된다. 제 1 회전축(116)의 자유단에는 클러치(118)가 배치되어 회전하게 되고, 클러치(118)의 타단에는 제 2 회전축(120)이 연장되며, 제 2 회전축(120) 자유단에는 제 1 풀리(122)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제 1 풀리(122)의 일측에는 제 1 벨트(124)에 의해서 제 1 풀리(12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2 풀리(126)가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 2 풀리(126)의 일측에는 제 2 풀리(126)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128)가 제 2 회전축(120)에 평행하게배치되며, 감속기(128)의 중간에는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 회전축(130)이 감속기(128)에 대해서 수직하게 결합된다. 제 3 회전축(130)의 자유단에는 제 1 스프로킷(133) 및 제 2 스프로킷(134)을 가지는 이중 스프로킷(132)이 장착되어 회전된다.
한편, 제 2 동력전달부(210)는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10)로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 제 1 스프로킷(133)의 일측에는 제 1 체인(136)에 의해서 제 1 스프로킷(13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3 스프로킷(138)이 이중 스프로킷(132)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제 3 스프로킷(138)의 일측으로는 제 3 회전축(1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3 스프로킷(138)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4 회전축(140)이 배치된다. 제 4 회전축(140)의 일단에는 제 1 유니버셜 죠인트(142)가 결합되고, 제 1 유니버셜 죠인트(142)의 타단에는 제 5 회전축(144)이 결합되며, 제 5 회전축(144)에 일단에는 제 2 유니버셜 죠인트(146)의 일단이 결합된다. 제 2 유니버셜 죠인트(146)의 타단에는 제 6 회전축(148)이 결합되어 회전하며, 제 6 회전축(148)의 자유단에는 제 1 베벨기어(150)가 결합되어 회전된다.
제 1 베벨기어(150)는 제 1 베벨기어(150)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베벨기어(152)와 맞물려서 화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제 2 베벨기어(152)의 일측에는 제 7 회전축(154)의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된다. 제 7 회전축(154)은 제 6 회전축(148)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다. 제 7 회전축(154)의 타단에는 제 7 회전축(154)과 함께 회전하는 제 1 헬리컬 기어(156)가 결합된다. 제 1 헬리컬 기어(156)의 일측에는 제 1 헬리컬 기어(156)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2 헬리컬 기어(158)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제 2 헬리컬기어(158)의 일측에는 제 7 회전축(154)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제 8 회전축(160)이 결합된다. 제 8 회전축(160)의 자유단에는 캠(162)의 일측이 일체로 부착되며, 캠(162)의 타측에는 연장돌기(164)가 형성된다. 연장돌기(164)에는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대(166)가 장착된다. 왕복대(166)는 제 8 회전축(16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왕복대(166)의 자유단에는 왕복운동을 하는 래크(168)가 배치된다. 래크(168)의 상측에는 래크(168)와 한조를 이루는 피니언(170)이 래크(168)와 맞물리도록 제 9 회전축(172)에 고정배치된다. 피니언(170)은 래크(168)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력을 제 9 회전축(172)에 전달한다. 제 9 회전축(172)은 제 8 회전축(160)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9 회전축(172)의 자유단에는 제 3 베벨기어(174)가 결합되어 회전된다. 제 3 베벨기어(174)의 상측에는 제 3 베벨기어(174)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 3 베벨기어(174)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4 베벨기어(176)가 배치된다. 또한, 제 4 베벨기어(176)의 중앙에는 제 4 베벨기어(176)의 중심축이 되는 제 10 회전축(178)이 수직하게 설치된다. 제 10 회전축(178)의 수직 상단에는 환형의 턴 테이블(180)이 부착되어 회전된다.
한편, 제 3 동력전달부(310)는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10)로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 제 2 체인(212)에 의해서 제 2 스프로킷(134)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4 스프로킷(214)을 구비한다. 제 4 스프로킷(214)의 일측으로는 제 3 회전축(13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4 스프로킷(21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1 회전축(216)이 배치된다. 제 11 회전축(216)에는 제 3 풀리(218)가 결합되며, 제 3 풀리(218)에는 제 2 벨트(220)의 일단이 끼워진다. 제 2 벨트(220)의 타단은 제 3 풀리(218)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제 4 풀리(222)에 끼워진다.
다시, 제 4 풀리(222)의 일측에는 제 11 회전축(216)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2 회전축(224)이 설치된다. 제 12 회전축(224) 상에는 제 1 워엄기어(226)가 배치되고, 제 1 워엄기어(226)의 상측에는 제 1 워엄기어(226)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2 워엄기어(228)가 배치된다. 또한, 제 2 워엄기어(228)의일측으로는 제 2 워엄기어(228)로 부터 연장된 연장축의 끝단에 드럼(230)이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제 12 회전축(224)의 끝단에는 제 5 풀리(230)가 결합된다. 제 5 풀리(230)에는 제 3 벨트(232)의 일단이 끼워지고, 제 3 벨트(232)의 타단은 제 5 풀리(230)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제 6 풀리(234)에 끼워진다. 제 6 풀리(234)의 일측에는 제 12 회전축(224)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제 13 회전축(236)이 결합된다. 제 13 회전축(236) 상에는 제 13 회전축(236)과 함께 회전하는 워엄스크류(238)가 배치된다. 워엄스크류(238)의 일측에는 워엄스크류(238)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3 워엄기어(240)가 배치되며, 제 3 워엄기어(240)의 회전력은 제 3 워엄기어(240)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제 14 회전축(242)에 전달된다. 제 14 회전축(242)의 상단에는 원통형 캠(246)이 배치된다. 원통형 캠(246)의 상단면상에는 원통형 캠(246)의 상단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 1 회전롤러(248)가 배치된다. 제 1 회전롤러(248)의 일측에는 제 1 회전롤러(248)를 지지하며 제 1 회전롤러(248)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수직축(250)이 배치된다. 수직축(250)의 일측에는 수직축(250)을 지지하는 링크(252)가 배치된다.
한편, 제 4 동력전달부(410)는 콘트롤 박스(102)의 타측에 배치되어 콘트롤 박스(102)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되는 제 2 구동모터(312)를 구비한다. 제 2 구동모터(312)의 일단에는 제 2 구동축(313)이 일체로 돌출되며, 제 2 구동축(313)의 자유단에는 제 2 커플링(314)의 일단 결합되고, 제 2 커플링(314)의 타단에는 볼 스크류(316)가 연장된다. 볼 스크류(316)의 상에는 볼 스크류(316)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이동체(318)가 배치된다. 이동체(318)의 양측에는 이동체(318)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축(320)이 형성된다. 각각의 고정축(320)의 끝단에는 제 2 회전롤러(322)가 결합된다. 제 2 회전롤러(322)는 제 2 회전롤러(322)의 하단에 배치된 가이드(324)를 따라 이송된다. 각각의 가이드(324)의 양측에는 제 2 회전롤러(32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324)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는 산업현장에서 동력전달에 관여하는 각종 장치들을 적은 비용으로 소형화하여 일관되게 연결 구동시킴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현장에 직접나가지 않아도 동력전달장치들의 작동상태를 교육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능률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일정크기의 다이(101) 상에서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고 콘트롤 박스(102)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제 1 구동모터(112)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구동모터(112)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동력의 전달과정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1 동력 전달부(110);
    상기 다이(1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10)로터 상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2 동력 전달부(210);
    상기 다이(1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10)로터 상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수평 회전운동과 수직 회전운동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 3 동력 전달부(310); 그리고
    상기 다이(10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102)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제 2 구동모터(312)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312)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제 2 구동축(313)의 자유단에는 제 2 커플링(314)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 2 커플링(314)의 타단에는 볼 스크류(316)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볼 스크류(316)의 상에는 상기 볼 스크류(316)를 따라서 왕복운동하는 이동체(318)가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318)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체(318)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축(320)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고정축(320)의 끝단에는 제 2 회전롤러(322)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회전롤러(322)는 상기 제 2 회전롤러(322)의 하단에 배치된 가이드(324)를 따라 이송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324)의 양측에는 상기 제 2 회전롤러(32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324)가 배치되는 제 3 동력전달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110)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11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 1 구동축(113)의 자유단에는 제 1 커플링(114)의 일단 결합되며, 상기 제 1 커플링(114)의 타단에는 제 1 회전축(116)이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회전축(116)의 타단에는 클러치(118)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118)의 타단에는 제 2 회전축(12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축(120) 타단에는 제 1 풀리(122)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풀리(122)는 제 1 벨트(124)에 의해서 제 2 풀리(126)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풀리(126)는 상기 제 1 풀리(122)에 대하여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풀리(126)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회전축(120)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풀리(126)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128)가 배치되고, 상기 감속기(128)의 중간에는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 회전축(130)이 상기 감속기(128)에 대해서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3 회전축(130)의 자유단에는 제 1 스프로킷(133)과 제 2 스프로킷(134)을 가지는 이중 스프로킷(13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210)에서, 상기 제 1스프로킷(133)의 일측에는 제 1 체인(136)에 의해서 상기 제 1 스프로킷(13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3 스프로킷(138)이 상기 이중 스프로킷(132)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스프로킷(138)의 일측으로는 상기 제 3 회전축(1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3 스프로킷(138)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4 회전축(140)이 배치되며, 상기 제 4 회전축(140)의 일단에는 제 1 유니버셜 죠인트(142)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유니버셜 죠인트(142)의 타단에는 제 5 회전축(144)이 결합되며, 상기 제 5 회전축(144)에 일단에는 제 2 유니버셜 죠인트(146)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유니버셜 죠인트(146)의 타단에는 제 6 회전축(148)이 결합되어 회전하며, 제 6 회전축(148)의 자유단에는 제 1 베벨기어(150)가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 1 베벨기어(150)는 상기 제 1 베벨기어(150)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베벨기어(152)와 맞물려서 회전하며, 회전하는 상기 제 2 베벨기어(152)의 일측에는 상기 제 6 회전축(148)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되는 제 7 회전축(154)의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 7 회전축(154)의 타단에는 제 1 헬리컬 기어(156)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헬리컬 기어(156)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헬리컬 기어(156)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2 헬리컬 기어(158)가 동일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헬리컬기어(158)의 일측에는 상기 제 7 회전축(154)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제 8 회전축(160)이 결합되고, 상기 제 8 회전축(160)의 자유단에는 타측에 연장돌기(164)가 형성된 캠(162)의 일측이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연장돌기(164)에는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대(166)가 장착되며, 상기 왕복대(166)는 상기 제 8 회전축(160)에 대하여 수직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왕복대(166)의 자유단에는 왕복운동을 하는 래크(168)가 배치되며, 상기 래크(168)의 상측에는 상기 래크(168)와 한조를 이루는 피니언(170)이 상기 래크(168)와 맞물리도록 제 9 회전축(172)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피니언(170)은 상기 래크(168)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력을 상기 제 9 회전축(172)에 전달하며, 상기 제 9 회전축(172)은 상기 제 8 회전축(160)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9 회전축(172)의 자유단에는 제 3 베벨기어(174)가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 3 베벨기어(174)의 상측에는 상기 제 3 베벨기어(174)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3 베벨기어(174)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4 베벨기어(176)가 배치되고, 상기 제 4 베벨기어(176)의 중앙에는 상기 제 4 베벨기어(176)의 중심축이 되는 제 10 회전축(178)이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0 회전축(178)의 수직 상단에는 환형의 턴 테이블(180)이 부착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동력 전달부(310)에서, 상기 제 2 스프로킷(134)은 제 2 체인(212)에 의해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4 스프로킷(214)을 구비하고, 상기 제 4 스프로킷(214)의 일측에는 상기 제 3 회전축(13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단에는 제 3 풀리(218)가 결합되는 제 11 회전축(216)이 배치되며, 상기 제 3 풀리(218)에는 제 2 벨트(22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제 2 벨트(220)의 타단은 상기 제 3 풀리(218)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제 4 풀리(222)에 끼워지며, 상기 제 4 풀리(222)의 일측에는 상기 제 11 회전축(216)에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2 회전축(224)이 설치되고, 상기 제 12 회전축(224) 상에는 제 1 워엄기어(226), 상기 제 1 워엄기어(226)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2 워엄기어(228)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워엄기어(228)의 일측으로는 상기 제 2 워엄기어(228)로 부터 연장된 연장축의 끝단에 드럼(23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2 회전축(224)의 끝단에는 제 5 풀리(230)가 결합되며, 상기 제 5 풀리(230)에는 제 3 벨트(232)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제 3 벨트(232)의 타단은 상기 제 5 풀리(230)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제 6 풀리(234)에 끼워지며, 상기 제 6 풀리(234)의 일측에는 상기 제 12 회전축(224)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제 13 회전축(236)이 결합되고, 상기 제 13 회전축(236) 상에는 상기 제 13 회전축(236)과 함께 회전하는 워엄스크류(238), 상기 워엄스크류(238)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3 워엄기어(240)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워엄기어(240)의 회전력은 상기 제 3 워엄기어(240)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제 14 회전축(242)에 전달되며, 상기 제 14 회전축(242)의 상단에는 원통형 캠(246)이 배치되고, 상기 원통형 캠(246)의 상단면상에는 상기 원통형 캠(246)의 상단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 1 회전롤러(248)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전롤러(248)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회전롤러(248)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회전롤러(248)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수직축(250)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축(250)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축(250)을 지지하는 링크(25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KR1020000022486A 2000-04-27 2000-04-27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KR10033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486A KR100332225B1 (ko) 2000-04-27 2000-04-27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486A KR100332225B1 (ko) 2000-04-27 2000-04-27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959A KR20010097959A (ko) 2001-11-08
KR100332225B1 true KR100332225B1 (ko) 2002-04-12

Family

ID=1966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486A KR100332225B1 (ko) 2000-04-27 2000-04-27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45B1 (ko) * 2002-02-19 2004-07-09 이광천 비닐백용 손잡이 자동 부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011B1 (ko) * 2008-10-07 2010-08-09 김복희 교육용 자동차 키트
KR20210062430A (ko) 2019-11-21 2021-05-31 대한민국(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장) 동력 전달 장치를 활용한 교육 시스템
KR102319346B1 (ko) * 2020-12-02 2021-11-01 이건준 교육용 동력 전달 기계요소 시뮬레이션 장치
CN114360413B (zh) * 2022-01-17 2023-10-13 安庆师范大学 一种创新创业教育用宣传展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45B1 (ko) * 2002-02-19 2004-07-09 이광천 비닐백용 손잡이 자동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959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71584B (zh) 一种凸轮机构综合演示教具
DE69904803D1 (de) Rührwerk mit magnetischem Antrieb und Verfahren zur Drehmomenteinstellung für die Kraftübertragung eines derartigen Rührwerks
KR100332225B1 (ko) 교육용 동력 전달장치 키트
KR830010234A (ko) 왕복동 재봉침에 대한 작업물의 위치결정장치
CN103406047A (zh) 一种高效电动搅拌装置
US6848356B1 (en) Blending apparatus for ice cream
US4725191A (en) Industrial robot assembly
US20240140720A1 (en) Conveying device
KR100595372B1 (ko) 캡핑기
CN106142129B (zh) 一种用于动力转向的同步皮带传动结构
DE50213283D1 (de) Hydrostatischer Antrieb und Schaltverfahren
CN104318853B (zh) 凸轮反转原理演示仪
CN205810235U (zh) 机械十字联轴传动机构演示教具
KR200167167Y1 (ko) 수직다관절형 팔레타이징 로봇의 축 구동장치
SU1434196A1 (ru) Шарикова передача В.М.Красно рова
KR20210062430A (ko) 동력 전달 장치를 활용한 교육 시스템
CN103971581A (zh) 一种环形轨道式拆装测绘综合试验台
US3926064A (en) Gear transmission reduction for division of power
KR890000733B1 (ko) 조종기
KR100355634B1 (ko) 로봇용 관절장치
CN117831403A (zh) 一种多功能机械传动教具
KR920000667B1 (ko) 오실레이션 장치(Oscillation System)
CN203759972U (zh) 一种凸轮绘图仪
CN211819338U (zh) 一种双向齿条式抽油机
KR200362257Y1 (ko) 캡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