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334B1 - 음극선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334B1
KR100331334B1 KR1019980055744A KR19980055744A KR100331334B1 KR 100331334 B1 KR100331334 B1 KR 100331334B1 KR 1019980055744 A KR1019980055744 A KR 1019980055744A KR 19980055744 A KR19980055744 A KR 19980055744A KR 100331334 B1 KR100331334 B1 KR 10033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tector
high voltage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182A (ko
Inventor
임남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334B1/ko
Priority to US09/449,614 priority patent/US6396222B1/en
Publication of KR2000004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3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션용 텔레비전에서 파워 온/오프시 고압의 잔량 지속 또는 비정상적인 동작으로부터 음극선관을 보호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 보호장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있어서,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을 출력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고압 출력부의 변동분을 검출하는 고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음극선관 드라이브, 상기 음극선관 드라이브의 동작상태에 따라 중압퓨즈의 단락 상태를 검출하는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의 고압 변동량과 상기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의 단락상태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중압 퓨즈가 단락된 경우 상기 고압 변동량에 상관없이 상기 고압 출력부의 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적으로는 CRT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부품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CRT의 손상으로 인한 CRT 교환시 포커스, 컨버전스 조정 등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서비스 비용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보호 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션(Projection)용 텔레비전에서 파워 온/오프시 고압의 잔량 지속 또는 비정상적인 동작으로부터 음극선관(Cathode-ray Tube, 이하 CRT라 지칭함)을 보호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젝션용 CRT는 작인 인치에 강한 전류 빔(Beam)을 투사함으로 인하여 파워 온/오프시 고압의 잔량 지속 또는 비정상적인 경우에 CRT 드라이브 회로의 파괴로 인하여 CRT 파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CRT 파괴 현상에 의하여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는 치명적인 흠으로 간주되어 파괴된 CRT를 새로 교체해야 함으로 A/S 비용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1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 이라 함) 펄스의 가변을 이용한 고압 변동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CRT(150)에 빔 변동이 발생할 경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110) 내부의 고압 변동 검출 저항(미도시)을 통한 신호를 PWM 처리부(120)로 입력하여 기준신호와의 에러값을 검출하여 차동 증폭한다. PWM 처리부(120)에서는 수평 블랭크(Blank)된 삼각파 발생 파형과 에러 검출값을 비교하여 에러 검출값에 따른 펄스 파형을 출력한다. 이 펄스는 고압 출력부(100)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통하여 스토리지 트랜스포터(미도시)의 1차 권선에 전류를 저장하여 고압 펄스 발생기간에 2차 권선에 유기 시켜서 기본 고압 펄스에 변동된 만큼의 펄스를 더하여 보상해 준다. 신호처리부(130)는 CRT(140)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CRT(140)를 구동시키는 CRT 드라이브(140)로 출력한다.
종래에는 파워 온/오프 시 편향동작 정지 상태에서 CRT의 콘덴서 성분에 의하여 충전되어 있는 고압의 잔량이 지속됨으로 특히 PWM 방식의 고압 제어에서는 고압 레귤레이션의 향상으로 편향 동작 비대고압 잔량이 더 지속된다. 이로 인하여 파워 오프시 강한 잔류 빔이 한 점으로 스포트(Spot) 현상이 발생하여 CRT가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정상적인 경우(예를 들어, 빔 CRT는 내부 방전이 자주 발생된다)에 CRT 드라이브의 구동 부품이 파괴되면서 중압전원이 과도하게 접지로 흐르게 된다. 이때 보호용 저항이 파괴되면서 중압 전원이 CRT 드라이브 회로로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역극성 드라이브 방식인 CRT는 최대 빔이 발생하며 화면은 가장 밝은 즉 ABL 제어가 전혀 동작하게 않는 상태로 된다. 이때 파워 오프시에는 강한 스포트가 발생하여 CRT 가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제1 과제는 시스템 전원중 빠르게 오프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고압을 차단함으로써 고압 잔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포트 빔 발생을 억제하여 CRT를 보호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제2 과제는 비정상적인 경우에 발생하는 CRT 파괴를 보호하기 위하여 중압 전원 오프 유무를 검출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역시 고압을 차단하여 CRT를 보호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제3 과제는 파워 온/오프시 고압의 잔량 지속 또는 비정상적인 동작으로부터 CRT를 보호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의 상세도 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1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음극선관 보호장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있어서,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을 출력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고압 출력부의 변동분을 검출하는 고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음극선관 드라이브; 상기 음극선관 드라이브의 동작상태에 따라 중압퓨즈의 단락 상태를 검출하는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 및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의 고압 변동량과 상기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의 단락상태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중압 퓨즈가 단락된 경우 상기 고압 변동량에 상관없이 상기 고압 출력부의 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2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음극선관 보호장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있어서,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을 출력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고압 출력부의 변동분을 검출하는 고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구동하는 전원중 폴링 타임이 가장 빠른 전원을 검출하는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 상기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 및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의 고압 변동량과 상기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의 전원 온/오프 전압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순간 상기 고압 변동량에 상관없이 상기 고압 출력부의 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3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음극선관 보호장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있어서,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을 출력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고압 출력부의 변동분을 검출하는 고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음극선관 드라이브; 상기 음극선관 드라이브의 동작상태에 따라 중압퓨즈의 단락 상태를 검출하는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 상기 프로젝션 텔레비전을 구동하는 전원중 폴링 타임이 가장 빠른 전원을 검출하는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 상기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 및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의 고압 변동량과 상기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의 단락상태 및 상기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의 전원 온/오프 전압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중압 퓨즈가 단락 되거나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순간 상기 고압 변동량에 상관없이 상기 고압 출력부의 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CRT(200), 화면의 밝기 및 입력되는 PWM 펄스에 따라 고압 빔 전류를 변화시키는 고압 출력부(210), 고압 출력부(210)에서 출력되는 고압 빔 전류를 이용하여 수상관용 고압을 제공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지칭함)(220), CRT(20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30), CRT(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CRT 드라이브(240), CRT 드라이브(240)에서 출력되는 중압 전원을 감지하여 퓨즈의 단락 유/무를 검출하는 중압전원 퓨즈단락 검출부(250), 시스템 공급 전원중 파워 오프시에 폴링 타임(Falling Time)이 가장 빠른 전원을 검출하는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260),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260)에서 검출된 폴링 타임이 가장 빠른 전원에 의해 전원 라인이 오프 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 FBT(220)의 고압 변동신호, 중압전원 퓨즈단락 유/무 검출부(250)의 퓨즈 단락 유/무 신호,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의 전원 오프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CRT(200)를 보호하기 위한 PWM 펄스를 발생시키는 PWM 처리부(280)로 구성된다.
도 3은 도2의 상세도로 고압 출력부(210)는 트랜지스터(Q1), 다이오드(D1,D2), 캐패시터(C1,C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이하 FET라 지칭함), 스토리지 트랜스포머(Storage Transformer)(T1)로 구성되고, FBT(220)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T2), 고압 변동 검출 저항(R1)으로 구성되고, 중압전원 퓨즈단락 유/무 검출부(250)는 중압전원을 감지하여 퓨즈저항(300)이 단락된 경우 그 값을 하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2), 다수의 저항(R2∼R6), 다이오드(D3,D4), 캐패시터(C3)로 구성되고,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는 폴링타임이 가장 짧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그 값을 하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3), 다수의 저항(R7,R8,R9)으로 구성되고, PWM 처리부(280)는 고압 변동 검출 저항(R1)에 의한 고압 변동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281), 수평 블랭킹 펄스와 로크(LOCK)된 삼각파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282), 에러검출부(281)의 출력과 삼각파 발생부(282)에서 발생된 삼각파를 비교하여 고압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PWM 펄스를 발생시키는 비교기(283), 중압전원 퓨즈단락 유/무 검출부(250)의 출력과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의 출력으로 고압을 차단하는 데드 타임(Dead Time) 검출부(284), 데드타임 검출부(284)의 출력을 논리합 처리하는 논리합 게이트(285), 비교기(283)의 출력과 논리합 게이트(285)의 출력을 논리곱 하는 논리곱 게이트(286), 논리곱 게이트(286)에서 출력된 PWM 펄스를 고압 출력부(210)로 출력시키는 PWM 펄스 출력부(287)로 구성되고, CRT(200)에 고압을 공급하기 위한 애노드 전압 공급부(310), 중압전원 퓨즈단락 유/무 검출부(250)에 중압 전원을 공급하는 중압전원 공급부(320)로 구성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압 출력부(210)는 대형화, 고 정세도(High Definition), 그래프, 컴퓨터 디스플레이가 되면서 안정된 화면이 되도록 고압 레귤레이션의 정밀도가 필요 되므로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가 요구된다.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방식에 따라서 고압 변동 검출을 이용하여 고압 출력회로의 공급 전원을 가변하여 일정한 고압을 유지하는 방식과 변동된 값을 주파수로 가변하여 고압 안정화를 수행하는 방식과 고압 변동된 값을 PWM 펄스 파형으로 가변하여 고압을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는 간략하고 쉽게 구현이 가능한 회로로 고압 안정화에 우수한 PWM 펄스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고압 안정화를 성취하고자 한다.
고압 출력부(210)는 화면의 밝기에 따라서 고압 빔 전류가 변하게 되고, 이 빔 전류에 의하여 고압이 변동된다. 수평 드라이브 파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고압을 출력하게 되고 이때 스토리지 트랜스포머(T1)는 고압 레귤레이션을 제어한다. 스토리지 트랜스포머(T1)의 제2차측으로 유도된 변동된 고압은 FBT(220)(T2)의 1차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변동된 고압은 FBT(220)(T2)의 고압 검출 저항(R1)으로부터 검출된다.
고압 검출 저항(R1)에 의해 검출된 변동된 고압 신호는 에러 검출부(281)에 입력된다. 에러 검출부(281)는 변동된 고압 신호와 기준 전압 신호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차동 증폭하여 비교기(283)에 입력한다. 삼각파 발생부(282)는 수평 블랭킹 펄스 신호와 LOCK 되어진 삼각파를 발생시켜 비교기(283)에 입력한다. 비교기(283)는 에러 검출부(281)의 차이값 및 삼각파 발생부(282)의 삼각파를 비교하여 PWM 펄스를 발생시킨다.
스포트 킬러(Spot Killer)(미도시)는 파워 오프시에 CRT(200)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로, 파워 오프시에 이 회로가 작동하더라도 편향이 종료된 상태에서 고압 잔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스포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데드타임 검출부(284)는 이러한 지속적 고압 잔량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중압전원 퓨즈단락 유/무 검출부(250) 및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의 출력을 이용하여 고압을 차단한다.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260)는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전원 중에서 폴링 타임이 가장 빠른 전원을 검출하고,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는 전원이 오프되는 순간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하이(High) 전압을 데드타임 검출부(284)로 입력한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으로 CRT 드라이브(240)의 부품 파괴로 인하여 CRT(200)의 중압(캐소드 전압)이 접지로 다운되면서 전원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퓨즈 저항(300)을 단락 시킨다. 이때 CRT 드라이브(240)가 역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중압이 입력되지 않으면 CRT(200) 표면에 강한 빔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때 파워가 오프되면 대량의 전자빔의 지속으로 인하여 70∼90% 정도 스포트가 발생하여 CRT가 파괴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압전원 퓨즈 단락 유/무 검출부(250)는 정상적인 경우(퓨즈저항(300)이 단락 되지 않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로우(Low) 전압, 비정상적인 경우(퓨즈저항(300)이 단락된 경우)에는 하이 전압을 발생시켜 데드타임 검출부(284)로 입력한다.
데드타임 검출부(284)는 중압전원 퓨즈단락 유/무 검출부(250) 및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에서 출력 전압으로 고압 차단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논리합 게이트(285)는 데드타임 검출부(284)에서 출력되는 고압 차단 검출신호를 논리합 하여 중압전원 퓨즈단락 유/무 검출부(250) 및 전원라인 오프타임 검출부(270) 어느 하나에서 하이 전압이 검출되더라도 하이 전압신호 즉, 고압 차단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논리곱 게이트(286)는 비교기(283)에서 출력되는 PWM 펄스를 논리합 게이트(285)의 출력이 하이 일 경우에만 출력되도록 동작시킨다.
논리곱 게이트(286)에서 출력된 PWM 펄스는 PWM 펄스 출력부(287)를 통하여 고압 출력부(210)의 전류 제어용 FET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FET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신호는 전압 변동에 따라서 펄스 듀티(Duty)가 가변된다. 이 가변된 듀티에 의해 고압 출력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량을 스토리지 트랜스포머(T1) 1차 권선에 에너지로 저장한다. 저장된 에너지는 저 트레이스 스캔 기간 중에 2차 권선으로 에너지를 유기시킨다. 유기된 에너지는 FBT(220)(T2) 1차권선 리액턴스와 공진 콘덴서(C1)에서 공진되는 공진 파형에 부과하여 고압 변동을 보상해 주는 고압 안정화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적으로는 CRT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부품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CRT의 손상으로 인한 CRT 교환시 포커스, 컨버전스 조정 등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서비스 비용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있어서,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을 출력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고압 출력부의 변동분을 검출하는 고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음극선관 드라이브;
    상기 음극선관 드라이브의 동작상태에 따라 중압퓨즈의 단락 상태를 검출하는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 및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의 고압 변동량과 상기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의 단락상태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중압 퓨즈가 단락된 경우 상기 고압 변동량에 상관없이 상기 고압 출력부의 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처리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처리부는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고압 출력의 변동분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에러검출부;
    수평 블랭킹 펄스신호와 로크되어진 삼각파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
    상기 에러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삼각파 발생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고압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PWM 펄스를 발생시키는 비교기;
    상기 중압전원 퓨즈단락 검출부의 중압퓨즈의 단락 상태를 검출하여 고압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데드타임 검출부;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 및 데드타임 검출부의 출력을 논리곱 연산하는 논리곱 연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
  3. 프로젝션 텔레비젼에 있어서,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을 출력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고압 출력부의 변동분을 검출하는 고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구동하는 전원중 폴링 타임이 가장 빠른 전원을 검출하는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
    상기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 및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의 고압 변동량과 상기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의 전원 온/오프 전압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순간 상기 고압 변동량에 상관없이 상기 고압 출력부의 출력을 억제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한 펄스 변조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펄스폭 변조 처리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처리부는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고압 출력의 변동분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에러검출부;
    수평 블랭킹 펄스신호와 로크되어진 삼각파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
    상기 에러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삼각파 발생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고압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PWM 펄스를 발생시키는 비교기;
    상기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의 전원이 오프되는 순간 고압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데드타임 검출부;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 및 데드타임 검출부의 출력을 논리곱 연산하는 논리곱 연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
  5.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있어서,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을 출력하는 고압 출력부;
    상기 고압 출력부의 변동분을 검출하는 고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음극선관을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음극선관 드라이브;
    상기 음극선관 드라이브의 동작상태에 따라 중압퓨즈의 단락 상태를 검출하는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
    상기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구동하는 전원중 폴링 타임이 가장 빠른 전원을 검출하는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
    상기 폴링타임 전원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 및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의 고압 변동량과 상기 중압전원 퓨즈 단락 검출부의 단락상태 및 상기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의 전원 온/오프 전압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중압 퓨즈가 단락되거나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순간 상기 고압 변동량에 상관없이 상기 고압 출력부의 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 처리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처리부는
    상기 고압 변동량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고압 출력의 변동분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에러검출부;
    수평 블랭킹 펄스신호와 로크되어진 삼각파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
    상기 에러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삼각파 발생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고압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PWM 펄스를 발생시키는 비교기;
    상기 중압전원 퓨즈단락 검출부의 중압퓨즈의 단락 상태가 된 경우 또는 상기 전원 오프타임 검출부의 전원이 오프되는 순간 고압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데드타임 검출부;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 및 데드타임 검출부의 출력을 논리곱 연산하는 논리곱 연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보호장치.
KR1019980055744A 1998-12-17 1998-12-17 음극선관 보호장치 KR10033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744A KR100331334B1 (ko) 1998-12-17 1998-12-17 음극선관 보호장치
US09/449,614 US6396222B1 (en) 1998-12-17 1999-11-30 Cathode ray tube prot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744A KR100331334B1 (ko) 1998-12-17 1998-12-17 음극선관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82A KR20000040182A (ko) 2000-07-05
KR100331334B1 true KR100331334B1 (ko) 2002-05-09

Family

ID=1956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744A KR100331334B1 (ko) 1998-12-17 1998-12-17 음극선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96222B1 (ko)
KR (1) KR100331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5572B2 (en) * 2005-03-15 2012-02-28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ower-up and power-down of an output video circuit
US7675544B2 (en) * 2005-06-10 2010-03-0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transmission line fault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679A (ja) * 1994-01-13 1995-08-11 Funai Electric Co Ltd Crtの高圧放電回路
JPH08275020A (ja) * 1995-03-30 1996-10-18 Hitachi Ltd Crt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過電圧保護方法
KR970031139A (ko) * 1995-11-30 1997-06-26 이형도 전원공급회로
KR970055757U (ko) * 1996-03-08 1997-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포트 킬러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206A (en) * 1986-08-26 1988-06-2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hutdown circuit for CRT high volta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679A (ja) * 1994-01-13 1995-08-11 Funai Electric Co Ltd Crtの高圧放電回路
JPH08275020A (ja) * 1995-03-30 1996-10-18 Hitachi Ltd Crt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過電圧保護方法
KR970031139A (ko) * 1995-11-30 1997-06-26 이형도 전원공급회로
KR970055757U (ko) * 1996-03-08 1997-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포트 킬러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96222B1 (en) 2002-05-28
KR20000040182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334B1 (ko) 음극선관 보호장치
KR100233945B1 (ko) 키네스코프 스폿버언 보호기능을 가진 비디오 표시장치
JP3458960B2 (ja) ビデオ装置の高電圧電源
US4400653A (en) Resonant scan deflection circuit with flyback voltage limiting
KR100257271B1 (ko) 음극선관의 주사 손실 검출 장치
KR100224084B1 (ko) 음극선관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수평출력 트랜지스타의 보호용 회로
US6445145B1 (en) Display device
KR100534114B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KR970004895Y1 (ko) 모니터의 엑스레이차단회로
US6160364A (en) Circuit for limiting horizontal image size of display
KR100662574B1 (ko) 영상표시기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100195753B1 (ko) Crt 보호 장치
KR100374583B1 (ko) 텔레비전의고압상승억제보호장치
KR100326918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고압 상승 억제 보호회로
KR19980023077A (ko) 수직 편향회로의 고장 검출장치
US3891891A (en)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KR0117205Y1 (ko) 텔레비젼의 고전압 발생회로
KR19980010904U (ko) 수평드라이브전류보정회로
JPS5910841Y2 (ja) 高圧発生回路
KR19990030605A (ko) 영상표시기기의 엑스 (x) 선 차단 회로
KR200221124Y1 (ko) 서어지 주파수에 따른 셋트 보호회로
KR100296347B1 (ko) 고압/편향일체형의고압에따른수평및수직사이즈보정회로
JPH06164959A (ja) 水平偏向回路の保護装置
KR20080013689A (ko)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42589A (ko) 모니터의 고압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