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998B1 -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998B1
KR100330998B1 KR1020000008135A KR20000008135A KR100330998B1 KR 100330998 B1 KR100330998 B1 KR 100330998B1 KR 1020000008135 A KR1020000008135 A KR 1020000008135A KR 20000008135 A KR20000008135 A KR 20000008135A KR 100330998 B1 KR100330998 B1 KR 10033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cutting groov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805A (ko
Inventor
박명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2000000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9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부의 끝단부로 절단홈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권선되는 와이어를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절단홈에서 컷팅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구성으로 본 발명은 코일세퍼레이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플랜지(61)가 형성된 일단이 납땜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의 권선부(62)에는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어 납땜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용 핀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62)의 선단부 외주면으로 절단용 홈(63)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권선부(62)의 외주면으로 코일을 권선하는 동시에 상기 절단용 홈(63)에 상기 코일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그 끝단부에서 절곡시켜 상기 코일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Description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Pin for connecting of PCB of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접속 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권선부의 끝단부로 절단홈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권선되는 와이어를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절단홈에서 컷팅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에는 음극선관(CRT)의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가 구비된다.
도 1에서와 같이 편향요크는 크게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하나로 합체되는 한쌍의 코일세퍼레이터(10)와 수평편향자계와 수직편향자계를 각각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20)과 수직편향코일(30) 및 수직편향코일(30)을 통한 수직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코어(40)로 이루어진다.
코일세퍼레이터(10)는 다시 크게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1a)측으로 구비되는 스크린부(11)와,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1b)에 결합되는 네크부(1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코일세퍼레이터(10)의 내주면에는 수평편향코일(20)이 그리고 외주면에는 수직편향코일(30)이 각각 마련된다.
한편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광면적의 리어 플레이트(12a)가 구비되며, 이 리어 플레이트(12a)에는 양측으로 한쌍의 자성편(12b)이 마련된다.
이때 각 자성편(12b)에는 코일이 권선되는데 이러한 자성편(12b)의 코일과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20)(30)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기 위해 리어 플레이트(12a)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이 인쇄회로기판(50)이다.
또한 인쇄회로기판(50)에는 자성편(12b)의 코일과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20)(30)의 끝단이 권선되면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핀(60)이 복수개로서 결합되어 있는바 이 접속 핀(6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50)의 패턴과 회로적으로 접속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50)에 결합되는 접속 핀(60)은 우선 인쇄회로기판(50)상에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한 후 이 관통구멍에 도 3에서와 같이 플랜지(61)가 형성된 끝단부가 끼워지면서 이면으로 돌출된 끝단부를 납땜에 의해서 고정되게 하므로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 핀(60)의 고정된 일단부로부터 대응되게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연장시킨 권선부(62)에는 전기한 편향요크에서의 자성편(12b)의 코일이나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20)(30)이 권선되면서 납땜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코일 접속에서 접속 핀(60)에 권선된 자성편(12b)의 코일이나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20)(30)은 통상 별도의 공구, 구체적으로 가위를 사용하여 절단하게 되며, 이렇게 절단하고 접속 핀(60)에 권선되어 있게 되는 코일들을 납땜(70)에 의해 고정하므로서 외부의 전원 또는 코일간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권선부(62)에 권선시킨 코일을 일일이 별도의 공구 즉 가위를 사용하여 절단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절단 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공구인 가위를 미리 준비해야만 하고, 별도의 공구 관리도 필요로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고, 따라서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의 선단부에 주면을 따라 일체로 절단용 홈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바로 코일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코일을 권선부에 권선하면서 절단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신속한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편향요크의 설치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편향요크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에서의 접속용 핀을 결합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속용 핀을 이용한 코일 절단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인쇄회로기판 60 : 접속용 핀
61 : 플랜지 62 : 권선부
63 : 절단용 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세퍼레이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플랜지가 형성된 일단이 납땜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의 권선부에는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어 납땜에 의해 접속되는 단자용 핀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선단부 외주면으로 절단용 홈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코일을 권선하는 동시에 절단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핀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접속 핀(60)은 일단부에 플랜지(61)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봉형상의 권선부(62)로서 형성되며, 플랜지(61)가 형성되는 일단부는 인쇄회로기판(50)을 관통하면서 삽입되어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은 종전과 동일하며, 이와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은 권선부(62)의 선단부로 주면을 따라 절단용 홈(63)이 형성되도록 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다시말해 봉형상인 권선부(62)의 선단부를 코일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이 되게 요입하면서 그 요입 끝단부는 날카롭게 형성되도록 한 절단용 홈(63)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절단용 홈(63)에 코일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요입 끝단부에서 코일을 절단하게 될 때 코일이 권선부(62)의 주면을 타고 미끄러지게 되면 제대로 코일 절단이 수행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코일세퍼레이터의 일측에는 인쇄회로기판(50)이 조립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50)은 코일세퍼레이터의 리어 커버와 간단히 맞춤 끼워지기도 하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다시 접착제를 사용해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므로서 조립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50)은 코일세퍼레이터에 조립되기 전에 우선 인쇄회로기판(50)의 판면에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에 플랜지(61)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 핀(60)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끼워지도록 하고, 이때 접속 핀(60)의 삽입된 단부는 납땜을 하여 인쇄회로기판(50)에서 견고한 부착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접속 핀(60)에 전기한 바와 같이 자성편측 코일과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로부터 인출시킨 코일이 인쇄회로기판(5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한 접속 핀(60)의 봉형상인 권선부(62)에 임의의 횟수만큼 권선되게 한다.
이러한 코일 권선 중 코일의 권선 위치가 권선부(62)의 절단용 홈(63)에 이르게 되면 코일을 절단용 홈(63)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절단용 홈(63)의 끝단부에 날카롭게 형성한 부위에서 코일(C)을 절곡시켜 간단히 절단되도록 한다.
이처럼 하나 이상의 코일(C)을 접속 핀(60)에 권선하면서 절단되게 하면 접속 핀(60)의 권선부(62)에는 적당한 휫수만큼 권선한 코일만이 남게 되고, 이러한 권선된 코일들을 납땜에 의해 접속 핀(60)의 권선부(62)와 접합시키게 되면 코일간 접속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종전에는 접속 핀에 코일을 권선하면서 가위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절단시키게 되므로서 대단히 번거로운 작업을 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서는 이러한 공구 사용을 완전 생략하고, 바로 접속 핀(60)에서 코일이 절단되게 하므로서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코일을 권선하게 되는 권선부(62)에 직접 코일을 절단시키게 되는 절단용 홈(63)이 일체로 형성되게 하므로서 접속 핀(60)에서의 코일을 권선하는 작업과 절단하는 작업과를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서 작업의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동시에 공정 시간 또한 보다 단축시키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코일세퍼레이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플랜지(61)가 형성된 일단이 납땜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의 권선부(62)에는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어 납땜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용 핀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62)의 선단부 외주면으로 절단용 홈(63)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권선부(62)의 외주면으로 코일을 권선하는 동시에 상기 절단용 홈(63)에 상기 코일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그 끝단부에서 절곡시켜 상기 코일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홈(63)은 상기 권선부(62)에 권선되는 코일의 일부가 삽입되는 깊이로서 상기 권선부(62)의 외주면을 요입시키고, 끝단부는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KR1020000008135A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KR10033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35A KR100330998B1 (ko)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35A KR100330998B1 (ko)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805A KR20010082805A (ko) 2001-08-31
KR100330998B1 true KR100330998B1 (ko) 2002-04-01

Family

ID=1964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135A KR100330998B1 (ko)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951B1 (ko) * 2001-07-27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805A (ko) 200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998B1 (ko) 편향요크에 조립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용 핀
EP0775365B1 (en) Deflection unit including a line balance coil
KR200228981Y1 (ko) 편향요크의 터미널보드
EP1231625A1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picture tube comprising the same
KR20030005450A (ko) 편향요크
KR100356961B1 (ko) 편향요크용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핀 결합구조
KR100356286B1 (ko) 편향요크
KR0177710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100364411B1 (ko) 편향요크
KR100410951B1 (ko) 편향요크
KR200160631Y1 (ko) 플라이 백 트랜스 단자핀 고정구조물
KR20010010891A (ko) 편향요크
KR100410965B1 (ko) 편향요크
KR100431264B1 (ko) 편향요크
GB2269477A (en) CRT deflection yoke with printed circuit board
KR100422034B1 (ko) 편향요크
KR100235558B1 (ko) 편향요크의 직교도 조정방법
KR100451946B1 (ko) 편향요크
KR100405212B1 (ko) 편향요크
KR100385592B1 (ko) 편향요크용 인쇄 회로기판
KR20040009633A (ko) 편향요크
KR0123343Y1 (ko) 편향요크
KR20040060494A (ko) 편향요크
JP2001351544A (ja)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受像機
KR20020045659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