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745B1 -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745B1
KR100330745B1 KR1019990032117A KR19990032117A KR100330745B1 KR 100330745 B1 KR100330745 B1 KR 100330745B1 KR 1019990032117 A KR1019990032117 A KR 1019990032117A KR 19990032117 A KR19990032117 A KR 19990032117A KR 100330745 B1 KR100330745 B1 KR 10033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losing
time
switch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899A (ko
Inventor
육유경
이순재
Original Assignee
이창근
디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근, 디이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창근
Priority to KR101999003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7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 H02H1/0069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by means of light or heat 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4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loss of synchro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동기검출신호, 수동록신호, 차단기 압력신호,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 및 차단기 접점신호들이 광전소자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도록 하고,
워치독 타이머, 비휘발성 메모리, 롬 및 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카운트 초기화스위치, 노말/록스위치, 테스트스위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리세트스위치 및 리세트스위치들의 접속여부와 다수의 딥스위치를 통한 준비 시간, 재시작 시간, 대기 시간, 1차 재폐로 시간, 2차 재폐로 시간, 3차 재폐로 시간(T3)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다수의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와 표시부에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정상의 여부를 판단하여 주변압기 자동 전압조정 정지용 신호, 재폐로 신호, 순시 과전류 계전기 트립방지용 신호, 계전기 내부 오류경보용 신호 및 재폐로 실패경보용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1사이클당 최대 재폐로 횟수가 3회까지 가능하고 각 회마다 패스의 기능을 가지며, 재폐로의 성공이나 실패 또는 준비의 상태, 외부 동기조건, 재폐로의 총횟수를 누적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Digital auto reclosing relay}
본 발명은 154KV 이하의 송전 및 배전 선로에 사용하는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산기능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내장하고 출력 접점 외에 넌-스위치 방식을 채용함으로 1사이클당 최대 재폐로 횟수가 3회까지 가능하고 각 회마다 패스의 기능을 가지며, 재폐로의 성공이나 실패 또는 준비의 상태, 외부 동기조건, 재폐로 총횟수의 누적 및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54KV 이하의 송전 및 배전 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항상 일정하여야 하지만 변전소의 사정이나 수용가의 전력 전력소모 상태는 물론 선로의 이상상태에 의해 전류의 값이 변화되고 있으며, 변화되는 전류의 일부는 다음에 위치하는 부하인 가정이나 산업용 기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종래에는 배전 선로의 이상 유무에 따라 선로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3상전류와 영상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계전기에 적합한 신호로 바꾸기 위한 변성기(1)와,
얼라이징(aliaging)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변성기(1)의 출력신호에 대해 필터링하는 로우패스필터(2)와,
상기 로우패스필터(2)를 통한 각 신호의 동기를 위해 샘플링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샘플링 홀드부(3)와,
상기 샘플링 홀드부(3)로부터 출력된 홀드된 신호를 하나씩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플렉서(4)와,
상기 멀티플렉서(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의 신호를 디지털의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값으로 보호연산을 수행하여 차단판정을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로부터 차단판정시 출력되는 차단출력에 의해 선로의 차단을 수행하는 트립접점(7)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의 출력에 의해 동작 상태나 동작치 설정을 표시하는 표시 및 정정부(8)들로 선택지락 계전기를 구성함으로써,
3상 전류와 영상전압 페이저를 구하고 그 페이저로부터 영상전압의 RMS(Root Mean Square)값(Vo)이 동작치보다 큰가를 비교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Vo가 동작치보다 크지않으면 지락사고가 없는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변류기의 불평형 보정계수를 계산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Vo가 동작치보다 크면 영상전압에 의한 지락고장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단계에서 구한 불평한 보정계수로 3상전류와 영상전압을 계산한 후 그 계산된 영상전류 및 영상전압으로부터 사고구간을 판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사고구간 판정시 차단기로 트랩출력을 발생하여 차단하도록 하는 제 5단계들에 의해 순수한 사고전류만 검출하여 정확한 사고구간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택지락 계전기에 의하여서는 배전 선로의 이상 유무에 따른 전류 및 전압치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변류기와 같은 변성기(1)가 코일형과 같이 전기적인 장치이므로 사고시 유도전압이 배전 선로를 통하여 보호 계전기인 본체로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게 됨은 물론, 변성기(1)에 영구 고장이 아닌 일시적인 과전류에 의해 차단기를 완전히 차단시켜 전원의 수급에 영향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산기능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내장하고 출력 접점 외에 넌-스위치 방식을 채용함으로 1사이클당 최대 재폐로 횟수가 3회까지 가능하고 각 회마다 패스의 기능을 가지며, 재폐로의 성공이나 실패 또는 준비의 상태, 외부 동기조건, 재폐로의 총횟수를 누적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와 수동록신호와 차단기 압력신호와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와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 및 차단기 접점신호들이 각각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의 발광 다이오드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신호의 입력되는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워치독 타이머(Watchdog Timmer)로부터 내부의 동작에서 동기를 일치시키거나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펄스를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의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도록 하고,
롬에 입력된 방법에 의해 내부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램에 입출력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제 1 딥스위치를 통한 준비 시간(P.T), 제 2 딥스위치를 통한 재시작 시간(R.T), 제 3 딥스위치를 통한 대기 시간(W.T), 제 4 딥스위치를 통한 1차 재폐로 시간(T1), 제 5 딥스위치를 통한 2차 재폐로 시간(T2), 제6 딥스위치를 통한 3차 재폐로 시간(T3), 카운트 초기화스위치, 노말/록스위치, 테스트스위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리세트스위치 및 리세트스위치들에 의한 입력을 버퍼를 경유하여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버퍼를 통하여 다수의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중에 다시 7-세그먼트 구동부를 거쳐 표시부에 동작에 따른 수치를 숫자로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의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입력신호와 사용자가 제 1 내지 제 6 딥스위치를 통하여 입력시킨 조건에 따라 정상의 여부를 판단한 후 버퍼를 통하여 주변압기 자동 전압조정 정지용 신호, 재폐로 신호, 순시 과전류 계전기 트립방지용 신호, 계전기 내부 오류경보용 신호 및 재폐로 실패경보용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1사이클당 최대 재폐로 횟수가 3회까지 가능하고 각 회마다 패스의 기능을 가지며, 재폐로의 성공이나 실패 또는 준비의 상태, 외부 동기조건, 재폐로의 총횟수를 누적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과전압/부족전압 릴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면판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변성기 11~16 :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
17 : 마이크로 프로세서 18 : 워치독 타이머
19 : 비휘발성 메모리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전면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SYNC)는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1)의 발광 다이오드(LED1)로 인가되도록 하고,
수동록신호(M.LOCK)는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2)의 발광 다이오드(LED2)로 인가되도록 하고,
차단기 압력신호(CB -Pres)는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3)의 발광 다이오드 (LED3)로 인가되도록 하고,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는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4)의 발광 다이오드(LED4)로 인가되도록 하고,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REC-ON/OFF)는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5)의 발광 다이오드(LED5)로 인가되도록 하고,
차단기 접점신호(CB)는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6)의 발광 다이오드(LED6)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1)∼(16)의 포토 트랜지스터(PT1)∼(PT6)의 콜렉터에서는 버퍼(B1)∼(B6)를 각각 경유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7)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신호의 입력되는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워치독 타이머(18)로부터 내부의 동작에서 동기를 일치시키거나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펄스를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의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도록 하고,
롬(20)에 입력된 방법에 의해 내부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램(21)에 입출력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제 1 딥스위치(DSW1)를 통한 준비시간(Preparing Time), 제 2 딥스위치(DSW2)를 통한 재시작 시간(Reclaim Time), 제 3 딥스위치(DSW3)를 통한 대기 시간(Waiting Time), 제 4 딥스위치(DSW4)를 통한 1차 재폐로 시간(T1), 제 5 딥스위치(DSW5)를 통한 2차 재폐로 시간(T2), 제 6 딥스위치(DSW6)를 통한 3차 재폐로 시간(T3), 카운트 초기화스위치(SW1), 노말/록스위치(SW2), 테스트스위치(SW3), 마이크로 프로세서 리세트스위치(SW4) 및 리세트스위치(SW5)들에 의한 입력을 버퍼IC(22)를 경유하여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버퍼IC(23)를 통하여 다수의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7)(LED8)(LED8)(LED10)(LED11)(LED12)(LED13) (LED14)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면서 보조전원의 확인, 재폐로의 성공확인, 재폐로의 실패확인, 준비의 상태, 외부 동기조건의 확인, 1사이클당 1회 재폐로확인, 1사이클당 2회 재폐로확인 및 1사이클당 3회 재폐로확인 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다시 7-세그먼트 구동부(24)를 거쳐 표시부(25)에 동작에 따른 수치를 숫자로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의 포토 커플러(11)∼(16)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외부 입력신호와 사용자가 제 1 내지 제 6 딥스위치(DSW1)∼(DSW6)를 통하여 입력시킨 조건에 따라 정상의 여부를 판단한 후 버퍼IC(26)를 통하여 주변압기 자동 전압조정 정지용 신호, 재폐로 신호, 순시 과전류 계전기 트립방지용 신호, 계전기 내부 오류경보용 신호 및 재폐로 실패경보용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가 동작하는 상태를 도 4의 플로우 차트에 의해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SYNC)와, 수동록신호(M.LOCK)와, 차단기 압력신호 (CB -Pres) 및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REC-ON/OFF)들이 모두 'H'로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1)(12)(13)(15)의 발광 다이오드 (LED1)(LED2) (LED3) (LED5)로 인가되면서 점등시키면 그에 따라 포토 트랜지스터(PT1)(PT2)(PT3)(PT5)들이 온되어 콜렉터-에미터가 도통되므로 콜렉터에 버퍼(B1)(B2)(B3)(B5)를 통하여 각각 입력단이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L'로 변화되는 상태로 신호의 입력을 인식한다(단계 31).
상기의 동기검출신호(SYNC), 수동록신호(M.LOCK), 차단기 압력신호(CB -Pres) 및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REC-ON/OFF)들이 모두 'L'로 입력되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4)의 발광 다이오드(LED4)에 'H'로 인가되어 포토 트랜지스터(PT4)가이 온되어 콜렉터-에미터의 도통에 의해 콜렉터에 버퍼(B4)를 통하여 입력단이 'L'로 변화되는 상태로 계전기의 접점이 작동하였는 가를 인식하도록 한다(단계 32).
계전기의 접점이 작동하였으면, 차단기 접점신호(CB)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6)의 발광 다이오드(LED6)에 'H'로 인가되어 포토 트랜지스터(PT6)가 온되어 콜렉터-에미터의 도통에 의해 콜렉터에 버퍼(B6)를 통하여 입력단이 'L'로 변화되는 상태로 차단기의 접점이 닫힌 상태(close)인 가를 인식한다(단계 33).
차단기의 접점이 닫힌 상태이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워치독 타이머(18)로부터 시간의 정보를 전달받으면서 제 4 딥스위치(DSW4)를 통하여 입력시킨1차 재폐로 시간(T1)을 비휘발성 메모리(19)에서 읽어 온다(단계 34)??
그리고 리세트의 시간에 상기의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SYNC)가 'H'로 포토 커플러(11)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면서 포토 트랜지스터(PT1)가 온되도록 하여 콜렉터-에미터가 도통되어 콜렉터에 버퍼(B1)를 통하여 입력단이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L'로 변화되는 상태로 동기검출신호(SYNC)의 입력을 인식한다(단계 35).
상기의 동기검출신호(SYNC)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버퍼IC (23)를 통하여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8)(LED12)를 점등시키면서 재폐로의 성공확인 및 1사이클당 1회 재폐로확인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버퍼IC(26)를 통하여 첫 번째 재폐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36).
그리고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의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한다(단계 37).
상기의 재폐로를 수행하는 중에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4)의 발광 다이오드(LED4) 및 포토 트랜지스터(PT4)로 인가되거나 차단기 접점신호(CB)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6)의 발광 다이오드(LED6) 및 포토 트랜지스터(PT6)로 차단기가 닫혔음을 알리는 상태로 인가되는 가를 확인하여(단계 38) 아니면, 자동으로 리세트를 수행하고 초기의 상태로 환원하도록 한다(단계 39).
상기의 단계 32에서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4)의 발광 다이오드(LED4) 및 포토 트랜지스터(PT4)로 인가되지 않거나 단계33에서 차단기 접점신호(CB)가 차단기가 닫힌 상태로 인가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자기진단을 수행한 후 초기의 상태로 환원되도록 한다(단계 40).
상기의 단계 38에서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에 의해 계전기의 접점이 작동하고 차단기 접점신호(CB)에 의해 차단기의 접점이 닫힌 상태(close)이면, 2번째 재폐로 상태인 가를 인식한다(단계 41).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워치독 타이머(18)로부터 시간의 정보를 전달받으면서 제 5 딥스위치(DSW5)를 통하여 입력시킨 2차 재폐로 시간(T2)을 비휘발성 메모리(19)에서 읽어 온다(단계 42).
그리고 리세트의 시간에 상기의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SYNC)가 'H'로 포토 커플러(11)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면서 포토 트랜지스터(PT1)가 온되도록 하여 콜렉터-에미터가 도통되어 콜렉터에 버퍼(B1)를 통하여 입력단이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L'로 변화되는 상태로 동기검출신호(SYNC)의 입력을 인식한다(단계 43).
상기의 동기검출신호(SYNC)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버퍼IC (23)를 통하여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8)(LED13)를 점등시키면서 재폐로의 성공확인 및 1사이클당 2회 재폐로확인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버퍼IC(26)를 통하여 두 번째 재폐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44).
그리고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의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한다(단계 45).
상기의 재폐로를 수행하는 중에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4)의 발광 다이오드(LED4) 및 포토 트랜지스터(PT4)로 인가되거나 차단기 접점신호(CB)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6)의 발광 다이오드(LED6) 및 포토 트랜지스터(PT6)로 인가되는 가를 확인하여(단계 46) 아니면, 자동으로 리세트를 수행하는 단계39로 환원하도록 한다.
상기의 단계 46에서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에 의해 계전기의 접점이 작동하고 차단기 접점신호(CB)에 의해 차단기의 접점이 닫힌 상태(close)이면, 3번째 재폐로 상태인 가를 인식한다(단계 47).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워치독 타이머(18)로부터 시간의 정보를 전달받으면서 제 6 딥스위치(DSW5)를 통하여 입력시킨 3차 재폐로 시간(T3)을 비휘발성 메모리(19)에서 읽어 온다(단계 48).
그리고 리세트의 시간에 상기의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SYNC)가 'H'로 포토 커플러(11)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면서 포토 트랜지스터(PT1)가 온되도록 하여 콜렉터-에미터가 도통되어 콜렉터에 버퍼(B1)를 통하여 입력단이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L'로 변화되는 상태로 동기검출신호(SYNC)의 입력을 인식한다(단계 49).
상기의 동기검출신호(SYNC)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버퍼IC (23)를 통하여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8)(LED14)를 점등시키면서 재폐로의 성공확인 및 1사이클당 3회 재폐로확인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버퍼IC(26)를 통하여 세 번째 재폐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50).
그리고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의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한다(단계 51).
상기의 재폐로를 수행하는 중에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4)의 발광 다이오드(LED4) 및 포토 트랜지스터(PT4)로 인가되거나 차단기 접점신호(CB)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6)의 발광 다이오드(LED6) 및 포토 트랜지스터(PT6)로 인가되는 가를 확인하여(단계 52) 아니면, 자동으로 리세트를 수행하는 단계39로 환원하도록 한다.
상기의 단계 31, 단계 35, 단계 43, 단계 47 및 단계 49에서 작동에 따흔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재폐로 릴레이를 작동시키고(단계 53), 수동으로 리세트 스위치(SW5)의 입력이 있는 가를 확인하여(단계 54) 있으면, 단계 39로 환원하여 리세트 동작을 수행한 후 초기로 환원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에 의하여서는 동기검출신호, 수동록신호, 차단기 압력신호,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 및 차단기 접점신호들이 광전소자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도록 하고,
워치독 타이머, 비휘발성 메모리, 롬 및 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카운트 초기화스위치, 노말/록스위치, 테스트스위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리세트스위치 및 리세트스위치들의 접속여부와 다수의 딥스위치를 통한 준비 시간, 재시작 시간, 대기 시간, 1차 재폐로 시간, 2차 재폐로 시간, 3차 재폐로 시간(T3)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다수의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와 표시부에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정상의 여부를 판단하여 주변압기 자동 전압조정 정지용 신호, 재폐로 신호, 순시 과전류 계전기 트립방지용 신호, 계전기 내부 오류경보용 신호 및 재폐로 실패경보용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1사이클당 최대 재폐로 횟수가 3회까지 가능하고 각 회마다 패스의 기능을 가지며, 재폐로의 성공이나 실패 또는 준비의 상태, 외부 동기조건, 재폐로의 총횟수를 누적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SYNC), 수동록신호(M.LOCK), 차단기 압력신호(CB -Pres),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REC-ON/OFF) 및 차단기 접점신호(CB)가 광전소자인 포토 커플러(11)∼(16)와 버퍼퍼(B1)∼(B6)를 각각 경유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7)의 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외부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워치독 타이머(18), 비휘발성 메모리(19), 롬(20) 및 램(21)에 접속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제 1 딥스위치(DSW1)를 통한 준비 시간, 제 2 딥스위치 (DSW2)를 통한 재시작 시간, 제 3 딥스위치(DSW3)를 통한 대기 시간, 제 4 딥스위치(DSW4)를 통한 1차 재폐로 시간(T1), 제 5 딥스위치(DSW5)를 통한 2차 재폐로 시간(T2), 제 6 딥스위치(DSW6)를 통한 3차 재폐로 시간(T3), 카운트 초기화스위치 (SW1), 노말/록스위치(SW2), 테스트스위치(SW3), 마이크로 프로세서 리세트스위치 (SW4) 및 리세트스위치(SW5)들의 입력을 버퍼IC(22)를 경유하여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버퍼IC(23)를 통하여 다수의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7)(LED8)(LED8)(LED10)(LED11)(LED12)(LED13) (LED14)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면서 보조전원의 확인, 재폐로의 성공확인, 재폐로의 실패확인, 준비의 상태, 외부 동기조건의 확인, 1사이클당 1회 재폐로확인, 1사이클당 2회 재폐로확인 및 1사이클당 3회 재폐로확인의 여부와 7-세그먼트 구동부(24)를 거쳐 표시부(25)에 숫자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외부 입력신호와 사용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 정상의 여부를 판단하여 버퍼IC(26)를 통하여 주변압기 자동 전압조정 정지용 신호, 재폐로 신호, 순시 과전류 계전기 트립방지용 신호, 계전기 내부 오류경보용 신호 및 재폐로 실패경보용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2. 외부로부터 동기검출신호(SYNC), 수동록신호(M.LOCK), 차단기 압력신호(CB -Pres) 및 재폐로기 온/오프 스위치신호(REC-ON/OFF)들이 모두 입력되는 가를 인식하는 단계와,
    계전기의 접점이 작동하였는 가를 인식하는 단계와,
    차단기 접점신호(CB)가 차단기의 접점이 닫힌 상태인 가를 인식하는 단계와,
    워치독 타이머(18)로부터 시간의 정보를 전달받으면서 1차 재폐로 시간(T1)을 비휘발성 메모리(19)에서 읽어 오는 단계와,
    동기검출신호(SYNC)의 입력을 인식하여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8) (LED12)를 점등시켜 재폐로의 성공확인 및 1사이클당 1회 재폐로확인을 알도록 하면서 버퍼IC(26)를 통하여 첫 번째 재폐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의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하면서 재폐로를 수행하는 중에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 (PROT.-RY)나 차단기 접점신호(CB)가 인가되는 가를 확인하여 아니면, 리세트를 수행하고 초기의 상태로 환원하는 단계와,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에 의해 계전기의 접점이 작동하고 차단기 접점신호(CB)에 의해 차단기의 접점이 닫힌 상태(close)이면, 2번째 재폐로 상태인 가를 인식하는 단계와,
    2차 재폐로 시간(T2)을 비휘발성 메모리(19)에서 읽어 오는 단계와,
    동기검출신호(SYNC)가 입력되는 가를 인식하여 입력되면,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8)(LED13)를 통해 재폐로의 성공확인 및 1사이클당 2회 재폐로확인 및 버퍼IC(26)를 통하여 두 번째 재폐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하면서 재폐로를 수행하는 중에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 (PROT.-RY)나 차단기 접점신호(CB)가 인가되지 않으면, 리세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가 인가되고 차단기 접점신호(CB)에 의해 차단기의 접점이 닫힌 상태이면, 3번째 재폐로 상태인 가를 인식하는 단계와,
    3차 재폐로 시간(T3)을 비휘발성 메모리(19)에서 읽어오는 단계와,
    동기검출신호(SYNC)가 입력되면, 동작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8)(LED14)를 통해 재폐로의 성공확인 및 1사이클당 3회 재폐로확인을 알도록 하면서 세 번째 재폐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재폐로의 횟수를 비롯한 동작의 상태나 사용자의 설정치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하여 재폐로를 수행하는 중에 과전류 계전기의 접점신호(PROT.-RY)나 차단기 접점신호(CB)가 인가되지 않으면, 리세트를 수행하는 단계들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KR1019990032117A 1999-08-05 1999-08-05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KR10033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117A KR100330745B1 (ko) 1999-08-05 1999-08-05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117A KR100330745B1 (ko) 1999-08-05 1999-08-05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99A KR20010016899A (ko) 2001-03-05
KR100330745B1 true KR100330745B1 (ko) 2002-04-03

Family

ID=1960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117A KR100330745B1 (ko) 1999-08-05 1999-08-05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042B1 (ko) * 1999-11-29 2002-10-05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사고 전압 크기를 이용한 재폐로 방법
KR100340160B1 (ko) * 2000-10-26 2002-06-12 이종훈 배전용 자동 재폐로차단기 시험장치
KR100478290B1 (ko) * 2002-06-05 2005-03-23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전력 차단 및 복구 장치
KR100473342B1 (ko) * 2002-10-31 2005-03-11 한국전력공사 재폐로 차단기용 계전기의 시험장치
KR101036544B1 (ko) * 2008-06-27 2011-05-24 이만실 전력계통의 차단기 감시 장치
KR101594866B1 (ko) * 2009-06-02 2016-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차단 시스템용 병렬 디지털 신호의 직렬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1631631B1 (ko) * 2014-06-16 2016-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계전기의 고장진단 및 복구방법
CN107394757B (zh) * 2017-09-13 2019-03-22 国家电网公司 一种配电网相间故障重合前无故障识别方法
CN110970864A (zh) * 2018-09-29 2020-04-07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检有压延时自动重合闸控制方法及电路
CN112630654A (zh) * 2020-12-11 2021-04-0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抱闸检测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99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3937B (zh) 选择性断路器
EP2369709B1 (en) Switch-Fuse with control management for solar cells
EP3078093B1 (en) Automatic reclosing alternating current circuit breaker
EP3080831B1 (en) Alternating current circuit breaker with self-test capability
EP0463860B1 (en) Faulted circuit detector having isolated indicator
RU2416141C2 (ru)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0330745B1 (ko) 디지털 재폐로 계전기
US56992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d review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of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8995098B2 (en) Miswire protection and annunciation of system conditions for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s and other wiring devices
EP3078092A1 (en) Semi voltage dependent circuit breaker
CN103299502A (zh) 提供用以远程指示电弧减少维护模式已经远程启动的远程电信号的跳闸单元,以及包含该单元的电切换装置
AU20102025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ignalling electric faults, unit and electric panel comprising such a device
RU2214667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успешного включения пункт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ключения резерва в кольцевой сети
US20050146815A1 (en) Electrical, transmission/substation/distribution shunt capacitor switching and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automatically resettable, overcurrent protection
KR0185265B1 (ko) 배전선로용 자동 부하 개폐기 콘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4506A (ko)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US11108221B2 (en) Electric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RU186143U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нной защиты
KR0151163B1 (ko) 전동기 보호용 계전기
KR20170117750A (ko) 계통 보호용 계전기
KR20170087687A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200275717Y1 (ko) 신호표시 제어기
CN105449627B (zh) 漏电保护装置及其方法
KR970012847A (ko) 가스 절연방식 부하개폐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RU1155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изоляци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ист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