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399B1 - 칠판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칠판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399B1
KR100329399B1 KR1020000006876A KR20000006876A KR100329399B1 KR 100329399 B1 KR100329399 B1 KR 100329399B1 KR 1020000006876 A KR1020000006876 A KR 1020000006876A KR 20000006876 A KR20000006876 A KR 20000006876A KR 100329399 B1 KR100329399 B1 KR 100329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frame
shock absorber
wa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564A (ko
Inventor
윤수완
Original Assignee
윤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완 filed Critical 윤수완
Priority to KR102000000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3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6Adjustment of valve bias or pre-stres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탄성력을 이용한 칠판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칠판의 배후 벽면상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벽붙이프레임과; 칠판의 상,하운동중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벽붙이프레임과 칠판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딩 수단과; 제어밸브를 가지며, 벽붙이프레임에 실린더가 직립하여 고정되고, 피스톤의 단부가 칠판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가늘고 기다란 쇽업소버와; 쇽업소버의 제어밸브를 개폐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칠판의 승강장치{Lifting apparatus for blackboard}
본 발명은 칠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는 탄성력이 작용하며, 타방향으로는 완충작용을 하는 쇽업소버를 이용한 칠판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육시설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여러 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자재의 하나인 칠판의 개선을 위한 노력도 예외일 수 없다.
이에 따라, 다각적이며 입체적인 교육을 위해 각종의 부교재를 개폐가능하게 부착하는 복합 칠판들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더 나아가 교육자 및 피교육자의 편의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칠판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칠판은 신장이 작거나 또는 크거나 한 교육자 내지 장애를 가진 교육자를 위해 상당히 바람직하다. 또한 초등학교의 학생은 판서 내용을 지우기 위해 의자와 같은 보조수단을 이용하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
종래에 개발된 승하강이 가능한 칠판은 쇽업소버의 상하신축작용을 이용하는 방법, 평형추의 중량물을 이용한 방법,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방법, 또는 전동수단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완충기능 및 스프링과 같은 탄성기능을 겸한 쇽업소버를 이용하는 승강장치를 개시한다. 종래의 쇽업소버를 이용한 방법은 쇽업소버의 한정된 행정에 의해 칠판의 상하이동거리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그가 요구하는 임의의 위치에 칠판을 고정시키기가 곤란하였다. 즉, 사용자는 제작자에 의해 기설정된 몇 지점의 고정부 외에는 칠판을 고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이 간단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감되는 보다 개선된 칠판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위치에 칠판을 고정할 수 있는 높이조정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작동이 정숙하고 용이한 조작이 가능한 칠판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칠판과 칠판승강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즉, 밸브개폐기구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칠판프레임 23 ; 핸들
24 ; 와이어 26 ; 칠판
30 ; 벽붙이프레임 31 ; 쇽업소버
35 ; 가이딩 로드
상기된 목적은, 칠판의 배후 벽면상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벽붙이프레임과; 칠판의 상,하운동중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벽붙이프레임과 칠판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딩 수단과; 피스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를 가지며, 벽붙이프레임에 실린더가 직립하여 고정되고, 피스톤의 단부가 칠판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가늘고 기다란 형상의 쇽업소버와; 쇽업소버의 제어밸브를 개폐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칠판승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칠판과 칠판승강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승강장치는 횡방향으로 기다란 칠판의 균형을 위해 좌우 두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치는 각각 가이딩수단, 밸브를 가지는 쇽업소버와 같은 완충수단, 및 밸브의 개폐를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일 곳만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벽붙이프레임(30)은 교실과 같은 실내 벽면(10)의 소정 높이에 볼트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벽붙이프레임(30)은 일측 상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베어링수단(37)이 고정부착된다. 로드(35)는 벽붙이프레임의 베어링수단(37)에 끼워져 자유 유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양단이 칠판(27)의 상부프레임(21)과 하부프레임
(22)에 각각 연결 고정된다. 로드(30)와 베어링(37)으로 구성되는 가이딩수단(34)은 칠판이 상하기동 중에 좌우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쇽업소버(31)는 실린더부(32, 외통)이 벽붙이프레임(30)에 고정됨에 의해 직립된 상태가 되며, 피스톤부(33, 내통)의 단부가 칠판의 상부프레임(21)에 연결된다. 여기서, 쇽업소버(31)는 일방향으로는 완충작용을 하며, 타방향으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작용을 하는 것이 사용된다. 즉, 쇽업소버(31)는 피스톤(33)이 실린더
(32) 내로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칠판에 가해지는 중력 작용을 감쇠하는 작용을 하며, 피스톤이 실린더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는 탄성력에 의해 칠판을 밀어 올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쇽업소버(31)는 내부에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밸브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여 피스톤의 작동을 멈추도록 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쇽업소버(31)는 형상을 제외한 그의 기능면에 있어서, 공지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세부 도면 내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에 제공되는 쇽업소버(31)는 그 직경이 상당히 작으며, 행정(stroke)이 상당히 큰 사양의 것이 제공된다. 이로써, 단순한 구조에 의해 요구되는 칠판의 상하방향의 운동거리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고
안에 따른 칠판 승강장치의 쇽업소버(31)의 상하방향 행정은 600mm 이상이 되며, 실린더의 직경은 30mm이하가 된다.
도시된 인장스프링(36)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쇽업소버의 탄성작용 및 완충작용을 보조하는 수단이며, 일단이 벽붙이프레임(3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칠판 하부프레임(22)에 연결된다.
쇽업소버(31)의 밸브(도시되지 않음)개폐는 칠판 하부프레임(22)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핸들(23)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다. 즉, 쇽업소버(31)는 와이어(24)에 의
해 밸브에서 핸들까지 연결된 소정의 연쇄기구(도 2 내지 도3 참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탄성작용 또는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와이어(24)는 단지 밸브의 개폐를 위한 인장력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가느다란 것이 사용가능하며,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
았지만, 보다 단순한 구조를 위해 한가닥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24)는 칠판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롤러(25)에 의해 핸들(23)에서 쇽업소버(31)로 힘의 작용방향을 변환하여 전달하게 된다. 양단이 양 밸브에 연결된 와이어(24)의 인장력 조절을 위하여 중간부 일지점에 인장력 조절나사(26)가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즉, 밸브개폐기구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피스톤(33)은 상부 외주에 소정 구간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오일의 통로를 제어하는 밸브와 연결되는 밸브스템(44)은 피스톤(3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밸브스템은 실린더 내지 피스톤 내의 소정의 탄성수단에 의해 상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피스톤(33)은 너트(45)와 레버지지구(42)에 의해 칠판의 상부프레임(21)에 고정된다. 레버(43)는 레버지지구(4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밸브스템(44)에 레버작용을 하게 된다. 이로써, 레버의 끝단에 연결된 와이어(24')가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면
레버(43)는 밸브스템(44)을 누르게 되고, 피스톤(33)은 실린더로부터 돌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핸들(23)은 중간부가 핸들지지대(51)에 힌지연결되며, 끝단은 와이어(24')가 긴장된 상태로 연결된다. 핸들지지대(51)는 칠판하부프레임(22)의 저면에 볼트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이로써, 핸들(23)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24')는 하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와 연결된 도 2의 와이어(24')는 레버(43)를 작동하여 쇽업소버의 밸브를 개방한다. 이로써, 쇽업소버는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거나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쇽업소버의 충전압력 즉, 탄성력은 칠판의 무게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칠판 전체의 무게와 대등소위한 정도의 압력이 요구된다. 칠판의 무게보다 약간 크게 되는 경우에 칠판은 쉽게 들어 올릴 수 있게 되지만, 내리고자 할 때는 어느 정도의 누르는 힘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반대로 쇽업소버의압력이 칠판의 무게보다 약간 작게 되는 경우에는 칠판은 핸들(23)의 작동에 의해 스스로 내려가게 되지만, 올리고자 할 때는 어느 정도의 들어 올리는 힘이 필요하
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첨부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의 와이어(24) 및 롤러(25)의 설치방식을 변경할 수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수단인 인장스
프링(36)이 쇽업소버의 작용하중 및 칠판의 중량에 따라 1개 이상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칠판승강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사용자는 핸들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쇽업소버의 행정의 범위 내에서 칠판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기구 내지 치차와 같은 수단들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승강장치의 정숙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칠판의 배후 벽면상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벽붙이프레임과; 칠판이 상,하기동중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벽붙이프레임과 칠판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딩 수단과; 일방향으로는 탄성작용을 하며 타방향으로는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벽붙이프레임에 직립하여 고정되는 실린더와, 단부가 칠판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수단을 가지는 가늘고 기다란 형상의 쇽업소버와; 상기 쇽업소버의 밸브수단을 개폐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함에 의해, 상기 쇽업소버의 행정(stroke) 만큼 상하 기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수단은 상기 칠판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운동되도록 상기 벽붙이프레임의 측부에 고정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쇽업소버의 밸브수단은 상기 스위칭수단인 핸들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단으로부터 탄성지지되어 돌출되며, 와이어 및 롤러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칠판 하부프레임의 저면 중간일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승강장치.
KR1020000006876A 2000-02-14 2000-02-14 칠판의 승강장치 KR100329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876A KR100329399B1 (ko) 2000-02-14 2000-02-14 칠판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876A KR100329399B1 (ko) 2000-02-14 2000-02-14 칠판의 승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061U Division KR200171315Y1 (ko) 1999-09-08 1999-09-08 칠판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64A KR20010029564A (ko) 2001-04-06
KR100329399B1 true KR100329399B1 (ko) 2002-03-28

Family

ID=1964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876A KR100329399B1 (ko) 2000-02-14 2000-02-14 칠판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009A (ko) 2020-12-31 2022-07-07 장민규 높낮이가 조절되는 칠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5386B4 (de) * 2019-09-20 2023-05-04 Duraplan Gmbh Höhenpositioniervorrichtung und diese enthaltendes Tafel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494A (ko) * 1996-03-25 1997-10-13 장창호 승하강 칠판
KR970068947A (ko) * 1996-04-22 1997-11-07 장창호 승하강 칠판
KR970061093U (ko) * 1996-05-14 1997-12-10 승하강 칠판
KR19990031026A (ko) * 1997-10-08 1999-05-06 박우헌 승강식 칠판 겸용 스크린보드
KR19990067049A (ko) * 1995-10-25 1999-08-16 미쯔이 고오헤이 곤충 기생성 선충 제제의 제조 방법 및 곤충 기생성 선충 제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049A (ko) * 1995-10-25 1999-08-16 미쯔이 고오헤이 곤충 기생성 선충 제제의 제조 방법 및 곤충 기생성 선충 제제
KR970064494A (ko) * 1996-03-25 1997-10-13 장창호 승하강 칠판
KR970068947A (ko) * 1996-04-22 1997-11-07 장창호 승하강 칠판
KR970061093U (ko) * 1996-05-14 1997-12-10 승하강 칠판
KR19990031026A (ko) * 1997-10-08 1999-05-06 박우헌 승강식 칠판 겸용 스크린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009A (ko) 2020-12-31 2022-07-07 장민규 높낮이가 조절되는 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6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9268C (zh) 原稿压板开闭装置及具有该原稿压板开闭装置的办公设备
CN103132844A (zh) 家具铰链
EP1605126A3 (en) Door closer
CA2135355A1 (en) Controller
KR100329399B1 (ko) 칠판의 승강장치
KR100398805B1 (ko)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닫힘부재를 위한 가동장치
KR200171315Y1 (ko) 칠판의 승강장치
US2909801A (en) Door closer
KR102471266B1 (ko) 폴딩도어용 경첩
CA2051465A1 (en) Concealed door positioning device
CN2825881Y (zh) 自动双向闭门器
CN208074253U (zh) 水龙头用分挡节水调节装置
CN201273314Y (zh) 气压棒结构
KR20020062405A (ko) 수직형 자동 도어클로져
KR200416992Y1 (ko) 칠판의 높이 조절장치
JPH11117599A (ja) 昇降折戸装置
CN205823009U (zh) 一种控制玻璃窗多角度开启的传动机构
JP2008095306A (ja)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IE4608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balancing device for tip doors
JPH04277284A (ja) ダンパ機構
KR0154372B1 (ko) 승하강 칠판의 승강장치
KR200275702Y1 (ko) 전체 승강 칠판
CN211706808U (zh) 带有简易化前部透视窗垂直移动结构的生物安全柜
KR0161210B1 (ko) 승하강 개폐칠판
KR970003008Y1 (ko) 승하강 개폐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