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217B1 -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217B1
KR100329217B1 KR1019990013444A KR19990013444A KR100329217B1 KR 100329217 B1 KR100329217 B1 KR 100329217B1 KR 1019990013444 A KR1019990013444 A KR 1019990013444A KR 19990013444 A KR19990013444 A KR 19990013444A KR 100329217 B1 KR100329217 B1 KR 10032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ord
reel
microphon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3875A (en
Inventor
이춘래
Original Assignee
이춘래
기한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래, 기한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춘래
Priority to KR101999001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217B1/en
Publication of KR2000002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2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가 일체로 조합된 이어폰에 재다이얼 및 수신기능을 하는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휴대폰의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고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어폰의 코드를 권취기구 내에 권취하여 사용시 이어폰을 잡아당기면 이어폰 코드가 권취기구로부터 인출되며 미사용시에는 살짝 당겼다가 놓으면 이어폰 코드가 권취기구내에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한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switch for redialing and receiving functions in the earphone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microphone, the user can talk with the other party without opening the flip or the folder of the mobile phone. When pulled, the earphone cord is drawn out from the winding mechanism, and when not in use, it is related to 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earphone cord is automatically wound in the winding mechanism when pulled and released.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공지의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 잭에 삽입하기 위하여 플러그(11)가 연결된 소정 길이의 코드(12)가 일 측으로 구비되고, 케이스 본체(31)의 중심축(33)에 대하여 태엽 스프링(34)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릴(130)과, 상기 권취릴(130)로 형성된 걸림턱(131)과 검림해제턱(132)이 구비되고, 회전기판(37) 및 고정기판(38)이 중간판(39)을 매개로 상호 회동 접점되게 구성된 코드권취기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코드권취기구(30)로는 흡음공(21)을 통해 전달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2)가 내장되며, 송수신 및 재 다이얼기능이 구비된 텍트스위치(23)가 일체로 형성된 이어폰(20)의 코드(24)를 상기 권취릴(130)에 권취시켜 별도의 버턴 조작없이 상기 이어폰(20)의 사용시에는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권취릴(130)로부터 인출하고, 수납시에는 상기 이어폰(20)을 외측으로 살짝 더 잡아 당겼다가 놓아주면 자동적으로 코드(24)가 상기 권취릴(130)에 다시 감겨지도록 하며; 상기 권취릴(130)은 이어폰(20) 코드(24)의 인출 및 수납시 이에 형성된 걸림턱(131)과 걸림해제턱(132)이 스프링(35)으로 탄력 설치된 스토퍼(36)에 의해 상호 걸림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rd 12 of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the plug 11 to one side for insertion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known mobile phone for this purpos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33 of the case body 31 Winding reel (130) rotatably installed by a spring spring (34), a locking jaw 131 and the unwinding jaw 132 formed of the winding reel 130 is provided, the rotary substrate 37 and the fixed substrate (38) is composed of a cord winding mechanism (30) configured to be pivotal contact with each other via an intermediate plate (39): the cord winding mechanism (30) is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absorbing hole (21). The microphone 22 to be converted into a built-in, the cord 24 of the earphone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xt switch 23 hav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redial function is wound on the winding reel 130 to separate the button When the earphone 20 is used without manipulation, it is pulled outwards to the take-up reel 130. Withdrawal, and the housing such that when there is automatically a code (24) major surface and release the pulled slightly further hold the earpiece 20 to the outside is wound again on the take-up reel 130, and; The take-up reel 130 is mutually caught by the stopper 36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spring (35), the locking jaw 131 and the locking release jaw 132 formed thereon when the earphone 20 cord 24 is pulled out and stored. And to be released.

Description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s

본 발명은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잭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가 일체로 조합된 이어폰에 재다이얼 및 수신기능을 하는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휴대폰의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고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어폰의 코드를 권취기구 내에 권취하여 사용시 이어폰을 잡아당기면 이어폰 코드가 권취기구로부터 인출되며 미사용시에는 살짝 당겼다가 놓으면 이어폰 코드가 권취기구내에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한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can be plugged into an ear-microphone jack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witch for redialing and receiving functions in an earphone in which a microphone is integrated. You can talk to the other party without opening the folder.If you pull the earphone cord into the winding mechanism and pull the earphone in use, the earphone cord is pulled out from the winding mechanism.If you do not use it, the earphone cord is automatically wound in the winding mechanism. It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일반적으로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거치형과 이어폰형으로 대별되는바,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In general, the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mounted type and an earphone type mounted on a vehicle, which will be described in brief.

거식형은 차량내부에 핸즈프리장치를 시거잭이나 자동차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성을 받아들여 휴대폰을 들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하는 방식으로서, 이를 위해 별도의 마이크로폰이 핸즈프리장치에 연결되어있다.The wedding type is a method in which a handsfree device receives power from a cigar jack or a car battery and receives a voice call without using a mobile phone. A separat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handsfree device.

그런데 이러한 거치식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대방과 통화함에 있어 특히 소음이 심한 시내에서는 교통량이 많아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에 대해 통화음성의 레벨이 작게 나타나는 현상이 잦아 보통 통화하는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큰소리로 통화내용을 주고 받게된다. 만약 주변에 탑승자가 없을 경우에는 괜찮지만 탑승자가 있을 경우에는 주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언어소음을 줄 수 있고, 또한 통화자에게 있어서는 긴밀한 내용을 주고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반듯이 차량의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차량의 운전이 아닌 보행시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using such a stationary hands-free device, in the case of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especially in the noisy city, there is a lot of traffic, so the level of the call voice is small for the noise from outside. Send and receive content. If there are no passengers in the vicinity, it is okay, but if there are passenger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neighboring passengers can feel unpleasant, and also the caller can not exchange the contents closely. Since it must be suppli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when walking the vehicle rather than driving.

한편, 이어폰형은 차량에 부착되는 거치식과는 달리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 뿐만아니라 보행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잭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에 대해 도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earphone type, unlike the stationary type attached to the vehicle, so that the user can be plugged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user can use not only when driving the vehicle but also when walking. It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with reference.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는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이어폰(1)에 소정길이의 인출선(2)을 연결하고 이의 끝단부에는 마이크(3)를 장착하였는바, 이 인출선(2)은 사용자가 이어폰(1)을 귀에 꽂았을 경우 사용자의 입 근처에 마이크(3)가 위치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용이하게 만곡되지만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인출선(2)의 내부에는 마이크(3)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을 약간 굵은 구리와 같은 것으로 만들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earphone-type hands-free device is connected to the lead wire (2) of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earphone (1) that can hear the other party's voice and a microphone (3) is mounted at the end thereof, The leader line 2 has a sufficient length so that the microphone 3 is positioned near the user's mouth when the user plugs the earphone 1 into the ear and is easily curved, but has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To this end, the inside of the lead wire 2 is made of a slightly thick copper wire that supplies power to the microphone 3.

한편 이어폰(1)에는 소정길이의 코드(4)를 연결하는바, 이 코드(4)에는 마이크(3)와 이어폰(1)을 위한 금속선이 들어있으며, 이들 선들은 휴대폰(도시하지않았음)의 재다이얼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마지막 발신번호로 재다이얼을 할 수 있고 송수신시 이어폰(1)과 마이크(3)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대방의 음성 및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폰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장치(5)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위치장치(5)에는 사용자의 의복 등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클립(5a)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택트스위치(5b)와 코드(4,7)의 금속선들을 상호 납땜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이 장착되어 있고, 코드(4)의 반대측에는 소정길이의 코드(7)가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잭(도시하지 않았음)에 삽입되는 플러그(6)에 연결되어 있다.Meanwhile, the earphone 1 is connected to a cord 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rd 4 includes a metal wire for the microphone 3 and the earphone 1, and these wires are mobile phones (not shown). Even if you do not press the redial button, you can redial to the last calling number and supply the power to the earphone (1) and microphone (3) dur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o that the other party's voice and user's vo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obile phone. It is connected to the switch device (5). The switch device 5 has a clip 5a formed to be plugged into a user's clothes or the like, and a printed circuit therein for connecting the tact switch 5b and the metal wires of the cords 4 and 7 with each other by soldering. A substrate (not shown) is mounted, 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rd 4, a cord 7 of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a plug 6 inserted into an ear-microphone jack (not shown) of the cellular phone. .

한편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어폰(1)은 행거(8)의 연결홈(8a)에 착탈되도록 하여 운전중 또는 보행시 행거(8)를 사용자의 귀에 걸도록 함과 동시에 하여 이어폰(1)을 사용자의 귀에 꽂아 상대방과 효율적으로 통화하도록 하였다.Meanwhile, as can be seen in FIG. 1, the earphone 1 is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groove 8a of the hanger 8 so that the earphone 1 can be hooked to the user's ear while driving or walking. ) Into the user's ear to talk effectively with the other party.

따라서 사용시 플러그(6)를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잭에 꽂은 뒤 휴대폰의 플립을 열은 상태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을 한 뒤 택트스위치(5b)를 누르게되면 전화번호가 송출되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통화중 택트스위치(5b)를 다시 한번 누르면 통화가 끊기게 되는 것이며, 이 경우 마지막으로 통화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된다.Therefore, when using, plug the plug (6) into the ear-microphone jack of the mobile phone, open the flip of the mobile phone while dialing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and press the tact switch (5b) when the phone number is sent out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You can do it. When the tact switch 5b is pressed again during a call, the call is terminated. 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last called party is displayed on the LCD.

만약에 휴대폰의 플립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택트스위치(5b)를 누르면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다이얼링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휴대폰의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는바, 이 경우 택트스위치(5b)를 다시 한번 누르면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된 전화번호가 송출되어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는 것이다.If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without opening the flip of the mobile phone, if the user presses the tact switch 5b, the user's last dialed phone number is displayed on the LCD of the mobile phone. In this case, the tact switch 5b is used. If you press () again, the 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LCD is sent and you can call the other party.

그리고 운전중이나 보행시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택트스위치(5b)를 조작하여 이어폰(1)으로부터 음성이 들리면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And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while driving or walking, the user can operate the tact switch 5b when a voice is heard from the earphone 1.

이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는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로폰 잭에 꽂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전시나 보행시에도 사용자의 음성이 입근처에 있는 마이크(3)를 통해 직접 전달되므로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이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거치식과는 달리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큰소리로 통화내용을 주고 받을 필요가 없고, 또한 상대방의 음성이 이어폰(1)을 통해 사용자의 귀에 직접 전달되므로 주변에 다른 사람이 있더라도 상대방과 긴밀한 내용을 주고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Since the conventional earphone-type hands-free device can be plugged into the ear-microphone jack of a mobile phone, the user's voice is 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3 near the mouth even when driving a vehicle or walking, so that the user's voice can Unlike the stationary typ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nd and receive a call with a relatively loud voice because the voice is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and since the other party's voi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earphone 1, even if there is another person near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changed with the contents.

그러나 도1에 도시된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는 마이크(3)가 이어폰(1)과 이격되어 있고, 또한 이어폰(1)을 귀에 꽂았을 경우 이어폰(1)과 마이크(3)를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이어행거(8)를 필요로 하고, 이어폰(1)과 택트스위치(5)와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진 코드(4,7)가 별도의 감김 장치가 없는 관계로 항상 늘어져 있으므로 거추장스러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earphone-type hands-free device shown in FIG. 1, when the microphone 3 is spaced apart from the earphone 1, and the earphone 1 is inserted into the ear, the earphone 1 and the microphone 3 can be securely fixed. Since a separate ear hanger 8 is required and the cords 4 and 7 connected between the earphone 1 and the tact switch 5 are always stretched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winding device, a cumbersome problem is caused. have.

또한 마이크(3)는 이어폰(1)과 인출선(2)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바, 비록 행거(8)가 이어폰(1)을 고정할지라도 운전시나 보행시 마이크(1)가 금속성의 인출선(2)이나 마이크(3)의 자체 무게에 의해 사용자의 입 근처에 있지 않고 그로부터 처지게되며, 특히 이어행거(8)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이어행거(8)의 착용에 거추장스러운 부담감을 느끼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행시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3 is connected through the earphone 1 and the leader line 2, although the hanger 8 fixes the earphone 1, the microphone 1 is pulled out during driving or walking. Due to the weight of the line 2 or microphone 3 itself, it is not near the user's mouth and sags away from it. In particular, a user unfamiliar with the ear hanger 8 feels a burdensome burden to wear the ear hanger 8. In addition to feeling, uncomfort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aware of the gaze of others when walk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를 이어폰에 일체로 조합시켜 마이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이어행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의 노출로 인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필요도 없으며, 이어폰의 코드를 필요시만 인출 사용함에 따라 전혀 늘어짐 없이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microphone integrally with the earphone so that the microphon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ear hanger, as well as good fit There is no need to be aware of the eyes of others due to the exposure of the microphone, and it provides 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nd easily use the cord of the earphone by drawing out only when necessary.

도1은 종래의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s-free device for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3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이어-마이크로폰의 배면사시도,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ar-micropho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의 이어-마이크로폰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권취기구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ing mechanis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microphone of the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aken out;

도6은 도2에서의 Ⅵ-Ⅵ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 2;

도7은 도6에서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플러그 20 : 마이크내장형 이어폰1: plug 20: built-in microphone earphone

22 : 마이크 23 : 택트스위치22: microphone 23: tact switch

24 : 이어폰코드 30 : 코드권취기구24: earphone cord 30: cord winding mechanism

31 : 케이스본체 32 : 덮개31: case body 32: cover

34 : 태엽스프링 35 : 압축스프링34: spring spring 35: compression spring

36 : 스토퍼 37 ; 회전기판36: stopper 37; Rotating board

38 : 고정기판 39 : 중간판38: fixed substrate 39: intermediate plate

39a : 받침공 40 : 탄소볼39a: support hole 40: carbon ball

130 : 권취릴 130a, 130b : 플렌지130: winding reel 130a, 130b: flange

131 : 걸림턱 132 : 걸림해제턱131: jam jaw 132: jam release jaw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는, 공지의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 잭에 삽입하기 위하여 플러그가 연결된 소정 길이의 코드가 일 측으로 구비되고, 케이스 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태엽 스프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로 형성된 걸림턱과 검림해제턱이 구비되고, 회전기판 및 고정기판이 중간판을 매개로 상호 회동 접점되게 구성된 코드권취기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코드권취기구로는 흡음공을 통해 전달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가 내장되며, 송수신 및 재 다이얼기능이 구비된 텍트스위치가 일체로 형성된 이어폰의 코드를 상기 권취릴에 권취시켜 별도의 버턴 조작없이 상기 이어폰의 사용시에는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권취릴로 부터 인출하고, 수납시에는 상기 이어폰을 외측으로 살짝 더 잡아 당겼다가 놓아주면 자동적으로 코드가 상기 권취릴에 다시 감겨지도록 하며; 상기 권취릴은 이어폰 코드의 인출 및 수납시 이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해제턱이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상호 걸림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r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the plug for inserting into the ear-phone jack of a known mobile phone is provid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body In the winding reel is rotatably installed by a spring, and the catching jaw and the unwinding jaw formed by the take-up reel is provided, the rotating substrate and the fixed substrate is composed of a cord winding mechanism configured to be rotated mutually via an intermediate plate: The cord winding mechanism includ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ound absorbing ho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winds a cord of an earphone in which a text switch hav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winding reel. When using the earphone without the button operation of pull out and pull out from the reel, When the lead is slightly pulled out of the earphone and released, the cord is automatically wound on the winding reel; The take-up reel is configured to be caught and released from each other by the stopper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spring and the locking jaw formed therein when the earphone cord withdrawal and storage.

그리고, 회전기판과 고정기판은 이들 사이로 개재되는 중간판의 각 받침공으로 넣어진 탄소볼에 의해 상호 접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substrate and the fixed substrate be mutually contacted by carbon ball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supporting holes of the intermediate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플러그(11)가 도시되지 않은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 잭에 삽입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코드(12)의 길이는 도1에 도시된 것보다 훨씬 짧게 코드권취기구(30)의 일 측에 고정되어 있다. 코드(12)의 길이가 짧은 이유는 본 발명은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어폰코드(24)가 사용시에는 코드권취기구(30)로부터 상당히 긴 길이로 인출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이어폰코드(24)를 살짝 당겼다가 놓으면 이어폰 코드(24)가 권취기구(30)내에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하기 때문이다.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to that shown in Figure 1, the plug 11 is inserted into the ear-microphone jack of the mobile phone not shown, bu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cord 12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ord winding mechanism 30 much shorter than that shown in FIG. The reason why the length of the cord 12 is short i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from the cord winding mechanism 30 when the earphone cord 24 is in use, and the earphone cord 24 when not in use as described later. This is because the earphone cord 24 is automatically wound in the take-up mechanism 30 when pulled slightly.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20)에는 흡음공(21)을 통해 전달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2)가 내장되며, 송수신 및 재 다이얼기능이 구비된 텍트스위치(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택트스위치버튼(23a)은 이어폰(20)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력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and 4, the earphone 20 has a built-in microphone 22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absorbing hole 2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text switch hav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redial function. 23 is integrally formed, but the tact switch button 23a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of the earphone 20 to be elastically operated.

한편 본 발명은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어폰코드(24)를 상당히 긴 길이로 인출시킬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하기위한 코드권취기구(30)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 코드권취기구(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와 연결된 코드(12)가 고정되는 케이스본체(31)와, 이에 착탈되는 덮개(32)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rd winding mechanism 30 for pulling out the earphone cord 24 in a considerably long length when the hands free device is used and being automatically wound when not in use. The mechanism 30 is composed of a case body 31 to which the cord 12 connected to the plug 11 is fixed as shown in FIG. 2, and a cover 32 detachable thereto.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권취기구(30)는 케이스 본체(31)로 일체 형성된 중심축(33)에 태엽스프링(34)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어폰 코드(24)를 감기 위한 권취릴(130)을 포함하는바, 이 권취릴(130)은 2개의 플렌지(130a)(130b)가 상호 결합된 것으로서 이어폰 코드(24)의 인출시에는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릴(130)의 플렌지(130b)에 형성된 걸림턱(131)과 상호 괘지되어 권취릴(130)의 회전이 정지되고, 수납시에는 플렌지(130b)의 일 측에 형성된 걸림해제턱(132)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어 권취릴(130)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이어폰 코드(24)를 자동적으로 감기 위하여 스프링(35)으로 탄력설치된 스토퍼(36)를 구비하였다.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권취릴(130)의 플렌지(130b)에 형성된 걸림턱(131)은 걸림해제턱(132)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었는바, 그 이유는 후술할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cord winding mechanism 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entral shaft 33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ody 31 to be a spring spring 34 to wind the earphone cord 24. 130, the winding reel 130 is two flanges (130a, 130b)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earphone cord 24 is pulled out as shown in Figs.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jaw 131 formed on the flange 130b of 130, the rotation of the take-up reel 130 is stopped, and when the storage is caught by the locking release jaw 132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nge 130b. The stopper 36 is elastically installed with a spring 35 to automatically wind up the earphone cord 24 by being released to rotate the winding reel 130. As can be seen in FIG. 5, the locking jaw 131 formed in the flange 130b of the winding reel 13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locking release jaw 1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7 및 도8에서와 같이 회전기판(37)은 중심축(33)에 설치되어 권취릴(130)과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이어폰 코드(24)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이 회전기판(37)에는 플러그 코드(12)가 고정된 고정기판(38)이 중간판(39)을 매개로 상호 접점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기판(37)과 고정기판(38)은 이들 사이로 개재되는 절연체(바람직하기로는 플라스틱)인 중간판(39)의 각 받침공(39a)으로 넣어진 탄소볼(4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점되어 있음으로써 회전기판(37)과 고정기판(38)간의 전기적 접속을 효율적으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otary substrate 37 is installed on the central shaft 33, rotates together with the winding reel 130, and at the same time, one end of the earphone cord 24 is fixed. The fixed board 38, to which the plug cord 12 is fixed, is contacted with each other via the intermediate plate 39. The rotary substrate 37 and the fixed substrate 38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arbon balls 40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holes 39a of the intermediate plate 39, which is an insulator (preferably plastic) interposed therebetween. By being in contac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otating substrate 37 and the fixed substrate 38 is efficiently performed.

도3에 있어서 미 설명부호 SP는 이어폰(20)에 내장된 스피커를 나타낸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SP denotes a speaker built in the earphone 2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면, 사용자가 이어폰(20)을 귀에 꽂고자 도3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어폰(20)을 권취기구(30)로부터 잡아당기면 걸림턱(131)의 경사면이 스토퍼(36)를 시계방향으로 밀고 올라가게 되고 스토퍼(36)의 끝단부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렌지(130b)의 큰 직경 부위면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도3과 도5를 비교해 볼 때 스프링(35)은 이어폰(20)을 화살표(A) 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인장되고 이 경우 스토퍼(36)의 끝단부는 플렌지(130b)의 외주면과 접촉하게된다.In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ulls the earphone 20 from the winding mechanism 30 in the state shown in FIG. 3 to insert the earphone 20 into the ea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jaw 131 is a stopper. Push 36 upwar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end of stopper 36 is held in contact with the large diameter part surface of flange 130b as shown in FIG. 3 and 5, the spring 35 is tensioned by pulling the earphone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this case, the end of the stopper 36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130b. Will be done.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20)을 화살표(A) 방향으로 계속 잡아당기면 스토퍼(36)의 끝단부는 플렌지(130b)의 걸림해제턱(132)을 지나 다시 직경이 작은 플렌지(130b)의 외주면과 접촉한 뒤 다시 걸림턱(131)을 지나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earphone 20 is continuously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he end portion of the stopper 36 passes through the latch release jaw 132 of the flange 130b and then the diameter of the flange 130b having a smaller diameter. After th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gain passes through the locking step 131 it is repeated as described above.

그런데 이어폰(20)을 화살표(A) 방향으로 잡아당기다가 이어폰(20)을 놓으면 권취릴(130)은 태엽스프링(34)의 반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이 경우 도5에서와 같이 스토퍼(36)는 플렌지(130b)의 걸림턱(131)에 계합되어 지렛대 역할을 하게되므로 플렌지(130b)의 회전은 정지된다.However, when the earphone 2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nd the earphone 20 is released, the winding reel 130 rotates clockwise by the reaction of the spring spring 34,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As the stopper 36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 131 of the flange 130b to act as a lever, the rotation of the flange 130b is stopped.

이렇게 플렌지(130b)의 회전이 정지되는 이유는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스프링(35)이 스토퍼(36)를 잡아당기고 있더라도 스토퍼(36)의 끝단부가 플렌지(130b)의 큰 직경 부위에 걸려 스토퍼(36)가 축(36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어폰(20)을 화살표(A)방향으로 다시 잡아당겼다가 놓지 않는 이상 도5와 같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어폰 코드(24)를 인출한 상태에서 이어폰(2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rotation of the flange 130b is stopped as shown in FIG. 5 is that even though the spring 35 pulls the stopper 36, the end of the stopper 36 is located at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flange 130b. This is because the hanging stopper 36 cannot rotate counterclockwise about the axis 36a. Therefore, the user maintains the state as shown in FIG. 5 unless the user pulls the earphone 20 back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s described later, and thus the user holds the earphone cord 24 in the state where the earphone cord 24 is drawn out. ) Can be used.

한편 플렌지(130b)의 회전시 회전기판(37)과 고정기판(38)은 중간판(39)의 각 받침공(39a)으로 넣어진 탄소볼(4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점되어 있음으로써 회전기판(37)과 고정기판(38)간의 전기적 접속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lange 130b rotates, the rotary substrate 37 and the fixed substrate 38 are rotated by being electrically contacted with each other by the carbon balls 40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holes 39a of the intermediate plate 39.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ubstrate 37 and the fixed substrate 38 can be maintained smoothly.

따라서, 휴대폰의 플립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택트스위치버튼(23b)을 누르면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다이얼링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휴대폰의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고 다시 한번 택트스위치버튼(23b)을 누르면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된 전화번호가 송출되어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making a call without opening the flip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tact switch button 23b is pressed, the user's last dialed telephone number is displayed on the LCD of the mobile phone and the tact switch button 23b is once again. If you press), the 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LCD is sent and you can call the other party.

그리고 운전중이나 보행시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택트스위치버튼(23b)을 조작하여 이어폰(20)으로부터 음성이 들리면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And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during driving or walking, the user can operate the tact switch button 23b when a voice is heard from the earphone 20.

한편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이어폰(20)을 권취기구(30)내에 감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이어폰코드(24)가 인출된 상태에서 이어폰(20)을 약간 더 잡아당긴다. 다시 말하면 도5에서와 같이 스토퍼(36)의 끝단부가 플렌지(130b)의 걸림턱(131)에 걸려있는 상태로부터 스토퍼(36)의 끝단부가 걸림해제턱(132)과 계합될 때까지 더 잡아당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wind the earphone 20 in the winding mechanism 30 so as not to use the hands free device, the user pulls the earphone 20 slightly further in the state where the earphone cord 24 is drawn out.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 the end of the stopper 36 is further pulled from the state where the end of the stopper 36 is engaged with the catching jaw 131 of the flange 130b until the end of the stopper 36 is engaged with the catching release jaw 132. .

따라서, 도5에 도시한 상태에서 이어폰(20)을 더 잡아당겨 스토퍼(36)의 끝단부가 플렌지(130b)의 큰 직경 부위와 계합되는 상태에서 플렌지(130b)의 걸림해제턱(132)을 지날 경우에는 지금까지 플렌지(130b)의 큰 직경 부위와 접촉되었던 스토퍼(36)의 끝단부가 플렌지(130b)의 작은 직경부위와 면하게 되는바, 이때 스토퍼(36)는 축(36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도3과 같은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권취릴(130)은 태엽스프링(34)의 탄발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어폰코드(24)는 권취릴(130)에 자동적으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earphone 20 is further pulled in the state shown in FIG. 5 so that the end of the stopper 36 passes through the latch release 132 of the flange 130b in a state in which it is engaged with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flange 130b.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of the stopper 36 which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flange 130b faces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flange 130b, where the stopper 36 is counterclockwise about the axis 36a. Direction can be rotated to maintain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winding reel 130 is rotated clockwise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34 so that the earphone cord 24 is automatically wound on the winding reel 130.

한편 본 발명의 핸즈프리장치는 특히 차량의 운전시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 잭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바, 상대방과 통화를 하다가 끊겼을 경우 택트스위치(23)를 누르면 재다이얼이 되므로 운전에 전혀 지장이 없는 이점이 있어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plugging into the ear-microphone jack of a mobile phone, especially when driving a vehicle. When the phone is disconnected while talking to the other party, pressing the tact switch 23 causes redialing. There is no merit that can promote safe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를 이어폰에 일체로 조합시켜 마이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이어행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의 노출로 인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시에는 권취기구로부터 이어폰 코드를 인출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어폰의 코드를 권취기구 내에 자동으로 권취하여 이어폰의 코드가 전혀 늘어지지 않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n ear hanger by combining the microphone integrally with the earphone so that the microphon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t is not only comfortable to wear but also does not need to be aware of the eyes of others due to the exposure of the microphone.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the earphone cord is drawn out from the winding mechanism when in use, and the cord of the earphone is automatically wound in the winding mechanism when not in use.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8에 도시된 중간판(39)에 형성된 받침공(39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upporting holes 39a formed in the intermediate plate 39 shown in FIG. 8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Claims (3)

공지의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 잭에 삽입하기 위하여 플러그(11)가 연결된 소정 길이의 코드(12)가 일 측으로 구비되고, 케이스 본체(31)의 중심축(33)에 대하여 태엽 스프링(34)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릴(130)과, 상기 권취릴(130)로 형성된 걸림턱(131)과 검림해제턱(132)이 구비되고, 회전기판(37) 및 고정기판(38)이 중간판(39)을 매개로 상호 회동 접점되게 구성된 코드권취기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A cord 1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which the plug 11 is connected is inserted to one side to insert into the ear-phone jack of a known cellular phone, and a spring spring 34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33 of the case body 31. Winding reel 130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locking jaw 131 and the unwinding jaw 132 formed of the winding reel 130 is provided, the rotary substrate 37 and the fixed substrate 38 is intermediate In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cord winding mechanism 30 configured to be pivotal contact via a plate 39: 상기 코드권취기구(30)로는 흡음공(21)을 통해 전달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2)가 내장되며, 송수신 및 재 다이얼기능이 구비된 텍트스위치(23)가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 내장형 이어폰(20)의 코드(24)를 상기 권취릴(130)에 권취시켜 별도의 버턴 조작없이 상기 이어폰(20)의 사용시에는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권취릴(130)로부터 인출하고, 수납시에는 상기 이어폰(20)을 외측으로 살짝 더 잡아 당겼다가 놓아주면 자동적으로 코드(24)가 상기 권취릴(130)에 다시 감겨지도록 하며;The cord winding mechanism 30 includes a microphone 22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absorbing hole 2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text switch 23 hav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redial function is integrally formed. The cord 24 of the microphone built-in earphone 20 is wound on the winding reel 130 and pulled out from the winding reel 130 when the earphone 20 is used without a separate button operation. When the earphone 20 is slightly pulled outward and released, the cord 24 is automatically wound on the winding reel 130; 상기 권취릴(130)은 마이크 내장형 이어폰(20) 코드(24)의 인출 및 수납시 이에 형성된 걸림턱(131)과 걸림해제턱(132)이 스프링(35)으로 탄력 설치된 스토퍼(36)에 상호 걸림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The take-up reel 130 is mutually connected to the stopper 36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spring 35 and the locking jaw 131 and the locking release jaw 132 formed thereon when the microphone built-in earphone 20 is pulled out and stored.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lock and rele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판(37)과 고정기판(38)은, 이들 사이로 개재된 중간판(39)의 받침공(39a)에 각각 삽입된 다수의 탄소볼(40)에 의해 상호 접점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The rotating substrate 37 and the fixed substrate 38 are mutually contacted by a plurality of carbon balls 40 respectively inserted in the support holes 39a of the intermediate plate 39 interposed therebetween. Hands-free device for mobile phones characterized by lugg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트스위치(23)를 조작하는 택트스위치버튼(23a)은 이어폰(20)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력 작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The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ct switch button (23a) for manipulating the tact switch (2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of the earphone (20) to be elastically actuated.
KR1019990013444A 1999-04-16 1999-04-16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KR1003292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444A KR100329217B1 (en) 1999-04-16 1999-04-16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444A KR100329217B1 (en) 1999-04-16 1999-04-16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75A KR20000023875A (en) 2000-05-06
KR100329217B1 true KR100329217B1 (en) 2002-03-21

Family

ID=1958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444A KR100329217B1 (en) 1999-04-16 1999-04-16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2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351A (en) * 2000-06-10 2001-12-17 김성수 a hearing apparatus of handphone
KR200262893Y1 (en) * 2001-11-12 2002-03-18 김여일 Earphone Cable and Plug Jack Case
KR20040041180A (en) * 2002-11-08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send control device of handsfre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86225B1 (en) * 2004-06-11 2007-12-17 손성욱 Hand-free System for Mobile Phone
CN109672954A (en) * 2019-01-28 2019-04-23 广州疯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headset switch device and the earphone including the headset switch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926U (en) * 1994-12-05 1996-07-22 김용덕 Cord Winding Device for Cell Phone Receiver
KR19980071968A (en) * 1998-07-07 1998-10-26 이춘수 Earphones for mobile phones with earphone cord rewi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926U (en) * 1994-12-05 1996-07-22 김용덕 Cord Winding Device for Cell Phone Receiver
KR19980071968A (en) * 1998-07-07 1998-10-26 이춘수 Earphones for mobile phones with earphone cord rew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75A (en)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43214A (en) Portable telephone set
US6269259B1 (en) Receiver set for desktop and mobile phones
KR100329217B1 (en)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KR100554565B1 (en) Hands-free phone system having earphone
JPH03263957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178343Y1 (en) Ear-mike set
JPH03258061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1035749B1 (en) Ear phone jack for portable terminal
KR200181930Y1 (en) Reel-type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with portable phone
JP3361304B2 (en) Mobile phone attachment and mobile phone with attachment
KR100377977B1 (en) Apparatus for Multipurpose Earphone
KR20050061860A (en) Speaker and earphone combined u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00024290A (en) Cellular phone with built-in a hands free kit being extractable
KR200233029Y1 (en) Wire reel device of one body type ear-micro phone
KR20020024908A (en) Mobile station with Antenna and Microphone/Earphone in one
KR200175159Y1 (en) Apparatus for earphone microphone attachment
KR200292156Y1 (en) Mobile stastion with ear-microphone of bobbin method
KR200191451Y1 (en) Cellular phone incorporating withdrawable earphone
KR20040077170A (en) Mobile phone having extractible microphone
KR0171037B1 (en) Length varying handset of portable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16285Y1 (en) Transmitter withdrawal apparatus of handsfree for handphone
KR20010000473U (en) Earphone Built-in Cellular Phone
KR200218558Y1 (en) Hands free set for portable telephone
JP2002199073A (en)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JPS60103761A (en) Movable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