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666B1 - A telephone instrument - Google Patents

A telephone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666B1
KR100328666B1 KR1019990011048A KR19990011048A KR100328666B1 KR 100328666 B1 KR100328666 B1 KR 100328666B1 KR 1019990011048 A KR1019990011048 A KR 1019990011048A KR 19990011048 A KR19990011048 A KR 19990011048A KR 100328666 B1 KR100328666 B1 KR 100328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haracter
telephone
present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61760A (en
Inventor
윤서연
윤영승
Original Assignee
윤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현 filed Critical 윤태현
Priority to KR101999001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666B1/en
Publication of KR2000006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6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하나의 버튼에 숫자와 문자를 각각 배치하고 경사각 등에 의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배치하거나, 숫자 버튼부의 일측에 별도의 문자 버튼부를 구성함으로서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 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문자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 번호를 사용할 수 있고 회로상으로 문자 전화 버튼을 숫자 버튼에 연결해 문자 전화 버튼을 누르면 숫자 신호가 출력되는 전화기를 제공한다.You can use a phone number consisting of numbers by arranging numbers and letters on one button and easy identification by inclination angle, or by forming a separate letter button on one side of the number button part. You can use the phone to connect the text phone button to the number button in the circuit and press the text phone button to provide a phone with a numeric signal output.

따라서 문자 전화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전화 번호의 기억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숫자 버튼부와 문자 버튼부의 구별이 용이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사용이 편리한 전화기를 제공한다.Therefore, by using a text telephone number, it is easy to remember the telephone number and is 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makes i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the numeric button portion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it provides a more convenient telephone.

Description

전화기{A telephone instrument}A telephone instrument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 무선 전화 단말기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전화기 키 패드 및 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used for wired, wireless telephone terminals and the like and relates to a telephone keypad and a structure of a key.

일반적으로 유선 및 무선 전화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화기 바디(1), 송수화기(3), 그리고 키 패드부(5)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키 패드부(5)는 1내지 9 및 0, 별(*) 그리고 샵(#) 버튼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번호의 조합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게 된다.In gener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s, as shown in Fig. 1, include a telephone body 1, a handset 3, and a keypad 5. The keypad portion 5 described above includes 1 to 9 and 0, a star (*) and a shop (#) button. Therefore, the user can make a call using a phone number that is a combination of these numbers.

이와 같이 조합된 전화 번호는 가입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화 번호의 숫자가 늘어나 보통의 경우에는 기억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통신 회사에서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사용한 문자 번호를 제공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자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일반적인 숫자의 조합으로 전화를 거는 전화기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mbined telephone number is often not easy to remember as the number of telephone numbers increases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increa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in the telecommunications company to provide a character number using letters rather than numbers, the service provided by these characters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as a telephone to call a combination of common number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로상 문자 버튼과 숫자 버튼을 연결해 문자 버튼으로 다이얼링을 하면 숫자 신호로 출력되는 전화기를 제공하여 문자 전화 번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통신 회사에서 문자로 이루어져 있는 문자 전화 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것은 물론 문자 번호로도 전화를 걸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character button and the number button on the circuit to provide a telephone that is output as a numeric signal when dialing with the character button to enable the use of the character phone number, which is composed of letters in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In the case of providing a text telephone number service, a telephone that can dial a number as well as a number is provided.

또한, 문자 키 패드의 버튼에 씌어진 문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버튼을 누를 때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데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structures to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s written on the button of the character keypad, it is convenient to use when the button is pressed.

도 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외형을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ypical telephon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키 패드를 도시한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 keypad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키 패드를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keypad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키 패드를 도시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keypad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A'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7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6의 B-B'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6;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9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C-C'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D-D'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1;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1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E-E'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1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도 15의 F-F'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15;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17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의 G-G'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G-G ′ of FIG. 17;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19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도 19의 H-H'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of FIG. 19;

도 2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2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도 21의 I-I'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1;

도 2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2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도 23의 J-J'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of FIG. 23;

도 25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키 패드 버튼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2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of the telephone keypad buttons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도 25의 K-K'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K 'of FIG. 25;

도 27a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키 패드부의 측면에 문자 키 패드부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27A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haracter keypad portion is disposed on a side of a keypad portion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b는 숫자 버튼부와 문자 버튼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제어하여 듀얼톤 다주파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연관 관계가 나타나 있는 블록도,FIG. 27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ssociation relationship for generating a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 by controlling signals generated from the numeric button portion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FIG.

도 28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키 패드부의 아래면에 문자키 패드부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28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haracter keypad portion is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a keypad portion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문자 키 패드를 도시한 평면도,29 is a plan view showing a character keypad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도 29의 문자 키 패드부의 하나의 키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3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one key of the character keypad portion of FIG. 29;

도 31은 도 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30;

도 32는 숫자 키 패드부, 문자 키 패드부 그리고 음성 인식부의 블록도이다.32 is a block diagram of a numeric keypad, a character keypad and a speech recognition unit.

본 발명은 바디, 이 바디에 연결되어 있는 송, 수화기, 그리고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수의 버튼을 가지고 있고, 각 버튼은 문자 부분과 숫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문자 부분과 숫자 부분은 식별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구분면을 가지고 있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a song, a handset connected to the body, and a plurality of buttons coupled to the body, each button being divided into a letter portion and a number portion, wherein the letter portion and the number portion are identified. Provided are telephones with keypads having different separation planes as possible.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와 연결되어 있는 송, 수화기,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있으며,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숫자 버튼이 다수로 이루어져 있는 숫자 키 패드,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숫자 키 패드의 각 숫자 버튼과 서로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다수의 문자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문자 키 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a song, a handset connected to the body, a handset, a numeric keypad disposed on the body, the number of the number button is displayed, the number is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numeric keypad Provided is a telephone that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numeric button and includes a character keyp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와 연결되어 있는 송, 수화기,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있으며,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숫자 버튼이 다수로 이루어져 있는 숫자 키 패드,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숫자 키 패드의 각 숫자 버튼과 서로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문자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문자 키 패드,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문자 키 패드부의 각각 문자 버튼과 서로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외부의 음성을 인식하여 듀얼톤 다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a song, a handset connected to the body, a handset, a numeric keypad disposed on the body, the number of the number button is displayed, the number is disposed on the body and each of the numeric keypad A character keypad having a number button and a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for generating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disposed on the body, genera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haracter buttons on the character keypad portion and recognizing an external voice Provided is a telephone including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generating a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구분면은 경사각 또는 요철면에 의하여 식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phone having the above-described partition surface is made of a structure identified by the inclination angle or uneven surface.

상술한 구분면은 광택 또는 무광택 도료의 칠에 의하여 식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The above-described partitioning surface provides a telephone having a structure which is identified by a fill of glossy or matte paint.

상술한 구분면은 색상의 차이 또는 음영 차이에 의하여 식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The above-described partitioning surface provides a telephone having a structure identified by color difference or shade difference.

상술한 문자 키 패드는 상기 바디에 수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The letter keypad described above provides a telephone that is receivably coupled to the bod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키 패드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로서, 다수의 버튼(11)을 도시하고 있다. 버튼은 다수개가 도면에 나타나 있으나, 구조가 동일하므로 하나 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버튼(11)에는 숫자가 쓰여져 있는 숫자 버튼부(11a), 문자 버튼부(11b)가 있다. 숫자 버튼부(11a)의 숫자는 통상의 전화기에 쓰여 있는 숫자와 동일하며, 문자 버튼부(11b)에 쓰여 있는 문자는 글자의 조합이 용이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자는 조합하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조합된 문자에 따라 전화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문자 번호에 의한 통신은 문자 번호와 숫자 번호가 동일 버튼 위에 표시되어 있어 문자 번호와 숫자 번호가 동일하게 작동한다. 예를 들면 '변호사'를 누르면 숫자 번호 442-9551을 누르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이는 회로상 문자, 숫자 번호가 연결되어 있어 문자로 다이얼링하여도 실제로는 숫자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문자를 조합하여 다이얼링하는 것은 한글 문자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keypad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number of buttons 11. Although a plurality of buttons are shown in the drawings, only one of them will be described since the structure is the same. This button 11 has a numeric button portion 11a on which numerals are written and a character button portion 11b. The number of the numeric button part 11a is the same as the number written in the normal telephone, and the letters written in the character button part 11b are preferably arranged to facilitate the combination of letters. And these characters are configured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combined character when the button for combining is pressed. In the communication by the letter number, the letter number and the number number are displayed on the same button so that the letter number and the number number work the same. For example, pressing 'lawyer' will produce the same result as pressing the number 442-9551.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letters and numbers are connected in the circuit, so even if you dial with the letters, they actually output a numeric signal. In particular, dialing a combination of these characters is more effective when composed of Korean character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전화기 키 패드의 평면도로서, 숫자 버튼부(13a)와 문자 버튼부(13b)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숫자 버튼부(13a)와 문자 버튼부(13b)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문자, 숫자 전환 버튼(14), 2열 선택 버튼(16), 3열 선택 버튼(18), 4열 선택 버튼(20)이 전화기 바디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14, 16, 18, 20)들은 회로에 의하여 문자, 숫자전환 버튼(14)을 누르면 문자와 숫자가 번갈아 선택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문자, 숫자 전환 버튼(14)이 문자가 선택될 수 있는 모드로 눌려진 상태에서 2열 선택 버튼(16)을 누르면, 문자 버튼부(13b)의 2열의 문자, 즉 'ㄲ', 'ㄷ', 'ㅁ'등이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3열 선택 버튼(18)을 누르면 3열의 문자, 즉 'ㅏ', 'ㄸ', 'ㅓ' 등이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4열 선택 버튼(20)을 누르면 4열의 문자, 즉 'ㅒ', 'ㅑ', 'ㅔ' 등이 선택될 수 있게 된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telephone keypad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numeric button portion 13a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13b. The numeric button portion 13a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13b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haracter, number switch button 14, second row selection button 16, and three row selection buttons ( 18), a fourth row selector button 20 is arranged on the telephone body. These buttons 14, 16, 18, and 20 are in a state in which letters and numbers can be alternately selected by pressing the letter and number conversion button 14 by the circuit. Then, when the second column selection button 16 is pressed while the letter and number switch button 14 is pressed in a mode in which a letter can be selected, the second column of characters of the character button part 13b, that is, 'ㄲ' and 'ㄷ' , 'ㅁ' can be selected. In addition, when the three-row selection button 18 is pressed, three columns of letters, that is, 'ㅏ', 'ㄸ', 'ㅓ',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Likewise, if the four-row selection button 20 is pressed, four columns of letters, that is, 'ㅒ', 'ㅑ', 'ㅔ'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이러한 한글 다이얼링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such a Hangul dialing system will be described below.

'경찰서'란 번호를 누르려면 'ㄱ'이 기록된 버튼을 누르고, 3열 버튼(18)을 누른 다음 'ㅕ'가 기록된 버튼을 누르고, 'ㅇ'이 기록된 버튼을 누르고, 2열 버튼(16)을 누른 후 'ㅊ'이 기록된 버튼을 누르고, 3열 버튼(18)을 누른뒤 'ㅏ'가 기록된 버튼을 누르고 'ㄹ'이 기록된 버튼을 한번 누르고, 'ㅅ'이 기록된 버튼을 누르고, 끝으로 3열 버튼(18)을 누른 후 'ㅓ'가 기록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다이얼링이 이루어지고 '경찰서'의 문자번호가 해당하는 숫자 번호로 변환되어 해당 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화 번호를 문자 번호로 기억함으로써 기억이 용이하게 된다.To dial the number "Police", press the button labeled "a", press the third row button (18), press the button labeled "ㅕ", press the button labeled "o", and press the second row button. Press (16), press the button with the letter 'Z', press the third row button (18), press the button with the letter 'ㅏ', press the button with the letter 'ㄹ', and press the button Dialing is done by pressing the third row button (18) and then pressing the button marked 'ㅓ', and the letter number of the 'police station' is converted into the corresponding number and you can talk to the phone. Will be. Therefore, the memory is easily stored by storing the telephone number as a letter number.

또한 2, 3, 4열 버튼(16, 18, 20)을 사용하지 않고 문자가 적혀 있는 문자 번호 중 1열의 문자는 1번 누름으로 문자에 대응하는 숫자 신호가 발생하고, 2열의 문자는 짧게 연속 2번 누름으로 해당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숫자 신호가 발생하고, 3열 및 4열의 문자는 각각 3번 및 4번을 같은 방법으로 누름으로서 해당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숫자 신호를 발생시켜 다이얼링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characte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etter is generated once by pressing the letter of the first column among the letter numbers where the letters are written without using the 2, 3, 4 row buttons (16, 18, 20), and the characters of the second row are briefly continuous. By pressing twice, the nume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generated, and the characters in column 3 and 4 can be dialed by generating the nume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by pressing the number 3 and 4 in the same way, respectively. Do.

그리고 제2 실시예는 버튼(13)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숫자 버튼부(13a)와 문자 버튼부(13b)의 상, 하 위치가 바뀌어 있는 형태가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다른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button 13 is circular,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numeric button portion 13a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13b are changed. This second embodiment can be fabricated in various ways by providing a different design than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키 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형태는 동일하나, 각 번호(1∼0)에 특정 어휘를 부여한 지정 어휘 단축 버튼부(15a)가 버튼(15)에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지정 어휘 및 문자 전환 버튼(14a)은 3단의 토글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지정 어휘 및 문자 전환 버튼(14a)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숫자로 연결된 코드 값이 직접 입력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1번 누르면 지정 어휘 버튼의 값이 숫자로 연결된 코드 값으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2번 누르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문자를 누르고자 할 때는 지정 어위 및 문자 전환 버튼(14a)를 2번 누른 상태에서 2열 버튼(16a), 3열 버튼(18a), 4열 버튼(20a)를 선택적으로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한 문자를 임의로 선택하여 누를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정 어휘 버튼부는 문자 조합의 다양성을 증대시키고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줄여 문자 다이얼링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keypad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form as the second embodiment, but differs in that a designated vocabulary shortening button section 15a for assigning a specific vocabulary to each number 1 to 0 is additionally arranged on the button 15. . It is preferable that the designated vocabulary and character switch button 14a is composed of three toggle switches. When the designated vocabulary and character switch button 14a is not pressed, a button value connected by numbers can be directly inputted by pressing a button. When it is pressed once, the value of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is converted into a code value connected by numbers, and when it is pressed twice, a character can be entered. In this way, when pressing a letter, the second row button 16a, the third row button 18a, and the fourth row button 20a are selectively pressed while the designated word and character switching button 14a is pressed twice. You can select and press any character you like. Such a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unit can increase the variety of character combinations and reduce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to make character dialing more convenient.

상술한 지정 어휘 버튼 역시 숫자와 동일한 신호 값으로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다.The above-mentioned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is also outputted with the same signal value as the number, which is convenient to use.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이고, 도 6은 도 5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전화기의 임의의 한 버튼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숫자 버튼부(17a)는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통상의 숫자가 쓰여져 있다. 그리고 문자 버튼부(17b)는 숫자 버튼부(17a)의 평면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것은 숫자 버튼부(17a)와 문자 버튼부(17b)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FIG. 5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gnifies any one button of the telephone. Numeric button portion 17a forms a flat surface and ordinary numbers are written on it.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17b is inclined downwardly with a constan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plane portion of the numeric button portion 17a. This is for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numeric button portion 17a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17b.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6의 B-B'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제5 실시예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임의의 한 버튼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숫자 버튼부(19a)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면을 이루고 있고, 문자 버튼부(19b)는 상술한 숫자 버튼부(19a)의 평면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지정 어휘 버튼(19c) 역시 상술한 숫자 버튼부(19a)의 평면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문자 버튼(19b)과 지정 어휘 버튼(19c)의 경사는 제4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FIG. 6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B-B 'of FIG. 6 taken away.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larged image of any one butt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It is shown. The numeric button portion 19a forms a plane similarly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19b is inclined upwardly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plane portion of the numeric button portion 19a described above. Further,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19c is also inclined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plane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numeric button portion 19a. The inclination of the character button 19b and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19c is for easy identification as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C'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임의의 한 버튼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숫자 버튼부(21a)는 중앙부에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 및 상단에 각각 문자 버튼부(21b) 및 지정 어휘 버튼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역시 서로 다른 종류의 숫자와 문자를 시선상 서로 다른 열에 배치해 버튼부의 식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in FIG. 9.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gnifies an arbitrary button consisting of a circle. The numeric button portion 21a has a concave shape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21b and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portion 21c are form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respectively. This is also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the button portion by placing different types of numbers and letters in different columns on the line of sight.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D-D'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제6 실시예와 유사하나, 다만 숫자 버튼부(23a)가 다른 면이 단층이 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7실시예 역시 숫자 버튼부(23a)와 문자 버튼부(23b) 그리고 지정 어휘 버튼부(23c)과 식별이 용이한 구조를 갖게 된다.FIG. 11 is a plan view of a button illustrating a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 of FIG. 11.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six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number button portion 23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side is single layered. The seventh embodiment also has an easy-to-identify structure with the numeric button portion 23a,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23b, and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portion 23c.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E-E'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숫자 버튼부(25a) 보다 문자 버튼부(25b)가 더 높게 단차가 져 있다. 이러한 구조 역시 숫자 버튼부(25a)와 문자 버튼부(25b)의 식별이 용이하다.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butto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3.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25b has a step higher than that of the numeric button portion 25a. This structure is also easy to identify the numeric button portion 25a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25b.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F-F'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숫자 버튼부(27a)가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이보다 높게 단차가 형성되어 지정 어휘 버튼(27b)이 배치되는 점이 제8 실시예와 다르다. 제9 실시예는 숫자 버튼부(27a)와 지정 어휘 버튼부(27b)와 조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숫자 버튼부(27a)와 지정 어휘 버튼부(27b)의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FIG. 15 is a plan view of a button showing a ni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15.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eighth embodiment in that the number button portion 27a has a flat surface, and a step is formed higher than this so that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27b is arranged. The ninth embodiment shows an example of combining the numeric button portion 27a and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portion 27b, thereby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numeric button portion 27a and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portion 27b. .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G-G'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버튼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9 실시예와 유사하나, 지정 어휘 버튼부 대신 문자 버튼부(29b)가 숫자 버튼부(29a)와 쌍을 이루고 있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작용효과는 제9 실시예와 동일하다.17 is a plan view of a button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of FIG. 17.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has a triangular shape and is similar to the nin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29b is paired with the numeric button portion 29a instead of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portion. . And the effect is the same as in the ninth embodiment.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H-H'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는 제8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 효과가 유사하나, 다만 삼각형상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점이 다르다.19 is a plan view of a button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of FIG. 19.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in construction and operation effect to the eighth embodiment, except that a triangular button can be used to implement various designs.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I-I'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는 제7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버튼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정 어휘 버튼부(33c)와 문자 버튼부(33b)의 상,하 위치가 바뀌어 있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작용 효과는 제7 실시예와 동일하다.FIG. 21 is a plan view of a button showing a twel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1.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seventh embodiment, but the shape of the button is triangular,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part 33c and the character button part 33b are changed. The point is different. And the effect is the same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J-J'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는 제10실시예와 유사하나 다만, 버튼이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이 타원은 장축이 수직면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대칭되는 구조는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그리고 작용 효과는 제10 실시예와 동일하다.FIG. 23 is a plan view of a button showing a thir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of FIG. 23.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ten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buttons have an ellipse form. And the ellipse has a long axis has a constant slo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the structure symmetrical to this,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and effect are the same as in the tenth embodiment.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4 실시예를 도시한 버튼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K-K'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는 제7 실시예와 동일하나, 버튼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며, 이 타원 형태는 제13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그리고 작용 효과는 제7 실시예와 동일하다.FIG. 25 is a plan view of a button showing a four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K 'of FIG.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even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button is oval, and the elliptical form is replaced by the description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And the effect is the same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이러한 실시예들은 숫자 버튼부, 문자 버튼부 또는 지정 어휘 버튼부들이 서로 단차가 져 있어 식별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각각 실시예의 다른점은 버튼의 형상과 단차의 위치가 다를 뿐 서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를 할 수 있다.These embodiment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numeric button portion,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or the designated vocabulary button portion are stepped from each other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However, the difference of eac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button and the position of the step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has the same effect and can be designed in various designs.

도 27a, 27b 및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5, 16 실시예로서, 전화기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바디(51)의 일측에 숫자 키 패드부(53)가 배치되어 있고, 이 숫자 키 패드부(53)의 일측에 문자 키 패드부(55)가 배치되어 숫자 키 패드부(53)와 문자키 패드부(55)가 분리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문자 키 패드부(55)를 분리한 것은 문자 버튼에 는 점이 다르며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27A, 27B and 28 show a top view of a telephone as a fifteenth and six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numeric keypad 5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51, and the character keypad (one side of the numeric keypad 53) is disposed on the one side of the numeric keypad 53. 55 is arranged so that the numeric keypad 53 and the character keypad 55 are separated. In this way, the character key pad portion 55 is separated from the character button in that the point is different and the effect is the same.

이러한 신호는, 도 27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숫자 버튼부(53) 및 문자 버튼부(55)는 서로 대응하는 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신호 값이 제어부(CU)로 인입되어 듀얼 톤 다주파 신호 발생부(75)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값으로 변환되어전화국의 자동 교환시스템에 연결된다. 이때 제어부(CU)는 메모리(M)와 연결되어 필요 데이타가 저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27B, the numeric button portion 53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55 are composed of key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signal value is introduced into the control unit CU to generate a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 Through the unit 75,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value and connect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the telephone st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CU is connected to the memory M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necessary data can be stored.

한편, 도 28의 분자 키 패드부(55)의 일측에는 단축 다이얼을 위한 단축 다이얼 버튼(56)이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축 다이얼은 문자 키 패드부(55)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단축 다이얼로 입력한 상태에서 단축 다이얼(56)을 우선적으로 다이얼링한 후 문자 키 패드부의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하여 문자 버튼을 누르는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는 액정 디스플레이(58)에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식별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speed dial buttons 56 for speed dial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lecular keypad 55 of FIG. 28. The speed dial dials the speed dial 56 first in a state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character key pad portion 55 is entered as a speed dial, and then allows the button of the character key pad portion to be pressed. To reduce it. At this time, the input numbers or letters are configured to appear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8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도 2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0은 제17 실시예의 문자 버튼의 하나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1은 제17 실시예의 문자 버튼의 하나를 다른 형태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one of the character buttons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and FIG. 31 is a view showing one of the character buttons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applied in another form. It is a perspective view to show.

제17 실시예에서는 문자 및 단축문자 키 패드부(57)를 숫자키 패드부(53)의 일측에 배치하고 있는 점이 제15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그리고 지정 어휘 키 패드부(57)의 상측에는 단축 다이얼 버튼부(56)가 배치되어 있고, 지정 어휘 키 패드부(57)의 아래측에는 음성 인식부(5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음성 인식부(58)는, 도 32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숫자 키 패드부(71), 문자 키 패드부(73)와 함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음성 인식부(58)는 문자 키 패드부(73)과 대응하여 전화를 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러한 음성 인식부(58)는, 도 3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음성 인식을 받아서 제어부(CU)를 통하여 듀얼 톤 다주파 신호를 발생부(75)에서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여 전화를 걸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문자 키 패드부(73)와 연동하여 문자 키를 입력하거나 음성 인식부(58)를 통하여 제어부(CU)를 통하여 전달하는 신호는 동일하게 처리된다. 그리고 제어부(CU)는 문자 키 신호 또는 음성 인식 신호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M)를 갖추고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숫자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구조가 함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venteen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fteenth embodiment in that the character and shortcut key pad 57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numeric keypad 53. And the speed dial button part 56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designated vocabulary key pad part 57, and the voice recognition part 58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designated vocabulary key pad part 57. As shown in FIG. This speech recognition unit 58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numeric keypad 71 and the character key pad 73, as shown in FIG. 32A. The voice recognition unit 58 has a structure capable of making a phone call in correspondence with the character key pad unit 73.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2, the voice recognition unit 58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and generates a 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 from the generation unit 75 via the control unit CU to make a call. It is configured to. Of course,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CU through the text key input unit or the voice recognition unit 58 in cooperation with the text key pad unit 73 is processed in the same way. In addition, the controller CU may be equipped with a memory unit M for temporarily storing a text key signal or a voice recognition signal. And the structure of making a call using numbers can be made together.

한편 지정 어휘 키 패드부(57)는 필요에 따라 전화기 바디(1)내로 수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전화기 바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signated vocabulary key pad portion 57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in the telephone body 1 as necessary.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phone body.

도 30 및 도 31은 문자 및 지정 어휘 키 패드부(57)의 버튼을 각각 다른 형태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식별성이 양호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도 31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문자, 숫자, 지정 어휘 그리고 영문자가 하나의 키에 설치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30 and 31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uttons of the character and the designated vocabulary keypad 57 are inclined in different forms, respectively, so that the identification is goo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1 shows that letters, numbers, designated vocabulary and English letters can be installed in one key.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문자 버튼의 형태를 구성하여 식별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택 및 무광택, 색상 그리고 음영차 등을 두어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 of the character button in various forms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easily distinguished by providing gloss and matte, color, and shade difference.

본 발명은 숫자 버튼부 및 다수의 문자가 씌어져 있는 문자 버튼부가 하나의 버튼 또는 별도의 버튼으로 구분되어 있어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 숫자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숫자 번호와 문자 번호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문자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전화 번호의 기억이 용이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eric button portion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written wit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divided into one button or a separate button, and of course, you can call a numeric telephone number consisting of numbers. Since the numbers are connected in a circuit, it is easy to remember the phone number by providing a structure to call a text telephone number.

그리고 숫자 버튼부와 문자 버튼부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버튼부에 경사각, 요철면, 광택 및 무광택, 색상 그리고 음영차 등을 두어 구분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by placing the inclination angle, uneven surface, gloss and matte, color and shade difference for easy identification of the numeric button portion and the character button portion.

Claims (2)

바디;body;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있는 송, 수화기;A song and a handset connected to the body;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수의 버튼을 가지고 있고, 각 버튼은 문자 부분과 숫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문자 부분과 숫자 부분은 식별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구분면을 가지고 있는 키패드;A keypad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each button being divided into a letter portion and a number portion, and the letter portion and the number portion having different division surfaces so as to be identified; 를 포함하고 있는 전화기.The phone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면은 경사각 또는 요철면에 의하여 식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vided surface has a structure identified by an inclination angle or an uneven surface.
KR1019990011048A 1999-03-30 1999-03-30 A telephone instrument KR100328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048A KR100328666B1 (en) 1999-03-30 1999-03-30 A telephone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048A KR100328666B1 (en) 1999-03-30 1999-03-30 A telephone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60A KR20000061760A (en) 2000-10-25
KR100328666B1 true KR100328666B1 (en) 2002-03-28

Family

ID=1957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048A KR100328666B1 (en) 1999-03-30 1999-03-30 A telephone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66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771A (en) * 1986-10-31 1988-06-30 이우에 사또시 Voice recognition phone
KR960006436A (en) * 1994-07-12 1996-02-23 김광호 How to Speed-Dial Your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771A (en) * 1986-10-31 1988-06-30 이우에 사또시 Voice recognition phone
KR960006436A (en) * 1994-07-12 1996-02-23 김광호 How to Speed-Dial Your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60A (en)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9387A (en) Multifunctional telephon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5117455A (en) Telephone keypad matrix
KR100870501B1 (en) Keypads style input device for electrical devices
GB2349725A (en) Multi-function key for a portable phone
KR100314395B1 (en) Dial Button Code System
US6243460B1 (en) Telephone with character keypad
KR100769595B1 (en) Layout structure of the korean alphabet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28666B1 (en) A telephone instrument
KR100675181B1 (en) Key pa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1821B1 (en)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KR100429983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remote controller
KR100728753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KR100504602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character input method for supporting user's tractable input using shift key
KR10033934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aractor input method using the same
JPS6190557A (en) Multi-functional telephone set with transparent system display device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100697518B1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phone and the method thereof
KR100639387B1 (en) Keypad with 2 column of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07646A (en) Hangeul inputting system for digital terminal
JPH03224338A (en) Telephone set having a character display function
JP2951275B2 (en) Exchange system
KR10040927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100628185B1 (en) method for designing software of mobile phon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