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724B1 -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 - Google Patents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724B1
KR100324724B1 KR1019990010557A KR19990010557A KR100324724B1 KR 100324724 B1 KR100324724 B1 KR 100324724B1 KR 1019990010557 A KR1019990010557 A KR 1019990010557A KR 19990010557 A KR19990010557 A KR 19990010557A KR 100324724 B1 KR100324724 B1 KR 10032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uilding
address
gis
a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493A (ko
Inventor
이미란
Original Assignee
정흥구
지 아이 에스 주식회사
옥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흥구, 지 아이 에스 주식회사, 옥철영 filed Critical 정흥구
Priority to KR101999001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72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건물, 골목길의 공간자료가 구축된 GIS를 활용하여 도로중심으로 건물주소를 자동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최소한의 오차와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주소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로관리, 교통관리, 도시기반시설물관리 등의 도로 및 건물관련업무를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A Road-based Address Assignment Method and System using GIS}
본 발명은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로, 건물, 골목길의 속성 및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도로를 중심으로 하여 건물주소를 부여하는 새로운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과거에 우리나라는 1910년 일제가 토지관리와 조세징수를 행하기 위해 토지조사사업을 하였을 때 토지지번 중심의 주소부여방식이 사용되었고, 상기의 토지지번 중심의 주소부여방식이 지금까지 계속되어 사용되고 있다.그런데, 상기의 주소부여방식에서는 지번배열에 일관성이 없고 지번끼리의 관련성이 부족하여, 상기의 주소부여방식을 사용하여 부여된 주소로는 위치를 식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국민의 복지, 관광, 유통, 교통 등과 같은 사회복지 및 산업구조에서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으므로, 보다 주소식별이 쉬운 새로운 주소부여방식의 도입이 요구되었다.그러므로, 국가경쟁력 강화기획단과 내무부(현 행정자치부)는 1997년에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원칙』을 마련하고 토지지번 중심에서 도로중심에 의한 새로운 주소방식을 채택하였다. 도 1a는 내무부에서 제시한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원칙』에 의하여 작성된 지도의 예이다.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원칙』에 의하면, 도로의 기점은 도로구간의 시작을 나타내고, 도로의 종점은 도로구간의 끝을 각각 나타내고, 도로의 기점에서부터 기초번호가 부여된다. 여기에서, 기초번호란 도로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여하는 번호로서, 도로구간을 그 도로에 있는 건축물의 수로 나눈 값을 기초간격으로 하여, 기초간격에 따라 도로기점에서 종점방향으로 왼쪽은 홀수번호를 오름차순으로 부여하고, 오른쪽은 짝수번호를 오름차순으로 부여한다. 막힌 길인 경우는 주진입로의 진행방향에 따라 연속하여 기초번호를 부여한다. 도로에 기초번호를 설정함으로써, 건물의 신축이나 재축등으로 인하여 건물번호의 체계가 혼란스러워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기초번호가 주어진 다음, 개별 건물에 건물번호가 부여된다. 건물번호는 개별의 건물의 주출입구가 접하고 있는 도로상의 기초번호를 건물번호로 부여하고, 한 기초간격안에 2채 이상의 건물이 있는 경우에는 건물번호에 -1, -2, … 순으로 부여한다.또한, 내무부에서는 도로중심의 건물주소체계를 구축하고자 서울 강남구와 안양시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시범사업에서는 먼저 도로의 길이를 건물수로 나눈 기초간격에 따라 기초번호를 구하고, 기초번호에 근거하여 수작업으로 건물주소를 부여하였다. 이것을 '수작업에 의한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방법'이라고 칭한다. 도 1b는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방법에 의해 주소가 부여된 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기본원칙안에서 제시된 기초간격 산출근거가 뚜렷하지 않고 각 도로마다 기초간격이 다르므로 통일성이 부족하다. 둘째, 같은 도로내에 동일한 기초간격 설정에 따른 기초번호의 일률성이 떨어지므로, 조밀한 건물일때에는 '-'번지의 생성이 많아지게 되고, 백화점 등의 대형건물에서는 몇개의 기초간격안에 건물이 있으므로 기초번호가 무의미하게 된다. 셋째. 골목길인 경우 도로와 구분없이 연속하여 기초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골목길을 도로의 연장선으로 처리함에 따라 도로의 좌/우측의 기초번호 배열에 있어서 일관성이 없다.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방법에 의해 주소가 부여된 지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첫째, 같은 도로내에서 기초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둘째, 기초간격안에 2채의 건물이 있는 경우, '-'번지를 생성하는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원칙』과는 달리 '-'번지의 생성이 전혀 없도록 기초번호와 건물번호를 일치시키지 않았다. 셋째,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인 경우 기초번호를 부여하지 않았으며 연속되는 도로구간에서 건축물이 없는 경우는 기초번호를 생략하였다. 넷째, 건물주출입구의 방향을 정확히 표시하지 않아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건물인 경우 임의대로 건물번호를 부가하였다.이러한 종래 기술의 신주소부여방식은 수작업에 의한 기초간격설정과 건물번호를 부여한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일관성, 정확성이 없어서 작업자에 따라 구주소가 전혀 다른 신주소로 변환될 수 있는 위험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한 부정확한 주소변환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도작성과 분석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어 전체적인 행정예산낭비를 가져올 수 있다.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소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국민생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도로, 건물, 골목길의 공간자료가 구축된 GIS를 활용하여 도로중심으로 건물주소를 자동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최소한의 오차와 정확하고 일관성있는 주소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로관리, 교통관리, 도시기반시설물관리 등의 도로 및 건물관련업무를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내무부에서 제시한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원칙』에 의하여 작성된 지도의 예이고, 도 1b는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도로명 및 건물주소 부여방법에 의해 주소가 부여된 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시스템에서, GIS엔진을 이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와 속성데이터베이스의 전체구조를 표현한 도면이다.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시스템에서, 속성데이터를 구성하는 테이블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시스템에서, 도로에 인접한 건물에 대한 주소부여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골목길에 인접한 건물에 대한 주소부여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에서 먼저 건물주소 부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건물주소를 자동으로 부여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입력으로서 지도 정보는 국립지리원에서 DXF(Drawing eXchange Format)로 제공되는 지도도면을 원시도메인(source-domain)으로 사용하고, 이를 GIS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도형태로 변환하여 목적도메인(target-domain)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입력된 지도 정보에서 지도를 확대, 축소, 이동, 선택하는 것과 같은 지도 관리를 위한 지도관리단계가 형성된다.지도의 정보가 입력된 후 지도상의 도로, 건물, 골목길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에서는 지도상에서 도로, 건물, 골목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건물주소 자동부여를 위한 기초자료를 형성한다.상기의 도로, 건물, 골목길 정보의 입력 후에는, 건물의 주 출입구와 도로연결, 건물과 골목길 연결, 골목길과 도로 연결 등 공간정보상의 위상관계를 입력하는 공간정보 위상관계 입력단계를 통하여 각 건물과 도로간의 공간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건물주소 자동부여를 위한 기초자료를 형성한다.,상기의 지도관리단계와, 정보입력단계와, 공간정보 위상관계 입력단계 이후에, 도로 주변의 건물의 주소는 도로경로거리와 도로의 시작점에 따라서 해당도로의 기점을 중심으로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번호를 오름차순으로 붙여서 가상건물번호(X)를 부여하는 도로 중심의 가상건물번호 부여단계와, 네트워크로 구성된 골목길을 반시계 방향으로 순회하여 골목길내의 건물에 대해서는 하위번호(n)를 부여하여 'X-n'형태로 주소를 부여하는 골목길 중심의 건물번호 부여단계가 있다.상기의 건물번호 부여단계 이후에는, 도로, 건물 및 골목길의 공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GIS를 활용하여 도로 중심의 건물주소를 자동 일괄적으로 부여하는 건물주소 자동부여단계가 있다.본 발명에 의한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시스템은 기초번호를 부여하지 않고 건물과 인접도로와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서 건물번호만을 자동부여하고, 도로와 골목길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건물번호를 부여하여 차별화된 주소체계를 구성한다.본 발명에 있어서, 건물은 건물의 주출입구를 건물로 정의하고 건물이 도로와 인접한 건물일 경우에는 도로의 기점과 건물사이의 거리를 사용하고, 골목길과 인접한 건물일 경우에는 골목길 시작점과 건물사이의 거리를 사용한다. 또한, 도로는 도로중심선을 도로로 정의하고 있고, 도로에는 도로명과 기점, 종점이 있다. 한편, 골목길은 인접도로의 중심선상의 한점을 골목길의 시작점으로 정의하고, 골목길의 이름은 인접한 도로명과 동일하게 사용한다.도 2는 GIS활용을 위해 구축되는 건물주소 부여시스템에서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 GIS엔진을 이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SDB : Spatial Database)와 속성데이터베이스(ADB : Attribute Database)의 전체구조를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도로, 골목길, 건물의 레이어(layer)로 구성된 공간데이터베이스와 각 레이어에 대한 속성을 저장하고 있는 속성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고, 삽입, 수정 및 삭제의 편의를 위해 관계데이터베이스(RDB : Relational Database)를 사용하여 관리된다. 이렇게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는 공간데이터베이스와 속성데이터베이스의 상호작용을 위해 GIS엔진의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를 이용해서 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전체적인 자료를 관리하고 분석한다.이러한 주소부여 시스템의 공간데이터베이스는 국립지리원에서 DXF(Drawing eXchange Format)로 제공되는 지도도면을 원시도메인(source-domain)으로 사용하고, 이를 GIS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도형태로 변환하여 목적도메인(target-domain)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시스템에서는 도로, 골목길, 건물정보를 삽입한 뒤에, 목적도메인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공간데이터는 도로, 골목길, 건물에 대해 각각의 레이어로 관리되고, 각 레이어는 타일드맵 방식(Tiled Map Method)으로 관리된다.다음, 본 시스템의 속성데이터는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도로, 골목길, 건물 테이블로 구성된다.각 속성 테이블은 오브젝트 ID(Object ID : OID)와 포인트(point)정보로 구성된다. 도로테이블은 도로ID, 인접도로에 대한 방향, 골목길 시작점과 인접도로 기점사이의 거리, 인접도로에 대한 거리와 방향에 따른 건물번호정보를 갖고 있으며, 건물테이블은 건물ID, 인접도로(골목길)ID, 인접도로(골목길)에 대한 방향, 인접도로(골목길) 기점사이의 거리, 인접도로(골목길)에 대한 거리와 방향에 따른 건물번호, 토지지번중심의 현주소, 도로중심의 신주소 정보를 갖는다.또한, 도로나 골목길에 대한 OID를 건물에 대한 속성데이터의 참조키(reference key)로 정의하여 인접도로(골목길)에 대한 속성테이블의 검색을 수행하고, 도 3과 같이 건물테이블과 도로테이블, 건물테이블과 골목길테이블, 골목길테이블과 도로테이블간의 관계를 형성한다.전체 알고리즘은 건물이 도로에 인접한 경우에 건물번호를 부여하는 알고리즘과 골목길에 인접한 경우에 건물번호를 부여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전체 알고리즘의 수행단계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도 4는 건물번호를 부여하는 일 실시예로서, 도 4a는 도로에 인접한 건물에 주소를 부여한 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골목길에 인접한 건물에 주소를 부여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먼저, 도로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도로에 인접해 있는 건물과 골목길을 검색하여 도로와의 직교점을 찾아, 이 점과 해당 도로 기점과의 도로경로거리를 구한 뒤, 그 거리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도로의 왼쪽방향은 홀수로 증가한 번호(X)를 부여하고(예를 들면, 도 4a에서 1, 3, 5), 오른쪽 방향은 짝수로 증가한 번호(X)를 부여한다(예를 들면, 도 4a에서 2, 4, 6, 8). 도로에 인접해 있는 건물일 경우에는 X가 건물번호로 생성되어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결합한 신주소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거리이름이 '세종로'라면 도 4a의 왼쪽에서 1, 3, 5로 번호가 붙여진 건물의 주소는 세종로1, 세종로3, 세종로5와 같이 새롭게 주어진다. 이때, 골목길에는 가상건물번호가 주어져 있다.(예를 들면 도 4a에서 6)다음으로, 골목길에 인접해 있는 경우, 도 4b와 같은 방식으로 건물과 해당 골목길과의 거리를 구한 뒤, 그 거리에 따라 해당 골목길의 오른쪽 건물은 오름차순, 왼쪽 건물은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도로내의 골목길은 네트워크로 구성된 위상구조를 갖도록 설계하고, 골목길 순회방향은 도 4b와 같이 항상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으로 순회하고, 연결점(successive node :sn)은 다음 골목길을 가리킨다. 현재 골목길 기준으로 항상 우측에 위치한 골목길의 오른쪽 건물부터 1씩 증가한 번호(n)를 부여하고, 연결점(sn)의 유무를 판단하여 연결점(sn)이 있으면 다음 골목길의 오른쪽 건물부터 1씩 증가한 번호를 부여하고, sn이 없으면 즉, 더 이상 우측에 위치한 골목길이 없을 경우에는 연결점(sn)의 좌측에 있는 골목길의 건물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1씩 증가한 번호를 부여하면서 시작점(first node :fn)까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골목길에 인접한 건물일 경우 X + '-' + n을 결합하여 도 4b와 같이 건물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도로명과 결합하여 신주소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도 4b에 있어서 골목길에는 '6'이라는 가상건물번호가 붙어지고 실제의 건물에는 6-1, 6-2, 6-3, 6-4, 6-5의 번호가 주어지므로, 거리명을 세종로라고 가정하면, 새로운 주소는 세종로6-1, 세종로6-2, 세종로6-3, …과 같이 주어진다.따라서, 'X-n'형태의 건물주소가 부여되어 있으면, 도로에 인접해 있는 건물이 아니라 골목길에 인접한 건물임을 알수 있다.상기 건물주소 자동부여단계 이후에는, 토지지번중심의 현주소와 도로 중심으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결합한 신주소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주소검색단계로 이루어져 건물주소 부여시스템에서 건물주소 부여방법에 의하여 건물주소를 자동 일괄적으로 부여한 건물과 도로와 주소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검색이 가능하다.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GIS를 이용한 도로 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소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국민생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도로, 건물, 골목길의 공간자료가 구축된 GIS를 활용하여 도로중심으로 건물주소를 자동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최소한의 오차와 정확하고 일관성있는 주소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119등의 긴급사태발생, 우편방문, 수송 및 배달 등의 도로관리, 교통관리, 도시기반 시설물관리 등의 도로 및 건물관련업무를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므로, 국민생활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시스템은 GIS를 활용하여 신주소를 자동부여함으로써 정확하고 일관성있게 주소를 변환하게 하여 수작업으로 처리한 종래기술에 비해 오차발생을 최소화하고,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GIS를 이용한 도로 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에 있어서,
    지도를 확대, 축소, 이동, 선택할 수 있는 지도관리단계와,
    도로, 건물, 골목길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건물의 주 출입구와 도로연결, 건물과 골목길 연결, 골목길과 도로 연결 등 공간정보상의 위상관계를 입력하는 공간정보 위상관계 입력단계와,
    상기의 지도관리단계와, 정보입력단계와, 공간정보 위상관계 입력단계 이후에,
    도로 주변의 건물의 주소는 도로경로거리와 도로의 시작점에 따라서 해당도로의 기점을 중심으로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번호를 오름차순으로 붙여서 가상건물번호(X)를 부여하는 도로 중심의 가상건물번호 부여단계와,
    네트워크로 구성된 골목길을 반시계 방향으로 순회하여 골목길내의 건물에 대해서는 하위번호(n)를 부여하여 'X-n'형태로 주소를 부여하는 골목길 중심의 건물번호 부여단계와,
    상기의 건물번호 부여단계 이후에,
    도로, 건물 및 골목길의 공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GIS를 활용하여 도로 중심의 건물주소를 자동 일괄적으로 부여하는 건물주소 자동부여단계와,
    상기 건물주소 자동부여단계 이후에 토지지번중심의 현주소와 도로 중심으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결합한 신주소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주소검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도로 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2. GIS를 이용한 도로 중심의 건물주소 부여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도로, 건물, 골목길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각의 레이어는 타일드맵 방식으로 관리되는 공간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각의 레이어는 도로, 건물, 골목길 테이블로 구성되는 관계형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각의 테이블은 설정된 기본문자정보들로 된 다수의 필드에 대한 필드명이 등록된 소스필드와 등록된 각 필드명에 각각 대응하는 변경 가능한 응용문자정보들로 이루어진 필드정보를 포함하는 속성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도로 중심의 건물주소 부여시스템.
  3. 삭제
KR1019990010557A 1999-03-26 1999-03-26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 KR100324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57A KR100324724B1 (ko) 1999-03-26 1999-03-26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57A KR100324724B1 (ko) 1999-03-26 1999-03-26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493A KR20000061493A (ko) 2000-10-25
KR100324724B1 true KR100324724B1 (ko) 2002-02-28

Family

ID=1957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557A KR100324724B1 (ko) 1999-03-26 1999-03-26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198A (ko) * 2000-04-11 2000-07-05 박인철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의 전자지도 수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292B1 (ko) * 1999-12-14 200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상속화를 이용한 객체구현을 통한 위상정보 생성방법
KR101678682B1 (ko) * 2015-03-25 2016-12-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배송 순서 결정 방법 및 배송 순서 결정 시스템
KR102359234B1 (ko) * 2021-02-17 2022-02-09 (주)밸류업시스템즈 개별토지 연접도로 매칭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개별토지 연접도로 매칭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198A (ko) * 2000-04-11 2000-07-05 박인철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의 전자지도 수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493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9692B (zh) 一种计算城市公共设施覆盖辐射指数的方法
CN107391753B (zh) 一种基于gis的路产矢量化数据自动生成系统及方法
CN105677804A (zh) 权威站点的确定以及权威站点数据库的建立方法和装置
CN102749083B (zh) 一种实现整合多路网数据的地图构建方法及装置
JP2011514540A (ja) 地理情報システムにおける線形参照システムイベントの配置
CN109446381A (zh) 一种基于时态图的公共交通路网集成方法
JP2001052149A (ja) 図面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図面更新方法
US20100198505A1 (en) Method for Representing Linear Features in a Location Content Management System
Elias Pedestrian Navigation-Creating a tailored geodatabase for routing
KR100324724B1 (ko) Gis를 이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방법 및 부여시스템
CN113177046B (zh) 路网拓扑图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Dibbelt Engineering algorithms for route planning in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s
CN107103061B (zh) 一种室内空间单元的动态邻接矩阵的构建方法及装置
KR20220139431A (ko) 개선된 병합 및 안정적인 피처 아이덴티티를 지원하는 토폴로지 베이스모델
Biba et al. Who can access transit? Reviewing methods for determining population access to bus transit
CN116187605A (zh) 一种基于gis技术的公交线网选线方法
CN112269845B (zh) 面向异源数据的电子道路地图与公交线路的快速匹配方法
Simkowitz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 important technology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operations
Simkowitz Transportation applic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JP6420749B2 (ja) 地理ネットワーク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726895A (zh) 一种多目标点的任务执行规划方法及装置
Choi et al. Redefining Korean road name address system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CN117610751B (zh) 一种基于道路实体的运输投送路径规划路网构建方法及装置
Zar et al.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for Yangon region
Bailey et al. Creating a municip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transportation: case study of Newton, Massachuset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