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521B1 -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521B1
KR100324521B1 KR1019990028301A KR19990028301A KR100324521B1 KR 100324521 B1 KR100324521 B1 KR 100324521B1 KR 1019990028301 A KR1019990028301 A KR 1019990028301A KR 19990028301 A KR19990028301 A KR 19990028301A KR 100324521 B1 KR100324521 B1 KR 100324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support
leg
vibration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756A (ko
Inventor
황성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52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방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기(30) 하면에 설치된 지지레그(32)의 끝부분을 방진구(24)를 게재시켜 베이스팬(20) 상에 지지하고, 상기 압축기(30)의 하면에 부착된 지지레그(32)의 부분과 압축기(30)의 하면 중앙을 분산지지구(40)를 사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상기 분산지지구(40)는 그 상면에 상기 지지레그(32)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레그지지대(41)를 형성하고, 상기 압축기(30)의 중앙을 지지하기 위해 중앙지지대(43)를 그 상면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산지지구(40)의 하면에는 베이스팬(20)의 고정홈(26)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5)를 형성하여 분산지지구(40)가 압축기(30)의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Vibration-blocking apparatus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일체형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압축기의 설치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체형 공조기는 공조기 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된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유니트에 구비되어 창문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장방형으로 구성된 베이스팬(1)이 공기조화기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부품들이 설치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즉 실내측과의 열교환을 위한 부품과 실외측과의 열교환을 위한 부품이 베리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획되어 설치된다.
즉, 실내측과의 열교환을 위해 상기 베이스팬(1) 상에는 증발기(3)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3)의 후방과 베리어의 사이에는 실내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증발기(3)를 통과시키기 위한 블로워팬(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의 일측에는 증발기(3)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5)의 하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조작을 위한 콘트롤박스(6)가 구비된다.
그리고, 베리어를 중심으로 상기 증발기(3)가 설치된 반대쪽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을 형성하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2)의 후방에는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가 상기 증발기(3)에서 전달받은 열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기(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9)와 베리어의 사이에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응축기(9)를 통과하도록 공기유동을 만들어내는 팬(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팬은 상기 블로워팬을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함께 구동된다. 한편, 사이클을 구성하기 위한 캐피러리튜브(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응축기(9)와 증발기(3)를 연결하여 냉매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실내의 공기를 상기 블로워팬의 흡입력으로 증발기(3)로 흡입하여 증발기 내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블로워팬에 의해 상기 토출구(5)측으로 전달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압축기(7)에서 압축되어 상대적으로 고온고압으로 되어 상기 응축기(9)로 전달된다. 상기 응축기(9)에서는 상기냉매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실외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실내의 열을 실외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실외의 공기는 상기 팬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응축기(9)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면서 열교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9)에서 외부공기와 열교환한 냉매는 상대적으로 저온,고압을 상태가 되고, 캐피러리튜브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상태로 되어 다시 증발기(3)로 전달되어 사이클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주는 압축기(7)가 상기 베이스팬(1)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압축기(7)의 하면에는 압축기(3)의 설치를 위한 레그판(7')이 취부되어 있다. 상기 레그판(7')은 상기 베이스팬(1)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1B)가 관통되는 통공이 3곳에 천공되어 있다. 한편, 볼트(1B)에는 방진고무(8)가 둘러싸지도록 끼워진다. 이와 같은 방진고무(8)는 상기 볼트(1B)에 끼워져 상기 레그판(7')과 베이스팬(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방진고무(8)는 상기 압축기(7)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레그판(7')의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1B)에는 와셔(w)와 너트(2)가 차례로 체결되어 상기 압축기(7)를 베이스팬(1)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방진구조에 의하면, 압축기(7)가 레그판(7')의 중앙에 얹혀있고, 상기 레그판(7')의 3모서리에 의해 압축기(7)가 지지되는 형상이어서, 상기 레그판(7')과 베이스팬(1)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외부의 힘(예를 들면 공기조화기의 자체의 자유낙하)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압축기(7)의 설치상태가 비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7)의 설치상태가 비틀어지면 압축기(7)와 연결되어 냉매의 공급과 토출을 위한 관의 이음상태가 손상되고, 상기 압축기(7)의 설치와 관련된 부품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압축기(7)의 동작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압축기(7)의 하면과 베이스팬(1)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구조에서는 동작중에 상기 압축기(7)가 아래로 처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레그판(7')이나 볼트(1B)가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압축기(7)의 설치상태가 변하게 되어 압축기(7)의 동작성능이 떨어지고 냉매를 전달하는 관의 이음매가 손상되어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에 의해 압축기의 설치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기 방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설치와 관련된 부품과 그 주위 부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압축기에 작용하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압축기 방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일체형 공조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 방진구조를 구성하는 분산방진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분산방진구가 베이스 팬에 설치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베이스팬 22: 볼트
24: 방진구 26: 고정홈
27: 너트 30: 압축기
32: 지지레그 40: 분산지지구
41: 레그지지대 42: 통공
43: 중앙지지대 45: 고정돌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압축기의 하부에 장착된 지지레그부와, 상기 지지레그부를 베이스팬 상에 지지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완충하는 방진구와, 상기 지지레그부를 지지하는 레그지지대와 상기 압축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대를 구비하고 하면에 상기 베이스팬 상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의 하부에 대응되는 베이스팬 상에서 상기 지지레그부와 압축기의 하면을 지지하여 압축기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분산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그지지대와 중앙지지대에는 각각 상하로 통홀이 관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진구조에 의하면, 압축기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지지구가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완충시킬 수 있어 압축기의 설치상태와 그 관련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방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압축기 방진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베이스팬(20) 상에는 압축기(30)의 체결을 위한 볼트(22)가 설치된다. 상기 볼트(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30)의 지지레그(32)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상기 볼트(22)에는 방진구(24)가 삽입되는데, 상기 방진구(24)는 상기 지지레그(32)와 베이스팬(20)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압축기(30)의 소음과 진동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22)와 체결되어 압축기(30)를 베이스팬(20)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너트(27)와 와셔(28)를 사용한다.
상기 베이스팬(20) 상에는 상기 볼트(22) 들을 연결하도록 대략 삼각형으로 고정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6)은 아래에서 설명될 분산지지구(40)의 고정돌기(45)가 위치되는 곳이다.
상기 베이스팬(20) 상에 체결되는 상기 압축기(30)에는 지지레그(32)가 그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레그(32)는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부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분산지지구(40)가 상기 압축기(30)의 하면과 베이스팬(20)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분산지지구(40)는 상기 압축기(30)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산지지구(40)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지지구(40)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30) 하면에 설치된 지지레그(32)를 지지하는 레그지지대(41)가 상기 지지레그(3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30)의 하면 중앙을 지지하도록 중앙지지대(43)가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지지대(41)와 중앙지지대(43)에는 각각 복수개의 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공은 상기 분산지지구(40)의 중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산지지구(40)의 하면에는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45)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6)에 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45)는 상기 고정홈(26)에 삽입되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분산지지구(40)의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방진구조의 작용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진구조에서는 압축기(30)를 베이스팬(20) 상에 설치하면서, 이들 사이에서 방음과 방진을 위해 3개의 방진구(24)와 분산지지구(40)를 사용한다. 특히, 상기 분산지지구(40)는 그 상면에 3군데의 레그지지대(41)와 중앙의 중앙지지대(4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0)의 동작소음과 진동은 상기 방진구(24)와 레그지지대(41) 및 중앙지지대(43)에 의해 완충되어 베이스팬(2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거기다가, 상기 분산지지구(40)는 상기 압축기(30)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동작중의 진동이나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축기(30)의 하면을 각각 레그지지대(41)와 중앙지지대(43)로 지지하게 되므로, 동작중의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압축기(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에 압축기의 처짐에 의해 발생하던 볼트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산지지구(40)의 고정돌기(45)는 상기 베이스팬(20)의 고정홈(26)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산지지구(40)가 상기 베이스팬(20)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분산지지구(40)에 상기 베이스팬(20)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힘이 압축기(30)를 통해 작용하더라도이에 의해 분산지지구(40)의 위치가 달라지지 않게 된다. 이는 결국 상기 압축기(30)의 설치위치가 변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 방진구조에 의하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불의의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기의 동작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고,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압축기의 설치상태가 틀어지지 않고, 관련부품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압축기의 하부에 장착된 지지레그부와,
    상기 지지레그부를 베이스팬 상에 지지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완충하는 방진구와,
    상기 지지레그부를 지지하는 레그지지대와 상기 압축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대를 구비하고 하면에 상기 베이스팬 상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의 하부에 대응되는 베이스팬 상에서 상기 지지레그부와 압축기의 하면을 지지하여 압축기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분산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지지대와 중앙지지대에는 각각 상하로 통홀이 관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4. 삭제
KR1019990028301A 1999-07-13 1999-07-13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KR100324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301A KR100324521B1 (ko) 1999-07-13 1999-07-13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301A KR100324521B1 (ko) 1999-07-13 1999-07-13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756A KR20010009756A (ko) 2001-02-05
KR100324521B1 true KR100324521B1 (ko) 2002-02-16

Family

ID=1960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301A KR100324521B1 (ko) 1999-07-13 1999-07-13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5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756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521B1 (ko) 일체형 공조기의 압축기 방진구조
KR100360235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KR10043702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
KR200358678Y1 (ko)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JP321755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0512240B1 (ko) 에어컨 실외기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포밍구조
KR200142858Y1 (ko) 공기조화기의 방진장치
KR200349520Y1 (ko) 에어컨 실외기의 높이조절 장치
KR20060097460A (ko) 공기조화기
KR200152128Y1 (ko)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설치구조
KR100629557B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의 전도방지장치
JP7224523B2 (ja) 室内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45405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KR20050103705A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 구조
KR102407638B1 (ko) 엘리베이터 에어컨 설치용 고정브라켓
KR20030052290A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KR200165694Y1 (ko) 진동흡수가 가능한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KR200277534Y1 (ko) 에어콘의실외기고정장치
KR10056160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KR20070022947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KR20030034643A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취부구조
KR0128923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지지대
KR100582303B1 (ko) 에어컨 실외기
KR200232359Y1 (ko) 패키지에어콘의송풍기고정장치
KR20030059885A (ko) 천정형 에어컨디셔너의 모터 마운트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