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12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123B1
KR100324123B1 KR1019990032045A KR19990032045A KR100324123B1 KR 100324123 B1 KR100324123 B1 KR 100324123B1 KR 1019990032045 A KR1019990032045 A KR 1019990032045A KR 19990032045 A KR19990032045 A KR 19990032045A KR 100324123 B1 KR100324123 B1 KR 10032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plifier
baseband
signal
input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16864A (en
Inventor
한재희
남상욱
Original Assignee
남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욱 filed Critical 남상욱
Priority to KR101999003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123B1/en
Publication of KR2001001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1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선형화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저 대역 입력 신호를 사전 왜곡시켜 출력을 선형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linearizing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a power ampl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arizing an output by pre-distorting a baseband input signal.

본 발명은 알에프 전력 증폭기의 임의의 기저 대역 입력 신호와 이를 알에프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하고, 전력 증폭기를 통과시켜 복조한 기저 대역 궤환 신호를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추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 왜곡기에 필요한 전력 증폭기의 역전달 특성을 상기 기저 대역 등가 표현으로부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a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using an adaptive algorithm for an arbitrary baseband input signal of an RF power amplifier and a frequency conversion of the baseband input signal and the baseband feedback signal demodulated by passing the power amplifier.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back transfer characteristic of the power amplifier required for the predistorter from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왜곡 선형화 장치 및 방법은 전력 증폭기의 송출 동작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에 적응된 사전 왜곡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향상된 선형화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distortion linear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imate th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without affecting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power amplifier at all. In addition, since the predistortion scheme adapted to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in real time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linearization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prior art.

Description

전력 증폭기의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본 발명은 알에프 전력 증폭기(RF Power Amplifier)의 비선형 특성 (nonlinearity)에 의한 왜곡 현상(distortion)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baseband) 입력 신호를 사전 왜곡 (predistortion)시켜 출력을 선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solving distortion caused by nonlinearity of RF power amplifier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distortion of baseband input signals of power amplifi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linearizing output.

디지틀 통신 기술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면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부품의 선형성이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의 주요 부품인 알에프 전력 증폭기의 경우, 알에프 전력 증폭기가 지니는 3차 또는 5차 비선형 특성은 인접 통신 채널에 혼신을 유발하므로, 통신 시스템의 표준 규격으로 이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As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inearity of individu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is emerging as an essential element for providing high quality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case of RF power amplifier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third or fifth order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RF power amplifier cause interference in adjacent communication channels, which is strictly regulated as a standard specific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이와 같은 알에프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백 오프(back-off) 방법이 있으며, 이에 관한 기술이 미합중국 특허 제4,637,017호에 상술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백-오프 방법은 전력 증폭기의 선형 특성은 개선할 수 있으나 증폭기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알에프 증폭기의 고효율과 선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선형화 기법으로서 기저 대역 사전 왜곡 방식에 의한 선형화 기법이 제시되고 있다.There is a back-off method 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problem of the RF power amplifier, the technique is described in US Patent No. 4,637, 017. By the way, the back-off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improve the 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but has a problem of low efficiency of the amplifier. Accordingly, a linearization technique using a baseband predistortion scheme has been proposed as an appropriate linearization technique for simultaneously satisfying the high efficiency and linearity of the RF amplifier.

제1a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저 대역 사전 왜곡 방식에 의한 선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a도를 참조하면, 사전 왜곡기(101)의 전달 특성은 전력 증폭기(102) 전달 특성의 역함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전력 증폭기의 출력으로 선형 증폭된 입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nearization apparatus using a baseband predistor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A,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the predistorter 101 may be expressed as an inverse function of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the power amplifier 102, and an linearly amplified input signal may be obtained as an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사전 왜곡기 선형화 방법은 전력 증폭기 전달 특성의 역함수 특성(G-1)을 지니는 사전 왜곡기(101)의 출력을 전력 증폭기(102)에 인가함으로써, 선형 증폭된 전력 증폭기 특성을 얻을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e-distorter linearization method, a linearly amplified power amplifier characteristic is obtained by applying the output of the pre-distorter 101 having the inverse function characteristic G −1 of the power amplifier transfer characteristic to the power amplifier 102. Can be obtained.

그런데,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은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른 출력 신호의 크기와 위상의 왜곡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사전 왜곡기에서 요구되는 역전달 특성은 제1b도에서와 같이 참조표(look-up table)를 이용한 입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사상(mapping)으로 구현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can be represented by the distortion of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the revers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required by the predistorter are as shown in FIG. 1b. ) Can be implemented by mapping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제1b도를 참조하면 복소 입력 신호 Ii및 Qi(103)는 참조표를 이용하여 사전 왜곡된 신호(104)를 전력 증폭기에 인가함으로써 선형화된 출력 신호(105)를 얻게된다.Referring to FIG. 1B, the complex input signals I i and Q i 103 obtain a linearized output signal 105 by applying a pre-distorted signal 104 to the power amplifier using a look-up table.

이와 같은 1차원 참조표를 사용한 사전 왜곡기 기술은 제이 케이 케이버스 (J. K Cavers)가 1990년에 발행된 IEEE Transaction Vehecular Technology 논문집Vol.30 No.4의 제374쪽 내지 제382쪽에 발표한 논문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digital predistorter with fast adaptation and low memory requirements' 에 개시되어 있다.The predistorter technique using this one-dimensional reference table is published by J. K Cavers on pages 374 to 382 of IEEE Transaction Vehecular Technology Proceedings Vol.30 No.4, published in 1990.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digital predistorter with fast adaptation and low memory requirements.

제1c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전 왜곡 방식의 선형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사전 왜곡 선형화 장치는, 전력 증폭기의 왜곡이 기저 대역 복소 신호의 크기(magnitude)에 비례하여 발생하므로 이 값을 입력 크기에 따른 참조표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한다.Figure 1c is a view showing a pre-distortion linear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e prior art linear distortion apparatus, since the distortion of the power amplifier occurs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baseband complex signal, this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in the form of a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the input size.

제1c도의 극좌표 변환기((106)는 입력 크기를 구하기 위한 단계이고 이 값에 따라 참조표의 주소를 계산한다. 이 과정이 도면 부호 107로 표시된 참조표 주소 산출에서 수행된다. 또한, 참조표 주소값에 따라 회전 동작(110) 등을 거쳐 보상된 신호는 직각좌표변환기(111)을 거치게 된다.The polar coordinate converter 106 of FIG. 1C is a step for obtaining an input size and calculating the address of the lookup table according to this value. This process is performed in the lookup table address calcula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7. Also, the lookup table address value As a result, the signal compensated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110 or the like passes through the rectangular coordinate converter 111.

그런데, 제1c도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전 왜곡 방식의 선형화 장치는 진폭 참조표 및 위상 참조표를 채우기 위하여, 참조표의 한 원소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인위적으로 알고 있는 값으로 인가하고 참조표의 값을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변화시키면서 진폭 에러(112)와 위상 에러(114)가 최소가 되는 점을 찾아 참조표를 갱신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However, the predistortion lineari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c appli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one element of the lookup table to an artificially known value in order to fill the amplitude lookup table and the phase lookup table. A method of updating the reference table by finding the point where the amplitude error 112 and the phase error 114 are minimized while changing the value by using an adaptive algorithm is employed.

이 과정을 흔히 훈련 단계(training mode)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이 경우 참조표의 갱신이 완료될 때까지 전력 증폭기가 송출하여야 하는 신호를 중단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This process is often defined as the training mode, which has the problem of stopping the signal that the power amplifier must transmit until the update of the lookup table is complete.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전 왜곡 방식의 선형화 장치는 열 또는 노화에 의한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에 대하여 사전 왜곡기의 전달 특성을 보정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linearization apparatus of the distortion method should correct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predistorter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power amplifier due to heat or aging.

이를 위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전 왜곡 방식의 선형화 장치는 전력 증폭기의 입출력 신호의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적응 알고리즘(adaptive algorithm)을 사용하여 참조표의 값들을 수렴시켜 얻게 되는데, 참조표의 모든 값들이 수렴할 때까지 전력 증폭기에 특정 훈련 신호를 인가하여야 하므로 전력 증폭기의 송출 중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o this end,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linearization apparatus of the distortion method is obtained by converging the values of the reference table using an adaptive algorithm so that the error of the input / output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is minimized. Since a specific training signal needs to be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until it converg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mission interrupt of the power amplifier occurs.

더욱이, 종래 기술에 따른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은 참조표의 값 중 어느 하나라도 발산(diverge)하는 경우, 선형화 장치의 성능은 급격히 저하되거나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Moreover, the prior-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ossibility that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ization device may suddenly degrade or become unstable when diverging any of the values in the reference tabl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에 대해서 양호한 개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왜곡 선형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 good degree of improvement with respect to a characteristic change of a power amplifier.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전력 증폭기의 송출 동작과는 무관하게, 시간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를 추정하여 양호한 개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 good degree of improvement by estimating a characteristic change of a power amplifier over time, irrespective of the output operation of the power amplifier, in addition to the first object. To provide.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시간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를 추정하여 선형화에 필요한 왜곡 성분을 예측할 수 있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estimating a distortion component required for linearization by estimating a characteristic change of a power amplifier over time, in addition to the first object.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종래 기술이 지녔던 진폭에러(112)와 위상 에러(114) 부분을 삭제하고 전력 증폭기 입출력단에 등가 모델 추정기를 삽입함으로써 어떠한 입력 신호에 대해서도 전력 증폭기의 등가 모델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o the first object,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amplitude error 112 and phase error 114 portions of the prior art, and inserts an equivalent model estimator into the power amplifier input / output stage for any input signal.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he equivalent model of the power amplifier.

제1a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저 대역 사전 왜곡 방식에 의한 선형화 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1a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a linearization device by a baseband predistor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1b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저 대역 사전 왜곡 방식에 의한 선형화 장치에서 각 단의 신호들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복소 평면 상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jectory on a complex plane for explaining a correlation between signals of stages in a linearization apparatus using a baseband predistor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제1c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저 대역 사전 왜곡 방식에 의한 선형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Figure 1c is a diagram showing a linearization device by a baseband pre-distor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 사전 왜곡 방식 선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전 왜곡기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amplifier predistortion linear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predistort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 사전 왜곡 방식 선형화 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등가 모델 추정을 이용한 디지털 사전 왜곡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제6a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3 dBm에서 17 dBm까지 변화시켰을 때, IQ 복조기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의 기저대역 복소 전달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IQ 좌표계에 도시한 도면.제6b도는 본 발명에 따라 추정한 전력 증폭기의 전달 함수를 출력의 최대치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IQ 평면에 도시한 도면.제7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사용된 입력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비선형 출력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amplifier pre-distortion linea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predistorter using real-time equivalent model esti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easurement of the baseband complex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power amplifier using an IQ demodulator when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is varied from -3 dBm to 17 dB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shows a spectrum of an input signal us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shows the spectrum of an input signal us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nlinear output spectrum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 : 참조표30 : 기저대역 입력 신호40 : 디지털 신호41 : 전력 증폭기의 출력60 : 디지털부61 : DSP(digital signal processor)62 : 신호 변환기70 : 아날로그부71, 72 : IQ 변복조기73 : 측정에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74 : 방향성 결합기75 : 감쇄기<Reference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10: Reference Table 30: Baseband Input Signal 40: Digital Signal 41: Power Amplifier Output 60: Digital Unit 61: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62: Signal Converter 70: Analog Apparatus 71, 72: IQ modulator 73: Power amplifier used for measurement 74: Directional coupler 75: Attenuator

103 : 선형 특성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증폭기 입력 신호의 궤적103: Trajectory of the power amplifier input signal required for linear characteristics

104 : 사전 왜곡기를 통과한 전력 증폭기 입력 신호의 궤적104: Trajectory of the power amplifier input signal through the predistorter

105 : 선형화된 전력 증폭기 출력 신호의 궤적105: Trajectory of the linearized power amplifier output signal

201 : 사전 왜곡기201: pre-distorter

202 : 전력 증폭기 기저 대역 등가 표현 추산 장치202: power amplifier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estimator

203 : 직각 변조기203: right angle modulator

204 : 직각 복조기204: right angle demodulator

205 : 알에프 비선형 전력 증폭기205: RF Nonlinear Power Amplifi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에프 전력 증폭기의 임의의 기저 대역 입력 신호와 이를 알에프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하고, 전력 증폭기를 통과시켜 복조한 기저 대역 궤환 신호를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추정하고, 사전 왜곡기에 필요한 전력 증폭기의 역전달 특성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왜곡 방식의 선형화 기법을 제공한다.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전달 함수 추정기는 전력 증폭기의 실시간 입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의 복소 전달 함수를 추정하고, 이 등가 모델을 이용하여 참조표(LUT; Look-Up Table)를 갱신하므로 참조표의 모든 항목을 일시에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신호에 대한 제약이 없으므로, 특정 신호의 입력이 불필요하고 어떠한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aseband of a power amplifier using an adaptive algorithm to frequency-modulate any baseband input signal of the RF power amplifier and the baseband feedback signal demodulated by passing the power amplifier and demodulated through the power amplifier. A predistortion linearization technique is provided that estimates a 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and calculates the revers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a power amplifier required for a predistorter. The complex transfer function of the power amplifier is estimated, and the look-up table (LUT) is updated using the equivalent model so that all items of the reference table can be modified at one time.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put sig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put of a specific signal is unnecessary and can be used in any communication system.

또한, 열이나 노화 등에 의한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혹은 일정한 판단 기준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재차 추정하여 사전 왜곡기의 전달 특성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power amplifier due to heat or aging, it is desirable to correct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the predistorter by re-estimating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of the power amplifier periodically 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 기법과 그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제2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inearization technique of an RF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왜곡 선형화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입력 신호 Vd와 출력 궤환 신호 V0를 받아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추정하는 기저 대역 등가 표현 적응 추정 장치(202)와 참조표에 따라 입력 신호를 왜곡시키는 사전 왜곡기(201)로 구성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변환을 위한 직각 변조기(203)와 직각 복조기(204), 선형화할 비선형 전력 증폭기(205)를 구비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distortion linear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adaptive estimation apparatus 202 for receiving the baseband input signal V d and the output feedback signal V 0 of the power amplifier and estimating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of the power amplifier is input according to the reference table. The predistorter 201 distorts the signal. Additionally, a quadrature modulator 203 and a quadrature demodulator 204 for frequency band conversion of the signal are provided, and a nonlinear power amplifier 205 to be linearized.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왜곡 선형화 장치는 임의의 기저 대역 입력 신호를 알에프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한 신호를 전력 증폭기(205)에 입력하고,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직각 복조기(204)를 통하여 기저 대역으로 변환시켜 기저 대역 등가 표현 적응 추정 장치(202)에 입력된다. 이어서, 사전 왜곡기(201)는 전력 증폭기 기저 대역 등가 표현 적응 추정 장치(202)가 생성하는 참조표를 사용하여 현재의 전력 증폭기 왜곡 전달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사전 왜곡 신호를 생성하여 직각 변조기 (203)에 입력시킨다.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전 왜곡기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IQ 형태인 이상적 기저대역 입력 신호 Vi(30)는 우선 극 좌표계 형태로 변환된다. 이는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이 입력 신호의 크기만의 함수라는 가정에 기초하고, 입력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참조표(10)를 참조하기 위함이다. 참조표의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입력 신호의 전압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참조표(LUT; 10)에는 전력 증폭기(205)의 AM-AM 변환과 AM-PM 변환을 보상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참조표(10)에 따라 전력 증폭기(205)에 실제 인가될 기저대역 입력 신호 Vd(40)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왜곡된 Vd(40)를 크기 성분과 위상 성분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는 i번째 LUT(10) 항목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의 크기이며,는 이 때의 입력 신호의 위상을 나타낸다. 또한,는 AM-AM 변환을 보상하기 위하여 i번째 크기 LUT(10)에 저장된 값이며,는 AM-PM 변환을 보상하기 위한 i번째 위상 LUT(10)의 내용이다. 참고로, 대문자로 표기된 신호는 복소 포락선 신호(complex envelope signal)나 값을 의미하며, 소문자는 실 포락선 신호나 값을 나타낸다.이와 같이, LUT(10)의 내용에 따라 왜곡된 디지털 신호 Vd(40)는 IQ 형태로 변환된 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거쳐 최종적으로 IQ 변조기에 인가된다. 따라서, 최종적인 전력 증폭기의 출력 V0(41)는 입력신호 Vi(30)와 동일한 신호를 얻을 수 있다.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은 온도나 사용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 V0를 수시로 측정하고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 LUT(10)의 내용을 갱신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적응 알고리즘은 출력 신호 V0를 입력 신호 Vi와 비교하여 오차 신호 Ve가 최소화 되도록 여러 차례 반복을 통하여 LUT(10) 내용을 수정하게 된다. 많은 적응 알고리즘 가운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LMS(least-mean-square) 알고리즘을 LUT 갱신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이고,이다. 또한, 수학식 3과 수학식 4에서 아래첨자 n+1는 적응 알고리즘의 반복 회수를 나타내고,는 적응 알고리즘의 수렴 속도를 조절하는 계수로 안정성을 고려하여 수학식 5와 같은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전력 증폭기의 출력 V0를 이용할 경우, LUT의 각 항목에 대하여 Ve가 최대 허용 오차범위 내로 수렴할 때까지 수학식 3과 수학식 4를 반복해야 하므로, 동시에 모든 항목의 갱신이 불가능하다. 또한, LUT의 한 항목의 갱신이 종료될 때까지 일정 크기의 입력 신호를 유지해야 할 경우 전력 증폭기의 송출 동작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 predistortion linea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signal obtained by frequency converting an arbitrary baseband input signal into an RF band to the power amplifier 205, and converts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into a baseband through a quadrature demodulator 204. Input to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adaptive estimation apparatus 202. Subsequently, the predistorter 201 generates a pre-distortion signal capable of compensating for the current power amplifier distortion transfer characteristic by using a look-up table generated by the power amplifier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adaptive estimation apparatus 202 to generate a quadrature modulator ( 3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predistort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ticle Referring to Figure 3, IQ form of ideal base band input signal V i (30) is first converted to polar coordinate form. Th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nonlinearity of the power amplifier is a function of only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and to refer to the reference table 10 using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addressing a lookup table, the voltage of the input signal can be divided at equal intervals. [0046] In the lookup table (LU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AM conversion and the AM of the power amplifier 205 are used. Information for compensating the -PM conversion is stored, and a baseband input signal V d 40 is generated to be actually applied to the power amplifier 205 according to this reference table 10. As such, when the distorted V d 40 is divided into magnitude and phase components, the distortion may be expressed as follows. here, Is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 th LUT (10) item, Indicates the phase of the input signal at this time. Also, Is a value stored in the i th size LUT 10 to compensate for AM-AM conversion, Is the content of the i-th phase LUT 10 to compensate for AM-PM conversion. For reference, a capitalized signal means a complex envelope signal or value, and a lowercase letter indicates a real envelope signal or value. As such, a digital signal V d (distor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LUT 10) is used. 40) is converted into an IQ form and then finally applied to the IQ modulator via a digital-to-analog converter. Therefore, the output V 0 41 of the final power amplifier can obtain the same signal as the input signal V i 30.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change with temperature or time of use, and to compensate for this, The output signal V 0 of the amplifier should be measured from time to time and the contents of the LUT 10 should be updated if necessary using an adaptive algorithm. In general, the adaptive algorithm compares the output signal V 0 with the input signal V i and modifies the contents of the LUT 10 through several iterations to minimize the error signal V e . When applying the least-mean-square (LMS) algorithm, which is generally used among many adaptation algorithms, to LUT update, the following equation can be obtained. here ego, to be. In addition, the subscript n + 1 in the equations (3) and (4) represents the number of iterations of the adaptive algorithm, Is a coefficient for adjusting the convergence speed of the adaptive algorithm, and can be determined in the range as shown in Equation 5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However, when the output V 0 of the actual power amplifier is used, Equation 3 and Equation 4 must be repeated until V e converges to the maximum allowable error range for each item of the LUT. Therefore, all items cannot be updated at the same time. Do. In addition, if the input signal of a certain size is to be maintained until the update of one item of the LUT is completed, it also affects the output operation of the power amplifier.

제4도는 전력 증폭기 기저 대역 등가 표현 적응 추정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펄스 성형(pulse shaping)된 입력 신호 Vi에 대한 전력 증폭기의 복소 출력 V0를 시각 t에서 T개 표본화(sampling; 302)하여 출력 스펙트럼의 인접 채널 전력비(ACPR; adjacent channel power ratio)를 추정(303)한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power amplifier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adaptive estimation apparatus. Referring to FIG. 4, the complex output V 0 of the power amplifier with respect to the pulse shaping input signal V i is sampled at time t 302 so that the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ACPR) of the output spectrum is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is estimated (303).

이어서, 산출된 인접 채널 전력(ACPR)을 목표 임계값(threshold power; Pth)과 비교하는 단계(304)를 수행하고, 그 산출된 인접 채널 전력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즉, 전력 증폭기의 왜곡 비선형 특성이 두드러진 경우)에는 참조표를 갱신 할 것을 결정한다. 참조표 갱신의 필요성이 결정되면(304), 시스템 지연 시간을 추산 (305)하게 된다.A step 304 is then performed to compare the calculated adjacent channel power ACPR with a target threshold power P th , and if the calculated adjacent channel power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ie, power amplifier's power amplifier). If the distortion nonlinearity is prominent, decide to update the lookup table. If the need for a lookup table update is determined (304), then the system delay time is estimated (305).

한편, 시스템 지연을 추산하는 방법은 수학식 6에 표현된 시스템 지연 시간 d에 따른 입력 및 출력 신호의 상관 함수의 근사값을 계산하여, 최대값이 나타내는 시간 d를 전체 시스템의 지연 시간으로 추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system delay calculates an approximation of the correlation function of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according to the system delay time d expressed in Equation 6, and estimates the time d indicated by the maximum value as the delay time of the entire system.

수학식 6에서 td는 실제 지연 시간의 예상값이고, 그 밖의 변수들도 실험적인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Equation 6, t d is an expected value of the actual delay time, and other variables may be determined by an experimental method.

수학식 6에서 D는 td보다 크고, T는 N + D 보다 크거나 같다. 등가 모델 추정 단계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수학식 7과 같은 (2M + 1) 차의 복소 다항식으로 가정하고, (M + 1) 개의 복소 다항식의 계수들을 RLS (Recursive Least Squares)와 같은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한다.In Equation 6, D is greater than t d , and 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N + D. In the equivalent model estimation step,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of the power amplifier is assumed to be a complex polynomial of the order (2M + 1), as shown in Equation 7, and the coefficients of (M + 1) complex polynomials are represented by the recursive least squares (RLS). Estimate using adaptive algorithm.

여기서, Vd= Id+ jQd, V0= I0+ jQ0, Ck= ak+ jbk인 관계가 있다.Here, there is a relationship where V d = I d + jQ d , V 0 = I 0 + jQ 0 , and C k = a k + jb k .

수학식 7을 이용한 RLS 알고리즘의 반복식은 다음과 같다.An iteration of the RLS algorithm using Equation 7 is as follows.

여기서,here,

이고, ego,

d는 전 단계에서 추정한 궤환 루프의 지연 시간이다. 수학식 8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시한 적응 추정 장치는 궤환 신호의 실수부 데이터만 입력으로 사용하므로, 궤환 경로는 실수부(I)와 허수부(Q) 2채널에서 단일 채널로 축소할 수 있다.d is the delay time of the feedback loop estimated in the previous step. According to Equation 8, the adaptive estimating apparatu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the real data of the feedback signal as an input, so that the feedback path can be reduced to a single channel in two channels of the real part (I) and the imaginary part (Q). .

최종적으로 추정된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역에서 사전 왜곡기에 필요한 참조표를 갱신한다. 방법은 일반적인 1차원 참조표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사전 왜곡기에서와 같이 크기와 위상에 대하여 각각 입출력의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LMS(Least Mean Squares)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전력 증폭기의 복소 전달 함수는 AM-AM 변환 특성과 AM-PM 변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전달 함수의 복소 계수를 알면 전력 증폭기의 AM-AM 변환 특성과 AM-PM 변환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복소 계수 벡터 θ와 입력 신호를 사용하면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 V0를 알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사전 왜곡기의 LUT를 갱신할 수 있다.다시 제4도를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실수부에서 연속적인 T개를 샘플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의 출력의 스펙트럼을 분석한다. 출력 스펙트럼에서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이 적응 사전 왜곡기에서 내부적으로 설정된 기준치 Pth를 초과하지 않으면 계속 출력을 감시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기준치 Pth는 LUT를 갱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 사양으로 요구되는 값보다 여유있게 설정해야 한다. 만약 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전력 증폭기의 특성이 변한 것으로 간주하고 본 발명의 추정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가상 모델을 추정하고, 추정된 전력 증폭기의 가상 모델에 수학식 3과 수학식 4를 수행하여 새로운 LUT를 생성하고, 이를 실제 사전 왜곡에 사용되는 LUT와 교체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상할 수 있으며, 항상 설정된 ACPR 사양을 만족시킬 수 있다.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등가 모델 추정을 이용한 디지털 사전 왜곡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a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전 왜곡기는 디지털부(60)와 아날로그부(70)로 구성되어 있는데, 디지털부(60)는 실시간 복소 전달 함수 추정기, 디지털 사전 왜곡기의 구현에 필요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61)와 신호 변환기(6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DSP(61)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20 mips 처리 속도의 실수 연산용 TMS320C44를 한 쌍 사용할 수 있으며, 한 쌍의 DSP(61)는 각각 3채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연결되어질 수 있다.아날로그부(70)는 주파수 변환을 위한 IQ 변복조기(71, 72)와 출력을 되먹임시키기 위한 방향성 결합기(74)로 구성되어 있으며, 되먹임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감쇄기(75)를 삽입, IQ 변복조기(71, 72)는 비선형성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900 MHz 대역으로 직접 변복조가 가능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측정에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73)는 선형화기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셀룰라 대역의 1 dB 압축점이 17 dBm인 비교적 출력 전력이 작은 2단 A급 앰프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한 증폭단은 총 3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최종단의 증폭기를 제외한 전단의 증폭기들은 1 dB 압축점보다 충분히 낮은 점에서 동작하므로 이들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디지털 사전 왜곡기에서 LUT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등간격으로 100 등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력 증폭기의 등가 모델 추정에 필요한 입력 신호는 DSP의 처리 능력과 시스템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심볼 대역폭이 416.6 KHz인 불규칙(random) 펄스를 RRC(square-root raised cosine) 필터로 펄스 성형하고, 이를 DSP의 기억 영역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에, RRC 필터의 roll-off 계수는 0.2로 결정할 수 있다.제6a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3 dBm에서 17 dBm까지 변화시켰을 때, IQ 복조기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의 기저대역 복소 전달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IQ 좌표계에 도시한 도면이다. 제6b도는 본 발명에 따라 추정한 전력 증폭기의 전달 함수를 출력의 최대치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IQ 평면에 도시한 도면이다. 제6a도와 제6b도를 비교하면 추정 모델이 측정치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LUT를 생성하고 디지털 사전 왜곡기를 동작시켰을 때의 주파수 출력은 제7도와 같다.제7a도는 사용된 입력 신호의 스펙트럼이고, 제7b도는 비선형 출력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제7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왜곡기를 이용하여 선형화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스펙트럼이다. 이 때에, 전력 증폭기의 평균 출력은 9.6 dBm으로서, 출력 1 dB 압축점에서 약 7.4 dB 백 오프된 지점이다. 제7b도와 제7c도를 비교하면, 동일 출력에서 ACPR이 약 8.4 dB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Finally,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of the estimated power amplifier is used to update the lookup table required for the predistorter in the digital domain. The method may use the LMS (Least Mean Squares) algorithm so that the error of input and output is minimized with respect to the magnitude and phase as in the digital predistorter using a general one-dimensional reference table. It includes both AM-AM conversion characteristics and AM-PM conversion characteristics. By knowing the complex coefficient of the transfer function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AM-AM conversion characteristics and the AM-PM conversion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In addition, using the complex coefficient vector θ and the input signal, the output signal V 0 of the power amplifier can be known, and based on this, the LUT of the digital predistorter can be updated. Referring to FIG. Sample T consecutively at the real part of the output signal and use it to analyze the spectrum of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The output continues to be monitored unless the ACPR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in the output spectrum exceeds the internally set threshold P th in the adaptive predistorter. The reference value P th used here should be set more marginally than required by the power amplifier specifi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it takes to update the LUT. If this threshold is excee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are regarded as changed and the new virtual model is estimated using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ations 3 and 4 are performed by performing the equations (3) and (4). Finish by creating a LUT and replacing it with the LUT used for the actual predistortion. By repeating this process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over time of the power amplifier and always satisfy the set ACPR specification. FIGS. 5A and 5B are digital using real-time equivalent model esti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 predistorter. Referring to FIG. 5A, the digital predist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igital unit 60 and an analog unit 70. The digital unit 60 is used to implement a real-time complex transfer function estimator and a digital predistorter. It is composed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61, a signal converter 62, and the lik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SP 6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MS320C44 for real-time operation of 20 mips processing speed can be used, and each pair of DSP 61 has a three-channel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respectively. The analog unit 70 is composed of IQ modulators 71 and 72 for frequency conversion and a directional coupler 74 for feeding back an output, and an attenuator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eedback signal. 75), the IQ modulators 71 and 72 can use a product that can directly modulate and demodulate into the 900 MHz band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of nonlinearity. The power amplifier 73 used for the measurement is the operation of the linearizer.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a relatively small output power class 2 amplifier with a 1 dB compression point of 17 dBm in the cellular band can be used. The amplifier stage used consists of three stages, but the effects of the amplifiers at the front end except the amplifier at the last stage operate at a sufficiently lower point than the 1 dB compression point so that their effects can be neglected. Can be divided into 100 equal intervals, and the input signal required for estimating the equivalent model of the power amplifier is a square-root RRC (square-root) symbol with a random bandwidth of 416.6 KHz in consideration of the DSP processing power and the bandwidth of the system. raised cosine), which can be pulse shaped and stored in the DSP storage area for use. At this time, the roll-off coefficient of the RRC filter may be determined to be 0.2. FIG. 6A shows the baseband of the power amplifier using an IQ demodulator when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is changed from -3 dBm to 17 dB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lex transmission characteristic is measured and shown in the IQ coordinate system.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power amplifier estim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Q plane by normalizing the output function based on the maximum value of the output. Comparing Figures 6a and 6b shows that the estimated model is consistent with the measurements. Thus, the frequency output when the LUT is generated using the estimated model and the digital predistorter is operated is shown in FIG. 7. FIG. 7a is a spectrum of an input signal used, and FIG. 7b is a diagram showing a nonlinear output spectrum. . 7c is also an output spectrum of the power amplifier linearized using the predist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averag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is 9.6 dBm, which is about 7.4 dB back off at the output 1 dB compression point. Comparing FIG. 7B and FIG. 7C, it can be seen that the ACPR is improved by about 8.4 dB at the same output.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claims of the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make up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e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similar purposes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ventive concepts and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uch modifications or alter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variously changed, substitut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사전 왜곡 방식의 선형화기는 알에프 전력 증폭기의 실시간 기저 대역 등가 표현 추정 장치를 이용하여 임의의 입력 신호로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 추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distortion lineariz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imat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using an arbitrary input signal using a real-tim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estimator of the RF power amplifier.

따라서, 기존의 사전 왜곡 방식의 선형화기에서와 같이 특정 훈련 신호의 입력이 불필요하므로, 전력 증폭기의 송출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간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특성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증폭기의 등가 표현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기에 필요한 전력 증폭기의 역전달 특성을 정확히 계산을 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선형화기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input of a specific training signal is unnecessary as in the conventional predistortion lineariz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power amplifier over time without affecting the output operation of the power amplifier. In addition, since the back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required for the predistorter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using the equivalent representation of the power amplifier, the performance of the improved linearizer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의 전력 증폭기의 등가 표현 추정 장치는 입력 데이터로 궤환 복소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 중 택일할 수 있으므로, 궤환 회로를 2 채널에서 단일 채널로 간략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quivalent representation estimating apparatus of the power ampl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oose between the real part and the imaginary part of the feedback complex signal as input data, thereby simplifying the feedback circuit from two channels to a single channel.

Claims (9)

비선형 특성을 지니는 전력 증폭기를 선형화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linearizing a power amplifier having nonlinear characteristics, 상기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입력 신호와 출력 궤환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추정하는 적응 추정 수단과;Adaptive estimation means for receiving a baseband input signal and an output feedback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and estimating a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of the power amplifier; 상기 적응 추정 수단이 생성하는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이용하여 갱신되는 참조표에 따라 입력 신호를 왜곡시키는 사전 왜곡 수단Pre-distortion means for distort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a look-up table updated using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generated by the adaptive estimation means 을 포함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장치.Pre-distortion lineariz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왜곡 선형화 장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변환을 위한 직각 변조기와 직각 복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장치.The predistortion lineariz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redistortion lineariz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quadrature modulator and a quadrature demodulator for frequency band conversion of a signal. 비선형 특성을 지니는 전력 증폭기를 선형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linearizing a power amplifier having nonlinear characteristics, (a) 펄스 성형된 입력 신호에 대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선정된 갯수만큼 표본화 하는 단계;(a) sampl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outputs of the power amplifier for the pulsed input signal; (b)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스펙트럼의 인접 채널 전력비를 추정하는 단계;(b) estimating the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of the output spectrum of the power amplifier; (c) 상기 인접 채널 전력비와 선정된 임계값과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c)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d) 전체 시스템의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 calculating a delay time of the entire system; (e) 상기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e) estimating a baseband equivalent model of the power amplifier; (f) 상기 기저 대역 등가 모델로부터 참조표를 생성하는 단계;(f) generating a look-up table from the baseband equivalent model; (g) 상기 참조표를 이용하여 입력 왜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g) generating an input distortion signal using the reference table 를 포함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Pre-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채널 전력비와 선정된 임계값과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그 크기 비교 결과 상기 인접 채널 전력비가 선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d), (e), (f), (g) 단계들을 수행하고, 상기 인접 채널 전력비가 선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d), (e), (f), (g) 단계를 생략하고 (a)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comprises: (d), (e), when the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s a result of the magnitude comparison. If steps (f) and (g) are performed and the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steps (d), (e), (f) and (g) are omitted and step (a) is performed. A pre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시스템의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와 궤환 신호의 상관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calculating a delay time of the entire system comprises calculating a correlation function between an input signal and a feedback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등가 표현을 (2M + 1) 차의 복소 다항식으로 설정하고, (M + 1) 개의 복소 다항식의 계수를 RLS(Recursive Least Square) 방식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stimating the baseband model of the power amplifier sets the baseb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of the power amplifier to a complex polynomial of (2M + 1) differences and coefficients of (M + 1) complex polynomials. Pre-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RLS (Recursive Least Square)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기저 대역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는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stimating the baseband model of the power amplifier 임의의 기저 대역 신호를 알에프 대역으로 주파수 이동하는 단계;Frequency shifting any baseband signal to the RF band;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이동하는 단계Frequency shif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to baseband 를 포함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Pre-distortion linearization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이동 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으로 실수부 또는 허수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requency shifting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to the baseband uses one of a real part and an imaginary part as an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기저 대역 등가 모델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달 특성의 변화에 따라 다수회 반복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왜곡 선형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stimating the baseband equivalent model of the power amplifier repeatedly estimates the power amplifier based on a change in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KR1019990032045A 1999-08-04 1999-08-04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KR100324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45A KR100324123B1 (en) 1999-08-04 1999-08-04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45A KR100324123B1 (en) 1999-08-04 1999-08-04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64A KR20010016864A (en) 2001-03-05
KR100324123B1 true KR100324123B1 (en) 2002-02-20

Family

ID=1960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45A KR100324123B1 (en) 1999-08-04 1999-08-04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1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56B1 (en) * 1999-12-27 2006-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daptive pre-distortion system for nonlinear distortion compensation in IMT-2000 system
KR100808336B1 (en) * 2002-07-20 2008-0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dpd coefficients of pre-distorter system and pre-distorter system using the method
KR100873106B1 (en) * 2007-04-19 2008-12-09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amplifying using adaptive predistortion based on the direct learning archite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25A (en) * 1994-06-17 1996-01-26 정장호 Predistorter to Improve Nonlinearity of Transmission Output of Multiple Radio Transceivers
KR970055811A (en) * 1995-12-30 1997-07-31 김광호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of Transmission Device
KR19980048465A (en) * 1996-12-17 1998-09-15 양승택 Linear Transmission System Using Feedforward and Cartesian Loop Linearization Method
KR19990007496A (en) * 1997-06-30 1999-01-25 스콧 티. 마이쿠엔 Adaptive Predistortion Unit for Linearizing Amplifier Output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US5898338A (en) * 1996-09-20 1999-04-27 Spectria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linearization and feed-forward correction of RF power amplif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25A (en) * 1994-06-17 1996-01-26 정장호 Predistorter to Improve Nonlinearity of Transmission Output of Multiple Radio Transceivers
KR970055811A (en) * 1995-12-30 1997-07-31 김광호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of Transmission Device
US5898338A (en) * 1996-09-20 1999-04-27 Spectria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linearization and feed-forward correction of RF power amplifier
KR19980048465A (en) * 1996-12-17 1998-09-15 양승택 Linear Transmission System Using Feedforward and Cartesian Loop Linearization Method
KR19990007496A (en) * 1997-06-30 1999-01-25 스콧 티. 마이쿠엔 Adaptive Predistortion Unit for Linearizing Amplifier Output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64A (en)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Digital predistortion of wideband signals based on power amplifier model with memory
US99131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baseband predistortion linearization in multi-channel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s
KR100480965B1 (en) Piecewise polynomial predistor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nonlinear distortion of high power amplifier
US6072364A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for power amplifiers with real time modeling of memoryless complex gains
Suryasarman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algorithms for multiple antenna transmitters
US7535298B2 (en) Arrangement and a method relating to signal predistortion
US8023588B1 (en) Adaptive predistortion of non-linear amplifiers with burst data
Naskas et al. Neural-network-based adaptive baseband predistortion method for RF power amplifiers
Braithwaite et al. General principles and design overview of digital predistortion
Safari et al. Spline-based model for digital predistortion of wide-band signals for high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KR1003241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a predistorter
KR1003154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Adaptive Predistortion Using Lookup Table
KR1008731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mplifying using adaptive predistortion based on the direct learning architecture
Zhu et al. A blind AM/PM estimation method for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KR20140118130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distortion of multiple nonlinear amplifiers with single feedback loop
Muhonen et al. Amplifier linearization with memory for broadband wireless applications
Yadav et al. Digital Predistortion (Dpd) Algorithm For 5g Applications
Abi Hussein et al. LUT/parametric digital predistortion approach for the linearization of power amplifiers characteristics
Djamai et al. Kalman filtering algorithm for on-line memory polynomial predistortion
Safari et al. Block based predistortion for amplifier linearization in burst type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s
Zhang et al. A novel predistorter design for nonlinear power amplifier with memory effects in OFDM communication systems using orthogonal polynomials
Zareian et al. New adaptive method for IQ imbalance compensation of quadrature modulators in predistortion systems
Tu et al. Offline and Time-variant EVD-based Closed-loop Digital Predistortion Design for Sub-THz Power Amplifier Array in Basedband Transmitter
Baudoin et al. A new approach for LUT-based digital predistorters adaptation
Tolome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oftware predistorter for amplifier linearization in OFDM-based SD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