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818B1 -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 Google Patents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818B1
KR100323818B1 KR19997001053A KR19997001053A KR100323818B1 KR 100323818 B1 KR100323818 B1 KR 100323818B1 KR 19997001053 A KR19997001053 A KR 19997001053A KR 19997001053 A KR19997001053 A KR 19997001053A KR 100323818 B1 KR100323818 B1 KR 10032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hydrogel
particles
macrostructure
macro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01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9883A (en
Inventor
수에케시인
나카무라레이코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2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1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포함하고, 기저귀, 성인 실금자용 패드 및 생리대 같은 흡수 제품(48)에 유용한, 개선된 유체 처리 능력을 갖는 다공성의 흡수성 거대구조물(52)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거대구조물(52)의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는 상이한 유체 처리 특성, 상이한 형태 또는 상이한 유체 처리 특성과 형태를 갖는 미립자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다. 이들 거대구조물(52)은, 목적하는 유체 처리 특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또한 겔 블록킹되는 경향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보다 다양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52 is disclosed that has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ies, including intergranular aggregated aggregates, and useful for absorbent articles 48 such as diapers, adult incontinence pads, and sanitary napkins. The interparticle bound aggregates of these macrostructures 52 are made from a mixture of particulate absorbent polymers having different fluid treatment properties, different morphologies or different fluid treatment properties and morphologies. These macrostructures 52 can be made from a wider variety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without reducing the desired fluid treatment properties and without exhibiting a tendency to gel blocking.

Description

유체 처리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상이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흡수성 거대구조물{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일회용 기저귀, 성인 실금자용 패드 및 브리프, 및 생리대와 같은 생리용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고흡수성 부재의 개발은 실질적으로 상업상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다. 이러한 제품에 있어서 가장 요구되는 특성은 얇은 두께이다. 예를 들면, 두께가 얇은 기저귀는 착용시 부피감이 적고 의복내에 잘 맞고 눈에 덜 띈다. 또한, 보다 밀집 포장되어 소비자가 기저귀를 운반 및 보관하기 용이하다. 또한, 밀집 포장하면 기저귀 단위당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적어지는 등 제조자 및 배급자가 배급시 부담하는데 드는 비용이 줄어든다.The development of superabsorbent members for use as sanitary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adult incontinence pads and briefs, and sanitary napkins is of substantial commercial interest. The most demanding characteristic of these products is their thin thickness. For example, thinner diapers are less bulky when worn, fit well in clothing and are less noticeable. In addition, more compact packaging makes it easier for consumers to carry and store diapers. In addition, the compact packaging reduces the cost for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to distribute, such as less space for storage per diaper unit.

기저귀와 같은 흡수 제품을 얇게 하는 능력은 분비되는 다량의 체액, 특히 뇨를 포획 저장할 수 있는 비교적 얇은 흡수 코어 또는 구조물을 개발하는 능력에 좌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하이드로겔', '초흡수체'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로 지칭되기도 하는 특정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였다. 예를 들면, 1972년 6월 13일자로 하퍼(Harp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699,103 호 및 1972년 6월 20일자로 하몬(Harm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770,731 호는 흡수 제품에 있어 이러한 흡수성 중합체(본원 이후에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라고 함)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사실상, 얇은 기저귀의 개발은, 전형적으로 섬유상 매트릭스와 병용할 때, 분비된 체액을 다량 흡수하도록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능력을 이용한 보다 얇은 흡수 코어의 직접적인 결과이었다. 예를 들면, 1987년 6월 16일자로 와이즈만(Weism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73,402 호 및 1990년 6월 19일자로 라쉬(Las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35,022 호는 얇고 부피가 크지 않은 밀집형 기저귀를 형성하는데 유용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및 섬유상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이중층 코어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The ability to thin an absorbent product, such as a diaper, depends on the ability to develop relatively thin absorbent cores or structures that can capture and store large quantities of secreted fluid, especially urine. In this regard, it was particularly important to use certain absorbent polymers, sometimes referred to as 'hydrogel', 'superabsorbent' or 'hydrocolloid' materials. For example, US Pat. No. 3,699,103 to Harper et al., June 13, 1972, and US Pat. No. 3,770,731 to Harmon, dated June 20, 1972, describe such products in absorbent products. The use of absorbent polym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is disclosed. Indeed, the development of thin diapers has been a direct result of thinner absorbent cores, typically using the ability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to absorb large amounts of secreted body fluid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fibrous matrices. For example, US Pat. No. 4,673,402 to Weisman et al. On June 16, 1987 and US Pat. No. 4,935,022 to Lash et al. On June 19, 1990 are thin and bulky. Bilayer core structures are disclosed that includ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and fibrous matrices useful for forming non-dense diapers.

이러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전체적으로 목재 펄프 플러프(fluff)로부터 유아용 기저귀에 사용하기 적합한 흡수성 구조물 등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목재 펄프 플러프에 의해 흡수된 유체는 목재 펄프 플러프 1g당 흡수된 유체 1g으로 비교적 소량이므로, 비교적 다량의 목재 펄프 플러프를 사용하여야 했고, 따라서 비교적 부피가 크고 두꺼운 흡수성 구조물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들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이러한 구조물에 도입하면 목재 펄프 플러프를 덜 사용하여도 된다. 이들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뇨와 같은 수성 체액을 다량 흡수하는 능력이 플러프에 비해 우수하므로(즉, 약 15g/g 이상), 보다 작고 보다 얇은 흡수성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Prior to the use of such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it was common to form absorbent structures and the like suitable for use in infant diapers as a whole from wood pulp fluff. Since the fluid absorbed by the wood pulp fluff is relatively small, 1 g of fluid absorbed per gram of wood pulp fluff,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ood pulp fluff has to be used and therefore a relatively bulky and thick absorbent structure has to be used. . Incorporating thes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into these structures may use less wood pulp fluff. Thes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have a superior ability to absorb large amounts of aqueous body fluids, such as urine (ie, greater than about 15 g / g), resulting in smaller and thinner absorbent structures.

이들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초기 중합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예컨대 나트륨 및/또는 칼륨) 또는 암모늄염, 알킬 아크릴레이트 등에 의해 제조되기도 한다. 이들 중합체는 카복실기-함유 중합체 쇄를 통상의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단량체 물질, 예컨대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알릴 아민과 약간 가교결합하므로써 수불용성이지만 수-팽윤성인 중합체가 된다. 상기 약간 가교결합된 흡수성 중합체는 중합체 주쇄에 부착된 음이온성 (하전된) 카복실기를 여전히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들 하전된 카복실기는 중합체가 삼투압의 결과로서 체액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s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may also be prepared by initial polymerizabl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such as acrylic acid, alkali metals (such as sodium and / or potassium) of acrylic acid or ammonium salts, alkyl acrylates and the like. These polymers are insoluble but not water-soluble by slightly crosslinking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polymer chains with conventional di- or polyfunctional monomer materials such as N, N'-methylenebisacrylamide,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or triallyl amine. It becomes a swellable polymer. The slightly crosslinked absorbent polymer still contains a large number of anionic (charged) carboxyl groups attached to the polymer backbone. These charged carboxyl groups allow the polymer to absorb body fluids as a result of osmotic pressure to form hydrogels.

가교결합도는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수불용성의 정도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다른 두가지 특성, 즉 흡수력 및 겔 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인자이다. 흡수력 또는 '겔 부피'는 소정량의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가 흡수하는 수분 또는 체액의 양의 척도이다. 겔 강도는 이들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하이드로겔이 적용된 응력하에 변형 또는 '유동'하는 경향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구조물 및 제품(예컨대 일회용 기저귀)에서 흡수체로 유용한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는 겔 강도가 충분히 높아야 할 뿐만 아니라 겔 부피도 충분히 커야 할 필요가 있다. 겔 부피는 흡수 제품 사용중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가 수성 체액을 상당량 흡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클 필요가 있다. 겔 강도는 형성된 하이드로겔이 흡수성 구조물 또는 제품내의 모세관 모양의 빈 공간을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변형 및 충진시키므로써 흡수성 구조물 또는 제품의 유체 분포도 뿐만 아니라 그들의 흡수력을 저해하지 못할 정도이어야 한다. 예로는, 1987년 3월 31일자로 브란트(Brand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54,039 호(1988년 4월 19일자로 미국 재허여 특허 제 32,649 호로서 재허여됨) 및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마니(Aleman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를 참조할 수 있다.The degree of crosslinking not only determines the degree of water insolubility of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but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indicating two other properties: absorbency and gel strength. Absorbency or 'gel volume' is a measure of the amount of water or body fluid absorbed by a given amount of hydrogel-forming polymer. Gel strength relates to the tendency of hydrogels formed from these polymers to deform or 'flow' under applied stress. Hydrogel-forming polymers useful as absorbers in absorbent structures and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need not only to have a sufficiently high gel strength but also a sufficiently large gel volume. The gel volume needs to be large enough to allow the hydrogel-forming polymer to absorb significant amounts of aqueous body fluid during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gel strength should be such that the formed hydrogel deforms and fills such that it does not accept capillary voids in the absorbent structure or product, so as not to impair their absorbency as well as the fluid distribution of the absorbent structure or product. Examples include US Pat. No. 4,654,039, issued March 31, 1987 to Brandt et al., US Pat. No. 32,649, issued April 19, 1988, and May 30, 1989. See US Pat. No. 4,834,735 to Alemany et al.

종래 흡수성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이들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비교적 소량(예컨대 약 5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였다. 예를들면,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마니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섬유상 매트릭스중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는 약 9 내지 약 50% 함유한다고 기재되어 있다)를 참조한다.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종래 흡수성 구조물에 사용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특히 '분출' 형태의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흡수 속도를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에 의해 흡수될 때까지 분비된 유체를 보유하는 일시적인 저장소로서 작용하는 섬유, 전형적으로는 목재 펄프 섬유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Conventional absorbent structures generally comprise thes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in relatively small amounts (eg, less than about 50% by weight). See, for example, US Pat. No. 4,834,735, issued May 30, 1989 to Alemanny et al., Which preferably contains about 9 to about 50% of a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in a fibrous matrix. do.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is.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used in conventional absorbent structures generally do not have an absorption rate that allows for the rapid absorption of bodily fluids, particularly in 'spray' form. Thus, it is necessary to include fibers, typically wood pulp fibers, which serve as a temporary reservoir to retain secreted fluid until absorbed by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보다 중요한 것은, 다수의 공지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가 특히 흡수성 구조물중에 다량으로 포함될 때 겔 블록킹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겔 블록킹'은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가 습윤 팽윤될 때 흡수성 구조물의 다른 영역으로 유체가 전달되지 못하도록 일어난다. 따라서, 흡수 부재의 다른 영역은 매우 느린 확산 과정을 통해 습윤화된다. 실제적으로, 이것은 흡수성 구조물에 의한 유체 포획이 특히 분출 형태로 유체가 분비되는 속도보다 훨씬 느리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 부재내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가 완전히 포화되기 전에 또는 유체가 '블록킹' 입자를 지나 흡수 부재의 나머지 부분으로 확산 또는 흡상할 수 있기 전에 흡수 제품으로부터 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More importantly, many known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exhibit gel blocking, especially when included in large amounts in absorbent structures. 'Gel blocking' occurs to prevent fluid transfer to other areas of the absorbent structure when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are wet swelled. Thus, other areas of the absorbent member are wetted through a very slow diffusion process. In practice, this means that fluid capture by the absorbent structure occurs much slower than the rate at which the fluid is secreted, especially in the form of a jet. Leakage may occur from the absorbent article before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in the absorbent member are fully saturated or before the fluid can diffuse or wick through the 'blocking' particles to the rest of the absorbent member.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가 충분한 겔 강도를 갖지 않고 응력하에 변형 또는 확산되는 경우 일단 입자가 흡수된 유체에 의해 팽윤되면 겔 블록킹이 특히 시급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마니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를 참조한다. 겔 강도가 낮은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또한 보다 큰 유체 용량을 갖는 경향이 있다. 겔 강도는 이렇게 유체 용량이 큰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표면 가교결합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표면 가교결합은 겔 강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유체 용량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Gel blocking can be a particularly urgent problem once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do not have sufficient gel strength and are deformed or diffused under stress once the particles are swollen by the absorbed fluid. See, for example, US Pat. No. 4,834,735, issued May 30, 1989 to Alemani et al. Low gel strength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also tend to have higher fluid capacities. Gel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surface crosslinking of such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with high fluid capacity. Unfortunately, surface crosslinking tends to increase gel strength while lowering the fluid capacity of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겔 블록킹은 또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가 구형 입자와 같이 규칙적인 형태의 입자일 때 일어날 수 있다. 구형 입자는 전형적으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가 역 유화 중합 또는 역 현탁 중합 공정과 같은 다상 중합 방법에 의해 형성될 때 생성된다. 예를들면, 1982년 7월 20일자로 오바이사시(Obaysash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0,706 호, 1985년 3월 19일자로 플레셔(Flesh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06,052 호 및 1988년 4월 5일자로 모리타(Morit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5,987 호를 참조한다. 이들 구형 입자는 겔 블록킹되기 쉽기 때문에 다상 중합 방법은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합성에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1992년 6월 23일자로 로(Ro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24,188 호를 참조한다.Gel blocking can also occur when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is a particle of regular shape, such as spherical particles. Spherical particles are typically produced when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is formed by a multiphase polymerization method such as reverse emulsion polymerization or re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example, U.S. Pat. See US Pat. No. 4,735,987, issued April 5 to Morita et al. Since these spherical particles are likely to gel-block, the polyphase polymerization method was thought to be less desirable for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synthesis. See US Pat. No. 5,124,188, issued June 23, 1992 to Roe et al.

모세관능을 개선하여 겔 블록킹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전형적으로 시이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입자간 가교결합된 응집성 거대구조물로 성형되었다. 이들 응집성 거대구조물은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비이온성 가교결합제, 예컨대 글리세롤, 물 및 친수성 유기 용매(예: 이소프로판올)의 용액과 초기 혼합하므로써 제조하였다. 예를들면,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02,597 호, 1992년 6월 23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24,188 호, 및 1992년 9월 22일자로 라르만(Lahrm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49,344 호를 참조한다. 또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가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예컨대 키멘(KYMENE)과 가교결합된 개선된 다공성 응집성 거대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는,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Reza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4,561 호를 참조한다.In order to improve capillary functionality and minimize gel blocking,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are typically formed into crosslinked cohesive macrostructures in the form of sheets or strips. These cohesive macrostructures were prepared by initial mixing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with a solution of nonionic crosslinkers such as glycerol, water and hydrophilic organic solvents such as isopropanol. For example, US Pat. No. 5,102,597 to Loe et al. On April 7, 1992, US Pat. No. 5,124,188 to Loe et al. On June 23, 1992, and Larman on September 22, 1992. See US Pat. No. 5,149,344 to Lahrman et al. In addition, Rezai (June 23, 1994) discloses an improved porous cohesive macrostructure crosslinked with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such as KYMENE. See US Patent No. 5,324,561 to Rezai et al.

흡수성 중합체의 미립자 특성이 보유되기 때문에 이들 거대구조물은 유체 투과성이도록 상호연결된 인접 입자들 사이에 공극(즉, 모세관 수송 채널)을 제공한다. 입자들 사이에 형성된 입자간 가교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거대구조물은 또한 개선된 구조적 일체성, 증가된 유체 포획성 및 분포 속도, 및 최소 겔 블록킹 특성을 갖는다. 그래도, 이들 거대구조물의 유체 처리 능력은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의 유체 처리 능력에 따라 다소 다르다. 예를 들면, 겔 강도가 낮은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또는 구형 입자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거대구조물은 여전히 겔 블록킹되기 쉽다. 또한, 표면 가교결합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거대구조물은 여전히 최적의 투과성 미만의 투과성을 갖는다.Since the particulate properties of the absorbent polymer are retained, these macrostructures provide voids (ie, capillary transport channels) between adjacent particles that are interconnected to be fluid permeable. Due to the interparticle crosslinks formed between the particles, the resulting macrostructures also have improved structural integrity, increased fluid trapping and distribution rates, and minimal gel blocking properties. Nevertheless, the fluid handling capacity of these macrostructures depends somewhat on the fluid handling capacity of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produced therefrom. For example, macrostructures made from low gel strength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or spherical particle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are still prone to gel blocking. In addition, macrostructures made from surface crosslinked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still have permeability below optimal permeability.

따라서, 결합된 흡수성 입자의 흡수성 응집성 거대구조물이 (1) 여러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2) 겔 블록킹되는 경향이 적고 (3) 최적의 투과성을 가지고/가지거나 (4) 개선된 유체 처리 능력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Thus, the absorbent cohesive macrostructures of the bound absorbent particles can (1) us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prepared by several methods, (2) have a low tendency to gel-block and (3) have optimal permeability Or (4) to be able to provide a combination of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ies.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포함하는 개선된 유체 처리 능력을 갖는 다공성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응집체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 흡수성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호연결된 가교결합 입자를 포함한다.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은 (a) 염수 유동 전도성(Saline Flow Conductivity; SFC)이 약 5 × 10-7cm3sec/g 이상이고 가압하 성능(Performance under Pressure; PUP)값이 한정 압력 0.7psi(5kPa)하에 약 23g/g 이상인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약 50 내지 약 95% 및 흡수 용량이 약 25g/g 이상인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약 5 내지 약 50%의 혼합물, (b) 구형 입자 형태의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약 20 내지 약 40% 및 비구형 입자 형태의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약 60 내지 약 80%의 혼합물, 및 (c) 상기 (a)와 (b)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혼합물을 포함한다.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는 인접 입자 사이에 공극을 포함한다. 공극은 액체 투과성 거대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연통된 채널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거대구조물의 경계 건조 부피(circumscribed dry volume)는 약 0.008mm3보다 크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with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ies, including aggregates bound between particles. These aggregates comprise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crosslinked particles comprising a substantially water insoluble absorbent hydrogel-forming polymeric material. Hydrogel-forming polymeric materials have (a) a saline flow conductivity (SFC) of at least about 5 × 10 −7 cm 3 sec / g and a performance under pressure (PUP) value of 0.7 psi. A mixture of about 50 to about 95% of a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t least about 23 g / g and (5 kPa) and about 5 to about 50% of a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n absorption capacity of at least about 25 g / g, (b) A mixture of about 20 to about 40% of the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spherical particles and about 60 to about 80% of the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non-spherical particles, and (c) (a) and (b Mixtures selected from The interparticle bound agglomerates include pores between adjacent particles. The voids are interconnected by channels communicated to form a liquid permeable macrostructure. The circumscribed dry volume of the macrostructure is greater than about 0.008 mm 3 .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기저귀, 성인 실금자용 패드, 생리대 등을 포함한 각종 흡수 제품에 사용되는 흡수성 구조물에 있어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흡수성 물질과의 조합으로 사용된다. 이들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유체 투과성 및 유체 용량이 비교적 큰 유체 처리성의 특히 바람직한 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은 또한 바람직한 유체 처리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또한 겔 블록킹 경향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더욱 다양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사실상, 구형 입자 형태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더욱 다량 사용하는 능력은 이들 거대구조물을 제조하는 과정중 더욱 일정한 유속과 같은 가공 이점을 제공한다.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absorbent materials in absorbent structures used in various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diapers, adult incontinence pads, sanitary napkins and the like. Thes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provide particularly preferred combinations of fluid permeability and fluid handling with relatively high fluid capacities.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prepared from a wider variety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without reducing the desired fluid treatability and without exhibiting a tendency to gel blocking. Indeed, the ability to use higher amount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in the form of spherical particles provides processing advantages such as more constant flow rates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se macrostructures.

본 발명은 입자간 결합된 가요성 응집체로 이루어진 다공성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가 유체 처리성 또는 형태가 상이하거나, 또는 이들 둘다 상이한 미립자형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되어 개선된 유체 처리 능력을 갖는 다공성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consisting of flexible aggregates bound between particle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in which the interparticle bound aggregates are prepared from mixtures of different particulate type absorbent polymers, or both of which are different in fluid treatability or form.

도 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거대구조물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시된 거대구조물은 불규칙한 형태 및 구형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작된다.1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a typical macrostructure of the invention. The depicted macrostructures are fabricated using irregular shaped and spherical superabsorbent polymers.

도 2는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이 구조물은 섬유 웹의 한 면에 불규칙한 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부착시키고 다른 면에 구형의 중합체를 부착시키므로써 제작된다.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macro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tructure is fabricated by attaching irregularly shaped superabsorbent polymers to one side of the fibrous web and spherical polymers to the other si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 양태의 사시도로서, 아래에 있는 기저귀의 흡수 코어(본 발명에 따른 흡수 부재의 한 양태)를 더욱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상면시이트 부분이 절단되어 있고, 흡수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포함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diaper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sheet portion being cut away to more clearly show the absorbent core (an aspect of the absorben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diaper below, the absorbent member being It includes 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분할선 6-6을 따라 분할하여 얻은, 도 3에 도시된 기저귀의 흡수 코어의 횡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core of the diaper shown in FIG. 3, obtained by dividing along the dividing line 6-6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 양태의 사시도로서, 다른 이중층 흡수 코어 양태를 더욱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상면시이트 부분이 절단되어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diaper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opsheet portion cut away to more clearly show another double layer absorbent core embodiment.

도 6은 기저귀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분리시켜 도시한 것으로서, 흡수성 거대구조물이 다수의 스트립 형태로 존재하는 다른 이중층 흡수 코어를 하나의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FIG. 6 shows the components of the diaper structure separately, with another bilayer absorbent core having the absorbent macrostructur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trips as one component.

도 7은 상이한 거대구조물에 있어서, 높은 PUP의 L-76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 대 다양한 거대구조물의 요구 흡수 용량(Demand Absorbency Capacity)의 프로파일이다.FIG. 7 is a profile of the weight percent of the high PUP L-76 superabsorbent polymer versus the demand absorbent capacity of the various macrostructures for the different macrostructures.

정의Justice

'체액'은 뇨, 생리혈 및 질 분비물을 포함한다.Body fluids include urine, menstrual blood and vaginal secretions.

'포함하는'은 각종 구성요소, 부재, 단계 등이 본 발명에 따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포함하는'은 보다 제한적인 용어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진' 및 당해 분야에서 표준 의미를 갖는 보다 제한적인 용어로 알려진 '∼로 이루어진'을 망라하는 것이다."Including" means that various components, members, steps, and the like may be us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term 'comprising' encompasses the more restrictive term 'consisting essentially of' and 'consisting of' known in the art as more restrictive term having standard meaning.

본원에 사용된 모든 백분율, 비 및 비율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All percentages, ratios, and ratios used herein are by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I.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A. 일반적인 특성A. Gener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따르는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물 및/또는 신체 배설물(예: 뇨 또는 생리혈)과 같은 다량의 액체를 흡수한 후 이러한 액체를 적절한 압력하에서 보유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전구체 입자의 미립자 성질때문에, 거대구조물은 인접한 전구체 입자 사이에 공극을 갖는다. 이들 공극은 연통 채널에 의해 연결되므로서 거대구조물은 액체 투과성이 된다(즉, 모세관 수송 채널을 갖는다).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tructures that can retain large amounts of liquid, such as water and / or body waste (eg, urine or menstrual blood) and then retain such liquid under appropriate pressure. Because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the precursor particles, the macrostructures have voids between adjacent precursor particles. These pores are connected by communication channels such that the macrostructures are liquid permeable (ie have capillary transport channels).

전구체 입자 사이에 형성된 결합때문에, 생성된 응집성 거대구조물은 개선된 구조적 일체성, 증가된 액체 포획성 및 분배율, 및 최소한의 겔 블록킹 특성을 갖는다. 거대구조물이 액체와 접촉할때 거대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적합한 제한 압력하에서도 등방성으로 균일하게 팽윤하고, 이러한 액체를 전구체 입자 사이의 공극으로 흡수한 후 이러한 액체를 입자들 사이로 흡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거대구조물의 등방성 팽윤은 전구체 입자 및 공극을 팽윤시에도 상대적 결합구조 및 공간 상관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구체 입자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거대구조물은 비교적 '유체 안정성'이고, 따라서 겔 블록킹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팽윤시 모세관 채널을 유지 및 확대시킴으로써 거대구조물은 액체, 심지어 과량의 액체 부하량을 연속적으로 포획 및 수송할 수 있다.Because of the bonds formed between the precursor particles, the resulting coherent macrostructures have improved structural integrity, increased liquid trapping and partitioning rate, and minimal gel blocking properties. It has been found that when the macrostructure is in contact with a liquid, the macrostructure is generally isotropically swelled even under suitable limiting pressure, and the liquid is absorbed into the pores between the precursor particles and then absorbs this liquid between the particles. Isotropic swelling of the macrostructures allows to maintain relative bonding structure and spatial correlation even upon swelling of the precursor particles and voids. Thus, the macrostructures are relatively 'fluidically stable' in that the precursor particles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thus minimizing the influx of gel blocking and maintaining and expanding the capillary channels upon swelling, thereby allowing the macrostructures to absorb liquid, even excess liquid loading. Can be captured and transported continuously.

'거대구조물'는 약 0.008mm3이상, 바람직하게 약 10.0mm3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0mm3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약 500mm3이상의 실질적 건조시 경계 부피(즉, 경계 건조 부피)를 갖는 구조물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은 약 500mm3보다 훨씬 큰 경계 건조 부피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거대구조물은 약 1,000 내지 약 100,000mm3의 경계 건조 부피를 갖는다."Giant structure" is a structure having from about 0.008mm 3 or more, preferably about 10.0mm 3, and more preferably about 100mm 3, and more preferably about 500mm 3 or more when substantially dry volume boundary (i.e., boundary dry volume) . Typically,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a boundary drying volume much greater than about 500 mm 3 .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rostructure has a boundary drying volume of about 1,000 to about 100,000 mm 3 .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이 다수의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들은 전형적으로 시이트, 필름, 실린더, 블록, 구형, 섬유, 필라멘트 또는 다른 형상화된 요소의 형태이다. 거대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약 0.2 내지 약 10.0mm의 두께 또는 직경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 흡수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거대구조물은 시이트의 형태이다. '시이트'란 용어는 약 0.2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거대구조물을 의미한다. 시이트는 바람직하게 약 0.5 내지 약 10mm,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약 3mm의 두께를 가질 것이다.Although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number of shapes and sizes, they are typically in the form of sheets, films, cylinders, blocks, spheres, fibers, filaments or other shaped elements. The macrostructures will generally have a thickness or diameter of about 0.2 to about 10.0 mm. Preferably the macrostructures for use in the absorbent article are in the form of sheets. The term 'sheet' refers to a macro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2 mm or more. The sheet will preferably have a thickness of about 0.5 to about 10 mm, typically about 1 to about 3 mm.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포함한다. 이들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는 보통 약 8 이상의 이전에 독립적인 전구체 입자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개별적인 전구체 입자의 바람직한 경계 건조 부피 및 크기에 대해, 이들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는 전형적으로 약 100,000 이상의 개별적인 전구체 입자로 부터 형성된다. 이들 개별적인 전구체 입자는 과립, 분말, 구형, 플레이크(flake), 섬유, 응집체 또는 집괴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적인 전구체 입자는 입방체형, 막대형, 다면체형, 구형, 원형, 각형, 불규칙형, 랜덤한 크기의 불규칙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태(예: 연마 또는 분쇄 단계의 분쇄 생성물) 또는 바늘형, 플레이크형 또는 섬유형이도록 하는 가장 큰 치수/가장 작은 치수비를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invention include aggregates bound between particles. These interparticle bound aggregates usually comprise at least about 8 previously independent precursor particles. For the preferred boundary dry volume and size of the individual precursor particles as used herein, these aggregated aggregates are typically formed from about 100,000 or more individual precursor particles. These individual precursor particles may include granules, powders, spheres, flakes, fibers, aggregates or aggregates. Individual precursor particles can be in various forms such as cuboid, rod, polyhedron, spherical, circular, angular, irregular, randomly sized irregularities (e.g. grinding products of the grinding or grinding step) or needles, flakes or It may have a shape with the largest dimension / smallest dimension ratio to be fibrous.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을 포함하는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는 필수적으로 인접한 입자와 함께 연결 또는 부착되어 형성된다. 접착제는 본질적으로 이들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중합체성 물질이다. 이들 전구체 입자가 가교결합제로 처리되고 물리적으로 결합될때, 이들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중합체 물질은 충분히 가소성 및 접착성(예: 끈적거림)이어서 인접한 입자는 전형적으로 입자 사이의 분리 결합부위로서 함께 부착된다. 입자 사이의 가교결합 반응은 이 부착된 구조물을 고정시켜 응집체의 입자가 함께 접착 결합되도록 한다.The interparticle bonded aggregates comprising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being linked or attached together with adjacent particles. The adhesive is essentially a polymeric material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se particles. When these precursor particles are treated with a crosslinker and physically bound, the polymeric material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se particles is sufficiently plastic and adhesive (eg, sticky) so that adjacent particles typically adhere together as separate bonding sites between the particles. do. The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the particles anchors the attached structure so that the particles of the aggregate are adhesively bonded together.

B. 전구체 흡수성 입자B. Precursor Absorbent Particles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은 다량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전구체 입자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중합체 물질은 이후에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이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들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물질은 전구체 입자의 형성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논의될 것이다.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from precursor particles comprising a substantially water-insoluble polymer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rge amounts of liquid. Such polymeric materials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Since the macrostructures of the invention include aggregates bound between particles, thes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materials will be discussed herein in connection with the formation of precursor particles.

전구체 입자가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입경 분포 및 크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서, 입경은 체 크기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전구체 입자의 치수로서 섬유와 같은 가장 큰 치수/가장 작은 치수비를 갖지 않는 전구체 입자(예: 과립, 플레이크 또는 분말)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서, 전구체 입자의 질량 평균 입경은 생성된 거대구조물의 특성 및 성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전구체 입자의 주어진 샘플의 질량 평균 입경은 질량을 기준으로한 샘플의 평균 입경으로서 정의된다. 샘플의 질량 평균 입경의 측정방법은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Reza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4,561 호의 시험 방법 부분에 기술되어 있다. 전구체 입자의 질량 평균 입경은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약 1,500㎛, 보다 바람직하게 약 50 내지 약 1,000㎛일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전구체 입자는 약 1,0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약 6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약 500㎛ 미만의 질량 평균 입경을 갖는다.Although precursor particles may have a wide range of sizes, certain particle size distributions and sizes are preferr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le diameter is defined as precursor particles (eg granules, flakes or powders) that do not have the largest dimension / smallest dimension ratio such as fibers as the dimension of the precursor particles measured by sieve size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s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ecursor particles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properties and properties of the resulting macrostructures. The mass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 given sample of precursor particles is defined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mple based on mass. The measurement of the mass mean particle size of the sample is described in the test method section of US Pat. No. 5,324,561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The mass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ecursor particles will generally be about 20 to about 1,500 μm, more preferably about 50 to about 1,000 μm.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cursor particles have a mass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about 1,000 μm,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600 μm,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500 μm.

섬유와 같은 가장 큰 치수/가장 작은 치수를 갖는 물질의 입경은 전형적으로 그의 가장 큰 치수에 의해 한정된다. 예컨대, 흡수성 중합체 섬유(즉, 초흡수성 섬유)가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에 사용되는 경우에 섬유의 길이는 '입경'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섬유의 데니어 및/또는 직경이 또한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섬유는 약 5mm 이상, 바람직하게 약 10 내지 약 100mm,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 내지 약 50mm의 길이를 갖는다.The particle diameter of a material with the largest dimension / smallest dimension, such as a fiber, is typically defined by its largest dimension. For example, when absorbent polymer fibers (ie, superabsorbent fibers) are used in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bers is used to define the 'particle size'. (The denier and / or diameter of the fiber may also be defined).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bers have a length of at least about 5 mm, preferably from about 10 to about 100 mm, more preferably from about 10 to about 50 mm.

이들 전구체 입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물질은 설폰산과 같이 다수의 음이온성 작용기, 보다 전형적으로 카복시기를 갖는다. 본원의 전구체 입자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체 물질의 실례는 중합가능한 불포화된 산 함유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올레핀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올레핀성 불포화 산 및 무수물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이들 단량체는 올레핀성 불포화 카복실산 및 산 무수물, 올레핀성 불포화 설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4,561 호는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단량체를 기술하고 있다.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materials comprising these precursor particles have a number of anionic functional groups, more typically carboxy groups, such as sulfonic acids. Examples of suitable polymeric materials for use as precursor particles herein include those prepared from polymerizable unsaturated acid containing monomers. Accordingly, such monomers include olefinically unsaturated acids and anhydride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carbon olefin double bonds. More specifically, these monomers may be selected from olefi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acid anhydrides, olefi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mixtures thereof. US Patent No. 5,324,561, issued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generally describes suitable monomer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중합체 물질은 카복시기를 함유한다. 이들 중합체는 가수분해된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부분적으로 중화된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부분적으로 중화된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비누화된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임의의 상기 공중합체의 약간 망상조직 가교결합된 중합체, 부분적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 및 부분적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의 약간 망상조직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이상의 다른 중합체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1978년 6월 6일자로 아오키(Aok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93,776 호, 1987년 5월 19일자로 쯔바키모토(Tsubakimoto)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66,983 호 및 1988년 3월 29일자로 쯔바키모토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4,478 호에는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상기 형태의 대표적인 실례가 개시되어 있다.Preferred polymeric material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a carboxy group. These polymers include hydrolyzed starch-acrylonitrile graft copolymers, partially neutralized starch-acrylonitrile graft copolymers, starch-acrylic acid graft copolymers, partially neutralized starch-acrylic acid graft copolymers, saponified vinyl acetate Slightly networked crosslinking of acrylic ester copolymers, hydrolyzed acrylonitrile or acrylamide copolymers, slightly networked crosslinked polymers of any of said copolymers,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ic acid and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ic acid Bound polymers. These polymers may be used alone or in the form of a mixture of two or more other polymers. For example, U.S. Patent No. 4,093,776 to Aoki et al., June 6, 1978, U.S. Patent No. 4,666,983 to Tsubakimoto et al., May 19, 1987, and March 1988. U.S. Patent No. 4,734,478 to Tsubakimoto et al., Dated 29, disclose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type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전구체 입자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중합체 물질은 부분적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의 약간 망상조직 가교결합된 중합체 및 그의 전분 유도체이다. 바람직하게, 전구체 입자는 약 50 내지 약 95%, 바람직하게 약 75%의 중화된 약간 망상조직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즉, 폴리(소듐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을 포함한다. 중합체의 망상조직 가교결합 방법 및 전형적인 망상조직 가교결합제는 상기 미국 특허 제 4,076,663 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More preferred polymeric materials for use in the preparation of precursor particles are slightly networked crosslinked polymers of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ic acid and starch derivatives thereof. Preferably, the precursor particles comprise about 50 to about 95%, preferably about 75%, neutralized slightly reticulated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ie, poly (sodium acrylate / acrylic acid)). Network crosslinking methods of polymers and typical network crosslinker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US Pat. No. 4,076,663, supra.

개별적인 전구체 입자는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구체 입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다른 용액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1988년 4월 19일자로 재허여된 미국 재허여 특허 제 32,649 호[브란트 등]을 참고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전구체 입자는 또한 역 유화 중합 또는 역 현탁 중합 공정과 같은 다상 중합 공정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역 현탁 중합을 포함하는 방법을 위해 예컨대, 1982년 7월 20일자로 오바이사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0,706 호, 1985년 3월 19일자로 플레셔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06,052 호 및 1988년 4월 5일자로 모리타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5,987 호를 참고한다.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들 전구체 입자의 제조에 사용된 특정 방법은 그의 유체 투과성 및 용량 성질의 측정 뿐만 아니라 생성된 입자의 형태의 측정에 중요할 수 있다.Individual precursor particles may be formed by any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precursor particles can be prepared by methods comprising aqueous solutions or by other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s. See, for example, US Reissued Patent No. 32,649 (Brand et al.), Issued April 19, 1988. Precursor particle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prepared using polyphase polymerization process techniques such as reverse emulsion polymerization or re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es. For methods involving re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for example, U.S. Pat. No. 4,340,706 to Obisashi et al. On July 20, 1982, US Pat. Nos. 4,506,052 to Fletcher et al. On March 19, 1985, and 1988 See US Pat. No. 4,735,987, issued April 5, 2005 to Morita et al. As discussed below, the particular method used to prepare these precursor particles can be important for the measurement of the shape of the resulting particles as well as for their measurement of fluid permeability and capacity properties.

모든 전구체 입자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성질을 갖는 동일한 중합체 물질로부터 형성되지만, 이것은 상기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예컨대, 몇가지 전구체 입자는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전구체 입자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의 약간 망상조직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우기, 전구체 입자의 크기, 형태, 흡수 용량 또는 임의의 다른 성질 또는 특성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전구체 입자는 본질적으로 부분적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의 약간 망상조직 가교결합된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전구체 입자는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All precursor particles are preferably formed from the same polymeric material having the same properties, but this is not necessary in this case. For example, some precursor particles may comprise starch-acrylic acid graft copolymers while other precursor particles may comprise a slightly networked crosslinked polymer of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ic acid. Moreover, the size, shape, absorption capacity or any other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the precursor particles may vary.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recursor particles consist essentially of a slightly networked crosslinked polymer of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ic acid, each precursor particle having similar properti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결합된 입자 응집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전구체 입자는 실질적으로 건조하다. '실질적으로 건조한'이란 전구체 입자가 그의 약 5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 약 20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중량% 미만의 액체 함량, 전형적으로 물 또는 다른 용액 함량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구체 입자의 액체 함량은 약 0.01 내지 약 5중량%의 전구체 입자의 범위이다. 개별적인 전구체 입자는 가열에 의한 것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전구체 입자가 수성 반응 혼합물을 사용하여 형성될때, 물은 공비 증류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중합체-함유 수성 반응 혼합물은 또한 메탄올과 같은 탈수 용매로 처리될 수 있다. 이들 건조 절차의 조합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중합체 물질의 탈수 질량은 세분 또는 분쇄되어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흡수성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의 실질적 건조 전구체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recursor particles used to form the bound particle aggregates are substantially dry. "Substantially dry" means that the precursor particles have a liquid content, typically water or other solution content, of less than about 50%, preferably less than about 20%,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10% by weight. Generally, the liquid content of the precursor particles is in the range of about 0.01 to about 5% by weight of precursor particles. Individual precursor particles may be dried by any conventional method, such as by heating. Alternatively, when precursor particles are formed using an aqueous reaction mixture, water may be removed from the reaction mixture by azeotropic distillation. The polymer-containing aqueous reaction mixture may also be treated with a dehydration solvent such as methanol. Combinations of these drying procedures can also be used. The dehydrated mass of the polymeric material may then be broken down or comminuted to form substantially dry precursor particles of the absorbent hydrogel-forming polymeric material that are substantially water insoluble.

C. 개선된 유체 처리 성질을 제공하는 전구체 입자의 혼합물C. Mixtures of Precursor Particles Providing Improved Fluid Handling Properties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1) 상이한 유체 처리 성질; (2) 상이한 형태; 또는 (3) 이들 둘다를 갖는 전구체 입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이한 유체 처리 성질, 형태 또는 이들 둘다를 갖는 전구체 입자의 혼합물이 생성된 거대구조물에 개선된 전체 유체 처리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전형적으로 이들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생성된 거대구조물중에 높은 유체 투과성/성능 및 높은 유체 용량이 조합되어 있는 것으로 입증된다. 사실상, 본 발명에 따르는 전구체 입자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거대구조물은 목적하는 유체 용량의 손실없이 '겔 블록킹'의 잠재적인 문제점을 최소화한다.The main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1) different fluid handling properties; (2) different forms; Or (3) using a mixture of precursor particles having both. It has been found that mixtures of precursor particles having different fluid treatment properties, shapes, or both can impart improved overall fluid handling capabilities to the resulting macrostructures. This is typically demonstrated by the combination of high fluid permeability / performance and high fluid capacity in the resulting macrostructures made from these mixtures. In fact, macrostructures made from mixtures of precursor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 the potential problem of 'gel blocking' without loss of the desired fluid capacity.

본 발명의 변형물(1)에 따르는 혼합물은 (a) 비교적 높은 염수 유동 전도성(SFC)값 및 비교적 높은 가압하 성능(PUP)(높은 겔 투과성/수행성)을 갖는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b) 비교적 높은 흡수 용량을 갖는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전구체 입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혼합물은 약 50 내지 약 95%의 보다 높은 겔 투과성/수행성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약 5 내지 약 50%의 높은 유체 용량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들 혼합물은 약 60 내지 약 95%의 보다 높은 겔 투과성/수행성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약 5 내지 약 40%의 보다 높은 유체 용량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보다 바람직하게 약 60 내지 약 80%의 높은 겔 투과성/수행성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약 20 내지 약 40%의 높은 유체 용량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를 포함한다.The mixture according to varia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 relatively high salt flow conductivity (SFC) value and a relatively high pressure under pressure (PUP) (high gel permeability / performance). ; And (b) precursor particles made from a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 relatively high absorption capacity. Generally, these mixtures comprise about 50 to about 95% higher gel permeable / performing hydrogel-forming polymers and about 5 to about 50% high fluid dose hydrogel-forming polymers. Preferably, these mixtures contain about 60 to about 95% higher gel permeable / performing hydrogel-forming polymer and about 5 to about 40% higher fluid dose hydrogel-forming polymer and more preferably about 60 to about 80% high gel permeable / performing hydrogel-forming polymer and about 20 to about 40% high fluid dose hydrogel-forming polymer.

비교적 높은 염수 유동 전도성(SFC)값 및 비교적 높은 가압하 성능(PUP)을 갖는 본 발명에 유용한 전구체 입자는 1994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원 제 219,574 호(골드만(Goldman)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높은 겔층 투과성/수행성 전구체 입자는 약 5×10-7cm3sec/g 이상, 바람직하게 약 10×10-7cm3sec/g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0×10-7cm3sec/g 이상의 SFC 값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이들 SFC값은 약 30 내지 약 1,000×10-7cm3sec/g, 보다 전형적으로 약 50 내지 약 500×10-7cm3sec/g, 보다 전형적으로 약 100 내지 약 350×10-7cm3sec/g의 범위이다. 이들 높은 겔층 투과성/수행성 전구체 입자는 또한 일반적으로 약 23g/g 이상, 바람직하게 약 25g/g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 약 29g/g 이상의 PUP 성능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이들 PUP 값은 약 23 내지 약 35g/g, 보다 전형적으로 약 25 내지 약 33g/g, 보다 전형적으로 약 29 내지 약 33g/g의 범위이다.Precursor particle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salt flow conductivity (SFC) value and a relatively high pressure under performance (PUP) are disclosed in co-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No. 219,574 filed March 29, 1994 (Goldman). And the like). These high gel permeable / performing precursor particles are at least about 5 × 10 −7 cm 3 sec / g, preferably at least about 10 × 10 −7 cm 3 sec / g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100 × 10 −7 cm 3 sec. It has an SFC value of / g or more. Typically, these SFC values are about 30 to about 1,000 × 10 −7 cm 3 sec / g, more typically about 50 to about 500 × 10 −7 cm 3 sec / g, more typically about 100 to about 350 × 10 -7 cm 3 sec / g. These high gel permeable / performing precursor particles also generally have a PUP performance of at least about 23 g / g, preferably at least about 25 g / g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29 g / g. Typically these PUP values range from about 23 to about 35 g / g, more typically from about 25 to about 33 g / g, more typically from about 29 to about 33 g / g.

상대적으로 높은 SFC 및 PUP 값을 갖는 전구체 입자를 얻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초기에 형성된 중합체의 표면 가교결합을 포함한다. 표면 가교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i)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내에 존재하는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시약(들)(즉, 글리세롤, 1,3-디옥솔란-2-온, 다가 금속 이온, 폴리-4급 아민)이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표면에 적용되고; (ii) 표면에서의 가교결합의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내에 첨가된 다른 시약 및 존재가능한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시약이 표면에 적용되고(즉, 단량체와 가교결합제의 첨가 및 제 2 중합 반응의 개시); (iii) 어떠한 부가적인 다작용성 시약도 첨가되지 않지만, 부가 반응은 표면 또는 이의 주변에서 보다 높은 가교결합의 수준을 생성하도록 1차 중합 공정 동안 또는 이후에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내에 존재하는 성분들 사이에서 유도되고(예를 들면, 존재하는 중합체 카복실산 및/또는 하이드록실기 사이의 무수물 및/또는 에스테르 가교결합 형성 및 가교제가 원래 표면 부근에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곳에서의 현탁 중합 공정을 유도하도록 가열시킴); (iv) 다른 물질을 표면에 첨가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가교결합을 유도하거나 이와달리 생성된 하이드로겔의 표면 변형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표면 가교결합 공정의 조합은 동시에 또는 차례로 사용될 수 있다. 가교결합성 시약과 더불어, 가교결합의 분포를 돕거나 조절하기 위해서 다른 성분도 표면에 첨가될 수 있다(예: 표면 가교결합성 시약의 분산 및 투과). 동시 계류중인 1994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골드만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 219,574 호를 참조한다.Preferred methods for obtaining precursor particles having relatively high SFC and PUP values include surface crosslinking of the initially formed polymer. Various methods for inducing surface crosslinking are known in the art. These are (i) bifunctional or multifunctional reagent (s)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functional groups present in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ie glycerol, 1,3-dioxolan-2-one, polyvalent metal ions, poly- Quaternary amines) ar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ii) bifunctional or multifunctional reagents are applied to the surface (i.e. monomer and Addition of crosslinker and initiation of second polymerization reaction); (iii) no additional multifunctional reagent is added, but the addition reaction is present in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during or after the first polymerization process to produce a higher level of crosslinking at or around the surface. To induce suspension processes (e.g., anhydrides and / or ester crosslinks between the polymer carboxylic acids and / or hydroxyl groups present and crosslinking agents present at high levels near the original surface). Heating); (iv) adding other materials to the surface to induce higher levels of crosslinking or otherwise reduce the likelihood of surface modification of the resulting hydrogel. Combinations of these surface crosslinking processes can also be us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n addition to crosslinkable reagents, other ingredients may also be added to the surface to assist or control the distribution of crosslinks (eg, dispersion and permeation of surface crosslinkable reagents). See US Patent Application No. 219,574 to Goldman et al., Filed March 29, 1994, co-pending.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표면 가교결합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일반적인 방법은, 1985년 9월 17일자로 오바이사시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41,871 호, 1992년 10월 1일자로 공개된 스텐리(Stanley)의 PCT 출원 제 WO92/16565 호, 1990년 8월 9일자로 공개된 타이(Tai)의 PCT 출원 제 WO90/08789 호; 1993년 3월 18일자로 공개된 스텐리의 PCT 출원 제 WO93/05080 호; 1989년 4월 25일자로 알렉산더(Alexand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24,901 호; 1989년 1월 17일자로 존슨(John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9,861 호; 1986년 5월 6일자로 마키타(Makita)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87,308 호; 1988년 3월 29일자로 쯔바키모토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4,478 호; 1992년 11월 17일자로 기무라(Kimur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64,459 호; 1991년 8월 29일자로 공개된 다멘(Dahmen)의 독일 특허 출원 제 4,020,780 호; 및 1992년 10월 21일자로 공개된 가트너(Gartner)의 유럽 특허 출원 제 509,708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1994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골드만 등의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 219,574 호의 특히 실시예 1 내지 4를 참고한다. 비교적 높은 SFC 및 PUP 값을 갖는 적합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니폰 쇼쿠바이(Nippon Shokubai)에 의해 제조된 L76lf, 케미쉬 패브릭 스톡하우젠(Chemische Fabrik Stockhausen)에 의해 제조된 SXP, 다우 케미칼(Dow Chemical)에 의해 제조된 XZ 및 날코 케미칼(Nalco Chemical)에 의해 제조된 XP-30을 포함한다.A suitable general method for carrying out the surface crosslinking of th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U.S. Pat. Stanley's PCT Application WO92 / 16565, PCT Application WO90 / 08789 to Tai, published August 9, 1990; PCT Application WO93 / 05080 to Stanley, published March 18, 1993; US Patent No. 4,824,901, issued April 25, 1989 to Alexander; U.S. Patent No. 4,789,861 to Johnson, January 17, 1989; U.S. Patent No. 4,587,308 to Makita, dated May 6, 1986; U.S. Patent No. 4,734,478, issued to Tsubakimoto on March 29, 1988; US Patent No. 5,164,459, issued to Kimura et al. On November 17, 1992; German Patent Application No. 4,020,780 to Dahmen, published August 29, 1991; An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509,708 to Gartner, published October 21, 1992. See also, in particular, Examples 1-4 of co-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219,574, filed March 29, 1994. Suitabl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with relatively high SFC and PUP values are L76lf,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SXP, Dow Chemical manufactured by Chemische Fabrik Stockhausen. XZ manufactured by and XP-30 manufactured by Nalco Chemical.

비교적 높은 흡수 용량 및 비교적 높은 흡수값(AAP)을 갖는 본 발명에 유용한 전구체 입자는, 1978년 2월 28일자로 마쯔다(Matsud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76,663 호, 1988년 4월 19일자로 브란트 등에게 재허여된 미국 재허여 특허 제 32,649 호, 1986년 11월 25일자로 쯔바키모토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25,001 호, 1987년 5월 19일자로 쯔바키모토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66,983 호, 1988년 3월 29일자로 쯔바키모토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4,478 호, 1988년 4월 5일자로 모리타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5,987 호, 1990년 11월 27일자로 나가수나(Nagasun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73,632 호, 1993년 11월 23일자로 크멜러(Chmeli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4,471 호 및 1993년 3월 10일자로 공개된 쳄버스(Chambers) 등의 유럽 특허 출원 제 530,438 호에 개시되어 있다. '흡수 용량(Absorptive Capacity)'은 주어진 중합체 물질이 이에 접촉하게 되는 유체를 흡수하는 용량을 나타내고, 흡수된 유체의 성질 및 액체가 중합 물질에 접촉하는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서, 흡수 용량은 임의의 주어진 중합체 물질에 의해 흡수된 합성뇨의 양, 즉 중합체 물질 1g당 합성뇨의 g수로 정의된다. 이후 본원의 시험 방법 부분을 참고한다. AAP값은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에 요구되는 흡수도, 즉 외부압력 0.3psi가 가해질 때 중합체의 흡수 용량을 나타낸다. 이후 본원의 시험 방법 부분을 참고한다.Precursor particle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absorption capacity and a relatively high absorption value (AAP) are described in US Pat. No. 4,076,663, issued April 28, 1978 to Matsuda et al., April 19, 1988. U.S. Re-licensed Patent No. 32,649 to Brandt et al., U.S. Patent No. 4,625,001 to Tsubakimoto et al. On November 25, 1986, US Patent to Tsubakimoto et al. On May 19, 1987 No. 4,666,983, U.S. Patent No. 4,734,478 to Tsubakimoto et al. On March 29, 1988, U.S. Patent No. 4,735,987 to Morita et al. On April 5, 1988, issued November 27, 1990. U.S. Patent No. 4,973,632 to Nagasuna et al., U.S. Patent No. 5,264,471 to Chmelir et al. On November 23, 1993 and Chambers, published March 10, 1993. Disclosed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530,438, et al. It can control. 'Absorptive Capacity' refers to the capacity of a given polymer material to absorb the fluid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d can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absorbed fluid and the manner in which the liquid contacts the polymeric material.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ption capacity is defined as the amount of synthetic urine absorbed by any given polymeric material, ie the number of g of synthetic urine per gram of polymeric material. See also the Test Methods section of this application. The AAP value represents the absorbency required for the hydrogel-forming polymer, ie the absorbent capacity of the polymer when an external pressure of 0.3 psi is applied. See also the Test Methods section of this application.

이들 높은 유체 용량 전구체 입자는 중합체 1g당 합성뇨 약 25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g 이상인 흡수 용량값을 갖는다. 전형적으로는, 이들 높은 유체 용량 전구체 입자들은 중합체 물질 1g당 합성뇨 약 25 내지 약 70g,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40 내지 약 60g의 흡수 용량값을 갖는다.These high fluid volume precursor particles have an absorption capacity value of at least about 25 g of synthetic urine per gram of polymer,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35 g,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45 g. Typically, these high fluid volume precursor particles have an absorption capacity value of about 25 to about 70 g, more typically about 40 to about 60 g, of synthetic urine per gram of polymeric material.

비교적 높은 흡수 용량값을 갖는 이러한 전구체 물질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수용액 또는 다른 용액 중합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미국 재허여 특허 제 32,649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용액 중합 방법은 전구체 입자를 형성하는 중합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수성 반응 혼합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어, 수성 반응 혼합물은 혼합물에서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약간 망상구조로 가교결합된 중합체 물질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중합 반응 조건하에 있게 된다. 비교적 높은 흡수 용량 및 AAP 값을 갖는 적합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는, 훽스트 셀라니즈(Hoechst Celanese)에 의해 제조된 IM 1000, 니폰 쇼쿠바이에 의해 제조된 L74 및 니폰 고세(Nippon Gohsei)에 의해 제조된 F201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eferred methods for obtaining such precursor materials with relatively high absorption capacity values include aqueous solutions or other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s. As described in the aforementioned U.S. Pat.No. 32,649, the aqueous solution polymerization process involves the use of an aqueous reaction mixture to carry ou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o form precursor particles. The aqueous reaction mixture is then under polymerization conditions sufficient to produce a polymeric material that is substantially water-insoluble and slightly networked in the mixture. Suitable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having relatively high absorption capacity and AAP values are IM 1000 manufactured by Hoechst Celanese, L74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and Nippon Gohsei.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201.

본 발명의 변형 방법(2)에 따른 혼합물은, (a)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의 구형 집괴(전형적으로 현탁 중합 공정에 의해 생성됨)를 포함할 수 있는 구형 입자 형태의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b) 전형적으로 벌크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비구형 또는 불규칙 형태의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전구체 입자를 포함한다.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구형 입자로부터 주로 제조된 거대구조물이 쉽게 겔 블록킹되는 이유는, 불리한 유체 투과성을 갖는 밀접하고 조밀한 구조물의 형성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비구형(불규칙) 입자를 포함시키면, 거대구조물, 특히 시이트 형태의 거대구조물의 제조동안 구형 입자의 자가-조립 성질이 방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결과적으로, 거대구조물로는 더이상 유체를 블록킹하지 못한다.The mixture according to variant method (2)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first hydrogel in the form of a spherical particle which may comprise a spherical agglomerate of a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typically produced by a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ming polymers; And (b) precursor particles prepared from non-spherical or irregularly shaped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s typically prepared by bulk polymerization processes. The reason why macrostructures made primarily from spherical particle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are easily gel blocked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ormation of tight and dense structures with adverse fluid permeability. Inclusion of non-spherical (irregular) particles has been known to interfere with the self-assembly properties of the spherical particles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macrostructures, in particular sheet-like macrostructures. As a result, the macrostructure no longer blocks the fluid.

일반적으로, 변형 방법(2)에 따른 이들 혼합물은 약 5 내지 약 50%의 구형 입자 및 약 50 내지 약 95%의 비구형 입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혼합물은 약 10 내지 약 50%의 구형 입자 및 약 50 내지 약 90%의 비구형 입자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의 구형 입자 및 약 60 내지 약 80%의 비구형 입자를 포함한다.In general, these mixture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method (2) comprise from about 5 to about 50% spherical particles and from about 50 to about 95% non-spherical particles. Preferably, these mixtures contain about 10 to about 50% spherical particles and about 50 to about 90% non-spherical particles, more preferably about 20 to about 40% spherical particles and about 60 to about 80% Non-spherical particles.

구형 입자 및 구형 집괴는 역 유화 중합 반응 또는 역 현탁 중합 반응 과정과 같은 다상 중합 반응 공정 기술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역 유화 중합 반응 또는 역 현탁 중합 반응 과정에서, 수성 반응 혼합물은 시클로헥산과 같이 물에 혼합되지 않는, 불활성 유기 용매의 매트릭스내에 작은 방울 형태로 현탁된다. 생성된 전구체 입자는 일반적으로 구형이다. 역 현탁 중합 반응 공정이 1978년 6월 6일자로 아오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93,776호, 1982년 7월 20일자로 오바이사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0,706호, 야마사키(Yamasak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46,261호, 1985년 3월 19일자로 플레셔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06,052호, 1985년 9월 17일자로 오바이사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41,871호, 1987년 10월 6일자로 크램(Cramm)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98,414호, 1988년 4월 5일자로 모리타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35,987호, 1989년 5월 23일자로 영(Young)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3,179호 및 1993년 1월 13일자로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제 522,570호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구형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니폰 고세에서 제조한 F201 및 미츠비시 케미칼(Mitsubishi Chemical)에서 제조한 베이스(Base) 60을 포함한다.Spherical particles and spherical agglomerates can be obtained by polyphase polymerization process techniques such as reverse emulsion polymerization or re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In the course of reverse emulsion polymerization or re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the aqueous reaction mixture is suspended in the form of droplets in a matrix of inert organic solvent, which is not mixed with water such as cyclohexane. The resulting precursor particles are generally spherical. US Pat. No. 4,093,776, issued to Aoki et al. On June 6, 1978, and US Pat. No. 4,340,706, Yamasaki, et al., Issued to Obisashi on July 20, 1982. U.S. Patent No. 4,446,261, issued to Fletcher et al. On March 19, 1985, U.S. Patent No. 4,506,052, issued to September 17,1985, to Obisa, et al., U.S. Patent No. 4,541,871, October 1987 US Pat. No. 4,698,414, issued to Cramm et al., Dated 6, US Pat. No. 4,735,987, issued May 5, 1988 to Morita et al., Issued May 23, 1989 to Young et al. US Patent No. 4,833,179 an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522,570, published January 13, 1993. Suitable spherical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include F201 manufactured by Nippon Kose and Base 60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비구형 또는 불규칙적 형태의 입자는 수용액 또는 다른 용액 중합방법을 포함하는 벌크 중합 반응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전술된 참고문헌 미국 재허여 특허 제 32,64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용액 중합 반응은 전구체 입자를 형성하는 중합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수성 반응 혼합물을 사용함을 포함한다. 이어, 수성 반응 혼합물은 혼합물에서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약간 망상구조로 가교결합된 중합체 물질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중합 반응하에 있게 된다. 이어, 형성된 중합체 물질 집괴는 분쇄되거나 세분되어서 개별적인 전구체 입자를 형성한다. 적합한 비구형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입자는 니폰 쇼쿠바이에서 제조된 L76lf, 케미쉬 패브릭 스톡하우젠에서 제조한 SXP 또는 SXM 및 날코 케미칼에서 제조한 1180 또는 XP 30을 포함한다.Non-spherical or irregularly shaped particles can be obtained by bulk polymerization reaction processes including aqueous solutions or other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s. As described in the above-referenced U.S. Pat. The aqueous reaction mixture is then under sufficient polymerization to produce a substantially water insoluble and slightly networked crosslinked polymeric material in the mixture. The formed polymeric material aggregates are then comminuted or broken down to form individual precursor particles. Suitable non-spherical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particles include L76lf,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SXP or SXM, manufactured by Chemish Fabric Stockhausen, and 1180 or XP 30, manufactured by Nalco Chemical.

D. 가교결합제D. Crosslinking Agent

본 발명에 따른 거대구조물을 제조할 때, 가교결합제는 흡수성 전구체 입자의 혼합물 표면에서 가교결합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전형적으로 이들 입자내의 중합체 물질과 가교결합제의 반응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전형적으로, 흡수성 전구체 입자의 중합체 물질은 음이온성이고,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제와 에스테르형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카복시 작용기이다. 효과적으로 가교결합된 흡수성 입자의 상기 부분은 상기 입자의 비가교결합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수성 (체)액의 존재하에 덜 팽윤할 것이다.In preparing the macrostructur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rosslinkers are used to provide crosslinking at the surface of the mixture of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This typically occurs as a result of the reaction of the crosslinker with the polymeric material in these particles. Typically, the polymeric material of the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is anionic and is preferably a carboxy functional group that forms ester type covalent bonds with crosslinkers. This portion of the effectively crosslinked absorbent particles will swell less in the presence of an aqueous (sieve) liquid as compared to the other non-crosslinked portions of the particles.

본 목적에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비이온성이고, 분자 1개당 카복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02,597호를 참조하며, 이 문헌은 다가 알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1,2,3-프로판트리올), 폴리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탈 지방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 및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아지리딘 화합물, 예컨대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 부탄올-트리스[3-(i-아지리딘)프로피오네이트], 1,6-헥사메틸 톨루엔 디에틸렌 우레아 및 디페닐 메탄-비스-4,4'-N,N'-디에틸렌 우레아; 할로에폭시 화합물, 예컨대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α-메틸플루오로하이드린; 폴리알데히드 화합물, 예컨대 글루타르알데히드 및 글리옥사졸; 폴리아민 화합물, 예컨대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펜타에틸렌 헥사민 및 폴리에틸렌 이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각종 비이온성 가교결합제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성 가교결합제는 글리세롤이다.Crosslinkers suitable for this purpose are nonionic and contain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which can react with a carboxy group per molecule. See, for example, US Pat. No. 5,102,597 to Roh et al. On April 7, 1992, which discloses polyhydric alcohols such as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 1,2,3-propanetriol), polyglycerol, propylene glycol, 1,2-propanediol, 1,3-propanediol, trimethylol propane, diethanolamine, triethanolamine, polyoxypropylene oxyethylene-oxypropylene Block copolymers,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entaerythritol and sorbitol; Polyglycidyl ether compounds such as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glycerol polyglycidyl ether, 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sorbitol polyglycol Cydyl ether, 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aziridine compounds such as 2,2, -bishydroxymethyl butanol-tris [3- (i-aziridine) propionate], 1,6-hexamethyl toluene diethylene urea and diphenyl methane-bis-4 , 4'-N, N'-diethylene urea; Haloepoxy compounds such as epichlorohydrin and α-methylfluorohydrin; Polyaldehyde compounds such as glutaraldehyde and glyoxazole; Polyamine compounds such as ethylene diamine, diethylene triamine, triethylene tetramine, tetraethylene pentamine, pentaethylene hexamine and polyethylene imine; And various nonionic crosslinkers including polyisocyanate compounds such as 2,4-toluene diisocyanate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Particularly preferred nonionic crosslinkers are glycerol.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가교결합제는 특정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아민 형태를 갖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이다.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조하며, 상기 문헌은 적합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특히 이들 부가물의 중합성 수지 변형물은 표면 전구체 입자에서 중합성 물질과만 반응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가교결합제이다. 또한, 이들 부가물의 양이온성 작용기(예: 아제테디늄기), 특히 중합성 수지 변형물은 흡수성 입자의 중합체 물질의 음이온성 작용기, 전형적으로는 카복시기와 실온(예: 약 18 내지 약 25℃)에서도 매우 신속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이들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매우 적당한 양(예컨대, 입자의 약 1중량% 정도로 적은 양)이 흡수성 전구체 입자에 존재하는 중합체 물질의 효과적인 표면 가교결합을 제공하는데 필요하다.Preferred crosslinker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pichlorohydrin adducts having certain monomeric or polymeric amine forms. See US Pat. No. 5,324,561 to Rezai et al., June 23, 1994, which discloses suitable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crosslinkers. These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especially polymerizable resin modifications of these adducts, are preferred crosslinkers because they react only with the polymerizable material in the surface precursor particles. In addition, cationic functional groups of these adducts (e.g. azetedinium groups), in particular polymerizable resin modifications, are also suitable for the anionic functional groups of the polymeric material of the absorbent particles, typically at carboxy groups and at room temperature (e.g. from about 18 to about 25 ° C). It seems to react very quickly. As a result, very moderate amounts of these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eg, as low as about 1% by weight of the particles) are needed to provide effective surface crosslinking of the polymeric material present in the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가교결합제로서 유용한 적합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은 1급 또는 2급 아미노기를 구조물내에 갖는 단량체성 디-, 트리- 및 고급 아민, 예컨대 비스-2-아미노에틸 에테르,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피페라진, 에틸렌디아민, N-아미노에틸 피페라진 및 디알킬렌 트리아민(예: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디프로필렌트리아민); 중합체성 아민,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포화 C3-C102염기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특정 폴리아미드-폴리아민과 반응한다. 이들 에피클로로하이드린/폴리아미드-폴리아민 부가물은 당해 분야에서 페이퍼 제품에 사용되는 습윤 강성 수지로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한 에피클로로하이드린/폴리아미드-폴리아민 부가물은 2 내지 4개의 에틸렌기, 2개의 1급 아민기 및 1 내지 3개의 2급 아민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폴리아민, 및 포화 지방족 C3-C10디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부가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 3 내지 8개를 함유하는 부가물, 예컨대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및 디글리콜산이다. 가교결합제로서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수지는 헤르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Hercules Inc.)에서 키멘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키멘 557H, 키멘 557LX 및 키멘 557 플러스(PLUS)가 특히 유용하며, 이들은 디에틸렌트리아민과 아디프산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아미드-폴리아민의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이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활성 수지를 약 10 내지 약 33중량%로 함유하는 양이온성 수지 물질의 수용액 형태로 시판된다.Suitable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useful as crosslinking agents are monomeric di-, tri- and higher amines having primary or secondary amino groups in the structure, such as bis-2-aminoethyl ether, N, N- Dimethylethylenediamine, piperazine, ethylenediamine, N-aminoethyl piperazine and dialkylene triamines such as diethylenetriamine and dipropylenetriamine; Polymeric amines such as polyethylenimine and certain polyamide-polyamines derived from saturated C 3 -C 10 dibasic carboxylic acids with polyalkylene polyamines. These epichlorohydrin / polyamide-polyamine adducts are well known in the art as wet stiff resins used in paper products. More preferred epichlorohydrin / polyamide-polyamine adducts are polyethylene polyamines containing 2 to 4 ethylene groups, two primary amine groups and 1 to 3 secondary amine groups, and saturated aliphatic C 3 -C 10 di Adduct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more preferably adducts containing 3 to 8 carbon atoms such as malonic acid,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and diglycolic acid. Particularly preferred cationic polyamide-polyamine epichlorohydrin resins for use herein as crosslinkers are available under the trade name Chimen from Hercules Inc. Kymene 557H, Kymene 557LX and Kymene 557 Plus are particularly useful, which are epichlorohydrin adducts of polyamide-polyamines, the reaction product of diethylenetriamine and adipic acid. They are typically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of cationic resin material containing from about 10 to about 33 weight percent active resin.

E.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 및 거대구조물의 제조방법E. Process for producing aggregates and macrostructures bonded between particles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구성하는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제조할 때, 흡수성 전구체 입자의 혼합물은 효과적인 가교결합을 발생시키도록, 즉 입자의 가교결합된 표면이 비가교결합된 부분에 비하여 수성 체액의 존재하에 덜 팽윤되도록 입자의 표면에서 중합체 물질과 반응하는 충분량의 가교결합제로 처리된다. '충분량'의 가교결합제를 구성하는 것은 처리된 특정 흡수성 전구체 입자, 사용된 가교결합제 및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 형성에 바람직한 특정 효과 등을 비롯한 다수의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글리세롤과 같은 비이온성 가교결합제(nonionic crosslinking agents such as glycerol)'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02,597호 및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crosslinking agent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조한다.When preparing the intergranular bound aggregates that make up th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the mixture of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generates effective crosslinking, i.e. the presence of aqueous body fluid relative to the portion where the crosslinked surface of the particles is uncrosslinked. It is treat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crosslinker that reacts with the polymeric material at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so that they swell less under. The construction of an 'a sufficient amount' of crosslinker depends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particular absorbent precursor particle treated, the crosslinker used and the particular effect desired to form the aggregated aggregates between the particles. To U.S. Patent No. 5,102,597 entitled `` nonionic crosslinking agents such as glycerol '' issued to Loe et al. On April 7, 1992 and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See US Pat. No. 5,324,561, entitled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crosslinking agents.'

흡수성 전구체 입자 및 가교결합제 이외에도, 다른 성분 또는 제제가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제조할 때에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은 전형적으로 가교결합제와 함께 사용되어서 그의 처리 수용액을 형성한다. 물은 전구체 입자 표면에서 가교결합제의 균일한 분산을 조장하고, 가교결합제를 이들 입자의 표면 영역으로 침투시킨다. 또한, 물은 처리된 전구체 입자간의 보다 강한 물리적 결합을 조장하고, 생성된 입자간 결합된 가교결합된 응집체에 보다 큰 일체성을 제공한다. 사용되는 물의 실제량은 사용된 가교결합제의 형태, 전구체 입자를 형성할 때에 사용된 중합체 물질의 형태, 상기 전구체 입자의 입경, 다른 임의적인 성분(예: 글리세롤)의 혼입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글리세롤과 같은 비이온성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02,597호 및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고한다.In addition to the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and the crosslinking agent, other components or agents can be used as an adjuvant when preparing the aggregates in which the particles are bound. For example, water is typically used with crosslinkers to form aqueous treatment solutions thereof. Water encourages uniform dispersion of the crosslinker at the surface of the precursor particles and permeates the crosslinker into the surface area of these particles. In addition, water encourages stronger physical bonding between the treated precursor particles and provides greater integrity to the resulting cross-linked crosslinked aggregates. The actual amount of water used may depend on factors such as the type of crosslinker used, the type of polymeric material used to form the precursor particles, the particle size of the precursor particles, and the incorporation of other optional components (eg glycerol). have. U.S. Pat.No. 5,102,597, entitled `` Nonionic Crosslinking Agents Such As Glycerol, '' issued to Lo et al. On April 7, 1992, and cationic amino-epichlorohigh, issued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See US Pat. No. 5,324,561 entitled Adduct Crosslinker.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통상적으로 전구체 입자의 표면상의 가교결합제의 균일한 분산을 조장한다. 이들 유기 용매는 전형적으로 친수성이며, 메탄올과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에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설폭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친수성 용매의 실제량은 사용되는 부가물, 전구체 입자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중합체 물질, 이들 전구체 입자의 입경 등의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글리세롤과 같은 비이온성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02,597호 및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고한다.Although not absolutely necessary, organic solvents can be used, which typically promotes uniform dispersion of the crosslinker on the surface of the precursor particles. These organic solvents are typically hydrophilic and include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Amides such as N, N-dimethylformamide and N, N-diethylformamide; And sulfoxides such as dimethyl sulfoxide. The actual amount of hydrophilic solvent used may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adduct used, the polymeric material used to form the precursor particles, the particle size of these precursor particles, and the like. U.S. Pat.No. 5,102,597, entitled `` Nonionic Crosslinking Agents Such As Glycerol, '' issued to Lo et al. On April 7, 1992, and cationic amino-epichlorohigh, issued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See US Pat. No. 5,324,561 entitled Adduct Crosslinker.

다른 임의적인 성분이 또한 가교결합제, 특히 그의 처리 수용액과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이 가교결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처리 용액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조한다. 적합한 가소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즉,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수크로즈, 중합체성 용액(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알코올의 에스테르 전구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성분과 함께 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물을 포함한다. 글리세롤과 같은 가소제중 이러한 다른 성분은 습윤제, 보조가소제 또는 이들 둘다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물이 주된 가소제이다. 특히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의 처리 수용액의 일부로서 약 0.5:1 내지 약 2:1, 바람직하게는 약 0.8:1 내지 약 1.7:1 중량비로 글리세롤 및 물을 포함할 때,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가소제는 글리세롤과 물의 혼합물이다.Other optional components can also be used with crosslinkers, in particular their aqueous solutions.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hat the treatment solution comprises a plasticizer, especially when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are used as crosslinkers. See US Pat. No. 5,324,561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Suitable plasticizers include glycerol, propylene glycol (ie 1,2-propanediol), 1,3-propanediol, ethylene glycol, sorbitol, sucrose, polymeric solutions (e.g., polyvinyl alcohol, ester precursors of polyvinyl alcohol, Water in combinatio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ingredient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or mixtures thereof). These other components in plasticizers, such as glycerol, appear to act as wetting agents, co-plasticizers, or both, with water being the main plasticizer. Particularly when the glycerol and water ar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about 0.5: 1 to about 2: 1, preferably about 0.8: 1 to about 1.7: 1 by weight as part of the treated aqueous solution of the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Preferred plasticizers for use in are mixtures of glycerol and water.

사용되는 가소제의 실제량은 사용되는 특정 가소제, 전구체 입자를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중합체 물질의 형태, 및 가소제로부터 원하는 특정 가요성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가소제는 전구체 입자 100중량부당 약 5 내지 약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6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중량부,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조한다.The actual amount of plasticizer used may vary depending on the particular plasticizer used, the type of polymeric material used when forming the precursor particles, and the particular flexible effect desired from the plasticizer. Typically, the plasticizer is about 5 to about 1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5 to about 6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10 to about 30 parts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about 15 to about 20 parts by weight of the precursor particles. Used in parts by weight. See US Pat. No. 5,324,561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본 발명의 방법에서, 흡수성 전구체 입자는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전형적으로는 그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임의의 각종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들은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또는 그의 용액으로 흡수성 전구체 입자를 코팅시키거나, 덤핑(dumping)시키거나, 붓거나, 적하시키거나, 분사시키거나, 분무시키거나, 축합시키거나, 침지시키는 것을 비롯한, 물질에 용액을 적용시키는 임의의 방법을 포함한다. '적용'이란 결합되는 전구체 입자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 가교결합을 발생시키도록 유효량의 부가물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양이온성 부가물은 전구체 입자 일부, 전구체 입자 전체, 전구체 입자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 일부, 또는 전구체 입자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전체 표면위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가물은 전구체 입자사이의 입자간 결합의 효율성, 강도 및 밀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구체 입자의 표면에서 중합체 물질의 원하는 표면 가교결합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흡수성 전구체 입자 대부분(바람직하게는 전체)의 전체 표면위에 코팅된다.In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the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can be treated in any of a variety of ways using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typically aqueous solutions thereof. They coat, dump, pour, drop, spray, spray, condense, or soak the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with a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or a solution thereof. And any method of applying a solution to a material, including those. 'Apply' means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cursor particles to be bound has an effective amount of adduct to cause surface crosslinking. That is, the cationic adduct may be applied over some of the precursor particles, all of the precursor particles, some of the surface of some or all of the precursor particles, or all of the surface of some or all of the precursor particles. Preferably, the adduct adds to the entirety of the majority (preferably all) of the absorbent precursor particles in order to enhance the desired surface crosslinking of the polymeric material at the surface of such precursor particles as well as the efficiency, strength and density of interparticle bonding between the precursor particles. Coated on the surface.

처리 용액이 전구체 입자위에 적용된 후, 전구체 입자가 처리 용액으로 완전히 코팅되도록 임의의 다수의 혼합법 또는 적층법으로, 처리된 전구체 입자가 혼합되거나 적층될 수 있다.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글리세롤과 같은 비이온성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02,597호 및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조한다. 처리 용액을 적용시키기 전, 적용시키는 동안 또는 적용 후에, 전구체 입자는 물리적으로 함께 결합되어서 응집체 거대구조물을 형성한다. 전구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전구체 입자위에 회합제(associating agent)를 적용시키고 회합제가 적용된 전구체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전구체 입자를 물리적으로 접촉시키므로써 물리적으로 함께 결합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회합제는 친수성 유기 용매, 전형적으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저분자량 알코올; 물; 친수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가교결합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회합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양이온성 중합체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수지(예컨대, 키멘 557H, 557LX 또는 플러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전형적으로 회합제는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여 가교결합의 적용 단계가 회합제의 적용 단계와 동시에 실시된다.After the treatment solution is applied onto the precursor particles, the treated precursor particles may be mixed or laminated in any of a number of mixing or lamination methods such that the precursor particles are completely coated with the treatment solution. U.S. Pat. See US Pat. No. 5,324,561 entitled Adduct Crosslinker. Before, during or after application of the treatment solution, the precursor particles are physically bound together to form an aggregate macrostructure. The precursor particles are preferably physically bonded together by applying an associating agent onto the precursor particles and physically contacting the precursor particle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precursor particles to which the association agent is applied. Association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hydrophilic organic solvents, typically low molecular weight alcohols such as methanol or ethanol; water; Mixtures of hydrophilic organic solvents and water; Crosslinking agents or mixtures thereof. Preferred associating agents are water, methanol, ethanol, cationic polymeric amino-epichlorohydrin resins (e.g., chimen 557H, 557LX or plus) or mixtures thereof. Typically the associating agent contains a mixture comprising a crosslinking agent so that the step of applying the crosslinking is carried out simultaneously with the step of applying the associating agent.

회합제는 전구체 입자위에 회합제를 코팅시키거나 덤핑시키거나 붓거나 분사시키거나 분무하거나 축합시키거나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물질에 용액을 적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각종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전구체 입자에 적용될 수 있다.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글리세롤과 같은 비이온성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02,597호 및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조한다. 회합제가 전구체 입자에 적용될 때, 전구체 입자는 다수의 다양한 방식으로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회합제만으로도 접촉된 입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중력이 이용되어서 예컨대 전구체 입자를 적층시키므로써 전구체 입자간의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입자는 전구체 입자간 접촉을 확보하도록 고정 부피를 갖는 용기에 놓일 수 있다.The associating agent may be used to apply the precursor particles by any of the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 used to apply a solution to a material, including coating, dumping, pouring, spraying, spraying, condensing, or immersing the association agent onto the precursor particles. Can be applied to U.S. Pat. See US Pat. No. 5,324,561 entitled Adduct Crosslinker. When the association agent is applied to the precursor particles, the precursor particles may be physically contacted in a number of different ways. For example, the contacting particles can be fixed only with the association agent. Alternatively, gravity may be used to ensure contact between the precursor particles, for example, by stacking the precursor particles. The particles may also be placed in a container having a fixed volume to ensure contact between the precursor particles.

다르게는, 전구체 입자는 이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속되므로써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전구체 입자는 고정 부피를 갖는 용기내에 빽빽하게 충전되어서 전구체 입자가 물리적으로 서로 접촉한다. 다르게는 또는 상기 절차와 조합해서, 중력(예: 적층)이 사용되어 전구체 입자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전구체 입자는 또한 정전기적 인력 또는 접착제의 도입(예: 수용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 물질)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어서 이들을 함께 접착시킬 수 있다. 전구체 입자는 또한 이들이 기재에 의해 서로 접촉하도록 제 3 부재(기재)에 부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ecursor particles can be physically bound by being physically constrained so that they contact each other. For example, precursor particles are densely packed in a container having a fixed volume such that the precursor particles are in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 procedure, gravity (eg, lamination) may be used to physically bind the precursor particles. The precursor particles can also be physically bonded to one another by means of electrostatic attraction or the introduction of an adhesive (eg,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a water soluble adhesive) to adhere them together. The precursor particles may also be attached to the third member (substrate) such that they contact each other by the substrate.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에서, 전구체 입자의 응집체는 각종 형태, 공간 관계 및 밀도로 형상화되어 한정된 모양, 크기 및/또는 밀도를 갖는 응집체를 형성한다. 응집체는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형상화 기법에 의해 형상화될 수 있다. 응집체를 형상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주조(casting), 몰딩 또는 성형화 조작을 포함한다. 주조와 몰딩 기법은 일반적으로 전구체 입자를 제조된 몰딩 구멍에 도입하고 (압착) 응집체에 압력을 가하여 응집체가 몰딩 구멍의 형태에 맞도록 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몰딩 기법의 예는 압착 몰딩, 사출 몰딩, 압출 또는 적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다수의 전구체 입자가 고정된 부피의 몰딩 구멍을 갖는 용기에 첨가될 수 있으며, 응집체는 압축되어 몰딩 구멍의 형태에 맞게 순응되어 생성된 거대구조물이 동일한 형태를 갖게 된다. 성형법은 응집체의 형태 및/또는 크기 및/또는 밀도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응집체에 대해 각종 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성형법의 예는 롤링, 단조(forging), 압출, 방사(spinning), 코팅 또는 연신 조작을 포함한다. 예컨대, 전구체 입자의 응집체 혼합물 및 적어도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은 한 쌍의 압착롤 사이를 통과하여 응집체 시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응집체 혼합물은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되어서 오리피스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응집체 혼합물은 표면상에서 주조되어서 원하는 형태 또는 표면 형태를 갖는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중 임의의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사용되어서 형태화된 응집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고온 및/또는 저온의 물질 또는 장치중 일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집성 거대구조물을 시이트로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 및 장치가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24,561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미국 특허 제 5,324,561호의 제 9도 및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In another method of forming the macrostructure of the invention, the aggregates of precursor particles are shaped into various shapes, spatial relationships and densities to form aggregates having defined shapes, sizes and / or densities. Aggregates may be shaped by any conventional shaping techniques known in the art. Preferred methods for shaping the aggregates include casting, molding or shaping operations. Casting and molding techniques generally introduce precursor particles into the prepared molding holes and apply pressure to the (compression) aggregates so that the aggregates conform to the shape of the molding holes. Examples of specific molding techniques for use herein include press molding, injection molding, extrusion or lamina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ecursor particles may be added to a container having a fixed volume of molding holes, and the aggregates may be com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molding holes so that the resulting macrostructures have the same shape. Molding methods include performing various manipulations on the aggregates to alter the shape and / or size and / or density of the aggregates. Examples of specific molding methods for use herein include rolling, forging, extrusion, spinning, coating or stretching operations. For example, the aggregate mixture of precursor particles and at least the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may pass between a pair of compression rolls to form the aggregate sheet. Alternatively, the aggregate mixture may be extruded through an orifice to form an aggregat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rifice. In addition, the aggregate mixture may be cast on the surface to form aggregates having the desired shape or surface morphology. In addition, any or all of these techniqu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o form shaped aggregates. The manipula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any suitable technique known in the art, which can be carried out using some of the hot and / or low temperature materials or devices. A preferr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forming the coher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eets is a U.S. patent entitled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crosslinker' issued to Rezai et al. On June 23, 1994. 5,324,561. See, in particular, Figure 9 of US Pat. No. 5,324,561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ssociated with it.

처리 용액을 적용하고 전구체 입자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서 응집체를 형성하고 이 응집체가 형상화됨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가교결합제는 전구체 입자의 물리적 결합을 유지시키면서 전구체 입자의 중합체 물질과 반응하여 응집체 거대구조물 형태의 전구체 입자에서 효과적인 표면 가교결합을 제공한다. 1992년 4월 7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글리세롤과 같은 비이온성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02,597호 및 1994년 6월 23일자로 레자이 등에게 허여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24,561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서 가교결합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의 비교적 반응성인 양이온성 작용기 때문에, 이 가교결합 반응은 주위 온도를 비롯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주위 온도 경화는, 처리 용액이 부가적으로 가소제, 예컨대 물과 글리세롤의 혼합물을 함유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주위 온도보다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의 경화는 가소제의 휘발성 때문에 가소제를 없앨 수 있으므로,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가소시키는 추가의 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주위 온도에서의 경화는 전형적으로 약 18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약 12 내지 약 48시간 동안 실시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주위 온도에서의 경화는 약 18 내지 약 25℃에서 약 24 내지 약 48시간 동안 수행된다.At the same time or after applying the treatment solution and the precursor particles are physically bonded to form an aggregate and the aggregate is shaped, the crosslinker reacts with the polymer material of the precursor particles while maintaining the physical bond of the precursor particles in the form of an aggregate macrostructure. Provide effective surface crosslinking in the precursor particles. U.S. Pat. See US Pat. No. 5,324,561 entitled Adduct Crosslinker. Because of the relatively reactive cationic functionalities of the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that can be used as crosslinke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crosslinking reaction can be reacted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s, including ambient temperature. Such ambient temperature curing is particularly preferred when the treatment solution additionally contains a plasticizer such as a mixture of water and glycerol. Curing at temperatures significantly above ambient temperature can eliminate the plasticizer due to the volatility of the plasticizer, thus requiring an additional step to plasticize the intergranular aggregates. Curing at this ambient temperature typically takes place at a temperature of about 18 to about 35 ° C. for about 12 to about 48 hours. Preferably, curing at this ambient temperature is performed at about 18 to about 25 ° C. for about 24 to about 48 hours.

가교결합 반응이 주위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더라도, 이러한 경화는 또한 반응을 가속시키기 위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고온에서의 경화는 처리 및 결합된 전구체 입자를 가열시켜 가교결합 반응이 보다 단시간내에, 전형적으로 수 분내에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 단계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각종 오븐 또는 건조기를 비롯한 다수의 통상적인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crosslinking reactions may occur at ambient temperatures, such curing may also be carried out at higher temperatures to accelerate the reaction. Curing at higher temperatures involves heating the treated and bound precursor particles such that the crosslinking reaction occurs in a shorter time, typically in minutes. This heating step can be performed using a number of conventional heating devices, including various ovens or dryers well known in the art.

일반적으로, 열경화는 가교결합 반응을 완료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약 50℃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열경화에 사용되는 특정 온도 및 시간은 사용되는 특정 가교결합제 및 전구체 입자내 존재하는 중합체 물질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1992년 4월 7일자로 출원된 로 등의 미국 특허 제 5,102,597 호(글리세롤과 같은 비이온성 가교결합제) 및 1994년 6월 23일자로 출원된 레자이 등의 미국 특허 제 5,324,561 호(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가교결합제)를 참고한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의 경우에, 열경화는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약 205℃에서 약 1 내지 약 20분 동안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열경화는 약 180℃ 내지 약 200℃에서 약 5 내지 약 15분 동안 수행된다.In general, the thermosetting may be carried out at temperatures higher than about 50 ° C. for a time sufficient to complete the crosslinking reaction. The specific temperature and time used for thermosetting will depend on the specific crosslinker and polymer material present in the precursor particles used. US Pat. No. 5,102,597 to Roh et al., Filed Apr. 7, 1992 (nonionic crosslinker such as glycerol) and US Pat. No. 5,324,561 to Rezai et al., Filed June 23, 1994 (cationic amino-epi) Chlorohydrin adduct crosslinker). In the case of preferred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thermosetting is generally carried out at about 50 ° C. to about 205 ° C. for about 1 to about 20 minutes. Preferably, the thermosetting is carried out at about 180 ° C. to about 200 ° C. for about 5 to about 15 minutes.

처리된 전구체 입자의 물리적인 회합이 경화 단계 동안 유지되어, 가교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인접한 전구체 입자가 서로 접착적으로 결합한다. 만약 힘 또는 응력이 충분하여 가교결합 반응 동안 존재하는 전구체 입자를 분리시킨다면, 전구체 입자의 불충분한 결합이 발생할 것이다. 이것은 구조적 일체성이 불리한 응집체를 생성한다. 경화 단계 동안 분리력 또는 응력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전구체 입자의 물리적 회합은 전형적으로 유지된다.Physical association of the treated precursor particles is maintained during the curing step such that adjacent precursor particles adhesively bond to each other as the crosslinking proceeds. If the force or stress is sufficient to separate the precursor particles present dur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insufficient binding of the precursor particles will occur. This creates aggregates with poor structural integrity. Physical association of precursor particles is typically maintained by minimizing the separation force or stress during the curing step.

거대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지만,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용액은 전구체 입자의 물리적 회합과 동시에 적용되어 바람직한 형태 및 전형적으로 목적하는 밀도로 형상화된 후, 상기 단계를 종료한 다음 또는 응집체를 일정 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가교결합제가 전구체 입자의 중합체 물질과 반응하여, 동시에 전구체 입자를 표면 가교결합시켜 응집성 거대구조물을 형성하였다. 전형적으로, 전구체 입자를 가교결합제, 물, 습윤제 및/또는 보조가소제(예: 글리세롤), 및 친수성 유기 용매(예: 메탄올)의 용액과 혼합하거나 분사하여 서로 결합된 응집체를 형성하였다. 이어, 결합된 응집체(즉, 회합된 전구체 입자 및 수성 혼합물)를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출하고 롤링(rolling)하여 조밀화된 시이트로 형상화시킨다. 후속적으로, 가교결합제를 주위 온도에서 중합체 물질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전구체 입자의 표면에서 가교결합되도록 열 경화시켜, 접착성으로 입자간 결합된 응집성 거대구조물을 형성한다.The preparation of the macrostructures need not be performed in any particular order, bu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the treatment solution may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physical association of the precursor particles to be shaped to the desired form and typically the desired density, and then the step may be terminated or the aggregates may be allowed to settle for a period of time before In reaction with the polymeric material, the precursor particles were simultaneously surface crosslinked to form a coherent macrostructure. Typically, precursor particles are mixed or sprayed with a solution of crosslinker, water, wetting agent and / or coplasticizer (eg glycerol), and hydrophilic organic solvent (eg methanol) to form aggregates that are bound to each other. The bound aggregates (ie, associated precursor particles and aqueous mixture) are then extruded and rolled to form densified sheets as described above. Subsequently, the crosslinker is thermally cured to react with the polymeric material at ambient temperature or at the same time to crosslink at the surface of the precursor particles to form an adhesive intergranular coherent macrostructure.

경화시킨 후에도, 거대구조물을 가소제로 처리하여, 표면 가교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적합한 가소제로는 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전술한 습윤제/보조가소제,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다수의 상이한 방법, 예를 들면 분사법, 코팅법, 분무법, 침지법 또는 덤핑법으로 거대구조물에 적용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거대구조물은 높은 습도(예를 들면, 상대습도가 70% 보다 큰 경우)의 환경에 위치될 수 있다. 거대구조물에 적용되는 가소제의 양은 사용된 구체적인 가소제 및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가소제의 양은 거대구조물 100중량부당 약 5 내지 약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60중량부이다. 특히 바람직한 가소제는 글리세롤과 물의 혼합물(중량비가 약 0.5:1 내지 약 2:1, 바람직하게는 약 0.8:1 내지 약 1.7:1)을 포함한다.Even after curing, the macrostructure can be treated with a plasticizer to achieve surface crosslinking. Suitable plasticizers include water alone or mixtures with the aforementioned wetting / adjuvant plasticizers, preferably glycerol. The plasticizer can be applied to the macrostructure by a number of different methods, such as spraying, coating, spraying, dipping or dumping. Alternatively, when water is used alone, the macrostructure may be placed in an environment of high humidity (eg, relative humidity greater than 70%). The amount of plasticizer applied to the macrostructure can be chose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pecific plasticizer used and the desired effect. Typically, the amount of plasticizer applied is about 5 to about 1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5 to about 6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crostructure. Particularly preferred plasticizers comprise a mixture of glycerol and water (weight ratio of about 0.5: 1 to about 2: 1, preferably about 0.8: 1 to about 1.7: 1).

다양한 형태의 섬유 물질을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내의 보강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흡수 제품에 사용하기 적합한 임의의 형태의 섬유 물질도 본원의 거대구조물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이러한 섬유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셀룰로오스성 섬유, 개질된 셀룰로오스성 섬유, 레이온,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다크론(DACRON)), 친수성 나일론(하이드로필(HYDROFIL))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일부 물질 외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그밖의 섬유 물질의 예로는, 친수성화된 소수성 섬유,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으로부터 유도된 계면활성제-처리된 또는 실리카-처리된 열가소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사실상, 자체로는 흡수성이 우수하지 않아서 통상적인 흡수성 구조물에서 유용한 충분한 흡수 용량의 웹을 제공하지는 못하는 친수성화된 소수성 섬유는, 이들의 우수한 흡상 능력으로 인해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에서 사용하기 적당하다. 이것은, 본원의 거대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이 유체를 위로 끌어올리는 속도가 빠르고 겔 블록킹 특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섬유 물질 그 자체의 흡수 능력보다는 중요하지 않은 경우라도 섬유의 흡상 특성은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섬유는 거대구조물의 섬유 성분으로서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섬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Various types of fiber materials can be used as reinforcing members in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form of fibrous material suitable for use in conventional absorbent articles is also suitable for use in the macrostructures herein. Specific examples of such fibrous materials include cellulosic fibers, modified cellulosic fibers, rayon, polypropylene and polyester fib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DACRON), hydrophilic nylon (HYDROFIL), and the like. Other fibrous material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besides some of the materials mentioned abov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hydrophilized hydrophobic fibers, such as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polyacrylics, polyamides, polystyrenes. Surfactant-treated or silica-treated thermoplastic fibers derived from polyurethane, etc. Indeed, hydrophilicity is not good on its own and thus does not provide sufficient absorbent capacity webs useful in conventional absorbent structures. The hydrophobic fibers that have been oxidized, due to their excellent wicking ability, This is because, in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 to pull fluid up and lack gel blocking properties, even if they are less important than the absorbent capacity of the fiber material itself. In general, synthetic fibers are preferred for use herein as the fiber component of macrostructures, more preferably polyolefin fibers, preferably polyethylene fibers.

본원의 특정 거대구조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밖의 셀룰로오스성 섬유 물질은 화학적으로 강화된 셀룰로오스성 섬유이다. 바람직한 화학적으로 강화된 셀룰로오스성 섬유는, 가교결합제를 사용하여 셀룰로오스성 섬유를 내부적으로 가교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강화되고, 트위스트되고 컬링(curling)화된 셀룰로오스성 섬유이다. 본원의 친수성 섬유 물질로서 유용한 적합한 강화되고 트위스트되고 컬링화된 섬유는 1989년 12월 19일자로 딘(De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88,093 호, 1989년 12월 26일자로 헤론(Herr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89,595 호, 1989년 12월 26일자로 쉐겐(Schogge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89,596 호, 1989년 12월 26일자로 부본(bourb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89,597 호, 및 1990년 2월 6일자로 무어(Moor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98,647 호에 기술되어 있다.Other cellulosic fiber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certain macrostructures herein are chemically reinforced cellulosic fibers. Preferred chemically strengthened cellulosic fibers are reinforced, twisted and curled cellulosic fibers that can be prepared by internally crosslinking the cellulosic fibers using a crosslinking agent. Suitable reinforced, twisted and curled fibers useful as the hydrophilic fibrous material herein are described in US Pat. No. 4,888,093 to Dean et al. On December 19, 1989, Herron et al. On December 26, 1989. US Patent No. 4,889,595, issued to Schögen et al. On December 26, 1989, US Patent No. 4,889,596 to Bourbon et al., Issued on December 26, 1989, and US Pat. , And US Patent No. 4,898,647 to Moore et al. On February 6, 1990.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섬유상에 침착된 액체로 습윤화된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을 설명하는 용어이다(즉, 물 또는 수성 체액이 섬유가 실제로 유체를 흡수하거나 또는 겔을 형성하던지에 상관없이 쉽게 섬유의 표면상에 퍼지는 것을 지칭함). 물질의 습윤에 대한 당해 분야의 설명은, 포함된 액체 및 고형물의 접촉각 및 표면장력의 용어로 소수성(및 습윤성)을 정의한다. 이것은 문헌['접촉각, 습윤성 및 접착성(Contact Angle, Wettability, and Adhesion)'이라는 명칭의, American Chemical Society Publication, 로버트 에프. 골드(Robert F. Gould)에 의해 편집 및 1964년 판권을 소유함]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은 액체와 섬유 또는 표면 사이의 접촉각이 90°이하이거나, 액체가 섬유의 표면을 관통함과 동시에 퍼지는 경향이 있는 경우, 또는 둘다의 조건에 일반적으로 부합되는 경우, 액체에 의해 습윤된다고 한다.The term 'hydrophilic' is used to describe the surface of a fiber or fiber that has been wetted with a liquid deposited on the fiber (i.e., whether water or aqueous body fluid readily absorbs fluid or forms a gel, regardless of whether the fiber actually absorbs fluid or forms a gel). Spreading on the surface of the fiber). Descriptions in the art of wetting of materials define hydrophobicity (and wettability) in terms of the contact angle and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s and solids involved. This is described in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Publication, Robert F., entitled 'Contact Angle, Wettability, and Adhesion'. Edited by Robert F. Gould and all rights reserved in 1964]. The fiber or surface of the fiber is controlled by the liquid if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liquid and the fiber or surface is less than 90 °, or if the liquid tends to spread at the same time as it penetrates the surface of the fiber, or if both conditions are generally met. It is said to be wet.

섬유 물질은, 섬유를 가교결합제와 함께 처리 용액에 도입하거나, 처리 용액에 적용시키기 전에 전구체 입자와 혼합하거나, 섬유 물질을 처리 용액/전구체 입자 혼합물에 첨가함으로써, 거대구조물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 물질을 처리 용액/전구체 입자 혼합물과 함께 혼합할 수 있다. 섬유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용액과 전체적으로 혼합되어 섬유 물질이 거대구조물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산된다. 또한,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전구체 입자의 중합체 물질과 부가물을 반응시키기 전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ber material can be added to the macrostructure by introducing the fiber with the crosslinker into the treatment solution, mixing with the precursor particles prior to application to the treatment solution, or adding the fiber material to the treatment solution / precursor particle mixture. For example, the fiber material can be mixed with the treatment solution / precursor particle mixture. The fibrous material is preferably mixed throughout the solution so that the fibrous material is uniformly dispersed throughout the macrostructure. In addition, the fibers are preferably added prior to reacting the adduct with the polymeric material of the precursor particles.

F. 선택적 기재층F. Optional Substrate Layer

요구되는 경우,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선택적 기재에 부착시킬 수 있다(1993년 10월 22일자로 출원된 슈에(Hsueh) 등의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원 제 142,253 호 참고). 기재는 (1) 거대구조물에 의해 흡수되는 유체의 분산을 개선시키고 (2) 부가적 일체성을 특히 흡수성 입자가 유체를 흡수한 후에 팽윤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제공하여 거대구조물을 지지함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재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수의 물질,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성 섬유, 부직웹, 티슈웹, 포움,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 천공된 중합체성 웹, 합성 섬유, 금속계 호일(foil), 탄성중합체 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기재 물질은 유체를 분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대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셀룰로오스성 물질 또는 셀룰로오스성 작용기를 갖는 물질로 구성된다. 유체를 분배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기재로는 셀룰로오스성 물질, 섬유상 웹, 셀룰로오스성 섬유상 웹, 고형 포움, 셀룰로오스성 포움 및 폴리비닐 알콜 포움이 있다. 거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재로는 셀룰로오스성 물질, 섬유 웹, 부직 웹, 직물, 셀룰로오스성 섬유상 웹, 고형 포움, 셀룰로오스성 포움 및 폴리비닐 알콜 포움을 들 수 있다.If desired, 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may be attached to the optional substrate (see co-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142,253, filed Oct. 22, 1993). The substrate includes (1) improving the dispersion of the fluid absorbed by the macrostructure and (2) providing additional integrity, particularly at the point where the absorbent particles begin to swell after absorbing the fluid, thereby supporting the macrostructure. It can provide a number of functions. The substrate can be a number of materials known in the art, such as cellulosic fibers, nonwoven webs, tissue webs, foams, polyacrylate fibers, perforated polymeric webs, synthetic fibers, metallic foils, elastomers, and the like. It can be prepared from. Most of these base materials can distribute fluids as well as support large structures. Preferably, the substrate is composed of a cellulosic material or a material having cellulosic functional groups. Preferred substrates for dispensing fluids include cellulosic materials, fibrous webs, cellulosic fibrous webs, solid foams, cellulosic foams and polyvinyl alcohol foams. Preferred substrates for supporting the macrostructures include cellulosic materials, fibrous webs, nonwoven webs, textiles, cellulosic fibrous webs, solid foams, cellulosic foams and polyvinyl alcohol foams.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이고 유연하여, 생성된 흡수성의 거대구조물과의 복합체에도 이러한 특성을 부여한다. 기재는 실질적으로 탄성이며 비-연신성이거나 또는 기재의 표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다양한 정도로 연신가능하거나 변형가능하다. 기재 물질의 두께 및 기본 중량(기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기재의 형태 및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기재는 적층물내에 특정 기재 물질의 다수의 개별적인 시이트 또는 겹 또는 하나 이상의 기재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합한 기재로는, 두께가 약 0.02 내지 약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0.8㎜이고, 기본 중량이 약 5 내지 약 100g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60g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gm/㎡인 바운티(BOUNTY, 등록상표) 시이트이다. 그밖의 적합한 기재로는, 건조 압축 두께가 약 0.5 내지 약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8 내지 약 2.0㎜이고, 습윤 팽창 두께가 약 0.8 내지 약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이고, 기본중량이 약 50 내지 약 2,000g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1,000gm/㎡인 셀룰로오스성 포움이다.The substrate is preferably flexible and flexible, thus imparting these properties to the composite with the resulting absorbent macrostructure. The substrate is substantially elastic and non-stretchable or stretchable or deformable to varying degrees with respect to forces appli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thickness and basis weight (weight per unit area of the substrate) of the substrate material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ubstrate and the desired properties. The substrate may comprise multiple individual sheets or plies of the particular substrate material or one or more substrate layers in the stack. Such suitable substrates include a thickness of about 0.02 to about 1.2 mm, more preferably about 0.3 to about 0.8 mm, a basis weight of about 5 to about 100 gm / m 2, more preferably about 10 to about 60 gm / m 2, More preferably, it is a BOUNTY® sheet that is about 15 to about 40 gm / m 2. Other suitable substrates include a dry compressive thickness of about 0.5 to about 3.0 mm, more preferably about 0.8 to about 2.0 mm, a wet expansion thickness of about 0.8 to about 6.0 mm, more preferably about 1.0 to about 5.0 Mm and a cellulosic foam having a basis weight of about 50 to about 2,000 gm / m 2, more preferably about 100 to about 1,000 gm / m 2.

거대구조물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기재는, 전형적으로는, 건조 인장 강도가 약 500 내지 약 8,000gm/인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3,000gm/인치이고, 습윤 인장 강도가 약 200 내지 약 5,000gm/인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1,000gm/인치이고, 습윤 파열 강도가 약 100 내지 약 2,000gm,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1,000gm인 기재이다. 이러한 형태의 바람직한 기재로는, 1976년 4월 2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53,638 호, 1984년 9월 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9,735 호, 1984년 8월 2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8,428 호 및 1991년 1월 22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86,882 호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페이퍼 타월 및 티슈와 같은 셀룰로오스성 섬유상 웹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그밖의 바람직한 기재층으로는 셀룰로오스성 포움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셀룰로오스성 섬유상 웹에 비해 보다 긴 흡상 거리에서 보다 높은 흡상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성 포움은 그의 유체 흡상 및 분배 특성을 추가로 개선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압출된 상태이다. 적합한 셀룰로오스성 포움은 공지된 방법에 의한 재생된 레이온 섬유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것은 1988년 11월 30일자로 공개된 우치다(Uchida) 등의 유럽 특허출원 제 293,208 호에 기술되어 있다.Substrates suitable for supporting macrostructures typically have a dry tensile strength of about 500 to about 8,000 gm / inch, more preferably about 1,000 to about 3,000 gm / inch, and a wet tensile strength of about 200 to about 5,000 and gm / inch, even more preferably about 400 to about 1,000 gm / inch, and the wet burst strength is about 100 to about 2,000 gm, even more preferably about 200 to about 1,000 gm. Preferred substrates of this type include U.S. Patent No. 3,953,638, issued April 27, 1976, U.S. Patent No. 4,469,735, issued September 4,1984, U.S. Patent No. Cellulosic fibrous webs, such as paper towels and tissues, as disclosed in US Pat. No. 4,986,882, issued 4,468,428 and 22 January 1991. Other preferred substrate layers of this type include cellulosic foams, as they provide higher wicking rates at longer wicking distances than cellulosic fibrous webs. Preferably, the cellulosic foam is extruded to be sufficient to further improve its fluid uptake and dispensing properties. Suitable cellulosic foams can be made from recycled rayon fibers by known methods, which are described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293,208 to Uchida et al. Published November 30, 1988.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다수의 화학적, 물리적 방법 및 접착제로 기재에 부착될 수 있다. 기재를 거대구조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는 아교 및 고온 용융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전구체 흡수성 입자를 기재상에 침착시키고, 침착된 입자를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처리하고,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된 입자/기재를 경화시킴으로써 기재와 거대구조물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셀룰로오스성 기재(예: 페이퍼 타월)를 사용한다. 이어, 전구체 흡수성 입자를 이러한 셀룰로오스성 기재에 침착시킨다.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에피클로로하이드린-폴리아미드/폴리아민 습윤 강성 수지, 예를 들면 키멘을 포함하는 처리 용액을 셀룰로오스성 기재 및 흡수체상에 적용(예를 들면 분사)하였다. 이어, 처리된 기재/입자를 다공성 거대구조물이 셀룰로오스성 기재에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주위 온도에서 경화시켰다.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can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by a number of 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and adhesives. Adhesives for attaching the substrate to the macrostructure include glue and hot melt adhesives. It is desirable to bond the substrate and the macrostructure by depositing the precursor absorbent particles on the substrate, treating the deposited particles with a solution comprising a crosslinker, and then curing the treated particles /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cellulosic substrates such as paper towels are used. The precursor absorbent particles are then deposited on this cellulosic substrate. A treatment solution comprising an amino-epichlorohydrin adduct, preferably a polymerizable epichlorohydrin-polyamide / polyamine wet stiff resin, for example chimene, is applied on the cellulosic substrate and the absorbent (eg spraying ). The treated substrate / particles were then cured at ambient temperature such that the porous macrostructures were formed by bonding to the cellulosic substrate.

G. 가요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라텍스를 이용한 거대구조물의 처리 방법G. Method of treating large structures using latex to improve flexibility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성 거대구조물(선택적 기재가 있거나 없음)을 특정 라텍스로 처리할 수 있다. '라텍스'는 수성상내의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 또는 유화액을 지칭하며, 또한 유화 중합체로서 언급될 수 있다. '소결'은 라텍스와 같은 현탁된 액체 유화액 또는 분산액의 건조시 일어나는 융합 기작을 의미하고; '소결'은 '필름 성형'과 동의어이다. 이들 라텍스를 이용한 거대구조물의 처리는 거대구조물, 특히 시이트의 형태이거나 심지어 페이퍼 타월과 같은 기재에 부착된 거대구조물의 가요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선된 가요성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 처리는 이들 거대구조물을 포함하는 응집체의 입자 사이의 결합을 개선시킨다. 이는 거대구조물의 건조 및 습윤 일체성을 개선시킨다. 라텍스의 존재는, 또한 이들 거대구조물이 부직물, 예를 들면 흡수 제품(예를 들면 기저귀)의 배면시이트에 열 결합하게한다.Optionally, the absorbent macrostructure (with or without optional substrate) can be treated with a specific latex. 'Latex' refers to an aqueous dispersion or emulsion of polymer particles in an aqueous phase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emulsion polymer. 'Sinter' refers to a fusion mechanism that occurs upon drying of a suspended liquid emulsion or dispersion, such as latex; 'Sinter' is synonymous with 'film forming'. The treatment of macrostructures with these latexes has been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flexibility of macrostructures, especially macrostructures in the form of sheets or even attached to substrates such as paper towels. In addition to improved flexibility, the latex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binding between the particles of aggregates comprising these macrostructures. This improves the drying and wetting integrity of the macrostructures. The presence of the latex also allows these macrostructures to thermally bond to the backsheet of nonwovens, such as absorbent articles (eg diapers).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라텍스는 특정 성질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라텍스의 한가지 주요한 성질은 이들이 소결된 후 주위 온도 이하에서 '고무성'인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에 유용한 라텍스는 약 25℃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라텍스는 약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의 Tg를 갖는다. 이들 라텍스의 다른 중요한 성질은 이들이 소결될 수 있는 온도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라텍스는 주위 온도 이하에서 소결될 필요가 있다. 달리 말하자면, 이들 라텍스가 약 25℃ 이하의 온도에서 소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온도에서 소결되는 라텍스의 능력은 거대구조물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들 라텍스의 다른 중요한 성질은 이들의 친수성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결될 때 라텍스가 적어도 약간은 친수성이어야 한다. '친수성'은 물질 또는 물질의 표면이 이들 물질에 침착된 수성 유체(예를 들면 수성 체액)에 의해 습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친수성 및 습윤성은 전형적으로 포함된 유체 및 고형물의 접촉각 및 표면장력의 용어로 전형적으로 정의된다. 이는 문헌['접촉각, 습윤성 및 접착성'이라는 명칭의 American Chemical Society publication, 로버트 에프. 골드에 의해 편집, 1964]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It has been found that suitable latexe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 to have certain properties. One major property of these latexes is that they are 'rubber' below ambient temperature after they are sintered. In other words, latex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bout 25 ° C. or less. Preferably these latexes have a Tg of about 10 ° C. or less, more preferably about −10 ° C. or less. Another important property of these latexes i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y can be sintered. Latex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be sintered below ambient temperature.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hat these latexes be sintered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 C. or less. The ability of the latex to sinter at ambient temperature is important to prevent the macrostructures from drying out. Another important property of these latexes is their hydrophilicity.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x should be at least slightly hydrophilic when sintered. 'Hydrophilic' means that the substance or surface of the substance may be wetted by an aqueous fluid (e.g. aqueous body fluid) deposited on these substances. Hydrophilicity and wettability are typically defined in terms of the contact angle and surface tension of the fluids and solids that are typically included. This is described in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publication, Robert F., entitled 'Contact angle, wettability and adhesion'. Edited by Gold, 1964.

본 발명에서 유용한 라텍스는 전형적으로 특정 올레핀(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이 유화 중합은 생성된 라텍스를 임의의 다양한 음이온, 비이온, 양이온, 쯔비터이온 및/또는 양쪽성 유화제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유화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아릴알콕시 설페이트, 알킬아릴설포네이트, 및 알킬- 및 알칼아릴-폴리글리콜 에테르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늄 염; 옥시에틸화된 지방산 알콜 또는 옥시에틸화된 알킬페놀, 및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 유기 또는 무기산과의 1급, 2급 또는 3급 지방산 아민 또는 지방산 아민 옥시에틸레이트의 양이온 부가물 및 4급 알킬 암모늄 계면활성제; 및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한다. 올레핀 단량체는 단일 유형의 단량체이거나 또는 상이한 올레핀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고, 즉 수성 상에서 분산되거나 유화된 공중합체 입자를 형성한다. 본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라텍스는 바람직하게는 중성이거나 이온전하가 없고, 즉 라텍스는 성질상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이 아니다.Latexe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ypically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certain olefi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This emulsion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by conventional methods of stabilizing the resulting latex with any of various anions, nonions, cations, zwitterions and / or amphoteric emulsifiers, wherein the emulsifiers are alkyl sulfates, alkylaryls Alkali metal and / or ammonium salts of alkoxy sulfates, alkylarylsulfonates, and alkyl- and alkaliaryl-polyglycol ether sulfates; Block copolymers of oxyethylated fatty alcohols or oxyethylated alkylphenols and ethylene oxide and propylene oxide; Cationic adducts of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fatty acid amines or fatty acid amine oxyethylates with organic or inorganic acids and quaternary alkyl ammonium surfactants; And alkylamidopropylbetaines. The olefin monomer may be a single type of monomer or a mixture of different olefin monomers, ie form copolymer particles dispersed or emulsified in the aqueous phase. Latexes suitable for use herein are preferably neutral or free of ionic charge, ie latexes are not cationic or anionic in nature.

적합한 라텍스는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C2내지 C4알킬 및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단량체로부터 유화 중합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단량체는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C1내지 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또한 적합한 단량체는 전술한 C2내지 C4알킬 및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C1내지 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단량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유화액이다. 보다 바람직한 라텍스는 몬위닐 (MONWINYL) 963 (훽스트 셀라니즈) 및 로플렉스(RHOPLEX) E 1845(로훔 앤드 하스(Rohm & Haas))로 시판중인 것을 포함한다.Suitable latexes are C 2 to C,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ethyl acrylate and mixtures thereof. It can be prepared through an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from an olefinic monomer including C 4 alkyl and hydroxy alkyl acrylate. Suitable monomers also include 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C 1 to C 4 alkyl or hydroxy alkyl methacrylat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cetate and mixtures thereof. Suitable monomers also include C 2 to C 4 alkyl and hydroxy alkyl acrylates described above; And mixtures of C 1 to C 4 alkyl or hydroxy alkyl methacrylates. Particularly suitable monomer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mulsions of polymethyl methacrylate. More preferred latexes include those commercially available as MONWINYL 963 (Hust Celanese) and RHOPLEX E 1845 (Rohm & Haas).

개선된 가요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제조할 때, 거대구조물을 이들 라텍스의 유효량으로 처리하여 흡수성 입자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한다. '유효량'은 다양한 인자(포함된 특정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 사용된 특정 라텍스, 목적하는 가요성의 이점 및 그밖의 인자들)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대구조물을 약 2중량%의 라텍스로 처리하는 것이 거대구조물이 뚜렷하게 개선된 가요성을 갖는 데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거대구조물을 효과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중량%의 라텍스로 처리할 수 있다.When producing th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mproved flexibility, the macrostructures are treated with an effective amount of these latexes to co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bsorbent particles. The 'effective amount' will depend on various factors (the specific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included, the specific latex used, the desired flexibility benefits, and other factors). More preferably, treating the macrostructure with about 2% by weight of latex will be sufficient for the macrostructure to have significantly improved flexibility. However, the macrostructures can be effectively treated with about 1 to about 10 weight percent, more preferably about 2 to about 5 weight percent latex.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통상적인 기재에 첨가제를 적용시키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라텍스로 처리할 수 있다. 적합한 방법은 분사법, 인쇄법(예를 들면, 플렉서 인쇄법(flexographic printing)), 코팅법(예를 들면, 그래비어(gravure) 코팅법), 침지법, 솔질, 포우밍 또는 이들 적용 기술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라텍스를 미리 성형된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 위에 분사한 후, 주위 온도(예를 들면, 약 25℃ 이하)에서 소결시킨다. 추가로, 라텍스 처리는 개선된 입자 고정화를 제공하여 보다 안정한 거대구조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can be treated with latex by any of a variety of methods suitable for applying additives to conventional substrates. Suitable methods are spraying, printing (e.g., flexographic printing), coating (e.g., gravure coating), dipping, brushing, foaming or these application techniques. It includes a combination of. Typically, the latex is sprayed onto a preformed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and then sintered at ambient temperature (eg, about 25 ° C. or less). In addition, latex treatment may be required to provide improved particle immobilization to form more stable macrostructures.

미리 성형된 거대구조물에 라텍스를 분사하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도 또한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라텍스로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한 가지는 라텍스와 처리되지 않은 전구체 흡수성 입자를 혼합한 후, 상기 라텍스/입자 혼합물을 가교결합제 및 임의의 다른 선택적인 성분(예를들면, 글리세롤)을 함유한 용액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어, 상기 처리된 라텍스/입자 혼합물을 주위 온도(예를 들면, 약 25℃ 이하)에서 경화시켜 개선된 가요성을 갖는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생산한다.In addition to spraying latex on preformed macrostructures, other methods may also be used when treating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with latex. One of these methods involves mixing the latex with the untreated precursor absorbent particles and then treating the latex / particle mixture with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er and any other optional ingredients (eg glycerol). do. The treated latex / particle mixture is then cured at ambient temperature (eg, up to about 25 ° C.) to produce 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with improved flexibility.

또 다른 방법은 얇은 필름으로서 라텍스를 주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 전구체 흡수성 입자를 상기 주조된 필름에 침착시킬 수 있다. 이어, 침착된 입자를 갖는 주조된 필름을 가교결합제 및 임의의 다른 선택적인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분사에 의해)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입자/라텍스 필름을 주위 온도(약 25℃ 이하)에서 경화시켜 개선된 가요성을 갖는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생산한다. 또한, 소결된 라텍스 필름은 거대구조물에 대해 지지 기재로 작용하여 건성 및 특히 습윤 일체성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method involves casting latex as a thin film. Precursor absorbent particles may then be deposited on the cast film. The cast film with deposited particles is then treated (by spraying) with a solution comprising a crosslinker and any other optional components. The treated particles / latex films are cured at ambient temperature (up to about 25 ° C.) to produc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with improved flexibility. In addition, the sintered latex film can serve as a support substrate for the macrostructures to provide dryness and especially wet integrity.

그러나 또 다른 방법은 용기안에서 라텍스를 가압하여 포움의 형태로 전구체 입자에 취입하거나 분사한 후, 압축롤 등으로 라텍스를 균일하게 펴는 방법을 포함한다. 취입되거나 분사된 포움 라텍스는, 매우 다공성이어서 거대구조물의 흡수성을 추가로 개선시키도록 하는 다공성 섬유형태로 어느 정도까지는 존재한다. 상기 유형의 라텍스 처리된 거대구조물(거대구조물 안의 전구체 입자는 다공성 라텍스 섬유로 팽윤한다)은 개선된 구조적 일체성을 가진다.However, another method includes pressurizing the latex in the container to blow or spray the precursor particles in the form of foam, and then uniformly spread the latex with a compression roll or the like. Blown or sprayed foam latexes are, to some extent, in the form of porous fibers that are highly porous to further improve the absorbency of the macrostructure. Latex treated macrostructures of this type (the precursor particles in the macrostructures swell into porous latex fibers) have improved structural integrity.

III.거대구조물의 용도 III. Use of large structures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많은 용도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대구조물은 포장 용기, 약품 운반 장비, 상처 소독 장비, 화상 처리 장비, 이온 교환 칼럼 물질, 건축 자재, 농업 또는 화훼용 물질(예: 종자 시이트 또는 수분 보유성 물질) 및 산업적 용도(예: 슬러지 또는 오일 탈수제, 이슬 형성 방지 물질, 건조제 및 습도 조절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 many applications. For example, macrostructures can be used in packaging containers, drug delivery equipment, wound disinfection equipment, image processing equipment, ion exchange column materials, building materials, agricultural or floral materials (such as seed sheets or water-retaining materials) and industrial uses ( For example, sludge or oil dehydrating agents, anti- dew forming substances, desiccants and humidity control substances).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의 독특한 흡수성에 의해, 이 거대구조물은 흡수 제품, 특히 일회용 흡수 제품의 흡수 코어로서 사용하는데 적당하다. '흡수 제품'은 신체 분비물을 흡수 및 보유하는 제품을 지칭하고, 보다 특히 착용자의 신체에서 방출하는 다양한 분비물을 흡수 및 보유하도록 착용자의 신체를 향해 또는 신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품을 지칭한다. 추가로, '일회용' 흡수 제품은 한번 사용한 후에는 폐기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즉, 흡수 제품의 특정 물질 또는 모든 물질이 재활용, 재사용 또는 퇴비화될 수 있지만, 원래의 흡수 제품은 대체로 세탁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흡수 제품으로 복구 또는 재사용되지 않는다). 일회용 흡수 제품인 기저귀(20)의 바람직한 양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기저귀'란 일반적으로 유아 및 실금자가 하체 주위에 착용하는 가멘트를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다른 흡수 제품(실금자용 브리프, 실금자용 패드, 배변연습용 팬티, 기저귀 삽입물, 생리대, 화장용 티슈, 페이퍼 타월 등)에도 적용가능함을 주지하여야 한다.Due to the unique absorbency of th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rostructures are suitable for use as absorbent cores in absorbent articles, in particula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bsorbent product' refers to a product that absorbs and retains body secretions, and more particularly, refers to a product that is located towards or close to the wearer's body to absorb and retain various secretions released by the wearer's body. In addition, a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is intended to be discarded after one use (ie, certain substances or all substances in the absorbent product may be recycled, reused or composted, but the original absorbent product is generally washed or otherwise absorbed). Product is not recovered or reus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aper 20, which is a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is shown in FIG. A 'diaper' generally refers to a garment worn by the infant and incontinence around the lower bod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absorbent articles (incontinence briefs, incontinence pads, training panties, diaper inserts, sanitary napkins, cosmetic tissues, paper towels, etc.).

도 3은 본 발명의 기저귀(20)의 펼쳐진 상태(즉, 모든 탄성적으로 유도된 수축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기저귀(20)의 구조를 보다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잘라낸 구조의 일부분 및 착용자에 접촉되는 기저귀(20)의 일부분이 관찰자를 향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기저귀(2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38), 상면시이트(38)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40),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42), 탄성 부재(44) 및 테이프 탭 패스너(46)를 포함한다. 상면시이트(38), 배면시이트(40), 흡수 코어(42) 및 탄성 부재(44)는 잘 알려진 다양한 배치 구조로 조립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기저귀 배치 구조는 일반적으로 1975년 1월 14일자로 뷰엘(Buel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860,003 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르게는, 본원에 바람직한 일회용 기저귀의 구조는 또한 1989년 2월 28일자로 아지즈(Aziz)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08,178 호, 1987년 9월 22일자로 로슨(Law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95,278 호 및 1989년 3월 28일자로 포어만(Fore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16,025 호에도 개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folded state (ie, all elastically induced shrinkage of the diap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cut out structure to more clearly show the structure of the diaper 20; A portion of the diaper 20 in contact with the wearer is shown towards the viewer. The diaper 20 shown in FIG. 3 is preferably a liquid permeable top sheet 38, a liquid impermeable backsheet 40 connected to the top sheet 38, between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sheet 40. And an absorbent core 42, an elastic member 44, and a tape tab fastener 46. The top sheet 38, the back sheet 40, the absorbent core 42 and the elastic member 44 can be assembled in a variety of well known arrangements, but the preferred diaper placement structure is generally Buell dated January 14, 1975. US Pat. No. 3,860,003 to Buell. Alternatively, the preferred construction of disposable diapers herein is also described in U.S. Patent No. 4,808,178 to Aziz et al. On Feb. 28, 1989, and US Pat. 4,695,278 and US Pat. No. 4,816,025 to Foreman on March 28, 1989.

도 3에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가 같이 연장하고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42)보다 보다 큰 길이 및 폭 크기를 갖는 기저귀(20)의 바람직한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면시이트(38)는 배면시이트(40)와 연결되어 있고, 배면시이트(40) 위에 겹쳐놓여져서 기저귀(20)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주변부는 기저귀(20)의 바깥쪽 둘레 또는 가장자리를 한정한다. 주변부는 말단 가장자리(32) 및 종방향 가장자리(30)를 포함한다.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aper 20 in which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extend together and generally have a length and width size that is larger than the absorbent core 42. The top sheet 38 is connected to the back sheet 40 and is superimposed on the back sheet 40 to form the periphery of the diaper 20. The perimeter defines the outer perimeter or edge of the diaper 20. The perimeter includes a distal edge 32 and a longitudinal edge 30.

상면시이트(38)는 유연하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추가로, 상면시이트(38)는 유체가 상면시이트의 두께를 통해 쉽게 투과할 수 있도록 액체 투과성이다. 적합한 상면시이트(38)는 다공성 포움, 망상 포움,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천연섬유(예를 들면, 목재섬유 또는 면섬유), 합성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면시이트(38)가 소수성 물질로 제조되어 흡수 코어(42)에서 착용자의 피부와 액체를 단리시킬 수 있다.The top sheet 38 is flexible, soft to the touch, and non-irritating to the wearer's skin. In addition, the topsheet 38 is liquid permeable such that fluid can easily permeate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topsheet. Suitable topsheets 38 are synthetic with porous foams, reticulated foams, perforated plastic films, natural fibers (eg wood fibers or cotton fibers), synthetic fibers (eg polyester or polypropylene fibers) or natural fibers. It can be made from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combinations of fibers. Preferably, the topsheet 38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to isolate the wearer's skin and liquid at the absorbent core 42.

특히 바람직한 상면시이트(38)는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의 헤르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Hercules, Inc.)에서 시판중인 헤르큘레스 타입 151(Hercules type 151)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약 1.5데니어를 갖는 표준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한다. '표준 길이 섬유'란 적어도 약 15.9㎜(0.62 인치)의 길이를 갖는 섬유를 지칭한다.Particularly preferred topsheet 38 is approximately 1.5 denier, such as Hercules type 151 polypropylene available from Hercules, Inc., Wilmington, Delaware. Polypropylene fibers having standard length. 'Standard length fiber' refers to a fiber having a length of at least about 15.9 mm (0.62 inches).

상면시이트(38)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제조 기술이 있다. 예를 들면, 상면시이트(38)는 직물, 부직물, 스펀 결합물, 카딩된 물질(carded) 또는 그밖의 다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상면시이트는 당해 제조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공지된 수단으로 카딩되고 열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면시이트(38)는 1m2당 약 18 내지 약 25g의 중량, 기계 방향으로 1cm당 약 400g 이상의 최소 건성 인장 강도 및 횡기계 방향으로 1cm당 약 55g 이상의 습윤 인장 강도를 갖는다.There are many fabrication techniques that can be used to make the topsheet 38. For example, topsheet 38 may be woven, nonwoven, spun bond, carded or otherwise. Preferred topsheets are carded and thermally bonded by mean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Preferably, topsheet 38 has a weight of about 18 to about 25 g per m 2 , a minimum dry tensile strength of at least about 400 g per cm in the machine direction and a wet tensile strength of at least about 55 g per cm in the transverse machine direction.

배면시이트(40)는 액체에 불투과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제조하지만, 다른 가요적인 액체 불투과성 물질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배면시이트(40)는 흡수 코어(42)에서 흡수되어 보유된 분비물이 침대 시이트 및 언더가멘트와 같이 기저귀(20)와 접촉하는 제품이 젖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배면시이트(40)는 약 0.012㎜(0.5mil) 내지 약 0.051㎝(2.0mils)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이지만, 다른 가요적 액체 불투과성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가요성 물질'이란 유연하여 착용자의 신체의 일반적인 형태 및 윤곽에 쉽게 맞출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The backsheet 40 is impermeable to liquid and is preferably made from a thin plastic film, although other flexible liquid impermeable materials may also be used. The backsheet 40 prevents the secretions absorbed and retained by the absorbent core 42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iaper 20 such as bed sheets and undergarments. Preferably, backsheet 40 is a polyethylene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012 mm (0.5 mil) to about 0.051 cm (2.0 mils), although other flexible liquid impermeable materials may be used. 'Flexible material' refers to a material that is flexible and can easily fit into the general shape and contour of the wearer's body.

적합한 폴리에틸렌 필름은 몬산토 케미칼 코포레이션(Monsanto Chemical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되어 상표명 Film No. 8020으로 시판되고 있다. 배면시이트(40)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처리되고/처리되거나 매트(matte) 마무리되어 보다 천과 유사한 외형을 제공한다. 추가로, 배면시이트(40)에서 증기는 흡수 코어(42)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지만, 분비물은 배면시이트(40)를 통해 흘러나올 수 없다.Suitable polyethylene films are manufactured by Monsanto Chemical Corporation and are under the trade name Film No. It is marketed as 8020. The backsheet 40 is preferably embossed and / or matte finished to provide a more cloth-like appearance. In addition, vapor in the backsheet 40 can escape from the absorbent core 42, but secretions cannot flow out through the backsheet 40.

배면시이트(40)의 크기는 선택된 흡수 코어(42)의 크기 및 정확한 기저귀 디자인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배면시이트(40)는 전체 기저귀 주변부에서 적어도 약 1.3㎝ 내지 약 2.5㎝의 최소 거리로, 흡수 코어(42)보다 크게 연장되는 변형된 모래시계형을 갖는다.The size of the backsheet 40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selected absorbent core 42 and the exact diaper design.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cksheet 40 has a modified hourglass shape that extends larger than the absorbent core 42, with a minimum distance of at least about 1.3 cm to about 2.5 cm around the entire diaper perimeter.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연결한다. '연결한'이란 용어는 상면시이트(38)를 배면시이트(40)에 고착시켜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 및 상면시이트(38)를 중간 부재에 고착시키고 차례로 배면시이트(40)에 고착시켜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를 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배치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는 접착제와 같은 부착 수단(제시하지 않음)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부착 수단으로 기저귀 주변부에서 서로서로 직접적으로 고착된다. 예를 들면, 상면시이트(38)를 배면시이트(40)에 고착시키기 위해 접착제의 균일한 연속층, 접착제의 패턴화된 층 또는 접착제의 분리된 선 또는 점의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are connected in any suitable manner. The term " connected " refers to a structure that directly connects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by attaching the top sheet 38 to the back sheet 40, and the top sheet 38 to the intermediate member. It is fixed to the rear sheet 40 in turn and includes an arrangement structure indirectly connecting the upper sheet 38 and the rear sheet 40.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opsheet 38 and backsheet 40 are secured directly to each other at the periphery of the diaper by attachment means such as adhesive (not shown) or any other attachment mean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uniform continuous layer of adhesive, a patterned layer of adhesive, or an arrangement of discrete lines or dots of adhesive may be used to secure the top sheet 38 to the backsheet 40.

테이프 탭 패스너(46)를 전형적으로 기저귀(20)의 뒤쪽 허리밴드 부분에 적용시켜 착용자에 기저귀를 고정시키는 패스닝 수단을 제공한다. 테이프 탭 패스너(46)는 1974년 11월 19일자로 뷰엘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848,594 호에 개시된 패스닝 테이프와 같이,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 탭 패스너(46) 또는 다른 기저귀 패스닝 수단은 전형적으로 기저귀(20)의 코너 근처에 적용한다.Tape tab fasteners 46 are typically applied to the back waistband portion of the diaper 20 to provide fastening means for securing the diaper to the wearer. Tape tab fastener 46 may be any of those well known in the art, such as the fastening tape disclosed in US Pat. No. 3,848,594, issued November 19, 1974 to Buell. Such tape tab fasteners 46 or other diaper fastening means typically apply near the corner of the diaper 20.

탄성 부재(44)는 기저귀(20)의 주변부에 인접하여, 바람직하게는 각 종방향 가장자리(30)를 따라 놓여져서, 탄성 부재(44)가 기저귀(20)를 착용자의 다리 주위로 끌어당기고 고정시키게 한다. 다르게는, 탄성 부재(44)는 기저귀(20)의 한쪽 또는 양 말단 가장자리(32)에 인접하게 놓여져서 다리 커프스와 함께 또는 다리 커프스보다는 허리 밴드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적합한 허리 밴드는 1985년 5월 7일자로 키에비트(Kievi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15,59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탄성적으로 수축성인 탄성 부재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방법 및 장치는 1978년 3월 28일자로 뷰엘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81,301 호에 기술되어 있다.The elastic member 44 is placed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diaper 20, preferably along each longitudinal edge 30, such that the elastic member 44 pulls and fastens the diaper 20 around the wearer's leg. Let it be Alternatively, the elastic member 44 may be placed adjacent to one or both distal edges 32 of the diaper 20 to provide a waist band with or rather than a leg cuff. For example, suitable waist bands are disclosed in US Pat. No. 4,515,595, issued to Kievit et al. On May 7, 1985. Also, a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making disposable diapers having elastically shrinkable elastic members is described in US Pat. No. 4,081,301, issued March 28, 1978 to Buell.

탄성 부재(44)는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로 기저귀(20)에 고착되어, 일반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배치 구조로 효과적으로 기저귀(20)를 수축 또는 모아지게 한다. 탄성 부재(44)는 적어도 2개의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로 고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20)가 펼쳐진 상태에 있는 동안, 탄성 부재(44)는 신장하여 고착할 수 있다. 다르게는, 기저귀(20)가 예를 들면,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탄성 부재(44)가 풀리지 않은 또는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여 고착되고 연결된다.The elastic member 44 is secured to the diaper 20 in an elastically retractable state, thereby effectively contracting or gathering the diaper 20 in a generally unrestricted arrangement. The elastic member 44 can be secured in an elastically retractable state in at least two ways. For example, while the diaper 20 is in the unfolded state, the elastic member 44 can be stretched and fixed. Alternatively, while the diaper 20 is in a contracted state, for example, by forming a pleat, the elastic member 44 is present in the unrolled or unstretched state to be fixed and connected.

도 3에서 도시한 양태에서, 탄성 부재(44)는 기저귀(20) 길이의 일부를 따라 신장한다. 다르게는, 탄성 부재(44)는 기저귀(20)의 전체 길이 또는 탄성적으로 수축적인 선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길이로 신장할 수 있다. 탄성 부재(44)의 길이는 기저귀 디자인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elastic member 44 extends along a portion of the diaper 20 length. Alternatively, the elastic member 44 may extend to the full length of the diaper 20 or any other length suitable for providing an elastically shrinking line.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44 is determined by the diaper design.

탄성 부재(44)는 다양한 배치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44)의 폭은 약 0.25㎜(0.01 인치) 내지 약 25㎜(1.0 인치)로 또는 그 이상으로 다양할 수 있다. 탄성 부재(44)는 탄성 물질의 단일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탄성 물질의 몇가지 평행한 또는 평행하지 않은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탄성 부재(44)는 직사각형이거나 곡선일 수 있다. 추가로, 탄성 부재(44)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몇가지 방법으로 기저귀에 고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44)를 기저귀(20)에 다양한 결합 패턴을 사용하여 초음파로 결합시키고, 열과 압력으로 밀봉시키거나 탄성 부재(44)를 단순히 기저귀(20)에 접착시킬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44 may be of various arrangement structures.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44 can vary from about 0.25 mm (0.01 inch) to about 25 mm (1.0 inch) or more. Elastic member 44 may comprise a single strand of elastic material and may also include several parallel or non-parallel strands of elastic material. Alternatively, the elastic member 44 may be rectangular or curved.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44 may be secured to the diaper in any of several way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44 may be ultrasonically coupled to the diaper 20 using various bonding patterns, sealed with heat and pressure, or the elastic member 44 may simply be attached to the diaper 20.

기저귀(20)의 흡수 코어(42)는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 사이에 위치한다. 흡수 코어(42)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예를 들면, 직사각형, 모래시계형, 비대칭형 등)로 다양한 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 코어(42)의 총 흡수 용량은 흡수 제품 또는 기저귀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액체 적재를 받아들이는 디자인에 상용성이어야 한다. 추가로, 흡수 코어(42)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유아에서 성인에 이르는 착용자에게 맞도록 다양할 수 있다. 흡수 코어(42)는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포함한다.The absorbent core 42 of the diaper 20 is located between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Absorbent core 42 can be made from a variety of materials in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eg, rectangular, hourglass, asymmetric, etc.). However, the total absorbent capacity of the absorbent core 42 must be compatible with designs that accept liquid loading,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or diaper. In addition, the size and absorbent capacity of the absorbent core 42 may vary to suit the wearer, from infant to adult. The absorbent core 42 comprises th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저귀(20)의 바람직한 양태는 직사각형의 흡수 코어(42)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42)는 바람직하게는 포장 웹(50) 및 포장 웹(50)안에 들어있는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52)을 포함하는 흡수 부재(48)로 이루어진다. 거대구조물(52)는 포장 웹(50)에 감싸여 전구체 입자가 상면시이트를 통해서 이동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상면시이트(38) 및 거대구조물(52) 사이에 첨가적인 액체 이동층을 제공하여 액체 포획을 개선시키고 다시 젖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포장 웹(50)이 절첩하여 거대구조물(52)를 둘러쌈으로써 제 1 층(54) 및 제 2 층(56)을 형성한다. 포장 웹(50)의 가장자리(58)를 접착제(59, 도시되어 있음), 초음파 결합 또는 열/압력 결합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으로 가장자리의 주변부를 밀봉하여 파우치(pouch)를 형성한다. 포장 웹(50)은 부직물 웹, 페이퍼 웹 또는 흡수성 물질(예를 들면, 티슈 페이퍼)의 웹을 비롯하여 많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웹(50)은 바람직하게는 상면시이트(38)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웹과 유사한 부직물 웹을 포함한다. 부직물 웹은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이어서 유체가 포장 웹(50)을 통해 빠르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층을 이루는 유사한 흡수 부재(적층물)는 1986년 3월 25일자로 크래머(Kram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8,068 호에 보다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aper 20 has a rectangular absorbent core 42. As shown in FIG. 4, the absorbent core 42 preferably consists of an absorbent member 48 comprising a wrapping web 50 and 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52 contained within the wrapping web 50. The macrostructure 52 is wrapped in the packaging web 50 to minimize the likelihood of precursor particles traveling through the topsheet and provide an additional liquid moving layer between the topsheet 38 and the macrostructure 52 to capture liquid. Improve and minimize wet again. As shown in FIG. 4, a single wrapping web 50 is folded to surround the macrostructure 52 to form the first layer 54 and the second layer 56. The edge 58 of the packaging web 50 is seal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edge by any conventional means such as adhesive 59 (shown), ultrasonic bonding or heat / pressure bonding to form a pouch. The packaging web 50 may include many materials, including nonwoven webs, paper webs, or webs of absorbent material (eg, tissue paper). The wrapping web 50 preferably comprises a nonwoven web similar to the web used to form the topsheet 38. The nonwoven web is preferably hydrophilic to allow fluid to pass quickly through the packaging web 50. A similar layered absorbent member (laminat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US Pat. No. 4,578,068 to Kramer et al. On March 25, 1986.

다르게는, 본 발명의 흡수 코어(42)는 하나 이상(다수)의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을 포함하는 층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흡수 코어 배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sorbent core 4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solely of one or more (multiple) of th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invention, or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layers comprising the macrostructures of the invention, or of the invention It can include any other absorbent core placement structure that includes one or more macrostructures.

도 5는 변형된 모래시계형 흡수 부재(60) 및 흡수 부재(60)에 인접한(즉, 흡수 부재(60)와 배면시이트(40) 사이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의 시이트(62)를 포함하는 이중층 흡수 코어(142)를 포함하는 기저귀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5 includes a modified hourglass-like absorbing member 60 and a sheet 62 of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adjacent to absorbent member 60 (ie, between absorbent member 60 and backsheet 40). Another aspect of a diaper including a bilayer absorbent core 142 is shown.

흡수 부재(60)는 분비된 액체를 재빨리 수집하고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이런 액체를 흡상에 의해 초기 접촉 지점으로부터 흡수 부재(60)의 다른 부분 및 거대구조물 시이트(62)로 이동시킨다. 흡수 부재(60)는 바람직하게는 웹 또는 섬유 물질의 배트(batt)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섬유 물질을 흡수 부재(60)에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성 섬유가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고 목재 펄프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흡수 부재(60)는 또한 특정 양의 미립자성 흡수성 중합체성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흡수 부재(60)는 예를 들면 약 50중량% 미만의 중합체성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흡수 부재(60)는 0 내지 약 8중량%의 미립자성, 흡수성 중합체성 조성물을 함유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흡수 부재(60)는 본원에 이전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학적으로 강화된 셀룰로오스성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흡수 부재(60)의 예시적 양태는 1987년 6월 16일자로 바이스만(Weism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73,402 호; 및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마니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에 기술되어 있다. 포획 대역이 분비된 액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포획하도록, 저장 대역 및 이 저장 대역보다 단위 영역당 보다 낮은 평균 밀도 및 보다 낮은 평균 기본중량을 갖는 포획 대역을 갖는 흡수 부재가 본원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The absorbent member 60 quickly collects and temporarily retains the secreted liquid and moves this liquid from the initial contact point to the other portion of the absorbent member 60 and the macrostructure sheet 62 by suction. Absorbent member 60 preferably comprises a batt of web or fibrous material. Various types of fibrous materials as disclosed herein can be used for the absorbent member 60. Cellulose fibers are generally preferred for use herein and wood pulp fibers are particularly preferred. Absorbent member 60 may also contain a specific amount of particulate absorbent polymeric composition. Absorbent member 60 may contain, for example, less than about 50% by weight polymeric composition.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absorbent member 60 contains 0 to about 8 weight percent of the particulate, absorbent polymeric compos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absorbent member 60 comprises chemically reinforced cellulosic fibers as previously disclosed here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absorbent member 6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US Pat. No. 4,673,402, issued to Weisman et al. On June 16, 1987; And US Pat. No. 4,834,735, issued May 30, 1989 to Alemani et al. For use herein, an absorbent member having a storage zone and a capture zone having a lower average density per unit area and a lower average basis weight than the storage zone to capture the secreted liqui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quickly. Particularly preferred.

흡수 부재(60)는 임의의 바람직한 모양, 예를 들면, 직사각형, 달걀형, 장방형, 비대칭형 또는 모래시계형일 수 있다. 흡수 부재(60)의 형태는 생성된 기저귀(120)의 일반적인 형태를 한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흡수 부재(60)는 모래시계형이다.Absorbent member 60 may be of any desired shape, for example rectangular, oval, rectangular, asymmetrical or hourglass shaped. The shape of the absorbent member 60 may define the general shape of the resulting diaper 120. In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absorbent member 60 is an hourglass.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 시이트(62)는 흡수 부재(60)와 동일한 크기일 필요는 없고 실제로 흡수 부재(60)의 상부 표면적보다 실질적으로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상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대구조물 시이트(62)는 흡수 부재(60)보다 작고 흡수 부재(60)의 약 0.10 내지 약 1.0배의 상부 표면적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대구조물 시이트(62)의 상부 표면적은 흡수 부재(60)의 약 0.10 내지 약 0.7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약 0.5배일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는 흡수 부재(60)는 거대구조물 시이트(62)보다 보다 작고 거대구조물 시이트(62)의 약 0.25 내지 약 1.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0.95배의 상부 표면적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는, 흡수 부재(60)는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학적으로 강화된 셀룰로오스성 섬유를 포함한다.The macrostructure sheet 62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the same size as the absorbent member 60 and may actually have an upper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larger or smaller than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absorbent member 60. As shown in FIG. 5, the macrostructure sheet 62 is smaller than the absorbent member 60 and has an upper surface area of about 0.10 to about 1.0 times that of the absorbent member 60. More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macrostructure sheet 62 will be about 0.10 to about 0.75 times, more preferably about 0.10 to about 0.5 times the absorbent member 60. In other embodiments, the absorbent member 60 is smaller than the macrostructure sheet 62 and has an upper surface area of about 0.25 to about 1.0 times, more preferably about 0.3 to about 0.95 times the macrostructure sheet 62. In another embodiment, the absorbent member 60 preferably comprises chemically reinforced cellulosic fibers as previously disclosed.

거대구조물 시이트(62)는 바람직하게는 기저귀에서 배면시이트(40) 및/또는 흡수 부재(60)에 대해 특정 위치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대구조물 시이트(62)는 거대구조물 시이트(62)가 분배된 액체를 포획하고 보유하기에 보다 효과적이도록 일반적으로 기저귀의 전방에 위치한다.The macrostructure sheet 62 is preferably located in a specific position relative to the backsheet 40 and / or absorbent member 60 in the diaper. More specifically, the macrostructure sheet 62 is generally located in front of the diaper so that the macrostructure sheet 62 is more effective in capturing and retaining the dispensed liquid.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다수의 거대구조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의 거대구조물 스트립 또는 시이트를 도 5에 도시된 단일 거대구조물 시이트(62)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흡수 층, 부재 또는 구조물을 흡수 코어(142)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의 흡수 부재를 거대구조물 시이트(62)와 배면시이트(40) 사이에 위치시켜, 액체를 거대구조물 시이트(62)를 통과시켜 흡수 코어(142) 또는 거대구조물 시이트(62)의 다른 부분으로 분배시키는 흡수 코어(142) 및/또는 층을 위한 보유능을 제공할 수 있다. 거대구조물 시이트(62)는 또한 다르게는 상면시이트(38)와 흡수 부재(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흡수 부재(60)상에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 plurality of macrostructures, preferably 2-6 macroscopic strips or sheets, may be replaced with a single macrostructure sheet 62 shown in FIG. In addition, additional absorbent layers, members or structures may be located in the absorbent core 142. For example, an additional absorbent memb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acrostructure sheet 62 and the backsheet 40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macrostructure sheet 62 to form another portion of the absorbent core 142 or the macrostructure sheet 62. Retention capacity may be provided for the absorbent core 142 and / or layers that dispense in portions. The macrostructure sheet 62 may alternatively be located on the absorbent member 60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38 and the absorbent member 60.

도 6은 직사각형 흡수 부재(260), 및 흡수 부재(260)와 배면시이트(40) 사이에 위치한 3개의 긴 평행하게 이격된 거대구조물 스트립(262)을 포함하는 다른 이중층 흡수 코어(242)를 포함하는 기저귀(220)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6 includes another bilayer absorbent core 242 that includes a rectangular absorbent member 260 and three long parallel spaced macroscopic strips 262 positioned between the absorbent member 260 and the backsheet 40. Another embodiment of the diaper 220 is shown.

흡수 부재(260)는 분비된 액체를 재빨리 수집하고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이런 액체를 초기 접촉지점에서 흡수 부재(260)의 다른 부분 및 거대구조물 스트립(262)으로 흡상시킴으로써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흡수 부재(260)는 바람직하게는 웹 또는 섬유 물질의 배트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전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학적으로 강화된 셀룰로오스성 섬유를 포함한다. 거대구조물 스트립(262)은 함께 분비된 액체를 포획 및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거대구조물 스트립(262)을 서로에 대해 이격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표면적이 분비된 액체를 포획 및 유지시키기위해 제공된다. 이는 특히, 이격된 거대구조물 스트립(262)이 분배된 액체를 포획하는 인접한 스트립의 능력을 방해하지 않고, 폭 방향으로 팽윤되고 팽창될 수 있으므로 사실이다.The absorbent member 260 acts to quickly collect and temporarily retain the secreted liquid and to move such liquid to the other parts of the absorbent member 260 and to the macrostructure strip 262 at the initial contact point. This absorbent member 260 preferably comprises a web or batt of fibrous material, and more preferably comprises chemically reinforced cellulosic fibers as previously disclosed herein. The macrostructure strip 262 serves to capture and retain the liquid secreted together. By spacing the macroscopic strips 262 relative to each other, a more effective surface area is provided to capture and retain the secreted liquid. This is especially true because the spaced macrostructure strips 262 can swell and expand in the width direction without disturbing the ability of adjacent strips to capture the dispensed liquid.

사용할 때, 후방 허리밴드 영역을 착용자의 등아래에 위치시키고 기저귀(20)의 나머지를 착용자의 다리 사이로 끌어당겨서 전방 허리밴드 영역을 착용자의 전방을 가로질러 위치시킴으로써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적용한다. 이어, 테이프-탭 패스너(46)를 바람직하게는 기저귀(20)의 외향 영역에 고정시킨다. 사용중에, 본 발명의 다공성 흡수성 거대구조물이 혼입된 일회용 기저귀 또는 다른 흡수 제품은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액체를 분배 및 저장하고, 거대구조물의 높은 흡수 용량 때문에 건조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거대구조물이 혼입된 일회용 기저귀는 또한 보다 얇고 보다 가요성일 수 있다.In use, the diaper is applied to the wearer by positioning the rear waistband area under the wearer's back and pulling the rest of the diaper 20 between the wearer's legs to position the front waistband area across the wearer's front. The tape-tab fasteners 46 are then secured preferably to the outward area of the diaper 20. In use, disposable diapers or other absorbent articles incorporating the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 and store liquids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and remain dry due to the high absorbent capacity of the macrostructures. Disposable diapers incorporating the macrostructures of the invention may also be thinner and more flexible.

본 발명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은 또한 1996년 3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제 08/621,03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흡수 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 제품은 유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는 수성 체액과 접촉하였을 때 유체 포획 대역을 형성하도록 z-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유체 저장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부 유체 저장 구성요소는 상면시이트와 직접 유체 연통하며, 상부 유체 저장 구성요소는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포함한다. 흡수 코어는 또한 수성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유체 포획 대역을 포함하고, 유체 포획 대역은 상부 유체 저장 구성요소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 둘러싸이고 흡수 코어의 유체 분비 영역의 하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흡수 코어는 또한 수성 체액을 포획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유체 포획/분배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이 유체 포획/분배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유체 저장 요소의 하부에 위치하고 이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포획/분배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유체 포획 대역의 하부에 위치한다.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in absorbent articles as disclosed in US Pat. No. 08 / 621,030, filed March 22, 1996. Specifically,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fluid permeable topsheet, a backsheet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The absorbent core includes one or more upper fluid storage components that can expand in the z-direction to form a fluid capture zone when in contact with the aqueous body fluid, wherein the upper fluid storage component is in direct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topsheet and the upper fluid The storage component also includes the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ent core also includes a fluid capture zone capable of receiving aqueous body fluid, wherein the fluid capture zone is at least partially surrounded by an upper fluid storage component and at least partially located below the fluid secretion region of the absorbent core. The absorbent core also includes a fluid capture / distribution component capable of capturing and moving aqueous body flui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fluid storage ele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ensing component is located below the fluid capture zone.

IV. 흡수 제품 성능IV. Absorbent product performance

본 발명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에 대해서, 본 발명자는 흡수 제품에 대해 기준으로서 일반적으로 허용되었던 유체 적재 수준(유체의 g 또는 ml)과 유체 포획 속도(ml/초) 사이의 반비례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비교적 얇을 뿐만 아니라 2회 연속 유체 적재 각각에 대해 유체 포획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2회 연속 유체 적재 각각에 대한 유체 포획 속도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제품은 3회 연속 유체 적재 각각, 보다 바람직하게는 4회 연속 유체 적재 각각에 대해 유지되거나 증가된 유체 포획 속도를 나타낼 것이다.For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the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ors note that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fluid loading level (g or ml of fluid) and the fluid capture rate (ml / sec) was generally accepted as reference for the absorbent article. Found the ability to overcome. Thus,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bsorbent articles that are relatively thin and exhibit the ability to maintain fluid capture rates for each of two successive fluid loads.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bsorbent article that exhibits the ability to increase fluid capture rate for each of two consecutive fluid loadings. Preferably, the product will exhibit a maintained or increased fluid capture rate for each of three consecutive fluid loads, more preferably each of four consecutive fluid loads.

이 기준을 만족시키는 흡수 제품의 능력은 하기 포획 시험을 이용하는 시험 방법 부분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한다. 간략하게는, 주어진 흡수 제품에 대한 유체 포획 속도를 적재당 50ml의 4회 연속 적재 각각에 대해 결정하고, 각각의 적재는 합성뇨를 약 10ml/초의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고, 각각의 적재 사이에 5분의 평형화 기간이 주어진다. 본 발명의 제품은 부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지되거나 증가된 유체 포획 속도를 나타낸다.The ability of an absorbent product to meet this criterion is measured a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Test Methods section, which uses the following capture test. Briefly, the fluid capture rate for a given absorbent product is determined for each of four consecutive loadings of 50 ml per load, each loading moving the synthetic urine at a constant rate of about 10 ml / sec, with 5 between each loading. The equilibrium period of minutes is given. Products of the invention exhibit fluid retention rates that are maintained or increased as the number of loads increases.

유지되는 유체 포획 속도를 나타내는 이들 제품에 대해서는 이들 제품(상면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 코어를 포함하지만, 테이프, 다리 커프스 또는 다른 선택적인 구성요소는 제외한다)이 건조 상태에서 약 0.5인치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25인치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인치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제품의 두께는 압력을 가하지 않고 측정한다. 필수조건은 아니지만, 2회, 3회 또는 4회이상의 연속 적재에 대해 증가된 유체 포획 속도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의 경우, 이들 흡수 제품이 또한 상기 두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ose products exhibiting fluid capture rates maintained, these products (including topsheet, backsheet and absorbent core but excluding tape, leg cuff or other optional components) should be about 0.5 inches or less in dry state, preferably Preferably about 0.25 inches or less, more preferably about 0.2 inches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is measured without applying pressure. In the case of absorbent 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required, but exhibit increased fluid capture rates for two, three or more than four consecutive loads, it is preferred that these absorbent articles also meet the above thickness conditions.

연속 유체 적재에 대해 유지되거나 증가된 포획 속도를 나타내는 것을 비롯하여, 바람직한 흡수 제품은 최초 50ml 적재에 대해 약 2ml/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ml/초 이상의 속도로 유체를 포획한다. 이것이 이들 제품이 반드시 만족해야만하는 기준은 아니지만, 이들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의도된 목적에 보다 유용한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Preferre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ose maintained or increased capture rates for continuous fluid loading, capture fluid at a rate of at least about 2 ml / sec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5 ml / sec for the first 50 ml loading. While this is not a criterion that these products must meet, meeting these criteria can produce products that are more useful for the intended purpose.

V. 시험 방법V. Test Method

A. 흡수 용량A. Absorption Capacity

흡수 제품의 흡수 용량은 1992년 6월 23일자로 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24,188 호의 칼럼 27 내지 28에 기술된 흡수 용량 시험에 따라 측정된다. 이 시험에서, 흡수성 입자는 '티백(tea bag)'내에 위치되고 특정 기간 동안 과량의 합성 뇨에 침지된 후 특정 시간 동안 원심분리된다. 원심분리후의 흡수성 입자의 최종 중량 - 초기 중량(순 유체 획득량) 대 초기 중량의 비율이 흡수 용량을 결정한다.The absorbent capacity of the absorbent product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absorbent capacity test described in columns 27-28 of US Pat. No. 5,124,188 to June et al., June 23, 1992. In this test, the absorbent particles are placed in 'tea bags' and immersed in excess synthetic urin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centrifuged for a certain time. The final weight of absorbent particles after centrifugation—initial weight (net fluid gain) to initial weight determines the absorbent capacity.

B. 염수 유동 전도성(SFC)B. Brine Flow Conductivity (SFC)

전구체 흡수성 입자의 염수 유동 전도성(SFC)은 1994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원 제 219,574 호(골드만 등)에 기술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이 시험에서, 겔 층이 한정된 압력하에서 제이코(Jayco) 합성 뇨에서 팽윤된 흡수성 입자로부터 형성된다. 이 시험은 입자가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사용 기계적 압력에 노출되었을 때 체액을 포획 및 분배하는 이들 흡수성 입자로부터 형성된 하이드로겔 층의 능력을 평가한다. 다시(Darcy)의 법칙 및 정상 유동 방법이 염수 유동 전도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챠터지(P.K. Chatterjee)의 문헌['Absorbency', Elsevier, 1985, page 42-43] 및 ['Chemical Engineering vol. II, 3판, J. M. Coulson 및 J. F. Richardson, Pergamon Press, 1978, pages 125-127]을 참조할 수 있다.) SFC 시험을 위한 시험 유체는 제이코 합성 뇨이다.The brine flow conductivity (SFC) of the precursor absorbent particles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described in co-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No. 219,574 (Goldman et al.) Filed March 29, 1994. In this test, a gel layer is formed from absorbent particles that swell in Jayco synthetic urine under defined pressure. This test evaluates the ability of a hydrogel layer formed from these absorbent particles to capture and distribute body fluids when particles are present at high concentrations and exposed to the use mechanical pressure. Darcy's law and steady flow method are used to determine the brine flow conductivity. (See, eg, PK Chatterjee, 'Absorbency', Elsevier, 1985, page 42-43) and 'Chemical Engineering vol. II, 3rd edition, JM Coulson and JF Richardson, Pergamon Press, 1978, pages 125-127.) The test fluid for the SFC test is JJ synthetic urine.

C. 가압하 성능(PUP)C. Pressurized Performance (PUP)

전구체 흡수성 입자의 가압하 성능(PUP)은 1994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원 제 219,574 호(골드만 등)에 기술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이 시험은 0.7psi(약 5kPa)의 한정된 압력하에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에서 측방향으로 한정되는 흡수성 물질에 대한 합성 뇨의 60분g/g 흡수를 결정한다. 이 시험은 입자가 높은 기본중량 및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사용 압력에 노출될 때, 실제적인 기간에 걸쳐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입자 층의 능력을 평가한다. 이들 사용 압력은 착용자의 체중 및/또는 움직임으로부터 생성된 기계적 압력, 탄성 및 고정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기계적 압력, 및 유체를 배수시킬 때 인접한 모세관(예를 들면 섬유) 층 및/또는 구조물로부터 생성된 유체 정력학적 흡입(hydrostatic suction)을 포함한다. PUP능 시험을 위한 시험 유체는 제이코 합성뇨이다. 이 유체는 거의 0의 유체 정력학적 흡입에서 요구 흡수 조건하에 흡수성 입자에 의해 흡수된다.The performance under pressure (PUP) of the precursor absorbent particles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described in co-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219,574 (Goldman et al.) Filed March 29, 1994. This test determines 60 minutes g / g absorption of synthetic urine for the laterally defined absorbent material in the piston / cylinder assembly under a defined pressure of 0.7 psi (about 5 kPa). This test evaluates the ability of the absorbent particle layer to absorb body fluids over a practical period of time when the particles are present at high basis weights and high concentrations and exposed to working pressure. These working pressures are generated from the mechanical pressure generated from the wearer's weight and / or movement, the mechanical pressure generated by the elastic and anchoring system, and from adjacent capillary (eg fiber) layers and / or structures when draining the fluid. Hydrostatic suction. The test fluid for the PUP capability test is JEI Synthetic urine. This fluid is absorbed by the absorbent particles under the required absorption conditions at almost zero hydrostatic suction.

D. 요구 흡수 용량D. Required Absorption Capacity

흡수성 거대구조물의 요구 흡수 용량은 시험 시작(건조 상태)에서 1.4psi(약 10kPa) 및 시험 종료(습윤, 팽윤 상태)에서 0.7psi(약 5kPa)의 압력하에서 흡수성 구조물에 대한 합성뇨의 60분 g/g 흡수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다. 이 시험은 흡수성 구조물이 높은 기본중량 및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사용압력에 노출되었을 때 실질적인 기간 동안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구조물의 능력을 측정한다. 이들 사용압은 착용자의 체중 및/또는 움직임으로부터 생성된 기계적 압력, 탄성 및 패스닝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기계적 압력, 및 유체를 배수시킬 때 인접한 모세관(예를 들면 섬유) 층 및/또는 구조물로부터 생성된 유체 정력학적 흡입을 포함한다. 요구 흡수 용량 시험을 위한 시험 유체는 제이코 합성뇨이다. 이 유체는 요구 흡수 조건하에서 흡수성 구조물에 의해 흡수된다.The required absorbent capacity of the absorbent macrostructure is 60 minutes g of synthetic urine for absorbent structures under pressure of 1.4 psi (about 10 kPa)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dry state) and 0.7 psi (about 5 kPa) at the end of the test (wet, swelling) / g is designed to measure absorption. This test measures the ability of an absorbent structure to absorb body fluids for a substantial period of time when the absorbent structure is present at high basis weights and high concentrations and exposed to operating pressure. These working pressures are generated from the mechanical pressure generated from the wearer's weight and / or movement, the mechanical pressure generated by the elastic and fastening system, and from adjacent capillary (eg fiber) layers and / or structures when draining the fluid. Fluid hydrodynamic suction. The test fluid for the required absorption capacity test is J. ikouriña. This fluid is absorbed by the absorbent structure under the required absorption conditions.

하기는 요구 흡수 용량 측정을 기술한다. 샘플 셀은 정방형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이고, 10cmx10cm 치수의 망상 바닥을 갖는다. 흡수성 구조물(섬유가 있고 없는)은 3.7cmx3.7cm의 치수로 샘플링되어 1.4psi 피스톤하에 위치된다. 샘플을 제이코 합성뇨와 접촉시킴에 따라 제이코 합성 뇨를 흡수하기 시작한다. 중량의 변화를 다음 60분동안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록한다. 결과적으로 일정한 1.4psi 외압하에 두었을 때 샘플의 치수는 약 100% 증가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required absorption capacity measurements. The sample cell is a square piston / cylinder assembly and has a mesh bottom of 10 cm x 10 cm dimensions. Absorbent structures (with and without fibers) were sampled in dimensions of 3.7 cm x 3.7 cm and placed under a 1.4 psi piston. Upon contact with the sample of synthetic urine, the sample begins to absorb the synthetic urine. Changes in weight are continuously monitored and recorded for the next 60 minutes. As a result, the dimensions of the sample increase about 100% when placed under constant 1.4 psi external pressure.

E. 포획 시험E. Take Test

본 시험은 하기 조건하에서 기저귀에 뇨를 흡수시키는데 대한 것이다:This test is for absorbing urine in diaper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1) 0.4psi(약 28g/cm2)의 압력을 기저귀 샘플에 적용시킨다.1) A pressure of 0.4 psi (about 28 g / cm 2 ) is applied to the diaper sample.

2) 각각의 적재마다 5분(평형시간) 간격을 두면서 총 2회 이상의 합성 뇨의 적재를 10ml/초의 속도로 기저귀 샘플에 적용시킨다.2) A total of two or more batches of synthetic urine are applied to the diaper sample at a rate of 10 ml / sec with 5 minutes (equilibration time) at each load.

하기 장치를 사용한다:Use the following device:

컨디셔닝실: 73±2℉ 및 50±2%로 조절된 온도 및 상대습도.Conditioning Room: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djusted to 73 ± 2 ° F and 50 ± 2%.

포획 시험기: 미국 오하이오주 45227 신시네티 워릭 스트리트 6315 소재의 콩코드-렌 캄파니(Concord-Renn Co.) 제품.Capture Tester: Concord-Renn Co., 6315 Cincinnati Warwick Street, Ohio, USA.

부품part

시험 베드(PLEXIGLAS)Test bed (PLEXIGLAS)

포움 베이스 - 폴리에틸렌 배면시이트 물질로 덮힌 6인치×20인치×1인치 포움 - 포움 유형: 밀도 1.0lb/ft3 Foam Base-6 '' × 20 '' × 1 '' foam covered with polyethylene backsheet material-Foam Type: Density 1.0lb / ft 3

IDL 24psiIDL 24psi

노즐Nozzle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눈금이 그려진 실린더(100ml) (1,000ml): VWR 사이언티픽(Scientific), (100ml) 카탈로그 번호: 24711-310 (1,000ml) 카탈로그 번호: 24711-364 또는 동등품.Graduated cylinder (100ml) (1,000ml): VWR Scientific, (100ml) Catalog number: 24711-310 (1,000ml) Catalog number: 24711-364 or equivalent.

삼각 플라스크: VWR 사이언티픽 카탈로그 번호: 29135-307 또는 (6,000ml) 동등품.Erlenmeyer flasks: VWR Scientific Catalog No .: 29135-307 or (6,000 ml) equivalent.

디지탈 펌프: 콜-파머 인스트루먼트 캄파니(Cole-Parmer Instrument Co.); 전화번호 (800) 323-4340, 미국, 카탈로그 번호: G-075323-20.Digital pumps: Cole-Parmer Instrument Co .; Phone number (800) 323-4340, USA, catalog number: G-075323-20.

이지 로드 펌프 헤드(Easy Load Pump Head): 콜-파머 인스트루먼트 캄파니 카탈로그 번호: G-07518-02Easy Load Pump Head: Call-Parmer Instrument Company Catalog Number: G-07518-02

증류수: 편리한 공급원Distilled Water: A Convenient Source

무수 합성뇨: 제이코 합성뇨Anhydrous Synthetic Urine: Jacob's Synthetic Urine

V.본 발명에 따른 거대구조물의 제조의 특정 예 V. Specific examples of the preparation of macrostructur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바람직한 태양을 추가로 설명 및 입증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The following examples further illustrate and demonstrate preferred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as they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거대구조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준다.This example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an absorbent macro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셀룰로오스 웹에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를 깔고, 이어 키멘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분무함으로써 셔틀 테이블 위에서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제조한다. 셔틀 테이블은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를 연속적으로 깔기 위해 앞뒤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3m/분 내지 30m/분의 속도를 갖는다. 셔틀 테이블에는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를 100 내지 1000g/분의 속도로 공급하기 위한 고정된 자동 분말 공급 시스템, 및 40 내지 200g/분의 분사 속도를 갖는 고정된 자동 용액 분사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전형적인 작동 조건은 10m/분의 셔틀 속도, 212g/분의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 공급속도, 및 76g/분의 용액 분사 속도를 포함한다.The absorbent macrostructure is prepared on a shuttle table by first spreading superabsorbent polymer fine particles on a cellulose web and then spray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chimen. The shuttle table is designed to move back and forth to continuously lay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ulates and has a speed of 3 m / min to 30 m / min. The shuttle table is equipped with a fixed automatic powd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ulates at a rate of 100 to 1000 g / min, and a fixed automatic solution dispensing system with a spray rate of 40 to 200 g / min. Typical operating conditions include a shuttle speed of 10 m / min, a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ulate feed rate of 212 g / min, and a solution spray rate of 76 g / min.

2가지 상이한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를 본 실시예에 사용한다. 이들은 둘다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다. 제 1 초흡수성 중합체는 닛폰 쇼쿠바이(Nippon Shokubai)에서 아쿠알릭(AQUALIC) CA-L76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하고 있으며, 높은 PUP 및 중간 겔 부피를 갖는다. 제 2의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산요 케미칼 인더스트리(Sanyo Chemical Industry)에서 시판중인 IM-1000이고, 낮은 PUP 및 높은 겔 부피를 갖는다. 셀룰로오스 웹은 20g/m2의 기본중량을 갖는, 상품명 바운티로 시판중인 티슈 타올이다. 키멘은 키멘-플러스(KYMENE-PLUS)라는 상품명으로 헤르큘레스 캄파니(Hercules company)에서 시판하고 있으며 중합체 수지를 30%로 함유한다. 식품용 믹서기로 2종 이상의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를 블렌딩한다. 분사 용액은 키멘 중합체 수지 10중량%, 글리세롤 45% 및 물 45%를 함유한다. 훽스트 고세이 캄파니(Hoechst Gosei Co.)에서 모위닐(MOWINYL)-963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중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계 라텍스 중합체를 추가로 상기 용액에 10%의 양으로 첨가한다.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계 라텍스 중합체의 존재로 인해 첨가하면 거대구조물의 유연성 및 가요성이 증가한다.Two different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ulates are used in this example. These are both crosslinked sodium polyacrylates. The first superabsorbent polymer is available from Nippon Shokubai under the trade name AQUALIC CA-L76 and has a high PUP and medium gel volume. Secondary crosslinked sodium polyacrylate is IM-1000,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anyo Chemical Industry, and has a low PUP and high gel volume. Cellulosic webs are tissue towels available under the trade name Bounty, with a basis weight of 20 g / m 2 . Kimmen is marketed by Hercules Company under the trade name KYMENE-PLUS and contains 30% polymer resin. Blend two or mor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ulates with a food blender. The spray solution contains 10% by weight of the chimen polymer resin, 45% glycerol and 45% water. A polyethylacrylate-based latex polym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Hoechst Gosei Co. under the trade name MOWINYL-963 is further added to the solution in an amount of 10%. The addition increases the flexi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macrostructures due to the presence of polyethylacrylate-based latex polymers.

생성된 거대구조물은 초흡수성 중합체 77%, 용액 19% 및 셀룰로오스성 티슈 타올 4%를 함유한다. 거대구조물의 총 기본중량은, 초흡수성 중합체 370g, 분사된 용액 90g 및 바운티 타올 20g을 포함하는 480g/m2이다. 2가지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비는 0 내지 100%이다.The resulting macrostructure contains 77% superabsorbent polymer, 19% solution and 4% cellulosic tissue towels. The total basis weight of the macrostructure is 480 g / m 2 , comprising 370 g of superabsorbent polymer, 90 g of sprayed solution and 20 g of bounty towel. The weight ratio of the two superabsorbent polymers is 0-100%.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준다.This example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the absorbent macro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티슈 웹의 한쪽면에는 아쿠알릭 CA-L76 초흡수성 중합체를, 다른 한쪽면에는 IM-1000 초흡수성 중합체를 부착시킴으로써 구조물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를 따라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제조한다.Absorbent macrostructur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tructure was prepared by attaching an aqualic CA-L76 superabsorbent polymer to one side of the tissue web and an IM-1000 superabsorbent polymer to the other side. Manufacture.

생성된 거대구조물은 초흡수성 중합체 77%, 용액 19% 및 셀룰로오스성 티슈 타올 4%를 함유한다. 거대구조물의 총 기본중량은, 초흡수성 중합체 370g, 분사된 용액 90g 및 바운티 타올 20g을 포함하는 480g/m2이다. 2가지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비는 0 내지 100%이다.The resulting macrostructure contains 77% superabsorbent polymer, 19% solution and 4% cellulosic tissue towels. The total basis weight of the macrostructure is 480 g / m 2 , comprising 370 g of superabsorbent polymer, 90 g of sprayed solution and 20 g of bounty towel. The weight ratio of the two superabsorbent polymers is 0-100%.

실시예 3Example 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함유하는 아기 기저귀의 제조방법을 보여준다.This example shows a method of making a baby diaper containing the absorbent macro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을 기저귀 코어 크기로 샘플링하고 유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필름, 목재 섬유 포획 층 및 부직 상면시이트를 적용시켜 아기 기저귀를 형성시킨다.The absorbent macrostructure of Example 1 was sampled to the diaper core size and a fluid impermeable backsheet film, a wood fiber capture layer, and a nonwoven topsheet were applied to form a baby diaper.

생성된 기저귀는 약 40%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전형적인 아기 기저귀 코어와 비교하여 초흡수성 중합체의 농도가 70중량%로 높기 때문에 매우 낮은 캘리퍼를 갖는다.The resulting diaper has a very low caliper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superabsorbent polymer is as high as 70% by weight compared to a typical baby diaper core containing about 40% superabsorbent polymer.

실시예 5Example 5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초흡수성 거대구조물을 포함하는 기저귀의 제조방법을 보여준다.This embodiment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aper comprising the superabsorbent macro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초흡수성 중합체의 기본중량을 1550g/m2이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초흡수성 중합체의 농도를 90%로 증가시킴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초흡수성 거대구조물을 제조한다. 이어, 거대구조물을 슬릿팅(slit)시키고 연신시켜 그물 형태의 코어를 형성한다. 이어, 코어에 유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필름, 목재 섬유 포획 층 및 부직 상면시이트를 적용시켜 아기 기저귀를 제조한다. 기저귀는 코어내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높은 농도로 인해 통상적인 아기 기저귀에 비해 매우 낮은 캘리퍼를 갖는다.A superabsorbent macrostructure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increased to 90% by increasing the basis weight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to at least 1550 g / m 2 . The macrostructure is then slit and stretched to form a net-shaped core. The baby diaper is then made by applying a fluid impermeable backsheet film, a wood fiber capture layer, and a nonwoven topsheet to the core. Diapers have very low calipers compared to conventional baby diapers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core.

실시예 6Example 6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에 키멘 같은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을 사용하면 거대구조물의 요구 흡수 용량이 개선됨을 보여준다.This example shows that the use of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such as chimen in the absorbent macro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quired absorbent capacity of the macrostructure.

도 7은 3개의 상이한 샘플과 본 발명의 흡수성 거대구조물의 요구 흡수 용량을 비교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곡선 '…○…'은 두가지 상이한 초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비의 전체 범위에서 가압하 요구 흡수 용량을 현격하게 증가시키는 키멘의 놀라운 효과를 예시한다. 높은 PUP 초흡수성 미립자(L-76)의 중량%를 증가시킬 때에만 0.7psi 요구 흡수 용량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키멘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유사한 구조물(곡선 '…◇ …')과 이를 비교한다. 곡선 '…◇ …'은 또한 키멘 또는 점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혼합된 초흡수성 미립자 층의 시험 결과인 곡선 '…△ …'과 동일하다. 키멘을 사용하지 않고 흡수성 구조물을 제조하는 다른 예는 먼저 두겹의 티슈 사이에 초흡수성 중합체 미립자 층을 끼워넣고 티슈를 점착시켜 적층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적층 구조물(곡선 '…□…')은 가압하 요구 흡수 용량과 초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비 사이에서 예외적인 관계(곡선 '…○…'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은)를 나타내지 않는다.Figure 7 compares the three different samples with the required absorbent capacity of the absorbent macro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urve '…' ○… 'Exemplifies the surprising effect of Kymen's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required absorption capacity under pressure over the full range of mixing ratios of the two different superabsorbent polymers. Compare this to a similar structure made without chimen (curve '… ◇…'), in which the 0.7 psi required absorption capacity is increased only when increasing the weight percent of high PUP superabsorbent particulate (L-76). . curve '… ◇… 'Is also the curve' ... results of the test of mixed superabsorbent particulate layers without the use of chimen or adhesive additives. Δ. Same as' Another example of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without using chimen is to first sandwich a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ulate layer between two layers of tissue and stick the tissue to form a laminate composite. This laminate structure (curves '… □…') does not exhibit an exceptional relationship (as seen in curve '… ○…') between the required absorption capacity under pressure and the mixing ratio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이상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출원 및 허여된 특허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All publications, patent applications, and issued patents mentioned above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실시태양은 단지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며,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본원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원의 원리 및 범위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영역에 포함됨을 알아야 한다.The examples and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sugges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disclosure, and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applied to the principles and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appended pat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0)

(a) 5×10-7cm3sec/g 이상의 염수 유동 전도성(Saline Flow Conductivity; SFC)값 및 0.7psi(5kPa)의 한정 압력하에 23g/g 이상의 가압하 성능(Performance under Pressure(PUP) capacity)값을 갖는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50 내지 95%와 25g/g 이상의 흡수 용량(Absorptive Capacity)값을 갖는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5 내지 50%의 혼합물,(a) Performance under Pressure (PUP) capacity of at least 23 g / g under a Saline Flow Conductivity (SFC) value of at least 5 × 10 −7 cm 3 sec / g and a defined pressure of 0.7 psi (5 kPa). A mixture of 50-95% of a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 value of) and 5-50% of a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n Absorptive Capacity value of at least 25 g / g, (b) 구형 입자 형태의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20 내지 40%와 비구형 입자 형태의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60 내지 80%의 혼합물, 및(b) a mixture of 20-40% of the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spherical particles and 60-80% of the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non-spherical particles, and (c) (a)와 (b)의 혼합물(c) a mixture of (a) and (b)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흡수성인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상호연결된 가교결합 입자를 다수 포함하는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포함하며, 이 때Inter-particle bound aggregates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crosslinked particles comprising a substantially water-insoluble and absorbent hydrogel-forming polymeric material comprising a mixtu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가 인접한 입자 사이에 공극을 갖고, 이 공극이 상호연통 채널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액체 투과성 거대구조물을 형성하고, 이 거대구조물의 경계 건조 부피(circumscribed dry volume)가 0.008mm3보다 큰,Agglomerated aggregates between particles have pores between adjacent particles, which are interconnected by interconnecting channels to form a liquid permeable macrostructure, whose circumscribed dry volume is greater than 0.008 mm 3 . large, 개선된 유체 처리 능력을 갖는 다공성의 흡수성 거대구조물.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with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i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이 구형 입자 형태의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20 내지 40%와 비구형 입자 형태의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60 내지 80%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공성의 흡수성 거대구조물.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wherein the hydrogel-forming polymeric material comprises a mixture of 20-40% of a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spherical particles and 60-80% of a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non-spherical 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이 5×10-7cm3sec/g 이상의 염수 유동 전도성(SFC)값 및 0.7psi(5kPa)의 한정 압력하에 23g/g 이상의 가압하 성능(PUP)값을 갖는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50 내지 95%와 25g/g 이상의 흡수 용량값을 갖는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5 내지 50%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공성의 흡수성 거대구조물.A hydrogel-forming polymer material has a saline flow conductivity (SFC) value of at least 5 × 10 −7 cm 3 sec / g and a PUP value of at least 23 g / g under a defined pressure of 0.7 psi (5 kPa). A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 comprising a mixture of 50-95% of a hydrogel-forming polymer and 5-50% of a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n absorbent capacity value of at least 25 g / 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입자가 그의 표면에서 양이온성 아미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부가물로 가교결합된 흡수성 거대구조물.An absorbent macrostructure in which particles are crosslinked at their surface with a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성 거대구조물.Absorbent macro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lasticiz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라텍스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성 거대구조물.An absorbent macro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latex material.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항에 따른 거대구조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Liquid permeable topsheets; A liquid impermeable backsheet connected to the topsheet;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and comprising at least one macro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흡수 코어가 상면시이트와 거대구조물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화학적으로 강화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An absorbent article further comprising an absorbent member, wherein the absorbent core is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macrostructure, wherein the absorbent core comprises chemically strengthened cellulose fiber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기저귀인 흡수 제품.Absorbent product that is a diaper. (a) 5×10-7cm3sec/g 이상의 염수 유동 전도성(SFC)값 및 0.7psi(5kPa)의 한정 압력하에 23g/g 이상의 가압하 성능(PUP)값을 갖는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50 내지 95%와 25g/g 이상의 흡수 용량값을 갖는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5 내지 50%의 혼합물,(a) First hydrogel-forming having a brine flow conductivity (SFC) value of at least 5 × 10 −7 cm 3 sec / g and a performance under pressure (PUP) of at least 23 g / g under a defined pressure of 0.7 psi (5 kPa) A mixture of 50-95% of the polymer and 5-50% of the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having an absorption capacity value of at least 25 g / g, (b) 구형 입자 형태의 제 1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20 내지 40%와 비구형 입자 형태의 제 2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60 내지 80%의 혼합물, 및(b) a mixture of 20-40% of the first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spherical particles and 60-80% of the second hydrogel-forming polymer in the form of non-spherical particles, and (c) (a)와 (b)의 혼합물(c) a mixture of (a) and (b)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흡수성인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상호연결된 가교결합 입자를 다수 포함하는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를 포함하며, 이 때Inter-particle bound aggregates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crosslinked particles comprising a substantially water-insoluble and absorbent hydrogel-forming polymeric material comprising a mixtu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입자간 결합된 응집체가 인접한 입자 사이에 공극을 갖고, 이 공극이 상호연통 채널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액체 투과성 거대구조물을 형성하고, 이 거대구조물의 경계 건조 부피가 0.008mm3보다 큰,The intergranular aggregated aggregates have pores between adjacent particles, the pores being interconnected by intercommunication channels to form a liquid permeable macrostructure, wherein the boundary dry volume of the macrostructure is greater than 0.008 mm 3 , 가요성이고 다공성이며 흡수성인 시이트.Flexible, porous and absorbent sheet.
KR19997001053A 1996-08-08 1997-08-01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KR1003238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5879 1996-08-08
JP8225879A JP2915354B2 (en) 1996-08-08 1996-08-08 Absorbent macrostructure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city made from a mixture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PCT/US1997/012854 WO1998006364A1 (en) 1996-08-08 1997-08-01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883A KR20000029883A (en) 2000-05-25
KR100323818B1 true KR100323818B1 (en) 2002-02-19

Family

ID=1683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01053A KR100323818B1 (en) 1996-08-08 1997-08-01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55981A1 (en)
JP (1) JP2915354B2 (en)
KR (1) KR100323818B1 (en)
AU (1) AU3809697A (en)
CA (1) CA2262785A1 (en)
MX (1) MX9901330A (en)
WO (1) WO19980063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2520B1 (en) 1997-02-19 2001-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high sorption capacities under an applied pressure
EP1045707B1 (en) * 1998-01-07 2008-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with high sorption capacity and high fluid permeability under an applied pressure
IL137034A0 (en) * 1998-01-07 2001-06-14 Procter & Gamble 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high sorption capacities under an applied pressure
US6121509A (en) * 1998-01-07 2000-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high sorption capacities under an applied pressure and improved integrity when wet
JP3447951B2 (en) * 1998-04-09 2003-09-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articles
GB9812965D0 (en) * 1998-06-17 1998-08-12 Core Technologies Limited Hydrogel body
DE60016730T3 (en) 1999-04-12 2009-11-19 Kao Corp. DISPOSABLE DIAPERS
WO2001023012A1 (en) 1999-09-30 2001-04-05 The Dow Chemical Company Binding superabsorbent polymers to substrates
US6414214B1 (en) * 1999-10-04 2002-07-02 Basf Aktiengesellschaft Mechanically stable hydrogel-forming polymers
JP3987348B2 (en) * 2001-01-26 2007-10-10 株式会社日本触媒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absorbing agent
SE0200950D0 (en) 2002-03-27 2002-03-27 Sca Hygiene Prod Ab Absorbent articles
US8247491B2 (en) 2003-02-10 2012-08-21 Nippon Shokubai Co., Ltd. Water-absorbent resin composition and its production process
US7638570B2 (en) 2003-02-10 2009-12-29 Nippon Shokubai Co., Ltd. Water-absorbing agent
SE0303558D0 (en) * 2003-12-30 2003-12-30 Sca Hygiene Prod Ab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the absorbent structure
AU2005287044B2 (en) * 2004-09-16 2011-10-0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and materials for use in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articles
EP2209503A2 (en) * 2007-09-25 2010-07-28 Basf Se Superabsorber comprising a virus-inhibiting additive
JP6124875B2 (en) * 2011-05-18 2017-05-1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Water-absorbing composite material
US9078947B2 (en) * 2013-03-15 2015-07-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ion for forming a porous absorbent structure
EP3110356B1 (en) * 2014-02-28 2022-03-30 EAM Corporation Novel absorbent laminat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KR101958014B1 (en) 2016-03-14 2019-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paration method of super absorbent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6264A (en) * 1993-10-22 1996-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sites comprising a porous macrostructure of absorbent gelling particles and a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2785A1 (en) 1998-02-19
AU3809697A (en) 1998-03-06
JPH1077354A (en) 1998-03-24
JP2915354B2 (en) 1999-07-05
KR20000029883A (en) 2000-05-25
WO1998006364A1 (en) 1998-02-19
EP0955981A1 (en) 1999-11-17
MX9901330A (en) 199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818B1 (en)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US6224961B1 (en)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EP0790839B1 (en) Treating interparticle bonded aggregates with latex to increase flexibility of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US5859074A (en) Treating interparticle bonded aggregates with latex to increase flexibility of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KR100264483B1 (en) Absorbent composite structure formed of a substrate and cross-linkable hydrogel polymer particle
JP3414744B2 (en) Flexible porous absorbent polymer macro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323815B1 (en)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sustained acquisition rate capability upon absorbing multiple discharges of aqueous body fluids
US5977014A (en) Absorbent composite structure formed of a substrate and cross-linkable hydrogel polymer particles
KR100297891B1 (en) Porous Absorption Macrostructure of Absorbent Particles Crosslinked with Cationic Amino-Epichlorohydrin Adducts
KR100356332B1 (en) Absorbents comprising porous macrostructures of absorbent gelled particles
JPH11506966A (en) Absorbent cores with improved acquisition performance and absorbent products containing them
MXPA99007695A (en) Mixed-bed ion-exchange hydrogel-forming polymer compositions and absorbent members comprising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these compositions
PT97234B (en) POLYMERIC, ABSORBENT, POROUS MACRO-STRUCTURES, AND METHOD FOR THEIR OBTAINATION
JP2013541975A (en) Ultra-thin liquid absorbent core
JPH10505521A (en) Absorbent structures having zones of different degree of cross-linking and their preparation
KR20000064748A (en)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fluid acquisition zone
WO1998006364A9 (en) Absorbent macrostructure made from mixtures of different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s for improved fluid handling capability
JP2683095B2 (en) Body fluid absorbent article
AU3971095A (en) Treating interparticle bonded aggregates with latex to increase flexibility of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AU2811699A (en) Treating interparticle bonded aggregates with latex to increase flexibility of porous, absorbent macrostructures
MXPA97001798A (en) Absorbent structure that has regions with different degrees of interlocking and 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