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140B1 - 벽 구조체 - Google Patents

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140B1
KR100321140B1 KR1019990011645A KR19990011645A KR100321140B1 KR 100321140 B1 KR100321140 B1 KR 100321140B1 KR 1019990011645 A KR1019990011645 A KR 1019990011645A KR 19990011645 A KR19990011645 A KR 19990011645A KR 100321140 B1 KR100321140 B1 KR 10032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s
concrete
fixing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276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ublication of KR2000005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하는 불럭을 사용하지 않고, 뼈대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샛기둥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외벽체를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공정을 단축시켜 공사비를 줄일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대형 장비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크기의 선택 폭을 확대할 수 있고, 벽체의 내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쉽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단열, 배관 및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벽체가 돌출부 없이 평평할 뿐만 아니라 본래의 모습을 손상시키지 않고 운반하여 쌓아올릴 수 있게 됨으로서 재료의 운반이 용이하고, 보다 많은 재료들이 하나의 짐으로 선적될 수 있기 때문에 수송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벽체의 표면에 타일이나 벽돌표면과 같은 요구되는 어떤 표면을 나타내기 위해 무늬를 형성시키거나, 칠 또는 코팅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 구조체{wall form structure}
본 발명은 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 구조체는 벽돌, 콘크리트 블록, 목조를 사용하여 시공된다. 예를 들어 속에 구멍이 통공된 시멘트 블록을 사용하여 상업용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경우에는 시멘트 블록을 소정 높이까지 쌓고, 건축된 벽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시멘트 블록의 통공 내부에 콘크리트가 공급된다. 만일, 상기와 같이 시공된 벽체 위에 소정 높이의 시멘트 블록을 더 쌓기 위해서는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벽체가 완성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보강봉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조의 벽체를 강화하기 위해 상기 연통된 시멘트 블록의 빈 공간에 위치된다. 단지, 벽을 보강하는 요구조건에 비추어 보면, 예를 들어 개인주택의 경우는 건축하는 데 필요한강도요건이 대개 상업용 구조물보다 작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보강봉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술된 시멘트 블록으로 벽체를 시공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사용되는 많은 블록은 상호 정확하게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늘어나게 된다. 또한, 시멘트 블록은 내,외측 사이에 상호 접근이 쉽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시멘트 블록내에 배선, 배관 및 단열 작업이 곤란하며, 블록의 콘크리트 부분은 각 블록의 연통된 빈 공간에만 제한됨으로서 각 공간의 콘크리트 부분은 다른 콘크리트 부분과 접촉을 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일련되게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벽 구조체는 콘크리트가 가로`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벽체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비상업적 벽 구조체는 건조된 벽판의 내벽면과 치장벽토(stucco)와 같은 외벽면으로 구성된 목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벽 구조체를 짓기 위해서, 소정 크기의 목조 샛기둥은 소정영역에 설치된다. 또한 외벽면을 건축하기 위해서 종이나 금속망사가 나무 샛기둥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종이나 금속망사에 치장벽토와 같은 외벽면 재료는 일련되게 위치하며, 나무 기둥의 내부에 고정된 건조된 벽판은 상기 내벽면을 형성한다.
상기 목조 벽 구조체의 형태는 배선(wiring), 배관(plumbing), 단열(insulation)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내,외벽면 사이에 비교적 용이한 상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이러한 형태의 벽 구조체는 벽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공수와 노동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각각의 나무 기둥에는 못질을 해야함과 아울러 종이와 금속망사를 붙여야하고, 또한, 외부표면에 치장벽토(stucco)를 사용하고, 건조된 벽체를 샛기둥(studs)에 고정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벽은 견고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별도의 콘크리트와 보강막대로 용이하게 보강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주형구조(form construction)를 이용한 빌딩 벽체의 한 형태는 공급되는 콘크리트에 빈 격자세공을 제공하여 일체의 벽을 제공하는 폴리머 형태의 조합으로 가공된 합성체의 벽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문제점은 건식벽체나 합판과 같은 벽판이 마무리된 내,외측 벽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무리 처리된 벽체에 고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호 연통된 빈 공간은 항상 벽사이에 형성됨으로서 이러한 벽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한 다량의 콘크리트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다른 벽 구조체에서, 두 개의 발포 플라스틱시트를 고정시스템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문제점은 공급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분된 공간의 부족이다. 이러한 구조는 소정의 강도를 얻기 위해 전체 벽내에 콘크리트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건축 기술은 필연적으로 다량의 콘크리트가 필요함과 아울러 다양한 배선(wiring), 배관(plumbing) 및 단열(insulation)구조의 적용이 어렵다.
그리고 콘트리트의 내벽체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과정은, 시공이 완료된 내벽체에 고정부재를 접착제로 부착한 후 이 고정부재에 보온재를 부착하여 고정시키며, 보온재의 표면에 석고보드 등을 부착하여 시공함으로서,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 요소가 주거용 또는 상업용 벽 구조체에 용이하게 적용되는 규격화된 구성을 포함한 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부분적으로 아래에서 상술된 설명이나 실질적인 적용으로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 청구항과 함께 명세서에서 상술되는 구조에 의해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벽 구조체는, 외벽으로 사용되는 제1벽체와; 패널부재에 단열부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제1벽체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벽으로 사용되는 제2벽체와; 상기 제1,2벽체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개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벽체와 제2벽체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체결되어 제1,2벽체를 연결부재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2벽체 사이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제1벽체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제1벽체의 외측 경계선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제1보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벽 구조체는, 외벽으로 사용되는 제3벽체와; 상기 제3벽체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내벽을 형성하는 제4벽체와; 상기 제3,4벽체의 사이에 콘크리트기둥이 설치될 위치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되어 제3,4벽체와 고정되는 보강후레임과; 상기 제3,4벽체 사이의 공간에 수평 방향으로 개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3벽체와 제4벽체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체결되어 제3,4벽체를 연결부재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에 채워질 때 제3,4벽체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제3,4벽체의 경계선에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제2보강부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벽 구조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제1,2벽체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제1,2벽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4는 본 발명 제1,2벽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5는 본 발명 연결부재와 고정부재의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제1수용구의 측면도
도7a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7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연결부재의 요부 단면도
도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 제1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 제3,4벽체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12는 본 발명 제3,4벽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13은 본 발명 제3,4벽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제1벽체 12: 제2벽체
13: 단열부재 14: 패널부재
20(40): 고정부재 30(50): 연결부재
60: 제1보강부재 70: 제3벽체
70A: 제4벽체 80: 보강후레임
90: 제2보강부재 C: 콘크리트
이하, 본 발명 벽 구조체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외측 벽시트 및 상기 내,외측 벽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시트를 함께 지지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벽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벽체는 상기 내,외측 벽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를 수용하도록 미리 구멍이 통공된다. 상기 벽체에 상호 가로`세로 방향으로 통공되는 구멍을 통해 연결부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를 벽체의 양측으로부터 나사 체결함으로서 마무리되는 벽체는 종래의 방법보다 적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다면, 강도와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내벽과 외벽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간편하게 조립되는 이러한 벽구조는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벽 구조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구조는 제1,2벽체(11)(12)와, 상기 제1,2벽체(11)(12)를 고정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은 특정한 사용과 건설 목적에 따라 벽체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건식벽체, 합판패널, 콘크리트 패널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제1,2벽체(11)(12)는 콘크리트 및 보강부재와 함께 강화된 벽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제1,2벽체(11)(12)는 위치가 설정된 후, 또는 그 전에 우선해서 다수의 연결부재(30)에 함께 상호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벽체(11)는 제1,2벽체(11)(12)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벽체(12)는 단열부재(14)가 고정된 콘크리트와 같은 패널부재(13)로 구비된다.
건축에서 다양한 벽 구조체는 다양한 높이의 벽체를 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보강부재(60)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인접한 제1,2벽체(11)(12)를 보강하기 위해서 수직, 또는 수평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벽체(11)는 채워진 콘크리트를 지탱할 충분한 힘이 없기 때문에 제1보강부재(60)는 제1,2벽체(11)(12)사이의 빈 공간을 콘크리트로 채울 때 상호 수평면이 유지되도록 연결된 제1,2벽체(11)(12)가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 제1,2벽체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 제1,2벽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 제1,2벽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 벽구조체는 다수의 연결부재(30)로 연결된 제1벽체(11)와, 패널부재(13)와 단열부재(14)로 된 제2벽체(12)로 구성된다.
제1,2벽체(11)(12)는 큰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20)를 수용하도록 통공된 제1고정공(21)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며, 이 고정부재(20)는 제1,2벽체(11)(12)사이에 규칙적으로 개재된 연결부재(3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외벽으로 사용되는 상기 제1벽체(11)는 합판, 금속망사, 콘크리트, 슬레이트, 섬유유리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며, 이 제1벽체(11)는 고정부재(20)에 맞는 크기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1고정공(21)이 통공되고, 상기 제1고정공(21)은 연결부재(30)가 제1,2벽체(11)(12)의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수평으로 통할 수 있도록 제1,2벽체(11)(12)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통공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제1,2벽체(11)(12)에 통공된 구멍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조립된 벽 구조체(10)에서 콘크리트가 굳은 후, 제1벽체(11)는 콘크리트(C)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고정부재(20)를 제거함으로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1벽체(11)의 외부 표면은 치장벽토나 마무리 표현을 주기 위해 다른 적당한 코팅 물질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벽으로 사용되는 제2벽체(12)는 단열부재(14)와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패널부재(13)로 구성된다. 이 단열부재(14)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패널부재(13)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벽체(12)에는 상기 제1벽체(11)와 같이 고정부재(20)에 맞는 크기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1고정공(21)이 통공되고, 이 제1고정공(21)은 해당하는 고정부재(20)에 적합하도록 크기와 모양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고정공(21) 들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2고정공(23)이 통공되어 콘크리트(C)나 제1,2벽체(11)(12)의 사이에 채워지는 다른 물질에 고정되는 체결부재(22)를 수용한다. 상기 체결부재(22)는 고정부재(20)가 벽체에서 제거되더라도, 콘크리트(C)에 패널부재(13)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5는 본 발명 연결부재와 고정부재의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양단에 제1,2수용구(32)(33)를 구비한 몸체(31)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1)는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중앙이 크고 양측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양측의 중심에는 고정부재(20)를 수용하는 너트공(34)이 구비된다. 상기 제1,2수용구(32)(33)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몸체(31)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제1,2수용구(32)(33)와 몸체(31)가 연결되는 경계선에는 두께를 얇게 하여 상호 결합력을 약화시킨 절단홈(35)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6은 원뿔형의 제1수용구(32)의 정면도로서, 이 제1수용구(32)는 제1,2벽체(11)(12)간에 통공된 제1고정공(21)이 일련되게 배열되어 있지 않더라도, 고정부재(2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선단이 넓게 확장된 입구(3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0)가 제1수용구(32)의 입구(36)에 삽입되면 고정부재(20)는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출구(37)를 통해 몸체(31)의 중앙 너트공(34)으로 결합됨으로서, 상기 너트공(34)은 고정부재(2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수용구(32)의 출구(37)에 드라이버와 같은 착탈 공구가 삽입되도록 공구삽입홈(38)이 구비된다. 콘크리트(C)가 경화되어 외벽으로 이용되는 제1벽체(11)를 분리시키기 위해 고정부재(20)를 연결부재(30)의 몸체(31)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공구삽입홈(38)에 전동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제1수용구(32)가 강제로 회전하면서 결합력이 약한 절단홈(35)이 몸체(31)로부터 절단됨으로써 제1수용구(32)는 콘크리트로(C)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이렇게 제1수용구(32)가 연결부재(30)로부터 제거되면, 외벽 콘크리트(C)의 표면에는 원뿔형의 많은 구멍이 형성되는 데 이러한 구멍들은 콘크리트나 외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다른 적당한 물질로 채운다.
이러한 연결부재(30)는 플라스틱, 메탈 등과 같은 적절히 강한 물질로 구성되며, 사출성형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도7a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7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연결부재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 연결부재(40)의 몸체(41)는 내부에 고정부재(20)와 나사 결합되도록 너트공(44)이 형성된 원통체로 구성되고, 각 제1,2수용구(42)(43)의 출구(47) 측에는 몸체(41)를 수직이동으로 수용하도록 외주면에 나선형 결합돌기(45)가 구비되며, 그 내주면에는 확장된 입구(46)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몸체(41)의 측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49)이 구비된다.
콘크리트(C)가 경화되어 외벽으로 이용되는 제1벽체(11)를 분리시키기 위해 고정부재(20)를 연결부재(40)의 몸체(41)로부터 이탈시킨 후 제1수용구(42)의 공구삽입홈(48)에 전동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제1수용구(42)가 회전하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결합돌기(45)는 콘크리트(C)에 형성된 나선홈을 따라 외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몸체(41)의 측단부로부터 수용홈(49)이 분리됨으로써 제1수용구(42)는 콘크리트(C)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도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제1벽체(11)를 외벽으로 사용하기 위해 남겨둬야 할 필요게 있을 때 사용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재(50)는, 표면에 다수의 통공(52)이 형성되며, 일측면 중심에 제1벽체(11)의 제1고정공(21)에 삽입되는 체결보스(53)가 구비된 표면이 평평한 고정편(5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51)이 제1벽체(11)의 제1고정공(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보스(5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선단에 나선(54)이 형성되고 후단 측면에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볼트(55)가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재(50)는 고정편(51)을 제1벽체(11)의 제1고정공(2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적재 및 운반한다. 그리고 시공시에는 고정편(51)의 내측으로 개방된 체결보스(53)에 고정볼트(55)의 나선(54)을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연결부재(30)의 제1수용구(32)를 고정볼트(55)의 후단 중심과 일치하도록 삽입하여 회전시킨다. 이렇게 회전하는 연결부재(30)는 고정볼트(55)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벽체(11)와 제2벽체(12)가 조립되고, 그 사이에 콘크리트(C)가 채워진 후 제1벽체(11)의 표면에 실외도료, 치장벽토, 시멘트와 같은 접착물질을 도포하게 되면, 이 접착물질이 고정부재(50)의 고정편(51)에 통공된 통공(52)으로 유입되어 부착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10은 본발명 제1보강부재의 사시도이다. 이 제1보강부재(60)는 콘크리트가 제1,2벽체(11)(12) 사이의 빈 공간에 채워질 때 제1벽체(11)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1보강부재(60)는 양측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63)이 통공된 소정 폭의 지지편(61)이 구비되고, 이 지지편(61)의 한 쪽면중앙에 '??'자로 절곡된 몸체(62)가 일체로 구비되며, 몸체(62)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장공(64)이 통공되고 그 사이에 보조체결공(65)이 통공된다.
이러한 제1보강부재(6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2)를 체결공(63)에 삽입하여 제1벽체(11)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벽체(11)의 제1고정공(21)은 제1보강부재(60)의 체결장공(64)에 일치하도록 배열하여 상호 일치한 체결장공(64)과 제1고정공(21)을 관통하여 제1,2벽체(11)(12)의 사이에 개재된 연결부재(30)에 고정부재(20)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제1벽체(11)에 결합된 제1보강부재(60)는 콘크리트(C)가 굳은 후 이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1보강부재(60)는 제2벽체(12)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11내지 도 13은 은 본 발명 제3,4벽체의 구성도로서, 도11은 분리사시도이고, 도12는 결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13은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 제3,4벽체의 구조는 하중이 약하게 작용하는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 내부의 방과 방, 또는 방과 통로 등을 구획하는 벽체 구조로서, 최소한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견고한 벽구조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벽체 구조는, 두께가 얇고 탄성을 가진 양철을 소재로 상부는 연결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전`후변으로 체결편(81)이 형성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된 보강후레임(80)이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후레임(80)은 콘크리트기둥이 설치될 위치에 공간(A)(B)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2벽체(11)(12)와 같은 규격의 석고보드 외곽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제1고정공(72)이 통공되고, 그 내측에 제2고정공(73)이 통공되며, 일측면에 비닐과 같은 방수막(71)이 형성된 제3,4벽체(70)(70A)가 구비된다. 이 제3,4벽체(70)(70A)는 상기 보강후레임(80)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고정공(73)에 체결부재(22)를 삽입한다. 이렇게 삽입된 체결부재(22)는 제2고정공(73)을 통과하여 양철로 된 보강후레임(80)의 내향으로 절곡된 체결편(81)를 뚫고 강제로 체결된다.
또한 콘크리트가 제3,4벽체(70)(70A)의 외곽에 형성된 빈 공간(A)(B)에 채워질 때 제3,4벽체(70)(70A)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제2보강부재(90)가 구성된다. 이 제2보강부재(90)는 적어도 콘크리트기둥(C-1)의 넓이를 수용할 수 있는 폭과 제3,4벽체(70)(70A)와 동일한 높이의 판체로 구성되며,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체결장공(91)이 통공되고, 그 사이에 보조체결공(92)이 통공된다.
이러한 제2보강부재(9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3,4벽체(70)(70A)가 보강후레임(80)의 전`후면에 고정되면 제3,4벽체(70)(70A)의 접합선에 중심이 일치하도록 밀착시키고, 제3,4벽체(70)(70A)의 제1고정공(72)과 일치하는 체결장공(91)에 고정부재(20)를 삽입한다. 이때 콘트리트가 채워질 공간(A)(B)에는 제1고정공(72)과 수평으로 일치하도록 연결부재(30)가 개재되어 체결장공(91)과 제1고정공(72)을 통과한 고정부재(20)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제3,4벽체(70)(70A)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2보강부재(90)가 미치지 않는 제3,4벽체(70)(70A)의 상부 제1고정공(72)에 통하도록 연결부재(30)를 개재하고 고정부재(20)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조립이 완료되어 제3,4벽체(70)(70A)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공급하게 되면 콘크리트는 보강후레임(8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A)과 상부 공간(B)에만 채워진다. 이렇게 보강후레임(80)에 의해 형성된 공간(A)(B)에 채워진 콘크리트(C-1)가 경화되면 제2보강부재(90)에 체결된 고정부재(20)를 해체하여 분리하고, 제2보강부재(90)가 미치지 않는 위치에 체결된 고정부재(20)도 해체한다. 이어서 제3,4벽체(70)(70A)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들은 외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적당한 물질로 채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전체적인 벽 구조체의 형성에서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통합하여 벽 구조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벽 구조체는 빌딩 벽의 전체 크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결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은 대개 수직적으로 인접한 형태의 가장자리에서 통합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조된 하나의 벽 구조체의 시트는 빌딩 벽의 전체 크기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체 구조는 주택, 빌딩, 창고의 벽체 뿐만 아니라 방음벽, 지지벽, 또는 담장 등과 같은 다른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벽 구조체는 일련 되게 배열되어야 하는 불럭을 사용하지 않고, 뼈대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샛기둥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외벽체를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공정을 단축시켜 공사비를 줄일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대형 장비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크기의 선택 폭을 확대할 수 있고, 벽체의 내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쉽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단열, 배관 및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벽체가 돌출부 없이 평평할 뿐만 아니라 본래의 모습을 손상시키지 않고 운반하여 쌓아올릴 수 있게 됨으로서 재료의 운반이 용이하고, 보다 많은 재료들이 하나의 짐으로 선적될 수 있기 때문에 수송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벽체의 표면에 타일이나 벽돌표면과 같은 요구되는 어떤 표면을 나타내기 위해 무늬를 형성시키거나, 칠 또는 코팅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콘크리트(C)를 채워 소정 두께의 벽을 형성하는 벽 구조체에 있어서,
    외벽으로 사용되는 제1벽체와;
    패널부재에 단열부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제1벽체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벽으로 사용되는 제2벽체와;
    상기 제1,2벽체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개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벽체와 제2벽체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체결되어 제1,2벽체를 연결부재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2벽체 사이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제1벽체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제1벽체의 외측 경계선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제1보강부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중앙이 크고 양측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양측의 중심에 고정부재(20)를 수용하는 너트공(34)이 각각 구비된 몸체(31)를 구성하고, 상기 제1,2수용구(32)(33)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몸체(31)의 양측에 원뿔형으로입구(36)가 확장된 제1,2수용구(32)(33)를 구성하며, 몸체(31)의 양단과 제1,2수용구(32)(33)가 연결되는 경계선에 두께를 얇게 하여 상호 결합력을 약화시킨 절단홈(35)이 형성되며, 출구(37)에 드라이버와 같은 착탈 공구가 삽입되도록 공구삽입홈(38)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몸체(41)를 너트공(44)이 통공된 원통체로 구성하고, 제1,2수용구(42)(43)의 출구(47) 측의 외주면에 나선형 결합돌기(45)를 구성하고, 그 내주면에 입구(46)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몸체(41)의 일측단부를 삽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49)을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벽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고정편(51)의 표면에 다수의 통공(52)이 형성되며, 일측면 중심에 제1벽체(11)의 제1고정공(21)에 삽입되는 체결보스(53)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보스(5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선단에 나선(54)을 형성하고 후단 측면에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볼트(55)가 연결부재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체.
  5. 소정 두께의 벽을 형성하는 벽 구조체에 있어서,
    외벽으로 사용되는 제3벽체와;
    상기 제3벽체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내벽을 형성하는 제4벽체와;
    상기 제3,4벽체의 사이에 콘크리트기둥이 설치될 위치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3,4벽체와 고정되는 보강후레임과;
    상기 제3,4벽체 사이의 공간에 수평 방향으로 개재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3벽체와 제4벽체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체결되어 제3,4벽체를 연결부재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에 채워질 때 제3,4벽체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제3,4벽체의 경계선에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제2보강부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제3,4벽체(70)(70A)의 내측면에 방수막(7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보강후레임은,
    두께가 얇고 탄성을 가진 양철을 소재로 하여 상부는 연결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전`후변으로 체결편(81)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콘크리트기둥(C-1)이 설치될 공간(A)(B)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체
KR1019990011645A 1999-01-07 1999-04-02 벽 구조체 KR100321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668999A 1999-01-07 1999-01-07
US09-226689 1999-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276A KR20000052276A (ko) 2000-08-16
KR100321140B1 true KR100321140B1 (ko) 2002-03-18

Family

ID=2284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645A KR100321140B1 (ko) 1999-01-07 1999-04-02 벽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103A (ko) * 2014-04-24 2016-02-02 김 다니엘 건축 구조용 프리패브 콘크리트 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10B1 (ko) * 2001-04-24 2004-04-27 이종은 목조벽돌로 건물 벽을 시공하는 방법
KR100447994B1 (ko) * 2001-06-11 2004-09-08 강병규 건설용 장식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또는 건축물 외벽의시공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8947A (en) * 1986-11-13 1987-10-13 Mckay Harry Concrete wall form tie system
US4889310A (en) * 1988-05-26 1989-12-26 Boeshart Patrick E Concrete forming system
US4967528A (en) * 1987-03-02 1990-11-06 Doran William E Construction block
KR930000899U (ko) * 1991-06-05 1993-01-21 주식회사 금토개발 콘크리트 거푸집용 유니트
US5428933A (en) * 1994-02-14 1995-07-04 Philippe; Michel Insulating construction panel or block
JPH10238114A (ja) * 1997-02-26 1998-09-08 Nippon Cement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形成用型枠の組立構造
US5845445A (en) * 1996-12-03 1998-12-08 Blackbeard; Geoffrey J. Insulated concrete form
US5992114A (en) * 1998-04-13 1999-11-30 Zelinsky; Ronald Dean Apparatus for forming a poured concrete wal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8947A (en) * 1986-11-13 1987-10-13 Mckay Harry Concrete wall form tie system
US4967528A (en) * 1987-03-02 1990-11-06 Doran William E Construction block
US4889310A (en) * 1988-05-26 1989-12-26 Boeshart Patrick E Concrete forming system
KR930000899U (ko) * 1991-06-05 1993-01-21 주식회사 금토개발 콘크리트 거푸집용 유니트
US5428933A (en) * 1994-02-14 1995-07-04 Philippe; Michel Insulating construction panel or block
US5845445A (en) * 1996-12-03 1998-12-08 Blackbeard; Geoffrey J. Insulated concrete form
JPH10238114A (ja) * 1997-02-26 1998-09-08 Nippon Cement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形成用型枠の組立構造
US5992114A (en) * 1998-04-13 1999-11-30 Zelinsky; Ronald Dean Apparatus for forming a poured concrete w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103A (ko) * 2014-04-24 2016-02-02 김 다니엘 건축 구조용 프리패브 콘크리트 거푸집
KR101949967B1 (ko) 2014-04-24 2019-04-22 김 다니엘 건축 구조용 프리패브 콘크리트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276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046A (en)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 for walls, roofs, and floors using a foam core building panel and connectors
US6247280B1 (en) Insulated wall construction and form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934693B2 (en) Formwork for erecting reinforced concrete walls, including concrete walls with textured surfaces
US4862660A (en) Foamed panel including an internally mounted stud
US5819489A (en) Pre-formed building studs and construction form system
EP0966577B1 (en) Concrete double monocoque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US6349509B1 (en) Molded wall panel and house construction
US6195950B1 (en) Engineered structural modular units
US20080115455A1 (en) Foam core panel for prefabricated buildings
US20040103601A1 (en) Building structure and modular construction method
WO1996041060A1 (en) Wall form structure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339568B2 (en) Construction system for a module of a building
US5771654A (en)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molded polymer blocks
US6851233B2 (en) Cast log structure
US3686815A (en)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6804925B1 (en) Composite building material and panels made therefrom
US200300564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duit and boxes in a closed wall system
US5540020A (en) Building panel
KR100321140B1 (ko) 벽 구조체
US20070278381A1 (en) Exterior wall construction
US20230183977A1 (en) Building assembly
US20070051058A1 (en) Genesis foundation wall system
KR100485585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형강
WO2012060863A2 (en) Wall panel construction and method for in situ assembly
US7444786B2 (en) Cast lo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