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110B1 -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110B1
KR100321110B1 KR1019990037055A KR19990037055A KR100321110B1 KR 100321110 B1 KR100321110 B1 KR 100321110B1 KR 1019990037055 A KR1019990037055 A KR 1019990037055A KR 19990037055 A KR19990037055 A KR 19990037055A KR 100321110 B1 KR100321110 B1 KR 10032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ping
cup
socket
far
rec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641A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1999003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110B1/ko
Priority to KR2019990018640U priority patent/KR200168378Y1/ko
Publication of KR2001000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61H7/008Suction 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면 일측부에는 체크밸브(13)를 구비한 흡입기 결합봉(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전선 통과공(15)과 수개의 회동 방지홈(16)을 구비한 '∩'형 소켓 결합구(1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부항컵(1)과; 외주면에는 수개의 가이드 돌기(21)가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는 소켓(2)과; 상기 소켓(2)들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류 및 흡입기(6)로 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될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수개의 원적외선 램프(3)와; 일단부에는 정류 및 흡입기(6)의 전압출력단자로 연결하기 위한 콘넥터(41)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켓(2)에 각각 연결된 전원공급선(4)과; 상기 소켓 결합구(14)에 천공된 전선 통과공(15)에 끼워져 내외부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5)과; 상기 부항컵(1)의 흡입기 결합봉(11)에 설치된 체크밸브(13)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호스(62)를 통해 부항컵(1)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각각의 부항기가 인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부항컵(1)에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3)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정류 및 흡입기(6)로 구성하여 진공압을 이용한 부항치료시 원적외선을 통한 치료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내분비물 및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통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Cupping treatment device with infrared therapy}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는, 각각의 부항컵내의 천정부에 원적외선 램프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진공압을 이용한 부항치료시 원적외선을 통한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져 부항 치료효과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기라 함은, 진공정혈요법, 혈액정화 및 체질개선에 사용되는 한방 치료기로서, 치료코져 하는 환부에 부항컵을 엎어놓고 흡착장치를 이용하여 부항컵내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상태를 만들어 주므로써 시술부위의 피부 일부가 부항컵내로 흡입되어 근육이 풀리고 신경이 안정되며, 피부의 담구멍이 열리게 되어 그 땀구멍을 통해 모세관에 존재하는 인체내의 노폐물과 독소등이 유출되어 혈관내의 혈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피 또는 고름을 뽑아내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부항기로는 소정량의 연소물질을 부항컵내 뿌리고 이를 일정시간 연소시키는 방식을 통해 그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켜 부항컵를 인체에 설치하는 것과, 흡입기 또는 흡입펌프를 이용하여 부항컵내의 공기를 뽑아내는 동작을 통해 진공으로 형성시켜 인체에 설치하는 것이 있다.
한편, 태양광선 중 눈네 보이지 않는 파장(780mm - 106mm)이 가장 긴 전자파의 적외선을 이용하여 인체를 치료하는 원적외선 치료기가 있는데, 이와같은 원적외선을 인체에 가하게 되면 인체의 피하에 약 40mm까지 침투되어 원자핵 (+)와 (-)전하를 띤 전자간에 이원화 현상이 강하게 일어나서 인체의 약 300만종에 달하는 효소합성 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대사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세포의 조직액과 세포간에 활발한 대사작용으로 인하여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여러가지 효소의 합성 및 호르몬 생산과 성장의 조건 즉, 생육조건을 제공하므로 각종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인체에 원적외선을 조사시키면 혈액순환이 활성화되고 신진대사가 촉진되므로 인해 혈관의 노폐물이 없어지고 혈전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 적혈구의 기능이 파괴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어 면역기능을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 노화, 피로의 원인인 유산이나 피하 지방질을 배설하고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항치료시 상기한 원적외선 치료기를 이용하여 치료부위에 원적외선을 조사시키면 치료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데, 종래의 모든 부항기나 원적외선 치료기는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 가정은 물론 병원등지에서 이 두가지 모두를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될 뿐만 사용상 및 보관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부항컵내에 원적외선 램프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진공압을 이용한 부항치료시 원적외선을 통한 치료가 동시에 이루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부항 및 원적외선 치료효과를 대폭 증진시킬 수 있어 내분비물 및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통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일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면이 트여지고 상면 일측부에는 배기공을 구비한 흡입기 결합봉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방부에는 전선 통과공이 천정부에 구비되고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수개의 회동 방지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형 소켓 결합구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부항컵과;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 방지홈에 대향되는 형상을 갖는 수개의 가이드 돌기를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부항컵들의 소켓 결합구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적외선 램프 결합용 소켓과; 상기 소켓들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류 및 흡입기로 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될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수개의 원적외선 램프와; 일단부에는 정류 및 흡입기로 연결하기 위한 콘넥터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켓의 두 단자에 각각 연결된 구성을 갖는 전원공급선과; 상기 전원공급선의 일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부항컵의 소켓 결합구에 형성된 전선 통과공에 끼워져 밀폐기능을 수행하는 패킹과; 내부에는 진공 흡착용 펌프와 정류회로가 내장된 구성을 갖고 상기 부항컵의 흡입기 결합봉에 일단부가 연결된 호스를 통해 부항컵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각의 부항컵에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정류 및 흡입기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원적외선 치료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부항치료시 각각의 부항컵내로 흡입된 인체의 일부에 원적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어 진공압을 이용한 부항치료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원적외선 조사를 통해 인체내의 분비물 및 혈액순환을 더욱 활성시킬 수 있어 신진대사를 대폭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 중 부항컵의 조립상태 요부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에 원적외선 및 부항치료를 실시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부항컵 2 : 원적외선 램프 결합용 소켓
3 : 원적외선 램프 4 : 전원공급선
5 : 패킹 6 : 정류 및 흡입기
7 : 실리콘 11 : 결합봉
12 : 배기공 13 : 체크밸브
14 : 소켓 결합구 15 : 전선 통과공
16 : 회동 방지홈 21 : 가이드 돌기
41 : 콘넥터 61 : 출력단자
62 : 호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 중 부항컵의 조립상태 요부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에 원적외선 및 부항치료를 실시하는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인체의 일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면이 트여지고 상면 일측부에는 배기공(12)을 구비한 흡입기 결합봉(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상방부에는 체크밸브(13)가 설치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전선 통과공(15)이 천정부에 천공되고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수개의 회동 방지홈(16)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형 소켓 결합구(1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부항컵(1)과;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 방지홈(16)에 대향되는 형상을 갖는 수개의 가이드 돌기(21)가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부항컵(1)들의 소켓 결합구(14)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원적외선 램프 결합용 소켓(2)과;
상기 소켓(2)들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류 및 흡입기(6)로 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될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수개의 원적외선 램프(3)와;
일단부에는 정류 및 흡입기(6)의 전압출력단자로 연결하기 위한 콘넥터(41)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켓(2)들의 두 단자에 각각 연결된 구성을 갖는 전원공급선(4)과;
상기 전원공급선(4)의 일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부항컵(1)의 소켓 결합구(14)에 천공된 전선 통과공(15)에 끼워져 내외부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5)과;
내부에는 진공 흡착용 펌프와 높은 교류전압을 낮은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수개의 출력단자(61)들을 통해 출력시켜 주는 정류회로가 내장된 구성을 갖고 상기 부항컵(1)의 흡입기 결합봉(11)에 설치된 체크밸브(13)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호스(62)를 통해 부항컵(1)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각각의 부항기가 인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부항컵(1)에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3)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정류 및 흡입기(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선(4)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하여 사람이 누운상태에서 부항 및 원적외선을 통해 치료에 임할시 사용자의 행동반경에 지장을 주지않는 상태에서 상기 정류 및 흡입기(6)의 출력단자(61)에 원할히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류 및 흡입기(6)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 흡착용 펌프와 정류회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도시를 생략 하였습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4)의 일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설치된 패킹(5)이 소켓 결합구(14)의 전선 통과공(15)에 꽉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정류 및 흡입기(6)를 작동시켜 부항컵(1)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낼시 소켓 결합구(14)의 전선 통과공(15)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부항컵(1)내로 유입되는 것을 대부분 방지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거나, 패킹(5)을 잘못 제작하였을시 상기 전선 통과공(15)과 패킹(5)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 우려가 있음은 물론, 상기 소켓(2)과 소켓 결합구(14) 사이의 고정력이 저하된 경우 상기 소켓(2)이 소켓 결합구(14)로 부터 자유롭게 이탈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2)의 저단부와 소켓 결합구(14)의 내주면 저단부 사이에 실리콘(7)을 일정두께로 발라주어 2중으로 밀폐 및 고정시켜 주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부항 및 원적외선 치료를 수행하고자 할시에는 각 부항컵(1)내의 소켓(2)에 일단부가 연결된 전원공급선(4) 타단의 콘넥터(41)들을 정류 및 흡입기(6)의 출력단자(61)들에 각각 일대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항컵(1)들을 치료코자 하는 환부에 각각 올려 놓고 정류 및 흡입기(6)내의 진공 흡착용 펌프에 일단부가 연결된 호스(62)의 타단부를 부항컵(1)들의 흡입기 결합봉(11)에 설치된 체크밸브(13)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부항컵(1)내에 분포되어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각각의 부항컵(1)들이 도 3과 같이 인체의 소정 부위에 각각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와같은 상기 정류 및 흡입기(6)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키면 각각의 부항컵(1)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적외선 램프(3)들이 점등된다.
따라서, 상기 부항컵(1)들의 저부로 흡입된 인체의 일부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므로 부항 및 원적외선 치료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부항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부항치료에 의해 근육이 풀리고 신경이 안정됨은 물론 피부의 담구멍이 열리게 되어 그 땀구멍을 통해 모세관에 존재하는 인체내의 노폐물과 독소등이 유출되어 혈관내의 혈행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원적외선 치료에 의해 혈액순환이 활성화되므로 신진대사가 촉진되어 혈관의 노폐물이 없어지고 혈전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 적혈구의 기능이 파괴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어 면역기능을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화, 피로의 원인인 유산이이나 피하 지방질을 배설하고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부항 및 원적외선 치료가 완료된 후에는 정류 및 흡입기(6)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각각의 부항컵(1)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적외선 램프(3)를 소등시키고 체크밸브(13)를 작동시켜 부항컵(1)들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면 각각의 부항컵(1)들이 인체로 부터 이탈되며, 이와같은 부항컵(1)들을 특정용기나 박스등에 보관코자할시에는 상기 전원공급선(4)의 단부에 설치된 콘넥터(41)를 정류 및 흡입기(6)의 출력단자(61)로 부터 상호 분리시켜 보관하면 된다.
또한, 각각의 부항컵(1)에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3)를 소켓(2)으로 부터 착탈이 가능하므로 사용중 원적외선 램프(3)가 단선되었을 경우 해당 부항컵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만 새로운 램프로 간단히 교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부항컵(1)의 소켓 결합구(14)에는 수개의 회동 방지홈(16)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에 끼워지는 소켓(2)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동 방지홈(16)에 대향되는 형상을 갖는 수개의 가이드 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적외선 램프(3)의 착탈시 상기 소켓(2)은 소켓 결합구(14)에서 좌우로 전혀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부항컵내에 원적외선 램프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공압을 이용한 부항치료시 원적외선을 통한 치료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내분비물 및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통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인체의 일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면이 트여지고 상면 일측부에는 배기공(12)을 구비한 흡입기 결합봉(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상방부에는 체크밸브(13)가 설치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전선 통과공(15)이 천정부에 천공되고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수개의 회동 방지홈(16)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형 소켓 결합구(1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부항컵`(1)과;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 방지홈(16)에 대향되는 형상을 갖는 수개의 가이드 돌기(21)가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부항컵(1)들의 소켓 결합구(14)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원적외선 램프 결합용 소켓(2)과;
    상기 소켓(2)들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류 및 흡입기(6)로 부터 전원전압이 공급될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수개의 원적외선 램프(3)와;
    일단부에는 정류 및 흡입기(6)의 전압출력단자로 연결하기 위한 콘넥터(41)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켓(2)들의 두 단자에 각각 연결된 구성을 갖는 전원공급선(4)과;
    상기 전원공급선(4)의 일단부 외주연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부항컵(1)의 소켓 결합구(14)에 천공된 전선 통과공(15)에 끼워져 내외부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5)과;
    내부에는 진공 흡착용 펌프와 높은 교류전압을 낮은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수개의 출력단자(61)들을 통해 출력시켜 주는 정류회로가 내장된 구성을 갖고 상기부항컵(1)의 흡입기 결합봉(11)에 설치된 체크밸브(13)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호스(62)를 통해 부항컵(1)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각각의 부항기가 인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부항컵(1)에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3)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정류 및 흡입기(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2)의 저단부와 소켓 결합구(14)의 내주면 저단부 사이를 실리콘(7)으로 밀폐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KR1019990037055A 1999-09-02 1999-09-02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KR10032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055A KR100321110B1 (ko) 1999-09-02 1999-09-02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KR2019990018640U KR200168378Y1 (ko) 1999-09-02 1999-09-03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055A KR100321110B1 (ko) 1999-09-02 1999-09-02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640U Division KR200168378Y1 (ko) 1999-09-02 1999-09-03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41A KR20010007641A (ko) 2001-02-05
KR100321110B1 true KR100321110B1 (ko) 2002-03-18

Family

ID=1960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055A KR100321110B1 (ko) 1999-09-02 1999-09-02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19B1 (ko) * 2007-04-04 2008-06-24 권영식 온열부항기 및 이를 사용하는 부항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592U (ko) * 1977-07-30 1979-02-26
KR930019230A (ko) * 1992-03-30 1993-10-18 기준성 원적외선 방사부항기의 제조방법
KR970025586A (ko) * 1997-03-17 1997-06-24 배삼훈 잠열 및 원적외선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부항기
KR19980014524A (ko) * 1996-08-13 1998-05-25 박상규 가정용 복합 물리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5123U (ko) * 1999-06-02 1999-09-06 김용식 부항기능을가지고원적외선을방사하는방열침치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592U (ko) * 1977-07-30 1979-02-26
KR930019230A (ko) * 1992-03-30 1993-10-18 기준성 원적외선 방사부항기의 제조방법
KR19980014524A (ko) * 1996-08-13 1998-05-25 박상규 가정용 복합 물리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970025586A (ko) * 1997-03-17 1997-06-24 배삼훈 잠열 및 원적외선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부항기
KR19990035123U (ko) * 1999-06-02 1999-09-06 김용식 부항기능을가지고원적외선을방사하는방열침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41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2293A (en) Can sucker mechanism
KR200399213Y1 (ko) 부항을 겸한 원적외선 온열 방사 기능을 갖는 저주파치료기
KR101486642B1 (ko) 조합형 부항 컵
KR100321110B1 (ko)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KR200168378Y1 (ko) 원적외선 및 부항 치료장치
CN210904663U (zh) 一种医用电疗仪负压吸盘辅助装置
KR20180125643A (ko) 피부미용 관리용 고주파 마사지기
KR200404004Y1 (ko) 일체형 원터치식 적외선 부항기
KR200243194Y1 (ko) 부항기
KR200417539Y1 (ko) 부항기
CN218793564U (zh) 一种减脂塑形美容仪
KR20010002692A (ko) 신체 맛사지기
CN110404178A (zh) 一种中医骨伤红外热疗仪
KR20210001775U (ko) 향상된 밀착수단을 갖는 돌출부용 부항기
KR10035390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KR200264496Y1 (ko) 부항 기능을 가지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방열 침 치료기
KR200286105Y1 (ko) 부항기
JP2021524780A (ja) 刺激治療装置
CN209630444U (zh) 一种旋转式理疗电极
CN209933622U (zh) 新型拔罐罐内紫铜微电流导电理疗装置
CN209933621U (zh) 一体式微型低频生物电流拔罐理疗装置
KR20010091280A (ko) 경혈 자극식 부항기
CN220424356U (zh) 插接式经皮给药装置
CN213526373U (zh) 一种穴位治疗罐
KR20060062480A (ko) 의료용 흡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