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031B1 - Variable multipurpose chair - Google Patents

Variable multipurpos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031B1
KR100319031B1 KR1019990046990A KR19990046990A KR100319031B1 KR 100319031 B1 KR100319031 B1 KR 100319031B1 KR 1019990046990 A KR1019990046990 A KR 1019990046990A KR 19990046990 A KR19990046990 A KR 19990046990A KR 100319031 B1 KR100319031 B1 KR 100319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chair
frame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38855A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1999004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031B1/en
Publication of KR2001003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8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03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2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bar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3Non-upholstered chairs, e.g. metal, plastic or wooden chai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결합방법에 따라 의자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일상생활에 필요 용도에 따라 맞게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가변의자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ulti-purpose variable chair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the needs of daily life by varying the shape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method have.

본 발명은 위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단부 둘레를 이루는 전, 후부의 수평대(12)에 내측으로 단턱(12a)를 형성하고 또한 중간의 전,후 수평대(13)에 각각 하단으로 단턱(13a)을 형성하고 하단 후방의 수평대(14)에 단턱(14a)을 형성한 메인틀체(1)와,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ep 12a inwards o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band 12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end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object, and the step 13a at the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front and rear horizontal bands 13, respectively. ) And the main body (1) having a step (14a) formed on the horizontal stage 14 of the lower rear,

상기 메인틀체(1)의 상단부 수평대(12)에 형성한 단턱(12a)내에 끼워지게 형성한 시트판(21)에 적정높이로 상기 보강판(15)과 맞접하면 메인틀체(1)내에 맞게 끼워지도록한 보조판(22)을 연결대(23)로 시트판(21)에 연결한 가변틀체(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einforcing plate 1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late 15 at an appropriate height, the seat plate 21 is formed to fit in the step 12a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12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 so as to fit within the main body 1. The auxiliary plate 22 to be fitte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variable frame (2) connected to the seat plate 21 by a connecting table (23).

Description

다용도 가변의자{Variable multipurpose chair}Variable multipurpose chair

본 발명은 다용도 가변의자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결합방법에 따라 의자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일상생활에서 여러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satile variable chair, and in more detail, the shape of the chair in accordance with the coupling method in various ways to be useful for various purposes in everyday life.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장소, 용도, 등의 그 용도에 따라 적합하도록 제작,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탁자용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서 탁자에서 식사를 하거나 기타 일을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그 기능이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다.In general, chairs are manufactured and used to be suitable according to the use place, purpose, and the like. For example, a chair for a table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it and eat at a table or to view other things. It can only be used as.

따라서 가정에서는 유아에서 노인까지 인원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일례로 동일 탁자에서 식사 등을 할 경우 각 연령에 맞게 의자를 구비할 수 없어 동일규격의 의자로 함께 사용하므로서 유아나 노인들에게는 적합하지 못하여 불편을 감수하거나 별도로 식사등을 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Therefore, at home, there are many people from infants to the elderly. For example, if you eat at the same table, you can't have a chair for each age. It can be a hassle to take a seat or arrange a place to eat a meal separately.

또, 가정에는 벽찬장, 전등 시설물 등 사용하는 물건이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물품을 수리하거나 교체 및 청소 등을 주부들이 많이 하게 되는데 대부분 사다리가 구비되지 못하여 사다리 대용으로 기존의 의자를 이용하게 되는데 탁상 의자에 올라가도 닿지 않는 것이 많아 의자위에 적당한 물품을 올려 놓고 올라가게 되는데 올라간 자세가 불안하고 받침이 불안전한 상태이어서 순간 실수 등의 부주의로 넘어져 골절 등 부상을 입는 사례가 많고, 또한 주부들은 주방에서 장시간요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방에서 앉아서 요리할 수 있는 별도의 의자가 없어 서서 요리를 할 수 밖에 없었다.In addition, households often use high places such as cupboards and light fixtures, so many housewives repair, replace, and clean these items. Many people can't reach it even when they get on the table chair, but they put up the proper items on the chair. Many people cook for a long time in the kitchen, but there was no separate chair to sit in the kitchen and had no choice but to cook.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결합형태에 따라 의자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일상생활에 필요 용도에 따라 맞게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가변의자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ulti-purpose variable chair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the needs of daily life by varying the shape of the chair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ed form have.

본 발명은 위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implement the above object.

각 모서리를 이루는 수직대의 둘레에 각각 수평대로 연결하되, 하단 전방으로 수평대가 없이 개방되고 상단부 둘레를 이루는 전, 후부의 수평대에 내측으로 단턱을 형성하고 또한 중간의 전,후 수평대에 각각 하단으로 단턱을 형성하고 한쪽 수평대 내쪽으로 보강판을 설치하며 하단 수평대에 단턱을 형성한 메인틀체와,It is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periphery of the vertical stand forming each corner, but it is open without a horizontal stand at the bottom, and forms a step inward on the horizontal stand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end and forms the lower end on the middle before and after the horizontal stand. The main body formed by forming a stepped jaw and installing a reinforcement plate inside one horizontal stand and forming a stepped step on the lower horizontal stand,

상기 메인틀체의 상단부 수평대에 형성한 단턱내에 끼워지게 형성한 시트판에 적정높이로 상기 보강판과 맞접하면 메인틀체에 맞게 끼워지도록한 보조판을 연결대로 시트판에 연결한 가변틀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It consists of a variable frame body connected to the seat plate by connecting the auxiliary plate to be fitted to fit the main frame body in contact with the reinforcement plate at an appropriate height to the seat plate formed to fit within the step formed on the horizontal band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body It is a feature.

도 1은 본 발명의 메인틀체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메인틀체에 결합되는 가변틀체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frame coupled to the main frame

도 3 (a)(b)는 제1조립상태를 보인 분리 및 조립 사시도Figure 3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and assembly showing the first assembled state

도 4 (a)(b)는 제2조립상태를 보인 분리 및 조립 사시도Figure 4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and assembly of the second assembled state

도 5 (a)(b)는 제3조립상태를 보인 분리 및 조립 사시도Figure 5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and assembly of the third assembled state

도 6 (a)(b)는 제4조립상태를 보인 분리 및 조립 사시도Figure 6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and assembly showing the fourth assembled state

도 7은 제5조립상태의 조립단면도7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a fifth assembled sta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메인틀체 2:가변틀체1: main frame 2: variable frame

11:수직대 12,13,14:수평대11: vertical 12, 13, 14: horizontal

15:보강판15: reinforcement board

21:시트판 22:보조판21: Seat plate 22: Subsidiary plate

23:연결대23: connecting rod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사각틀 형체를 이루는 메인틀체(1)와, 메인틀체(1)에 상부에서 또는 하부에서 끼워져 용도에 따라 결합되는 가변틀체(2)로 본 발명의기본구성을 이룬다.1 and 2 form a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main frame body 1 forming a rectangular frame body, and a variable frame body 2 fitted into the main frame body 1 from above or from below.

상기 메인틀체(1)는 각 모서리를 이루는 수직대(11)의 둘레에 상단, 중간, 하부에 각각 수평대(12,13,14)로 연결하여 기본 사각형체를 이루되, 하단 전방으로 수평대(14)가 없이 개방되고 상단부 둘레를 이루는 전, 후부의 수평대(12)에 내측으로 단턱(12a)을 형성한다. 또한 중간의 전,후 수평대(13)에 각각 하단으로 단턱(13a)을 형성하고 한쪽 수평대(13) 내쪽으로 보강판(15)을 설치하며 하단 한쪽에만 설치한 수평대(14)에 단턱(14a)을 형성한 것이다.The main frame body 1 is connected 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horizontal bars 12, 13, and 14, respectively, around the vertical stand 11 forming the corners to form a basic rectangular body, and the horizontal stand forward to the lower front. Steps 12a are formed inward on the horizontal stage 12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that are open without the 14 and form the upper periphery. In addition, a step 13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stand 13 in the middle, and the reinforcing plate 15 is installed into one horizontal stand 13, and the stepped to the horizontal stand 14 installed only at one side of the bottom. (14a) was formed.

상기 가변틀체(2)는 상기 메인틀체(1)의 상단부 수평대(12)에 형성한 단턱(12a)내에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한 시트판(21)에 적정높이로 상기 보강판(15)과 접하면 메인틀체(1)내에 맞게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한 보조판(22)을 각 모서리부에 연결대(23)로 시트판(21)에 연결한 것이다.The variable frame body (2) and the reinforcement plate (15) at an appropriate height to the seat plate 21 formed of a size fitted into the step (12a)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12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body (1) When contacted, the auxiliary plate 22 formed in a size that fits within the mainframe body 1 is connected to the sheet plate 21 with a connecting table 23 at each corner portion.

이와 같이 구성한 메인틀체(1)와 가변틀체(2)를 용도에 따라 결합상태를 도3의 도면에 의하여 살펴보면,Looking at the coupling state of the main frame body 1 and the variable frame body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se of Figure 3,

제1결합상태는 도 3의 분리 및 조립도에서와 같이 메인틀체(1)의 상단둘레에 수평대(12)가 설치된 부분이 위로한 상태에서 가변틀체(2)의 시트판(21)을 끼우면 전후 수평대(12)에 형성한 단턱(12a)에 걸리어 재치되므로서 사용자가 올라가 시트판(21)상에 연결대(23)로 연결한 보조판(22)에 앉으면서 다리는 시트판(21)에 올려 놓을 수 있어 높은 위치에서 앉아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되고 특히, 사다리와 같이 2단계로 올라가 높은 위치의 물건을 꺼내거나 천정등에 있는 전기용품 등을 수리, 청소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사다리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In the first coupling state, as shown in the separation and assembly diagram of FIG. 3, when the seat plate 21 of the variable frame body 2 is inserted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bar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ain frame body 1, The leg is seated while being seated on the auxiliary plate 22 connected by the connecting rod 23 on the seat plate 21 while being mounted by being caught by the step 12a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stand 12. It can be placed on the floor and used conveniently when sitting in a high position.In particular, it can be used as a ladder that can be used to climb up to two levels, such as a ladder, to take out objects in a high position, or to repair or clean electrical appliances on the ceiling. Can be.

제2결합상태는 도 4의 분리 및 조립도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틀체(1)의 위치에서 가변틀체(2)의 위치를 반대로 뒤집어 시트판(21)이 상부로 위치한 상태로 하여 메인틀체(1)에 끼우면 보조판(22)은 메인틀체(1)의 내부에 중간에 위치한 수평대(13)에 위치하고 시트판(21)은 상단의 단턱(12a)에 걸리어 상면부분이 평면을 갖는 보조의자로 이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separation and assembly diagram of FIG. 4, the second coupling state reverses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body 2 at the position of the main frame body 1 so that the seat plate 21 is positioned upward. ), The auxiliary plate 22 is located on the horizontal stand 13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ain body 1, and the seat plate 21 is caught by the upper stepped portion 12a. Can be used.

제3결합상태는 도 5의 분리 및 조립도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틀체(1)를 뒤집어 상단 둘레에 수평대(14)가 한쪽이 없는 상태를 전방으로 한 상태에서 가변틀체(2)의 보조판(23)이 상부로 위치하고 시트판(21)을 메인틀체(1)의 위에서 끼워 중간의 수평대(13)에 형성한 단턱(13a)에 걸리어 시트판(21)이 재치되므로서 상기 도 3에서와 같은 용도로 이용하되 높이를 적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적합한 형태의 용도로 사용된다.The third coupling state is the auxiliary plate of the variable frame body 2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 is turned upside down and the horizontal bar 14 does not have one side around the top as in the separation and assembly diagram of FIG. 5. 3 and the seat plate 21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13, and the seat plate 21 is placed on the intermediate platform 13a. It is used for the same purpose, but if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height, it is used for the suitable form.

제4결합상태는 도 6의 분리 및 조립도에서와 같이 제3결합 상태의 메인틀체(1)의 위치상태에서 가변틀체(2)만 뒤집어 끼우면 양측으로 수평대(13)가 팔걸이 역할을 하고 후방의 수평대(13)가 등받이 역활을 하게 되고 일반 의자보다 높아 식탁에서 어린이 용도의 의자, 보조의자 등으로 이용할 수 있고 그외 사용자의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fourth coupling state, as shown in the separation and assembly diagram of FIG. 6, when only the variable frame body 2 is inserted in the position state of the main frame body 1 in the third coupling state, the horizontal stand 13 serves as an armrest on both sides and the rear side. The horizontal stand of 13 serves as a backrest, and can be used as a chair, an auxiliary chair, etc. for children's use at a table higher than a general chair, and other users can use it arbitrarily.

제5결합상태는 도 7에서와 같이 도 3의 도시한 상태의 메인틀체(1) 위치상에서 보조판(22)이 위로 한 상태로 가변틀체(2)를 메인틀체(1)의 하부로 끼워주면 보조판(22)이 메인틀체(1)의 내부 중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서 유아들을 앉힐 수 있는 시트역활을 하고 보강판(15)이 발판의 역활을 하며, 메인틀체(1)의 상부둘레에 수평대(12)가 난간역활을 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의자로 변신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variable frame body 2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body 1 with the auxiliary plate 22 facing up on the main body body 1 position of the state shown in FIG. (22)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ner middle of the mainframe body 1 serves as a seat for infants seated, the reinforcement plate 15 serves as a footrest, a horizontal stand o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ainframe body (1) (12) acts as a railing and transforms it into a chair that can safely protect the infant.

위 다수 결합 예시의 용도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결합방법을 달리하면 사용용도의 범위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It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multiple coupling examples, if the user can change the coupling method suitably as necessary, it is possible to apply a wide range of uses.

또한 예시도면에서는 나무재질의 각대를 사용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합성수지의 성형, 결합으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emplary drawing, but the use of each of the wooden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is can be produced by molding, bonding of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2개의 틀체에 의하여 결합방향과 위치에 따라 결합형태를 달리하여 사용용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ersified in use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coupling by simple two frames, thereby maximizing utilization and being useful in homes or offices. .

Claims (3)

각 모서리의 수직대에 수평대를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의자에 있어서,In the prefabricated chair assembled by connecting a horizontal stand to the vertical stand of each corner, 상단부 둘레를 이루는 전, 후부의 수평대(12)에 내측으로 단턱(12a)를 형성하고 또한 중간의 전,후 수평대(13)에 각각 하단으로 단턱(13a)을 형성하고 하단 후방의 수평대(14)에 단턱(14a)을 형성한 메인틀체(1)와,The stepped portion 12a is formed inwardly on the horizontal stage 12 before and after forming the upper periphery, and the stepped portion 13a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n the middle front and rear horizontal stages 13, respectively, The main body 1 in which the step 14a was formed in 14, 상기 메인틀체(1)의 상단부 수평대(12)에 형성한 단턱(12a)내에 끼워지게 형성한 시트판(21)에 적정높이로 상기 보강판(15)과 맞접하면 메인틀체(1)내에 맞게 끼워지도록한 보조판(22)을 연결대(23)로 시트판(21)에 연결한 가변틀체(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의자.When the reinforcing plate 1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late 15 at an appropriate height, the seat plate 21 is formed to fit in the step 12a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12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 so as to fit within the main body 1. Multi-purpose assembl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plate 22 to be fitted into the variable frame (2) connected to the seat plate 21 by a connecting table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틀체(1)의 중간부에 위치한 수평대(13)내에 보강판(15)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의자.2. The multipurpose assembling 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plate (15)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stand (13)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ain frame body (1). 제1항에 있어서, 수직대(11) 및 수평대(12,13,14)로 이루어지는 메인틀체(1) 와 가변틀체(2)를 각각 일체로 성형,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의자The multipurpose assembling 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frame body (1) and the variable frame body (2), each of which comprises a vertical stand (11) and a horizontal stand (12, 13, 14), are integrally formed and formed.
KR1019990046990A 1999-10-28 1999-10-28 Variable multipurpose chair KR100319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990A KR100319031B1 (en) 1999-10-28 1999-10-28 Variable multipurpos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990A KR100319031B1 (en) 1999-10-28 1999-10-28 Variable multipurpose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855A KR20010038855A (en) 2001-05-15
KR100319031B1 true KR100319031B1 (en) 2002-01-09

Family

ID=1961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990A KR100319031B1 (en) 1999-10-28 1999-10-28 Variable multipurpose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03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855A (en)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8227A (en) Compactly stackable chairs and chair-rows
US5660436A (en) Laterally extendable furniture
EP1222879A3 (en) Leg structure of desk
US84594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step stool
JPS6051889B2 (en) stackable armchair
US2569555A (en) Utility frame
KR101914900B1 (en) Frame for Storage furniture
CA2316368A1 (en) Chair with a backrest
KR100319031B1 (en) Variable multipurpose chair
KR20160002665U (en) Assembly type spfa
KR100819146B1 (en) A chair for controlling height
US3467434A (en) Furniture construction
CN215169687U (en) Arc cat ladder for car as a house
CN111214040A (en) Combined child seat device
CN2242643Y (en) Combined multi-purpose children's chair
RU2215457C1 (en) Tranformable dismountable furniture
CN220403542U (en) Multifunctional chair
KR910005460Y1 (en) Stackable chair made of plastics
CN211212192U (en) Multifunctional single armchair
CN220212469U (en) Child chair
US20020195847A1 (en) Chair assembly having upper and lower seat members
CN212972189U (en) Tea table cabinet convenient to assemble
KR200312780Y1 (en) Table in which has a chair with all
CN211298870U (en) Telescopic safe dual-purpose tea table for children
CN209595243U (en) A kind of deformable seat for being combined into practical ladder and 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