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215B1 - 단상 인버터 - Google Patents

단상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215B1
KR100318215B1 KR1019990017564A KR19990017564A KR100318215B1 KR 100318215 B1 KR100318215 B1 KR 100318215B1 KR 1019990017564 A KR1019990017564 A KR 1019990017564A KR 19990017564 A KR19990017564 A KR 19990017564A KR 100318215 B1 KR100318215 B1 KR 10031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power supply
inverter
full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950A (ko
Inventor
변영복
서정일
김은수
김태진
박성준
Original Assignee
권영한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한,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권영한
Priority to KR101999001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215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4Ornamental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2Butto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Landscapes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상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직류전원부(100)의 양단에 연결된 풀브릿지인버터(200); 상기 직류전원부(100)의 분압탭과 상기 풀브릿지인버터(200)의 한 암(A)사이에 연결된 양방향스위칭부(300); 상기 인버터(200)의 두 개의 암(A,B)사이에 연결된 LC필터부(500); 시간응답지연이 영이 되는 전달함수를 가지며, 부하변동에 관계없이 출력전압을 정현파로 유지하고, 부하의 변동에 따른 상기 LC필터부(500)의 인덕터(L)의 편자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데드비트(Deadbeat) 전압/전류제어기(700,800);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전류 이상이 되는지를 검사하여,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정전류제어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정전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정전류제어기(750); 및 상기 모드절환부(77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양방향스위칭부(300) 및 인버터(200)의 각 스위칭 소자(Q1∼Q5)를 단속제어하기 위한 펄스폭변조(PWM) 제어기(9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출력고조파 성분을 최대한 억제하고, 정격전류 이상에서는 정전류 제어모드로 동작되도록 출력전압을 제어하며, 정격전류 이하에서는 부하변동에 따른 편차 현상을 보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상 인버터{Single Phase Inverter}
본 발명은 단상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조건의 직류전원전압과 스위칭 주파수하에서 출력 고조파 성분을 줄이고, 정격 전류 이상의 전류를 필요로 할 시에는 정전류 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그 정격 전류 이하의 전류에서는 부하 변동에 따른 편자 현상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동 전류 보상 기능을 갖도록 된 단상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스폭변조(PWM) 인버터는 출력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버터의 출력 파형에는 기본파 성분 외에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전자 유도 장해, 각종 계전기들의 오동작, 전동기 소음 및 토크 맥동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인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인버터 자체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성분을 최대한 억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동일한 스위칭 주파수 하에서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한 암( Arm )에 4개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는 NPC( Neutral Point Clamped )-PWM 3상 인버터는 선간 전력파형이 3레벨이 되어 풀브릿지형의 3상 PWM 인버터에 비하여 고조파 함유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상인 경우에는 고조파 성분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상 인버터는 근사 정현파 변조기법에 의한 풀브릿지 방식의 인버터이다. 이 단상 인버터의 경우 출력 전압이 영( zero )과 정(正)의 직류 전원 전압과 부(負)의 직류 전원 전압으로 나타나는 바, 이러한 전력 회로의 경우 출력 전압의 고조파 성분은 스위칭 주파수와 스위칭 온/오프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이 경우 고조파 성분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인버터의 정격은 스위칭 소자의 전류 정격에 따라 제한되는 데, 필터부를 가진 인버터에는 전동기의 초기 기동시 정격 전류보다 큰 순간적인 기동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적합한 전류정격보다 전류정격이 큰 인버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과전류 보호기 등을 구비하여 스위칭 소자를 순시적인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도록 하였으나, 이로 인해 인버터의 가격 상승, 효율 저하 및 상기 과전류 보호기의 작동에 의한 시스템의 오류 또는 정지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인버터의 전류정격을 높이지 않고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이러한 한시적인 전류 상승을 보상할 수 있는 인버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일한 직류 전원 전압과 스위칭 주파수 조건하에서 출력 고조파 성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된 단상 인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인버터의 회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스위칭 소자들의 개폐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도 1의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직류전원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상 인버터의 회로도,
도 7은 도 6의 궤환루프 블록도,
도 8은 도 6의 전류제어기의 설계를 위한 궤환루프 제어블록도,
도 9는 도 8을 간략화 한 궤환루프 제어블록도,
도 10은 도 6의 전압제어기의 설계를 위한 궤환루프 제어블록도,
도 11은 도 10을 간략화 한 궤환루프 제어블록도,
도 12는 도 6의 제어모드 변경에 따른 출력전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직류전원부 200 : 풀 브릿지 인버터
300 : 양방향 스위칭부 400 : 부하
500 : LC 필터부 600 : 제어부
700 : 데드비트 전류제어기 750 : 정전류 제어기
770 : 모드절환부 800 : 데드비트 전압제어기
900 : 펄스폭변조 제어기 Q1∼Q4 : 풀브릿지 인버터의 스위칭소자
Q5 : 양방향 스위칭부의 스위칭소자
D1∼D4 : 양방향 스위칭부의 다이오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상 인버터는, 직류 전원의 공급을 위한 직류전원수단; 상기 직류전원수단의 양단에 연결된 풀 브릿지 인버터;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의 진상 레그 및 지상 레그의 각 암 사이에 연결된 평활필터수단; 1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정류 다이오드로 구성되되, 제 1 다이오드는 상기 직류전원수단의 분압탭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입 단자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고, 제 2 다이오드는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출 단자로부터 상기 풀브리지 인버터의 진상 레그의 암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고, 제 3 다이오드는 상기 진상레그의 암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입 단자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으며, 제 4 다이오드는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출 단자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수단의 분압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상기 분압탭과 상기 암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수단; 및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 및 상기 양방향 스위칭수단의 각 스위칭 소자를 단속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류전원수단은, 양단이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에 연결된 주직류전원, 및 상기 주직류전원을 분압하고 분압된 전압을 상기 양방향 스위칭부의 입력전원으로 하기 위한 보조전원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상 인버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상 인버터로서, 직류전원부(100)의 양단에 연결된 풀 브릿지 인버터(200), 상기 직류전원부(100)의 분압탭과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200)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부(300), 및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200) 및 양방향 스위칭부(300)의 각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정현적인 출력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주제어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200)는 절연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로 된 4개의 스위칭 소자(Q1-Q4)가 풀 브릿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풀 브릿지 인버터(200)의 두 개의 암( Arm )(A)(B) 사이에 부하(40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방향 스위칭부(300)는 스위칭 소자인 1개의 IGBT(Q5) 및 정류소자인 4개의 다이오드(D1-D4)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 1 다이오드(D1)는 상기 직류전원부(100)의 분압탭으로부터 상기 IGBT(Q5)의 콜렉터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고, 제 2 다이오드(D2)는 상기 IGBT(Q5)의 에미터로부터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200)의 두 개의 암( Arm )(A,B) 중에 하나의 암(A)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고, 제 3 다이오드(D3)는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200)의 상기 암(A)으로부터 상기 IGBT(Q5)의 콜렉터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으며, 제 4 다이오드(D4)는 상기 IGBT(Q5)의 에미터로부터 상기 직류전원부(100)의 분압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다.
이어, 도 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스위칭 소자들의 개폐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10개의 동작 모드로 구분할 수 있고, 각 모드의 동작에 따른 전류 루프 및 출력 전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제 1 동작 모드(M1)는, 제 1 스위칭 소자(Q1) 및 제 4 스위칭 소자(Q4)가 턴온( Turn-On )된 상태로서, 전원(+) → 제 1 스위칭소자(Q1) → 부하(400) → 제 4 스위칭소자(Q4) → 전원(-)을 따라 흐르는 전류 루프가 형성되고, 이때 출력 전류 io= (+)이며, 출력 전압 Vo는 직류전원전압인 Vd가 된다( Vo= Vd).
도 2b에 도시된 제 2 동작 모드(M1)는, 상기 제 1 동작모드(M1)에 후속하여 상기 제 1 및 제 4 스위칭 소자(Q1)(Q4)가 턴오프( Turn-Off )된 상태로서, 이때 출력 전압은 상기 제 1 모드(M1)와 동일( 즉, Vo= Vd)하고 출력 전류 io= (-)이다.
도 2c에 도시된 제 3 동작모드(M3)는, 제 4 스위칭 소자(Q4) 및 제 5 스위칭 소자(Q5)가 턴온된 상태로서, 전원(100)의 분압탭 → 제 1 다이오드(D1) → 제 5 스위칭소자(Q5) → 부하(400) → 제 4 스위칭소자(Q4) → 전원(-)을 따라 흐르는 전류 루프가 형성되고, 이때 출력 전류 io= (+)이며, 출력 전압 Vo는 직류전원전압의 절반인 Vd/2 가 된다( Vo= Vd/2).
도 2d에 도시된 제 4 동작 모드(M4)는, 제 3 동작모드(M3)에 후속하여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Q4)가 턴오프되고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Q5)는 온상태를 유지한 상태로서, 출력 전압은 제 3 모드(M3)와 동일( 즉, Vo= Vd/2 )하고 출력 전류 io= (-)이다.
도 2e에 도시된 제 5 동작모드(M5)는, 제 3 스위칭 소자(Q3)는 턴오프되고 제 4 스위칭소자(Q4)는 턴온된 상태로서, 부하(400) → 제 4 스위칭 소자(Q4) → 제 3 스위칭 소자(Q3)에 역병렬 연결된 다이오드(D) → 부하(400)를 따라 흐르는전류 루프가 형성되고, 이때 출력 전류 io= (+)이며, 출력 전압 Vo는 0(zero)이 된다( Vo= 0 ).
도 2f에 도시된 제 6 동작모드(M6)는, 상기 제 5 동작모드(M5)에 후속하여 제 3 스위칭 소자(Q3)는 턴온되고 제 4 스위칭소자(Q4)는 턴오프된 상태로서, 이때 출력전압은 상기 제 5 동작모드(M5)와 동일( 즉, Vo= Vd/2 )하고 출력 전류 io= (-)이다.
도 3a에 도시된 제 7 동작모드(M7)는, 제 2 스위칭 소자(Q2) 및 제 5 스위칭 소자(Q5)가 턴온된 상태로서, 전원(+) → 제 2 스위칭소자(Q2) → 부하(400) → 제 3 다이오드(D3) → 제 5 스위칭소자(Q5) → 제 4 다이오드(D4) → 전원(100)의 분압탭을 따라 흐르는 전류 루프가 형성되고, 이때 출력 전류 io= (-)이며, 출력 전압 Vo는 부(負)의 직류전원전압의 절반인 - Vd/2가 된다( Vo= - Vd/2).
도 3b에 도시된 제 8 동작모드(M8)는, 제 7 동작모드(M7)에 후속하여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Q2)가 턴오프된 상태로서, 이때 출력 전압은 제 7 모드(M7)와 동일( 즉, Vo= - Vd/2)하고 출력 전류 io= (+)이다.
도 3c에 도시된 제 9 동작모드(M9)는, 제 2 스위칭소자(Q2) 및 제 3 스위칭소자(Q3)가 턴온되어 있는 상태로서, 전원(+) → 제 2 스위칭 소자(Q2) → 부하(400) → 제 3 스위칭 소자(Q3) → 전원(-)을 따라 흐르는 전류 루프가 형성되고, 이때 출력 전류 io= (-)이며, 출력 전압 Vo는 부(負)의 직류전원전압인 -Vd가된다( Vo= - Vd).
도 3d에 도시된 제 10 동작 모드(M10)는, 제 9 동작모드(M9)에 후속하여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 소자(Q2)(Q3)가 턴오프된 상태로서, 이때 출력 전압은 제 9 모드(M9)와 동일( 즉, Vo= -Vd)하고 출력 전류 io= (+)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의 각 모드에서와 같이 나타나는 출력 전압(Vd)의 레벨을 정확히 고찰하기 위해서 각 스위칭 소자의 온(ON)에 따른 암 전압을 살펴보면, 먼저 B점의 전압(VB)은 제 2스위칭소자(Q2)가 온되면 직류전원전압인 Vd가 되고, 제 4 스위칭소자(Q4)가 온되면 '0'이 된다. 그리고, A점의 전압(VB)은 제 1 스위칭소자(Q1)가 온되면 직류전원전압인 Vd가 되고, 제 3 스위칭소자(Q3)가 온되면 '0'이되는 것 이외에, 양방향 스위칭부(300)의 추가로 인하여 제 5 스위칭소자(Q5)가 온되면 직류전원전압의 절반인 Vd/2가 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추가된 상기 제 5 스위칭소자(Q5)의 기능으로 인해 출력전압은 직류전원의 절반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단상 인버터에서, 주제어부(500)에 제어에 의한 각 스위칭소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A점의 전압은 '0', Vd, 및 Vd/2의 3가지의 3 레벨 전압이 나타나고, B점의 전압은 '0' 및 Vd의 2가지 전압이 나타난다. 여기서, 인버터의 출력전압(Vo)은 각 스위칭소자의 온/오프에 따른 2개의 암(A)(B)의 전압차가 되며, 하기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동작모드 온 스위치 A점 전압(VA) B점 전압(VB) 출력전압(VAB)
M1 Q1, Q4 Vd 0 + Vd
M3 Q4, Q5 Vd/2 0 - Vd/2
M5 Q3,Q4/(Q1,Q2) 0 0 0
M7 Q2, Q5 0 Vd/2 - Vd/2
M9 Q2,Q3 0 Vd - Vd
상기 표 1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도 2의 각 모드를 적절히 선택하면 등가 정현적인 출력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회로에서 정현적인 출력전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스위칭 기법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은 스위칭 패턴 기법을 제안한다.
도 1의 직류전원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원(110) 및 상기 직류전원(110)을 분압할 수 있는 보조전원(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전원(120)은 두 개의 콘덴서(C1)(C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200)에 제공되는 전원의 형성은 상기 양방향 스위칭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우선 직류전원(110)의 전압의 절반인 분압용 콘덴서(Cl)(C2)의 전압을 이용하여 출력전원전압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콘덴서(C1)(C2)의 전압으로 출력전원전압을 형성할 수 없을 시에는 직류전원(110)의 전압을 그대로 이용하여 출력전원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형성 방식에 따른 본 발명의 인버터에서는, 변조지수가 0.5 이하에서는 직류전원을 반으로 설정하고 변조지수를 2배로 키워서 동일한 출력전원전압을 형성하는 종래의 풀 브릿지 인버터와 동일한 고조파 성분을 유지한다. 또한, 변조지수가 0.5 이상에서는 직류전원전압 및 분압용 콘덴서의 전압인 그 직류전원전압의 절반인 전압을 출력전원전압으로 이용함으로서, 동일한 직류전원전압을 사용하는 종래의 풀 브릿지 인버터보다 고조파 성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스위칭 함수를 구현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지수가 0.5일 때 변조파(10)의 피크치의 절반값을 크기로 하는 반송파(21) 및 이 반송파(21)의 크기 만큼의 옵션을 가한 반송파(22)를 종래의 정현적 펄스폭변조(PWM) 반송파 대신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반송파(21)(22)에 의한 스위칭 함수를 우선 순위로 하여 스위칭 함수(Q1-Q5)를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상 인버터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1)-(6)들을 이용하여 고조파 분석을 행할수 있다.
먼저 도 4에서, 변조파(10)인 정현파와 반송파(21)(22)인 두 개의 삼각파와의 비교에 의해 발생된 출력 전압 Vo는 식 (1)과 같이 퓨리에 급수로 나타낼 수 있다.
--- (1)
만일 1/4 주기당 P개의 펄스가 있고 P가 홀수라면 퓨리에 급수의 계수 중 Bn, A0항은 영( zero )이 되고 홀수의 An항만 존재하게 되어, 하기 식 (2)와 같이 표현된다.
--- (2)
본 발명의 단상 인버터에서, 퓨리에 급수의 계수는 하기 식 (3)과 같다.
--- (3)
정현펄스폭변조에 의한 단상전파 브리지인버터의 퓨리에 급수의 계수는 다음 식 (4)와 같다.
--- (4)
기본파 파형과 그외 파형간의 모양의 근접도를 나타내는 수단인 전 고조파 왜곡( THD : Total Harmonic Distortion )은 다음 식 (5)와 같이 정의된다.
THD =--- (5)
전 고조파 왜곡( THD )은 전고조파의 성분을 나타내지만, 각 고조파 성분의 수준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필터를 인버터의 출력단에 부가하면 고차고조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고조파의 주파수와 크기의 인식이 중요하다. 왜곡률( DF : Distortion Factor )은 고조파를 2차 감쇄시킨 후의 파형에 남아 있는 고조파 왜곡 정도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 (6)으로 정의된다.
DF =---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의 출력단에 출력 LC 필터부(500)를 추가로 연결한 단상 인버터이다.
도 6을 보면, 풀 브릿지 인버터(100)의 두 개의 암( Arm )(A)(B) 사이에 인덕터(L)와 커패시터(C)로 구성된 LC 필터부(50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패시터(C)에 부하저항(R)이 병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저항(rL)은 상기 인덕터(L)의 ESR( Equivalent Series Resister )이며, 저항(rC)는 상기 커패시터(C)의 ESR이다.
또한, 시간응답지연이 영( zero )이 되도록 하는 전달함수를 가지며, 상기 평활 필터부의 출력전압과 전압지령치를 비교하여 부하변동에 관계없이 출력전압을 정현파로 유지하기 위한 전류지령치를 출력하는 데드비트( Deadbeat ) 전압제어기(800)와; 시간응답지연이 영( zero )이 되도록 하는 전달함수를 가지며, 상기 LC 필터부(500)의 인덕터(L) 성분의 전류와 상기 전류지령치를 비교하여 부하(R)의 변동에 따른 상기 인덕터(L)의 편자현상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드비트 전류제어기(700)와; 상기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전류 이상이 되는지를 검사하여,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정전류제어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정전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정전류 제어기(750); 상기 정전류제어기(750)의 모드절환신호에 따라 상기 데드비트 전류제어기(700)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정전류 제어신호 중 하나를 선택 단속하여 펄스폭 변조 제어기(900)에 제공하는 모드절환부(770); 및 상기 모드절환부(77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양방향 스위칭부(300) 및 풀 브릿지 인버터(200)의 각 스위칭 소자(Q1∼Q5)를 단속제어하기 위한 펄스폭변조(PWM) 제어기(900)를 포함하여구성된다.
도 6과 같이, 인버터(100)의 출력단에 LC 필터부(500)를 추가로 연결하면 고차 고조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고, 일반적으로 LC필터를 구비한 PWM 인버터는 자동전압조절기( automatic voltage regulat )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와 같은 장비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LC 필터를 구비한 인버터 시스템에서 정현파 출력 전압을 구현하는 파라메타는 LC 필터의 크기, 스위칭 주파수, 제어알고리즘이다. 이 중에 LC 필터의 크기와 스위칭 주파수의 증가는 인버터 시스템의 경제성 및 크기에 치명적인 단점이 되기 때문에, 정현파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서 제어알고리즘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또한, 인버터 시스템에 있어서 직류에서 교류를 발생시키는 PWM 인버터의 제어기법은 출력 전압의 정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하 변동에 관계 없이 출력 전압을 정현파로 유지하기 위한 도 6의 전압제어기(800)를 설계하기 위하여 도 10 및 도 11과 같은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또한, LC 필터부(500)의 인덕터(L)의 편자현상을 보상하고, 동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전압제어기(800) 내에 전류제어기(700)를 마이너루프로 둘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전류제어기(700)의 전달함수의 극점을 전압제어기(800)의 전달함수의 극점보다 S-평면상의 좌반평면에서 더 멀리 두도록 설계 함으로써 인버터 시스템의 안전성과 동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설명에 의거하여 부하변동에 관계없이 출력전압을 정현파로 유지하고, 부하변동에 따른 편자현상 및 동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압 제어 알고리즘(algorism ) 및 전류 제어 알고리즘( algorism )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같은 PWM 인버터 시스템에서 선형 모델은 다음 식 (7) 및 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7)
--- (8)
따라서, 상기 식 (7) 및 식 (8)의 상태 방정식으로부터 도 6에 대한 궤환루프 제어블록도를 나타내면 도 7과 같다.
시스템의 응답 특성은 전달함수의 극점에 의해 결정되며 이 극점이 S-평면의 좌반부쪽으로 가면 갈수록 빠른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 극점을 좌반평면의 무한대로 두면 지연없는 응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라플라스변환과 z변환 사이의 관계식은 하기 식 (9)와 같다.
--- (9)
상기 식(9)에서 T는 샘플링 주기를 나타낸다.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s = ∞는 디지털 시스템의 z = 0에 대응된다. 따라서, 궤환루프 제어기에서 극점들이 z-평면상의 원점에 위치한다면 가장 빠른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바, 디지털 시스템에서 하기 식 (10)과 같이 모든 극점들을 원점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데드비트( deadbeat )제어가 된다.
--- (10)
상기 식 (10)에서 n은 플랜터의 모델 차수이다. Cayley-Hamilton 이론에 의해 스탭 지령치에 대하여 n 샘플링 후에 오버슈터없이 지령치에 도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전류제어기의 설계를 위한 전류 궤환루프 제어블록도로서, 전류제어기의 실제적인 모델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Z(s)는 부하에 해당하는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전류 제어기에서, 출력전압 vo는 왜란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 성분에 의한 전류 제어기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인덕터 전압지령치 v* L(k)에 상기 출력전압 vo를 피드 포워드 항으로 두는 하기 식 (11)과 같이 정의한다. Kp는 전달함수의 극점을 원점에 둘 수 있는 값이다.
--- (11)
즉, 출력전압(vo)을 전압센서로부터 검출하여 전류제어기의 오프셋 형태로 둠으로써, 그 출력전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류제어기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제어기는 인버터의 출력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도 7은 도 8과 같이 간단한 제어 블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블록도를 간략화한 전류 궤환루프 제어블록도로서, 동 도면에서, 제로오드홀더( ZOH : Zero Order Holder )의 전달함수 Gh(s)는 하기 식 (12)와같이 표현된다. T는 샘플링 주기이다.
--- (12)
또한, ESR을 고려한 인덕터(L)의 전달함수 GL(s)는 하기 식 (13)과 같다.
단,--- (13)
따라서, 개루프( open loop )의 전달함수 Gs(s)는 하기 식 (14)와 같다.
--- (14)
상기 식 (14)로부터 폐루프( closed loop )의 특성 방정식은 다음 식 (15)와 같다.
--- (1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제어기의 동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극점을 원점에( z = 0 ) 둘 수 있는 Kp의 값을 구하면 다음 식 (16)과 같다.
--- (16)
이와 같이 전달함수의 극점을 원점에 위치시켜 가장 빠른 응답 특성을 얻도록 제어하는 것이 데드비트( deadbeat )제어이고, 도 8 및 도 9의 데드비트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설계된 도 6의 전류 제어기(700)의 작용으로 인해 정격전류 이하의 전류에서 부하변동에 따른 편자현상을 보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전압제어기의 설계를 위한 전압 궤환루프 제어블록도로서, 이 전압제어기의 내부 루프에 도 9에 따른 전류제어기가 포함되어 있다.
만일, 전압제어기의 내부 루프인 전류제어기의 시정수가 전압제어기의 시정수에 비하여 상당히 크다면 전류제어기의 이득은 상수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전압제어기의 왜란으로 작용하는 부하전류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전압제어기를 다음 식 (17)과 같이 정의한다.
--- (17)
따라서, 도 10은 도 11과 같이 간단한 제어 블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블록도를 간략화한 전압 궤환루프 제어블록도로서, 동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압제어기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된 전류제어기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 11에서, 전압제어기의 개루프 전달함수 Gz(s)는 다음 식 (18)과 같다.
--- (18)
따라서, 상기 식 (18)로부터 폐루프 특성방정식을 구하고, 그 특성방정식으로부터 데드비트제어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극점을 원점에( z = 0 ) 둘 수 있는 게인 Kv의 값을 구하면 다음 식 (19)와 같다.
--- (19)
이와 같이 도 10 및 도 11의 전압 궤환루프 제어블록도에 따른 도 6의 전압제어기(800)의 작용으로 인해 부하변동에 관계없이 출력전압을 정현파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정상제어모드 및 정전류제어모드 시의 출력 전류파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정전류제어기(750)는 정격부하( 또는 정격전류 ) 이하에서는 정상 제어모드 즉, 데드비트 전압/전류 제어기(800,700)에 의한 제어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고, 부하가 증가하여 정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를 요구하거나 전동기의 기동시와 같이 순시적으로 정격전류보다 높은 전류를 요구할 시는 정전류 제어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모드절환부(770)를 제어하는 바, 정상 제어모드시에는 상기 데드비트 전압/전류 제어기(800,700)에 의해 LC필터부(500)의 인덕터(L)의 전류가 A와 같이 정현적 파형으로 나타나도록 함과 아울러 부하변동에 따른 인덕터의 편자현상을 보상하도록 하고, 정전류 제어모드시에는 상기 정전류제어기(750)에 의해 인덕터(L)의 전류가 B 및 C와 같이 일정한 정전류로 나타나도록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상 인버터에 의하면, 동일한 직류 전원 전압과 스위칭 주파수 조건하에서 정의 DC 링크전압, 그 DC 링크전압의 절반, 및 영의 전압을 조합하여 출력전압을 형성함으로서 출력 고조파 성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된다.

Claims (2)

  1. 직류 전원의 공급을 위한 직류전원수단;
    상기직류전원수단의 양단에 연결된 풀 브릿지 인버터;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의 진상 레그 및 지상 레그의 각 암 사이에 연결된 평활필터수단;
    1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정류 다이오드로 구성되되, 제 1 다이오드는 상기 직류전원수단의 분압탭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입 단자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고, 제 2 다이오드는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출 단자로부터 상기 풀브리지 인버터의 진상 레그의 암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고, 제 3 다이오드는 상기 진상레그의 암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입 단자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 있으며, 제 4 다이오드는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유출 단자로부터 상기 직류전원수단의 분압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 연결되어,상기 분압탭과 상기 암 사이에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수단; 및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 및 상기 양방향 스위칭수단의 각 스위칭 소자를단속제어하는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인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수단은,
    양단이 상기 풀 브릿지 인버터에 연결된 주직류전원; 및
    상기 주직류전원을 분압하고 분압된 전압을 상기 양방향 스위칭수단의 입력전원으로 하기 위한 보조전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인버터.
KR1019990017564A 1999-05-17 1999-05-17 단상 인버터 KR10031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64A KR100318215B1 (ko) 1999-05-17 1999-05-17 단상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64A KR100318215B1 (ko) 1999-05-17 1999-05-17 단상 인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950A KR20000073950A (ko) 2000-12-05
KR100318215B1 true KR100318215B1 (ko) 2001-12-22

Family

ID=1958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564A KR100318215B1 (ko) 1999-05-17 1999-05-17 단상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62B1 (ko) * 2011-10-11 2013-02-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전원으로 구동되는 멀티레벨 인버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09B1 (ko) * 2007-09-14 2009-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3상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전압 변조 장치 및 방법
KR101296798B1 (ko) * 2012-06-05 2013-08-14 한국전기연구원 Pwm 전력변환장치용 인덕터 시험장치
CN111740634B (zh) * 2020-07-22 2023-11-2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全桥逆变器电感电流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62B1 (ko) * 2011-10-11 2013-02-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전원으로 구동되는 멀티레벨 인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950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rdelho et al. An active power filter and unbalanced current compensator
US102248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to-back three-level converter with voltage ripple compensation
US5526252A (en) Utility current feedback filter with pulse-width modulated power converter
US8363433B2 (en) Hybrid conditioner for a power system
Kenzelmann et al. A versatile DC-DC converter for energy collection and distribution using the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Sensarma et al.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istribution STATCOM for compensating voltage fluctuations
Mathe et al. Resonance reduction for AC drives with small capacitance in the DC link
Li et al. Multiple-loop digital control method for a 400-Hz inverter system based on phase feedback
US5351181A (en) Low cost active power line conditioner
Ghosh et al. Generalized feedforward control of single-phase PWM rectifiers using disturbance observers
EP2421129B1 (en) Power converter system
WO2002052709A1 (en) A damping system
US10270367B2 (en) Frequency converter with LCL line and common mode filter
KR100318215B1 (ko) 단상 인버터
Le et al. Inductance-independent nonlinearity compensation for single-phase grid-tied inverter operating in both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current mode
US8964425B2 (en)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d current source to reduce harmonic distortion
Tuttas Capacitive loads by a voltage‐source active filter
Lee et al. DC link voltage controller for three phase vienna rectifier with compensated load current and duty
Lee et al. A new space vector pulsewidth modulation strategy for reducing ground to stator-neutral voltage in inverter-fed AC motor drives
Eakburanawat et al. A simple control scheme of single phase universal active filter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Cecati et al. Analysis and control of a three-phase dc/ac step-up converter
Axente et al. A control approach for UPQC connected to weak supply point
RU2246127C2 (ru) Импульс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Nanda Kumar et al. A novel hysteresis switching strategy for harmonic compensation
KR20230076248A (ko) 커패시터 리플 감소를 위한 지그재그 변압기를 이용한 3레벨 npc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