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185B1 -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185B1
KR100318185B1 KR1019990053057A KR19990053057A KR100318185B1 KR 100318185 B1 KR100318185 B1 KR 100318185B1 KR 1019990053057 A KR1019990053057 A KR 1019990053057A KR 19990053057 A KR19990053057 A KR 19990053057A KR 100318185 B1 KR100318185 B1 KR 10031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wire
strands
ratio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8381A (en
Inventor
이수원
Original Assignee
홍영철
고려제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철, 고려제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영철
Priority to KR101999005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185B1/en
Publication of KR20010048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3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1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9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strand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30Inorganic materials
    • D07B2205/3021Metal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기기의 조작용으로 사용되는 기기 조작용 와이어 로프의 내피로성 향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provement of fatigue resistance of wire rope for device operation used for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본 발명은, 중심 소선(d1)을 중심으로 6가닥의 내층 소선(d2)이 꼬여져 하연(l)을 이루고 하연의 주위로 12가닥의 외층 소선(d3)이 꼬여져 상연(u)을 이루는 1x19 구조의 스트랜드에 있어서 상기 상연(u)과 하연(l)의 연입각이 서로 동일하고 상,하연 피치 비율이 45 ∼ 55%인 구성으로서, 이때 중심 소선 대 내층 소선의 비(d1/d2)가 1.13 ∼ 1.17이고, 내층 소선 대 외층 소선의 비(d2/d3)의 비가 0.90 ∼ 0.98이며, 내층 소선의 소선간 스페이싱이 4 ∼ 6%인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trand (d2) of 6 strands is twisted around the center strand (d1) to form the lower strand (l), and the outer strand (d3) of 12 strands is twisted around the lower strand to form the upper strand (u). In the strand of 1x19 structure, the entrance angles of the upper edge (u) and the lower edge (l) are the same, and the upper and lower edge pitch ratios are 45 to 55%, wherein the ratio of the center element wire to the inner layer wire (d1 / d2) Is 1.13 to 1.17, the ratio of the ratio of the inner layer wires to the outer layer wires (d2 / d3) is 0.90 to 0.98, and the inter-wire spacing of the inner wires is 4 to 6%.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는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이 동일하기 때문에 인장하중의 작용시 상연을 이루는 소선과 하연을 구성하는 소선 각각으로 균일한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어 어느 특정한 소선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절단하중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절단력 및 내피로성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스트랜드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스트랜드 그 자체로서의 이용 뿐 아니라 다층연 구조의 와이어 로프를 구성하는 소요 스트랜드로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Since the stra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entrance angl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dges, uniform load distribution is achieved by the element wires constituting the upper edge and the element wire constituting the lower edge during the action of the tensile load, so that the load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element wire. Therefore, the cutting load is prevented from falling, which improves the cutting force and fatigue resistance and ultimately prolongs the life of the strand, which is useful not only as the strand itself but also as the required strand constituting the wire rope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Could be utilized.

Description

내피로성이 우수한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각종 기기의 조작용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의 내피로 특성 향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연과 하연으로 이루어진 다층연 구조의 스트랜드에서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이 서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스트랜드에 하중 작용시 상,하연의 각 소선에 고르게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피로성 및 절단력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한 내피로성이 우수한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mprovement of fatigue resistance of wire ropes used for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trands of the multi-layered strand structure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edges so that the entrance angles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are kept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operated wire rope having excellent fatigue resistance to improve fatigue resistance and cutting force by distributing load evenly to each element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when the load is applied.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나 장비의 조작용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는 대개 (인장)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시브나 롤러와 접촉하면서 이동을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의 수명은 내피로성과 절단력 및 내마모성 등의 특성에 좌우된다.In general, wire ropes used for the operation of various machines or equipment are repeatedly moved in contact with the sheaves or rollers under a (tension) load. It depends on characteristics such as performance and cutting force and wear resistance.

도1은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를 구성하는 스트랜드의 대표적인 한 형태인 1x19 구조의 스트랜드에 대한 단면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종래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의 구조 및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and of a 1x19 structure, which is a typical form of the strand constituting the operation wire rope based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operation wire rope as follows.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스트랜드(S)는 중심 소선(d1)의 외측으로 6개의 내층 소선(d2)이 꼬여져 하연(l)을 구성하고, 그 하연의 외주면상에 12개의 외층 소선(d3)들로 이루어진 상연(u)이 꼬여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strand S has six inner layer wires d2 twisted outward from the center element wire d1 to form a lower lead 1, and 12 outer layer wires d3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lead. The upper edge (u) consisting of a twisted structure.

상기 종래 스트랜드(S)는 중심 소선(d1)상에 내층 소선(d2)들이 일정한 연입각을 가지고 나선상으로 권회되면서 꼬여지도록 하는 하연(l) 형성공정을 완료한 후 그 하연의 외주면상에 외층 소선(d3)들이 일정한 연입각을 유지하면서 꼬여지도록 하여 상연(u)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2단계의 연선공정을 통해서 제조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strand (S) is the outer layer element wir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dge after complet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lower lead (l) to the inner layer wire (d2) is twisted while winding spirally with a constant penetration angle on the center element wire (d1) (d3) is manufactured through a two-step twisted pair process in which the upper edge (u) is formed by being twis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entrance angle.

그런데, 상기 종래의 스트랜드(S)는 하연(l)을 이루는 내층 소선(d2)과 상연(u)을 구성하는 외층 소선(d3)간의 연입각(연입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됨)이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스트랜드의 단위 길이당 내층 소선(d2)과 외층 소선(d3)의 소요길이에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strand (S) has a entering angle between the inner layer wire (d2) constituting the lower edge (l) and the outer layer wire (d3) constituting the upper edge (u)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ngle of inclin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quired lengths of the inner layer wire d2 and the outer layer wire d3 per unit length of the strand.

이와같이, 상연(l)과 하연(u)간에 연입각이 서로 다른 스트랜드에서는 인장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하연간의 연입각의 차이 및 소요 길이의 차이에 의해서 상,하연의 각 소선(d2)(d3)에 가해지는 하중에 차이가 있게 된다.Thus, in strands having different entrance angles between the upper edge (l) and the lower edge (u), when the tensile load is applied, each element wire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d2) (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oad on d3).

다시말하면, 스트랜드에 가해진 하중이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각 소선으로 고르게 배분되어 작용하지 못하고 상연 또는 하연중 어느 일측 소선에 상대적으로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되고 그와같이 하중이 상대적으로 많이 걸리는 소선은 우선적으로 절단되거나 변형되어 궁극적으로는 스트랜드의 내피로성 및 절단력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load applied to the strands is not evenly distributed and acts on each strand constituting the strand. Or deformed and ultimately degrades the fatigue resistance and cutting force of the strand.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기기 조작용을 비롯한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다양한 와어어 로프를 수거하여 상,하연간의 연입각을 조사하여 보았던 바, 모든 와이어 로프 제품이 상,하연간의 연입각이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그에 따라 상기의 문제점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ntrance angl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dges by collecting various wire ropes used in the industry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currently on the market, all wire rope products showed different entrance angl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dges. Yes, it was observed, and accordingly it seems to have the above problem as it is.

본 발명은 종래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나 이를 구성하는 스트랜드의 상연과 하연을 이루는 내층 소선과 외층 소선의 연입각이 서로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랜드에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그 하중은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상,하연의 모든 소선들로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내피로 특성 및 절단특성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nsile load acts on the strands by making the entrance angles of the inner layer wire and outer layer wire formi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conventional device operating wire rope or the strands constituting the same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loads constitute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tr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chine-operated wire rope to improve the fatigue resistance and cutting properties of the wire rope by being distributed evenly distributed to all the element wir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이 서로 일치될 수 있도록 상,하연의 피치 비율을 일정한 범위내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각각의 층을 구성하는 소선들간의 직경비가 특정범위내로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내피로성을 지니는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pitch ratio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the entrance angles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constituting the strands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diameter ratio between the element wires constituting each layer is within a specific range. It is to provide a device operating wire rope with excellent fatigue resistance by being managed.

도1은 1x19 구조의 스트랜드에 대한 단면도.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trand of a 1x19 structure;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스트랜드 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stra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의 (가),(나)는 스트랜드의 연입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Figure 3 (a), (b) is for explaining the engagement rate of the strands,

(가)는 스프랜드 피치(L)를 보인 것이고,(A) shows the strand pitch (L),

(나)는 층심경(Dp)을 보인 것이다.(B) shows layer depth Dp.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가 로프 코어로 사용된 8x7+1x19 구조의 와이어 로프에 대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8x7 + 1x19 wire rope in which the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rope cor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d1. 중심 소선 d2. 내층 소선d1. Center element d2. Inner wire

d3. 외층 소선 l. 하연d3. Outer layer wire l. Ha Yeon

u. 상연u. Stag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심 소선의 외측으로 6가닥의 내층 소선으로 이루어진 하연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12가닥의 외층 소선으로 이루어진 상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1x19 구조의 스트랜드에 있어서,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이 서로 동일하고 상연과 하연의 피치 비율이 45 ∼ 55% 인 구성에 의해서 달성된다.In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and of 1x19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dge of six strands of inner strands is formed outside the center element strand, and the upper strand of 12 strands of outer strand strands is formed thereon, the entrance angle of the upper strand and the lower strand It is achieved by the structure which is mutually the same, and the pitch ratio of upper and lower edges is 45 to 55%.

본 발명의 스트랜드는 상,하연의 연입각이 동일하기 때문에 스트랜드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은 상연과 하연을 이루는 각각의 내층 소선과 외층 소선으로 균일하게 하중이 배분되어 절단력 및 내피로성의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Since the str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entrance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the tensile load acting on the strands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inner wires and the outer wires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so as to improve cutting force and fatigue resistance. do.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스트랜드의 상연 대 하연의 피치 비율을 45 ∼ 55%로 한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만일 피치 비율이 45% 미만으로 되는 때에는 내층 소선의 굴곡높이가 외층 소선보다 낮기 때문에 외층 소선이 먼저 인장응력등을 받아 파단이 발생되므로 절단하중이 떨어지게 되고, 반대로 피치 비율이 55%를 초과하는 때에는 상기의 경우와 정반대의 현상이 초래되어 역시 절단하중과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연/하연의 피치 비율은 45 ∼ 55%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 ratio of the upper edge to the lower edge of the strand is limited to 45 to 55%, because if the pitch ratio is less than 45%, the bending height of the inner layer wire is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layer wire, First of all, when the tensile stress or the like is broken, the cutting load is decreased. On the contrary, when the pitch ratio exceeds 55%, the opposite of the above case occurs, the cutting load and durability are also lowered. It is preferable to make it into the range of 45 to 55%.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트랜드의 설계 포인트를 관리함에 있어서, 중심 소선 대 내층 소선의 직경 비율이 1.13 ∼1.17의 범위가 되도록 하고, 내층 소선 대 외층 소선의 직경 비율이 0.90 ∼ 0.98의 범위가 되도록 하며, 내층 소선간의 스페이싱이 4 ∼ 6%가 되도록 함에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을 두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managing the design point of the strand, the diameter ratio of the center element wire to the inner layer element wire is in the range of 1.13 to 1.17, and the diameter ratio of the inner layer wire to the outer layer element wire is in the range of 0.90 to 0.98, Another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spacing between inner layer wires is 4 to 6%.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의 소선 직경 관리범위 및 내층 소선의 스페이싱 범위는 하연의 스페이싱을 크게 관리하고 상연의 스페이싱을 낮게 관리함으로써 하연을 구성하는 내층 소선으로 적은 압착응력이 작용하도록 조절하고, 상연을 이루는 외층 소선들간에서는 서로 밀접한 상태로 배열되어 좌우 이동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압착응력을 많이 받는 내층 소선에 압착응력을 적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스트랜드의 내피로성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strand wire diameter management range of the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acing range of the inner layer wires are controlled so that a small compressive stress acts on the inner layer wires constituting the lower smoke by managing the spacing of the lower edge and managing the spacing of the lower edge, and the upper edge. The outer layer wires forming a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arrang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suppressed, thereby reducing the compressive stress on the inner layer wires subjected to the high compressive stress, and consequently, improve the fatigue resistance of the strands.

다시말하면, 1x19 구조의 스트랜드에서 중심 소선과 외층 소선의 사이에 존재하는 내층 소선은 상대적으로 많은 압착응력이 가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종래의 스트랜드에서는 상대적으로 압착응력이 집중되는 내층 소선에서 우선적으로 변형이나 손상 내지는 절단이 일어나서 스트랜드 자체의 내피로성이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선경의 조절 및 스페이싱의 관리를 통해서 내층 소선으로 집중되는 압착응력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층 소선의 내피로성 향상에 따른 스트랜드의 내피로성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inner layer wire existing between the center element wire and the outer layer element wire in the 1x19 structure h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so that the inner layer where the compressive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conventional strand It was a general tendency that deformation, damage, or cutting occurred in the element wire first to reduce the fatigue resistance of the strand itself.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ve stress concentrated in the inner layer wire is distributed by controlling the element diameter and managing the spacing. The fatigue resistance of strands is improved by the fatigue resistance of the inner layer wir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Specific matters related to the above objects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and the lik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1x19 구조의 스트랜드에 대한 기본적인 단면 구조는 앞서 살펴본 바의 도1에 도시된 구조와 같다.First, the basic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trand of 1x19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다음,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1x19 구조의 스트랜드의 부분절결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스트랜드는 중심 소선(d1)의 외측으로 6가닥의 내층 소선(d2)으로 이루어진 하연(l)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12가닥의 외층 소선(d3)으로 이루어진 상연(u)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1x19 구조의 스트랜드(S)에 있어서, 상연(u)과 하연(l)의 연입각(α)이 서로 동일한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Next, Figure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trand of the 1x19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tr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edge (l2) consisting of six inner strands (d2) outside the center element (d1) ) Is formed and the upper edge (u) of 12 outer strands (d3) is formed thereon, whereby the entrance angle (α) of the upper edge (u) and the lower edge (l) is formed. There are technical features that are identical to each other.

한편, 도3의 (가),(나)는 스트랜드의 연입각(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가)는 스트랜드 피치(L, Lay Length)를 보인 것이고, (나)는 층심경(Dp, Pitch Diameter)을 보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a), (b) is for explaining the entering angle (α) of the strand, (a) is showing the strand pitch (L, Lay Length), (b) is the layer core diameter (Dp) , Pitch Diameter).

연입각(α)은 아래의 식1에 따른다.Insertion angle (alpha) is based on following formula (1).

상연(u)과 하연(l)의 연입각(α)이 동일하다는 것은 스트랜드(S)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입된 내층 소선(d2)의 길이와 외층 소선(d3)의 길이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여 스트랜드에 인장하중이 가해질 때 내층 소선(d2)과 외층 소선(d3)이 동일한 비율로 늘어나므로 내층 소선(d2)과 외층 소선(d3)의 각 와이어에 동일한 인장하중이 작용하게 된다.The same angle of incidence (α) between the upper edge (u) and the lower edge (l) means that the length of the inner layer wire (d2) and the length of the outer layer wire (d3)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nd (S) are the same. When the tensile load is applied to the strands, the inner layer wire d2 and the outer layer wire d3 increase in the same ratio, so that the same tensile load acts on each wire of the inner layer wire d2 and the outer layer wire d3.

이에 따라, 각 소선에 균일한 힘의 배분으로 절단하중이 증가되고 피로응력이 분산되어 피로단선의 시점이 늦춰져서 스트랜드 또는 본 발명의 스트랜드가 사용된 와이어 로프의 사용수명이 증대된다.Accordingly, the cutting load is increased by the distribution of uniform force to each element wire, the fatigue stress is dispersed, and the timing of fatigue break is delayed, so that the service life of the strand or the wire rope using the str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한편, 상기와 같이 스트랜드의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연과 하연의 피치 비율을 특정한 범위내로 가져가야만 하는 데, 그러한 특정범위의 피치비율은 45 ∼ 55%임이 수많은 시험의 결과로 얻어졌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intain the entrance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trand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bring the pitch ratio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within a specific range, the pitch ratio of such a specific range is 45 ~ 55% of many tests As a result.

다시말하면, 상연 대 하연의 피치 비율이 45 ∼ 55%로 관리될 때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을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pitch ratio of the upper edge to the lower edge is maintained at 45 to 55%, the entrance angles of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can be taken to be the same.

본 발명의 스트랜드는 외주연부에 대하여 면접촉 가공을 행함으로써 롤러나 시브와의 접촉시 접촉면적의 확대를 통해서 내피로성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같이 면접촉 가공이 행해진 스트랜드가 다층연 구조의 와이어 로프에 사용되는 때에는 인접하는 스트랜드와의 사이에서 접촉면적이 확대됨으로 인해서 내피로성의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In the stran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surface contact processing on the outer periphery, the fatigue resistance can be improved by expanding the contact area during contact with the roller or the sheave, and the strand subjected to the surface contact processing in this way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When used in wire ropes, the contact area between adjacent strands will be enlarged, which will contribute to improved fatigue resistance.

본 발명의 스트랜드는 그 자체가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로 사용되거나 다층연 구조의 와이어 로프에서 코어 로프나 내,외층 스트랜드로 사용될 수 있다.The str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wire rope for the operation itself or as a core rope or inner and outer strands in a wire rope of a multi-layered structure.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S)를 코어 로프(CS)로 사용하여 그 주위에 다수개의 외층 스트랜드(OS)가 꼬여진 8x7+1x19 구조의 와이어 로프(WR)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FIG. 4 exemplarily shows a wire rope WR having an 8x7 + 1x19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uter layer strands OS are twisted around using a strand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re rope CS. .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먼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은 1x19 구조의 스트랜드를 제작함에 있어 중심 소선(d1)은 0.67mm, 내층 소선(d2)은 0.58mm 그리고, 외층 소선(d3)은 0.61mm의 직경을 갖는 소선이 사용되었다. 하연과 상연이 형성이 완료된 후의 스트랜드 공칭경은 3mm이었다.First, in the fabrication of strands having a 1x19 structu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enter element d1 is 0.67 mm, the inner layer element d2 is 0.58 mm, and the outer layer element d3 has a diameter of 0.61 mm. An element wire having was used. After formation of the lower and upper edges, the strand nominal diameter was 3 mm.

이때, 하연과 상연의 연입각은 공히 14.2°가 되도록 하였으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관리 포인트에 따라 얻어진 실시예 시편과 종래의 시편에 대하여 절단하중, 연효율 및 내구성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1에 나타내었다.In this case, the entrance angle of the lower and upper edges were to be 14.2 °, and the cutting load, the lead efficiency, and the durability were measured for the example specimens and the conventional specimens obtained according to the control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in Table 1.

구 분division 실 시 예Example 비 교 예Comparative Example 연 입 각 ( °)Insertion angle (°) 상연; 17.7, 하연; 13.3Staging; 17.7, Ha Yeon; 13.3 상연; 14.2, 하연; 14.2Staging; 14.2, Ha Yeon; 14.2 상,하연 피치 비율(%)Upper and lower pitch pitch ratio (%) 69.169.1 50.550.5 절단하중(kgf)Cutting load (kgf) 890890 999999 연 효 율(%)Annual effectiveness rate (%) 8888 9292 내 구 성(회)Durability (times) 45004500 60006000

상기 표1에서 상,하연 피치 비율을 아래의 식2에 의해 측정되었다.In Table 1, the upper and lower pitch ratios were measured by Equation 2 below.

그리고, 표1에서 연효율의 측정값은 벤딩시험기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굴곡을 가해서 파단이 일어나는 시점의 굴곡횟수이다.In addition, the measured value of the annual efficiency in Table 1 is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at the time of breaking occurs by applying repeated bending using a bending tester.

상기 표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스트랜드의 경우 절단하중과 내구성 등의 내피로성과 관련된 기계적 특성에 있어 종래의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을 달리하여 제작된 스트랜드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related to fatigue resistance such as cutting load and dura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compared to the strand produced by varying the entrance angle of the conventional upper and lower lead It can be seen that.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스트랜드에서 중심 소선과 내층 소선의 비(d1/d2)는 1.150이었고, 내층 소선과 외층 소선의 비(d2/d3)는 0.951이었으며, 내층 소선간의 스페이싱은 5.1로 나타났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str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d1 / d2) of the center element to the inner layer was 1.150, the ratio of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d2 / d3) was 0.951, and the spacing between the inner layer was 5.1.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는 상연과 하연의 연입각이 동일하기 때문에 인장하중의 작용시 상연을 이루는 소선과 하연을 구성하는 소선 각각으로 균일한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어 어느 특정한 소선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절단하중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절단력 및 내피로성이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스트랜드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ra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entrance angles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a uniform load distribution is achieved by the element wires constituting the upper edge and the element wires constituting the lower edge during the action of the tensile load. Since the load is prevented from falling as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element wire, the cutting force and the fatigue resistance are improved, thereby ultimately extending the life of the stran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스트랜드에서는 각층을 이루는 소선의 직경을 조절절함에 의해서, 중심 소선과 외층 소선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대적으로 압착응력이 많이 작용되는 구조적 특성을 지닌 내층 소선으로 가해지는 압착응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내피로성의 저하가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stran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diameter of the element wires constituting each layer, the compressive stress applied to the inner layer element wire having a structural characteristic interposed between the center element wire and the outer layer element wire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compressive stress action. The reduction in fatigue resistance is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는 그 자체가 와이어 로프로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외에 다층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와이어 로프의 코어 로프나 내,외층 스트랜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wire rope itself, as well as a core rope or inner and outer layer strands of a wire rope composed of multilayer strands.

Claims (3)

중심 소선(d1)을 중심으로 6가닥의 내층 소선(d2)이 꼬여져 하연(l)을 이루고 하연의 주위로 12가닥의 외층 소선(d3)이 꼬여져 상연(u)을 이루는 1x19 구조의 스트랜드에 있어서, 상기 상연(u)과 하연(l)의 연입각이 서로 동일하고 상,하연 피치 비율이 45 ∼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로성이 우수한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Strand of 1x19 structure with 6 inner strands (d2) twisted around the center strand (d1) to form the lower strand (l) and 12 outer strands (d3) twisted around the lower strand to form the upper strand (u) The wire rope having excellent fatigue resist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trance angles of the upper edge (u) and the lower edge (l)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edge pitch ratios are 45 to 55%. 제1항에 있어서, 중심 소선 대 내층 소선의 비(d1/d2)가 1.13 ∼ 1.17이고, 내층 소선 대 외층 소선의 비(d2/d3)의 비가 0.90 ∼ 0.98이며, 내층 소선의 소선간 스페이싱이 4 ∼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로성이 우수한 기기조작용 와어어 로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d1 / d2) of the center element wire to the inner layer element wire is 1.13 to 1.17, the ratio of the ratio of the inner layer wire to the outer layer element wire (d2 / d3) is 0.90 to 0.98. Machine-operated wire rope excellent in fatigue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4 to 6%. 상연(u)과 하연(l)의 연입각이 서로 동일하고 상,하연 피치 비율이 45 ∼ 55%인 1x19 구조의 스트랜드를 코어 로프나 내층 또는 외층 스트랜드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로성이 우수한 기기조작용 와이어 로프.Fatigue resistan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re rope, inner layer or outer layer strands of 1x19 structure having the same entrance angle of the upper edge (u) and the lower edge (l) and the upper and lower pitch pitch ratio of 45 to 55% Excellent operating wire rope.
KR1019990053057A 1999-11-26 1999-11-26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KR100318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057A KR100318185B1 (en) 1999-11-26 1999-11-26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057A KR100318185B1 (en) 1999-11-26 1999-11-26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381A KR20010048381A (en) 2001-06-15
KR100318185B1 true KR100318185B1 (en) 2001-12-24

Family

ID=1962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057A KR100318185B1 (en) 1999-11-26 1999-11-26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1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2037A (en) * 2022-07-11 2022-10-11 济宁长龙钢丝绳有限公司 Fatigue-resistant steel wire rope for cantilever be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783A (en) * 1991-12-27 1993-09-07 Nippon Cable Syst Inc Rope for operation
JPH06287876A (en) * 1993-03-31 1994-10-11 Tokyo Seiko Co Ltd Wire rope not rotating on its own axis
KR950011760A (en) * 1993-10-13 1995-05-16 오까베 유끼찌 Rotating Paper Wire Ro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783A (en) * 1991-12-27 1993-09-07 Nippon Cable Syst Inc Rope for operation
JPH06287876A (en) * 1993-03-31 1994-10-11 Tokyo Seiko Co Ltd Wire rope not rotating on its own axis
KR950011760A (en) * 1993-10-13 1995-05-16 오까베 유끼찌 Rotating Paper Wire R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381A (en)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919B1 (en) Traction means
DE10124362B4 (en) Tension element for lifts
DE69931193T2 (en) PERMANENT FOR AN ELEVATOR
DE69433048T2 (en) lifting rope
US10443191B2 (en) Rope for elev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346770B1 (en) Traction system for a lift
DE112012006854T5 (en) Elevator rope and same elevator device using
JP6760824B2 (en) High strength wire rope
DE112015007028T5 (en) Elevator ro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05800C (en) Wire rope having independent wire rope core
US4454708A (en) Wire rop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18185B1 (en) Wire rope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high fatigue-resistant characteristics
JP4353523B2 (en) Steel cord for rubber reinforcement
EP1079020A2 (en) Rotation-resisting wire rope
US5375404A (en) Wide rope with reduced internal contact stresses
US1481934A (en) Wire rope
KR100328717B1 (en) Wire rope having a good wear-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2916520B2 (en) Fatigue resistant wire lobe
KR100941120B1 (en) Rope for elevator
RU2762093C1 (en) Double-twisted steel rope with compact metal core
RU212331U1 (en) STEEL ROPE WITH ORGANO-METALLIC CORE
GB2320933A (en) Manufacture of wire rope
RU2765115C1 (en) Excavator rope
RU212236U1 (en) Wire rope
KR100328720B1 (en) Rotation-resistant wire r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